KR100743977B1 - 오일 회수기 - Google Patents

오일 회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3977B1
KR100743977B1 KR1020060114359A KR20060114359A KR100743977B1 KR 100743977 B1 KR100743977 B1 KR 100743977B1 KR 1020060114359 A KR1020060114359 A KR 1020060114359A KR 20060114359 A KR20060114359 A KR 20060114359A KR 100743977 B1 KR100743977 B1 KR 100743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vapor
exhaust pipe
pipe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4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수태
Original Assignee
임수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수태 filed Critical 임수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3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3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03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by using heat-exchange surfaces for indirect contact between gases or vapours and the cooling med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57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in combination with other processes
    • B01D5/0072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in combination with other processes with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condens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 회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보다 효과적으로 유증기를 액화시킬 수 있고, 유증기로부터의 액체 혼합물을 회수하는 회수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 소비량을 현격하게 줄일 수 있어 실용적이며, 고장 발생률이 낮고 안정성이 높은 오일 회수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일 영역에서 배기관을 형성하는 장치본체; 상기 배기관의 일측에 마련되고 소정의 건조기로부터의 유증기가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배기관의 타측에 마련되되, 오일과 물로 액화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부; 상기 유입부와 배출부를 잇는 경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유증기를 냉각 방식으로 액화시키는 냉각핀부; 및 상기 장치본체의 타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냉각핀부가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되, 냉각핀부에 의해 냉각되어 액화되는 액체 혼합물을 회수하는 회수통을 포함한다.
물, 오일, 회수, 솔벤트, 유증기, 냉각, 냉각핀

Description

오일 회수기{Apparatus for recovering o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회수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오일 회수기의 개략적인 평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오일 회수기의 정면도로서, 유수분리기가 결합된 상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일 회수기의 개략적인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장치본체 12 : 유증기 흡입관
16 : 필터 박스 14 : 배기관
18 : 유입부 20 : 배출부
22 : 냉각핀부 30 : 회수통
32 : 칸막이 32a : 덧살부
34 : 액체 혼합물 배출부 36 : 블로어 팬
38 : 모터
본 발명은, 오일 회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보다 효과적으로 유증기를 액화시킬 수 있고, 유증기로부터의 액체 혼합물을 회수하는 회수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 소비량을 현격하게 줄일 수 있어 실용적이며, 고장 발생률이 낮고 안정성이 높은 오일 회수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소와 같은 곳에서는 예를 들어 솔벤트와 같은 기름(이하, 오일이라 함) 세탁이 종종 수행되는데, 세탁이 완료되면 사용된 오일은 대부분 폐기된다. 하지만, 오일이라는 것은 어느 정도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하게 오일을 폐기하는 것은 상당한 비용 문제를 초래한다.
뿐만 아니라 적절치 못한 방법, 예를 들어 오일과 물이 섞여있는 상태 그대로를 하수구에 폐기할 경우에는 심각한 환경오염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따라서 오일의 재사용 여부에 무관하게 오일과 물을 분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오일과 물을 상호간 쉽게 분리할 수 있음은 물론, 간단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제조하기도 쉽고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저렴하면서도 사용하기에 편리한 유수분리기를 출원한 바 있다.
다만, 유수분리기를 사용하여 오일과 물을 분리함에 있어, 우선적으로 세탁 시에 사용된 대략 55℃ 내지 65℃ 정도의 온도를 갖는 유증기를 냉각시켜 액체 상태로 만들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세탁 시에 사용되는 오일은 솔벤트이므로 이러한 성분의 유증기를 액화시키면 솔벤트 오일과 물이 함께 만들어진다.
이처럼 유증기를 액화시켜 액체 상태의 혼합물로 만들기 위한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개시된 기술의 대부분은, 상당히 복잡한 구조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유증기로부터의 액체 혼합물을 회수하는 회수율이 상대적으로 낮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 소비량이 상대적으로 높아 실용적이지 못하고 안정성에 있어서도 다소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보다 효과적으로 유증기를 액화시킬 수 있고, 유증기로부터의 액체 혼합물을 회수하는 회수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 소비량을 현격하게 줄일 수 있어 실용적이며, 고장 발생률이 낮고 안정성이 높은 오일 회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뜨거운 유증기에 대해 배기관을 통해 1차로 냉각하고, 이어 냉각핀부를 통해 최종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어 소요되는 전기 사용량을 현격하게 줄일 수 있는 오일 회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일 영역에서 배기관을 형성하는 장치본체; 상기 배기관의 일측에 마련되고 소정의 건조기로부터의 유증기가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배기관의 타측에 마련되되, 오일과 물로 액화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부; 상기 유입부와 배출부를 잇는 경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유증기를 냉각 방식으로 액화시키는 냉각핀부; 및 상기 장치본체의 타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냉각핀부가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되, 냉각핀부에 의해 냉각되어 액화되는 액체 혼합물을 회수하는 회수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회수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기관 내에 마련된 유증기 흡입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유증기 흡입관의 양단은 각각 유입부와 상기 회수통에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유증기 흡입관 영역에는 유동하는 상기 유증기 속의 불순물을 필터링하는 필터 박스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회수통 내에는 상기 유증기가 상기 냉각핀부를 통과하도록 상기 유증기의 진행 방향을 가변시키는 복수의 칸막이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칸막이에는 유증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시키는 덧살부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덧살부는 상기 유증기가 진행하는 진행 방향에 대해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수통의 일측에는 액체 혼합물 배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액체 혼합물 배출부에는 오일과 물을 분리하는 소정이 유수분리기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기관의 앞단에 설치되는 블로어 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회수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오일 회수기의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오일 회수기의 정면도로서, 유수분리기가 결합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회수기는 도시 않은 건조기와 함께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오일 회수기에는 별도의 온오프(On/Off) 스위치가 갖춰질 필요는 없으며, 건조기에 마련된 온오프(On/Off) 스위치의 동작에 의해 오일 회수기가 동작 혹은 정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실시예의 오일 회수기에 온오프(On/Off) 스위치를 마련하여 오일 회수기가 건조기와는 달리 독립적으로 동작되도록 할 수도 있다.
참고로, 계속해서 설명될 오일 회수기는, 건조기로부터 유입된 유증기를 액화시켜 오일을 회수하는데 사용된다. 다만,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유증기를 액화시키는 경우, 오일 외에도 물이 함께 발생한다. 오일의 성분이 솔벤트라면 유증기가 액화되는 과정에서 솔벤트 오일과 물이 함께 발생하는 것으로 본다.
이러한 오일 회수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10)와, 장치본체(10)의 일측에 마련되고 건조기로부터의 유증기가 유입되는 유입부(18)와, 장치본체(10)의 타측에 마련되되, 오일과 물로 액화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부(20)와, 유입부(18)와 배출부(20)를 잇는 경로 상에 마련되어 유증기를 냉각 방식으로 액화시키는 냉각핀부(22)와, 냉각핀부(22)가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되, 냉각핀부(22)에 의해 냉각되어 액화되는 액체 혼합물을 회수하는 회수통(30)을 구비한다.
장치본체(10)는 본 실시예의 오일 회수기에 대한 외관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대부분이 스테인리스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장치본체(10)는 그 대부분이 유증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갖는 덕트 구조를 이루며, 대략적으로 계단 형상을 갖는다. 하 지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바, 장치본체(10)의 외관은 도시된 것과 달리 제작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장치본체(10)는 그 하부에 마련된 지지다리부(31)에 의해 지면에 지지되어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지지다리부(31)는 그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장치본체(10)를 살펴보면, 크게 배기관(14) 영영과 회수통(30) 영역으로 대별된다. 배기관(14)은 유증기가 액체 혼합물로 형성되는 과정에서, 즉 오일과 물로 액화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배기관(14)의 일측에 유입부(18)가 형성되고 타측에 배출부(20)가 형성된다.
회수통(30)은 유증기로부터 형성된 액체 혼합물이 회수되는 부분으로서, 배기관(14)의 일측에 마련되어 있고, 배기관(14)과 연통되어 있다.
배기관(14)의 일측에 마련된 유입부(18)는 전술한 건조기와 연결된다. 따라서 건조기의 온오프(On/Off) 스위치를 온(On)시키면, 건조기에서부터 유증기가 제공되어 유입부(18)를 통해 장치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유입부(18)는 배기관(14)의 내부에 마련된 유증기 흡입관(12)과 연결되어 있다. 즉, 유증기 흡입관(12)은 그 일단이 유입부(18)와 연통되고 타단은 회수통(30)에 연통된다. 이러한 유증기 흡입관(12) 영역에는 유동하는 유증기 속의 이물을 필터링하는 필터 박스(16)가 더 구비되어 있다.
이 때의 필터 박스(16)는 장치본체(10)의 단부에서 서랍식으로 개폐된다. 개폐가 편리하도록 필터 박스(16)의 전면에는 손잡이부(16a)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 서 사용자는 손잡이부(16a)를 잡아당김으로써 장치본체(10)로부터 필터 박스(16)를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자세히 후술하겠지만, 냉각핀부(22)의 작용에 의해 유증기는 점차 그 온도가 낮아지면서 액화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배기관(14) 영역은 그 온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배기관(14) 측으로 건조기에서부터의 뜨거운 유증기가 유입되면, 유증기는 우선 배기관(14)의 폐냉각열에 의해 1차적으로 냉각될 수 있게 되며, 그 후에 냉각핀부(22)에 의해 최종적으로 냉각되어 액체 혼합물로 형성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오일 회수기는 전기 절전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배출부(20)는 유증기가 액체 혼합물로 형성되는 과정에서, 즉 오일과 물로 액화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이다. 이러한 배출부(20)는 장치본체(10)에서 유입부(18)와는 다른 경로를 형성한다.
다만, 유입부(18)가 유증기 흡입관(12)과 연결되는 반면, 배출부(20)는 덕트 구조를 이루는 배기관(14)의 일측을 뚫어놓은 단순 구조를 취한다. 결국, 유증기는 배기관(14) 내의 유증기 흡입관(12)을 통해 냉각핀부(22) 측으로 향하는 유로를 형성하지만, 유증기가 액체 혼합물로 형성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공기는 배기관(14)의 내부를 통해 유동하면서 배출부(20)로 배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참고로, 배출부(20)를 통해서 배출되는 공기는 실질적으로 오일 등의 성분이 함유되지 않은 일반 공기 수준이다. 이러한 배출부(20)의 단부는 보통, 실외 측으로 배치되어 오일 회수기가 설치되는 장소, 예를 들어 세탁소 등의 내부 작업 환경이 불결해지거나 악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냉각핀부(22)는 유입부(18)와 배출부(20)를 잇는 경로 상에 마련되어 유증기를 냉각 방식으로 액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냉각핀부(22)는 회수통(30) 내에 길게 배치되어 있다. 실질적으로 냉각핀부(22)가 보다 많이, 보다 넓은 면적으로 설치될 경우, 유증기를 액화시키는데 보다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냉각핀부(22)가 설치된 회수통(30) 내에는 유증기가 냉각핀부(22)를 통과하도록 유증기의 진행 방향을 가변시키는 복수의 칸막이(32)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칸막이(32)로 인해, 예를 들어 유입부(18)를 통해 도 1의 A 영역으로 유입된 유증기는, 첫 번째 칸막이(32)에 부딪혀 방향이 바뀐 후 냉각핀부(22)를 통과하여 B 영역으로 향하고, 다시 B 영역으로 유입된 유증기는 두 번째 칸막이(32)에 부딪혀 방향이 바뀐 후 냉각핀부(22)를 통과하여 C 영역으로 향하는 등의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증기는 B, C, D, E 방향으로 지그재그 이동(화살표 방향 참조)함으로써 냉각핀부(22)에 보다 자주 접하게 됨으로써 냉각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이처럼 복수의 칸막이(32)에 의해 유증기에 대한 다단계 냉각방식이 실시될 수 있기에 그만큼 유증기를 냉각시키는데 유리하므로, 보다 많은 양의 액체 혼합물을 얻을 수 있으므로 오일의 회수율이 그만큼 높아지게 된다. 유증기가 냉각핀부(22)에 접촉되어 형성되는 액체 혼합물은 회수통(30) 내에 모아진다.
참조로, 실험을 실시해보면, A 영역으로 유입된 유증기의 온도가 대략 40℃라 가정할 경우, B, C, D, E 방향으로 지그재그 이동함에 따라 그 온도가 30℃, 20 ℃, 10℃, 3~5℃ 등으로 차츰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배출부(20)를 통해 배출되는 증기의 온도는 대략 0~2℃ 정도이다.
이처럼 냉각핀부(22)는 유증기를 2차적으로(최종적으로) 자연 냉각시켜주는 수단이며, 실제로 회수통(30) 내에서 유증기는 15℃~20℃ 이상 자연 냉각되는 바, 냉각 후의 컴프레서 가동시간을 줄여 전기 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회수통(30)의 온도가 쉽게 떨어질 수 있으므로, 유증기로부터의 오일 회수율을 최대한 높일 수 있다.
회수통(30)의 일측에는 액체 혼합물 배출부(34)가 형성되어 있고, 액체 혼합물 배출부(34)에는 유수분리기(1)가 연결되어 있다. 유수분리기(1)는 오일과 물의 상대적인 비중 차이에 의해 자연적으로 오일과 물을 분리할 수 있는 장치로서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되, 필요시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것을 인용하기로 한다.
냉각핀부(22)의 일측에는 블로어 팬(36)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블로어 팬(36)은 E 영역을 통해 나오는 차가운 냉각열인 소위, 폐냉각열을 이용하여 블로어 팬(36)이나 혹은 모터(38)의 과열로 인한 소손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유증기의 흐름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므로, 오일 회수기와 건조기 등을 연결하는 홈이나 구멍 등으로부터 유증기가 새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추가적인 이점이 있게 된다.
블로어 팬(36)과 관련하여 부가 설명하면, 만약에 블로어 팬(36)이 A 영역의 앞단에 위치할 경우, 냉각핀부(22) 자체의 과냉각으로 인해 냉각핀부(22) 사이의 공간이 결로 현상으로 인해 막히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내부(A, B, C, D, E로 밀폐된 공간) 압력이 상승하여 장치본체(10)나 장치본체(10)의 내부에 갖춰진 도시 않은 개스킷(gasket) 등이 파손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블로어 팬(36)을 배기관(14) 앞에 설치하면 이러한 문제점을 모두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오일 회수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건조기의 온오프(On/Off) 스위치를 온(On)시킨다. 그러면, 건조기에서부터 대략 55℃ 내지 65℃ 정도의 온도를 갖는 뜨거운 유증기가 제공되어 유입부(18)를 통해 장치본체(10)의 배기관(14) 내로 유입된다.
뜨거운 유증기가 유증기 흡입관(12)을 통해서 배기관(14)을 지나는 과정에서, 유증기는 배기관(14) 내의 차가운 공기(전술한 폐냉각열)에 의해 1차적으로 냉각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55℃ 내지 65℃ 정도의 유증기는 배기관(14)의 폐냉각열에 의해 40℃의 온도로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A 영역에 도달된 유증기의 온도는 대략 40℃ 정도가 된다.
1차적으로 냉각된 유증기는 유증기 흡입관(12)을 통해 유동한 후, A 영역에 도달한다. A 영역에 도달되는 과정에서 필터 박스(16)를 지나면서 이물이 필터링된다.
한편, A 영역에 도달된 유증기는 칸막이(32)들에 부딪혀 그 방향이 바뀌면서 냉각핀부(22)를 통과하여 B 영역으로 향하고, 다시 B 영역에서는 그 다음의 칸막이(32)에 부딪혀 그 방향이 바뀌면서 냉각핀부(22)를 통과하여 C 영역으로 향하는 일련의 동작에 따라 A 영역으로 유입된 유증기는 B, C, D, E 방향으로 지그재그 이동(화살표 방향 참조)함으로써 냉각핀부(22)에 보다 자주 접하게 됨으로써 2차적으로, 즉 최종적으로 냉각된다.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A 영역으로 유입된 유증기의 온도가 대략 40℃라 가정할 경우, B, C, D, E 방향으로 지그재그 이동함에 따라 그 온도가 30℃, 20℃, 10℃, 3~5℃ 등으로 차츰 낮아지며, 최종적으로 배출부(2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는 대략 0~2℃ 정도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이, 배기관(14) 영역에서 1차적으로 냉각되고, 이어 냉각핀부(22)에 의해 최종적으로 냉각된 유증기는 오일과 물의 액체 혼합물로 상변화되어 회수통(30)에 회수된다. 오일과 물로 형성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공기는 배기관(14)을 경유하여 배출부(20)를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회수통(30) 내에 회수된 오일과 물의 액체 혼합물은 액체 혼합물 배출부(34)를 통해 유수분리기(1)로 향하며, 유수분리기(1)를 통해 오일과 물로서 쉽게 분리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보다 효과적으로 유증기를 액화시킬 수 있고, 유증기로부터의 액체 혼합물을 회수하는 회수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 소비량을 현격하게 줄일 수 있어 실용적이며, 고장 발생률이 낮고 안정성이 높은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뜨거운 유증기에 대해 배기관(14)을 통해 1차로 냉각하고, 이어 냉각핀부(22)를 통해 최종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어 소요되는 전기 사용량을 현격하게 줄 일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일 회수기의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칸막이(32)는 유증기가 진행하는 방향에 대해 수직되게 형성되어 있다. 물론, 전술한 실시예와 같더라도 유증기의 방향을 가변시키는데 효과적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 4와 같이, 복수의 칸막이(32)에 유증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시키는 덧살부(32a)를 더 형성할 경우, 유증기의 흐름이 보다 원활해질 수 있을 것임에 틀림이 없다.
다만, 덧살부(32a)를 형성함에 있어 도시된 바와 같이, 유증기가 진행하는 진행 방향에 대해 유선형으로 굴곡지게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보다 효과적으로 유증기를 액화시킬 수 있고, 유증기로부터의 액체 혼합물을 회수하는 회수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 소비량을 현격하게 줄일 수 있어 실용적이며, 고장 발생률이 낮고 안정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뜨거운 유증기에 대해 배기관을 통해 1차로 냉각하고, 이어 냉각핀부를 통해 최종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어 소요되는 전기 사용량을 현격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삭제
  2. 상대적으로 고온의 유증기를 냉각하여 오일과 공기로 분리함으로써 오일을 회수하고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오일회수기로서,
    상기 오일회수기의 몸체를 형성하는 장치본체(10)의 일 영역에 형성된 배기관(14)으로서, 상기 배기관(14)의 일 측부에 마련되어 오일과 물로 액화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부(20)를 포함하는 배기관(14)과;
    상기 배기관(14) 내에 마련된 상기 상대적으로 고온의 유증기를 유동시키는 통로인 유증기 흡입관(12)으로서, 상기 유증기 흡입관의 일단은 상기 배기관(14)의 다른 측부에 마련되고 소정의 건조기로부터의 유증기가 유입되는 유입부(18)에 연통되어 유증기의 입구를 형성하며, 상기 유증기 흡입관(12)의 타단은 상기 배기관(14)의 또 다른 측부에 마련되고 유증기 흡입관으로부터 유증기가 배출되는 유증기의 출구를 형성하는, 유증기 흡입관(12); 및
    상기 장치본체(10)의 타 영역에 마련되어 냉각핀부(22)가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회수통(30)으로서, 상기 냉각핀부(22)는 상기 유증기 흡입관(12)의 출구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배기관(14)의 더 다른 측부에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유증기 흡입관(12)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증기를 냉각하여 액화시킴으로써 오일을 포함하는 액체 혼합물과 공기를 분리하는, 회수통(30)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유증기 흡입관(12)은 상기 배기관(14)을 통하여 배출되는 상대적으로 저온의 공기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유증기 흡입관(12) 내를 흐르는 상대적으로 고온의 유증기가 일차적으로 냉각될 수 있도록 장착되며, 또한
    상기 배기관(14)과 상기 회수통(30) 사이에 블로어 팬(36)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회수통(30) 내의 상기 냉각핀부(22)에 의하여 냉각된 공기가 강제로 상기 배기관(14)으로 유입되도록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회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증기 흡입관 영역에는 유동하는 상기 유증기 속의 불순물을 필터링하는 필터 박스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회수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통 내에는 상기 유증기가 상기 냉각핀부를 통과하도록 상기 유증기의 진행 방향을 가변시키는 복수의 칸막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회수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칸막이에는 유증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시키는 덧살부가 더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회수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덧살부는 상기 유증기가 진행하는 진행 방향에 대해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회수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통의 일측에는 액체 혼합물 배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액체 혼합물 배출부에는 오일과 물을 분리하는 소정이 유수분리기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회수기.
KR1020060114359A 2006-09-25 2006-11-20 오일 회수기 KR1007439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2941 2006-09-25
KR20060092941 2006-09-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3977B1 true KR100743977B1 (ko) 2007-07-30

Family

ID=38499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4359A KR100743977B1 (ko) 2006-09-25 2006-11-20 오일 회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397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188B1 (ko) * 2009-02-25 2012-01-03 부국산업주식회사 연료유 인화점 조절 장치
KR101221132B1 (ko) 2012-08-24 2013-01-10 신상신 주유소용 스테이지1,2와 연계 가능한 유증기 회수장치
KR101239181B1 (ko) 2012-08-17 2013-03-05 신상신 흡입펌프를 장착한 옥외용 휘발성 유기화합물 회수장치
KR101643712B1 (ko) * 2015-12-17 2016-07-28 김보경 유증기 회수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1119Y1 (ko) 2004-10-08 2004-12-23 최상철 열분해반응기의 가스포집장치
KR20060009635A (ko) * 2004-07-26 2006-02-01 조위수 폐합성수지의 오일환원장치
KR200416095Y1 (ko) 2006-02-24 2006-05-12 조상호 세탁물 건조기용 솔벤트 회수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9635A (ko) * 2004-07-26 2006-02-01 조위수 폐합성수지의 오일환원장치
KR200371119Y1 (ko) 2004-10-08 2004-12-23 최상철 열분해반응기의 가스포집장치
KR200416095Y1 (ko) 2006-02-24 2006-05-12 조상호 세탁물 건조기용 솔벤트 회수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188B1 (ko) * 2009-02-25 2012-01-03 부국산업주식회사 연료유 인화점 조절 장치
KR101239181B1 (ko) 2012-08-17 2013-03-05 신상신 흡입펌프를 장착한 옥외용 휘발성 유기화합물 회수장치
KR101221132B1 (ko) 2012-08-24 2013-01-10 신상신 주유소용 스테이지1,2와 연계 가능한 유증기 회수장치
WO2014030923A1 (ko) * 2012-08-24 2014-02-27 주식회사 엔콘글로벌 휘발성 유기화합물 회수장치
KR101643712B1 (ko) * 2015-12-17 2016-07-28 김보경 유증기 회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5895B2 (en) Clothes dryer
EP0816549B1 (en) Domestic washing machine having a closed drying circuit, air condensation of vapour and self cleaning filter
KR101806241B1 (ko) 열교환기 세척수단을 갖는 의류처리장치
WO2014038112A1 (ja) 衣類乾燥機
KR100743977B1 (ko) 오일 회수기
TW200809041A (en) Clothes drying apparatus
KR20100031929A (ko) 덕트리스 건조기
KR20060055322A (ko) 드라이 클리너용 증류 장치
US9873974B2 (en) Machine adapted to carry out at least one laundry drying cycle
CN205999676U (zh) 热泵干衣机或热泵洗干一体机
KR101738628B1 (ko) 휘발성 세척 용제 회수 세탁 모듈
CA3094687A1 (en) Multi-cooling type cold trap
CN211142566U (zh) 一种滚筒洗衣机的干洗溶剂蒸馏净化系统
CN111006191B (zh) 空气能蒸汽多用机
KR20120005266A (ko) 건조기
KR200425501Y1 (ko) 다용도 분배장치를 겸비한 용제회수 건조장치
CN208312595U (zh) 制冷烟机
KR101208553B1 (ko) 세탁장치
KR101191206B1 (ko) 건조기
CN112376244B (zh) 衣物处理设备
CN211142540U (zh) 一种用于洗衣机烘干系统的内循环结构
KR200411731Y1 (ko) 세탁물 건조기 탑재형 솔벤트 회수장치
CN209816512U (zh) 一种配合干洗机的高速石油烘干机
CN104278501B (zh) 干衣循环风道及干洗机
CN104894818A (zh) 干洗机及其使用的干洗溶剂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