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1317B1 - 조경석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조경석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1317B1
KR100741317B1 KR1020050122814A KR20050122814A KR100741317B1 KR 100741317 B1 KR100741317 B1 KR 100741317B1 KR 1020050122814 A KR1020050122814 A KR 1020050122814A KR 20050122814 A KR20050122814 A KR 20050122814A KR 100741317 B1 KR100741317 B1 KR 100741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ck
processing cylinder
processing
roll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2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3053A (ko
Inventor
나성민
Original Assignee
나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성민 filed Critical 나성민
Priority to KR1020050122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1317B1/ko
Publication of KR20070063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3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1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1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1/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polishing or abrad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umbling apparatus or other apparatus in which the work and/or the abrasive material is loose; Accessories therefor
    • B24B31/12Accessories; Protective equipment or safety devices; Installations for exhaustion of dust or for sound absorption specially adapted for machines covered by group B24B3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24B9/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 B24B9/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경석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조경석 가공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가공통의 하중이 회동장치에 집중되는 문제점과, 가공통으로 암석 공급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암석이 투입 가공되며 침수된 다각형의 가공통과, 상기 가공통으로 암석을 투입하는 암석투입장치와, 상기 가공통에서 가공된 암석을 배출시키는 배출장치와, 상기 가공통의 회동을 지지하는 회동지지수단 및 상기 가공통을 회동시키는 회동장치로 이루어진 조경석 가공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회동지지수단을 롤러와 레이스로 이루어진 롤러베어링으로 지지되게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공통의 하중을 롤러베어링 지지수단에 의하여 분산 지지함으로써 가공통의 하중으로 인한 회동장치의 수명단축과 가공통의 파손이 방지되며, 가공통으로 암석을 공급함에 있어서 배출진동판과 공급콘베어로 구성되는 암석투입장치로 구성함으로써, 가공통으로의 암석공급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조경석

Description

조경석 가공장치{A garden-stone processing apparatus}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주요 구성 측 면도.
도 2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주요 구성 사시도.
도 3 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베어링 지지수단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정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베어링 지지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정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베어링 지지수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베어링 지지수단의 또 다른 실시 예로
축브래킷을 축지링크로 실시한 것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베어링 지지수단의 또 다른 실시 예로
축브래킷을 축지링크로 실시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베어링 지지수단의 또 다른 실시 예로
축브래킷을 축브래킷링으로 실시한 것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베어링 지지수단의 또 다른 실시 예로
축브래킷을 축브래킷링으로 실시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베어링 지지수단의 또 다른 실시 예로
축브래킷을 축브래킷링으로 실시한 것을 보인 정 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암석투입장치의 상세 측면도.
도 12 은 본 발명에 따른 로프벨트의 일 실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로프벨트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가공통
110 : 축소확대관 120 : 나선가이드
200 : 암석투입장치
210 : 암석투입실 220 : 배출진동판 230 : 공급콘베어
300 : 배출장치
310 : 배출제한턱 320 : 승강 낙하배출부 330 : 배출버킷
340 : 배출유도판
400 : 회동장치
410 : 로프벨트
411 : 물림 블록 411a: 링결속홈
412 : 벨트 412a: 결속링
413 : 결속볼트
420 : 종동휠부 421 : 물림홈
430 : 구동모터
440 : 구동휠 441 : 물림홈
510 : 지지레이스
511 : 지지레이스면 512 : 리턴 가이드부
513 : 가이드판 514 : 가이드롤러
520 : 롤러 521 : 롤러축
531 : 축지링크 532 : 축브래킷링
540 : 지지플랜지부
600 : 침수조
본 발명은 조경석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암석이 투입 가공되며 침수된 다각형의 가공통과, 상기 가공통으로 암석을 투입하는 암석투입장치와, 상기 가공통에서 가공된 암석을 배출시키는 배출장치와, 상기 가공통의 회동을 지지하는 회동지지수단 및 상기 가공통을 회동시키는 회동장치로 이루어진 조경석 가공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회동지지수단을 롤러와 레이스로 이루어진 롤러 베어링 지지수단으로 지지되게 구성하여서 가공통의 하중이 분산 지지 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암석투입장치를 하부가 개구된 암석투입실과 상기 암석투입실 하부에 설치되는 배출진동판과, 상기 배출진동판에 의하여 배출되는 암석을 가공통으로 이송시키는 공급콘베어로 구성하여서, 암석이 일정한 수량으로 공급되어 과도한 공급으로 인한 가공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회동장치를 복수의 로프로 이루어진 로프벨트와, 상기 로프벨트에 등 간격으로 결속 구비되는 물림 블록으로 구성하여서, 가공통의 회동을 원활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공통의 진입구측을 축소확대관으로 형성하고, 가공통의 내벽에 투입된 암석을 가이드할 수 있게 나선형으로 돌출된 나선가이드를 형성하며, 배출장치를 가공통의 배출구 단부측에 가공되는 암석의 배출을 제한하는 배출제한턱을 형성하고 가공통의 배출구에 구비되며 내벽에 다수의 배출버킷을 형성한 승강 낙하배출부와, 상기 승강 낙하배출에 의하여 배출되는 가공석을 가이드하여 배출을 유도하는 배출유도판으로 구성하여서 가공성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경석 가공장치는 석산에서 채석된 암석의 거친 표면을 부드럽게 보이도록 연마하여 풍화작용에 의하여 형성된 자연석과 같이 보이도록 하여 조경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채석된 암석을 자연석과 같이 가공하는 조경석 가공장치는 암석이 투입 가공되는 다각형의 가공통과, 상기 가공통으로 암석을 투입하는 암석투입장치와, 상기 가공통에서 가공된 암석을 배출시키는 배출장치와, 상기 가공통의 회동을 지지하는 회동지지수단 및 상기 가공통을 회동시키는 회동장치로 이루어진 조경석 가공장치를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조경석 가공장치는 회동지지수단이 회동장치에 의하여 결속시키는 전동벨트 등과 같은 전동수단에 의하여 지지되게 구성되어 있어서 가공과정에 있어 회동장치에 과도하게 하중이 작용되어 회동장치의 파손을 초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가공통으로 암석을 투입함에 있어 암석의 공급이 일정한 수량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가공통으로 과도하게 암석이 투입되어 역류 되거나 가공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고 배출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조경석 가공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가공통의 하중이 회동장치에 집중되는 문제점과, 가공통으로 암석 공급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암석이 투입 가공되며 침수된 다각형의 가공통과, 상기 가공통으로 암석을 투입하는 암석투입장치와, 상기 가공통에서 가공된 암석을 배출시키는 배출장치와, 상기 가공통의 회동을 지지하는 회동지지수단 및 상기 가공통을 회동시키는 회동장치로 이루어진 조경석 가공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회동지지수단을 롤러와 레이스로 이루어진 롤러베어링으로 지지되게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는 암석투입장치를 하부가 개구된 암석투입실과 상기 암석투입실 하부에 설치되는 배출진동판과, 상기 배출진동판에 의하여 배출되는 암석을 가공통으로 이송시키는 공급콘베어로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는 회동장치를 복수의 로프로 이루어진 로프벨트와, 상기 로프벨트에 등 간격으로 결속 구비되는 물림 블록으로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는 가공통의 진입구측을 축소확대관으로 형성하고, 가공통의 내벽에 투입된 암석을 가이드할 수 있게 나선형으로 돌출된 나선가이드를 형성하며, 배출장치를 가공통의 배출구 단부측에 가공되는 암석의 배출을 제한하는 배출제한턱을 형성하고 가공통의 배출구에 구비되며 내벽에 다수의 배출버킷을 형성한 승강 낙하배출부와, 상기 승강 낙하배출에 의하여 배출되는 가공석을 가이드하여 배출을 유도하는 배출유도판으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공통의 하중을 롤러베어링 지지수단에 의하여 분산 지지함으로써 가공통의 하중으로 인한 회동장치의 수명단축과 가공통의 파손이 방지 되는 것이다.
또한, 가공통으로 암석을 공급함에 있어서 배출진동판과 공급콘베어로 구성되는 암석투입장치로 구성함으로써, 가공통으로의 암석공급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암석을 조경석으로 가공함에 있어 가공통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여서 회동장치와 가공통의 수명단축을 방지하며, 가공통으로의 암석 공급이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즉, 본 발명은 도 1 과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석이 투입 가공되며 침수된 다각형으로 이루어져 일정 용적의 침수조에 침수 설치되는 가공통(100)과, 상기 가공통(100)으로 암석을 투입하는 암석투입장치(200)와, 상기 가공통(100)에서 가공된 암석을 배출시키는 배출장치(300) 및 상기 가공통(100)을 회동시키는 회동장치(400)로 이루어진 조경석 가공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롤러와 레이스로 이루어져 가공통(100)을 지지하는 롤러베어링 지지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롤러베어링 지지수단은 도 2 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통(100)이 설치되는 침수조(600)에 설치되며 호형으로 이루어져 상면에 지지레이스면(511)을 형성한 지지레이스(510)와, 상기 지지레이스(510)의 상면 지지레이스면 (511)에 안착되어 구름 이동되며 가공통(100)을 지지하는 롤러(520)와, 상기 가공통(100)의 외면에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롤러(520)와 구름 접촉되게 형성한 지지플랜지부(540)로 구성한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레이스(510)의 지지레이스면(511)의 도 4 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는 상기 지지레이스면(511)에서 구름 접촉되는 롤러(520)가 가공통(100)의 회동에 따라 연속하여 구름 이동되게 관체로 이루어진 리턴 가이드부(512)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레이스(510)의 양측 상부에 구름 이동되는 롤러(520)를 리턴 가이드부(512)로 안내하는 호형의 가이드판(513) 또는 양단이 축지된 가이드롤러(514)를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레이스(510)의 실시에 있어서 도 6 과 도 7 및 도 8, 9 ,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롤러(520)가 가공통(100)의 지지플랜지부(540)를 따라 연속하여 회동될 수 있게 롤러(520)의 중앙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롤러축(521)을 구비하고, 상기 롤러(520)의 양측에서 결합되며 링형상으로 이루어져 롤러축(521)의 양단을 각기 구속하는 축브래킷을 구비하되, 상기 축브랫킷은 양측으로 도 6 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축(521)이 축지되는 축지공을 형성하여서 상기 축지공이 겹쳐지게 결속되어 링형의 축브래킷을 형성하는 축지링크(531)로 구성하여 실시하거나, 도 8과 도 9 및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되는 호형판으로 형성되며 등 간격으로 롤러축(521)이 축지되는 축지공을 형성하는 축브래킷링(532)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축브래킷링(532)은 다수 개로 분할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는 암석투입장치(200)를 도 1 과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개구되며 암석의 이송 반대 반향의 내벽이 경사를 이루게 형성한 암석투입실(210)과 상기 암석투입실(210) 하부에 설치되는 배출진동판(220)과, 상기 배출진동판(220)에 의하여 배출되는 암석을 가공통(100)으로 이송시키는 공급콘베어(230)로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는 회동장치(400)를 도 1 과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로프로 이루어진 로프벨트(410)와, 상기 로프벨트(410)에 등 간격으로 결속 구비되는 물림 블록(411)으로 구성하고, 가공통(100)에 상기 로프벨트가 감겨지는 종동휠부(420)를 형성하고, 상기 종동휠부(420)에는 상기 로프벨트(410)의 물림 블록(411)이 맞물리는 물림홈(421)을 형성하고, 상기 로프벨트(410)가 감겨지는 구동모터(430)의 구동휠(440)에도 로프벨트(410)의 물림 블록(411)이 맞물리는 물림홈(441)을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물림블록(411)은 도 12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412)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으로 분할되며 결속볼트(413)등과 같은 체결구에 의하여 결속되게 형성하며, 상기 물림블록(411)의 분할면에는 벨트(412)에 물림결속된 결속링(412a)이 수용 구속되는 링결속홈(411a)를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는 도 1 과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통 (100)의 입구 측을 축소확대관(110)으로 형성하고, 가공통(100)의 내벽에 투입된 암석을 가이드할 수 있게 나선형으로 돌출된 나선가이드(120)를 형성하며, 상기 배출장치(300)를 가공통(100)의 배출구 단부측에 가공되는 암석의 배출을 제한하는 배출제한턱(310)을 형성하고 가공통(100)의 배출구에 구비되고 가공통(100)보다 외경이 큰 관체로 이루어지며 내벽 다수의 배출버킷(330)을 형성한 승강 낙하배출부(320)와, 상기 승강 낙하배출부(320)에 의하여 배출되는 가공된 암석을 가이드 하여 배출을 유도하는 배출유도판(340)으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즉, 본 발명은 암석이 투입 가공되며 침수된 다각형으로 이루어져 일정 용적의 침수조에 침수 설치되는 가공통(100)과, 상기 가공통(100)으로 암석을 투입하는 암석투입장치(200)와, 상기 가공통(100)에서 가공된 암석을 배출시키는 배출장치(300) 및 상기 가공통(100)을 회동시키는 회동장치(400)로 이루어진 조경석 가공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롤러와 레이스로 이루어져 가공통(100)을 지지하는 롤러베어링 지지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롤러베어링 지지수단은 가공통(100)이 설치되는 침수조(600)에 설치되며 호형으로 이루어져 상면에 지지레이스면(511)을 형성한 지지레이스(510)와, 상기 지지레이스(510)의 상면 지지레이스면(511)에 안착되어 구름 이동되며 가공통(100)을 지지하는 롤러(520)와, 상기 가공통(100)의 외면에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롤러(520)와 구름 접촉되게 형성한 지지플랜지부(540)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가공통(100)에 암석이 채워진 상태에서 회전을 하게 되면 다수의 롤러(520)가 가공통(100)에 형성한 지지플랜지부(540)와 구름접촉되면서 하중을 분산지지함으로써 가공통(100)의 회동과정에 있어 그 회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서, 롤러(520)에 의한 가공통(100)의 지지과정에 있어 가공과정에 발생한 돌 가루가 침수조(600)의 물과 석여서 롤러(520) 사이에서 윤활제 역활을 하여 그 회전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와 같이 지지레이스(510)의 지지레이스면(511)의 하부에 관체로 이루어진 리턴 가이드부(512)를 형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가공통(100)의 지지플랜지부(540)와 구름접촉되는 롤러(520)가 계속하여 가공통(100)의 회동과 함께 리턴 가이드부(512)를 따라 순환 회전되어 구름마찰이 최소화되게 됨과 더불어 지지레이스면(511)의 양단에 형성한 가이드판(513) 또는 가이드롤러(514)에 의하여 구름이동되는 롤러(520)가 리턴 가이드부(512)로 원활하게 가이드 이송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와 같이 암석투입장치(200)를 하측 개구부에 배출진동판(220)이 구비된 암석투입실(210)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암석투입실(210)에 투입된 암석이 상기 배출진동판(220)에 의하여 진동 이동되어서 그 배출이 균일하게 이루어져 가공통(100)으로의 암석 공급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와 같이 회동장치(400)를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물림 블록(411)에 의하여 결속되는 여러 개의 로프로 이루어진 로프벨트(410)로 구 성함으로써 암석의 가공과정에 발생한 돌가루 등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되며 가공통(100)의 회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와 같이 가공통(100)의 입구를 축소확대관(110)으로 구성함으로써 암석의 가공과정에 있어 역류가 방지되고, 상기 가공통(100)의 내벽에 나선가이드(120)를 구비함으로써 투입된 암석이 용이하게 이송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와 같이 가공통(100)의 배출구 측에 배출버킷(330)을 구비한 승강 낙하배출부(320)로 구성되는 배출장치(300)를 구비함으로써 암석의 승강 낙하에 의하여 경사면을 이루는 배출유도판(340)을 통하여 원활하게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공통의 하중을 롤러베어링 지지수단에 의하여 분산 지지함으로써 가공통의 하중으로 인한 회동장치의 수명단축과 가공통의 파손이 방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가공통으로 암석을 공급함에 있어서 배출진동판과 공급콘베어로 구성되는 암석투입장치로 구성함으로써, 가공통으로의 암석공급이 균일하게 이루어지 는 것이다.
또한, 암석투입장치를 배출진동판으로 구비한 암석투입실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암석투입실로 투입된 암석이 배출진동판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고르게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회동장치가 물림 블록으로 구성되는 로프벨트로 구성함으로써 가공과정에 발생하는 돌 가루 등에 대한 회동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가공통의 진입구측을 축소확대관으로 형성하므로서 투입된 암석이 역류되지 않고 용이하게 이송되어서 가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Claims (7)

  1. 발명은 암석이 투입 가공되며 침수된 다각형으로 이루어져 일정 용적의 침수조에 침수 설치되는 가공통(100)과, 상기 가공통(100)으로 암석을 투입하는 암석투입장치(200)와, 상기 가공통(100)에서 가공된 암석을 배출시키는 배출장치(300) 및 상기 가공통(100)을 회동시키는 회동장치(400)로 이루어진 조경석 가공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롤러와 레이스로 이루어져 가공통(100)을 지지하는 롤러베어링 지지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롤러베어링 지지수단은 가공통(100)이 설치되는 침수조(600)에 설치되며 호형으로 이루어져 상면에 지지레이스면(511)을 형성한 지지레이스(510)와, 상기 지지레이스(510)의 상면 지지레이스면(511)에 안착되어 구름 이동되며 가공통(100)을 지지하는 롤러(520)와, 상기 가공통(100)의 외면에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롤러(520)와 구름 접촉되게 형성한 지지플랜지부(540)로 구성하고,
    상기 지지레이스(510)는 롤러(520)가 가공통(100)의 지지플랜지부(540)를 따라 연속하여 회동될 수 있게 롤러(520)의 중앙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롤러축(521)을 구비하고, 상기 롤러(520)의 양측에서 결합되며 링형상으로 이루어져 롤러축(521)의 양단을 각기 구속하는 축브래킷을 구비하되, 상기 축브랫킷은 양측으로 롤러축(521)이 축지되는 축지공을 형성하여서 상기 축지공이 겹쳐지게 결속되어 링형의 축브래킷을 형성하는 축지링크(531)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석 가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석투입장치(200)를 하부가 개구되며 암석의 이송 반대 반향의 내벽이 경사를 이루게 형성한 암석투입실(210)과 상기 암석투입실(210) 하부에 설치되는 배출진동판(220)과, 상기 배출진동판(220)에 의하여 배출되는 암석을 가공통(100)으로 이송시키는 공급콘베어(230)로 구성하고,
    상기 회동장치(400)를 복수의 로프로 이루어진 로프벨트(410)와, 상기 로프벨트(410)에 등 간격으로 결속 구비되는 물림 블록(411)으로 구성하고, 가공통(100)에 상기 로프벨트가 감겨지는 종동휠부(420)을 형성하고, 상기 종동휠부(420)에는 상기 로프벨트(410)의 물림 블록(411)이 맞물리는 물림홈(421)을 형성하고, 상기 로프벨트(410)가 감겨지는 구동모터(430)의 구동휠(440)에도 로프벨트(410)의 물림 블록(411)이 맞물리는 물림홈(441)을 형성하며,
    상기 물림블록(411)은 벨트(412)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으로 분할되며 결속볼트(413)등과 같은 체결구에 의하여 결속되게 형성하며, 상기 물림블록(411)의 분할면에는 벨트(412)에 물림결속된 결속링(412a)이 수용 구속되는 링결속홈(411a)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석 가공장치.
  3. 제 1 항 내지 제 2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가공통(100)의 입구 측을 축소확대관(110)으로 형성하고, 가공통(100)의 내벽에 투입된 암석을 가이드할 수 있게 나선형으로 돌출된 나선가이드(120)를 형성하며, 상기 배출장치(300)를 가공통(100)의 배출구 단부측에 가공되는 암석의 배출을 제한하는 배출제한턱(310)을 형성하고 가공통(100)의 배출구에 구비되고 가공통(100)보다 외경이 큰 관체로 이루어지며 내벽 다수의 배출버킷(330)을 형성한 승강 낙하배출부(320)와, 상기 승강 낙하배출부(320)에 의하여 배출되는 가공된 암석을 가이드 하여 배출을 유도하는 배출유도판(340)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석 가공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50122814A 2005-12-14 2005-12-14 조경석 가공장치 KR100741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2814A KR100741317B1 (ko) 2005-12-14 2005-12-14 조경석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2814A KR100741317B1 (ko) 2005-12-14 2005-12-14 조경석 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3053A KR20070063053A (ko) 2007-06-19
KR100741317B1 true KR100741317B1 (ko) 2007-07-20

Family

ID=38363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2814A KR100741317B1 (ko) 2005-12-14 2005-12-14 조경석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13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1560B1 (ko) 2017-08-22 2018-02-22 오시경 조경석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705Y1 (ko) 2002-08-10 2002-12-12 나성민 조경석 가공장치
KR200355054Y1 (ko) 2004-04-12 2004-07-02 나성민 조경석 가공장치
KR20050019136A (ko) * 2002-06-21 2005-02-28 이나-쉐플러 카게 선형 롤러 베어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9136A (ko) * 2002-06-21 2005-02-28 이나-쉐플러 카게 선형 롤러 베어링
KR200297705Y1 (ko) 2002-08-10 2002-12-12 나성민 조경석 가공장치
KR200355054Y1 (ko) 2004-04-12 2004-07-02 나성민 조경석 가공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1560B1 (ko) 2017-08-22 2018-02-22 오시경 조경석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3053A (ko) 2007-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269146A1 (en) Concrete mixing drum drive system
KR100741317B1 (ko) 조경석 가공장치
US5975283A (en) Vertical belt conveyor system
KR101699285B1 (ko) 이중 브러쉬 농산물 세척기
JP2007138285A (ja) 連続式部品処理装置
KR101277545B1 (ko) 연속식 하역장치
JP5270074B2 (ja) 熱処理装置及び熱処理方法
JP2005087075A (ja) 貝の選別装置
KR101340132B1 (ko) 회전기구를 이용한 볼 베어링의 볼 세퍼레이터 조립장치
KR20020018857A (ko) 가역벨트컨베이어용 벨트면의 에지부 승강 장치
KR100805049B1 (ko) 쉽로더의 회전 이중분산판 적재장치
CN208593854U (zh) 船舱卸料装置
CN100579726C (zh) 造景石的加工装置
KR101233771B1 (ko) 금속봉 방청장치 및 방청방법
JP5553406B2 (ja) 冷却方法および装置
KR20190121020A (ko) 커브형 체인 플라이트 슬러지 수집기
JP2008150905A (ja) 機械式駐車装置の入庫ガイド
KR0138243Y1 (ko) 곡물 승강 장치
CN212388076U (zh) 热处理工艺用的分离设备及热处理装置
KR101316074B1 (ko) 회동 유닛이 구비된 컨베이어 장치
KR200355054Y1 (ko) 조경석 가공장치
KR20150024035A (ko) 코팅관 제조방법
CN216302349U (zh) 污泥提升装置
CN219905663U (zh) 一种污泥输送装置
JP3536897B2 (ja) パチンコ玉用中継リフ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