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1020A - 커브형 체인 플라이트 슬러지 수집기 - Google Patents

커브형 체인 플라이트 슬러지 수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1020A
KR20190121020A KR1020180044484A KR20180044484A KR20190121020A KR 20190121020 A KR20190121020 A KR 20190121020A KR 1020180044484 A KR1020180044484 A KR 1020180044484A KR 20180044484 A KR20180044484 A KR 20180044484A KR 20190121020 A KR20190121020 A KR 20190121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track
flight
sludge collector
settl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7231B1 (ko
Inventor
박기운
홍모세
Original Assignee
박기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운 filed Critical 박기운
Priority to KR1020180044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7231B1/ko
Publication of KR20190121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7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7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4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 B01D21/06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with rotat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2Safety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B01D21/2438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provided with scrapers on the liquid surface for removing floating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커브형 체인 플라이트 슬러지 수집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브형 체인 플라이트 슬러지 수집기는 침전조에 마련되는 구동부; 구동부에 연결되는 본체용체인; 침전조에 구동부와 이격 마련되어 본체용체인이 무한궤도 형상으로 권취되어 침전조를 순환 회전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아이들부; 본체용체인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플라이트;를 포함하되, 아이들부는 본체용체인과 접촉하여 회전 안내 및 회전 방향 전환을 유도하는 커브레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브형 체인 플라이트 슬러지 수집기{Curve type Chain Flight Sludge Collector}
본 발명은 커브형 체인 플라이트 슬러지 수집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인장력 비금속 체인 플라이트가 커브레일을 따라 순환 회전하도록 하는 커브형 체인 플라이트 슬러지 수집기에 관한 것이다.
정수장, 하수처리장, 폐수처리장 등에는 침전조 바닥에 가라앉은 슬러지를 긁어 모아 외부로 배출시키고, 상부의 스컴을 밀어내서 외부로 배출시키는 슬러지 수집기가 설치된다.
통상의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는 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침전조 상부에 마련되는 모터와,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 스프라켓 및 종동 회전하는 복수의 종동 스프라켓과, 스프라켓들을 연결하는 무한궤도 형상의 체인과, 체인에 설치되어 침전조 바닥의 슬러지는 긁어모으고 상부의 스컴은 밀어내는 플라이트와, 플라이트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트랙과, 플라이트에 의해 밀린 스컴을 배출하는 스키머를 포함한다.
슬러지 수집기는 장시간 연속적으로 사용되는 특성상 상술한 부품 중 일부가 마모되면 교체가 필요하며, 이를 지체할 경우 일부 부품 파손으로 슬러지 수집기 전체가 가동 정지될 수 있다. 슬러지 수집기의 가동 정지는 인적 및 물적 손실로 연계될 뿐만 아니라 작업 효율의 현저한 저하로 이어지므로 결국 처리장의 관리 운영을 어렵게 할 수 있다.
일례로, 상술한 종동 스프라켓의 경우 사용 시간이 길어질 수록 체인 장력에 의해 스프라켓에 체인이 걸리는 치자 및 스프라켓의 내부에 마련되는 슬리브 베어링에 하중이 집중되기 때문에 점진적으로 마찰력이 상승하면서 마모가 증가된다. 스프라켓 및 슬리브 베어링의 마모 증가는 스프라켓은 물론 맞물려 있는 체인의 뒤틀림 및 변형으로 연결되며, 이를 방치할 경우 체인이 스프라켓으로부터 이탈되거나 심한 경우 슬러지 수집기의 가동이 정지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7-0008746호(2007.01.18.)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브형 체인 플라이트 슬러지 수집기는 체인의 회전 안내 및 회전 방향 전환을 커브레일로 안내하여 사용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침전조에 마련되는 구동부; 구동부에 연결되는 본체용체인; 침전조에 구동부와 이격 마련되어 본체용체인이 무한궤도 형상으로 권취되어 침전조를 순환 회전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아이들부; 본체용체인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플라이트;를 포함하되, 아이들부는 본체용체인과 접촉하여 회전 안내 및 회전 방향 전환을 유도하는 커브레일을 포함하는 커브형 체인 플라이트 슬러지 수집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이트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트랙;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아이들부는 상기 커브레일과 나란하게 마련되어 상기 트랙의 회전 안내 및 회전 방향 전환을 유도하는 커브트랙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이트는 상기 트랙에 구름 접촉하는 롤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랙은 바텀 트랙과 리턴 트랙을 포함하고, 상기 롤러부는 상기 바텀 트랙에 대향하는 제1프론트롤러와, 상기 리턴 트랙에 대향하는 제2프론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브레일은 라운드 형상을 가지며 본체용체인의 폭에 대응하도록 마련되는 바텀커브레일과, 바텀커브레일의 양측에 돌출 마련되어 본체용체인의 이탈을 방지하는 사이드커브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텀커브레일은 중심에 센터안내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들부는 침전조의 상부에 마련되는 리턴아이들과, 침전조의 하부에 상기 본체용체인의 회전 방향 전환을 위해 이격 마련되는 헤드아이들과 테일아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용체인은 상기 커브레일에 구름 접촉하는 롤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롤러부는 대직경롤러와 소직경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용체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침전조에 마련되는 텐션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브형 체인 플라이트 슬러지 수집기는 본체용체인의 회전 안내 및 회전 방향 전환을 원호 형상의 커브레일을 이용하여 가이드하기 때문에 종래 스프라켓과 체인 간의 마모로 인한 부품 파손을 미연에 방지 및 최소화할 수 있어 설비의 유지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브형 체인 플라이트 슬러지 수집기는 플라이트와 본체용체인 중 적어도 한 곳에 롤러를 마련하여 커브레일과 본체용체인이 구름 접촉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마모 발생량을 줄여 슬러지 수집기의 수명을 효과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브형 체인 플라이트 슬러지 수집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브형 체인 플라이트 슬러지 수집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브형 체인 플라이트 슬러지 수집기의 트랙을 이동하는 플라이트를 일부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브형 체인 플라이트 슬러지 수집기의 트랙을 이동하는 플라이트 및 플라이트에 마련되는 프론트롤러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브형 체인 플라이트 슬러지 수집기의 커브레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브형 체인 플라이트 슬러지 수집기의 커브레일부를 통과하는 플라이트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브형 체인 플라이트 슬러지 수집기의 커브레일부를 통과하는 플라이트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브형 체인 플라이트 슬러지 수집기의 롤러부를 갖는 본체용체인 및 롤러부에 접촉하는 커브레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브형 체인 플라이트 슬러지 수집기의 대소롤러부를 갖는 본체용체인 및 대소롤러부에 접촉하는 커브레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브형 체인 플라이트 슬러지 수집기의 커브레일부 및 커브레일부에 접촉하는 본체용체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브형 체인 플라이트 슬러지 수집기에 마련되는 텐션조절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브형 체인 플라이트 슬러지 수집기(이하, 슬러지 수집기라 함)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슬러지 수집기의 측면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슬러지 수집기는 원수가 유입되는 침전조(1)에 상호 이격 설치되는 구동부(10) 및 아이들부(100)와, 구동부(10)와 아이들부(100)에 무한궤도 형태로 권취되며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되는 본체용체인(20)과, 본체용체인(20)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슬러지 및 스컴을 수집하는 플라이트(30)와, 플라이트(30)가 미끄럼 이동하는 트랙(40)을 포함한다.
이러한 슬러지 수집기는 침전조(1) 내에 일방향(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본체용체인(20)에 마련된 플라이트(30)를 이용하여, 침전조 바닥에 쌓이는 슬러지는 바닥 한편에 마련되는 배출공간(2)으로 밀어 이동시키며, 수면에서 부유하는 스컴은 배출공간(2)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스키머(3)까지 플라이트(30)로 밀어 이동시킴으로써 원수 내 오염물을 외부로 배출한다.
구동부(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모터(11)와, 구동모터(11)의 회전축에 일단이 연결되는 구동체인(12)과, 구동체인(12)의 타단이 연결되는 스프라켓(113,14)을 포함한다. 스프라켓(13,14)은 구동체인(12)이 연결되는 구동스프라켓(13)과, 구동스프라켓(13)과 동축 상에서 나란히 마련되며 본체용체인(20)이 연결되는 체인스프라켓(14)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0)의 체인스프라켓(14)은 침전조(1) 내에서 구동부(10)로부터 이격 마련되는 아이들부(100)와 함께 본체용체인(20)을 루프 형태로 연결하여 플라이트(30)가 침전조(1) 전체를 순환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체인스프라켓(14) 및 아이들부(100)는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되는 본체용체인(20)을 양단에서 수평 지지할 수 있도록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된다. 아이들부(10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여기서, 본 실시 예에서는 구동부(10)가 모터로 구동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자석, 초전도체, 엔진 등 다른 물리적이나 화학적 힘을 이용하여 구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체용체인(20)은 도 3에 일부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타원 형상의 체인링크(21)를 다수개 연결하여 마련된다. 체인링크(21)는 타원형의 내측 양 가장자리에 각각 체인축(23)을 마련하고, 체인축(23)을 중심으로 이웃하는 복수의 체인링크(21)가 2열 씩 내측과 외측, 외측과 내측으로 교호로 순차 배치되어 연결된다.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체인링크(21)와 체인축(23) 사이에는 좌우 밀림방지 및 상대 회전을 위한 부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체인축(23)의 끝단에는 체인링크(2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링크핀이 마련될 수 있다.
플라이트(30)는 바 형태로 마련되어 좌우 한 쌍의 본체용체인(20)에 양측이 지지되며, 본체용체인(20)에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침전조(1) 하부에서는 슬러지를 수집하고 상부에서는 스컴을 수집하여 일방향으로 밀어낸다.
플라이트(30)는 상하면을 이루는 상부 및 하부 써포트(31,32)와, 써포트 사이에서 측벽을 이루는 컬럼(33)을 구비한다. 이러한 플라이트(30)는 길이가 10m까지 이르는 형태의 강도를 높이기 위한 구조이며, 내부에는 다른 보강부재로서 써포터(34)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플라이트(30)는 어테치먼트(35)를 이용하여 본체용체인(20)에 설치된다. 어테치먼트(35)는 'ㄱ'자 형상으로 마련되어 이웃하는 체인링크(21) 사이에 하나의 체인링크 사이즈로 개재되며, 상하 써포트 중 하나(31)와 컬럼(33)의 배면을 지지할 수 있다. 플라이트(30)는 침전조(1)에 마련되는 트랙(40) 위를 미끄럼 이동한다.
트랙(40)은 플라이트(30)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침전조(1)의 상측에 마련되는 리턴 트랙(42)과 침전조(1)의 바닥에 마련되는 바텀 트랙(44)을 포함한다.
리턴 트랙(42)은 본체용체인(20)의 측면 외측에 마련되며, 바텀 트랙(44)은 본체용체인(20)의 하측 구체적으로 본체형체인(20)의 직하 방향에 마련된다. 이는 플라이트(30)를 길이방향 정면에서 봤을 때 리턴 트랙(42)은 바텀 트랙(44)(또는 본체형체인(20))의 외측에 위치하며, 본체형체인(20)과는 플라이트(30)의 동일면에 마련된다. 또한, 리턴 트랙(42)은 침전조(1)의 측벽에 소정 간격으로 마련되는 고정구(미도시)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트랙(40)에 접촉하여 미끄럼 이동하는 플라이트(3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트랙(40)과 구름 접촉하는 롤러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롤러부(50)는 바텀 트랙(44)에 대향하는 플라이트(30)의 하측에 마련되는 제1프론트롤러(50A)와, 리턴 트랙(42)에 대향하는 플라이트(30)의 상측에 마련되는 제2프론트롤러(50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프론트롤러(50A)와 제2프론트롤러(50B)는 플라이트(30)에 설치되는 방향과 요구되는 스펙에 따라 사이즈 및 형태만 다를 뿐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프론트롤러(50A)를 일례로 설명한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2프론트롤러(50A,50B)와 플라이트(30) 사이에는 본체용체인(20)을 따라 이동하는 플라이트(30)의 마찰력을 줄여 파손 및 마모를 저감시키기 위한 'ㄴ'자 형태의 바텀슈와 리턴슈가 개재될 수 있다.
제1프론트롤러(50A)는 플라이트(30)에 고정 마련되는 제1마운트브라켓(51)과, 제1마운트브라켓(51)의 전방에 마련되는 제1샤프트(5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회전롤러(55)와, 제1마운트브라켓(51)의 후방에 마련되는 제2샤프트(56)에 마련되는 제2회전롤러(57)를 포함한다.
또한, 제1회전롤러(55)와 제2회전롤러(57)는 바텀 트랙(44)의 폭을 감싸는 플랜지(55a, 57a)를 적어도 일측에 구비하여 플라이트의 이탈 및 사행을 방지할 수 있다.
제1프론트롤러(50A)와 제2프론트롤러(50B)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특허 등록받은 제10-1778733호(2017.09.08)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제1프론트롤러(50A)가 제1회전롤러(55)와 제2회전롤러(57)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제2회전롤러(57)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아이들부(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인스프라켓(14)과 인접한 상부 제1위치(P1)와, 제1위치(P1)로부터 본체용체인(20)이 회전하는 시계방향을 따라 침전조의 바닥에 근접한 제2위치(P2) 및 제3위치(P3)에 마련되어 본체용체인(20)을 침전조(1) 내에서 순환 회전시킨다.
제1위치(P1) 내지 제3위치(P3)에 마련되는 각 아이들(100C,100A,100B)은 기본적인 형태 및 기능은 동일하며 다만 본체용체인(20)을 안내하는 회전 각도 및 방향만 다르므로, 이하에서는 제2위치(P2)에 마련되는 아이들(100A)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아이들부(100)는 제1위치(P1)에 마련되는 리턴아이들(100C)과, 제2위치(P2)에 마련되는 테일아이들(100A)과, 제3위치에 마련되는 아이들은 헤드아이들(100B)을 포함할 수 있다.
테일아이들(100B)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이들축부(110)와, 아이들축부(110)에 지지되어 본체용체인(20)의 회전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커브레일부(120)를 포함한다.
아이들축부(110)는 침전조(1)의 측벽에 고정되는 축베이스(112)와, 축베이스(112)로부터 연장 마련되는 아이들축(114)을 포함한다. 아이들축(114)은 소정 길이로 침전조의 측벽으로부터 돌출 마련되며, 본체용체인(20)의 회전방향에서 보면 그 위를 본체용체인(20)과 롤러부(50)가 통과한다.
커브레일부(120)는 본체용체인(20)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커브레일(121)과, 롤러부(50) 구체적으로는 제2프론트롤러(50B)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커브트랙(125)을 포함한다.
커브레일(121)은 소정의 반경을 갖는 라운드 형상을 가지며 본체용체인(20)의 폭에 대응하도록 마련되는 바텀커브레일(122)과, 바텀커브레일(122)의 양측에 돌출 마련되어 본체용체인(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사이드커브레일(123)을 포함한다.
여기서, 라운드 형태의 커브레일(121)은 도시한 바와 같이 반원형을 넘는 둘레(호의 길이)를 갖거나 또는 180도의 반원형, 90도의 직각 형태 등 다양한 둘레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커브레일(121)은 아이들축부(110)로부터 방사상으로 확장 마련되는 복수의 축리브(116)에 의해 중심이 지지된다.
커브트랙(125)은 커브레일(121)의 외측에 마련되며, 아이들축부(110)로부터 방사상으로 확장 마련되는 복수의 축리브(118)에 의해 중심이 지지된다. 커브트랙(125)도 라운드 형상을 가지며, 제2프론트롤러(50B)의 폭에 대응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커브트랙(125)은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이트(30)가 수평 이동될 수 있도록 커브레일(121)에 대응하는 회전 반경을 가져 본체용체인(20)과 제2프론트롤러(50B)가 함께 아이들부(100)에 가해지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함으로써 수명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아울러, 도면에서는 커브트랙(125)이 커브레일(121)과 함께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커브트랙(125)은 필요에 따라 생략 가능하며, 또한 커브트랙(125)은 리턴 트랙(42)으로부터 일체로 연장하여 마련되거나(도 5 참조) 또는 일부를 분리하되 리턴 트랙(42)으로부터 연장되는 형태로 마련할 수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브형 체인 플라이트 슬러지 수집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슬러지 수집기는 상기 실시 예와 같이 플라이트(30)에 제1프론트롤러(50A)와 제2프론트롤러(50B)가 마련되는 것은 동일하며, 다만 본체용체인(20)에 커브레일(121)에 접촉하는 롤러부(60)가 마련되는 것이 상기 실시 예와 상이하다.
롤러부(60)는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용체인(20)에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롤러부(60)는 복수의 롤러(62)를 포함하여 타원 형상의 체인링크(21)를 연결하는 체인축(23)에 각각 마련되며, 체인링크(21)의 도시된 내측 또는 체인링크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롤러부(60)는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되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체인축(23)에 대해 상대 회전이 용이하도록 부시가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롤러부(60)는 본체용체인(20)이 커브레일(121)을 따라 회전할 때 접촉되면서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은 물론, 커브레일(121)과 롤러(62)가 구름 접촉하도록 유도하여 회전의 안내는 물론 회전 방향 전환도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브형 체인 플라이트 슬러지 수집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슬러지 수집기는 상기 실시 예와 같이 플라이트(30)에 제1프론트롤러(50A)와 제2프론트롤러(50B)가 마련되는 것은 동일하며, 다만 본체용체인(20)에 커브레일(121)에 접촉하는 대소롤러부(70)가 마련되는 것이 상기 실시 예와 상이하다.
대소롤러부(70)는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용체인(20)에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대소롤러부(70)는 타원 형상의 체인링크(21)를 연결하는 체인축(23)에 마련되며, 또한 체인링크(21)의 도시된 내측 또는 체인링크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대소롤러부(70)는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되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체인축(23)에 대해 상대 회전이 용이하도록 부시가 개재될 수 있다.
또한, 대소롤러부(70)는 대직경롤러(72)와 소직경롤러(74)를 포함하며, 대직경롤러(72)와 소직경롤러(74)는 본체용체인(20)에 순차적으로 교대 마련될 수 있다. 즉, 대직경롤러(72)가 타원 형상의 체인링크(21)를 연결하는 하나의 체인축(23)에 마련되면, 소직경롤러(74)는 대직경롤러(72)가 마련된 하나의 체인축(23)과 이웃하는 체인축(23)에 마련된다.
이러한 대직경롤러(72)는 본체용체인(20)이 커브레일(121)과 구름 접촉하도록 유도하여 회전 안내와 회전 방향 전환이 용이하도록 하며, 소직경롤러(74)는 본체용체인(20)의 회전 안내 시 본체용체인이 커브레일(121)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유도하여 체인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커브레일(121)의 사이즈는 침전조의 원수 처리용량에 따라 달라지는데, 커브레일(121)의 사이즈(직경)가 커지는 경우 소직경롤러(74)가 없으면 본체용체인(20)이 커브레일(121)에 직접적으로 부딪칠 수 있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브형 체인 플라이트 슬러지 수집기의 커브레일부를 일부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커브레일부(120)는 커브레일(121)의 중심에 센터안내바(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터안내바(124)는 본체용체인(20)에 마련되는 롤러부 예를 들어 한 쌍의 롤러(62,72) 사이에 끼워져 본체용체인을 가이드하기 때문에, 본체용체인(20)이 지그재그 형태로 사행(蛇行)하여 궤도를 이탈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커브형 체인 플라이트 슬러지 수집기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용체인(20)을 침전조의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이동시키는 리턴아이들(100C)에 인접 마련되어 본체용체인(20)의 장력을 조절하는 텐션조절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텐션조절부(200)는 호 형상으로 마련되는 누름바(210)와, 누름바(21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승강바(220)와, 승강바(220)를 조절하기 위한 핸들(230)을 포함할 수 있다.
누름바(210)는 상측 일단이 침전조(1)에 고정 설치되며, 하측 타단은 상하로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승강바(220)는 업다운하는 누름바(210)의 타단측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지면까지 연결되며 핸들(230)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누름바(210)의 타단을 승강시켜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승강바(220)는 막대 형태로 마련되며, 본체용체인(20) 또는 제2프론트롤러(50B)를 부드럽게 가압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누름바(210)는 본체형체인(20)의 설치 초기에는 장력이 강한 상태이므로 상대적으로 경사 각도가 완만한 높은 높이에 위치하며, 사용이 될수록 장력이 약해지므로 초기보다 상대적으로 경사 각도가 커지면서 낮은 높이에 위치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커브형 체인 플라이트 슬러지 수집기의 동작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모터(11)와 구동체인(12)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동스프라켓(13)과 체인스프라켓(14)이 회전하면서 무한궤도로 설치된 본체용체인(20)이 회전하며, 본체용체인(20)의 회전 구동에 의해 플라이트(30)는 침전조(1)의 바닥과 수면을 순환하면서 슬러지와 스컴을 제거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본체용체인(20)은 체인스프라켓(14)과 인접한 상부 제1위치(P1)에 마련되는 리턴아이들(100C)과, 제1위치(P1)로부터 본체용체인(20)이 회전하는 시계방향을 따라 침전조의 스키머(3) 측 바닥에 근접한 제2위치(P2)에 마련되는 테일아이들(100A)와, 구동부(10) 측 침전조의 바닥에 근접한 제3위치(P3)에 마련되는 헤드아이들(100B)에 의해 효과적으로 회전 안내 및 회전 방향 전환을 할 수 있다.
예컨대, 각 아이들(100A~100C)은 침전조의 각 코너에 마련되는 원호 형상의 커브레일(121) 및 커브트랙(125)을 이용하여 본체용체인(20) 및 플라이트(30)의 회전 안내 및 회전 방향 전환을 저전력 및 저마모 모드로 효과적으로 유도하며, 본체용체인(20) 및 플라이트(30)에 롤러부(50,60,70)가 마련된 경우 각 부품의 마찰 저항을 줄이는 것은 물론 상호 접촉으로 인한 부품 파손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1..침전조 10..구동부
14..체인스프라켓 20..본체용체인
30..플라이트 40..트랙
42..바텀 트랙 44..리턴 트랙
50..롤러부 50A,50B:제1,2프론트롤러
60..롤러부 70..대소롤러부
72..대직경롤러 74..소직경롤러
100..아이들부 110..아이들축부
120..커브레일부 121..커브레일
125..커브트랙

Claims (10)

  1. 침전조에 마련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는 본체용체인;
    상기 침전조에 구동부와 이격 마련되어 상기 본체용체인이 무한궤도 형상으로 권취되어 침전조를 순환 회전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아이들부;
    상기 본체용체인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플라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아이들부는 상기 본체용체인과 접촉하여 회전 안내 및 회전 방향 전환을 유도하는 커브레일을 포함하는 커브형 체인 플라이트 슬러지 수집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트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트랙;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아이들부는 상기 커브레일과 나란하게 마련되어 상기 트랙의 회전 안내 및 회전 방향 전환을 유도하는 커브트랙을 더 포함하는 커브형 체인 플라이트 슬러지 수집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트는 상기 트랙에 구름 접촉하는 롤러부를 포함하는 커브형 체인 플라이트 슬러지 수집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은 바텀 트랙과 리턴 트랙을 포함하고,
    상기 롤러부는 상기 바텀 트랙에 대향하는 제1프론트롤러와, 상기 리턴 트랙에 대향하는 제2프론트롤러를 포함하는 커브형 체인 플라이트 슬러지 수집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브레일은 라운드 형상을 가지며 본체용체인의 폭에 대응하도록 마련되는 바텀커브레일과, 바텀커브레일의 양측에 돌출 마련되어 본체용체인의 이탈을 방지하는 사이드커브레일을 포함하는 커브형 체인 플라이트 슬러지 수집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커브레일은 중심에 센터안내바를 더 포함하는 커브형 체인 플라이트 슬러지 수집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부는 침전조의 상부에 마련되는 리턴아이들과, 침전조의 하부에 상기 본체용체인의 회전 방향 전환을 위해 이격 마련되는 헤드아이들과 테일아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커브형 체인 플라이트 슬러지 수집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용체인은 상기 커브레일에 구름 접촉하는 롤러부를 포함하는 커브형 체인 플라이트 슬러지 수집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대직경롤러와 소직경롤러를 포함하는 커브형 체인 플라이트 슬러지 수집기.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용체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침전조에 마련되는 텐션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커브형 체인 플라이트 슬러지 수집기.
KR1020180044484A 2018-04-17 2018-04-17 커브형 체인 플라이트 슬러지 수집기 KR102107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484A KR102107231B1 (ko) 2018-04-17 2018-04-17 커브형 체인 플라이트 슬러지 수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484A KR102107231B1 (ko) 2018-04-17 2018-04-17 커브형 체인 플라이트 슬러지 수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020A true KR20190121020A (ko) 2019-10-25
KR102107231B1 KR102107231B1 (ko) 2020-05-28

Family

ID=68420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484A KR102107231B1 (ko) 2018-04-17 2018-04-17 커브형 체인 플라이트 슬러지 수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72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15385A (zh) * 2020-12-23 2021-03-19 南京维溧轩科技有限公司 一种可变向的复式导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8746A (ko) 2005-07-12 2007-01-18 주식회사 현서 Pbt 핀틀체인 절단전기검출식 전체 비금속 슬러지수집장치
KR101019404B1 (ko) * 2010-06-23 2011-03-07 윤팔석 체인 인장 감지장치가 구비된 슬러지 수집기
KR20120063305A (ko) * 2010-12-07 2012-06-15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칩 컨베이어를 이용한 유수 분리 장치
KR101778733B1 (ko) * 2017-04-10 2017-09-14 장은진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8746A (ko) 2005-07-12 2007-01-18 주식회사 현서 Pbt 핀틀체인 절단전기검출식 전체 비금속 슬러지수집장치
KR101019404B1 (ko) * 2010-06-23 2011-03-07 윤팔석 체인 인장 감지장치가 구비된 슬러지 수집기
KR20120063305A (ko) * 2010-12-07 2012-06-15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칩 컨베이어를 이용한 유수 분리 장치
KR101778733B1 (ko) * 2017-04-10 2017-09-14 장은진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15385A (zh) * 2020-12-23 2021-03-19 南京维溧轩科技有限公司 一种可变向的复式导轨
CN112515385B (zh) * 2020-12-23 2022-06-07 湖北省天一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可变向的复式导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7231B1 (ko)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8733B1 (ko)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PH12012000165A1 (en) Sludge collector
US9359141B2 (en) Positively-driven, low tension transfer conveyor
US20060260915A1 (en) Roller shoes in modular-belt conveyors
CN104736459A (zh) 强制性驱动低张力传送输送机
KR20190121020A (ko) 커브형 체인 플라이트 슬러지 수집기
KR20190121026A (ko) 체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체인 플라이트 슬러지 수집기
RU2402474C2 (ru) О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0419872Y1 (ko) 수평이송형 팔레트용 컨베이어
KR102139901B1 (ko) 부유물 데드존이 없는 무한궤도형 슬러지 수집기
JP2015174084A (ja) 汚泥掻寄装置
KR102044386B1 (ko)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KR101092768B1 (ko) 핀틀체인
KR20200043899A (ko)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KR102107233B1 (ko) 슬러지 수집기용 가변 부시 및 이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체인 어셈블리
KR102057484B1 (ko)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KR102190000B1 (ko) 슬러지 수집기용 마모방지형 비금속 아이들 스프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비금속 체인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KR101317408B1 (ko) 슬러지 이송용 벨트 컨베이어
KR101871863B1 (ko)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KR102595046B1 (ko)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JP6968558B2 (ja) 除塵機
JP6965183B2 (ja) チェーン
EP2687466B1 (en) Conveyor belt tightening device
KR102237841B1 (ko) 가이드벨트식 체인 구동 장치
KR100637657B1 (ko) 주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