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0785B1 - 해머를 구비한 보조 손잡이 - Google Patents

해머를 구비한 보조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0785B1
KR100740785B1 KR1020050083956A KR20050083956A KR100740785B1 KR 100740785 B1 KR100740785 B1 KR 100740785B1 KR 1020050083956 A KR1020050083956 A KR 1020050083956A KR 20050083956 A KR20050083956 A KR 20050083956A KR 100740785 B1 KR100740785 B1 KR 100740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handle
hammer
handle
bar connector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3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9314A (ko
Inventor
오성균
Original Assignee
오성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균 filed Critical 오성균
Priority to KR1020050083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0785B1/ko
Publication of KR20070029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9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0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0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6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ools or spar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머를 구비한 보조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중 교통수단의 천정에 고정 설치된 지지바에 바 연결구를 통해 보조 손잡이가 설치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보조 손잡이의 일측 모서리에 끝이 뾰족한 타격부를 구비한 해머를 일체로 매립 설치하고, 상기 보조 손잡이의 상단부와 바 연결구의 자유단부 사이에는 착탈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보조 손잡이는 중공부가 구비되도록 투명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하되, 상기 중공부에는 위치표시용 발광다이오드들과 전원공급부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화재나 전복 사고 등이 발생되어 비상 탈출을 할 필요가 있을 때 상기 보조 손잡이를 바 연결구로부터 손쉽게 분리시켜 차량의 창문 유리를 보조 손잡이에 설치되어 있고 사고 등으로 인해 조명이 이루어지지 않는 어두운 대중 교통수단내에서도 탑승자들이 보조 손잡이를 쉽게 찾아 바 연결구로부터 손쉽게 분리시킨 후 차량의 창문 유리를 보조 손잡이의 해머를 통해 타격하여 탈출구를 확보할 수 있어 대중 교통수단의 사고시 탈출구를 확보하지 못함으로써 발생되는 2차적인 대형 인명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화제, 전복, 비상 탈출구, 해머, 위치확인

Description

해머를 구비한 보조 손잡이 {Assistant Handle with hammer}
도 1은 본 발명 보조 손잡이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보조 손잡이의 단면도.
도 3의 (a)(b)는 본 발명 보조 손잡이 중 착탈수단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및 결합상태 단면도.
도 4의 (a)(b)는 본 발명 보조 손잡이 중 착탈수단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및 결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보조 손잡이 중 착탈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지지바 2 : 바 연결구
3 : 보조 손잡이 4 : 해머
5 : 착탈수단 6 : 위치표시용 발광다이오드
7 : 전원공급부 8 : 충전기
9 : 전선 21,32 : 고정공
31 : 중공부 41 : 타격부
51 : 고정핀 52 : 분할핀
53, 54 : 암수 버클 55 : 등산용 로프 클램프
91, 92 : 접속단자 93 : 숫 콘넥터
94 : 암 콘넥터
본 발명은 해머를 구비한 보조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스나 지하철 등과 같은 대중 교통수단의 천정부에 설치된 지지바에 일정 간격을 두고 메달아 놓아 서서 가는 사람들이 몸의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하는 보조 손잡이의 일측 모서리부에 끝이 뾰족한 타격부를 구비한 해머를 설치하여 화재나 전복 사고 등이 발생되어 비상 탈출을 할 필요가 발생되었을 때 보조 손잡이를 바 연결구로부터 손쉽게 분리시켜 차량의 윈도우 글라스를 보조 손잡이에 설치되어 있는 해머로 타격하여 탈출구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보조 손잡이 자체는 투명체로 형성하고 그 내부에는 위치표시용 발광다이오드를 설치하여 사고 등으로 인해 조명이 이루어지지 않는 어두운 대중 교통수단내에서도 보조 손잡이를 쉽게 찾아 바 연결구로부터 손쉽게 분리시킨 후 차량의 윈도우 글라스를 보조 손잡이의 해머를 통해 타격하여 탈출구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중 교통수단의 사고시 탈출구를 확보하지 못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2차적인 대형 인명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복과 같은 교통사고나 화재발생 등이 발생되어 긴급탈출이 요구될 때 도어가 열리지 않거나 도어를 통해 탑승자가 나오기 어려운 상황에서는 윈도우 글라스를 깨고 탈출하게 된다.
또는 건물 내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출구를 통해 탈출이 어려운 경우에는 창문의 유리를 깨고 비상 출구를 확보하여 탈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비상시에 유리를 깨고 비상 출구를 확보하도록 할 목적으로 차량이나 건물 내에 비상용 해머가 구비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비상용 해머는 차량의 구성 부품이나 가정 등지에서 사용되는 일반 공구와 별도로 특수 제작된 유리 파괴용 해머이므로 각 부품의 호환성 및 사용성이 결여됨은 물론 별도의 비상용 해머를 구입 비치해야하므로 경제적으로 부담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일부에서는 자동차 부품의 대한 호환성 및 사용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자동차의 해머겸용 도어 손잡이로써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8-038337호로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도어 트림에 형성된 손잡이 고정부와 손잡이 고정부에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해머용 헤드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상기 손잡이가 선단에 삽입돌기를 가진 상부 절곡부와 선단에 해머용 헤드가 고정되는 하부 절곡부를 구비하여, 상단과 하단에 요홈을 구비한 손잡이 고정부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승용 자동차에서 화재가 발생되었거나 전복 사고 등이 발생되었을 때 도어 트림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 손잡이를 분리시켜 유리를 파괴시킬 수 있으므로 승용차용 손잡이의 호환성 및 사용성을 증진시킬 수는 있으나, 이와 같은 구성의 손잡이는 승용 자동차에만 설치되어 있으므로 대형 버스나 지하철 등과 같은 대중 교통수단에 적용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버스나 지하철 등과 같은 대중 교통수단내에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비상 해머들이 특정 장소에 별도로 비치시켜 놓고 있음은 물론 그 개수가 한정적이어서 화재나 전복 사고 등과 같은 안전사고의 발생으로 비상 탈출이 요구될 때 사람들이 차분한 가운데 이에 대치하지 못하고 한꺼번에 많은 사람들이 비상 해머를 차지하려 다투게 될 경우 창문 유리를 신속히 깨고 탈출구를 확보하지 못하여 큰 인명사고로 이어질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개수의 한정으로 인해 탈출구를 다량으로 확보하지 못하여 신속한 탈출이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차량이 전복 등의 사고 발생시 조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가 많은데, 종래 대부분의 차량에 설치된 비상 해머는 그 위치를 문자나 기호로 표시하고 있어 막상 비상 탈출이 요구되는 교통사고 및 화제 등의 발생시 비치된 비상 해머를 찾지 못하여 탈출구를 확보하지 못해 대형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버스나 지하철 등과 같은 대중 교통수단의 천정부에 설치된 지지바에 일정 간격을 두고 메달아 놓은 보조 손잡이의 일측 모서리부에 끝이 뾰족한 타격부를 구비한 해머를 설치하여 줌으로써, 화재나 전복 사고 등이 발생되어 비상 탈출을 할 필요가 있을 때 상기 보조 손잡이를 바 연결구로부터 손쉽게 분리시켜 차량의 창문 유리를 보조 손잡이에 설치되어 있는 해머로 타격하여 탈출구를 확보할 수 있는 해머를 구비한 보조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조 손잡이 자체를 투명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하되, 그 내부에는 위치표시용 발광다이오드를 설치하여 줌으로써 사고 등으로 인해 조명이 이루어지지 않는 어두운 대중 교통수단내에서도 탑승자들이 보조 손잡이를 쉽게 찾아 바 연결구로부터 손쉽게 분리시킨 후 차량의 창문 유리를 보조 손잡이의 해머를 통해 타격하여 탈출구를 확보할 수 있어 대중 교통수단의 사고시 탈출구를 확보하지 못함으로써 발생되는 2차적인 대형 인명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해머를 구비한 보조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중 교통수단에 설치된 모든 보조 손잡이에 해머를 구비시켜 줌으로써 화재나 전복 사고 등이 발생되어 비상 탈출을 할 필요가 있을 때 탑승자 개개인이 자신이 잡고 있거나 인접된 위치의 보조 손잡이들을 바 연결구로부터 손쉽게 분리시켜 차량의 창문 유리를 해머로 타격하여 탈출구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탑승자들이 비상 해머를 찾아 헤매거나 한쪽으로 몰리므로 인해 탈출구를 다량으로 확보하지 못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인명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해머를 구비한 보조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태양은, 대중 교통수단의 천정에 고정 설치된 지지바에 바 연결구를 통해 보조 손잡이가 설치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보조 손잡이의 일측 모서리에 끝이 뾰족한 타격부를 구비한 해머를 일체로 매립 설치한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 손잡이의 상단부와 바 연결구의 자유단부 사이에는 착탈수단을 구비시켜 상기 보조 손잡이를 필요에 따라 상기 바 연결구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보조 손잡이는 그 내부에 중공부가 구비되도록 하여 투명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하되, 상기 중공부에는 위치표시용 발광다이오드들과 상기 위치표시용 발광다이오드들에 전원전압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부는 충전용 건전지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용 건전지는 대중 교통수단내에 설치된 충전기에 의해 통상시 충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기와 전원공급부는 전선을 통해 직접 연결한 구성을 갖거나, 상기 착탈수단에 설치된 분리 가능한 접속단자를 통해 연결할 수 있는 구성, 또는 상기 충전기의 출력단자에 숫 콘넥터를 설치하고 보조 손잡이의 일측에는 상기 전원공급부와 연결된 암 콘넥터를 설치하여 상호 분리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착탈수단은 바 연결구와 보조 손잡이에 형성된 고정공에 끼워지 는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의 자유로운 이탈을 방지하는 분할핀으로 구성하거나, 암수로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버클을 바 연결구와 보조 손잡이에 각각 설치하는 구성, 또는 등산용 로프 클램프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착탈수단이 암수 버클로 구성된 경우 상기 암수 버클의 결합부에는 각각 충전기와 전원공급부 연결용 접속단자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보조 손잡이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보조 손잡이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의 (a)(b)는 본 발명 보조 손잡이 중 착탈수단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및 결합상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의 (a)(b)는 본 발명 보조 손잡이 중 착탈수단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및 결합상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 보조 손잡이 중 착탈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보조 손잡이는, 대중 교통수단의 천정에 고정 설치된 지지바(1)에 바 연결구(2)를 통해 보조 손잡이(3)가 설치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보조 손잡이(3)의 일측 모서리에 끝이 뾰족한 타격부(41)를 구비한 해머(4)를 일체로 매립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 손잡이(3)의 상단부와 바 연결구(2)의 자유단부 사이에는 착탈수단(5)을 구비시켜 상기 보조 손잡이(3)를 필요에 따라 상기 바 연결구(2)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보조 손잡이(3)는 그 내부에 중공부(31)가 구비되도록 하여 투명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하되, 상기 중공부(31)에는 위치표시용 발광다이오드(6)들과 상기 위치표시용 발광다이오드(6)들에 전원전압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7)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부(7)는 충전용 건전지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용 건전지는 대중 교통수단내에 설치된 충전기(8)에 의해 통상시 충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기(8)와 전원공급부(7)는 전선(9)을 통해 직접 연결한 구성을 가질수도 있고, 상기 착탈수단(5)에 접속단자(91)(92)들을 설치하여 보조 손잡이(3)의 분리 및 결합에 부응하여 분리 및 연결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으며, 또한 상기 충전기(8)의 출력단자에 숫 콘넥터(93)를 설치하고 보조 손잡이(3)의 일측에는 상기 전원공급부(7)와 연결된 암 콘넥터(94)를 설치한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착탈수단(5)은 바 연결구(2)와 보조 손잡이(3)에 각각 형성된 고정공(21)(32)에 끼워지는 고정핀(51)과 상기 고정핀(51)의 자유로운 이탈을 방지하는 분할핀(52)으로 구성하거나, 암수로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버클(53)(54)을 바 연결구(2)와 보조 손잡이(3)에 각각 설치하는 구성, 또는 등산용 로프 클램프(55)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착탈수단(5)이 암수 버클(53)(54)로 구성된 경우 상기 암수 버클 (53)(54)의 결합부에는 각각 충전기(8)와 전원공급부(7) 연결용 접속단자(91)(92)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보조 손잡이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주요 기술 구성은 대중 교통수단의 천정에 고정 설치된 지지바(1)에 바 연결구(2)를 통해 연결시켜 대중 교통수단의 운행 중 서서 가는 탑승자가 자신의 몸에 대한 균형을 잡도록 하기 위해 설치된 보조 손잡이(3)의 일측 모서리에 끝이 뾰족한 타격부(41)를 구비한 해머(4)를 일체로 매립 설치한 것이다.
이때, 상기 보조 손잡이(3)를 바 연결구(2)를 통해 지지바(1)에 고정 설치하게 되면 비상시 해머로써 사용할 수 없으므로, 상기 보조 손잡이(3)의 상단부와 바 연결구(2)의 자유단부 사이에는 착탈수단(5)을 구비시켜 탑승자들이 필요에 따라 상기 보조 손잡이(3)를 바 연결구(2)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탑승자들은 평상시 기존의 보조 손잡이(3)들과 마찬가지로 상기 보조 손잡이(3)를 잡고 서서 가면서 몸의 균형 유지를 하다가 차량의 전복 또는 화제 등으로 인해 비상 탈출이 요구될 때 상기 착탈수단(5)을 통해 보조 손잡이(3)를 분리시킨 후 해머(4)의 타격부(41)를 통해 창문 유리를 타격하여 깨고 창틀을 통해 탈출구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 손잡이(3)에는 모두 해머(4)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대중 교통수단의 경우 해머의 개수가 그만큼 많이 설치된 상태가 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화재나 전복 사고 등이 발생되어 비상 탈출을 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탑승자 개개인이 자신이 잡고 있거나 인접된 위치의 보조 손잡이(3)들을 바 연결구(2)로부터 손쉽게 분리시킨 후 차량의 윈도우 글라스를 해머(4)로 타격하여 탈출구를 다량으로 확보할 수 있어 탑승자들이 비상 해머를 찾아 헤매거나 한쪽으로 몰리므로 인해 인명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조 손잡이(3)를 투명의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하되, 그 내부에 중공부(31)가 형성되도록 하여 이에 위치표시용 발광다이오드(6)들과 상기 위치표시용 발광다이오드(6)들에 전원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7)를 부가 설치하였는데, 이때 상기 전원공급부(7)로는 충전용 건전지를 사용하되, 상기 충전용 건전지는 대중 교통수단내에 설치된 충전기(8)에 의해 통상시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 보조 손잡이(3)내의 전원공급부(7)인 충전용 건전지는 대중 교통수단내에 설치되어 운전자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되는 충전기(8)에 의해 통상시 충전 상태를 유지하게 됨은 물론 상기 보조 손잡이(3)의 중공부(31)에 설치되어 있는 위치표시용 발광다이오드(6)들을 점등시켜 주게 된다.
그러므로 전복 사고 등으로 인해 조명이 이루어지지 않는 어두운 대중 교통수단내에서도 탑승자들이 투명체인 보조 손잡이(3)를 통해 조사되는 위치표시용 발광다이오드(6)들의 불빛을 통해 보조 손잡이(3)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를 쉽게 찾아 바 연결구(2)로부터 손쉽게 분리시킨 후 차량의 창문 유리를 보조 손잡이의 해머를 통해 타격하여 탈출구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충전기(8)와 전원공급부(7)는 전선(9)을 통해 직접 연결할 수도 있고, 상기 착탈수단(5)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접속단자(91)(92)들을 설치하여 보 조 손잡이(3)의 분리 및 결합에 부응하여 접속단자(91)(92)들이 분리 및 연결되게 할 수도 있으며, 또한 상기 충전기(8)의 출력단자에 숫 콘넥터(93)를 설치하고 보조 손잡이(3)의 일측에는 상기 전원공급부(7)와 연결된 암 콘넥터(94)를 설치하여 이들을 상호 결합시켜 주는 방식을 통해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에 있어서 전선(9)을 통해 상기 충전기(8)와 전원공급부(7)는 상호 연결켜 주는 첫 번째 실시예의 경우 설치비용은 매우 적게 드는 반면, 비상 상황 발생으로 인해 보조 손잡이(3)를 바 연결구(2)로부터 분리시킬 때 전선(9)이 절단되므로 차후 보수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또, 두 번째와 세 번째 실시예의 경우는 보조 손잡이(3)의 분리와 더불어 착탈수단(5)에 설치된 접속단자(91)(92)들이 상호 분리되거나, 충전기(8)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숫 콘넥터(93)가 보조 손잡이(3)에 설치된 암 콘넥터(94)로부터 분리되므로 보조 손잡이(3)를 이용하여 창문 유리를 깨고 탈출구를 확보한 후 다시 보조 손잡이(3)를 바 연결구(2)에 결합시킬 때 착탈수단(5) 자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숫 콘넥터(93)를 암 콘넥터(94)에 간단히 결합시켜 주면 되므로 차후 보수비용이 들지 않게 된다.
특히, 상기한 3개의 실시예 중 부 번째 실시예의 경우 착탈수단(5)의 결합 및 분리만으로 상기 충전기(8)와 전원공급부(7)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이를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시한다.
또한, 상기 착탈수단(5)으로는 여러가지 실시예를 제시할 수 있는데, 그 첫 번째로는 도 3의 (a)(b)와 같이 상기 바 연결구(2)와 보조 손잡이(3)에 각각 형성 된 고정공(21)(32)을 통해 고정핀(51)을 끼우고, 상기 고정핀(51)의 자유단부에 분할핀(52)을 결합시킨 것이다.
이 경우 상기 고정핀(51)은 분할핀(52)에 의해 바 연결구(2)와 보조 손잡이(3)에 각각 형성된 고정공(21)(32)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므로 상기 보조 손잡이(3)가 바 연결구(2)에 매달려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보조 손잡이(3)를 비상 탈출을 위한 해머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분할핀(52)을 상기 고정핀(51)으로부터 뽑아 분리시킨 후 고정핀(51)을 바 연결구(2)와 보조 손잡이(3)의 고정공(21)(32)으로부터 분리시키면 보조 손잡이(3)가 바 연결구(2)로부터 분리되어 해머로 사용할 수 있다.
두 번째로는 도 4의 (a)(b)와 같이 암수로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버클(53)(54)을 바 연결구(2)와 보조 손잡이(3)에 각각 설치한 구성으로써 이 경우 상기 암수 버클(53)(54)을 분리 및 결합시켜 주는 동작만으로 보조 손잡이(3)를 바 연결구(2)로부터 분리 또는 그에 결합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착탈수단(5)이 암수 버클(53)(54)로 구성된 경우 전술한 충전기(8)와 전원공급부(7)의 연결수단 중 접속단자(91)(92)를 암수 버클(53)(54)의 결합부에 각각 설치하여 줌으로써 상기 착탈수단(5)을 통한 보조 손잡이(3)의 분리 및 결합에 부응하여 충전기(8)와 전원공급부(7)를 상호 분리 및 연결시킬 수 있어 사용성 및 유지 보수성에서 매우 유리하게 된다.
세 번째로는 도 5와 같이 상기 착탈수단(5)을 등산용 로프 클램프(55)로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역시 상기 바 연결구(2)에 결합되어 있는 등산용 로프 클램프(55)로부터 보조 손잡이(3)만을 간단히 분리시켜 비상시 상기 보조 손잡이(3)를 해머로 사용하면 된다.
이 밖에도 상기 착탈수단(5)으로는 혁대의 결합구조, 걸고리형 결합 구조 등 다양하게 제시할 수 있으므로 상기한 실시예들만으로 한정하는 것을 아니다.
즉,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버스나 지하철 등과 같은 대중 교통수단의 천정부에 설치된 지지바에 일정 간격을 두고 메달아 놓은 보조 손잡이의 일측 모서리부에 끝이 뾰족한 타격부를 구비한 해머를 설치하여 줌으로써, 화재나 전복 사고 등이 발생되어 비상 탈출을 할 필요가 있을 때 상기 보조 손잡이를 바 연결구로부터 손쉽게 분리시켜 차량의 창문 유리를 보조 손잡이에 설치되어 있는 해머로 타격하여 탈출구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둘째, 보조 손잡이를 투명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하되, 그 내부에는 위치표시용 발광다이오드를 설치하여 줌으로써 사고 등으로 인해 조명이 이루어지지 않는 어두운 대중 교통수단내에서도 탑승자들이 보조 손잡이를 쉽게 찾아 바 연결구로부터 손쉽게 분리시킨 후 차량의 창문 유리를 보조 손잡이의 해머를 통해 타격하여 탈출구를 확보할 수 있어 대중 교통수단의 사고시 탈출구를 확보하지 못함으로써 발생되는 2차적인 대형 인명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셋째, 대중 교통수단에 설치된 모든 보조 손잡이에 해머를 구비시켜 줌으로써 화재나 전복 사고 등이 발생되어 비상 탈출을 할 필요가 있을 때 탑승자 개개인이 자신이 잡고 있거나 인접된 위치의 보조 손잡이들을 바 연결구로부터 손쉽게 분리시켜 차량의 창문 유리를 해머로 타격하여 탈출구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탑승자들이 비상 해머를 찾아 헤매거나 한쪽으로 몰리므로 인해 탈출구를 다량으로 확보하지 못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인명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1)

  1. 대중 교통수단의 천정에 고정 설치된 지지바에 바 연결구를 통해 보조 손잡이가 설치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보조 손잡이의 일측 모서리에 끝이 뾰족한 타격부를 구비한 해머를 일체로 매립 설치하고,
    상기 보조 손잡이의 상단부와 바 연결구의 자유단부 사이에는 착탈수단을 구비시켜 상기 보조 손잡이를 필요에 따라 상기 바 연결구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보조 손잡이는 그 내부에 중공부가 구비되도록 하여 투명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하고, 상기 중공부에는 위치표시용 발광다이오드들과, 대중 교통수단 내에 설치된 충전기에 의해 충전이 이루어지는 충전용 건전지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머를 구비한 보조 손잡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와 충전용 건전지는 전선을 통해 직접 연결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착탈수단에 접속단자들을 설치하여 보조 손잡이의 분리 및 결합에 부응하여 분리 및 연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머를 구비한 보조 손잡이.
  6. 삭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의 출력단자에 숫 콘넥터를 설치하고, 보조 손잡이의 일측에는 상기 충전용 건전지와 연결된 암 콘넥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머를 구비한 보조 손잡이.
  8. 청구항 1, 5, 7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은 바 연결구와 보조 손잡이에 각각 형성된 고정공에 끼워지는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의 자유로운 이탈을 방지하는 분할핀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머를 구비한 보조 손잡이.
  9. 청구항 1, 5, 7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은 암수로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버클을 바 연결구와 보조 손잡이에 각각 설치하고, 상기 암수 버클의 결합부에는 각각 충전기와 충전용 건전지 연결용 접속단자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머를 구비한 보조 손잡이.
  10. 청구항 1, 5, 7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은 등산용 로프 클램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머를 구비한 보조 손잡이.
  11. 삭제
KR1020050083956A 2005-09-09 2005-09-09 해머를 구비한 보조 손잡이 KR100740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956A KR100740785B1 (ko) 2005-09-09 2005-09-09 해머를 구비한 보조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956A KR100740785B1 (ko) 2005-09-09 2005-09-09 해머를 구비한 보조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9314A KR20070029314A (ko) 2007-03-14
KR100740785B1 true KR100740785B1 (ko) 2007-07-19

Family

ID=38101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3956A KR100740785B1 (ko) 2005-09-09 2005-09-09 해머를 구비한 보조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07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3317A (ko) * 2015-01-29 2016-08-0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방독 및 조명 복합장비
KR20170012653A (ko) * 2015-07-21 2017-02-0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중교통용 손잡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93001A (zh) * 2013-12-30 2014-04-02 河南省佰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应急锤
CN104442496A (zh) * 2014-11-27 2015-03-25 夏爱棠 改进的公交车拉环
KR102111511B1 (ko) * 2019-02-26 2020-05-15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화기가 구비된 대중교통 안전 손잡이 조립체
CN111251961A (zh) * 2020-03-25 2020-06-09 李恒东 一种新型塑胶火车车厢扶手
CN114247062A (zh) * 2022-01-11 2022-03-29 袁贺敏 消防多用途高空逃生辅助杆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4048A (ja) * 2000-10-02 2002-04-09 Yoshio Hatanaka ハンマー付アシストグリップ
KR200387655Y1 (ko) * 2005-02-23 2005-06-22 오성균 방연장치가 구비된 손잡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4048A (ja) * 2000-10-02 2002-04-09 Yoshio Hatanaka ハンマー付アシストグリップ
KR200387655Y1 (ko) * 2005-02-23 2005-06-22 오성균 방연장치가 구비된 손잡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3317A (ko) * 2015-01-29 2016-08-0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방독 및 조명 복합장비
KR101661840B1 (ko) * 2015-01-29 2016-09-30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방독 및 조명 복합장비
KR20170012653A (ko) * 2015-07-21 2017-02-0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중교통용 손잡이 장치
KR101721962B1 (ko) * 2015-07-21 2017-04-0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중교통용 손잡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9314A (ko) 2007-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0785B1 (ko) 해머를 구비한 보조 손잡이
US5034747A (en) Detachable radar unit for a helmet
ES2375834T3 (es) Dispositivo luminoso móvil autom�?tico.
WO2012064114A2 (ko) 발광부를 가지는 자동차용 고임목
ES2280894T3 (es) Asiento de pasajero para cabina de pasajeros de un avion comercial con un dispositivo de seguridad e informacion.
JPH10291439A (ja) 自動車用非常灯
KR20120012586A (ko) 다용도엘이디안전삼각대
KR101519874B1 (ko) 다용도 비상탈출용 망치
KR200435080Y1 (ko) 도로 경계석 표시장치
KR200457594Y1 (ko) 경고봉
KR200449417Y1 (ko) 휴대형 교통 안전표시구
CN203634698U (zh) 一种手提式灭火器支架及其车用报警指示系统
KR20120025779A (ko) 원터치 안전 삼각대
CN207949107U (zh) 一种夜间可示位的安全带锁扣装置
KR101816211B1 (ko) 표시장치
KR101697441B1 (ko) 선택적 경고표시기능을 구비하는 경광봉
KR101588453B1 (ko) 텐트 고정로프 확인용 광섬유 시인장치
WO2007054593A2 (es) Dispositivo para el control del acoplamiento de asientos infantiles en automóviles
KR20110000971U (ko) 이륜차용 그립커버
KR20230093838A (ko) 표지판 겸용 안전조끼
KR20110083771A (ko) 다용도 안전 삼각대
JPH07323841A (ja) 遮断機バー
KR200165403Y1 (ko) 신변보호기능을갖는노인용지팡이
JP5953422B1 (ja) 自転車用錠装置
KR200228265Y1 (ko) 휴대용 도로상황안내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