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3317A - 방독 및 조명 복합장비 - Google Patents

방독 및 조명 복합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3317A
KR20160093317A KR1020150014157A KR20150014157A KR20160093317A KR 20160093317 A KR20160093317 A KR 20160093317A KR 1020150014157 A KR1020150014157 A KR 1020150014157A KR 20150014157 A KR20150014157 A KR 20150014157A KR 20160093317 A KR20160093317 A KR 20160093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lighting
air purifier
uni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4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1840B1 (ko
Inventor
조성주
이지훈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14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1840B1/ko
Publication of KR20160093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3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62B3/005Rescue tools with forcing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정화부와 조명부가 장착되는 손잡이부가 탈부착형으로 제공되는 방독 및 조명 복합장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독 및 조명 복합장비는, 일면은 개방되면서 사용자의 안면부에 밀착되고, 타면에는 공기정화통이 구비되는 공기정화부; 상기 공기정화부의 일면에 탈부착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 내부에 슬라이드결합되고, 빛을 발산하는 조명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재 등의 재난사고시 방독마스크, 비상용 조명등 및 파쇄용 해머를 동시에 용이하게 획득하여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독 및 조명 복합장비{COMPOUND EQUIPMENT FOR LIGHTING AND PREVENTING GAS}
본 발명은 방독 및 조명 복합장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정화부와 조명부가 장착되는 손잡이부가 탈부착형으로 제공되는 방독 및 조명 복합장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수 년 동안, 인명을 담보로 하는 재난사고가 끊이지를 않고 있다. 이를 통해 인명을 구하기 위한 사회적, 개인적 구제 조치에 관한 논의가 사회 전반적인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상황이다. 특별히, 수년 전 일어났던 대구 지하철 참사, 화성 씨랜드 참사 등의 사건을 보면, 화재가 발생하였을 시, 개인적으로 할 수 있는 신속하고 원활한 초동조치가 인명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방편임이 확실하다고 판단된다.
건물, 버스, 기차, 전철이나 혹은 건물의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기존의 대피방식은 한 곳에 비치되어 있는 방독마스크를 찾아 착용하고, 다른 곳에 비치되어 있는 휴대용 조명등을 찾아 사용하고, 또 다른 곳에 비치되어 있는 파쇄용 해머를 찾아 창문의 유리를 부수고 탈출해야 했다. 이러한 방식으로 대피하다보면, 상기에서 나열한 다수의 비상용 장비를 일일이 찾아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과 동시에, 시간을 낭비하여 인명의 손실 등 제2, 제3의 피해로 이어지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더불어 기존의 방독마스크 및 해머는 그 크기가 클 뿐만 아니라 무게도 많이 나가서 휴대하기가 용이하지 않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화재 등 비상 재난사고시 구조가 간단하여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필수 방호 장비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 제10-0481669호(등록일자: 2005.03.29)에 개시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화재 등과 같은 비상 재난사고시, 방독마스크, 휴대용 조명등 및 파쇄용 해머를 한번에 용이하게 획득 및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독 및 조명 복합장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 등과 같은 비상시, 사용자의 간단하고도 용이한 조작을 통해 방독마스크와 조명장치 등으로 분리시켜 사용자가 신속하고도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돕는 방독 및 조명 복합장비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방독 및 조명 복합장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독 및 조명 복합장비는, 일면은 개방되면서 사용자의 안면부에 밀착되고, 타면에는 공기정화통이 구비되는 공기정화부; 상기 공기정화부의 일면에 탈부착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 슬라이드결합되고, 빛을 발산하는 조명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공기정화부로부터 상기 손잡이부의 탈착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외부로 슬라이드 이동된 후, 상기 손잡이부의 전방을 향해 하방 회동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손잡이부는 외측면에 형성되는 외부손잡이와 내측에 제공되는 내부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의 상부에는 상기 조명부가 배치되는 상부홀이 형성되며, 상기 조명부의 후단은 상기 내부손잡이의 상단과 힌지결합되고, 상기 조명부는 그 양측면이 상기 상부홀의 내측면을 따라 상기 손잡이부의 외부로 직선이동된 후 하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상부홀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조명부는, 전단의 테두리부에 돌출형성된 돌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공기정화부의 일면에는 테두리 양측에 일단 또는 양단이 고정결합되는 조임끈을 구비하고, 상기 공기정화부로부터 상기 손잡이부의 탈착시, 상기 조임끈은 외부로 반출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독 및 조명 복합장비는 화재 등의 재난사고시 방독마스크, 비상용 조명등 및 파쇄용 해머를 동시에 용이하게 획득하여 휴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독 및 조명 복합장비는 화재 등의 비상탈출시 사용자가 간단하면서도 용이한 조작을 통하여 방독마스크, 비상용 조명등 및 파쇄용 해머를 분리하여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독 및 조명 복합장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방독 및 조명 복합장비가 분리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공기정화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조명부가 설치된 손잡이부의 외측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손잡이부 및 조명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A'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공기정화부의 개방시 조명부의 동작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조명부에 구비되는 돌기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2의 분리버튼 및 조임끈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일부가 간략하거나 과장되게 표현되었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도시되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독 및 조명 복합장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방독 및 조명 복합장비가 분리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공기정화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조명부가 설치된 손잡이부의 외측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손잡이부 및 조명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A-A'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공기정화부의 개방시 조명부의 동작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2의 조명부에 구비되는 돌기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도 9는 도 2의 분리버튼 및 조임끈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독 및 조명 복합장비(10)는 일면은 개방되면서 사용자의 안면부에 밀착되고, 타면에는 공기정화통(110)이 구비되는 공기정화부(100); 공기정화부(100)의 일면에 탈부착되는 손잡이부(200); 및 손잡이부(200)의 내부에 슬라이드결합되고, 빛을 발산하는 조명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공기정화부(100), 손잡이부(200) 및 조명부(300)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독 및 조명 복합장비(10)는 공기정화부(100)와 손잡이부(200)가 결합(부착)되어 달걀(egg) 등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손잡이부(200)의 내부에는 조명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공기정화부(100)의 일면은 개방되어 내측으로 함입된 오목한 구조의 내측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공기정화부(100)의 타면은 볼록한 형상의 외측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정화부(100)는 전체적으로 손잡이부(200)에 대응되는 바가지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공기정화부(100)와 손잡이부(200)가 분리시, 공기정화부(100)의 일면은 사용자의 안면부에 밀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공기정화부(100)의 개방되는 일면의 테두리에는 사람의 코와 입 모양으로 뚫려있는 별도의 안면밀착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안면밀착부(120)는 흡착력이 뛰어난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어 흡착력을 높일 수 있다.
공기정화부(100)의 타면에는 공기정화통(110)이 구비될 수 있다. 공기정화통(110)은 공기정화부(100)에 탈부착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공기정화통(110)의 노후시 공기정화통(110)을 쉽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공기정화통(110)은 내부에 공기정화필터 등을 구비할 수 있다. 공기정화통(110)은 유독가스가 공기정화부(100) 내부로 유입될 수 없도록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
한편, 이와 달리, 공기정화부(100)는 공기정화통(110) 대신 작은 용량의 산소통과 연결이 가능한 구조로 제공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독 및 조명 복합장비(10)는 화재 등과 같은 비상시에 공기정화부(100)와 손잡이부(200)가 탈착(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정화부(100)는 방독마스크로 이용될 수 있다. 즉, 화재 등의 비상시에 사용자(대피자)는 탈착된 공기정화부(100)를 안면에 밀착시켜 방독마스크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손잡이부(200)의 일면은 개방되어 내측으로 함입된 오목한 구조의 내측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손잡이부(200)의 타면은 볼록한 형상의 외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부(200)는 전체적으로 공기정화부(100)와 대응되는 바가지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손잡이부(200)는 타면(외측면)에 형성되는 외부손잡이(220)와 내측에 제공되는 내부손잡이(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손잡이(220)는 복수의 손잡이홀(221,222)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손잡이홀(221,222)은 손잡이부(200)의 외측면에 서로 나란하게 일정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손잡이홀(221,222)은 하부에서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손잡이홀(221,222) 사이에는 손잡이부(200)의 곡률반경과 같은 외주면을 갖는 형태의 외부손잡이(22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손잡이(220)에는,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잡기 편하도록 외주면에 손가락 형상의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외부손잡이(220)는, 본 발명의 방독 및 조명 복합장비(10)가 공기정화부(100)와 손잡이부(200)로 분리되기 전에 일반적인 휴대용 조명장치의 기능을 하는 데에 있어서 사용자가 손잡이로서 사용할 수 있다.
내부손잡이(230)는 바(bar)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내부손잡이(230)의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운지하기 편하도록 손가락 모양의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내부손잡이(230)의 상단은 조명부(300)의 후단과 결합될 수 있다. 내부손잡이(230)는 조명부(300)와 함께 직선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조명부(300)는 몸체(310), 조명부재(320) 및 돌기(330)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200)의 상부에는 조명부(300)가 배치되는 상부홀(21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조명부(300)의 몸체(310)는 상부홀(210)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몸체(310)의 후단은 내부손잡이(230)의 상단과 상하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조명부(300) 몸체(310)의 후단과 내부손잡이(230)의 상단은 힌지결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공기정화부(100)로부터 손잡이부(200)의 탈착시, 조명부(300)는 손잡이부(200)의 상부홀(210)을 따라 외부로(상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후, 손잡이부(200)의 전방을 향해 하방 회동할 수 있다.
즉, 조명부(300)의 몸체(310)는 그 양측면이 상부홀(210)의 내측면을 따라 손잡이부(200)의 외부로 슬라이드 직선이동된 후 하방(전방)으로 회동되어 상부홀(210)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손잡이부(200)의 상부홀(210) 양측에는 가이드돌기(211,212)가 형성될 수 있고, 조명부(300)의 몸체(310)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311,3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부홀(210)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몸체(310)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부홀(210)의 가이드돌기(211,212)와 몸체(310)의 가이드홈(311,312)은 서로 대응되어 조명부(300)가 상부홀(210)을 통해 손잡이부(200)의 외부 또는 내부로 직선이동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 때, 조명부(300)와 내부손잡이(230)는 함께 슬라이드 직선이동할 수 있다.
조명부(300)의 몸체(310)가 손잡이부(200)의 외부로 노출된 후, 몸체(310)는 내부손잡이(230)와의 힌지결합을 중심으로 하방 또는 전방 회동될 수 있다. 따라서 조명부(300)와 내부손잡이(230)는 전체적으로 'ㄱ'자 형태의 결합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명부(300)가 외부로 드러난 손잡이부(200)는 사용자가 내부손잡이(230)를 파지함으로써 화재 등의 비상시 정전에 대비한 비상용 조명기기로 변형될 수 있다.
조명부재(320)는 조명부(300) 전단에 위치될 수 있다. 조명부재(320)는 다수개의 발광소자(321)로 구성될 수 있다. 발광소자(321)는 발광다이오드(LE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8과 같이, 조명부(300)의 전단에는 돌기(330)가 구비될 수 있다. 돌기(330)는 몸체(310)의 전단 테두리부에 돌출형성될 수 있다. 돌기(330)의 재질은 일부 또는 전부가 모스굳기계(Mohs' scale of mineral hardness) 6 이상 10이하의 재질로서 구비될 수 있다. 돌기(330)는 유리창 등의 외부 구조물을 파쇄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돌기(330)는 외부 구조물을 파쇄할 시에 조명부(300)의 유리를 보호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공기정화부(100)의 일면에는 그 테두리 양측에 일단 또는 양단이 고정결합되는 조임끈(140)을 구비할 수 있다. 조임끈(140)은 공기정화부(100) 개방시, 외부로 반출이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조임끈(140)의 양단이 공기정화부(100)와 고정결합되는 경우, 조임끈(140)은 공기정화부(100)의 개방전에는 공기정화부(100)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거나, 공기정화부(100) 내측의 오목한 일면에 적재될 수 있다.
또한, 공기정화부(100)로부터 손잡이부(200)가 탈착되는 것과 동시에 조임끈(140)의 양단은 공기정화부(100)에 고정된 채, 조임끈(140)의 중간부분이 외부로 반출되어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게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조임끈(140)의 중간지점에는 조임끈(14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 슬라이드핀이 구비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끈(140)의 일단이 공기정화부(100)와 고정결합되는 경우, 조임끈(140)은 조임끈토출수단(15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조임끈토출수단(150)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줄자에 쓰이는 태엽장치 등과 같은 구조일 수 있다.
즉, 조임끈(140)을 띠처럼 만들어 둥근 갑속에 말아두었다가 필요할 때 풀어쓸 수 있는 구조이며, 풀어졌다가 자동으로 감기는 장치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수동으로 풀었다가 감는 장치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조임끈(140)의 길이를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공기정화부(100) 일면의 테두리 일측에는 분리버튼(130)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분리버튼(130)은 버튼의 형태일 수 있다.
분리버튼(130)은 외부에서 누르는 힘, 당기는 힘 또는 회전시키는 힘을 통해 서로 결합되어 있는 공기정화부(100)와 손잡이부(200)를 상호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분리버튼(130)은 외부로 탈착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분리버튼(130)의 일측에는 상술한 조임끈(140)의 타단이 연결될 수 있다. 즉, 분리버튼(130)은 조임끈(140)과 함께 외부로 반출될 수 있다.
상기에서 공기정화부(100)로부터 반출된 분리버튼(130)은 공기정화부(100) 일면의 테두리 타측에 구비된 고정고리(16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공기정화부(100)가 방독마스크로서 사용자의 머리에 용이하면서도 밀착되게끔 착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공기정화부(100)에는 사용자의 눈을 보호하는 안면렌즈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손잡이부(200)의 내측에는 손잡이홀(221,222)을 손잡이부(200)의 내부와 차단시키는 보호막부재(240)가 제공될 수 있다.
보호막부재(240)는 손잡이부(200)와 공기정화부(100)의 분리 후 조명부(300)의 전단에 구비되는 돌기(330)를 사용하는 경우(도 8 참조), 파쇄된 파편으로부터 내부손잡이(230)를 잡고 있는 사용자의 손을 보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화재 등의 재난사고시 방독마스크, 비상용 조명등 및 파쇄용 해머를 동시에 용이하게 획득하여 휴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 등의 비상탈출시 사용자가 간단하면서도 용이한 조작을 통하여 방독마스크, 비상용 조명등 및 파쇄용 해머를 분리하여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어 대피자의 안전한 탈출을 도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방독 및 조명 복합장비
100 : 공기정화부 110 : 공기정화통
120 : 안면밀착부 130 : 분리버튼
140 : 조임끈 150 : 조임끈토출수단
160 : 고정고리 200 : 손잡이부
210 : 상부홀 211, 212 : 가이드돌기
220 : 외부손잡이 221, 222 : 손잡이홀
230 : 내부손잡이 220 : 보호막부재
300 : 조명부 310 : 몸체
311, 312 : 가이드홈 320 : 조명부재
321 : 발광소자 330 : 돌기

Claims (5)

  1. 일면은 개방되면서 사용자의 안면부에 밀착되고, 타면에는 공기정화통이 구비되는 공기정화부;
    상기 공기정화부의 일면에 탈부착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 슬라이드결합되고, 빛을 발산하는 조명부;
    를 포함하는 방독 및 조명 복합장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부로부터 상기 손잡이부의 탈착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외부로 슬라이드 이동된 후, 상기 손잡이부의 전방을 향해 하방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 및 조명 복합장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외측면에 형성되는 외부손잡이와 내측에 제공되는 내부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의 상부에는 상기 조명부가 배치되는 상부홀이 형성되며,
    상기 조명부의 후단은 상기 내부손잡이의 상단과 힌지결합되고, 상기 조명부는 그 양측면이 상기 상부홀의 내측면을 따라 상기 손잡이부의 외부로 직선이동된 후 하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상부홀의 전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 및 조명 복합장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전단의 테두리부에 돌출형성된 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 및 조명 복합장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부의 일면에는 테두리 양측에 일단 또는 양단이 고정결합되는 조임끈을 구비하고,
    상기 공기정화부로부터 상기 손잡이부의 탈착시, 상기 조임끈은 외부로 반출 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 및 조명 복합장비.
KR1020150014157A 2015-01-29 2015-01-29 방독 및 조명 복합장비 KR101661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157A KR101661840B1 (ko) 2015-01-29 2015-01-29 방독 및 조명 복합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157A KR101661840B1 (ko) 2015-01-29 2015-01-29 방독 및 조명 복합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3317A true KR20160093317A (ko) 2016-08-08
KR101661840B1 KR101661840B1 (ko) 2016-09-30

Family

ID=56711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4157A KR101661840B1 (ko) 2015-01-29 2015-01-29 방독 및 조명 복합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18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9221A1 (ko) * 2019-01-30 2020-08-06 (주)피노스토리 비상탈출용 키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209A (ko) * 1998-03-05 1998-07-06 김학선 휴대용 손전등.
KR100740785B1 (ko) * 2005-09-09 2007-07-19 오성균 해머를 구비한 보조 손잡이
KR101361180B1 (ko) * 2011-05-20 2014-02-07 백종태 능동적 배포형 산소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209A (ko) * 1998-03-05 1998-07-06 김학선 휴대용 손전등.
KR100740785B1 (ko) * 2005-09-09 2007-07-19 오성균 해머를 구비한 보조 손잡이
KR101361180B1 (ko) * 2011-05-20 2014-02-07 백종태 능동적 배포형 산소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9221A1 (ko) * 2019-01-30 2020-08-06 (주)피노스토리 비상탈출용 키트
CN113382781A (zh) * 2019-01-30 2021-09-10 皮诺斯道瑞株式会社 紧急逃生工具包
JP2022519218A (ja) * 2019-01-30 2022-03-22 ピノストーリ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緊急脱出用キ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1840B1 (ko) 2016-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6414B1 (ko) 화재대피용 방독마스크
US5964218A (en) Face mask with back-up smoke inhalation protection and method of operation
KR101661840B1 (ko) 방독 및 조명 복합장비
KR101298769B1 (ko) 건물 내 구명 호흡 장치
KR101517608B1 (ko) 비상용 네비게이션 방독면
KR20210091493A (ko) 일회용 방화방독면
CN103948205A (zh) 灾情逃生用头盔
KR101041977B1 (ko) 피구조자용 호흡 장비
KR20130075366A (ko) 긴급구조용 공기호흡기
KR101305359B1 (ko)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
KR20110002173U (ko) 비상탈출용구 보관함
KR102413183B1 (ko) 비상 손전등
KR102184023B1 (ko) 수중용 선형 비상와이어 권선장치
WO2013085143A1 (ko) 휴대용 산소호흡기
CN103961818B (zh) 一种呼吸器
CN210174803U (zh) 汽车落水自救逃生装置
CN202143758U (zh) 一种消防安全逃生包
CN208465012U (zh) 一种易识别的荧光防护头罩
KR101980853B1 (ko) 재 호흡 기능을 가진 안전 보호 장치 및 그 방법
CN218944211U (zh) 一种油田应急专用防护装置
CN106215344A (zh) 一种火灾自助救生装置
KR200483699Y1 (ko) 휴대용 위치 추적 공기 호흡기
CN213405029U (zh) 一种带心率检测的消防音视频头盔
CN103106850A (zh) 一种应急逃生指示灯箱
CN210717039U (zh) 一种组合式火灾隔烟雾应急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