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9692B1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9692B1
KR100739692B1 KR1020050011556A KR20050011556A KR100739692B1 KR 100739692 B1 KR100739692 B1 KR 100739692B1 KR 1020050011556 A KR1020050011556 A KR 1020050011556A KR 20050011556 A KR20050011556 A KR 20050011556A KR 100739692 B1 KR100739692 B1 KR 100739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card
cover
main body
mounting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1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0863A (ko
Inventor
최철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1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9692B1/ko
Publication of KR20060090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0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9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9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1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5/00Audible advert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커버와 커버의 일측에 마련되어 복수의 메모리카드를 각각 끼울 수 있는 장착부와 본체에 장착 및 탈착을 가이드하는 안내부를 구비하여, 정전기 방전에 의한 메인 컨트롤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메모리카드를 메인 컨트롤러 보드에 정확하게 장착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forming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서 메모리카드를 교환하는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카드 장착장치를 본체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카드 장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카드 장착장치에 메모리카드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장착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카드 장착장치가 본체에 장착될 때 가이드부의 동작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카드 장착장치에 의하여 메모리 카드가 장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본체 110...장착홈
120...가이드돌기부 130...메인 컨트롤러 보드
131,132...커넥터 140...메모리카드 장착장치
141...커버 142...가이드부
1421...가이드홈 143...장착부
1432...돌출부 150...메모리카드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모리카드를 본체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메모리카드장치장치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디지털화상신호를 받아 레이저스캐닝유닛(LSU)과 같은 노광장치에 의하여 감광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토너를 이용하여 정전잠상을 토너화상으로 현상하고, 이 토너화상을 기록매체에 전사시켜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기록매체에 융착시킴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토너(toner) 및 캐리어(carrier)의 상태에 따라 건식과 습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건식은 다시 1성분(one phase) 현상장치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와 2성분(two phase) 현상장치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로 나눌 수 있다.
1성분 현상장치는 토너만을 공급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방식이고, 2성분 현상장치는 토너 및 캐리어를 이용하여 토너입자들이 붙어있는 캐리어를 공급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방식이다.
1성분 현상장치는 토너를 감광체에 공급하여 토너화상을 현상한 후 감광체의 표면에 잔류하는 토너는 클리닝블레이드에 의하여 제거되어 회수장치에 의하여 회수되어 재 사용된다. 또한, 2성분 현상장치도 캐리어는 감광체에 공급되지 않고 회수되며, 토너입자들만 감광체에 공급되어 토너화상을 현상한 후 감광체의 표면에 잔류하는 토너입자들은 클리닝블레이드에 의하여 제거되어 회수장치에 의하여 회수되어 재 사용된다. 상기한 설명은 흑백화상을 형성하는 경우를 설명한 것이며, 칼라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감광체의 표면에 잔류하는 화상은 여러 색을 띠는 토너가 서로 섞여있는 것으로 재 사용하기는 어렵다.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서 메모리카드를 교환하는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체(10)의 일측에는 본체(1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메모리카드(30)가 삽입되는 홀(11)을 개폐시키는 커버(2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커버(20)를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열고 메모리카드(30)를 화살표방향으로 하여 홀(11)내부로 삽입한다.
메모리카드(30)는 홀(11)내부로 삽입되면 메모리카드(30)상에 마련되어 있는 복수의 접지(31)가 홀(11)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메인 컨트롤러 보드의 커넥터(미도시)들에 접속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모리카드(30)를 홀(11)내부로 삽입한 후 커버(20)를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닫는다.
그런데, 메모리카드를 손으로 잡아서 홀(11)내측으로 삽입 시, 메인 컨트롤러 보드에 손이 닿을 경우 정전기 방전등으로 인하여 보드가 파손될 우려가 있으 며, 메모리카드 삽입 시 커넥터에 정확히 삽입하기가 어려우며, 메모리카드를 삽입 후 별도의 커버를 닫아야 하므로 불편하며 커버가 쉽게 파손될 소지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메모리카드 삽입 시 메인 컨트롤러 보드에 손이 직접 닿지 않도록 하여 정전기 방전으로 인하여 메인보드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메모리카드 삽입장치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화상형성장치는 메모리카드를 본체의 메인 콘트롤러 보드의 커넥터에 장착시키는 메모리카드 장착장치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카드 장착장치는
상기 본체에 장탈탁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일측에 마련되어 적어도 하나의 복수의 메모리카드를 끼울 수 있는 장착부와;
상기 커버를 상기 본체에 장착 또는 탈착할 때,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에 용이하게 장착 또는 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를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카드 장착장치를 본체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카드 장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카드 장착장치에 메모리카드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장착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카드 장착장치가 본체에 장착될 때 가이드부의 동작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카드 장착장치에 의하여 메모리 카드가 장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메모리카드 장착장치(140)는 본체(100)에 마련된 장착홈(110)에 장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메모리카드 장착장치(140)는 커버(141)와 상기 커버(141)의 일측에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복수의 메모리카드(150)가 각각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장착부(143)와 상기 본체(100)에 장착 또는 탈착될 때 가이드되면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마련된 가이드부(14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장착부(143)는 상기 메모리카드(150)의 일측이 끼워지는 것으로, 그 내측(1431)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돌출부(1432)가 서로 대향되어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돌출부(1432)사이의 거리(C)가 상기 메모리카드(150)의 높이(D)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메모리카드(150)를 상기 장착부(143)의 내측(1431)에 삽입하면 상기 메모리카드(1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1432)의 사이에 끼워지면서 고정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1432)는 그 자체가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체이므로 상기 메모리카드(150)와 접촉할 때 어느 정도 탄성변형 되면서 상기 메모리카드(150)를 붙잡아 고정시킨다.
상기 가이드부(142)는 상기 장착부(142)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그 일부를 절개하고 제거하여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홈(1421)이 서로 대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 본체(100)에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홈(1421)에 각각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메모리카드 장착부(140)가 상기 본체(100)의 장착홈(110)에 장착 또는 탈착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돌기부(120)가 서로 대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홈(1421)의 길이(l)는 상기 메모리카드 장착장치(140)가 상기 본체(100)의 장착홈(110)에 삽입되어 상기 메모리카드(150)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는 메인 컨트롤러 보드(130)의 커넥터(131)(132)에 장착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커버(141)가 상기 장착홈(110)에 장착될 수 있는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모리카드 장착장치(140)에 의하여 상기 메모리카드(150)가 상기 메인 컨트롤러 보드(130)의 커넥터(131)(132)에 장착되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잠금부(clip)가 상기 메모리카드(150)를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시킨다. 상기 메모리카드(150)가 상기 커넥터(131)(132)에 장착되어 고정된 후에는 상기 메모리카드 장착장치(140)를 상기 장착홈(110)으로부터 이격시키더라도 상기 메모리카드(150)는 상기 커넥터(131)(132)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며, 상기 메모리카드(150)는 상기 장착부(142)로부터 이탈되므로 상기 메모리카드 장착장치(140)만이 상기 장착홈(110)으로부터 이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메모리카드 장착장치를 이용하여 메모리카드를 메인 컨트롤러 보드에 장착하므로 손이 메인 컨트롤러 보드에 직접 닿지 않아 정전기 방전에 의한 메인 컨트롤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메모리카드를 메인 컨트롤러 보드에 정확하게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메모리카드를 본체의 메인 콘트롤러 보드의 커넥터에 장착시키는 메모리카드 장착장치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카드 장착장치는
    상기 본체에 장탈탁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일측에 마련되어 적어도 하나의 복수의 메모리카드를 끼울 수 있는 장착부와;
    상기 커버를 상기 본체에 장착 또는 탈착할 때,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에 용이하게 장착 또는 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를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50011556A 2005-02-11 2005-02-11 화상형성장치 KR100739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1556A KR100739692B1 (ko) 2005-02-11 2005-02-11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1556A KR100739692B1 (ko) 2005-02-11 2005-02-11 화상형성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7071A Division KR100739813B1 (ko) 2007-02-20 2007-02-20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0863A KR20060090863A (ko) 2006-08-17
KR100739692B1 true KR100739692B1 (ko) 2007-07-13

Family

ID=37592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1556A KR100739692B1 (ko) 2005-02-11 2005-02-11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969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3435A (ja) 1996-09-10 1998-03-31 Nec Corp メモリカードのイジェクト機構
JPH1115929A (ja) 1997-06-26 1999-01-22 Sharp Corp カードの装着方法
JP2004241199A (ja) 2003-02-04 2004-08-26 Seiko Epson Corp 記録装置に搭載される表示装置、記録装置、及び記録装置の制御方法
JP2005014242A (ja) 2003-06-23 2005-01-20 Fuji Photo Film Co Ltd プリン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3435A (ja) 1996-09-10 1998-03-31 Nec Corp メモリカードのイジェクト機構
JPH1115929A (ja) 1997-06-26 1999-01-22 Sharp Corp カードの装着方法
JP2004241199A (ja) 2003-02-04 2004-08-26 Seiko Epson Corp 記録装置に搭載される表示装置、記録装置、及び記録装置の制御方法
JP2005014242A (ja) 2003-06-23 2005-01-20 Fuji Photo Film Co Ltd プリン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0863A (ko) 200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81058A1 (en) Image-forming apparatus including frame to which developing cartridge having electrical contact surface is attachable together with drum cartridge
US1020365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electrical contact
US8787790B2 (en) Developing apparatus having a spacer and a leakage preventer
JP2006221010A (ja) 画像形成用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981518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739813B1 (ko) 화상형성장치
JP6907530B2 (ja) 画像形成装置
JP4524694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保護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5145982B2 (ja) 現像カートリッジ
KR100739692B1 (ko) 화상형성장치
KR20180019408A (ko) 카트리지 지지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CN104298093A (zh) 图像形成装置
JP2005208661A (ja) プリンタの廃トナー貯蔵庫
JP5393642B2 (ja) 感光体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148058A (ja) 画像形成装置
KR101109595B1 (ko) 위치 결정용 캡을 구비하는 현상 카트리지
JP4524696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保護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CN214540388U (zh)
KR920006076Y1 (ko) 전자사진 기록장치의 현상압력 해제 및 현상유니트 착탈장치
JP3537307B2 (ja) 電子写真装置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装置
JP3111726B2 (ja) 電子機器
JP2005266545A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帯電装置
JP2023065193A (ja) 画像形成装置
TWI406114B (zh) 碳粉匣定位機構及相關扁平式碳粉匣
KR100657308B1 (ko)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