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9535B1 - 파일기초를 이용한 구조물기초 - Google Patents

파일기초를 이용한 구조물기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9535B1
KR100739535B1 KR1020060022139A KR20060022139A KR100739535B1 KR 100739535 B1 KR100739535 B1 KR 100739535B1 KR 1020060022139 A KR1020060022139 A KR 1020060022139A KR 20060022139 A KR20060022139 A KR 20060022139A KR 100739535 B1 KR100739535 B1 KR 100739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undation
file
connecting plate
plate
horizontal conn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2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금창준
Original Assignee
금창준
(주)신승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창준, (주)신승이앤씨 filed Critical 금창준
Priority to KR1020060022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95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9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9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23Details of top sections of foundation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85Shapes cylindric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2Steel; Iron in sheet form, i.e. bent or deformed plate-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음벽을 포함하는 구조물용 기초에 있어서, 지반(A)에 이격되어 매입되되, 두부가 상방 돌출연장 되도록 설치된 파일기초; 상기 파일기초의 상부면에 형성된 두부연결부; 및 상기 두부연결부와 지반 사이의 이격된 파일기초 사이에 설치된 가드레일판을 포함하는 하부기초판;으로 구성되어 시공이 용이하면서도 경제적으로 시공이 가능한 구조물기초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파일기초, 방음벽

Description

파일기초를 이용한 구조물기초{STRUCTURE FOUNDATION USING PILE}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방음벽의 설치상태도 및 프리캐스트 옹벽기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파일기초를 이용한 구조물기초 및 도로변에 설치된 구조물기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두부연결부의 구체예 1을 도시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두부연결부의 구체예 2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두부연결부의 구체예 3을 도시한 것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두부연결부의 구체예 4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두부연결부의 구체예 5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기초파일 200:두부연결부
300:하부기초판 400:구조물지주
500:방음벽 벽체 A:지반, B:도로
본 발명은 파일기초를 이용한 구조물기초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방음벽과 같은 구조물 기초를 설치함에 있어서 기초파일 및 하부기초판을 이용하여 보다 시공이 용이하면서도 경제적으로 시공이 가능한 구조물기초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방음벽(10)을 기초부(30)와 함께 도로(20)변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즉, 상기 방음벽(10)은 도로(20)변에 터파기와 같은 기초부 형성을 위한 지반 정지작업을 완성한 후에, 미도시 하였지만 기초부(30)를 성형하기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푸집에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함으로써 기초부(30)가 완성되며, 상기 기초부(30)에 H파일과 같은 지주(11)를 소정 연장길이에 이격시켜 설치한 후, 상기 지주(11) 사이에 방음벽용 패널(12)을 삽입, 설치하게 된다.
이때, 거푸집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하기 위하여 터파기 시 상당한 굴착작업이 필요하고, 콘크리트 타설도 동절기에는 작업이 중단되는 경우가 있어 사실상 공기 및 경제성 측면에서 상당한 애로사항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출원인은 특히 옹벽 시공에 있어 기초부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공종을 없애기 위하여 기초부를 프리캐스트 제품으로 설치하는 방법에 관하여 출원한 바 있다.
즉, 도 1b와 같이 기초콘크리트 판에 프리캐스트 기초판(40)을 설치하고, 역시 프리캐스트 벽체(90)를 상기 기초판(40) 전단부의 삽입홈(41)에 설치한 후, 프리캐스트 벽체(90)와 프리캐스트 기초판(40)을 고정블록(50), 커플러(70) 및 연결 강재(60,80)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출원 한 바 있으나, 이러한 프리캐스트 제품의 경우 나름대로 품질관리 및 공기단축의 효과가 있으나 역시 기초부를 설치하기 위한 굴착작업이 필요하는 등 경제성측면에서 보다 효율적인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상기 기술적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방음벽과 같은 기초를 시공함에 있어 보다 시공이 용이하며, 현장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물 기초를 제공하는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초 상부면에 설치되는 구조물지주와의 다양한 두부연결부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시공이 가능한 구조물 기초를 제공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첫째, 구조물 기초를 형성시킴에 있어 기초파일(100)을 지반(A)에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항타 또는 관입되어 설치되도록 한 후, 상기 기초파일이 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한 후, 기초파일 사이 전면부에 단순 탈착형태로 설치가 가능한 가드레일판 등과 같은 하부기초판을 설치함으로써 신속하고, 용이한 구조물 기초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둘째, 상기 구조물 기초로써 파일 상부면에 방음벽과 같은 구조물지주가 설치되는 경우에 있어 현장작업을 최소화한 다양한 두부연결구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하부기초판의 경우 차량충돌 등에 의한 충격흡수 등이 가능한 강성 또는 연성 하부기초판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용성이 확장된 구조물 기초가 제공되도록 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파일기초를 이용한 구조물기초를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파일기초를 이용한 구조물기초의 부분 발췌사시도 및 도로변에 설치된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일기초를 이용한 구조물기초는 방음벽을 포함하는 구조물용 기초에 있어서,
지반(A)에 이격되어 매입되되, 두부가 상방 돌출연장 되도록 설치된 파일기초(100);
상기 파일기초의 상부면에 형성된 두부연결부(200); 및
상기 두부연결부와 지반 사이의 이격된 파일기초 사이에 설치된 가드레일판을 포함하는 하부기초판(300);을 포함한다.
파일기초(100)는 H 파일 또는 원형강관이 이용될 수 있으며, 지반(A)에 항타 또는 천공기를 이용하여 먼저 지반을 천공시킨 후, H 파일 또는 원형강관을 삽입하고,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와 같은 주입재를 충전시켜 적어도 파일기초(100)가 지반(A)에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파일기초(100)는 그 두부가 지반(A)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연장돌출 되도록 시공하여 후술되는 하부기초판(300)이 돌출된 파일기초(100)의 전면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때 지반(A)는 도로변에 인접한 성토부가 될 수 있을 것이며, 지반(A)에 형성시킨 기초콘크리트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파일기초(100) 및 하부기초판(300)은 도 1a 및 도 1b의 구조물용 기초부(30,40)역할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종래 기초부 시공을 위한 거푸집 설치작업, 콘크리트 타설 작업, 철근 배근작업등이 필요없게 되며, 프리캐스트 기초판의 운반, 시공에 따른 장비의 다수 현장 반입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파일기초 항타 등을 위한 현장 상주장비(백호우)를 이용할 경우 기초 설치를 위한 공기 및 공사비를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두부연결부(200)는 파일기초(100)의 상부면에 방음벽용 패널과 같은 도로용 방음벽 벽체(500)가 삽입, 설치될 수 있는 H 파일을 포함하는 구조물지주(400)가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매개체의 기능을 가지게 되며, 아래와 같은 구체예들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예 1>
도 3a 및 도 3b는 구체예 1에 의한 두부연결부(200a)의 설치완성도 또는 설치조립도이다. 이러한 두부연결부(200a)는 원형강관인 파일기초(100)를 기준으로 살펴본다.
상기 두부연결부(200a)는 원형강관(10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 하부 수평연결판(210a); 상기 하부 수평연결판(210a)에 형성된 관통공에 볼트 및 너트를 포함 하는 체결구에 연결되는 상부 수평연결판(220a);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수평연결판(210a)의 상면에 하부가 고정된 H 파일을 포함한 구조물지주(400)가 고정된다.
하부 수평연결판하부 수평연결판(210a)은 파일기초(100)인 원형강관의 외주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굴곡가공된 반원형 하부지지판(211a)의 상부에 하부 수평연결판(210a)이 지지되어 설치되며, 상부 하부 수평연결판(210a)의 상부면은 원형강관인 파일기초(100) 상부면과 단차가 지지않도록 배치된다.
굴곡가공된 반원형 하부지지판(211a)의 경우 도 3b와 같이 2개로 분절되어 원형강관인 파일기초(100)에 볼트 등을 포함하는 고정구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하며, 보강편(212a)이 하부 수평연결판(210a)과 반원형 하부지지판(211a)에 더 설치되어 굴곡가공된 반원형 하부지지판(211a)에 하부 수평연결판(210a)이 견고하게 지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부 수평연결판(220a)은 하부 수평연결판 상부면에 대응한 크기의 사각판재를 이용할 수 있으며, 그 상부면에는 구조물지주(400)가 개략 중앙부에 위치되어 보강편(221a)에 의하여 견고하게 지지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조물지주(400)의 경우 H 파일을 이용할 경우에는 그 복부에 추가적인 보강편(222a)이 볼트 등에 의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견고한 구조물지주의 지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로써, 상부 수평연결판(220a)은 하부 수평연결판(210a)에 볼트 및 너트 등에 의한 기계적 체결구에 의하여 서로 일체화될 수 있게 된다.
도 3a는 이러한 구조물지주(400)가 구체예 1에 의한 두부연결부(200a)에 의 하여 파일기초(100)에 상부에 기계적 체결상태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써, 이에 본 발명은 파일기초(100), 두부연결부(200a) 및 구조물지주(400)에 의하여 방음벽벽체를 구조물지주(400) 사이에 설치할 수 있어 매우 신속하고 효율적인 구조물기초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구체예 2>
도 4a 및 도 4b는 구체예 2에 의한 두부연결부(200b)의 설치완성도 및 설치조립도이다. 이러한 두부연결부(200b)도 역시 원형강관인 파일기초(100)를 기준으로 살펴본다.
구체예 1과 비교하여 상부 수평연결판(220b) 및 구조물지주(400)는 동일하되, 하부 수평연결판(210b)의 형태에 차이가 있다.
즉 구체예 2에 의한 두부연결부(200b)는 원형강관(100)의 상부면 주위에 고정 설치된 하부 수평연결판(210b); 상기 하부 수평연결판(210b)에 형성된 관통공에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체결구에 연결되는 상부 수평연결판(220b);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수평연결판(210a)의 상면에 하부가 고정된 H 파일을 포함한 구조물지주(400)가 고정된다.
즉, 상기 하부 수평연결판의 경우 도 3b와 같이 2개로 분절되어 형성되지 않고, 도 4b와 같이 직접 보강편(221b)에 의하여 파일기초(100) 상부면에 형성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파일기초(100) 상부면과 하부 수평연결판(210b)은 보강편(221b) 및 용접에 의하여 서로 일체화 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a는 이러한 구조물지주(400)가 구체예 2에 의한 두부연결부(200b)에 의 하여 파일기초(100)에 상부에 기계적 체결상태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써, 이에 역시 본 발명은 파일기초(100), 두부연결부(200b) 및 구조물지주(400)에 의하여 방음벽벽체(500)를 설치할 수 있어 매우 신속하고 효율적인 구조물기초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구체예 3>
도 5a 및 도 5b는 구체예 3에 의한 두부연결부(200c)의 설치완성도 및 설치조립도이다. 이러한 두부연결부(200c)도 역시 원형강관인 파일기초(100)를 기준으로 살펴본다.
상기 두부연결부(200c)는 원형강관(100)의 내측에 삽입되는 십자형 삽입부재(210c); 상기 십자형 삽입부재(210c) 상부면에 설치된 상부 원형 수평연결판(220c);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원형 수평연결판(220c)의 상면에 하부가 고정된 H 파일을 포함한 구조물지주(400)가 고정된다.
십자형 삽입부재(210c)는 원형강관의 직경을 고려하여 십자형태로 교차된 강판을 이용하여 제작하게 되고, 원형강관에 형성시킨 볼트공 체결된 볼트에 의하여 원형강관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볼트공이 역시 다수 형성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부 원형 수평연결판(220c)은 원형강관 상부면에 대응한 크기의 원형판재를 이용할 수 있으며, 그 상부면에는 구조물지주(400)가 개략 중앙부에 위치되어 보강편(221c)에 의하여 견고하게 지지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조물지주(400)의 경우 H 파일을 이용할 경우에는 그 복부에 추가적인 보강편(222c)이 볼트 등에 의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견고한 구조물지주의 지지가 가능하도록 함은 실시예1,2와 동일하다.
이로써, 구체예3의 경우 구조물지주(400)의 하면에 설치된 상부 원형 수평연결판(220c)만으로 파일기초(100)에 구조물지주(400)가 설치될 수 있어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도 5a는 이러한 구조물지주(400)가 구체예 3에 의한 두부연결부(200c)에 의하여 파일기초(100)에 상부에 기계적 체결상태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써, 이에 본 발명은 파일기초(100), 두부연결부(200c) 및 구조물지주(400)에 의하여 방음벽벽체(500)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구체예 4>
도 6a 및 도 6b는 구체예 4에 의한 두부연결부(200d)의 설치완성도 및 설치조립도이다. 이러한 두부연결부(200d)도 역시 원형강관인 파일기초(100)를 기준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으며, 이는 구체예 4의 변형예라고 볼 수 있다.
상기 두부연결부(200d)는 파일기초(100)가 내측에 삽입되도록 원형관형태의 관형삽입부재(210d); 상기 관형삽입부재(210d) 상부면에 설치된 상부 원형 수평연결판(220d);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원형 수평연결판(220d)의 상면에 하부가 고정된 H 파일을 포함한 구조물지주(400)가 고정된다.
상기 상부 원형 수평연결판(220d)과 구조물지주(400)는 구체예 3의 상부 원형 수평연결판(220c)과 구조물지주(400)과 동일하며,
구체예 3의 십자형 삽입부재(210c) 대신에 상부 원형 수평연결판(220d) 저면 에 관형삽입부재(210d)가 설치되도록 함에 차이가 있다.
상기 관형삽입부재(210d)는 파일기초인 원형강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제작되어 파일기초의 상단부가 관형삽입부재(210d)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부 원형 수평연결판(220d)에 맞닿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관형삽입부재(210d)의 외주면에는 볼트공이 다수 형성되어 있어 볼트 등에 의하여 관형삽입부재(210d)가 파일기초(100) 상단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a는 이러한 구조물지주(400)가 구체예 4에 의한 두부연결부(200d)에 의하여 파일기초(100)에 상부에 기계적 체결상태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써, 이에 본 발명은 파일기초(100), 두부연결부(200d) 및 구조물지주(400)에 의하여 방음벽벽체(500)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구체예 5>
도 7a 및 도 7b는 구체예 5에 의한 두부연결부(200e)의 설치완성도 및 설치조립도이다. 이러한 두부연결부(200e)은 H 파일인 파일기초(100)를 기준으로 살펴본다.
상기 두부연결부(200e)는 H 파일의 플랜지 양측면에 고정설치된 ㄷ자 채널형태의 측면접철부재(210e); 상기 측면접철부재(210e) 상부면에 설치된 상부 수평연결판(220e);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수평연결판(220e)의 상면에 하부가 고정된 H 파일을 포함한 구조물지주(400)가 고정된다.
ㄷ자 채널형태의 측면접철부재(210e)의 경우 파일기초가 H 파일이기 때문에 상부 수평연결판(220e) 연결을 위하여 파일기초 양 측면에 볼트 등을 이용하여 고 정될 수 있도록 하며, 보강편(211e)에 의하여 역시 보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측면접철부재(210e)의 상부면에는 볼트 등에 의하여 상부 수평연결판(220e)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부 수평연결판(220e)은 하부 수평연결판의 크기에 대응한 크기의 사각판재를 이용할 수 있으며, 그 상부면에는 구조물지주(400)가 개략 중앙부에 위치되어 역시 보강편(221e)에 의하여 견고하게 지지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조물지주(400)의 경우 H 파일을 이용할 경우에는 그 복부에 추가적인 보강편(222e)이 볼트 등에 의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견고한 구조물지주의 지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로써, 구체예 5의 경우 파일기초로써 H파일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두부연결부(200e)도 이에 대응하여 변형제작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a는 이러한 구조물지주(400)가 구체예 5에 의한 두부연결부(200e)에 의하여 H파일인 파일기초(100)에 상부에 기계적 체결상태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써, 이에 본 발명은 파일기초(100), 두부연결부(200e) 및 구조물지주(400)에 의하여 방음벽벽체(500)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하부기초판(300)은 도 2b와 같이 지반에 이격된 파일기초(100) 사이에 설치된 가드레일판 및 콘크리트체로써 지반으로부터 상방 돌출된 파일기초 전면부에 고정된다.
가드레일판(310)의 경우, 파일기초(100)가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공간이 남아있을 경우, 차량등의 충돌 시 이를 흡수할 수 있는 충벽보호수단이 없기 때문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종의 연성기초판이라 할 수 있다.
즉, 충돌체가 가지는 충돌에너지를 흡수하여 충돌체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게되며, 통상의 가드레일에 설치되는 갈매기형 가드레일판을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가드레일판은 도 2a와 같이 U형 볼트(310)에 의하여 기초파일에 고정될 수 있으며, 파일기초가 H 파일 경우에는 볼트 등을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가드레일판이 아닌 콘크리트체가 이용될 수도 있다. 즉 미도시하였지만 지주사이의 공간을 차지하기 위하여 중분대용 콘크리트체를 파일기초 사이에 위치시키고, 콘크리트체를 지주 사이에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지주 사이의 공간을 폐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콘크리트체는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이 아니므로 강성기초판으로써 충돌에 저항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2b는 위에서 살펴본 구조물 기초가 도로(B)변에 설치되고, 상기 구조물 기초부 상면에 다수의 구조물지주(400)가 설치되고, 상기 구조물지주(400) 사이에 방음벽 벽체(500)가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음을 도시한 것이다.
이로써, 본 발명의 구조물 기초는 파일기초(100) 및 구조물 지주(400)가 설치되고, 방음벽벽체(500)이 삽입, 설치됨으로써 방음벽과 같은 도로변 구조물 설치가 용이하게 완성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통상의 콘크리트 기초를 간단하게 기초파일, 하부기초판으 로 대체함으로써, 방음벽과 같은 구조물 기초를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고, 현장작업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장비운용에 있어서도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Claims (9)

  1. 방음벽을 포함하는 구조물용 기초에 있어서,
    지반(A)에 이격되어 매입되되, 두부가 상방 돌출연장 되도록 설치된 파일기초;
    상기 파일기초의 상부면에 형성된 두부연결부; 및
    상기 두부연결부와 지반 사이의 이격된 파일기초 사이에 설치된 가드레일판을 포함하는 하부기초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기초를 이용한 구조물기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기초는 지반에 원형강관을 포함하는 강관파일 또는 H 파일을 설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기초를 이용한 구조물기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연결부는
    원형강관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 하부 수평연결판; 상기 하부 수평연결판에 형성된 관통공에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체결구에 연결되는 상부 수평연결판;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수평연결판의 상면에 하부가 고정된 H 파일을 포함한 구조물 지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기초를 이용한 구조물기초.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연결부는
    원형강관의 상부면 주위에 고정 설치된 하부 수평연결판; 상기 하부 수평연결판에 형성된 관통공에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체결구에 연결되는 상부 수평연결판;을 포함하며,
    상기 상기 상부 수평연결판의 상면에 하부가 고정된 H 파일을 포함한 구조물 지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기초를 이용한 구조물기초.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연결부는
    원형강관의 내측에 삽입되는 십자형 삽입부재; 상기 십자형 삽입부재 상부면에 설치된 상부 원형 수평연결판;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원형 수평연결판의 상면에 하부가 고정된 H 파일을 포함한 구조물 지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기초를 이용한 구조물기초.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연결부는
    파일기초가 내측에 삽입되도록 원형관형태의 관형삽입부재; 상기 관형삽입부재 상부면에 설치된 상부 원형 수평연결판;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원형 수평연결판의 상면에 하부가 고정된 H 파일을 포함한 구조물 지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기초를 이용한 구조물기초.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연결부는
    H 파일의 플랜지 양측면에 고정설치된 ㄷ자 채널형태의 측면접철부재; 상기 측면접철부재 상부면에 설치된 상부 수평연결판;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수평연결판의 상면에 하부가 고정된 H 파일을 포함한 구조물 지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기초를 이용한 구조물기초.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기초 상부에 추가로 설치된 구조물지주 사이에는 방음벽벽체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기초를 이용한 구조물기초.
  9. 제 1항 내지 제 7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기초판은 차량하중을 포함하는 충격하중을 흡수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가드레일판을 포함하는 연성기초판 또는 충격하중에 저항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콘크리트체를 포함하는 강성기초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기초를 이용한 구조물기초.
KR1020060022139A 2006-03-09 2006-03-09 파일기초를 이용한 구조물기초 KR100739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139A KR100739535B1 (ko) 2006-03-09 2006-03-09 파일기초를 이용한 구조물기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139A KR100739535B1 (ko) 2006-03-09 2006-03-09 파일기초를 이용한 구조물기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389U Division KR200421789Y1 (ko) 2006-03-09 2006-03-09 파일기초를 이용한 구조물기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9535B1 true KR100739535B1 (ko) 2007-07-16

Family

ID=38498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2139A KR100739535B1 (ko) 2006-03-09 2006-03-09 파일기초를 이용한 구조물기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953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51899A (zh) * 2010-05-18 2010-10-06 中铁电气化局集团有限公司 一种h型预应力混凝土柱及其生产方法
KR101147670B1 (ko) 2011-09-19 2012-05-21 (주) 태평양지질 프리캐스트 스트립을 이용한 방음벽 기초대 및 이를 포함하는 방음벽 구조물
KR101252677B1 (ko) * 2010-08-09 2013-04-08 김선구 가드레일 지주를 이용한 방음벽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KR101363489B1 (ko) * 2012-01-27 2014-02-27 (주)파일테크 방음벽 기초
KR20160069111A (ko) * 2014-12-08 2016-06-16 에코리아 주식회사 가드레일을 이용한 방음벽
KR20180091693A (ko) * 2017-02-07 2018-08-16 주식회사 한국에너솔라 파일커플러를 이용한 파일 체결방법
KR102099957B1 (ko) * 2019-04-02 2020-04-13 케이블테크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중공기둥부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기초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574Y1 (ko) * 2002-11-20 2003-02-26 서경자 충격완화용 가드레일
KR200317913Y1 (ko) * 2003-03-14 2003-06-27 주식회사 케이.알 가설교량의 난간포스트 설치구조
KR20030074558A (ko) * 2003-08-25 2003-09-19 조남학 셀레늄.은행잎징코.솔잎아미노산.인삼사포닌.인삼진세르나.녹차페드린 등의 수용액으로 기능성 소주. 탁주. 청주.약주 제조방법
KR100451960B1 (ko) * 2004-04-21 2004-10-12 주식회사 누리플랜 난간의 설치방법 및 설치장치
KR200387013Y1 (ko) * 2005-03-16 2005-06-16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낙석방지책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574Y1 (ko) * 2002-11-20 2003-02-26 서경자 충격완화용 가드레일
KR200317913Y1 (ko) * 2003-03-14 2003-06-27 주식회사 케이.알 가설교량의 난간포스트 설치구조
KR20030074558A (ko) * 2003-08-25 2003-09-19 조남학 셀레늄.은행잎징코.솔잎아미노산.인삼사포닌.인삼진세르나.녹차페드린 등의 수용액으로 기능성 소주. 탁주. 청주.약주 제조방법
KR100451960B1 (ko) * 2004-04-21 2004-10-12 주식회사 누리플랜 난간의 설치방법 및 설치장치
KR200387013Y1 (ko) * 2005-03-16 2005-06-16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낙석방지책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51899A (zh) * 2010-05-18 2010-10-06 中铁电气化局集团有限公司 一种h型预应力混凝土柱及其生产方法
KR101252677B1 (ko) * 2010-08-09 2013-04-08 김선구 가드레일 지주를 이용한 방음벽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KR101147670B1 (ko) 2011-09-19 2012-05-21 (주) 태평양지질 프리캐스트 스트립을 이용한 방음벽 기초대 및 이를 포함하는 방음벽 구조물
KR101363489B1 (ko) * 2012-01-27 2014-02-27 (주)파일테크 방음벽 기초
KR20160069111A (ko) * 2014-12-08 2016-06-16 에코리아 주식회사 가드레일을 이용한 방음벽
KR101643750B1 (ko) * 2014-12-08 2016-07-29 에코리아 주식회사 가드레일을 이용한 방음벽
KR20180091693A (ko) * 2017-02-07 2018-08-16 주식회사 한국에너솔라 파일커플러를 이용한 파일 체결방법
KR101898853B1 (ko) 2017-02-07 2018-09-13 주식회사 한국에너솔라 파일커플러를 이용한 파일 체결방법
KR102099957B1 (ko) * 2019-04-02 2020-04-13 케이블테크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중공기둥부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기초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9535B1 (ko) 파일기초를 이용한 구조물기초
KR101901435B1 (ko) 파형 강판을 이용한 간접 접합 방식의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공법
KR200381589Y1 (ko)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
KR20090041707A (ko) 말뚝 두부 연결용 조립체, 이를 이용한 말뚝과 프리캐스트콘크리트 교각 구조물의 연결구조 및 그 연결시공방법
KR101013778B1 (ko) 파일에 지지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
KR20090125233A (ko) 강관 말뚝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각 구조물의 연결용 조립체, 이를 이용한 강관 말뚝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각 구조물의 연결구조 및 그 연결시공방법
JP5503408B2 (ja) 建物の施工方法
KR101363489B1 (ko) 방음벽 기초
KR100679301B1 (ko)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
KR101336732B1 (ko) 지주 보강형 기초와 밴드형 클램프를 이용한 가설 울타리 및 이의 시공 방법
JP2011006849A (ja) 基礎工法
KR200421789Y1 (ko) 파일기초를 이용한 구조물기초
JP5612353B2 (ja) 建物
JP2011241547A (ja) 束およびこれを備えた建物
KR101908356B1 (ko) 내진보강용 이중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KR102102214B1 (ko) 보 테이블폼 안전난간대
KR101473218B1 (ko) 지하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845078B1 (ko) 유동식 연결부재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JP4796325B2 (ja) 発泡性断熱体の型枠部材と改良されたセパレータを用いた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施工方法
KR102004854B1 (ko) 앵커플레이트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KR200378210Y1 (ko)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
KR101772938B1 (ko) 도로시설물의 지주 매입형 프리캐스트 기초 구조물 및 이의 시공 공법
KR102091212B1 (ko) 파일을 이용한 기초구조를 갖는 방음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3004242B2 (ja) 制震用建築材料、制震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JP5479213B2 (ja) 床下点検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