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8833B1 - 착색 도장용 무광택 아연도금철선의 제조 장치 및 그 방법,그리고 상기 방법 및 장치로 제조된 아연도금철선 - Google Patents

착색 도장용 무광택 아연도금철선의 제조 장치 및 그 방법,그리고 상기 방법 및 장치로 제조된 아연도금철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8833B1
KR100738833B1 KR1020060034749A KR20060034749A KR100738833B1 KR 100738833 B1 KR100738833 B1 KR 100738833B1 KR 1020060034749 A KR1020060034749 A KR 1020060034749A KR 20060034749 A KR20060034749 A KR 20060034749A KR 100738833 B1 KR100738833 B1 KR 100738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zinc
wire
iron wire
galvanized i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4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구
서동철
이해윤
김현수
박창영
Original Assignee
한국선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선재(주) filed Critical 한국선재(주)
Priority to KR1020060034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8833B1/ko
Priority to CNA2007100964632A priority patent/CN101058245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8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8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9/00Metallic coating of wire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3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aterial to be treated
    • C23C2/36Elongated material
    • C23C2/38Wires; Tub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금층을 최대화하고 순아연층을 최소화하면서 균일한 코팅층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철선 표면의 착색 도장을 용이하게 하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광택 아연도금철선의 제조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상기 방법 및 장치로 제조된 아연도금철선을 제시하고자 한다.
착색도장, 무광택, 아연도금철선, 와이핑 패드, 와이핑 와이어, 아연

Description

착색 도장용 무광택 아연도금철선의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상기 방법 및 장치로 제조된 아연도금철선{device and method zinc-plating wir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착색 도장용 무광택 아연도금철선의 단면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착색 도장용 무광택 아연도금철선의 단면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착색 도장용 무광택 아연도금철선을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Fe층(또는 와이어) 202: 합금층
204: 순아연층 206: 요철
500: 아연조 504: 이동식 침적 가이드부
506, 516: 회전롤러 508, 518: 레일
510: 패드 와이핑 512: 와이어 와이핑
514: 이동식 냉각 가이드부 522: 냉각로
본 발명은 착색 도장용 무광택 아연도금철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합금층을 최대화하고 순아연층을 최소화하여 표면의 착색 도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광택 아연도금철선의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상기 방법 및 장치로 제조된 아연도금철선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아연도금철선(B)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Fe층(100)의 표면에 합금층(Fe+Zn)(102)과 순아연층(Zn)(104)이 도금(또는 코팅) 처리되는데, 상기 도금방법으로는 전기아연도금방법과 용융아연도금방법이 있다.
상기 전기아연도금방법의 경우 표면의 전류효율 및 용액 내에 첨가제를 사용하여 표면 입자의 거칠기 및 광택 등을 조절할 수 있으며, 용융 도금과 달리 표면의 아연 부착 정도가 매우 균일할 뿐만 아니라 편차가 거의 없이 균일한 외관을 가지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상기 전기아연도금방법은 표면 외관의 자유로운 조절의 장점과 달리, 도금 부착량의 두께 조절에 한계가 있으며, 또한 용융도금과 같이 아연 부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라인의 길이를 증가시켜야 하고 도금처리 시간의 증가가 필수적인 요소이지만, 사실상 용융아연도금과 같은 후도금 철선(Heavy galva wire) 생산에는 한계가 있다.
한편, 용융아연도금방법은 용융된 아연의 철에 대한 희생방식 효과가 높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전기아연도금에 비해 비교적 저가로 이용되기 때문에 아연도금철선(B)을 제조할 때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후도금 철선(Heavy galva wire)과 같은 공법은 대부분 용융아연도금에서 개발되고 있을 정도로 도금 부착량의 두께 조절이 전기아연도금방법에 비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용융아연도금방법의 경우 순아연층 및 합금층의 제어가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도금 부착량의 편차가 전기아연도금방법에 비해 크고, 표면의 입자 거칠기 및 광택을 조절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표면이 균일하지 못하고 두꺼운 순아연층으로 인해 도장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도금층과 도장층이 치밀하지 못해 박리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착색 도장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특히, 위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아연도금철선(B)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아연층(104)의 두께가 불규칙할 뿐만 아니라 상기 순아연층(104)의 두께가 합금층(102)의 두께보다 매우 두껍기 때문에 착색 도장이 용이하지 못하고, 또한 상기 도장 작업시에 균일한 표면을 구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합금층을 최대화하고 순아연층을 최소화하면서 균일한 코팅층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철선 표면의 착색 도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광택 아연도금철선의 제조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상기 방법 및 장치로 제조된 아연도금철선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융아연도금방법과 특수 와이핑(wiping) 장치를 이용하여 표면의 순아연층을 최소화하고 합금층을 표면까지 발달시킴과 동시에 미세한 요철을 만든 무광택(dull finish) 아연도금철선 및 상기 아연도금철선을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균일한 착색 도장층을 구현할 수 있는 무광택 아연도금철선의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상기 방법 및 장치로 제조된 아연도금철선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제1 견지에 있어, 본 발명은 Fe층과, 상기 Fe층의 표면에는 합금층(Fe+Zn)과 순아연층(Zn)이 도금 처리되며, 상기 합금층의 두께를 상기 순아연층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순아연층의 두께를 5~10㎛로 하고 상기 합금층의 두께를 5~20㎛로 형성한 착색 도장용 무광택 아연도금철선을 제안한다.
상기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제2 견지에 있어, 본 발명은 와이어가 아연조에서 침적되는 단계에 일정한 침적 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침적 가이드부를 설치하고, 아연 도금하는 단계에서 표면의 순아연층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특수 패드 와이핑 및 스텐인레스 와이어 와이핑을 설치하며, 도금 후 냉각 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냉각로와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냉각 가이드부를 설치하여 구성된 착색 도장용 무광택 아연도금철선의 제조장치를 제안한다.
상기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제3 견지에 있어, 본 발명은 가열, 냉각, 산세, 전처리 과정을 거친 와이어를 침적시킨 다음, 이를 패드 와이핑을 통과시키면서 순 아연층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표면에 거친 요철을 만든 후, 이를 다시 와이어 와이핑을 통과시켜 와이어 표면의 불필요한 산화덩어리를 제거하고 상기 요철을 일정하고 균일하게 만든 후, 상기 과정으로 도금 처리된 와이어를 냉각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착색 도장용 무광택 아연도금철선의 제조방법을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한 개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에서는 순아연층의 두께를 최소화하고 합금층을 최대화시키면서 균일한 도금층을 형성하고, 또한 미세한 요철을 만들어 착색 도장이 용이하도록 하는 무광택 아연도금철선의 제조 장치 및 방법을 구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무광택 아연도금철선을 제조하기 위한 특수 와이핑 장치의 구성 및 용융아연도금방법이 구체적으로 개시되어야 하고, 또한 상기 장치 및 방법으로 제조된 아연도금철선의 단면 구성 및 상기 와이핑 장치를 이용했을 때의 아연도금철선의 물리적 특성(시험분석 결과)이 구체적으로 개시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색 도장용 무광택(dull finish) 아연도 금철선의 단면을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아연도금철선(A)은 Fe층(200)과, 합금층(Fz+Zn)(202) 및 순아연층(Zn)(204)으로 구성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Fe층(200)의 표면에는 합금층(202)이 균일한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합금층(202)의 표면에는 순아연층(20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순아연층(204)에는 미세한 요철(206)이 형성되는데, 상기 요철(206)과 균일한 두께로 형성된 도금층(202,204)으로 인해 표면의 착색 도장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즉, 아연도금철선(A)의 내식성이 증가되고 페인트 등의 착색이 유리하고, 또한 균일하고 일정한 두께의 도장층을 형성하여 상기 도장층이 박리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한편 위와 같이 구성된 아연도금철선(A)은 도 3에 도시한 제조장치에 의해 도금 처리되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색 도장용 무광택 아연도금철선을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조장치는 아연(502)이 담겨져 있는 아연조(500)와, 와이어(도 2에서는 Fe층(200)을 말한다)의 침적 거리를 조정하는 이동식 침적 가이드부(504)와, 순아연층(204)의 두께를 최소화하고 합금층(202)의 두께를 최대화시키는 패드 와이핑(510) 및 와이어 와이핑(512), 그리고 도금 처리된 와이어의 냉각 거리를 조절하는 이동식 냉각 가이드부(514)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식 침적 가이드부(504)는 아연조(500)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회전롤러(506)와 레일(508)로 구성된다. 즉, 회전롤러(506)는 권취롤(도시하지 않음)에 감겨져 있는 와이어(200)를 아연조(500)로 침적시키며, 상기 레일(508)은 아연 조(500)의 위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롤러(506)가 레일(508)을 따라 이동하면서 와이어(200)의 침적 거리를 임의로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침적 이동식 가이드부(504)는 와이어(200)의 침적 거리를 조정하여 합금층(202)의 생성 시작시점을 결정하고 아연 도금시에 진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패드 와이핑(pad wiping)(510)은 와이어(200)가 아연조(500)를 거쳐 빠져나올 때 순아연층(204)을 와이핑(wiping)하여 상기 순아연층(204)의 두께를 최소화하며, 바람직하게는 도금 표면의 순아연층(204)을 제거하는 동시에 표면에 거칠고 미세한 요철(506)을 형성시킨다. 이때 상기 패드 와이핑(510)은 내열 단열 처리가 된 섬유소재로서 내마모성이 뛰어나고, 수명이 약 12시간 정도이며,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드 와이핑(510)에는 압력조절 볼트(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고, 상기 볼트의 조절에 따라 순아연층(204)의 부착량을 일부 증가시킬 수 있다.
와이어 와이핑(wire wiping)(512)은 상기 패드 와이핑(510)과 연결되고 스프링 모양으로 형성되며, 또한 스테인레스 AISI 304L 강종으로 선경은 1.0~1.8mm 범위로 제품 경에 따라 사용하며, 수명은 약 12시간 마다 교체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와이어 와이핑(512)은 패드 와이핑(510)에 의해 발생되는 거친 요철(206)과 상기 패드 와이핑(510)의 마모에 따른 아연도금철선(A) 표면의 불필요한 산화 덩어리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순아연층(204)에 형성된 거친 요철(206)을 일정하고 균일한 요철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패드 와이핑(510)과 와이어 와이핑(512)을 사용하게 되면 순아연층(204)을 최소 5㎛~최대 10㎛로 줄일 수 있는 반면에 합금층(202)은 최소 5㎛~최 대 20㎛까지 조절이 가능하다.
냉각거리 조절용 이동식 냉각 가이드부(514)는 회전롤러(516)와 레일(516)을 구비하며, 상기 레일(516)은 아연조(500)의 상부 앞쪽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롤러(516)가 레일(518)을 타고 이동하면서 도금 처리된 와이어(즉, 도 2에 도시한 아연도금철선(A)를 말한다)의 냉각 거리를 조절하여 합금층(202)의 생성이 지속적으로 일어나도록 냉각거리를 확보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아연 도금시에 진동을 방지한다.
끝으로, 냉각로(522)는 도금 처리된 아연도금철선(A)를 냉각시키는 곳이며, 권취롤(524)은 상기 냉가로(522)를 통과한 아연도금철선(A)이 감기는 롤(roll)이다. 참조번호 520a와 520b는 단순한 가이드 롤러를 의미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착색 도장용 무광택 아연도금철선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와이어(즉, 도금 처리되지 않은 와이어) 표면의 고온 산화 스케일 발생을 위하여 약 850~880℃ 이상으로 유지하여 재로시간(와이어가 가열되는 시간)을 22sec/mm 정도로 유지한 다음, 고온 스케일이 충분히 성장할 수 있도록 냉각시간을 10sec/mm로 유지하면서 상기 와이어를 냉각시킨다.
다음, 염산조의 농도를 23~27% 정도로 유지하여 와이어(Fe) 표면에 과산세를 통한 요철을 형성한 후, 이를 다시 플럭스(flux) 처리를 실시한다. 이때 염산조의 온도는 50~60℃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위와 같은 통상적인 제조과정을 거친 와이어(도 2에서는 Fe층(200)을 말한다)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롤러(506)에 의해 풀려지면서 아연조(500)의 내부로 침적된다. 이때 아연도금의 온도 조건은 455±10℃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아연조(500) 내에서의 침적시간은 8sec/mm 이상을 유지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다음, 첨적된 와이어의 표면에는 패드 와이핑(510)과 와이어 와이핑(512)을 통과하면서 균일하고 일정한 두께의 합금층(202)과 순아연층(204)이 형성되고, 회전롤러(516)를 타고 냉각로(522)로 이동되어 냉각 처리된 다음, 권취롤(524)에 감기게 된다. 이때 아연도금 후 합금층(204) 생성 종료시간은 4sec/mm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 장치 및 방법에 따라 얻어진 착색 도장용 무광택 아연도금철선의 물리적 특성(시험분석 결과)을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7502484789-pat00004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침적시간 및 냉각시간을 임의대로 조정함으로써 합금층의 생성을 증가시키면서 외관 표면에 미세하고 거친 요철을 형성하며, 이로 인해 착색도장 공정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무광택 아연도금철선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색도장 작업 후에도 도금층과 도장층이 균일하게 유지됨으로써 상기 도장층의 박리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표면의 입자 거칠기 및 광택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합금층을 최대화하고 순아연층을 최소화하면서 균일한 코팅층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철선 표면의 착색 도장이 용이하도록 하는 상승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6)

  1. Fe층(200)과 합금층(202) 및 순아연층(204)으로 구성된 통상의 착색 도장용 무광택 아연도금철선에 있어서,
    상기 합금층(202)의 두께를 상기 순아연층(204)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 도장용 무광택 아연도금철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아연층(204)의 표면에는 요철(206)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 도장용 무광택 아연도금철선.
  3. 삭제
  4. Fe층(200)과 합금층(202) 및 순아연층(204)으로 구성된 착색 도장용 무광택 아연도금철선을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아연(502)이 담겨져 있는 아연조(500)와;
    상기 아연조(5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Fe층(200)이 상기 아연조(500)에서 침전되는 단계에 일정한 침적 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롤러(506) 및 레일(508)로 구성된 이동식 침적 가이드부(504)와;
    상기 아연조(500)의 상측 전방에 설치되며, 아연 도금하는 단계에서 표면의 순아연층(204)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패드 와이핑(510) 및 와이어 와이핑(512)과;
    상기 와이어 와이핑(512)과 일정 거리를 유지하면서 설치되며, 도금 후 냉각 거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냉각로(522)와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롤러(516) 및 레일(5180로 구성된 이동식 냉각 가이드부(51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 도장용 무광택 아연도금철선의 제조장치.
  5. 상기 제4항의 장치를 이용하여 착색 도장용 무광택 아연도금철선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상의 가열, 냉각, 산세, 전처리 과정을 거친 Fe층(200)를 아연조(500)에 침적시킨 다음, 이를 상기 패드 와이핑(510)을 통과시키면서 순아연층(204)을 형성하면서 요철(206)을 만든 후, 이를 다시 상기 와이어 와이핑(512)을 통과시켜 상기 Fe층(200) 표면의 산화덩어리를 제거하고 상기 요철(206)을 균일하게 만든 후, 상기 과정을 거친 결과물을 냉각시켜 아연도금철선(A)을 제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 도장용 무광택 아연도금철선의 제조방법.
  6. 삭제
KR1020060034749A 2006-04-18 2006-04-18 착색 도장용 무광택 아연도금철선의 제조 장치 및 그 방법,그리고 상기 방법 및 장치로 제조된 아연도금철선 KR100738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4749A KR100738833B1 (ko) 2006-04-18 2006-04-18 착색 도장용 무광택 아연도금철선의 제조 장치 및 그 방법,그리고 상기 방법 및 장치로 제조된 아연도금철선
CNA2007100964632A CN101058245A (zh) 2006-04-18 2007-04-18 着色涂装用无光泽镀锌钢丝的制造装置和制造方法以及用该方法和装置制造的镀锌钢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4749A KR100738833B1 (ko) 2006-04-18 2006-04-18 착색 도장용 무광택 아연도금철선의 제조 장치 및 그 방법,그리고 상기 방법 및 장치로 제조된 아연도금철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0301U Division KR200423132Y1 (ko) 2006-04-18 2006-04-18 착색 도장용 무광택 아연도금철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8833B1 true KR100738833B1 (ko) 2007-07-18

Family

ID=38498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4749A KR100738833B1 (ko) 2006-04-18 2006-04-18 착색 도장용 무광택 아연도금철선의 제조 장치 및 그 방법,그리고 상기 방법 및 장치로 제조된 아연도금철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38833B1 (ko)
CN (1) CN10105824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63057A (zh) * 2012-11-22 2013-03-13 南通贝思特科技咨询有限公司 海缆用特厚镀层锌钢丝
CN109112457A (zh) * 2018-08-21 2019-01-01 贵州钢绳股份有限公司 一种镀锌钢丝擦拭方法及其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3292A (en) 1980-10-04 1982-04-16 Nisshin Steel Co Ltd Original printing plate holding member and manufacture thereof
JPS57173196A (en) 1981-04-18 1982-10-25 Nisshin Steel Co Ltd Supporter for lithoprinting plate and manufacture thereof
KR19990051997A (ko) * 1997-12-20 1999-07-05 이구택 고품위 아연도금강판의 합금화 열처리장치
KR20010063534A (ko) * 1999-12-22 2001-07-09 이구택 내 파우더링성이 우수한 후도금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3292A (en) 1980-10-04 1982-04-16 Nisshin Steel Co Ltd Original printing plate holding member and manufacture thereof
JPS57173196A (en) 1981-04-18 1982-10-25 Nisshin Steel Co Ltd Supporter for lithoprinting plate and manufacture thereof
KR19990051997A (ko) * 1997-12-20 1999-07-05 이구택 고품위 아연도금강판의 합금화 열처리장치
KR20010063534A (ko) * 1999-12-22 2001-07-09 이구택 내 파우더링성이 우수한 후도금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58245A (zh) 200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8833B1 (ko) 착색 도장용 무광택 아연도금철선의 제조 장치 및 그 방법,그리고 상기 방법 및 장치로 제조된 아연도금철선
KR200423132Y1 (ko) 착색 도장용 무광택 아연도금철선
AU2013211694B2 (en) Method for improving a metal coating on a steel strip
CN109487307A (zh) 一种镀锌钢丝及其制备方法
CA2745332C (en) Galvaniz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02088460A (ja) 連続溶融めっき線材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KR100625952B1 (ko) 표면의 외관 및 광택도가 우수한 용융아연도금강판 제조방법
JP2645837B2 (ja) ワイヤーロープの表面処理方法
CN1049016C (zh) 镀锌喷塑双层卷焊管的生产工艺、设备及产品
KR20010060423A (ko) 표면외관이 우수한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 방법
JPH0730433B2 (ja) アルミニウムメッキ鋼板の製造方法
JP3654520B2 (ja) 加工性と加工部耐食性に優れた表面処理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10236677A1 (en) Galvaniz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406351B1 (ko) 표면외관이 우수한 전기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기아연도금강판
KR19990018149A (ko) 내흑변성이 우수한 제로스팡글 용융아연도금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KR100431604B1 (ko) 도장성이 우수한 합금화 용융아연 도금강판의제조방법.
JPH10226864A (ja) 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H04276055A (ja) 差厚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材の製造方法
JP3102785B1 (ja) 電気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720943B2 (ja) 冷延鋼板の製造方法
RU2434072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горячеоцинкованной стальной полосы
JPS60262948A (ja) 溶融亜鉛メツキのメツキロ−ル
KR0128126B1 (ko) 내파우더링성이 우수한 합금화 용융아연 도금강판의 제조방법
JP2754596B2 (ja) 加工性、塗装性、耐食性に優れた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75230B1 (ko) 안티몬분말 정압분사에 의한 제로스팡글 용융아연도금강판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