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7711B1 - 연료 분사 노즐 - Google Patents

연료 분사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7711B1
KR100737711B1 KR1020017002930A KR20017002930A KR100737711B1 KR 100737711 B1 KR100737711 B1 KR 100737711B1 KR 1020017002930 A KR1020017002930 A KR 1020017002930A KR 20017002930 A KR20017002930 A KR 20017002930A KR 100737711 B1 KR100737711 B1 KR 100737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ind hole
nozzle needle
nozzle
fuel injection
injection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2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9756A (ko
Inventor
봬킹프리트리히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10079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9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7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7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6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61/02 - F02M61/14
    • F02M61/18Injection nozzles, e.g. having valve seats; Details of valve member seated e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6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61/02 - F02M61/14
    • F02M61/18Injection nozzles, e.g. having valve seats; Details of valve member seated e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61/1806Injection nozzles, e.g. having valve seats; Details of valve member seated e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ischarge orifices, e.g. orientation or siz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라인드 홀(2)을 구비한 분사 노즐(1)에 관한 것이고, 상기 분사 노즐에서 블라인드 홀(2)과 노즐 니들 시트(4) 사이의 전이부(8)는 라운딩된다. 따라서 노즐 니들(5)의 부분 행정시, 상기 분사 노즐(1)의 유동 저항의 공차는 감소되며, 따라서 분사된 연료량의 정확한 측량을 가능하게 한다.
분사 노즐, 블라인드 홀, 니들 시트, 전이부, 노즐 니들

Description

연료 분사 노즐{Fuel injection nozzle}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분사구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홀 및 상기 블라인드 홀에 연결된 노즐 니들 시트를 구비한, 내연 기관용 연료 분사 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블라인드 홀-분사 노즐은 특히 노즐 니들의 부분 행정 범위에서 유동 저항 및 연료 분사량의 큰 변동을 가진다. 그 결과 상기 블라인드 홀-분사 노즐을 갖춘 다수의 내연 기관의 배출물질 및 연비는 최적화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동일한 구성을 가진 블라인드 홀-분사 노즐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노즐 니들의 부분 행정 범위에서 분사량의 변동이 감소되고,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홀-분사 노즐을 갖춘 내연 기관의 배출물질 및 연비가 개선되는, 블라인드 홀-분사 노즐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노즐 니들 시트와 블라인드 홀 사이의 전이부가 라운딩(rounding)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분사구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홀 및 상기 블라인드 홀에 연결된 노즐 니들 시트를 구비한, 내연 기관용 분사 노즐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노즐 니들 시트와 블라인드 홀 사이의 전이부가 본 발명에 따라 라운딩되고, 이로써 규정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노즐 니들 시트와 블라인드 홀 사이에 있는 전이부의 결정적인 스로틀링(throttling) 작용이 규정되며, 따라서 동일한 구성을 가진 분사 노즐의 다양한 실시예 사이에서 매우 작은 범위에서만 변동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홀-분사 노즐의 작동 동작을 측정함으로써 구성이 같은 다른 모든 블라인드 홀-분사 노즐의 작동 동작이 현저히 높은 정확도로 예측될 수 있고 이에 상응되게 분사 과정이 최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노즐 니들 시트와 블라인드 홀 사이의 전이부가 0.01 ㎜ 와 0.1 ㎜ 사이, 바람직하게 0.04 ㎜ 와 0.06 ㎜ 사이의 반경으로 라운딩됨으로써, 한편으로는 상기 라운딩부는 분사 노즐의 부분 하중의 변동을 감소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라운딩부가 적은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경우 블라인드 홀은 원추형이기 때문에, 원추형 블라인드 홀-분사 노즐의 부분 하중 작동이 개선된다.
본 발명의 다른 버전에서, 블라인드 홀이 원통형으로 구현됨으로써 원통형 블라인드 홀-분사 노즐의 부분 하중 작동도 개선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사 노즐의 변형예에서, 노즐 니들 시트가 원뿔대 형상이고, 이로 인해 노즐 니들 시트에서 노즐 니들의 양호한 밀봉 효과 및 센터링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경우, 노즐 니들 시트의 원뿔각이 60°가 됨으로써, 노즐 니들과 노즐 니들 시트 사이의 양호한 밀봉 작용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버전에서는, 노즐 니들의 원뿔각이 노즐 니들 시트의 원뿔각 보다 1°까지, 바람직하게 15-30 분(angular minutes) 더 커서, 밀봉면이 작아지고 노즐 니들의 최대 직경 영역으로 변위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블라인드 홀이 미니 블라인드 홀 또는 마이크로 블라인드 홀이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점이 상기 분사 노즐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의 경우, 분사구과 블라인드 홀 사이의 전이부가 라운딩됨으로써, 분사구의 스로틀링 작용이 감소되며 좁은 공차 범위 내에서 변동된다.
서두에 언급된 목표는, 하나 이상의 분사구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홀을 구비하는 내연 기관용 분사 노즐에 의해 달성되고, 상기 분사 노즐은 분사구와 블라인드 홀 사이의 전이부가 라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치를 통해서 분사 노즐의 작동 성능의 변동이 감소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과 바람직한 실시예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 도면 및 청구항에서 나타난다.
본 발명의 대상의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되며 하기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도 1 은 블라인드 홀-분사 노즐의 횡단면도.
도 2 는 노즐 니들의 행정에 의한 분사 노즐의 유압 직경의 특성 곡선.
도 1 에는 원추형 블라인드 홀(2)을 가진 분사 노즐(1)이 도시된다. 상기 블라인드 홀(2)은 원통형일 수 있거나 또는 미니 또는 마이크로 블라인드 홀(2)일 수도 있다. 마지막에 언급한 미니 또는 마이크로 블라인드 홀의 경우, 블라인드 홀(2)의 용적은 도 1 에 도시된 구성에 비해서 감소된다. 따라서 내연 기관이 정지 했을 경우 연소실에서는 연료가 더 적게 증발된다.
분사구(3)를 통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연료는 블라인드 홀(2)로부터 마찬가지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연소실에 이른다. 원추형 블라인드 홀(2)에 원뿔대 형상의 노즐 니들 시트(4)가 연결된다. 상기 노즐 니들 시트(4)는 60°의 원뿔각을 가질 수 있다. 블라인드 홀(2)은 반드시 원추형일 필요는 없고, 원통형일 수도 있다.
상기 노즐 니들 시트(4)에는 노즐 니들(5)이 배치된다. 도 1 에서는 노즐 니들(5)의 원뿔각이 노즐 니들 시트(4)의 원뿔각보다 크다는 것이 분명히 도시된다. 이로 인해 상기 노즐 니들(5)과 노즐 니들 시트(4) 사이의 접촉부(6)가 노즐 니들(5)의 가장 큰 직경 영역에 위치하며, 노즐 니들(5)과 노즐 니들 시트(4) 사이의 표면 압력이 증가된다. 상기 노즐 니들(5)과 노즐 니들 시트(4)의 원뿔각의 차이는 도 1 에서 지나치게 도시되었다. 일반적으로 상기 차이는 1 도 보다 작으며, 수 분(angular minute)의 범위 내에서 이동된다.
도 1 의 좌측에서 상기 블라인드 홀(2)과 노즐 니들 시트(4) 사이의 전이부는 종래 기술에 따라서 에지(edge: 7)의 형태로서 도시되어 있다. 에지(7)는 노즐 니들 시트(4)의 연마시 발생한다. 처리 방법에 따라서 에지(7)는 날카로운 버르(burr) 또는 매끄러운 에지가 될 수 있다. 상기 에지의 유동 저항은 에지의 상태에 영향을 받는다.
도 1 의 우측에는 상기 블라인드 홀(2)과 노즐 니들 시트(4) 사이에서 본 발명에 따라 라운딩된 전이부(8)가 도시된다. 상기 전이부(8)의 라운딩부는 횡단면에서 볼 때 예를 들어 원형으로 될 수 있으며, 반경은 0.01 ㎜ 내지 0.1 ㎜, 바람직하게 0.04 ㎜ 내지 0.06 ㎜ 에 이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라운딩에 의해, 같은 구성의 분사 노즐(1)의 경우에 노즐 니들 시트(4)와 블라인드 홀(2) 사이의 전이부(8)의 구조가 매우 좁은 공차 범위 내에서 변동된다; 즉 전이부(8)의 구조가 규정되며 이로써 노즐 니들(5)이 노즐 니들 행정(9) 방향으로 노즐 니들 시트(4)로부터 들어 올려질 때 전이부(8)의 유동 저항도 분명히 규정된다. 그 결과 노즐 니들 시트(4)와 블라인드 홀(2) 사이의 전이부(8) 영역에서 본 발명에 따른 분사 노즐의 다양한 실시예의 유동 저항의 변동이 현격히 감소된다.
에지(7) 또는 전이부(8)의 영역에서 분사 노즐(1)의 유동 저항 변동의 결과는 도 2 에 도시된 그래프에 의해서 설명된다.
도 2 에는 노즐 니들 행정(9)과 블라인드 홀-분사 노즐(1)의 유압 직경(10) 사이의 성질을 나타내는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유압 직경(10)은 임의의 관류 횡단면을 상기 횡단면의 유동 저항과 관련하여 비교할 수 있는 크기이다. 원형 횡단면을 가진 파이프의 유동 저항이 기준값으로서 사용된다. 큰 유압 직경을 가진 횡단면은 적은 유동 저항을 가지며 그 반대도 가능하다.
도 2 에서는 노즐 니들 행정(9)이 두 개의 범위로 분리된다. 제 1 범위는 0 에서 "a" 까지 연장되고, 하기에서 부분 행정 범위로 지정된 제 2 범위는 "a" 에서 "b" 까지 연장된다. "c"에서는 완전한 노즐 니들 행정이 달성된다.
상기 노즐 니들(5)이 노즐 니들 시트(4) 상에 배치되는 폐쇄된 분사 노즐(1)이 개방되면, 매우 작은 노즐 니들 행정(9)의 경우 접촉부(6)의 영역에는 매우 좁은 틈이 생기고, 압력 하에 있는 연료는 상기 틈을 통해서 블라인드 홀(2)로 흐를 수 있다. 상기 매우 좁은 틈은 분사 노즐(1)의 유동 저항을 명확하게 결정하고 이로써 또한 유압 직경(10)도 결정한다. 매우 좁은 틈의 유동 저항이 크기 때문에, 매우 작은 노즐 니들 행정(9)의 경우 분사 노즐(1)의 유압 직경(10)도 매우 작다.
"a" 와 "b" 사이의 부분 행정 범위에서 분사 노즐(1)의 유동 저항은 노즐 니들 시트(4)와 블라인드 홀(2) 사이의 에지(7) 또는 전이부(8)에 의해서 명확하게 결정된다. 따라서 부분 행정 범위에서의 에지(7) 또는 전이부(8)는 분사 노즐(1)의 유압 직경에도 매우 중요하다. 이는 상기 노즐 니들 시트(4)와 블라인드 홀(2) 사이의 에지(7) 또는 전이부(8)의 구조 내에서의 변동은 유압 직경(10)의 변동을 가져오는 것을 의미한다. 완전한 노즐 니들 행정 "c" 범위에서 상기 분사 노즐(1)의 분사구(3)는 분사 노즐(1)의 유압 직경에 대해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상술된 내용에 따라 상기 에지(7) 또는 전이부(8)의 구조 변동은, 무엇보다 "a" 와 "b" 사이의 부분 행정 범위에서 분사 노즐(1)의 특성 곡선(11)의 변동을 야기한다.
도 1 에는 상기 블라인드 홀(2)과 분사구(3) 사이의 전이부를 라운딩하는 가능성은 도시되지 않는다. 상기 분사 노즐의 유동 저항이 감소됨으로써, 예를 들어 분사구(3)를 일반적으로 외부에서 내부로 구멍낼 경우 버르(burr)가 그대로 있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버르는 무엇보다 완전한 노즐 니들 행정시 분사 노즐(1)의 유동 저항을 증가시킨다. 이로부터 야기되는 단점은 이미 언급된 단점 및 하기에서 언급될, 에지(7) 또는 전이부(8)의 유동 저항이 심하게 변동하는 분사 노즐(1)의 단점에 상응한다.
도 2 는 에지(7) 또는 전이부(8)의 다양한 구조가 부분 행정 범위에서의 유압 직경에 미치는 작용을 특성 곡선(11, 12, 13)을 통해서 암시적으로 도시한다. 파선으로 도시된 특성 곡선(12)은 에지(7) 또는 전이부(8)의 구조를 나타내고, 상기 구조는 특성 곡선(11)에 비해서 더 큰 유압 직경을 가지며 그 결과 더 작은 스로틀링 손실을 가진다. 파선으로 도시된 특성 곡선(13)은 에지(7) 또는 전이부(8)의 구조의 작용을 도시하며 상기 작용은 도 2 의 특성 곡선(11)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더 강한 스로틀링 작용을 가진다.
대량 생산된 내연 기관의 경우, 상기 내연 기관과 이에 속하는 분사 시스템의 성능 그래프(Performance Graph)는 하나 또는 다수의 선택된 테스트 표본을 이용하여 측정을 통해 결정된다. 상기 방식으로 결정된 성능 그래프는 구성이 같은 모든 분사 시스템의 기초가 된다.
하기에서는, 상기 특성 곡선(11)이 측정된 특성 곡선이고, 상기 특성 곡선(11)이 분사 시스템의 제어 장치에 저장되는 것이 가정된다. 또한 대량 생산된 두 개의 분사 노즐이 특성 곡선(12, 13)을 가지는 것도 가정된다. 상기 특성 곡선(12, 13)을 가지는 분사 노즐(1)이, 특성 곡선(11)이 저장되어 있는 제어 장치와 상호 작용을 하면, 부분 행정 범위에서의 실제 분사량은 특성 곡선(11)에 따른 테스트 표본에서 측정된 최적의 분사량과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내연 기관의 성능 및/또는 배출물질이 저하된다.
그 반대로, 노즐 니들 시트(4)와 블라인드 홀(2) 사이의 전이부(8)를 라운딩함으로써 특성 곡선(11, 12, 13)의 변동이 감소될 수 있다. 이로써 제어 장치에 저장된 특성 곡선(11)과 대량 생산된 두 개의 분사 노즐의 특성 곡선(11, 12) 사이의 일치는 현저히 개선된다. 상기 일치는 예를 들어 2 내지 3 팩터(factor)만큼 개선될 수 있다. 그 결과 실제 분사된 연료량은 제어 장치에 의해서 예정된 분사량에 정확히 상응하고, 내연 기관의 배출물질 및 연비가 최적화된다.
상세한 설명, 하기의 청구항과 도면에 도시된 모든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또한 서로 임의로 조합되어 본 발명을 구성한다.

Claims (12)

  1. 노즐 니들(5)과, 하나 이상의 분사구(3)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홀(2), 및 상기 블라인드 홀(2)에 연결된 노즐 니들 시트(4)를 구비하고, 노즐 니들 시트(4)와 상기 블라인드 홀(2) 사이의 전이부(8)가 라운딩(rounding)되어 있는 내연 기관용 연료 분사 노즐(1)에 있어서,
    노즐 니들 시트의 영역과 이 노즐 니들 시트에 인접한 블라이드 홀(2) 부분의 영역에서 노즐 니들(5)이 원뿔대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노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니들 시트(4)와 상기 블라인드 홀(2) 사이의 상기 전이부(8)가 0.01 ㎜ 와 0.1 ㎜ 사이의 반경을 가지고 라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노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홀(2)이 원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노즐,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홀(2)이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노즐.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니들 시트(4)가 원뿔대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노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니들 시트(4)의 원뿔각이 6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노즐.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니들(5)의 원뿔각이 상기 노즐 니들 시트(4)의 원뿔각 보다 1 °까지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노즐.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홀(2)이 미니-블라인드 홀 또는 마이크로-블라인드 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노즐.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구(3)와 상기 블라인드 홀(2) 사이의 전이부(8)가 라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노즐.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니들 시트(4)와 블라인드 홀(2) 사이의 전이부(8)가 0.04 ㎜ 와 0.06 ㎜ 사이의 반경을 가지고 라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노즐.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니들(5)의 원뿔각이 상기 노즐 니들 시트(4)의 원뿔각 보다 15-30 분(angular minutes)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노즐.
KR1020017002930A 1999-07-08 2000-06-29 연료 분사 노즐 KR1007377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31761.5 1999-07-08
DE19931761A DE19931761A1 (de) 1999-07-08 1999-07-08 Sackloch-Einspritzdüse für Brennkraftmaschinen mit abgerundetem Übergang zwischen Sackloch und Düsennadelsitz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9756A KR20010079756A (ko) 2001-08-22
KR100737711B1 true KR100737711B1 (ko) 2007-07-11

Family

ID=7914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2930A KR100737711B1 (ko) 1999-07-08 2000-06-29 연료 분사 노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695230B1 (ko)
EP (1) EP1157208B1 (ko)
JP (1) JP2003504554A (ko)
KR (1) KR100737711B1 (ko)
CZ (1) CZ295060B6 (ko)
DE (2) DE19931761A1 (ko)
WO (1) WO20010044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07873A1 (de) * 2003-02-25 2004-09-02 Robert Bosch Gmbh Sackloch- und Sitzloch-Einspritzdüse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mit einem Übergangskegel zwischen Sackloch und Düsennadelsitz
JP5976586B2 (ja) * 2013-03-29 2016-08-23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噴射ノズル
JP2014194197A (ja) * 2013-03-29 2014-10-09 Denso Corp 燃料噴射ノズル
JP6109758B2 (ja) * 2014-01-30 2017-04-05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燃料噴射ノズル
JP7167663B2 (ja) * 2018-11-28 2022-11-09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噴射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6080A (en) * 1973-09-10 1974-09-17 Ambac Ind Fuel injection nozzle
GB2186632A (en) * 1986-02-18 1987-08-19 Bosch Gmbh Robert Fuel injection nozzle for i.c. engines
JPH08247000A (ja) * 1995-03-02 1996-09-24 Robert Bosch Gmbh 内燃機関に用いられる燃料噴射弁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27737A (en) * 1952-04-12 1960-03-08 Bosch Gmbh Robert Fuel injection valves
DE2451536A1 (de) * 1974-10-30 1976-05-06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m aufkohlen von werkstuecken aus stahl
DE2557772A1 (de) * 1975-12-20 1977-06-23 Kloeckner Humboldt Deutz Ag Brennstoffeinspritzventil
US4417694A (en) * 1980-10-22 1983-11-29 The Bendix Corporation Injector valve with contoured valve seat and needle valve interface
DE3733604A1 (de) * 1987-10-05 1989-04-13 Bosch Gmbh Robert Lochkoerper fuer eine kraftstoffeinspritzventil
EP0345348A4 (en) * 1987-10-30 1992-01-08 Nauchno-Proizvodstvennoe Obiedinenie Po Toplivnoi Apparature Dvigatelei Pulverizer of diesel nozzle
DE3740283A1 (de) * 1987-11-27 1989-06-08 Man B & W Diesel Gmbh Einspritzventil
GB8827107D0 (en) * 1988-11-19 1988-12-21 Lucas Ind Plc Fuel injection nozzle
US5026462A (en) * 1990-03-06 1991-06-25 Ai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machining of spray holes in fuel injection nozzles
JPH04314961A (ja) * 1991-04-11 1992-11-06 Nissan Motor Co Ltd 燃料噴射ノズル
JP2568323B2 (ja) * 1991-06-28 1997-01-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弁座付きノズル及びその製造方法、電磁弁
JPH09177640A (ja) * 1995-12-15 1997-07-11 Caterpillar Inc 高サック容積を有する燃料噴射器による燃焼排気ガス清浄化システムとその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6080A (en) * 1973-09-10 1974-09-17 Ambac Ind Fuel injection nozzle
GB2186632A (en) * 1986-02-18 1987-08-19 Bosch Gmbh Robert Fuel injection nozzle for i.c. engines
JPS62210259A (ja) * 1986-02-18 1987-09-16 ロ−ベルト・ボツシユ・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内燃機関のための燃料噴射ノズル
JPH08247000A (ja) * 1995-03-02 1996-09-24 Robert Bosch Gmbh 内燃機関に用いられる燃料噴射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57208A1 (de) 2001-11-28
DE19931761A1 (de) 2001-01-18
EP1157208B1 (de) 2005-03-16
KR20010079756A (ko) 2001-08-22
JP2003504554A (ja) 2003-02-04
DE50009793D1 (de) 2005-04-21
WO2001004490A1 (de) 2001-01-18
US6695230B1 (en) 2004-02-24
CZ2001820A3 (cs) 2001-12-12
CZ295060B6 (cs) 2005-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7712B1 (ko) 노즐 니들에 환형 홈을 구비한 내연 기관용 분사 노즐
US6565017B1 (en) Fuel injection valve for a combustion engine
US20030057299A1 (en) Fuel injection nozzle
US20020162906A1 (en) Fuel injection valv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20090050717A1 (en) Injector nozzle
US6789783B2 (en) Fuel injection valv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KR20020019566A (ko) 연료 분사 시스템
JPH0810032B2 (ja) 逆止弁
KR100737711B1 (ko) 연료 분사 노즐
US6546914B1 (en) Fuel injection valv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110155826A1 (en) Fuel injection valve
US7077340B2 (en) Fuel injection valv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2004519604A (ja) 半径方向の切欠きを備えた弁
JP2004518890A (ja) 内燃機関のための燃料噴射弁
JP2002533607A (ja) 高圧噴射のための燃料噴射弁
JP2005530091A (ja) 内燃機関のための燃料噴射弁
US20040195350A1 (en) Fuel injection valve
JP3213515B2 (ja) 二段開弁圧式燃料噴射弁
FI126814B (fi) Polttoaineen ruiskutussuutin polttomoottorikonetta varten
JP4587248B2 (ja) 内燃機関用の燃料噴射弁
JP2750715B2 (ja) 燃料噴射ノズル
KR200226819Y1 (ko) 가변분무각을갖는직접분사식연료분사밸브
CN114402134B (zh) 燃料喷射器
JPH0643496Y2 (ja) 燃料噴射ノズル
CN114502834A (zh) 用于内燃机的燃料喷射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