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7364B1 - 항만의 하역 스테이션 - Google Patents
항만의 하역 스테이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37364B1 KR100737364B1 KR1020057007225A KR20057007225A KR100737364B1 KR 100737364 B1 KR100737364 B1 KR 100737364B1 KR 1020057007225 A KR1020057007225 A KR 1020057007225A KR 20057007225 A KR20057007225 A KR 20057007225A KR 100737364 B1 KR100737364 B1 KR 1007373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l
- cross
- intermediate storage
- cross transporter
- rail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0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 B65G63/004—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for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5G67/603—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2—Container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관 모듈(8)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터미널을 갖춘 항만 하역 설비에 관한 것이다. 각각의 보관 모듈(8)에는 컨테이너(17)를 수용해서 수평으로 운반한 다음 적재하는 적어도 1대의 고가 스태킹 크레인(7)이 제공된다. 상기 스태킹 크레인(7)은 보관 모듈(8)과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는 크로스 트랜스포터(18)와 상호 작용하여 컨테이너(17)를 보관 모듈을 가로질러 수평으로 운반하기 위하여 상이한 수평 높이로 이동한다. 상기 자동화된 컨테이너 터미널의 화물 처리 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2대 이상의 크로스 트랜스포터(18)는 상기 스태킹 크레인(7)의 이송면 하측 및 트럭(9)용 적재 차선과 동일한 면 상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레일 트랙 상에서 각각 하나의 보관 모듈(8)에 지정된 중간 보관 설비(16) 영역 내로 이동할 수 있고, 보관 모듈(8)을 가로질러 각각의 보관 모듈(8)에 지정되며 횡방향 트랜스포터(18)의 레일 트랙과 횡방향으로 평행하게 위치되고 상기 스태킹 크레인(7)과 상기 횡방향 트랜스포터(18) 사이에 경계를 형성하는 중간 보관 스테이션(16)의 영역 내로 연장되며, 크로스 트랜스포터의 개수는 컨테이너 터미널의 크기에 좌우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항만의 하역 설비, 특히 ISO 규격 컨테이너의 처리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처리 설비는 일렬로 배치된 개별 보관 모듈 및 부두에 접안 중인 선박의 화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보관 모듈과 상호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적하 설비를 포함하는, 부두에 위치한 컨테이너 터미널에 관한 것이며, 보관 모듈당 적어도 1대의 고가 스태킹 크레인(elevated stacking crane)이 컨테이너를 수용해서 수평으로 운반한 다음 적재하고, 컨테이너를 보관 모듈 사이로 수평으로 운반하기 위하여 서로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크로스 트랜스포터(cross transporter)와 상호 작용하며, 개별 보관 모듈을 가로질러 상이한 수평 높이로 이동할 수 있다.
선박, 기차 또는 트럭과 같은 각종의 운반 수단 사이에서 ISO 규격 컨테이너를 처리하기 위하여, 많은 화물을 대량으로 아무런 문제없이 확실하게 처리하는 적재 설비가 요구된다. 컨테이너 처리 설비의 주요 구성요소로는 일반적으로, 대량 화물의 흐름을 해소하며 각종 운반 수단이 필요에 따라 확실하게 제공되는 컨테이너 야적장이다. 화물이 도착했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의 운반 수단을 제공하기 위하여는 전체 처리 설비를 최적으로 배치하는 것이 요구된다.
상기 범주에 속하는 컨테이너 야적장은 DE-A-100 02 915에 공지되어 있다. 모빌 항만 크레인의 적하 붐(loading boom)은, 양하하려는 선박 영역으로부터 모빌 항만 크레인과 컨테이너를 하치할 컨테이너 야적장의 보관 모듈 사이에 경계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 스테이션 영역까지 뻗어 있다. 야적장 물류 시스템 관리자에 의하여 모니터 및 제어되는, 보관 모듈당 적어도 하나의 스태킹 크레인은 모빌 항만 크레인에 의하여 특정의 이송 스테이션에 하역될 컨테이너를 픽업하고 수평으로 운반한 다음 이 컨테이너를 컨테이너 야적장에 하치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자동화 설비에서 일반적으로 수동 또는 자동 운반 차량으로 이송하게 되는 선박과 컨테이너 야적장 간의 수평 운반이 생략될 수 있다. 종래, 스태킹 크레인은 트롤리를 구비한 고가 브리지 크레인 구조이며, 컨테이너 야적장의 하나의 보관 모듈에만 미치는 것이 일반적이다. 컨테이너 야적장은, 야적장의 특성에 따라 컨테이너 야적장을 중심으로 적어도 2개의 영역으로 분할되고, 스태킹 크레인은 이들 영역 양자 모두를 가로질러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인 컨테이너 야적장의 보관 모듈은, 서로 독립적으로 작용하고 개별 보관 모듈을 가로질러 상이한 수평 높이로 이동할 수 있는 2개의 크로스 트랜스포터에 의하여 함께 연결되며, 상기 크로스 트랜스포터는 야적장 물류 시스템 관리자에 의하여 또한 모니터 및 제어된다. 이와 같이, 개별 보관 모듈에서 작동하는 완전 자동 스태킹 크레인은 컨테이너를 이송 스테이션으로부터 대응하는 보관 모듈로 직접 운반하거나 또는 이들 2개의 크로스 트랜스포터 중 하나에 운반할 수 있다. 크로스 트랜스포터는 상이한 보관 모듈을 작동시키거나 또는 컨테이너가 트럭에 상하차되는 포인트까지 이동한다.
전술한 컨테이너 야적장 시스템은, 보다 소규모의 처리 설비를 조작하는 조작자라도 터미널을 완전 자동으로 조작하기에 특히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터미널의 처리 효율은, 특히 하나의 크로스 트랜스포터가 이동하는 동시에 다른 하나의 크로스 트랜스포터는 스태킹 크레인에 의하여 적재될 때의 교차에 의하여 하나의 크로스 트랜스포터가 방해를 받을 때, 사용될 수 있는 2개의 크로스 트랜스포터에 의하여 크게 제한된다. 이러한 제한은 보다 대규모의 설비에서는 상당한 단점이 되고, 적재 기구의 처리 효율 및 유용성이 제한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의 배치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면 중 야적장 출입구 영역의 상세도이다.
도 3은 도 1의 도면 중 트럭 방향 전환 스테이션 구역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도 1의 도면 중 야적장 출입구 영역을 상세하게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중간 보관 스테이션 및 크로스 트랜스포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컨테이너 야적장의 하역 구역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야적장 출입구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야적장 출입구에 위치한 방향 전환 장치의 정면도이다.
전술한 처리 설비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과제는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의 처리 효율 및 능력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유형의 처리 설비를 제안하는데, 상기 설비는 컨테이너 터미널의 크기에 따라 2대 이상의 크로스 트랜스포터가 스태킹 크레인의 운반 높이 하측 및 보관 모듈을 가로질러 각각의 보관 모듈에 지정된 중간 보관 스테이션 영역 내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일 상의 트럭 적재 차선 상측과 동일한 높이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트럭 적재 차선 각각은 크로스 트랜스포터 레일의 사이드웨이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스태킹 크레인과 크로스 트랜스포터 사이에 경계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소규모 컨테이너 터미널의 크로스 트랜스포터 개수가 증가되므로 처리 효율이 향상된다. 크로스 트랜스포터는 한 가지 높이로 이동하고, 즉 하나의 크로스 트랜스포터가 이동하는 동시에 다른 하나의 크로스 트랜스포터가 크레인에 의하여 적재될 때 어떤 중복도 발생하지 않는다. 스태킹 크레인과 크로스 트랜스포터 사이에 경계를 형성하는 중간 보관 스테이션은 보관 모듈당 여러 개의 컨테이너를 지지할 수 있다. 스태킹 크레인 및 크로스 트랜스포터는 서로 완전히 독립적으로 작동한다. 트럭의 적하 및 양하는 터미널의 전체 영역에 걸쳐 적재 차선에서 가능하다. 전체 터미널의 처리 능력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한 가지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각각의 크로스 트랜스포터에는 컨테이너를 중간 보관 스테이션으로 왕복 이송 처리하는 이송 또는 수용 장치가 구비된다. 따라서, 크로스 트랜스포터는 스태킹 크레인에 의하여 직접 적재되지 않는 대신, 레일과 평행하게 배치된 중간 보관 스테이션으로부터 컨테이너를 픽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송 또는 수용 장치는 크로스 트랜스포터의 이동 방향을 가로질러 중간 보관 스테이션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는, 컨테이너용 로드 캐리어를 포함한다. 로드 캐리어는 크로스 트랜스포터 상에 배치된 레일 상에서 이동할 수 있는 선형 구동식 션트 카트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형 구동력은 체인 드라이브, 랙 및 피니언 기어, 피스톤 및 실린더 유닛 등과 같은 임의의 종래 구동 유닛으로부터 얻을수 있다.
로드 캐리어 상에 위치한 컨테이너를 중간 보관 스테이션으로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앵글 브래킷 구조를 가진 중간 보관 스테이션은 크로스 트랜스포터가 중간 보관 스테이션 하측에 위치했을 때 로드 캐리어가 중간 보관 스테이션 하측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레일 및 크로스 트랜스포터를 가로질러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유롭게 뻗어 있고, 사이드웨이로 연장되는 개방 슬롯이 로드 캐리어 방향으로 앵글 브래킷에 제공되며, 상기 개방 슬롯은 로드 캐리어 상에 배치되며 컨테이너의 지지 포인트 하측까지 뻗어 있는 컨테이너용 수직 리프팅 장치에 의하여 결합된다. 로드 서포트의 수직 리프팅 장치는 로드 서포트 상의 ISO 규격 컨테이너의 모서리 고정구에 표준 간격으로 배치되는 유압 피스톤 및 실린더 유닛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드 서포트는 크로스 트랜스포터 상의 2개의 말단 위치를 지지한다. 로드 서포트가 앵글 브래킷 구조를 가진 중간 보관 스테이션 하측에 위치되는 제1 말단 위치에서, 컨테이너는 유압 로드 서포트를 작동시킴으로써 중간 보관 스테이션으로부터 들어 올려지거나 또는 내려 놓아진다. 로드 캐리어가 크로스 트랜스포터 상에서 직선 이동하여 중간 보관 스테이션에 접하는 제2 말단 위치에 도달하여 로드 서포트가 유압으로 하강되었을 경우에만 크로스 트랜스포터를 컨테이너 수용 유무와 상관없이 전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중요한 특징에 따르면,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레일이 보관 모듈을 가로질러 컨테이너 야적장을 횡단하고, 크로스 트랜스포터가 레일 하나로부터 평행하게 연장되는 다른 하나의 레일로 방향 전환할 수 있도록 크로스 트랜스포터용 방향 전환 장치에 의하여 헤드쪽에서 함께 결합될 때, 특히 처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 때문에, 레일 양자 모두는 폐쇄된 우회 코스 내에서 최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크로스 트랜스포터는 일반적인 높이로 야적장의 전체 폭에 걸쳐 일정한 방향 전환방향으로 이동하여 임의의 소정 보관 모듈에 도달하고, 레일 상단의 말단 포인트에서 크로스 트랜스포터는 평행인 레일 상으로 복귀하도록 방향 전환될 수 있다. 크로스 트랜스포터는 스태킹 크레인에 의하여 직접 적재되지 않고, 레일과 평행하게 배치된 중간 보관 스테이션으로부터 자동적으로 적재된다.
레일이 컨테이너 야적장의 전체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트럭 주행 차선은 레일 하측에 연장될 수 있고, 트럭 적재 차선은 중간 보관 스테이션에 근접하여 하측에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테이너는 야적장의 전체 폭에 걸쳐 적재 차선에서 트럭에 상하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향 전환 장치 각각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을 구비한 브리지형 철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의 폭은 크로스 트랜스포터용 레일의 폭에 대응하며, 상기 레일에는 크로스 트랜스포터의 레일을 가로질러 헤드쪽에 높이 설치된 레일 및 크로스 트랜스포터의 2개의 평행인 레일 사이에서 이동하고 브리지형 철 구조물 상의 레일이 크로스 트랜스포터용 레일 중 하나와 정렬되는 말단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레일 이동 메커니즘이 전방 말단에 제공된다.
크로스 트랜스포터는 가능한 심한 동요없이 방향 전환 장치 상으로 왕복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크로스 트랜스포터가 통과하기 전에, 크로스 트랜스포터의 레일과 방향 전환 장치 사이에 제공된 갭은 수평 및 수직으로 배치된 대응하는 어댑터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폐쇄된다.
중간 보관 스테이션은 앵글 브래킷의 수직 다리로 레일용 거더 쪽에 고정되고, 보관 모듈당 4개의 컨테이너까지 수용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중간 보관 스테이션의 충분한 버퍼 기능이 달성된다.
항만의 컨테이너 터미널에 설치된 새로운 처리 설비는 전술한 조건을 충족시킨다. 컨테이너 터미널 내에서, 크로스 트랜스포터를 사용하여 컨테이너를 모든 보관 모듈로 연속해서 배치할 수 있다. 상당히 많은 대수의 크로스 트랜스포터가 헤드 스테이션에 위치한 2대의 방향 전환 장치로 2개의 평행한 레일 상에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방향 전환 장치는 크로스 트랜스포터의 방향 전환을 가능하게 하고 유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크로스 트랜스포터는 하나의 일정한 방향 전환 방향 및 동일한 수평 높이로 이동하도록 타이밍이 맞추어진다. 크로스 트랜스포터는 스태킹 크레인에 의하여 직접 적재되지 않고, 레일과 평행하게 배치된 중간 보관 스테이션으로부터 자동적으로 적재된다. 레일 및 중간 보관 스테이션의 하측에 적어도 4개의 트럭 적재 및 주행 차선이 있으므로, 많은 대수의 트럭이 동시에 하역 작업될 수 있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a) 소규모 컨테이너 터미널의 크로스 트랜스포터의 대수가 증가되므로, 처리 효율이 증대된다.
b) 크로스 트랜스포터가 동일 높이에서 이동하고, 즉 하나의 크로스 트랜스포터가 이동하는 동시에 제2의 크로스 트랜스포터는 스태킹 크레인에 의하여 적재되면서 어떠한 교차도 발생하지 않는다.
c) 보관 모듈당 적어도 4개의 컨테이너가, 스태킹 크레인과 크로스 트랜스포터 사이에 경계를 형성하는 중간 보관 스테이션에 대기할 수 있다.
d) 스태킹 크레인 및 크로스 트랜스포터가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한다.
e) 터미널의 전체 영역을 가로지르는 적재 차선에서 트럭의 하역이 가능하다.
f) 전체 터미널의 처리 능력이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컨테이너로 채워진 컨테이너 터미널(1) 및 도크(2)에 정박 중인 컨테이너선(3)의 사시도이다. 모빌 항만 크레인(4)이 컨테이너(5)를 하역하고 이들 컨테이너를 이송 스테이션(6)으로 운반한다. 이송 스테이션은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7)과 모빌 항만 크레인(4) 사이에 경계를 형성한다. 보관 모듈(storage module)(8)당 사용되는 스태킹 크레인의 개수는 보관 모듈(8)의 소정 길이에 좌우된다. 트럭(9)은 트럭 주행로(11)를 거쳐 터미널 게이트(10)를 통과하여 야적장 출입구(12)로 안내되고, 보관 모듈(8)을 통과하여 방향 전환 스테이션(turning station)(13)으로 안내된 다음, 다시 터미널 게이트로 복귀한다. 트럭은, 야적장 출입구(12)와 방향 전환 스테이션(13) 사이를 이동하는 도중에, 운영자가 지정한 적하 스테이션에서 하역한다.
도 2는 도 1의 상세도로서, 터미널 게이트의 근무자에 의하여 지정된 하역 스테이션으로 이동 중에 야적장 출입구(12)에 위치한 트럭(9)의 도면이다. 또한, 기둥(pillar)(14)에 의하여 높이 설치된, 보관 모듈(8)의 레일(15) 상에 위치한 2개의 스태킹 크레인(7)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단면이 앵글형 중간 보관 스테이션(16)이 일종의 브래킷(bracket)을 형성하여 컨테이너(17)용 서포트로서 작용한다. 크로스 트랜스포터(cross transporter)(18)가 제1 방향 전환 장치(change-over device)(19) 쪽으로 구동된다는 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트럭 주행로(11)가 있는 방향 전환 스테이션(13)의 도면이다. 또한, 기둥(14)에 의하여 높이 설치된, 보관 모듈(8)의 레일(15) 상에 위치한 스태킹 크레인(7)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단면이 앵글형 중간 보관 스테이션(16)이 컨테이너(17)용 서포트 및 버퍼(buffer)로서 작용하고, 스태킹 크레인(7)과 크로스 트랜스포터(18) 사이에 경계를 형성한다. 제2 방향 전환 장치(20) 상에 위치한 크로스 트랜스포터(18)는 순식간에 레일을 변경한다.
도 4는 도 1의 상세도이다. 도면은 출입구(12) 영역에 위치한 컨테이너 야적장의 평면도이다. 도면에는 보관 모듈(8), 야적장 출구 방향으로 적재 차선에 정차해 있는 트럭(9), 크레인웨이 서포트(14), 및 중간 보관 스테이션(16)에 보관 중인 컨테이너(17)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에는 스태킹 크레인의 레일(15)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중간 보관 스테이션은 ISO 규격 컨테이너의 모서리 고정구가 표준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슬롯(16.1) 식으로 개방된다.
크로스 트랜스포터(18)는 컨테이너 야적장 내의 평행하게 부설된 레일(21, 22) 상에서 이동한다. 야적장 출입구(12) 영역에서, 레일(23) 상에서 이동하는 제1 방향 전환 장치(19)가 크로스 트랜스포터를 하나의 레일로부터 다른 하나의 레일로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위치(24)는 크로스 트랜스포터를 이동시키기 위한 하나의 가능한 이동 방향(여기에는 시계반대 방향으로 표시됨)을 나타낸다.
야적장 출입구(12)에 위치한 제1 방향 전환 장치(19)와 마찬가지로, 방향 전환 스테이션(13)의 제2 방향 전환 장치(20)는 크로스 트랜스포터(18)의 트랙을 방향 전환시키는 기능을 행한다.
도 5는 중간 보관 스테이션(16) 및 크로스 트랜스포터(18)의 단면도이다. 앵글형 형상의 중간 보관 스테이션(16) 및 2개의 레일(21, 22) 각각에 위치한 하나의 크로스 트랜스포터(18)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선형 드라이브(18.1)(당해 기술)가, 작업에 따라, 레일(18.3) 상으로 안내된 로드 캐리어(18.2)를 역전가능한 동작으로 2개의 말단 위치 중 하나, 즉 "중간 보관 스테이션" 또는 "크로스 운반 이동" 위치로 이동시킨다.
도 5의 좌측에는, "크로스 운반 이동" 위치에 있는 크로스 트랜스포터(18) 상의 로드 캐리어(18.2)를 알 수 있을 것이다. 8개의 유압식 로드 서포트(18.4)(여기서는 20피트 및 40피트 컨테이너용으로 도시됨)가 컨테이너 모서리 고정구가 표준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제공된다. 컨테이너(17)는 4개의 비활성 유압식 로드 서포트(18.4) 상에 자체 모서리 고정구(17.1)로 지지된다. 상기 위치에서, 크로스 트랜스포터(18)는 레일(21, 2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면의 우측에는, "중간 보관 스테이션" 위치에 있는 크로스 트랜스포터(18) 상의 로드 캐리어(18.2)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컨테이너(17)는 4개의 활성 유압식 로드 서포트(18.4) 상에 자체 모서리 고정구(17.1)로 지지되고, 상기 로드 서포트는 컨테이너 모서리 고정구가 표준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된, 중간 보관 스테이션의 수평 앵글 다리의 슬롯형 개구 내로 들어간다. 상기 위치에서, 중간 보관 스테이션(16)은 하역될 수 있다.
도 6은 컨테이너 야적장의 하역 구역의 단면도이다. 보관 모듈(8)을 가로지른 횡방향 통로가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트럭(9.1, 9.3)은 주행 차선(11.1, 11.3) 상에 위치하고, 트럭(9.2, 9.4)은 적재 차선(11.2, 11.4) 상에 위치한다. 앵글 형상의 중간 보관 스테이션(16)에 이미 위치되어 있던 컨테이너(17)는 레일(15)을 따라 이동하는 스태킹 크레인(7)에 의하여 트럭(9.4)으로 옮겨져서 트럭 상에 적재된다.
도 7은 야적장 출입구(12)의 측면도이다. 도면에는, 중간 보관 스테이션(16)에서 컨테이너(17)를 처리 중에 있는, 기둥(14)에 의하여 높이 설치된 레일(15)상에 위치한 스태킹 크레인(7)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컨테이너를 처리하기 전 대기 위치에 있는 제1 레일(21) 상의 크로스 트랜스포터(18)를 알 수 있을 것이다. 크로스 트랜스포터 상의 로드 캐리어(18.2)의 선형 드라이브로 표준 간격으로 이격된 컨테이너 모서리 고정구에 배치된 유압식 로드 서포트를 중간 보관 스테이션의 슬롯형 개구(16.1) 내로 밀어 넣는다.
제2 크로스 트랜스포터(18)는 제1 방향 전환 장치(19)에 위치한다. 이로써 레일(23)을 거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레일(22)로 운반할 수 있다. 레일(21, 22) 및 중간 보관 스테이션(16)의 하측에는, 트럭을 위한 충분하게 높은 여유 공간(9.3)이 있다. 제2 방향 전환 장치를 갖춘 방향 전환 스테이션(13)의 장소는 야적장 출입구(12)와 유사한 구조이다.
도 8은 야적장 출입구에 위치한 제1 방향 전환 장치(19)의 정면도이다. 도면에는 레일(23) 상에 위치한 제1 방향 전환 장치(19), 제1 레일(22)로 트랙을 방향 전환시키기 이전 및 이후 상태에 있는 로드 캐리어(18.2)를 구비한 크로스 트랜스포터(18), 및 단면이 앵글 형상인 중간 보관 스테이션(16)이 도시되어 있다. 방향 전환 장치(19) 하측에는, 주행 차선(11.1, 11.3) 상에 위치한 트럭(9.1, 9.3)이 도시되어 있다.
Claims (12)
- 부두에 접하여 위치한 컨테이너 터미널(1)을 갖는 항만 하역 설비에 있어서,일렬로 배치된 개별 보관 모듈(storage module)(8), 및부두에 정박해 있는 선박(3)에 화물을 적하하거나 상기 선박으로부터 화물을 양하하기 위하여, 상기 보관 모듈(8)과 함께 작동하는 1대 또는 복수의 적하 설비(loading facility)를 포함하고,상기 보관 모듈(8)당 1대 또는 복수의 고가 스태킹 크레인(elevated stacking crane)(7)이 컨테이너(17)를 수용해서 수평으로 운반한 다음 적재하되, 상기 고가 스태킹 크레인(7)은 서로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크로스 트랜스포터(cross transporter)(18)와 함께 작동하며,상기 스태킹 크레인(7)은 하나 또는 복수의 레일(21, 22) 상에서 이동할 수 있고,크로스 트랜스포터에 의해 보관 모듈(8) 사이에서 상기 컨테이너(17)들이 수평적으로 운반되며,상기 레일은, 상기 스태킹 크레인(7)의 운반 평면보다 낮고, 트럭(9)을 위한 트럭 적재 차선(11.2, 11.4) 보다 높은 수평면 상에서 상기 보관 모듈을 가로질러 연장되고,두 개 이상의 크로스 트랜스포터(18)들이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레일(21, 22) 상의 평면상에서 각각의 보관 모듈(8)에 할당된 중간 보관 스테이션(16) 영역으로 이동되며, 상기 중간 보관 스테이션(16)들은 각각 상기 크로스 트랜스포터(18)의 레일(21, 22)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스태킹 크레인(17)과 상기 크로스 트랜스포터(18)의 사이에서 양자를 중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 하역 설비.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크로스 트랜스포터(18) 각각은 컨테이너(17)를 상기 중간 보관 스테이션(16)으로부터 이동시키거나 또는 중간 보관 스테이션으로 이동시키는 이송 또는 수용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 하역 설비.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이송 또는 수용 장치는 컨테이너(17)용 로드 캐리어(load carrier)(18.2)를 포함하며,상기 로드 캐리어(18.2)는 상기 크로스 트랜스포터(18)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상기 중간 보관 스테이션(18) 영역으로 이동하거나 중간 보관 스테이션(18) 영역에 위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 하역 설비.
- 제3항에 있어서,상기 로드 캐리어(18.2)는 상기 크로스 트랜스포터(18) 상에 배치된 레일(18.3) 상에서 이동할 수 있는 직선 구동형 이동 캐리지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 하역 설비.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중간 보관 스테이션(16)은, 상기 크로스 트랜스포터(18)가 상기 중간 보관 스테이션(16) 하측에 위치했을 때 상기 로드 캐리어(18.2)가 상기 중간 보관 스테이션(16) 하측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21, 22) 및 상기 크로스 트랜스포터(18)의 상부 전체 또는 일부에 걸쳐서 연장되는 앵글 브래킷 구조로 형성되며,상기 로드 캐리어(18.2)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방 슬롯(16.1)이 상기 앵글 브래킷의 수평부에 제공되며, 상기 슬롯은 상기 로드 캐리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컨테이너(17)의 지지 포인트 하측까지 뻗어 있는 상기 컨테이너(17)용 수직 리프팅 장치(vertical lifting device)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 하역 설비.
- 제5항에 있어서,상기 로드 캐리어(18.2)의 상기 수직 리프팅 장치는 유압 피스톤 및 실린더 유닛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 하역 설비.
- 제1항에 있어서,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레일(21, 22)은 상기 보관 모듈(8)과 직교하면서 상기 컨테이너 터미널(1)을 통과하여 연장되고,상기 크로스 트랜스포터(18)가 하나의 레일(21 또는 22)로부터 다른 하나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레일(22 또는 21)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크로스 트랜스포터(18)용 방향 전환 장치(19, 20)에 의하여 헤드 말단에서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 하역 설비.
- 제1항에 있어서,트럭(9)용 주행 차선(11.1, 11.3)은 상기 레일(21, 22) 하측을 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 하역 설비.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트럭(9)용 적재 차선(11.2, 11.4)은 상기 중간 보관 스테이션(16) 하측을 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 하역 설비.
- 제7항에 있어서,상기 크로스 트랜스포터(18)는 상기 평행하게 연장되는 레일(21, 22) 및 헤드 말단부에 위치한 상기 방향 전환 장치(19, 20) 상에서 사전에 정해진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 하역 설비.
- 제7항에 있어서,상기 방향 전환 장치(19, 20) 각각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23)을 구비한 브리지형 철 구조물을 포함하고,상기 레일의 폭은 상기 크로스 트랜스포터(18)용 레일(21,22)의 폭과 대응하며,상기 방향 전환 장치의 전방 말단에는 레일 이동 메커니즘이 제공되며,상기 레일 이동 메커니즘은 상기 크로스 트랜스포터(18)의 상기 레일(21, 22)을 가로질러 헤드 말단부에 설치되는, 상기 2개의 레일(21, 22) 사이의 레일(23) 상에서 이동가능하고,상기 브리지형 철 구조물 상의 레일(23)이 상기 크로스 트랜스포터용 레일(21, 22) 중 하나와 정렬된 말단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 하역 설비.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중간 보관 스테이션(16)은 상기 앵글 브래킷의 수직 다리에 의하여 상기 레일(21, 22)용 거더(girder) 쪽에 고정되고, 상기 보관 모듈(8)당 4개 이하의 컨테이너(17)를 수용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 하역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307579.8 | 2003-02-22 | ||
DE10307579A DE10307579A1 (de) | 2003-02-22 | 2003-02-22 | Umschlaganlage in einem See- oder Binnenhafe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86422A KR20050086422A (ko) | 2005-08-30 |
KR100737364B1 true KR100737364B1 (ko) | 2007-07-09 |
Family
ID=32841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7007225A KR100737364B1 (ko) | 2003-02-22 | 2004-02-12 | 항만의 하역 스테이션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US (1) | US20060182525A1 (ko) |
EP (1) | EP1478585B1 (ko) |
JP (1) | JP4171024B2 (ko) |
KR (1) | KR100737364B1 (ko) |
AT (1) | ATE303337T1 (ko) |
DE (2) | DE10307579A1 (ko) |
DK (1) | DK1478585T3 (ko) |
ES (1) | ES2248788T3 (ko) |
WO (1) | WO2004074147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174722A1 (ko) * | 2014-05-15 | 2015-11-19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
KR20150131989A (ko) * | 2014-05-15 | 2015-11-25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861866A4 (en) | 2005-02-25 | 2010-05-26 | Maersk Inc | SYSTEM AND PROCESS TO IMPROVE THE CONTAINER FLOW IN A PORT SYSTEM |
SG163457A1 (en) * | 2009-02-02 | 2010-08-30 | Sh Cogent Logistics Pte Ltd | Container depot |
US20110217150A1 (en) * | 2009-12-07 | 2011-09-08 | Toru Takehara | Container storage yard transporation system |
WO2011071941A1 (en) * | 2009-12-07 | 2011-06-16 | Paceco Corp. | Container storage yard transportation system |
RU2426685C1 (ru) * | 2010-04-19 | 2011-08-20 |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СММ" | Способ обслуживания комплекса, включающего два и более мобильных стреловых портовых крана |
SG10201909813YA (en) | 2010-04-30 | 2019-11-28 | David Alba | System for the transfer, storage and distribution of intermodal containers |
JP5676338B2 (ja) * | 2011-03-29 | 2015-02-25 | 三井造船株式会社 | コンテナターミナルとその制御方法 |
KR101298895B1 (ko) * | 2011-09-20 | 2013-08-21 | 주식회사 싸이버로지텍 |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
CN103466460B (zh) * | 2013-07-30 | 2015-08-26 | 华电重工股份有限公司 | 一种带有跨海栈桥的集装箱水平循环装卸系统 |
CN103466459B (zh) * | 2013-07-30 | 2016-01-13 | 华电重工股份有限公司 | 跨海集装箱装卸工艺及带有跨海栈桥的集装箱装卸系统 |
CN103523679B (zh) * | 2013-10-14 | 2015-08-05 | 华电重工股份有限公司 | 带有双层跨海栈桥的集装箱装卸系统 |
CN106586607B (zh) * | 2016-12-30 | 2020-02-18 | 三一海洋重工有限公司 | 集装箱卸船机及集装箱卸船系统 |
CN110406985B (zh) * | 2019-08-16 | 2024-01-02 | 中交第四航务工程勘察设计院有限公司 | 一种自动化集装箱码头装卸系统及方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951226A (en) * | 1994-09-20 | 1999-09-14 | Reggiane S.P.A. | Freight handling plant in depots and related depots |
DE19923813A1 (de) * | 1999-05-20 | 2000-12-07 | Mannesmann Ag | Umschlaganlage für Stückgut, insbesondere für ISO-Container |
DE10002915A1 (de) * | 2000-01-19 | 2001-08-02 | Mannesmann Ag | Umschlaganlage in einem See- oder Binnenhafen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543952A (en) * | 1968-03-29 | 1970-12-01 | Kaiser Ind Corp | Container handling and storage system |
US3583584A (en) * | 1969-08-18 | 1971-06-08 | Mcneil Corp | Warehousing |
US4273494A (en) * | 1978-09-27 | 1981-06-16 | Interlake, Inc. | Storage rack entry vehicle |
IT1289530B1 (it) * | 1995-10-13 | 1998-10-15 | Fata Automation | Magazzino integrato ad alta capacita' per container |
DE19641869A1 (de) * | 1996-10-10 | 1998-04-16 | Albert Schuhmann | Umlademodule mit pneumatischer Lastanhebung als Bausteine für beliebig große Systeme zum Umladen von Standard-Containern, Wechselbehältern und Wechselaufbauten |
JP2000198546A (ja) * | 1999-01-05 | 2000-07-18 |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 コンテナタ―ミナル |
US6835040B2 (en) * | 2001-11-09 | 2004-12-28 | Neil Quiring | Laser cutting plate conveyor |
-
2003
- 2003-02-22 DE DE10307579A patent/DE10307579A1/de not_active Ceased
-
2004
- 2004-02-12 AT AT04710350T patent/ATE303337T1/de active
- 2004-02-12 DE DE502004000054T patent/DE502004000054D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02-12 ES ES04710350T patent/ES2248788T3/es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02-12 JP JP2005518260A patent/JP4171024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02-12 DK DK04710350T patent/DK1478585T3/da active
- 2004-02-12 US US10/534,600 patent/US20060182525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4-02-12 WO PCT/EP2004/001291 patent/WO2004074147A1/de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4-02-12 EP EP04710350A patent/EP1478585B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02-12 KR KR1020057007225A patent/KR10073736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951226A (en) * | 1994-09-20 | 1999-09-14 | Reggiane S.P.A. | Freight handling plant in depots and related depots |
DE19923813A1 (de) * | 1999-05-20 | 2000-12-07 | Mannesmann Ag | Umschlaganlage für Stückgut, insbesondere für ISO-Container |
DE10002915A1 (de) * | 2000-01-19 | 2001-08-02 | Mannesmann Ag | Umschlaganlage in einem See- oder Binnenhaf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174722A1 (ko) * | 2014-05-15 | 2015-11-19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
KR20150131989A (ko) * | 2014-05-15 | 2015-11-25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
KR101709743B1 (ko) | 2014-05-15 | 2017-02-23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
KR101776247B1 (ko) * | 2014-05-15 | 2017-09-11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04074147A1 (de) | 2004-09-02 |
DE10307579A1 (de) | 2004-09-09 |
KR20050086422A (ko) | 2005-08-30 |
JP2006514599A (ja) | 2006-05-11 |
DK1478585T3 (da) | 2006-01-09 |
US20060182525A1 (en) | 2006-08-17 |
JP4171024B2 (ja) | 2008-10-22 |
ATE303337T1 (de) | 2005-09-15 |
EP1478585A1 (de) | 2004-11-24 |
DE502004000054D1 (de) | 2005-10-06 |
ES2248788T3 (es) | 2006-03-16 |
EP1478585B1 (de) | 2005-08-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37364B1 (ko) | 항만의 하역 스테이션 | |
US11174102B2 (en) | System for the transfer, storage and distribution of intermodal containers | |
US3807582A (en) |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for ship containers | |
AU2017232270B2 (en) | Transport and handover system for storing and removing or relocating storage goods in high-bay warehouses, and storage and retrieval machine | |
JP7034712B2 (ja) | ロボットコンテナ取り扱い装置及び方法 | |
AU2015391350B2 (en) | Method and container transfer installation for placing containers into and removing containers from container storage areas | |
JP2021185112A (ja) | ロボットコンテナ取り扱い装置及び方法 | |
JPS5854054B2 (ja) | コンテナ搬送方法及びその装置 | |
US20020031419A1 (en) | Transporter container-loading bridge | |
KR100737362B1 (ko) | 해항 또는 내륙항의 적환 시설 | |
RU2093446C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грузки штучных грузов в форме транспортных упаковок | |
EP1843940B1 (en) | Cargo handling arrangement and system on a cargo ship | |
CN101020540A (zh) | 一种新型集装箱装卸工艺 | |
KR100507988B1 (ko) | 화물 하역 및 선적 장치 | |
CA1324347C (en) | Crane system with single-lane, discontinuous conveying system for part-load transport | |
JPH07187369A (ja) | 自動貨物積み替え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3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