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5696B1 - 직교주파수다중분할방식의 전송신호 수신장치 - Google Patents

직교주파수다중분할방식의 전송신호 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5696B1
KR100735696B1 KR20050105910A KR20050105910A KR100735696B1 KR 100735696 B1 KR100735696 B1 KR 100735696B1 KR 20050105910 A KR20050105910 A KR 20050105910A KR 20050105910 A KR20050105910 A KR 20050105910A KR 100735696 B1 KR100735696 B1 KR 100735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sequence
data
orthogonal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105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8876A (ko
Inventor
신종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50105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5696B1/ko
Publication of KR20070048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8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69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교주파수다중분할방식의 전송신호 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PN 시퀀스(pseudonoise sequence)를 훈련신호로 사용하는 직교주파수다중분할(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 이하 OFDM)방식의 전송신호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수신신호를 동기화하고, 주파수 및 심벌 타이밍 오차를 보상하는 신호동기부; 및 상기 신호동기부가 출력하는 동기화된 다중 경로 수신신호가 서로 주기적인 관계로 분포하도록 상기 수신신호를 재배치하여 출력하는 신호재구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주파수다중분할방식의 전송신호 수신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직교주파수다중분할방식의 전송신호 수신장치에 의하면 다중 경로로 수신된 직교주파수다중분할방식의 전송신호들의 프레임 바디 구간을 주기적인 신호로 구성할 수 있어 채널 등화기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OFDM, 등화, PN

Description

직교주파수다중분할방식의 전송신호 수신장치{apparatus for receiving a signal form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도 1은 TDS-OFDM방식의 전송신호의 일 예를 나타낸 프레임의 구조도
도 2는 DMB-T의 송신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TDS-OFDM 방식의 전송신호 수신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구조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OFDM방식의 신호 수신장치의 신호재배치부가 데이터 구간을 주기적으로 구성하는 개념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OFDM 방식의 전송신호 수신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면 주요부분의 부호의 설명>
10 : 채널부호화부 20 : 변조부
30 : 역DFT부 40 : PN 생성부
50 : 다중화부 60 : SRRC부
70 : RF 전송부 110 : 튜너
120 : 자동이득제어부 130 : A/D 컨버터
140 : 위상분리기 145 : 곱셈기
150 : 리샘플러 160 : SRRC부
170 : 신호동기부 171 : PN 상관부
172 : 신호포착부 174 : 신호추적부
177 : 자동주파수제어부 180 : DFT부
190 : 등화기 200 : 신호재구성부
201 : PN시퀀스제거부 202 : 채널추정부
220 : 신호재배치부 221 : 임시저장부
222 : 지연구간산출부 223 : 지연신호추출부
225 : 연산부
본 발명은 직교주파수다중분할(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 이하 OFDM)방식의 전송신호를 수신하는 장치(이하, OFDM 수신장치)의 등화기(equalizer)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채널 보상을 간단한 연산으로 수행게 하고, 경제적으로 장치를 구성하도록 하는 OFDM방식의 전송신호 수신장치의 등화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청화 대학은 중국향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이하, 지상파 DTV) 방송을 위한 새로운 표준안을 제안하였다. 상기 제안서는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텔레비전 방송(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Television Broadcasting; 이하, DMB-T)라고 불리는 방송 규격에 관한 것이다. DMB-T에서는 타임 도메인 신크로너스 OFDM (Time Domain Synchronous OFDM; 이하 TDS-OFDM)이라는 새로운 변조 기법(modulation scheme)이 사용된다.
TDS-OFDM의 송신단에서 변조된 후 전송되는 데이터는 사이클릭 프리픽스 OFDM(cyclic prefix OFDM ; 이하 CP-OFDM)방식에서 사용되는 방식처럼 IDFT(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 이하 IDFT)가 적용된다.
하지만, 보호구간(guard interval)에 CP 대신 의사잡음(pseudonoise;이하 PN)을 삽입하여 훈련신호로써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방식은 방송신호 전송시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고, 채널의 사용 효율을 높이며, 방송신호 수신단의 동기부와 채널 추정부의 성능을 향샹시킬 수 있다.
도 1은 TDS-OFDM방식의 전송신호의 일 예로서, 보호구간이 1/9인 전송신호의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여 보호구간이 1/9인 전송 프레임 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하나의 프레임은 프레임 싱크(frame sync)와 프레임 바디(frame body)로 구성된다.
프레임 바디는 전송하려는 데이터가 실린 곳으로서(이하에서 데이터 구간이라 명칭할 수 있다),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이 적용되는 DFT 블럭이고, 상기 DFT 블럭은 일반적으로 3780개의 스트림 데이터를 포함한다.
프레임 싱크는 PN 시퀀스로 구성되는데, 상기 프레임 싱크에 사용되는 PN 시퀀스는 오더(order) 가 8(m = 8)인 시퀀스를 사용할 수 있다. m = 8일 경우에는 255개의 서로 다른 시퀀스가 생성될 수 있는데, 상기 시퀀스는 보호구간(guard interval)에 사용되기 위해서, 프리엠블(preamble)과 포스트엠블(postamble)로 확장된다.
상기 프리엠블(preamble)과 상기 포스트엠블(postamble)은 PN 시퀀스의 사이클릭 익스텐션(cyclic extension; 주기적 확장)을 위한 PN 시퀀스의 반복 구간이다.
프레임 싱크의 255개의 PN 시퀀스 중 상기 PN 시퀀스의 처음 115개의 PN들은 포스트엠블로서 상기 255개의 PN 시퀀스의 끝에 부가되고, 상기 PN 시퀀스의 마지막 50개의 PN들은 프리엠블로서 상기 255개의 PN 시퀀스의 앞에 부가되어 확장된다.
상기 PN 시퀀스의 폴리노미얼(polynomial)은 P(x) = x8 + x6 + x5 + x + 1이고, PN 시퀀스의 초기상태에 따라 생성되는 위상이 0에서 254로 변화한다.
보호구간이 1/9일 경우 255개의 PN 시퀀스들에 상기 프리엠블과 상기 포스트엠블이 전후에 추가되어 420개의 데이터로 이루어진 프레임 싱크가 구성될 수 있다. 환언하면, DFT 블럭의 데이터 3780개의 1/9인 420개의 데이터가 프레임 싱크에 사용된다. 하나의 OFDM 프레임은 420개의 데이터로 이루어진 프레임 싱크와 3780개의 데이터로 이루어진 프레임 바디로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구조는 보호구간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으며, 각 프레임 내 분포하는 데이터의 개수도 다르게 분포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보호구간은 1/4 또는 1/9이 규정될 수 있으며, 그 이외에 1/6 보호구간이 사용될 수도 있고 따라서, 보호구간의 길이도 시스템을 형성하는 규격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하였듯이 TDS-OFDM 방식으로 전송된 신호가 종래의 OFDM(예, DVB-T, TDMB)와 다른 점은 보호구간에 사이클릭 프리픽스(cyclic prefix ; CP)대신 PN시퀀스를 사용하는 것이다.
OFDM방식의 전송신호 수신장치에서 등화기(equalizer)는 채널을 보상하는 장치로서, 채널을 보상하기 위해서 채널 응답 매트릭스(matrix)에 대한 인버스 매트릭스(inverse matrix)를 산출하는 과정을 수행해야 한다.
다중 경로를 통해 수신되는 OFDM 방식의 전송신호에서, 사이클릭 프리픽스(cyclic prefix ; CP)형태를 포함하는 데이터의 채널 응답 매트릭스에 대해 DFT 과정을 수행하면 대각 매트릭스(diagonal matrix)가 된다.
이는 채널 응답 매트릭스는 각 성분이 대각방향을 중심으로 대칭인 성분을 가지는 서큘러 매트릭스(circular matrix)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대각 매트릭스는 매트릭스의 대각성분만으로 인버스 매트릭스를 산출할 수 있고, 상기 인버스 매트릭스를 산출하기 위한 장치는 매트릭스의 대각성분만을 저장하여 인버스 매트릭스(inverse matrix)를 산출하는 연산을 하기 때문에, 인버스 매트릭슬 산출하는 과정이 포함되는 채널 등화과정을 쉽게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TDS-OFDM 방식의 전송신호는 보호구간에 PN 시퀀스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다중 경로를 통해 수신된 전송신호는 데이터 구간에서 주기적인 신호가 되 지 않는다. DFT는 주기함수에만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구간의 신호가 다중 경로로 전송된 신호의 데이터 구간이 주기적으로 분포하지 않는다면, 이에 대해 DFT를 취하더라도 채널 등화과정이 올바르게 수행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DFT 연산을 하더라도 상기 채널 응답 매트릭스가 서큘러 매트릭스가 아니므로 이에 대한 인버스 매트릭스(inverse matrix)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많은 하드웨어 자원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을 TDS-OFDM방식의 전송신호의 채널 등화를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해, 다중 경로로 수신된 TDS-OFDM방식의 전송신호의 데이터 구간을 주기적인 신호로 구성할 수 있는 OFDM방식의 전송신호 수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PN 시퀀스(pseudonoise sequence)를 훈련신호로 사용하는 직교주파수다중분할(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 이하 OFDM)방식의 전송신호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수신신호를 동기화하고, 주파수 및 심벌 타이밍 오차를 보상하는 신호동기부; 및 상기 신호동기부가 출력하는 동기화된 다중 경로 수신신호가 서로 주기적인 관계로 분포하도록 상기 수신신호를 재배치하여 출력하는 신호재구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주파수다중분할방식의 전송신호 수신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PN시퀀스를 훈련신호로 사용하는 직교주파수다중분할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 이하 OFDM)방식의 전송신호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동기화된 수신신호 중 PN시퀀스를 포함하는 동기구간을 제거하는 PN시퀀스제거부; 동기화된 수신신호의 채널을 추정하여 출력하는 채널추정부; 및 상기 채널추정부가 출력하는 채널 추정된 신호로부터 지연신호 구간에 포함된 데이터를 산출하고, 상기 PN시퀀스제거부가 출력하는 수신신호의 프레임 바디구간의 데이터와 지연신호 구간에 포함된 데이터를 접합하여 출력하는 신호재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주파수다중분할방식의 전송신호 수신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신호재배치부는 상기 PN시퀀스제거부가 출력하는 동기신호가 제거된 데이터를 일정구간 임시저장하여 출력하는 임시저장부; 상기 채널추정부가 출력하는 채널 추정된 신호의 지연구간을 산출하는 지연구간산출부; 상기 지연구간산출부에 포함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지연신호추출부; 및 상기 임시저장부가 출력하는 데이터와 상기 지연신호추출부가 출력하는 데이터를 접합하여 출력하는 연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시저장부는 상기 직교주파수다중분할방식의 전송신호의 하나의 프레임 구간만큼 임시저장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임시저장부는 FIFO(first-in first-out)로 데이터를 지연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 DMB-T의 송신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DMB-T의 송신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DMB-T의 송신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채널부호화부(10)는 수신단에서 에러를 감지하도록 하기 위해 채널을 부호화한 비트스트림(bitstream)을 출력한다.
변조부(20)는 상기 부호화된 비트 스트림을 입력받고 그 비트 스트림을 4치 또는 16치 또는 64치 등의 직교 진폭 변조(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이하 QAM)방식 등으로 변조한다.
상기 역DFT부(30)는 주파수영역에서 OFDM 방식으로 변조된 신호를 시간영역의 OFDM 신호로 변조한다. 일반적으로 DMB-T 방식에서는 전송데이터 3780개 포인트에 대한 주파수영역 신호를 시간영역 신호로 변환시킨다.
PN 생성기(40)는 송신할 방송신호의 훈련신호로 사용할 PN 시퀀스(sequence)를 생성한다.
상기 다중화부(50)는 상기 생성된 PN 시퀀스와 상기 역DFT부(30)에서 변환된 OFDM 신호를 시간영역에서 분배하고, 이를 다중화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SRRC(Square Root Rasied Cosine ; 이하 SRRC)부(60)는 상기 다중화된 DMB-T신호의 대역폭을 제한하여 출력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대역폭 제한에 사용되는 롤-오프 팩터(roll-off factor; α)는 0.05이다.
그리고 RF 전송부(70)에서 상기 대역폭이 제한되어 출력된 신호를 주파수 fc의 RF(Radio Frequency) 전송 대역으로 업 컨버전(up conversion)하여 방송신호를 전송한다.
도 3은 TDS-OFDM 방식의 전송신호 수신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TDS-OFDM 방식의 전송신호 수신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DS-OFDM 방식의 잔송신호 수신장치의 튜너(110)는 RF 전송 대역의 신호를 기저대역(base band) 신호로 전환하여 출력한다.
자동이득제어기(AGC)(120)는 상기 출력된 신호의 파워를 표준화(Power normalization)하여 출력한다.
A/D 컨버터(Analog to digital converter)(130)는 상기 출력된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위상분리기(phase splitter)(140)는 상기 A/D 컨버터(130)가 출력하는 신호로부터 동위(inphase)성분신호(이하, I 신호)와 직교(quadrature)성분신호(이하, Q 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한다.
상기 자동주파수제어(automatic frequency control ; 이하 AFC)부(177)는 상기 분리된 I 신호와 Q 신호의 추정된 주파수 오차를 보상하고, SRRC부(160)는 송신장치에서와 같이 수신된 신호의 대역폭을 제한하는 필터역할을 수행한다.
신호동기부(170)는 크게 3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AFC부(177)는 상기와 같이 수신신호의 주파수 오차를 산출하고, 상기 곱셈기(145)를 통해 수신신호와 주파수 오차가 산출된 신호의 곱을 산출하게 하여 수신신호의 주파수 오차를 보상할 수 있다.
둘째, 신호포착(acquisition)부(172)는 송신장치에서 보낸 PN 시퀀스를 동기화한다.
마지막으로 신호추적(tracking)부(174)는 상기 포착된 PN 시퀀스를 사용하여 심벌 오차를 보상한다.
상기 수신신호 동기부는 모두 PN 상관기(171)의 결과를 사용한다.
신호동기부의 결과 추정된 데이터는 DFT부(180)에서 수행되기 전에 상기 신호재배치부(200)에서 다중 경로로 수신된 다수의 신호내의 프레임바디 구간이 서로 주기적인 관계를 갖도록 신호를 재구성하여 출력한다.
상기 DFT부(180)는 상기 신호재구성부(200)가 출력하는 데이터 구간에 대해 FFT(Fast Fourier Transform)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데이터 구간의 시간영역 값을 산출하고, 상기 등화기(190)를 거쳐 채널이 보상된 후 채널복호화부(미도시)로 출력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OFDM방식의 신호 수신장치의 신호재배치부(200)가 데이터 구간을 주기적으로 구성하는 방법 중 하나의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 내지 (c)를 차례로 참조하여 신호재구성부(200)의 출력하는 데이터가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다중 경로 채널을 통해 수신한 신호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도 4의 신호는 바람직하게는 주파수 오차와 심볼 타이밍 오차가 보상된 신호일 수 있다. 도 4에서 제 2 경로를 통해 수신된 신호는 제 1 경로를 통해 수신된 신호의 시 간 τD만큼 지연된 신호이다. 도 4의 L은 수신 신호의 샘플링 주기를 고려한 지연구간을 의미하므로, 샘플링 주기를 Ts라고 하면 L = τD/Ts의 관계를 가진다. 그리고, 도 4의 신호에서 데이터구간은 DFT로 표시된 구간으로서, 상기 구간에 포함된 데이터는 신호 복호를 위해 DFT 연산이 수행된다.
도 4의 (a)에서 제 1 경로 신호의 데이터 구간과 제 2 경로 신호의 데이터 구간은 제 1 경로 신호의 데이터 구간에 대해 제 2 경로 신호는 길이 L만큼의 PN 시퀀스(A부분)가 포함되기 때문에 서로 주기적인 관계에 있지 않다.
즉, 제 1 경로 신호의 프레임바디 구간(도 4의 (a)에서 DFT로 나타낸 구간)에 해당하는 제 2 경로의 신호는 순수한 프레임바디 구간 외에도 프레임싱크 구간이 포함되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바디 구간에 대해서만 비교하면, 제 1 경로의 신호와 제 2 경로의 신호는 DFT 연산을 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인 서로 주기적인 관계를 만족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다중 경로로 수신된 신호에 대해 DFT 연산을 취한 후에 채널 등화를 실시하면, 채널 등화기는 용이하게 구성될 수 없으며, 많은 하드웨어 자원이 필요로 한다.
도 4의 (b)는 상기 도 4의 (a)로 표현된 제 1 경로 신호와 제 2 경로 신호에서 PN시퀀스를 각각 제거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4의 (b)에서 제 1 경로 신호의 데이터 구간과 제 2 경로 신호의 데이터 구간 역시 제 2 경로 신호에 L만큼의 0(zero)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주기적인 관계에 있지 않다.
그러나, 도 4의 (c)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 경로의 데이터 구간의 마지막 부분에 길이 L만큼의 데이터 구간을 그 데이터 구간의 PN시퀀스가 제거된 부분에 접합하면, 상기 제 1 경로의 데이터 구간과 제 2 경로의 데이터 구간은 서로 주기적인 관계를 가지게 된다.
상기한 것처럼 DFT는 주기함수에만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구간의 신호가 다중 경로로 전송된 신호의 데이터 구간이 주기적으로 분포하게 함으로써 채널 등화과정이 올바르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DFT 결과를 이용하여 인버스 매트릭스를 산출하는 과정도 대각 매트릭스에 대한 인버스 매트릭스 산출과정이 되기 때문에 채널 등화기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데이터 구간에 대해 DFT 연산을 수행하면 채널 등화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OFDM 방식의 전송신호 수신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OFDM 방식의 전송신호 수신장치는 신호동기부(170), 신호재구성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재구성부(200)는 PN시퀀스제거부(201), 채널추정부(202), 신호재배치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동기부(170)는 프레임싱크를 이용하여 수신신호를 동기화하고, 주파수 및 심벌 타이밍 오차를 보상하는 OFDM방식의 전송신호 수신장치내의 일부 구성 블럭이다.
상기 PN시퀀스제거부(201)는 동기화된 수신신호의 보호구간에 포함된 PN시퀀스를 제거하면, 상기 수신신호는 프레임바디구간만 남고, 보호구간의 PN시퀀스는 0(zero)로 패딩된다.
상기 채널추정부(202)는 동기화된 수신신호의 채널을 특성을 추정하여 출력한다. 상기 신호재배치부(220)는 임시저장부(221), 지연구간산출부(222), 지연신호추출부(223), 연산부(2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시저장부(221)은 상기 PN시퀀스제거부(201)가 출력하는 신호를 저장하고, 이를 지연하여 출력한다. 상기 임시저장부(221)는 FIFO(first-in first-out)로서 동작하여 입력신호를 지연하고, 이를 출력할 수 있으며, 프레임바디 구간만큼의 시간을 지연하여 출력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지연구간산출부(222)는 상기 채널추정부(202)가 출력하는 신호를 입력받고, 다중 경로로 수신된 신호 중 지연되어 수신된 신호의 지연구간을 산출한다. 상기 지연신호추출부(223)는 상기 지연구간산출부(222)가 출력하는 신호의 지연구간내에 포함된 신호를 추출한다.
상기 연산부(225)는 상기 임시저장부(221)에서 지연되어 출력되는 신호에 상기 지연신호추출부(223)가 추출하는 신호를 접합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접합된 신호의 일 예는 도 4의 (c)에서 나타낸 제 2 경로의 신호이다. 그리고, 상기 출력된 신호는 DFT부(180)로 출력되어 DFT 연산이 수행된 후 채널 등화기에서 채널이 보상된다.
동일한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특허명세서로부터 본 발명을 변경하거나 변형하는 것은 용이한 것이다. 그래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상기 명확하게 기재되었더라도, 그것을 여러 가지로 변경하는 것은 본 발명의 사상과 관점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아니며 그 사상과 관점 내에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직교주파수다중분할방식의 전송신호를 수신하는 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직교주파수다중분할방식의 전송신호 수신장치에 의하면 다중 경로로 수신된 직교주파수다중분할방식의 전송신호들의 프레임 바디 구간을 주기적인 신호로 구성할 수 있어 채널 등화기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Claims (5)

  1. 삭제
  2. PN시퀀스를 훈련신호로 사용하는 직교주파수다중분할(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 이하 OFDM)방식의 전송신호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수신신호를 동기화하고, 주파수 및 심벌 타이밍 오차를 보상하는 신호동기부;
    상기 신호동기부가 출력하는 동기화된 수신신호 중 PN시퀀스를 포함하는 동기구간을 제거하는 PN시퀀스제거부;
    동기화된 수신신호의 채널을 추정하여 출력하는 채널추정부; 및
    상기 채널추정부가 출력하는 채널 추정된 신호로부터 지연신호 구간에 포함된 데이터를 산출하고, 상기 PN시퀀스제거부가 출력하는 수신신호의 프레임 바디구간의 데이터와 지연신호 구간에 포함된 데이터를 접합하여 출력하는 신호재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주파수다중분할방식의 전송신호 수신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재배치부는 상기 PN시퀀스제거부가 출력하는 동기신호가 제거된 데이터를 일정구간 임시저장하여 출력하는 임시저장부;
    상기 채널추정부가 출력하는 채널 추정된 신호의 지연구간을 산출하는 지연구간산출부;
    상기 지연구간산출부에 포함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지연신호추출부; 및
    상기 임시저장부가 출력하는 데이터와 상기 지연신호추출부가 출력하는 데이터를 접합하여 출력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주파수다중분할방식의 전송신호 수신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저장부는 상기 직교주파수다중분할방식의 전송신호의 하나의 프레임 구간만큼 임시저장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주파수다중분할방식의 전송신호 수신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저장부는 FIFO(first-in first-out)로 데이터를 지연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주파수다중분할방식의 전송신호 수신장치.
KR20050105910A 2005-11-07 2005-11-07 직교주파수다중분할방식의 전송신호 수신장치 KR100735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05910A KR100735696B1 (ko) 2005-11-07 2005-11-07 직교주파수다중분할방식의 전송신호 수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05910A KR100735696B1 (ko) 2005-11-07 2005-11-07 직교주파수다중분할방식의 전송신호 수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8876A KR20070048876A (ko) 2007-05-10
KR100735696B1 true KR100735696B1 (ko) 2007-07-06

Family

ID=38273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105910A KR100735696B1 (ko) 2005-11-07 2005-11-07 직교주파수다중분할방식의 전송신호 수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569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4032A (ko) * 1999-12-24 2001-07-09 박태진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수신기에서 fll을 이용한샘플링 클럭 복원 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79489A (ko) * 2001-04-09 2002-10-19 니폰덴신뎅와 가부시키가이샤 Ofdm신호전달 시스템, ofdm신호 송신장치 및ofdm신호 수신장치
KR20020086161A (ko) * 2001-05-11 2002-11-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전송 시스템의 훈련 심볼 결정방법 및 주파수 옵셋 추정과 동기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20096755A (ko) * 2001-06-21 2002-12-3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전송 시스템에서의 훈련 심볼 결정방법과 주파수 옵셋 추정 방법 및 장치
KR20040008872A (ko) * 2002-07-19 2004-01-31 주식회사 오픈솔루션 오.에프.디.엠 수신기
KR20050013626A (ko) * 2002-06-27 2005-02-04 노오텔 네트웍스 리미티드 이중 모드 공유 ofdm 방법, 송신기, 수신기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4032A (ko) * 1999-12-24 2001-07-09 박태진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수신기에서 fll을 이용한샘플링 클럭 복원 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79489A (ko) * 2001-04-09 2002-10-19 니폰덴신뎅와 가부시키가이샤 Ofdm신호전달 시스템, ofdm신호 송신장치 및ofdm신호 수신장치
KR20020086161A (ko) * 2001-05-11 2002-11-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전송 시스템의 훈련 심볼 결정방법 및 주파수 옵셋 추정과 동기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20096755A (ko) * 2001-06-21 2002-12-3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전송 시스템에서의 훈련 심볼 결정방법과 주파수 옵셋 추정 방법 및 장치
KR20050013626A (ko) * 2002-06-27 2005-02-04 노오텔 네트웍스 리미티드 이중 모드 공유 ofdm 방법, 송신기, 수신기 및 시스템
KR20040008872A (ko) * 2002-07-19 2004-01-31 주식회사 오픈솔루션 오.에프.디.엠 수신기

Non-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EEE 2005년 8월 논문 "On Channel Estimation and Equalization in TDS-OFDM based Terrestrial HDTV Broadcasting System"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4-0008872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5-0013626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1-0064032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2-0079489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2-0086161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2-009675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8876A (ko) 200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6010B1 (ko) 직교주파수분할다중 통신시스템의 보호구간 삽입/제거장치 및 방법
JP4721530B2 (ja) 直交周波数分割多重化システムにおける局部発振器の周波数を補正する方法およびofdm受信器
JP4920828B2 (ja) 直交周波数分割多重システムにおけるサンプリングオフセット補正
US8542774B2 (en) Receiver and method
CN109314687B (zh) 频分多路复用广播系统中信令数据的接收
JP2003224537A (ja) Ofdmを用いる無線ネットワーク用のタイミング同期方法
JP5144687B2 (ja) Ofdm符号タイミングリカバリ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7464071B2 (ja) 受信装置、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KR100793789B1 (ko) 채널 추정 장치 및 채널 추정 방법
KR100739552B1 (ko) 직교주파수다중분할방식의 전송신호 수신장치
KR100797470B1 (ko) Ofdm 변조신호 수신장치의 보호구간 검출기
KR100747543B1 (ko) 방송 신호 복조 장치
KR100735696B1 (ko) 직교주파수다중분할방식의 전송신호 수신장치
KR100662424B1 (ko) PN 시퀀스(pseudonoisesequence)상관기 및 PN 시퀀스 상관방법
KR100662418B1 (ko) Ofdm 변조신호 수신장치
KR100827159B1 (ko) 오에프디엠 통신 시스템에서 오에프디엠 심볼을 위한보호구간 삽입/추출 장치 및 방법
KR100826185B1 (ko) 방송 신호 복조 장치
KR100735695B1 (ko) 직교주파수다중분할방식의 전송신호 수신장치
KR100789833B1 (ko) 등화기
KR100662392B1 (ko) 방송 수신 장치
KR20070119915A (ko) 채널 등화장치 및 등화방법
KR100651913B1 (ko) Ofdm 변조신호 수신장치의 등화기
KR20080077845A (ko) 신호 수신 장치 및 신호 수신 방법
KR20080001085A (ko) 방송 신호 수신 장치
KR20070067972A (ko) 방송 수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