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5324B1 - 냉각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냉각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5324B1
KR100735324B1 KR1020050085841A KR20050085841A KR100735324B1 KR 100735324 B1 KR100735324 B1 KR 100735324B1 KR 1020050085841 A KR1020050085841 A KR 1020050085841A KR 20050085841 A KR20050085841 A KR 20050085841A KR 100735324 B1 KR100735324 B1 KR 100735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cooling device
temperature
hous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5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1130A (ko
Inventor
서원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5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5324B1/ko
Publication of KR20070031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1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3Constructional details, e.g. casings, housings
    • H04B1/036Coo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휴대용 단말기 내부의 온도를 낮추는 냉각장치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설정온도와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를 비교한 결과를 사용자에 지시하기 위한 지시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단말기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면 냉각장치를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단말기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단말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단말기 내부의 온도를 낮추어, 장시간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여도 사용자에게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휴대용 단말기의 작동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휴대용 단말기, 냉각장치, 온도센서, 오디오 시그널 출력 패스

Description

냉각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MOBILE TERMINAL WITH A COOL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각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각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각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말기의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유출시켜 단말기 내부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각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란 함은 이동통신 기지국 등을 통해 사용자와 사용자 또는 사용자와 서비스 업자 사이에서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해 주는 기기를 의 미하는 것으로서, 음성통화 서비스, 단문메시지 전송으로부터 모바일 뱅킹(mobile banking), TV 시청, 온라인 게임, 주문형 비디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등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contents)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한편 사용자가 장시간 통화를 할 때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들이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장시간 제공될 때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부품에서 열이 발생하며, 이렇게 발생한 열은 사용자의 얼굴이나 손으로 전달되어 불쾌감을 유발하거나 가벼운 화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에서 발생한 열로 인하여 내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중앙처리장치(CPU)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처리하는 부품 등의 동작속도가 낮아져, 휴대 단말기의 작동 성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장시간 통화를 하거나, 장시간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열로 인하여 휴대용 단말기 내부의 상승된 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각장치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휴대용 단말기 내부의 온도를 낮추는 냉각장치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설정온도와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를 비교한 결과를 사용자에 지시하기 위한 지시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각장치(105)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각장치(105)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각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3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크게 제1 하우징(101)과 제2 하우징(102)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하우징(101)의 후면에 장착 가능한 냉각장치(105)를 포함한다. 상기 냉각장치(105)는 팬(fan)(미도시)을 구비하며, 팬(fan)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1 하우징(101)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의 공기를 상기 제1 하우징(101) 내부로 유입시켜 휴대용 단말기의 온도를 낮추게 된다. 상기 제1 하우징(101)의 후면 상측에는 상기 냉각장치(105)가 장착되는 장착구(117)가 형성된다. 상기 냉각장치(105)의 작동에 의한 상기 제1 하우징(101) 내부의 공기 흐름에 따라서 외부 공기가 상기 제1 하우징(101))의 내부로 유입 또는 제1 하우징(101)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기구(113)가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외주면, 구체적으로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기구(113)는 한 개 이상의 홀(hole)로 구성되어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배출시켜 냉각효과를 높이게 된 다. 상기 제1 하우징(101)의 하측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탈, 부착 가능한 배터리 팩(115)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측면 상단에 음성신호 또는 주문형 비디오(VOD),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119)가 위치하고 있다.
한편, 상기 냉각 장치(105)를 상기 단말기(100)의 장착구(117)에 장착, 분리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공지의 래치(latch)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냉각 장치(105)의 단부에 후크 등을 설치하여 상기 장착구(117)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1 하우징(101)의 내측면에 맞물리게 하는 것이다. 또한, 자기력에 의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외주면에 상기 냉각 장치(105)의 외장 케이스를 부착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냉각 장치(105)를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장착, 분리 가능하게 하는 구성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채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하우징(101) 상측에 팬(fan)으로 구성되는 냉각장치(205)가 상기 장착구(117; 도 1에 도시됨)에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1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상기 냉각장치(205)가 작동되지 않을 때 외부의 이물질이 냉각장치(205)를 통하여 상기 제1 하우징(10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냉각장치(205)를 폐쇄시키는 커버(21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RF부(310)는 제어부(36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또한 RF부(310)는 고주파 처리부와 중간 주파수 처리부 및 기저 대역 처리부 등을 포괄하는 구성부를 의미하며,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모뎀(MODEM)(315)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온도센서(320)는 상기 단말기(300)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단말기(30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냉각장치(330)는 상기 온도센서(320)에서 측정된 단말기 내부의 온도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온도보다 높을 때, 제어부(360)의 제어하에 상기 냉각장치(330)의 팬(fan)의 회전 방향에 따라 외부공기를 상기 단말기(300) 내부로 유입 또는 상기 단말기(3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단말기(300) 내부의 온도를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온도 이하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오디오처리부(340)는 상기 모뎀(315)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미도시)을 통해 아날로그 신호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 폰으로부터 송신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모뎀(315)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코덱은 별도로 구비되거나 제어부(36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스피커(341)는 상기 코덱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신호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음성으로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하며, 이어잭(342)은 이어폰과 연결되어 상기 코덱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신호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표시부(3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300)의 전반적인 기능과 관련된 정보 및 멀티미디어 처리부(380)에서 출력되는 영상정보를 표시한다.
제어부(36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휴대 전화 기능을 포함할 경우 퀄컴(Qualcomm)사의 MSM(Mobile Station Modem) 칩 등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키입력부(370)는 키 메트릭스 구조(도시하지 않음)를 가지며, 문자 키, 숫자 키와 각종 기능 키 및 외부 볼륨 키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신호를 제어부(360)로 출력한다.
멀티미디어 처리부(380)는 상기 제어부(360)의 제어 하에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신부(385)에서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영상 및 오디오 신호로 처리하여 상기 표시부(350)와 상기 스피커(341) 또는 상기 이어잭(342)으로 출력한다.
메모리(39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용 단말기(330)의 전반적인 기능들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냉각장치(330)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370)를 통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300)가 과열되지 않도록 하는 온도를 설정입력한다. 입력된 설정온도는 제어부(360)에 출력되어 상기 제어부(360) 내의 레지스터(register)(미도시) 또는 상기 메모리(390)에 저장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300)가 작동하는 동안에 상기 온도센서(320)는 상기 휴 대용 단말기(30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며, 측정된 온도는 상기 제어부(360)로 출력되며, 상기 제어부(360)는 상기 측정온도와 상기 레지스터나 상기 메모리(39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설정온도와 비교한다.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온도센서(320)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상기 설정온도보다 높을 경우 상기 제어부(360)는 상기 냉각장치(330)를 작동하도록 제어신호를 보낸다. 상기 제어부(360)는 상기 냉각장치(330)를 작동시키기 전에 상기 표시부(350)나 상기 스피커(341)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비교 결과를 지시할 수 있다. 상기 비교결과를 지시하는 일례로 상기 표시부(350)에 상기 설정온도와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스피커(341)를 통하여 경고음을 내보낼 수 있다. 상기 지시에 반응하여 사용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300)의 사용을 잠시 중지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300)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360)의 제어 하에서 상기 냉각장치(330)는 외부 공기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300)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상기 휴대용 단말기(3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휴대용 단말기(300)의 내부 온도가 상기 설정온도 이하로 내려갈 때까지 작동된다. 일반적으로 팬(fan)으로 구성되는 상기 냉각장치(330)는 작동 시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냉각장치(330)는 일정한 속도로 작동되거나, 정숙을 요하는 정도에 따라서 작동속도가 상기 제어부(360)에 의해 조절되어 소음의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300)를 통하여 DMB 또는 VOD 서비스를 이용하면, 오디오 시그널의 최종 출력 패스는 상기 스피커(341) 또는 상기 이어 잭(342)에 연결된 이어폰(미도시)이 될 수 있는데, 이때 사용자가 상기 오디오 시그널에 의한 소리를 듣기 위하여 정숙을 요하는 정도가 다르다. 즉 오디오 시그널의 최종 출력이 상기 스피커(341)일 경우가 상기 이어잭(342)에 연결된 이어폰일 경우보다 정숙을 요하는 정도가 높으므로, 상기 스피커(341)를 통하여 오디오 시그널이 출력되면 상기 제어부(360)는 상기 냉각장치(330)의 작동속도를 낮추어 상기 냉각장치(330)의 작동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300)의 내부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300)를 통하여 DMB 또는 VOD 서비스를 이용할 때, 상기 제어부(360)는 상기 이어잭(324)에 상기 이어폰이 연결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이어잭(324)에 상기 이어폰이 연결되어 있는지 않으면(이어잭 미접속시: JACK_S = HIGH), 상기 제어부(360)는 상기 오디오 시그널이 상기 스피커(341)를 통하여 출력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냉각장치(330)를 제어하여 상기 작동속도를 낮춘다. 여기서 상기 JACK_S는 상기 제어부(360)와 연결되어 상기 이어폰의 접속여부를 검출하는 포트이다.
또한 오디오 시그널이 상기 이어잭(342)을 통하여 이어폰으로 출력되면 사용자는 외부의 소음을 잘 들을 수 없으므로 이어폰이 상기 이어잭(342)이 꽂히면 상기 제어부(360)는 이를 인식하여 상기 냉각장치(330)의 작동속도를 높여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300)의 내부 온도를 빠르게 낮출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300)를 통하여 DMB 또는 VOD 서비스를 이용할 때, 상기 제어부(360)는 상기 이어잭(324)에 상기 이어폰이 연결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이어잭(324)에 상기 이어폰이 연결되어 있으면(이어잭 접속시: JACK_S = LOW), 상기 제어부(360)는 상기 오디오 시그널이 상기 이어잭(324)에 연결된 이어폰을 통하여 출력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냉각장치(330)를 제어하여 상기 작동속도를 높인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음성통화 시에는 정숙을 요하는 정도가 가장 높기 때문에 상기 냉각장치(330)의 작동속도를 가장 낮게 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300)의 내부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300)를 통하여 음성통화를 할 때, 상기 제어부(360)는 상기 RF부(310)로부터 상기 모뎀(315)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음성통화 신호가 지속적으로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RF부(310)와 상기 모뎀(315)을 통하는 음성통화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360)는 음성통화 중으로 인식하고 상기 냉각장치(330)를 제어하여 상기 작동속도를 높인다.
따라서, 오디오 시그널의 출력 패스 및 음성통화 신호에 따라 상기 냉각장치(330)의 동작속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응용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단말기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면 냉각장치를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단말기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단말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단말기 내부의 온도를 낮추어, 장시간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여도 사용자에게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휴대용 단말기의 작동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휴대용 단말기 내부의 온도를 낮추는 냉각장치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설정온도와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를 비교한 결과를 사용자에 지시하기 위한 지시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공기의 유입 및 배출 가능한 통기구가 상기 하우징의 일단면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장치는 스피커 또는 표시장치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6.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휴대용 단말기 내부의 온도를 낮추는 냉각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장치는 동작속도 조절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오디오 시그널의 출력 패스에 따라 상기 냉각 장치의 동작속도를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음성통화 신호의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냉각장치의 동작속도를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9. 제1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상에 형성되는 장착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냉각 장치는 상기 장착구에 장착, 분리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0. 제1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 상에 형성되는 장착구; 및
    상기 장착구를 개폐시키는 커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냉각 장치는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 내측면에 고정되면서 상기 장착구 상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050085841A 2005-09-14 2005-09-14 냉각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735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841A KR100735324B1 (ko) 2005-09-14 2005-09-14 냉각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841A KR100735324B1 (ko) 2005-09-14 2005-09-14 냉각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130A KR20070031130A (ko) 2007-03-19
KR100735324B1 true KR100735324B1 (ko) 2007-07-04

Family

ID=41633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5841A KR100735324B1 (ko) 2005-09-14 2005-09-14 냉각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53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070Y1 (ko) * 2013-12-09 2014-04-04 유종희 냉각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백 커버
KR101886693B1 (ko) * 2017-02-07 2018-08-08 유호연 휴대기기 내열 방출용 디바이스
US20210392773A1 (en) * 2020-06-10 2021-12-16 National Products, Inc. Cases for mobile devices having a window to facilitate heat dissipation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US20240128996A1 (en) 2022-10-13 2024-04-18 National Products, Inc. Remote repeater device for mobile device dock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7304A (ko) * 2003-12-27 2005-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냉각장치
KR20050071226A (ko) * 2003-12-31 2005-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냉각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7304A (ko) * 2003-12-27 2005-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냉각장치
KR20050071226A (ko) * 2003-12-31 2005-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냉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130A (ko) 2007-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4301B1 (ko)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휴대 단말기및 그 방법
US6281925B1 (en) Video telephone device having automatic sound level setting along with operation mode switching
US6687515B1 (en) Wireless video telephone with ambient light sensor
US20080020708A1 (en) Blue tooth wireless earphone and wireless network phone supported as extension thereof
US6317614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60165243A1 (en) Wireless headset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110044478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udio output and input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000010415A (ko) 휴대전화기의휴대감지에따른통화서비스제공방법
KR100735324B1 (ko) 냉각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JP2000083009A (ja) 無線通信装置
US20050101350A1 (en) Communication device
KR10065146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지역 알림 방법
JPH02262720A (ja) 移動無線電話装置
WO1999035757A1 (fr) Dispositif de radiocommunication a deux modes permettant l'utilisation selective d'un mode analogique ou d'un mode numerique
KR100286129B1 (ko) 음주측정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US6748208B2 (en) Method of transmission for radio monitoring via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pparatus therefor
JP3946066B2 (ja) 携帯電話機、制御プログラム
JP2007013443A (ja) 電子機器および省電力制御方法
JP2007165982A (ja) 無線通信端末
KR100497986B1 (ko) 데이터 가변변조전송기능이 구비된 무선전화시스템
KR100713474B1 (ko) 휴대단말기와 헤드셋간에 정보 송수신 방법
JP2002111572A (ja) 携帯電話機
KR200394692Y1 (ko) 핸즈프리 제어 장치
KR20040058655A (ko) 무선 헤드셋을 이용한 단말기의 위치 알림 장치 및 방법
KR2002006810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응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