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4905B1 - 지하수 공의 오염방지 밀폐장치 - Google Patents

지하수 공의 오염방지 밀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4905B1
KR100734905B1 KR1020070021756A KR20070021756A KR100734905B1 KR 100734905 B1 KR100734905 B1 KR 100734905B1 KR 1020070021756 A KR1020070021756 A KR 1020070021756A KR 20070021756 A KR20070021756 A KR 20070021756A KR 100734905 B1 KR100734905 B1 KR 100734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pipe
coupling
pipe
underground water
ground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1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원
Original Assignee
(주)티이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이엔 filed Critical (주)티이엔
Priority to KR1020070021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49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4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4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5Keeping wells in good condition, e.g. by cleaning, repairing, regenerating; Maintaining or enlarging the capacity of wells or water-bearing la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18Abutment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27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using hooks hinged about an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47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the insulation being located inwardly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수 자원이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상태로 장기간 이용할 수 있게 하고, 분해 조립시 간단한 지하수 오염방지 밀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하수 공을 이루고 있는 하부관에 결합되는 결합몸체와, 상기 결합몸체의 플랜지에 체결되는 뚜껑체와,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되며, 하부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결합용 고정구가 위치되는 체결체와, 상기 결합몸체내에 설치되고, 체결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1흡입관과, 상기 고정구가 고정되는 결합구멍 및 상기 걸림턱이 결합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내통에 제 1흡입관과 연결되는 제2흡입관이 형성하고, 외통에 토출관이 형성되는 결합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관이 결합몸체을 관통하여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특히 다수개의 관을 사용하는 여러가지 공조기 시스템에 적용하기 편리한 효과가 있다.
하부관, 결합몸체, 외통, 내통, 흡입관, 지하수 공, 토출관

Description

지하수 공의 오염방지 밀폐장치{prevention equipment for pollution of underground water}
도 1은 본 발명의 지하수공의 오염방지 밀폐장치에 사용되는 결합장치들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지하수공의 오염방지 밀폐장치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지하수공의 오염방지 밀폐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부관 2 : 결합몸통
3 : 결합관 4 : 뚜껑체
5 : 오링 6 : 제1흡입관
7 : 제2흡입관 8 : 토출관
9 : 결합구멍 10 : 손잡이
11 : 스프링 12 : 고정구
13 : 걸림턱 15: 걸림홈
12 : 뚜껑체 15 : 걸림부
20 : 체결체
본 발명은 지하수 자원이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상태로 장기간 이용할 수 있게 하고, 분해 조립시 간단한 지하수 공의 오염방지 밀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하수는 지표수에 비해 수질이 양호하며, 단기간의 시설공사로 안정된 수량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물부족 국가에 속하는 우리나라의 경우 1960년대부터 정부 주도 하에 지하수 개발 5개년 계획이 수립되면서 조사기술이 체계화되고, 각종 조사장비와 개발장비의 도입이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최근에 들어 지하수 공을 통한 오수의 유입으로 오염이 심각해지자 수질관리를 위한 다양한 시책들이 법으로 제정되어 시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지하수 관련법 중에는 오염방지시설에 대한 세부 설치기준 및 지하 하부의 보호벽(케이싱)이 상부로부터 오염물질이나 지표수 등이 유입될 수 없게 하는 밀폐 구조물을 설치하도 록 강화되어 있다.
종래에도 이와같이 지하수 공의 수질을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고자 여러 가지 밀폐장치 들이 제안되었으나, 대개 그 구조가 복잡하여 작업이 어려우며, 지하수 공의 청소 및 이상발생시 분해하기가 어려워 실용적이지 못한 것이었다.
최근에는 지하수 공의 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heat pump)의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지하수 공에 다수개의 관(흡입관 및 토출관)을 사용하여야 되기 때문에 그 분해 조립이 간편한 밀폐구조가 더욱 요구되는 것이었다.
또한, 히트펌프와 같이 지하수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시스템에 있어서는 주기적으로 보수 및 점검이 필요하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저렴한 시스템이 요구되는 것이었다.
특히 지하수 공은 일정 주기마다 물때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청소가 필요한 실정이나, 그 분해 및 조립시 어렵기 때문에 유지보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하수 공을 외부의 오염 요인으로 부터 보호하고, 관의 누수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수밀구조가 완벽한 지하수 공의 오염방지 밀폐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한 지하수 공의 밀폐구조를 제공하여 작업이 간단한 지하수 공의 오염방지 밀폐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다수개의 관을 사용하여 지하수를 열원으로 공급하는 히트펌프 시스템에 적합하고, 원터치식으로 흡입관을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여 유지보수상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지하수 공의 오염방지 밀폐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여러 가지 관을 사용하는 공조기 시스템에서 관의 온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하기 용이한 지하수 공의 오염방지 밀폐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하수 공의 오염장지 밀폐장치는,
지하수 공을 이루고 있는 하부관에 결합되는 결합몸체와,
상기 결합몸체의 플랜지에 체결되는 뚜껑체와,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되며, 하부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결합용 고정구가 위치되는 체결체와,
상기 결합몸체내에 설치되고, 체결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1흡입관과,
상기 고정구가 고정되는 결합구멍 및 상기 걸림턱이 결합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내통에 제 1흡입관과 연결되는 제2흡입관이 형성하고, 외통에 토출관이 형성되는 결합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관이 결합몸체을 관통하여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고정구는 상부에 손잡이 및 하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체결체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고정되고, 일측을 스프링에 탄설시켜 결합구멍을 통하여 제1흡입관이 제2 흡입관과 결합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 1흡입관 및 제2 흡입관을 연결시켜 흡입관이 형성되며, 제 1흡입관 및 제2 흡입관이 연결시 중간에 오링이 삽입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하수공의 오염방지 밀폐장치에 사용되는 결합장치들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로서 이와 같은 결합장치들을 후술하는 결합몸체(2)내에 내장된다.
이 결합몸체(2)는 지하수 공의 지하수를 흡입하여 외부로 보내는 흡입관과 외부에서 사용된 물을 다시 보내는 토출관(8)으로 구성되고, 흡입관은 제1흡입관(6) 및 제2흡입관(7)이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제1흡입관(6)은 "ㄱ"자형의 관으로 형성되며, 이 흡입관의 한쪽 끝단에는 체결체(20)가 용접을 통하여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체결체(20)는 상부에 손잡이(10)가 형성되어있고, 하부에는 걸림턱(1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체결체(20)에 축 지지되어 스프링(11)에 탄설된 고정구(12)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관(3)의 한쪽 끝단에는 상부에 상기 고정구(12)를 고정시키는 결합구 멍(9)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상기 걸림턱(13)과 결합되는 걸림홈(1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이는 용접을 통하여 고정한다.
또한 결합관(3)의 외통은 토출관(8)이 형성되고, 내통에는 제2흡입관이 관통되게 구성하여 외통과 내통이 서로 분리되게 구성한다.
미설명 부호 5는 오링이다.
이와같은 구조는 도 2의 단면도에 의하여 살펴보면 상기 부품 부재들의 구성 및 결합상태가 보다 자세히 이해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지하수공의 오염방지 밀폐장치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로서 상기한 결합관(3)은 결합몸체을 관통하여 고정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하단에 도시된 하부관(1)은 지하수 공을 형성하고 있는 관으로서 상부에 플랜지가 형성되있고, 볼트 및 너트 (이하'체결수단'이라 칭함)를 통하여 결합몸체(2)와 체결되고, 이 결합몸체의 상부에는 뚜껑체(4)가 체결수단을 통하여 결합된다.
결합몸체(2)가 하부관(1)과 결합된 상태에서 토출관(8)은 가능한 하부관의 벽면에 위치하도록 고정하여 하부관의 청소을 행한 경우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게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 지하수 공에 오염방지를 위하여 밀폐구조를 행하는 경우 하부관(1)의 플랜지를 통하여 체결수단에 의하여 결합몸체(2)을 결합시킨 후 그 결합몸체(2)의 상부를 체결수단에 의하여 뚜껑체(4)와 결합하는 단순한 구조에 의하여 상부에서 유입되는 오염물질 등은 뚜껑체에 의하여 차단된다.
또한 결합관(3)은 상기 결합몸통(2)를 관통하여 결합되어 있으므로 결합관 내의 외통인 토출관은 그대로 하부관(1)내로 인입된 상태이므로 외부에서 토출되는 물은 토출관(8)을 통하여 하부관으로 투입된다.
그리고 흡입관을 형성하기 위하여 결합몸통(2)내에서 스프링에 탄설된 고정구를 원터치로 간단히 결합시킬 수가 있다.
즉, 결합관(3)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구멍(9)에 스프링(11)에 탄설된 고정구(12)를 삽입시킨면 스프링이 탄발되면서 결합구멍내 고정구가 결합된다.
이때 제1흡입관(6) 및 제2흡입관(7)의 사이에 오링(5)을 개계시켜 결합시키면서 하단의 걸림턱(13)이 결합관 하단의 걸림홈(15)에 삽입되게 하여 결합시키면, 제1흡입관(6) 및 제2흡입관(7)이 맞닿은 상태로 연결되므로 이와같이 연결된 흡입관을 통하여 지하수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와같이 흡입관 및 토출관이 결합몸체(2)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된 통로를 형성할 수가 있으므로 지하수가 서로 혼입되는 일 없이 완벽하게 도 3과 같이 밀폐된다.
특히 이와 같은 오염방지 밀폐장치는 경우에는 다수의 관을 사용하는 여러 가지 공조기 시스템에 적용하기가 용이한 것으로 상기 결합관(3)과 같이 외통내에 내통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2개의 통로 사이의 온도차를 줄일 수가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2개의 통로 사이에 온도차가 발생하는 것이 적당한 시스템의 경우에는 내통의 외부에 단열재를 도포하여 서로 단열되게 하여 각각의 온도를 유지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밀폐구조를 유지하다가 지하수 공의 청소나 기타 이상이 발생되어 분해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의 밀폐구조를 역순으로 분해하면 된다.
즉, 도 3에서 서로 결합된 체결수단(볼트 및 너트)을 해체하여 결합몸통 (2)와 체결된 뚜껑체(4))를 이탈시키고,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손잡이(10)를 잡고 결합구멍(9)내 탄설된 고정구(12)를 밀어 이탈시키게 된다.
이때 손잡이(12)를 잡은 손을 가볍게 들어 걸림홈(15)에 걸려있는 걸림턱(13)을 들어올리면서 제1흡입관(6)과 연결된 제2흡입관(7)을 이탈시키면서 위로 들어 올리면 오링(5)과 분리되면서 손쉽게 제1흡입관(6)을 인출할 수가 있고, 이와같이 제1흡수관이 인출된 상태에서 공간이 생기고, 하부관(1)의 측벽에 토출관이 위치되므로 충분히 청소 등 보수작업을 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이와같이 분리작업도 단순히 스프링에 탄설된 결합체(20)를 결합관(3)에서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히트펌프 시스템에 적용된 2개의 흡입관 및 토출관을 사용하고 있는 실예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으나, 다수개의 관이나 하나의 관을 사용하는 오염방치 밀폐장치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가 있으며,
흡입한 지하수를 누수 없이 토출구로 토출하는 수밀기능과, 지하수 흡입통로와 토출통로의 이격시에 지하수가 지하수 관정으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오염방지 밀폐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결합몸체 내에 스프링에 탄설된 고정구를 밀어넣어 손쉽게 흡입관이 결합되고, 역으로 분리될 수 있게 한 것으로 그 분해 및 조립이 편리하여 지하수 공의 유지 관리에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원터치식의 연결방식은 별도의 도구나 공수가 소요되지않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되고, 일정한 정기검사를 요하는 유지 보수에 경제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다수개의 관을 사용하여 지하수를 열원으로 공급하는 히트펌프 시스템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 흡입관 및 토출관이 분해 및 조립이 간단하여 유지 보수에 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흡입관 및 토출관에 연결되는 오염방지 밀폐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다수개의 관을 사용하는 시스템 및 하나의 관을 사용하는 오염방지를 위한 밀폐구조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청구범위 내에서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4)

  1. 지하수 공을 이루고 있는 하부관에 결합되는 결합몸체와,
    상기 결합몸체의 플랜지에 체결되는 뚜껑체와,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되며, 하부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결합용 고정구가 위치되는 체결체와,
    상기 결합몸체내에 설치되고, 체결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1흡입관과,
    상기 고정구가 고정되는 결합구멍 및 상기 걸림턱이 결합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내통에 제 1흡입관과 연결되는 제2흡입관이 형성하고, 외통에 토출관이 형성되는 결합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관이 결합몸체을 관통하여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공의 오염방지 밀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상부에 손잡이 및 하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체결체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고정되고, 일측을 스프링에 탄설시켜 결합구멍을 통하여 제1흡입관이 제2 흡입관과 결합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공의 오염방지 밀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흡입관 및 제2 흡입관을 연결시켜 흡입관이 형성되며,
    제 1흡입관 및 제2 흡입관이 연결시 중간에 오링이 삽입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공의 오염방지 밀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관을 형성하는 내통의 외부에 단열재를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공의 오염방지 밀폐장치
KR1020070021756A 2007-03-06 2007-03-06 지하수 공의 오염방지 밀폐장치 KR100734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1756A KR100734905B1 (ko) 2007-03-06 2007-03-06 지하수 공의 오염방지 밀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1756A KR100734905B1 (ko) 2007-03-06 2007-03-06 지하수 공의 오염방지 밀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4905B1 true KR100734905B1 (ko) 2007-07-03

Family

ID=38503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1756A KR100734905B1 (ko) 2007-03-06 2007-03-06 지하수 공의 오염방지 밀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49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605B1 (ko) 2008-11-11 2009-06-11 박종덕 밀폐캡을 갖는 관정(管井) 오염방지장치
KR100956188B1 (ko) 2009-07-30 2010-05-04 주식회사 화성테크 지하수 오염방지 밀폐장치
KR101894015B1 (ko) * 2018-01-11 2018-08-31 주식회사 천지테크 지하수 관정 보호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2593U (ja) 1983-03-15 1984-09-22 株式会社ダイフク 管継手
JPH08291543A (ja) * 1995-04-20 1996-11-05 Eishin Seisakusho:Kk さく井工事の塩ビ管接合用ホルダー
US5934370A (en) 1997-11-24 1999-08-10 Hoeptner, Iii; Herbert W. Well water flow diverter apparatus
KR20050110136A (ko) * 2004-05-18 2005-11-23 주식회사 정진멀티테크놀로지 철도차량간 에어호스 연결용 커플링
KR20060135084A (ko) * 2005-06-24 2006-12-29 조희남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의 토출구 전진 결합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2593U (ja) 1983-03-15 1984-09-22 株式会社ダイフク 管継手
JPH08291543A (ja) * 1995-04-20 1996-11-05 Eishin Seisakusho:Kk さく井工事の塩ビ管接合用ホルダー
US5934370A (en) 1997-11-24 1999-08-10 Hoeptner, Iii; Herbert W. Well water flow diverter apparatus
KR20050110136A (ko) * 2004-05-18 2005-11-23 주식회사 정진멀티테크놀로지 철도차량간 에어호스 연결용 커플링
KR20060135084A (ko) * 2005-06-24 2006-12-29 조희남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의 토출구 전진 결합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605B1 (ko) 2008-11-11 2009-06-11 박종덕 밀폐캡을 갖는 관정(管井) 오염방지장치
KR100956188B1 (ko) 2009-07-30 2010-05-04 주식회사 화성테크 지하수 오염방지 밀폐장치
KR101894015B1 (ko) * 2018-01-11 2018-08-31 주식회사 천지테크 지하수 관정 보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0129B1 (ko) 모듈형 모바일 룸을 연결하기 위한 유닛
KR100734905B1 (ko) 지하수 공의 오염방지 밀폐장치
CN211146112U (zh) 一种基于物联网的油气井管道泄露监测装置
KR200473856Y1 (ko) 대구경 공공관정 밀폐식 지하수 정호커버
JP4293934B2 (ja) バルブ取り外し装置
ES2887579T3 (es) Conjunto de conexión de una tubería de derivación a una canalización principal y llave de paso con sensor
KR20120021589A (ko) 밀폐식 상부 보호공 장치
KR100371520B1 (ko) 지하수 취수관의 오염방지 장치
KR100788929B1 (ko) 지하수 공의 오염방지 밀폐장치
KR200391193Y1 (ko) 지표하부 보호케이싱의 밀폐식 상부오염방지장치
CN205580561U (zh) 一种适用于污水水位监测的投入式液位传感器保护装置
KR200419993Y1 (ko) 누수방지 패킹 삽입식 밸브실
JP5780065B2 (ja) シェルター非常換気装置吸排気配管接続貫通ユニットおよび組立接続方法
KR100640143B1 (ko) 관정 시설물 보호장치
KR100993838B1 (ko) 내부 청소가 가능한 밀폐식 관정 상부 보호 장치
KR100939972B1 (ko) 동파방지장치가 구비된 관정용 방오방수장치
KR100777127B1 (ko) 지하수 공의 오염방지 밀폐장치
KR100741319B1 (ko) 누수방지 패킹 삽입식 밸브실
KR200375104Y1 (ko) 관로연결구
JP4551829B2 (ja) マンホール筒状体
KR200433333Y1 (ko) 지하수 관정용 오염방지구조
JP7432491B2 (ja) サイホン排水システムの検査方法、治具
CN211498953U (zh) 预埋式井室吹扫结构
KR102110468B1 (ko) 지중송전 케이블의 누전차단장치
JP2004143759A (ja) 排水設備及びそ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