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4213B1 - 계조 포화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계조 포화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4213B1
KR100734213B1 KR1020050089972A KR20050089972A KR100734213B1 KR 100734213 B1 KR100734213 B1 KR 100734213B1 KR 1020050089972 A KR1020050089972 A KR 1020050089972A KR 20050089972 A KR20050089972 A KR 20050089972A KR 100734213 B1 KR100734213 B1 KR 100734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saturation
luminance value
luminanc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9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5289A (ko
Inventor
변민섭
Original Assignee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텍비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9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4213B1/ko
Publication of KR20070035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5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4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4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50Control of the SSIS exp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6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imag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조 포화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입력된 영상 신호의 휘도 값을 측정하는 단계, 휘도 값이 표시 가능한 최대값 또는 최소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값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휘도 값이 표시 가능한 최대값인 경우 휘도 값을 표시 가능한 최소값으로 지정하고, 판단 결과 휘도 값이 표시 가능한 최소값인 경우 휘도 값을 표시 가능한 최대값으로 지정하는 단계 및 지정된 휘도 값을 표시장치 구동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계조, 포화, 표시

Description

계조 포화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saturated gradation}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를 갖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계조 포화 정보 표시 시스템은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계조 포화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시 원본 이미지와 계조 포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수정된 이미지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계조 포화 정보 표시 방법이 적용되는 휴대폰 카메라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 계조 포화 표시 장치
203 : 카메라 인터페이스부
205 : 휘도 추출부
207 : 명/암부 휘도 추출부
209 : 선택기
본 발명은 계조 포화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계조는 사진 화상에서 휘도의 농도가 가장 짙은 부분에서 가장 옅은 유효 농도부까지의 농도 이행단계를 의미한다. 휘도란 일정한 넓이를 가진 광원 또는 빛의 반사체 표면의 밝기를 나타내는 양을 말한다. 휘도는 특정 방향으로 표면의 단위면적당 방출되는 광도에 관한 개념이다. 여기서 표면은 자체 발광하거나 방사할 수 있지만, 다른 광원으로부터 빛을 반사하는 것도 가능하다. 면적은 시야의 방향에 직각인 평면 위의 해당 표면적의 돌출부를 의미한다. 구면의 경우, 예를 들면, 어떤 방향으로의 전체 외관상의 면적은 구면의 단면적이다. 각기 다른 반사 특성을 갖는 표면들은 동일한 조도로 각기 다른 광도를 방사하므로 각기 다른 휘도를 갖는다.
최근 이동 단말기의 발전과 더불어 디지털 카메라 기능이 탑재된 이동 단말기의 사용이 보편화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는 이미지 센서(101), 신호 처리부(103), 제어부(105), 플래시 메모리(107), LCD 구동부(109) 및 표시부(111)를 포함한다. 정지 화상이나 동화상의 촬영을 위한 키 신호가 입력되면, 이미지 센서(101)에서 촬영된 화상 데이터가 신호 처리부(103)에서 감마 보정 등 신호 처리 과정과 동화상을 위한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 Group)으로 압축된 후 제어부(105)에 입력된다. 제어부(105)는 촬영된 화상 데이터를 LCD 구동부(109)에 전달하며, 이 과정에서 플래시 메모리(107)는 정지 화상을 일시 저장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화상 데이터는 LCD 구동부(109)에서 디스플레이 타입에 맞게 신호 변환되어 표시부(111)로 출력됨으로써, 촬영된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피사체를 촬영한 후 표시 장치인 LCD로 확인하여 사용자의 판단으로 저장 여부를 결정한다. 그러나 CMOS 또는 CCD를 통해 입력된 실제 이미지는 표시 장치에 표현된 이미지와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는 이미지 표시 장치마다 감마 특성의 차이로 인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 실제 촬영 당시의 피사체와 영상 표시 장치에 표현된 영상과의 차이를 가져올 뿐 아니라, 후보정시에도 휘도 값이 아주 높은 부분이나 아주 낮은 부분의 정보, 즉 계조 정보가 사라져 재생 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원하는 사진을 얻을 수 없다.
특히 맑은 하늘의 사진이나 반사가 심한 사물 등을 촬영할 경우 명부 계조 포화가 심해지고, 야경이나 실내 사진의 경우 암부 계조 포화가 심해진다. 이때 기 존의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의 경우 사용자는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영상만 가지고 사진의 질을 판단하게 되므로, 실제 계조 포화로 인한 정보 손실의 정도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카메라로 피사체를 촬영할 때 계조 표현의 한계를 한정된 하드웨어 스펙 내에서 최대한 살릴 수 있는 계조 포화 표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계조 포화 정보를 표시하여 피사체의 계조 포화 상태를 피해 질 높은 사진을 얻을 수 있는 계조 포화 표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계조 포화 정보를 표시하여 피사체의 계조 포화 상태를 피해 질 높은 사진을 얻을 수 있는 계조 포화 표시 방법 및 장치가 적용되는 핸드폰 카메라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미지 센서 및 표시장치 구동부와 결합하는 계조 포화 측정 장치에서 계조 포화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를 통해 입력된 영상 신호의 휘도 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휘도 값이 표시 가능한 최대값 또는 최소값 중 어느 하나의 값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휘도 값이 표시 가능한 최대값인 경우 휘도 값을 표시 가능한 최소값으로 지정하고, 상기 판단 결과 휘도 값이 표시 가능한 최소값인 경우 휘도 값을 표시 가능한 최대값으로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지정된 휘도 값을 상기 표시장치 구동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장치 구동부는 상기 지정된 휘도 값을 가지는 이미지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조 포화 정보 표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판단 결과 휘도 값이 표시 가능한 최대값인 경우 명부 계조 포화로 판단하고, 휘도 값이 표시 가능한 최소값인 경우 암부 계조 포화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명부 계조 포화인 경우 휘도 값을 표시 가능한 최소값으로 지정하고, 암부 계조 포화인 경우 휘도 값을 표시 가능한 최대값으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미지 센서 및 표시장치 구동부와 결합하는 계조 포화 측정 장치에서 계조 포화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를 통해 입력된 영상 신호의 휘도 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휘도 값이 표시 가능한 최대값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휘도 값이 최대값인 경우 상기 휘도 값을 표시 가능한 최소값으로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지정된 휘도 값을 상기 표시장치 구동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장치 구동부는 지정된 휘도 값을 가지는 이미지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조 포화 정보 표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미지 센서 및 표시장치 구동부와 결합 하는 계조 포화 측정 장치에서 계조 포화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를 통해 입력된 영상 신호의 휘도 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휘도 값이 표시 가능한 최소값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휘도 값이 최소값인 경우 상기 휘도 값을 표시 가능한 최대값으로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지정된 휘도 값을 상기 표시장치 구동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장치 구동부는 상기 지정된 휘도 값을 가지는 이미지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조 포화 정보 표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미지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카메라 인터페이스부, 상기 카메라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의 휘도를 추출하는 휘도 추출부, 상기 휘도 추출부로부터 추출된 상기 휘도 값이 표시 가능한 최대값인 경우 명부 계조 포화로 판단하고, 상기 휘도 값이 표시 가능한 최소값인 경우 암부 계조 포화로 판단하는 명/암부 휘도 추출부 및 상기 명/암부 휘도 추출부에서 명부 계조 포화로 판단되는 경우 휘도 값을 표시 가능한 최소값으로 지정하고, 암부 계조 포화로 판단되는 경우 휘도 값을 표시 가능한 최대값으로 지정하여 표시 장치 구동부로 전달하는 선택기를 포함하는 계조 포화 정보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계조 포화 정보 표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계조 포화 정보 표시 시스템은 계조 포화 표시 장치(201) 및 제어부(211)를 포함하며, 계조 포화 표시 장치(201)는 카메라 인터페이스부(203), 휘도 추출부(205), 명/암부 휘도 추출부(207) 및 선택기(209)를 포함한다.
카메라 인터페이스부(203)는 디지털 카메라 등의 이미지 센서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휘도 추출부(205)로 전달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휘도 추출부(205)는 휘도 정보만 추출하고, 휘도 정보를 명/암부 휘도 추출부(207)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명/암부 휘도 추출부(207)는 휘도 추출부(205)로부터 휘도 정보를 수신하여 암부 계조 포화 또는 명부 계조 포화인지를 판단하고 이를 선택기(209)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선택기(209)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LCD 구동장치와 결합하고 있으며, 제어부(211)의 제어를 받아 명/암부 휘도 추출부(207)로부터 수신한 계조 포화 정보를 표시할 것인지를 결정하여 계조 포화 정보를 LCD 구동장치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선택기(209)는 상기 카메라 인터페이스부(203)에서 수신한 영상 데이터 중에서 휘도를 제외한 색차 정보를 LCD 구동 장치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휘도 추출부(205)에서 명/암부 휘도 추출부(207)로 입력되는 휘도 값은 '0' 에서 '표시 가능한 최대값' 사이의 값을 갖는다. 이때 명/암부 휘도 추출부(207)는 그 값이 '0'이면 암부 계조 포화로 판단하고, '표시 가능한 최대값'이면 명부 계조 포화로 판단한다. 여기서 '표시 가능한 최대값'이라 함은 8비트 신호 체계를 갖는 경우에는 255(2^8-1= 255)가 된다. 제어부(211)는 선택기(209)를 제어하여 명/암부 휘도 추출부(207)에서 판단한 명/암부 계조 포화 정보의 표시 기능의 사용 여부를 제어한다. 계조 포화 정보의 표시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선택기(209)는 명/암부 휘도 추출부(207)로부터 수신한 계조 포화 정보가 암부 계조 포화인 경우 그 휘도 값을 '표시 가능한 최대값'으로 하여 LCD 구동 장치로 전달하고, 명부 계조 포화인 경우 그 휘도 값을 '0'으로 하여 LCD 구동 장치로 전달한다.
제어부(211)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촬영 시 원본 이미지를 보여 줄 수도 있고, 계조 포화 정보가 표시되지 않은 암부, 명부 계조 포화 이미지를 보여 줄 수도 있다. 이는 계조 포화 표시 장치(201)가 이미지 센서로부터 수신한 이미지 정보를 실시간으로 처리한 후 별도의 메모리에 저장하지 않고 LCD 구동 장치로 그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가능하다. 한편 사용자의 선택 또는 시스템의 설계에 따라 계조 포화 표시 장치(201)는 제어부(211)의 제어를 받아 명부 계조 포화 정보만을 표시하거나 또는 암부 계조 포화 정보만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계조 포화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계조 포화 표시 장치는 카메라의 이미지 센서로부터 피사체 이미지를 휘도와 색차 신호 형태로 입력 받아 휘도 신호만 선택한 후, 그 값을 검사한다(단계 301). 계조 포화 표시 장치는 휘도 값이 시스템이 표현할 수 있는 최대값, 즉 표시 가능한 최대값(8비트 시스템인 경우 255)인지를 판단한다(단계 303). 상기 판단 결과 휘도 값이 '표시 가능한 최대값'인 경우 단계 305가 수행되 고, '표시 가능한 최대값'이 아닌 경우 단계 307이 수행된다. 단계 305에서 계조 포화 표시 장치는 명부 계조 포화로 인식하여 휘도 값을 '0'으로 수정한다. 이때 휘도 값이 '0'인 경우 검정색을 의미한다.
단계 307에서 계조 포화 표시 장치는 휘도 값이 '표시 가능한 최소값'인 '0'인지를 판단하여 '표시 가능한 최소값'인 경우 단계 309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단계 311을 수행한다. 단계 309에서 계조 포화 표시 장치는 암부 계조 포화로 인식하여 휘도 값을 '표시 가능한 최대값'으로 수정한다. 이때 휘도 값이 '표시 가능한 최대값'인 경우 흰색을 의미한다.
단계 311에서 휘도 값이 '표시 가능한 최소값'과 '표시 가능한 최대값'사이의 값을 갖는 경우, 계조 포화 표시 장치는 다음 픽셀의 검사를 위한 단계로 이동한다. 단계 313에서 계조 포화 정보 표시 장치는 단계 305 및 단계 309에서 수정된 계조 포화 정보를 LCD 구동 장치로 전달하고, LCD 구동 장치는 수정된 계조 포화 정보를 LCD에 표시한다.
단계 315에서 제어부로부터 계조 포화 정보 추출 동작의 정지 명령이 있는 경우 앞서 진행 됐던 동작은 종료되며, 종료 명령이 없는 경우 다음 픽셀을 계속하여 검사하기 위해 단계 311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시 원본 이미지와 계조 포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수정된 이미지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원본 이미지(401)는 명부 계조 포화 영역(403) 및 암부 계 조 포화 영역(405)을 포함한다. 명부 계조 포화 영역(403)은 휘도 값이 '표시 가능한 최대값'인 경우이며, 암부 계조 포화 영역(405)은 휘도 값이 '표시 가능한 최소값'인 경우이다. 원본 이미지(401)의 상기 명부 계조 포화 영역(403)은 수정된 이미지(411)에서 검은색 영역(413)으로 표현되며, 원본 이미지(401)의 상기 암부 계조 포화 영역(405)은 수정된 이미지(411)에서 흰색 영역(415)으로 표현된다. 이때 검은색 영역(413)은 휘도 값이 '표시 가능한 최소값'으로, 흰색 영역(413)은 휘도 값이 '표시 가능한 최대값'으로 수정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계조 포화 영역(403, 405)을 검은색(413) 또는 흰색(415)으로 표현하는 경우 사용자의 눈에 쉽게 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계조 포화 정보 표시 방법이 적용되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단말기는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이하 '휴대폰 카메라'라 한다)이며, 본 도에서는 디지털 카메라 기능만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폰 카메라는 계조 포화 표시 장치(201), 이미지 센서(501), 신호 처리부(503), 이미지 저장/재생부(505), 프레임 메모리(507), LCD 구동부(509), LCD(511) 및 제어부(513)를 포함한다.
계조 포화 표시 장치(201)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종래의 휴대폰 카메라의 구성과 동일하다. 즉 이미지 센서(501)에서 촬영된 화상 데이터는 신호 처리부(503)에서 감마 보정 등 신호 처리 과정과 동화상을 위한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 Group)으로 압축된 후 이미지 저장/재생부(505)에 입력된다. 이미지 저장/재생부(505)는 촬영된 화상 데이터를 LCD 구동부(509)에 전달하며, 프레임 메모리(507)는 정지 화상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는 LCD 구동부(509)에서 디스플레이 타입에 맞게 신호 변환되어서 LCD(511)로 출력됨으로써, 촬영된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이 디스플레이된다.
계조 포화 표시 장치(201)는 실제 휴대폰 카메라 시스템에서 휴대폰 카메라의 이미지 센서(501) 및 LCD 구동부(509) 사이에 위치하여, 화상 데이터의 계조 포화 정보를 추출하여 LCD 구동부(201)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계조 포화 표시 장치(201)는 이미지 센서(501)로부터 입력받아 신호 처리부(503)에서 신호 처리된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휘도 값을 측정하고, 휘도 값이 '표시 가능한 최소값'인 경우에는 휘도 값을 '표시 가능한 최대값'으로, 휘도 값이 '표시 가능한 최대값'인 경우에는 휘도 값을 '표시 가능한 최소값'으로 수정하여 LCD 구동부(509)로 전달한다. LCD 구동부(509)는 계조 포화 표시 장치(201)로부터 휘도 값이 수정된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화상 데이터의 이미지를 표시 장치인 LCD(511)에 출력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카메라로 피사체 촬영시 사용자는 계조 포화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촬영 의도에 따라 저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신호 처리부의 밝기나 콘트라스트 조작을 통해, 피사체 이미지를 디지털화하는데 있어 계조 포화에 따른 정보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촬영 후 후보정 작업을 통해 양질의 사진을 재생할 수 있으며, 별도의 메모리를 사용하지 아니하고도 최소한의 비용으로 계조 포화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계조 포화 정보를 표시하여 피사체의 계조 포화 상태를 피해 질 높은 사진을 얻을 수 있는 계조 포화 표시 방법 및 장치가 적용되는 핸드폰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이미지 센서 및 표시장치 구동부와 결합하는 계조 포화 측정 장치에서 계조 포화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를 통해 입력된 영상 신호의 휘도 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휘도 값이 표시 가능한 최대값 또는 최소값 중 어느 하나의 값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휘도 값이 표시 가능한 최대값인 경우 휘도 값을 표시 가능한 최소값으로 지정하고, 상기 판단 결과 휘도 값이 표시 가능한 최소값인 경우 휘도 값을 표시 가능한 최대값으로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지정된 휘도 값을 상기 표시장치 구동부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장치 구동부는 상기 지정된 휘도 값을 가지는 이미지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계조 포화 정보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휘도 값이 표시 가능한 최대값인 경우 명부 계조 포화로 판단하고, 휘도 값이 표시 가능한 최소값인 경우 암부 계조 포화로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되, 명부 계조 포화인 경우 휘도 값을 표시 가능한 최소값으로 지정하고, 암부 계조 포화인 경우 휘도 값을 표시 가능한 최대값으로 지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계조 포화 정보 표시 방법.
  3. 이미지 센서 및 표시장치 구동부와 결합하는 계조 포화 측정 장치에서 계조 포화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를 통해 입력된 영상 신호의 휘도 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휘도 값이 표시 가능한 최대값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휘도 값이 최대값인 경우 상기 휘도 값을 표시 가능한 최소값으로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지정된 휘도 값을 상기 표시장치 구동부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장치 구동부는 지정된 휘도 값을 가지는 이미지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계조 포화 정보 표시 방법.
  4. 이미지 센서 및 표시장치 구동부와 결합하는 계조 포화 측정 장치에서 계조 포화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를 통해 입력된 영상 신호의 휘도 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휘도 값이 표시 가능한 최소값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휘도 값이 최소값인 경우 상기 휘도 값을 표시 가능한 최대값으로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지정된 휘도 값을 상기 표시장치 구동부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장치 구동부는 상기 지정된 휘도 값을 가지는 이미지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계조 포화 정보 표시 방법.
  5. 이미지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카메라 인터페이스부;
    상기 카메라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의 휘도를 추출하는 휘도 추출부;
    상기 휘도 추출부로부터 추출된 상기 휘도 값이 표시 가능한 최대값인 경우 명부 계조 포화로 판단하고, 상기 휘도 값이 표시 가능한 최소값인 경우 암부 계조 포화로 판단하는 명/암부 휘도 추출부; 및
    상기 명/암부 휘도 추출부에서 명부 계조 포화로 판단되는 경우 휘도 값을 표시 가능한 최소값으로 지정하고, 암부 계조 포화로 판단되는 경우 휘도 값을 표시 가능한 최대값으로 지정하여 표시 장치 구동부로 전달하는 선택기
    를 포함하는 계조 포화 정보 표시 장치.
KR1020050089972A 2005-09-27 2005-09-27 계조 포화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0734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972A KR100734213B1 (ko) 2005-09-27 2005-09-27 계조 포화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972A KR100734213B1 (ko) 2005-09-27 2005-09-27 계조 포화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5289A KR20070035289A (ko) 2007-03-30
KR100734213B1 true KR100734213B1 (ko) 2007-07-02

Family

ID=41632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9972A KR100734213B1 (ko) 2005-09-27 2005-09-27 계조 포화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421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7143A (ko) * 1995-09-28 1997-04-30 윤종용 화상 표시 장치의 다계조 표시 구동 방법
KR970017137A (ko) * 1995-09-06 1997-04-30 윤종용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 소자의 다계조 표시 구동 방법
KR20040076614A (ko) * 2003-02-25 2004-09-01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20040088372A (ko) * 2003-03-31 2004-10-16 도시바 마쯔시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7137A (ko) * 1995-09-06 1997-04-30 윤종용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 소자의 다계조 표시 구동 방법
KR970017143A (ko) * 1995-09-28 1997-04-30 윤종용 화상 표시 장치의 다계조 표시 구동 방법
KR20040076614A (ko) * 2003-02-25 2004-09-01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20040088372A (ko) * 2003-03-31 2004-10-16 도시바 마쯔시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5289A (ko) 2007-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9042B2 (en) Digital camera, image capture method, and image capture control program
CN102165762B (zh) 图像拍摄装置以及图像拍摄装置用信号处理电路
JP4774915B2 (ja) 撮像装置、階調補正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1309211A (ja) 電子カメラ
US981363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20050174427A1 (en) Electronic camera and image generating apparatus generating stereo image
JP2007135140A (ja) 撮像装置
US11601600B2 (en)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WO2015127594A1 (zh) 一种拍摄补光的控制方法、装置及终端
JP7371197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1097777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US1111563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captur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7157714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1285703A (ja) 電子カメラ
US20030081954A1 (en) Digital camera
JP2004140736A (ja) 撮像装置
KR100734213B1 (ko) 계조 포화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JP2003309854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6270752A (ja) 電子ファインダー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カメラ
JP4422353B2 (ja) 電子カメラ
KR101589493B1 (ko) 플래시를 이용한 화이트 밸런스 조정 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JP3837897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4015597A (ja) 電子カメラ
JP2012129611A (ja) 撮像装置
JP2006197081A (ja) ダイナミックレンジ圧縮機能を持つデジタル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