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3649B1 - 종진동 부품 정렬기 - Google Patents

종진동 부품 정렬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3649B1
KR100733649B1 KR1020060021489A KR20060021489A KR100733649B1 KR 100733649 B1 KR100733649 B1 KR 100733649B1 KR 1020060021489 A KR1020060021489 A KR 1020060021489A KR 20060021489 A KR20060021489 A KR 20060021489A KR 100733649 B1 KR100733649 B1 KR 100733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cam
shaft
vibration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1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2204A (ko
Inventor
도미오 고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웨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웨스텍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웨스텍
Publication of KR20060112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2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3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3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4Buffers for se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전기구동 모터와, 캠 샤프트와, 캠 샤프트 상에 병설된 한 쌍의 원통형 작용면을 갖는 편심 캠으로 구성된 진동 발생원이 재치되면서 이측에 요동기구가 고정된 고정 테이블, 고정 테이블에 상방 및 하방이 고정되는 탄성 신축 가능한 현가 지주, 그 상단에 진동 테이블이, 하단에 공진 방지용 중추가 놓여지는 웨이트 테이블이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편심 캠의 각각의 중심 축선이 캠 샤프트의 회전 중심 축선에 대해 직경방향으로 상호 같은 거리만큼 편의하고 있고, 일단에 편심 캠을, 타단에 상기 각 테이블의 핀을 각각 지지하는 저널 베어링을 구비한 링크 부재에 의해 각각 접속되어 있고, 한쪽의 링크 부재가 상기 고정 테이블을 관통하여 신장되어 있다.

Description

종진동 부품 정렬기{VIBRATING PARTS ALIGNE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종진동 부품 정렬기의 주요부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종진동 부품 정렬기의 주요부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종진동 부품 정렬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종진동 부품 정렬기의 주요부 좌측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진동 부품 정렬기에서의 진동 모터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진동 모터에 사용되는 밸런스 웨이트의 개략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진동 부품 정렬기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 단면으로부터 본 종래의 진동 부품 정렬기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종진동 부품 정렬기 2 : 진동 발생원
3 : 캠 샤프트 4 : 편심 캠
20 : 진동 테이블 30 : 웨이트 테이블
40 : 현가 지주 50 : 정렬 팔레트
W : 공진 방지용 중추
본 발명은 종진동 부품 정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일 형상의 비스, 너트, 스크루, 각종 전자부품 등의 부속 부품을 다수의 규칙적으로 배열하는 오목부가 형성된 납작한 접시 형상의 팔레트 내에, 처음에는 이들 부품을 통합하여 투입하고, 이어 팔레트 외부로부터 주로 종진동을 부여함으로써, 이들 부품을 1개씩 오목부 내에 떨어뜨려 넣고, 마지막에 팔레트를 크게 요동하여 모든 오목부를 부품으로 채움과 동시에 잉여의 부품을 팔레트 외부로 배제하는 일련의 작업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부품 정렬기로는, 도 5 내지 도 8에 개략 도시한 것과 같은 모터 자체가 진동 발생원을 형성하는 형식의 것이 널리 알려져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도 5를 참조하면, 진동 발생원으로서의 모터(200)는 편심 회전 모멘트를 발생하도록 그 회전축(201)의 양쪽 단부에 밸런스 웨이트(202)가 고정되어 있고, 이러한 밸런스 웨이트(202)는 도 6을 참조하면, 상대 설치 각도(α)가 가변인 한 쌍의 부채꼴 중추 부품(202a 및 202b)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각도(α)를 조정함으로써 편심도를 가감할 수 있고, 작게 하면 할수록 편심도는 커져 모터의 회전축에는 보다 큰 진폭의 진동을 발생하는 편심 모멘트가 발생한다.
또, 상기한 형식의 부품 정렬기(100)의 전체가 도 7에서 개략 정면도로서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품 정렬기(100)는, 밸런스 웨이트(202)가 장착된 모터(200)가 발생하는 진동의 종방향 성분만을 정렬 팔레트(120)에 반영시키기 때문에, 설치 기대(101)와, 이 기대(101)의 양측 단부 중앙에 수직으로 세워 설치한 2개의 고정 지주(102)와, 이들 고정 지주(102)의 상단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베어링(103)과, 설치 기대(101)와 평행하게 신장되면서 양단이 베어링(103)에 각도 조정 가능하게 유지 및 고정된 설치 축(104)으로 구성된 베어링 프레임(105)을 한쪽에서 갖고 있다. 또, 설치 축(104)의 하방에서 고정 테이블(106)이 설치 축과 평행하게 복수 개소에서 축 고정축 고정107)에 의해 설치 축(104)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매달려있다.
이 고정 테이블(106)은 상방을 향해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레그부(108)를 네 모서리에 구비하고 있고, 그리고, 이들 레그부(108)의 상단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109)을 통해 부품 정렬 팔레트(120)가 재치된 진동 테이블(110)이 고정 테이블(106)과 평행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진동 테이블(110)은, 타방에서 그 이면으로부터 수하(垂下)하는 4개의 설치부재(111)를 구비하고 있고, 그 하방 단부에는 진동 모터(200)가 매달려있다. 따라서, 진동 모터(200)는, 그 자중을 압축 코일 스프링(109)을 통해 수직방향으로 탄성 편의 가능하게 고정 테이블(106)의 레그부(108)를 통해 고정 테이블(106)에 지지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종래의 진동 부품 정렬기(100)에서는, 진동 모터(200)가 기동되면, 상기 회전축(201)의 양단부에 고정된 밸런스 웨이트(202)가 편심 하중 모멘트를 발생하고, 그에 의해 생긴 진동이 진동 모터 전체의 진동으로서 진동 테이블(110)에 직접 전달되고, 그 위에 랜덤하게 투입된 다수의 부품이 놓여진 정렬 팔레트(120)에도 대강 진동 모터(200)의 진동과 같은 진폭 및 방향성을 갖는 진동이 전달되게 된다. 그때, 압축 코일 스프링(109)은 수직방향의 진동을 어느 정도 완충하여, 이 종방향 진동의 편차를 보정하고자 한다.
진동 테이블(110)을 직접 지지하고 있는 압축 코일 스프링(109)에 의해, 이러한 진동 테이블의 종방향의 진폭은, 균일한 값이 아니지만 어느 정도는 완충되어 안정된 것이 되는데, 진동 모터(200)가 발생하는 진동에는 당연히 횡방향 성분도 포함되기 때문에, 진동 테이블(110)에 전달된 진동 내의 횡방향 성분은 거의 완충되지 않고 방치된 채로 되며, 또한, 압축 코일 스프링(109) 자체도 이러한 횡방향 성분을 증폭해버리는 성질도 갖고 있어, 당연히 정렬 팔레트(120)에도 동일한 진동이 전달되게 된다. 게다가, 설치축(104)을 지지하고 있는 고정 지주(102) 자체의 완충방향도 종방향만이고, 동시에 팔레트에 스프링의 반발 운동에 기인하는 공진상태도 생겨, 이러한 횡방향의 성분을 포함한 진동은 그대로 방치 혹은 증폭된 상태가 되어, 진동 테이블(110)에 재치된 팔레트 내 부품의 정렬에 많은 시간을 요하거나, 팔레트 내 부품을 외부로 비산시키거나 하여, 그 정렬 효율을 현저히 저하시키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는 진동 모터가 발생하는 진동 자체를 제어하여 안정된 진폭 및 위상 특성을 구비한 진동원을 확보하고자 하는 시도가 행해져 왔다. 그 하나의 해결책으로, 부채꼴 중추 부품(202a, 202b)의 상대 각도(α), 축방향 설치 위치 혹은 좌우의 설치 상대 각도를, 측정기구를 사용하여 조정하거나, 베어링 프레임(105)의 베어링부(103)에 설치된 각도 조정용 나사(도시생략)를 풀어서 설치축(104)을 조금 회동하고, 고정 테이블(103) 및 진동 테이블(110)의 설정 각도를 조정하는 등, 여러 교정 작업이 시도되는 것인데, 이러한 조정에는 막대한 수고 및 시간을 요하고, 더구나 팔레트 내에 투입되는 부품의 양 및 무게에도 관계되는 문제이기 때문에, 진동 테이블(110)에 항상 안정된 종방향의 진폭을 갖는 진동을 부여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였다.
그런데,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결점인 진폭 및 위상 조정의 번잡함을 수반하지 않는 완전히 신규한 구성을 갖는 정확하면서 안정된 진폭의 종진동이 어떠한 진동 속도에서도 얻어지면서 동시에 높은 정숙성도 얻어지는 정렬 효율이 우수한, 또한 정렬 작업 완료 이전이어도 정렬 작업의 보완 및 잉여 부품의 배제도 가능한 종진동 부품 정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종진동 부품 정렬기로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수직인 제2 방향에서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에 제2 면을 갖는 고정 테이블과, 상기 제1 면과 대향하고, 다수의 부품이 투입되는 정렬 팔레트가 재치되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진동 테이블과, 상기 제2 면에 대향하고, 공진 방지용 중추(重錘)가 재치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웨이트 테이블과, 상기 진동 테이블과 상기 고정 테이블을, 및 상기 고정 테이블과 상기 웨이트 테이블을 각각 고정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신축 가능한 복수개의 현가 지주와, 그리고 상기 제1 면에 재치되고, 제1 전기 모터와, 상기 고정 테이블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전기 모터에 의해 제1 전달수단을 통해 회전 구동되는 캠 샤프트와, 그리고 상기 캠 샤프트의 축방향을 따라 병설된 적어도 한 쌍의 원통형 작용면을 갖는 편심 캠을 갖는 진동 발생원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원통형 작용면의 각각의 중심축이 상기 캠 샤프트의 상 기 축에 대해, 상기 캠 샤프트의 상기 축의 직경방향으로 상호 같은 거리만큼 편의(偏倚)하고, 일단에 상기 편심 캠을, 타단에 상기 진동 테이블에 상기 제1 방향에 고정된 제1 핀을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베어링을 구비한 제1 링크 부재와, 일단에 상기 편심 캠을, 타단에 상기 웨이트 테이블에 상기 제1 방향에 고정된 제2 핀을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베어링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테이블을 관통하는 제2 링크 부재에 의해 상기 진동 테이블 및 웨이트 테이블은 각각 접속되고, 그리고 상기 고정 테이블은, 상기 제2 면에서, 고정 프레임에 설치된 요동 기구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의한 종진동 부품 정렬기에 의하면, 제1 전기모터로부터 제1 전달수단을 통해 회전되는 캠 샤프트에 설치된 축방향을 따라 병치된 2개의 원통형 작용면을 갖고, 캠 샤프트의 중심 축선에 대해 직경방향으로 같은 거리만큼 상호 편이한 편심 캠에 의한 개개의 편심 회전운동이 이들의 편심 캠과, 진동 테이블 및 웨이트 테이블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신장되는 각각의 핀 사이를 저널 접속된 2개의 링크 부재에 의해 동일 진폭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되고, 그 결과, 진동 테이블 및 웨이트 테이블에 각각 역위상의 상하방향 왕복운동으로서 전달되고, 이들 진동 테이블 및 웨이트 테이블에는 항상 일정한 진폭의 종방향 진동이 작용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의 부품 정렬기에서의 극히 번거로운 진폭의 설정 및 위상 조정은 불필요해지고, 진폭의 변경은 고정된 다른 편심량의 편심 캠의 교환 작업으로 치환된다.
또한, 캠 샤프트의 회전수의 상승에 의한 진동수의 증가에 따른 공진 상태의 발생은, 웨이트 테이블에 재치되는 중추의 중량을 정렬 팔레트 및 부품의 중량에 대해 밸런스 조정함으로써 완전히 회피된다. 또, 진동에 포함되는 종방향 성분의 완충은 현가 지주에 의해 담당되고 있는 한편, 횡방향 성분은 거의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만약 포함되고 있어도 현가 지주에 의해 탄성적으로 규제되기 때문에, 진동 테이블 및 웨이트 테이블에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진폭의 종방향의 진동만이 전달되어 팔레트의 외부에 부품이 비산할 우려도 없고, 극히 신속하면서 확실히 정렬 팔레트 내의 적정한 오목부 내로 부품을 끼워넣을 수 있다. 이러한 이점을 구비한 본 발명에 의한 종진동 부품 정렬기는, 설령 캠 샤프트를 고속으로 회전하더라도 공진 소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높은 정숙성이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종진동 부품 정렬기는, 3개의 테이블이 상기 고정 테이블의 상방 및 하방에 상기 현가 지주를 통해 각각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또 상기 고정 테이블이 상기 이측에서 고정 프레임에 설치된 요동기구에 고정된 구성을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3개의 테이블을 동시에 원호 궤도를 따라 요동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편심 캠에 의한 진동을 가한 채의 상태에서도, 또한 진동을 정지한 후라도 종진동에 의해 정렬되지 않았던 부품의 보완적 정렬 작업 및 잉여 부품의 회수도 일련의 조작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편심 캠은 교환 가능하게 캠 샤프트에 끼워져 고정된다. 따라서, 진폭을 변경하고 싶은 경우에는, 별도 제조한 편의량이 다른 편심 캠을 미리 준비해 두면 용이하게 캠 샤프트에 바꾸어 달 수 있기 때문에, 그에 부수하는 진폭 설정 및 위상 조정 작업은 완전히 불필요하며, 그럼에 도 불구하고 완전히 동일 진폭으로 역위상의 진동이 얻어져, 교환작업 전체를 신속하면서 원활히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 전달수단이, 제1 전기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된 구동 풀리와, 캠 샤프트에 고정된 종동 풀리와, 상기 구동 풀리 및 상기 종동 풀리에 감긴 무단 벨트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진동 테이블 혹은 웨이트 테이블에 이상 사태가 발생하여 캠 샤프트에 어떠한 과대 부하가 발생하더라도, 무단 벨트와 구동 풀리 혹은 종동 풀리 사이에 슬립이 발생하는 정도로 끝나, 직접 캠 샤프트 혹은 제1 전기 모터에 손상을 주는 것과 같은 사태는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하면서 안정된 상태에서 작업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고장의 우려도 극히 적은 진동 부품 정렬기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캠 샤프트의 양단이 제3 및 제4 베어링에 의해 고정 테이블 상에 지지되고, 그리고 제1 전달수단과 편심 캠 사이에 제 5 베어링이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1개의 캠 샤프트에 상호 다른 방향의 인장력이 작용하는 제1 전달수단을 설치한 영역과, 편심 캠을 설치한 영역을 역학적으로 격리하게 되기 때문에, 이들 2개의 캠 샤프트 상의 축방향 영역은 상호 간섭이 회피되고, 서로 독립하여 충분히 본래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상태가 확보된다. 따라서, 고장 등에 기인하는 과부하 상태가 어떠한 영역에서 발생하더라도, 그 이외의 영역에 관련하는 기기 혹은 부재의 손상은 회피되어, 안전하면서 안정된 정렬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 핀이, 진동 테이블로부터 상 기 고정 테이블을 향해 돌출하는 한 쌍의 측판 사이에 고정되고, 제1 핀과 제1 베어링 사이에는 구(球) 형상 면을 갖는 제1 환상(環狀) 슬리브가 개장(介裝)되고, 제1 베어링의 베어링면이 제1 환상 슬리브의 구 형상 면에 대응한 형상이고, 그리고 제2 핀이 웨이트 테이블로부터 고정 테이블을 향해 돌출하는 한 쌍의 측판 사이에 고정되고, 제2 핀과 제2 베어링 사이에는 구 형상 면을 갖는 제2 환상 슬리브가 개장되고, 제2 베어링의 베어링면이 제2 환상 슬리브의 구 형상 면에 대응한 형상이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핀과 테이블 표면 사이에 상하방향의 스페이스가 확보되어 링크 부재의 베어링이 자유롭게 피벗 가능해진다.
또한, 구 형상 면을 갖는 환상 슬리브를 베어링면과 핀 사이에 개장함으로써 핀의 마모가 방지됨과 동시에 베어링면을 동일한 구 형상 면으로 함으로써, 이들이 구면 계합하면서 왕복 운동을 전달하게 되기 때문에, 너클 조인트(knuckle joint)(구 이음)로서 작용하고, 편심 캠의 고속 회전에 의해 핀과 베어링 사이에서 생기는 미진동 상태에 의한 중심 어긋남 접촉은 회피되게 된다. 이는, 부가적으로 3개의 테이블 전체가 요동기구의 요동에 의한 잉여 부품의 배출시에서도 베어링과 핀의 정상적인 진동 전달을 행할 수 있는 것도 의미하고 있다.
또,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한 종진동 부품 정렬기에 관한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요동기구는 고정 프레임에 제2 방향으로 세워 설치된 베어링 지주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고, 요동기구는 캠 샤프트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신장되는 기축(基軸)과,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고, 반전수단을 구비하고, 기축을 회전하는 구동원과, 기축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2 전달수단과, 그리고 기 축의 요동의 각도를 제어하는 각도 제어수단을 갖고, 그리고 고정 테이블은 제2 면에서 클램프 부재에 의해 기축과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미리 각도 제어수단에 의해 기축의 요동 각도 범위를 설정하고, 그 후, 구동원을 반전수단에 의해 소정시간 간격으로 정역 회전하도록 작동시킴으로써, 기축에 설치된 고정 테이블 및 그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진동 테이블 및 웨이트 테이블은 고정 프레임에 대해 소정의 각도 범위에서 왕복 요동하게 된다. 종진동만으로는 팔레트 내의 모든 오목부가 부품에 의해 막히지 못하더라도, 종진동과는 완전히 다른 횡방향의 요동을 팔레트에 줌으로써, 정렬 팔레트 상의 잉여 부품은 팔레트 내의 아직 비어 있는 오목부 내에 끼워 넣어지거나, 팔레트 둘레 가장자리부에 설치된 저류홈 내로 배제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러한 요동의 진폭을 작게 및 주기를 짧게 횡방향의 왕복 미동이 발생하도록 각도 제어수단 및 반전수단을 조정함으로써, 캠 샤프트의 회전을 멈추지 않고 부품의 끼워넣기 작업을 극히 고능률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이와는 대조적으로 정렬 완료시에 캠 샤프트의 회전을 멈추고, 그 후, 각도 제어수단을 제어하여 큰 진폭의 요동을 진동 테이블에 줌으로써, 잉여 부품은 간단히 배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들 작업 공정을 별도로 외부에 설치한 컴퓨터에 의해 프로그램해 둠으로써, 일시에 일련의 정렬 작업을 전자동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구동원은 제2 전기 모터를 갖고, 제2 전달수단이 제2 전기 모터의 회전축에 감속기를 통해 고정된 구동 풀리와, 기축에 고정된 종동 풀리와, 구동 풀리 및 종동 풀리에 감긴 무단 벨트로 구 성되고, 각도 제어수단은 기축 및 고정 프레임에 각각 설치된 부재로 구성되는 각도 위치 검출수단과, 기축의 단부에 고정되고, 각도 위치 검출수단의 출력에 기초하여 기축의 요동을 소정의 각도 위치로 설정하는 전자식 캠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2 전기 모터의 회전력은 감속수단을 통해 구동 풀리에 전달되기 때문에, 구동 풀리에는 큰 회전 토크를 가진 감속된 회전이 발생하고, 종동 풀리에도 동일한 회전력이 무단 벨트를 통해 전달되게 된다. 이는, 진동 테이블, 웨이트 테이블, 중추, 링크 부재, 팔레트, 부품 등의 중량 모두는, 고정 테이블 그 자체의 중량을 포함하여 고정 테이블에 가해지고, 이들을 통합하여 요동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회전 토크를 요하기 때문에, 이러한 제2 전달수단의 구성은 극히 유익하면서 중요하다.
또한, 각도 제어수단이 기축의 실제 각도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각도 위치 검출수단이 출력하고, 또한 이러한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기축의 각도위치를 정확하면서 자유롭게 설정 제어 가능한 전자식 캠을 사용함으로써, 설정된 각도 범위에서의 기축의 요동을 정확히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각도 위치 검출수단이 기축에 일체적으로 병치된 2개의 디스크로 구성되는 요동각 검지 캠 및 오버 트래블 검지 캠과, 고정 프레임에 고정되고, 2개의 디스크의 둘레 가장자리 부분을 제1 방향에서 양측으로부터 끼우도록 배치된 검지 센서로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검지 센서로부터의 상기 기축의 각도 위치에 관한 신호에 의해 전자식 캠이 제어된다.
본 발명에 의한 종진동 부품 정렬기는, 정렬시에 필요한 종진동만을 캠 샤프 트의 축심에 대해 대향방향으로 편심하면서 축방향을 따라 병치한 2개의 각각 독립한 원통형 표면을 갖는 캠에 각각 전용의 링크 부재를 통해 진동 테이블 및 웨이트 테이블에 종진동만을 전달하도록 형성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일정한 진폭인데다 고속회전이 되어도 웨이트 테이블에 재치되는 중추의 중량을 조절하는 것만으로 공진이 없는 극히 정숙한 진동이 얻어지는 것이다. 종래의 진동 부품 정렬기에서의 진폭 조정의 번잡함을 수반하지 않는 완전히 신규한 정확하면서 안정된 정렬 작업에 가장 유효한 종진동이 얻어지는 정렬 효율이 우수한, 더구나 3개의 테이블을 동시에 요동할 수 있기 때문에, 정렬 작업 미완 상태이더라도 정렬 작업의 보완 및 잉여 부품의 배제도 용이하게 가능한 종진동 부품 정렬기가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종진동 부품 정렬기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종진동 부품 정렬기(1)는, 진동 발생원(2)이 재치되면서 수평으로 배치된 고정 테이블(10)과, 고정 테이블(10)의 네 모서리에 상방 및 하방을 향하여 고정됨과 동시에 그 각각이 수직방향으로 탄성 신축 가능한 복수 개의 현가 지주(40)와, 이 현가 지주(40)의 상단에 고정되면서 다수의 부품이 투입된 정렬 팔레트(50)가 재치되는 진동 테이블(20)과, 현가 지주(40)의 하단에 고정되면서 공진 방지용 중추(W)가 재치되는 웨이트 테이블(30)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3개의 테이블은 고정 테이블(10)의 상방 및 하방에 현가 지주(40)를 통해 각각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또 고정 테이블(10)이 그 뒷측 에 있어서 고정 프레임(60)에 설치된 요동기구(70)에 고정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진동 발생원(2)은 고정 테이블(10) 상에 고정된 전기 모터(M1)와, 이 전기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된 구동 풀리(22) 및 무단 벨트(24)가 감겨진 종동 풀리(23)로 구성된 전달수단(21)을 통해 회전 구동되는 캠 샤프트(3)와, 이 캠 샤프트(3) 상에 설치된 적어도 1쌍의 축방향을 따라 병설된 원통형 작용면(4a 및 4b)을 갖는 편심 캠(4)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진동 테이블(20) 혹은 웨이트 테이블(30)에 이상 사태가 발생하여 캠 샤프트(3)에 어떠한 과대 부하가 발생하더라도, 무단벨트(24)와 구동 풀리(22) 혹은 종동 풀리(23) 사이에 생기는 슬립 정도로 끝나기 때문에, 직접 캠 샤프트(3) 및 전기 모터(M1)에 손상을 부여하는 것과 같은 사태는 회피된다. 따라서, 안전하면서 안정된 상태에서 작업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고장의 우려도 극히 적은 종진동 부품 정렬기가 얻어진다.
다시,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편심 캠의 원통형 작용면(4a 및 4b) 각각의 중심 축선(C1 및 C2)은, 캠 샤프트(3)의 회전 중심 축선(CO)에 대해 직경 방향으로 상호 같은 거리(D1 및 D2)만큼 편의하고 있다. 진동 테이블(20) 및 웨이트 테이블(30)은 일단에 편심 캠(4)을, 타단에 진동 테이블(20) 및 웨이트 테이블(30)에 고정된 핀(5a 및 5b)을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저널 베어링(7a 및 7b)을 구비한 링크 부재(8a 및 8b)에 의해 각각 편심 캠(4)과 접속되어 있다. 이 편심 캠(4)의 구성에 의해, 편심 캠(4)의 회전이 실질적으로 크랭크 운동을 발생하고, 링 크 부재(8a 및 8b)는 핀(5a 및 5b)과 함께 이를 수직방향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고, 진동 테이블(20) 및 웨이트 테이블(30)에 역위상의 종진동을 각각 부여하게 된다.
또, 캠 샤프트(3)는 상기 양단 부분을 제1 및 제2 고정용 저널 베어링(41 및 42)에 의해 고정 테이블(10) 상에 지지되어 있고, 전달수단(21)과 편심 캠(4) 사이에 제3 고정용 베어링(43)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 방법에 의해, 1개의 캠 샤프트(3)에 상호 다른 방향의 인장력이 작용하는 전달수단(21)을 설치한 영역과, 편심 캠(4)을 설치한 영역을 역학적으로 분리하게 되기 때문에, 캠 샤프트 상의 이들 2개의 축방향 영역은 역학적으로 완전히 격리한 상태가 되고, 그들의 역학적 상호 간섭이 회피되어, 각각의 영역에서 독립한 작용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어느 것인가의 영역에서 과부하 상태가 발생하더라도, 그 이외의 영역에 관련하는 기기 혹은 부재의 손상은 회피되어, 안전하면서 안정된 정렬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핀(5a 및 5b)은 각각 고정 테이블(10)을 향해 수직방향으로, 또한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측판(9a 및 9b) 사이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고정되어 있고, 또, 웨이트 테이블(30)에 접속된 한쪽의 링크 부재(8b)는, 고정 테이블(10)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신장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핀(5a 및 5b)과 각 테이블 사이에 상하방향의 스페이스가 확보되어 링크 부재(8a 및 8b)의 저널 베어링(6a 및 6b)이 이들 스페이스 내에서 자유롭게 피벗 가능해진다. 링크 부재(8a)의 저널 베어링(7a)을 진동 테이블(20)의 중앙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역학상 바람직하 다. 또한 동시에, 편심 캠(4)은 일체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링크 부재(8a)에 인접 배치되지 않으면 안되고, 고정 테이블(10)을 관통하기 위해 구멍(11)이 형성되어 있는데, 절결부 혹은 다른 긴 홈 등으로 대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핀(5a)의 중심 축선(Ca), 핀(5b)의 중심 축선(Cb) 및 캠 샤프트(3)의 회전 중심 축선(Co)은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 참조).
또, 핀(5a 및 5b)과 링크 부재(8a 및 8b)의 저널 베어링(7a 및 7b) 사이에는 구 형상 표면을 갖는 환상 슬리브(51a 및 51b)가 개장되어 있다. 저널 베어링의 베어링면이 환상 슬리브(51a 및 51b)의 구 형상 면에 대응한 구 형상 오목부로 되어 있다. 또한, 구 형상 면을 갖는 환상 슬리브를 베어링면과 핀 사이에 개장함으로써, 핀(5a 및 5b)의 마모가 방지됨과 동시에, 베어링면을 동일한 구 형상 면으로 함으로써, 이들이 구면 끼워 맞춤하면서 왕복 운동을 전달하게 되기 때문에, 너클 조인트(구 이음)로서 작용하여, 편심 캠(4)이 고속 회전한 경우에 생기는 미진동에 의해 생기기 쉬운 핀(5a 및 5b)과 저널 베어링(7a 및 7b)과의 중심 어긋남 접촉은 회피하게 된다. 이는 부가적으로, 3개의 테이블 전체가 요동기구(70)의 요동에 의한 잉여 부품의 배출시에, 저널 베어링과 핀과의 정상적인 진동 전달을 행할 수 있는 것도 의미하고 있다.
이상,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종진동 부품 정렬기(1)의 주요 구성에 대해 설명했는데, 특히 중요한 편심 캠(4)의 진폭 변경은, 다른 편심량(D1 및 D2)을 구비한 일체 구성 부품인 원통형의 편심 캠(4)을 다른 별도 제작된 편 심량이 다른 캠을 준비하고, 이를 캠 샤프트(3)에 끼우면서 고정하는 작업만으로 완료한다. 이는, 종래 이런 종류의 진동 팔레트 정렬기에서 가장 번거로웠던 위상조정 및 진폭조정 작업을 전혀 행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정렬 작업의 효율 및 정밀도는 비약적으로 향상한다. 또한, 캠 샤프트(3)의 회전수의 상승에 의한 진동수의 증가에 따른 공진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부품이 투입된 정렬 팔레트(50)의 중량에 대해 밸런스 조정한 무게의 중추(W)를 웨이트 테이블(30)에 재치함으로써 회피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종진동 부품 정렬기는, 고정 테이블(10)의 뒷측에서 고정되어 있는 고정 프레임(60)에 설치된 요동기구(70)에 대해 도 3 및 도 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고정 프레임(60)에는 2개의 베어링 지주(80)가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세워 설치되어 있고, 또 기축(71)은, 고정 테이블(10)의 뒷측에 간격을 두어 복수 개소에 고정된 클램프 부재(90)를 통해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한편, 베어링 지주(80)의 상단 부분에 설치된 베어링(81)에 캠 샤프트(3)의 연신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도 4에 상세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요동기구(70)는 절환 스위치가 바람직한 반전수단을 내장한 전기 모터(M2)의 구동원을 구비하고 있다. 또, 요동기구(70)는, 기축(71)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전기 모터(M2)의 출력 회전축에 직결된 감속수단(79)과, 이 감속수단(79)의 출력 회전축에 고정된 구동 풀리(73)와, 기축(71)에 고정된 종동 풀리(74)와, 이들 2개의 풀리 사이에 감겨진 무단 벨트(75)로 구성되는 전달수단(72)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기축(71)의 요동 각도 를 제어하기 위한 각도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각도 제어수단은, 기축측 및 고정 프레임측에 각각 설치된 부재로 구성되는 각도 위치 검출수단(76)과, 기축(71)의 단부에 고정됨과 동시에 각도 위치 검출수단(76)의 출력에 기초하여 기축(71)의 요동을 소정의 각도 위치로 설정하는 기축(71)의 단부에 설치된 전자식 캠(91)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전기 모터(M2)는 바람직하게는 그 회전을 반전수단에 호응하여 제동하는 브레이크도 내장하고 있다.
또, 각도 위치 검출수단은 기축측에 일체적으로 병치된 2개의 디스크(77)로 구성되는 요동각 검지 캠 및 오버 트래블 검지 캠과, 고정 프레임측에 고정되면서 디스크(77)의 둘레 가장자리 부분을 각각 양측으로부터 끼우도록 위치 부여된 검지 센서(78)로 구성되어 있다. 검지 센서(78)로부터 출력되는 기축(71)의 각도 위치신호에 의해 전자 캠(91)은 기축의 요동 각도를 원하는 범위로 설정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전달수단(72)을 통해 전기 모터(M2)에 접속된 기축(71)은, 고정 프레임(60)에 대해 회전 가능해지고, 이 기축(71)에 일체 고정된 고정 테이블(10)도 다른 진동 테이블(20) 및 웨이트 테이블(30)과 함께 회전 가능해진다. 실제의 요동작업은, 전기 모터(M2)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정역 회전함으로써, 고정 테이블(10), 진동 테이블(20) 및 웨이트 테이블(30)을 일체적으로 고정 프레임(60)에 대해 요동한다. 그때, 요동 각도 범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식 캠(91) 및 각도 위치 검출수단(76)으로 이루어지는 각도 위치 제어수단에 의해 원하는 값으로 설정된다.
종진동만으로는 팔레트(50) 내의 모든 오목부에 부품이 끼워 넣어지지 않더 라도, 편심 캠(4)의 회전에 의해 생기는 종진동과는 완전히 다른 방향의 운동을 진동 테이블(20)에 부여하는 요동기구(70)의 횡방향의 큰 각도 범위에서의 요동 및 정지시의 반동에 의해, 정렬 팔레트 상의 잉여 부품은 팔레트 내의 아직 비어있는 오목부에 떨어져 들어가거나, 팔레트 둘레 가장자리부에 설치된 저류홈 내로 배제되거나 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의한 일련의 정렬작업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랜덤하게 다수의 부품을 미리 투입한 팔레트(50)을 진동 테이블(20) 상에 재치하고, 전기 모터(M1)를 기동하여, 전달수단(21)을 통해 캠 샤프트(3)를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편심 캠(4)도 회전하고, 링크 부재(8a 및 8b)는 크랭크 운동을 개시한다. 진동 테이블(20) 및 웨이트 테이블(30)은, 종방향의 진폭에 의해 진동됨으로써 정렬 작업이 개시된다. 투입된 부품은 대강 팔레트(40)의 오목부 내로 끼워넣지만, 일부는 팔레트 상에 남겨지는데, 전기 모터(M1)를 정지하고, 캠 샤프트(4)의 회전을 멈춘다. 이어 요동기구(70)의 구동원인 전기 모터(M2)에 통전하여 기동하고, 3개의 테이블을 일괄하여 요동기구(70)의 기축(71)을 중심으로 한 원호 궤도상을 왕복 운동하는 큰 진폭의 요동을 진동 테이블(20)에 부여한다. 이에 의해, 잉여 부품은 간단히 팔레트 상에서 아직 비어 있는 오목부에 끼워넣거나, 팔레트 외주부분에 형성된 홈 내로 배제하거나 하는 것이 완료한다.
실시예 및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종진동 부품 정렬기(1)는, 정렬시에 필요한 종진동만을 캠 샤프트(3)의 축심에 대해 대향방 향으로 편심하면서 축방향을 따라 병치한 2개의 각각 독립한 원통형의 캠(4)에 각각 전용의 링크 부재(8)를 통해 진동 테이블(20) 및 웨이트 테이블(30)에 종진동만을 전달하도록 형성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일정한 진폭인데다 고속회전으로 되어도 웨이트 테이블에 재치하는 중추의 중량을 가감하는 것만으로 공진이 없는 극히 정숙한 진동이 얻어지는 것이다. 종래, 진동 부품 정렬기에서의 위상조정 및 진폭조정의 번잡함을 수반하지 않는 완전히 신규한 상기한 구성을 갖는 정확하면서 안정된 정렬 작업에 가장 유효한 종진동이 얻어지는 정렬 효율이 우수한, 또 3개의 테이블을 동시에 요동할 수 있기 때문에, 정렬 작업 미완 상태에도 정렬 작업의 보완 및 잉여 부품의 배제도 용이하다.

Claims (8)

  1. 종진동 부품 정렬기로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수직인 제2 방향에서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에 제2 면을 갖는 고정 테이블과,
    상기 제1 면과 대향하고, 다수의 부품이 투입되는 정렬 팔레트가 재치되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진동 테이블과,
    상기 제2 면에 대향하고, 공진 방지용 중추(重錘)가 재치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웨이트 테이블과,
    상기 진동 테이블과 상기 고정 테이블을, 및 상기 고정 테이블과 상기 웨이트 테이블을 각각 고정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신축 가능한 복수 개의 현가 지주와, 그리고
    상기 제1 면에 재치되고, 제1 전기 모터와, 상기 고정 테이블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전기 모터에 의해 제1 전달수단을 통해 회전 구동되는 캠 샤프트와, 그리고 상기 캠 샤프트의 축방향을 따라 병설된 적어도 한 쌍의 원통형 작용면을 갖는 편심 캠을 갖는 진동 발생원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원통형 작용면의 각각의 중심축이, 상기 캠 샤프트의 상기 축에 대해, 상기 캠 샤프트의 상기 축의 직경방향에 상호 같은 거리만큼 편의(偏倚)하고,
    일단에 상기 편심 캠을, 타단에 상기 진동 테이블에 상기 제1 방향에 고정된 제1 핀을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베어링을 구비한 제1 링크 부재와, 일 단에 상기 편심 캠을, 타단에 상기 웨이트 테이블에 상기 제1 방향에 고정된 제2 핀을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베어링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테이블을 관통하는 제2 링크 부재에 의해 상기 진동 테이블 및 웨이트 테이블은 각각 접속되고, 그리고
    상기 고정 테이블은, 상기 제2 면에서, 고정 프레임에 설치된 요동 기구에 고정된 종진동 부품 정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캠은, 교환 가능하게 상기 캠샤프트에 끼워져 고정된 종진동 부품 정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달수단이, 상기 제1 전기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된 구동 풀리와, 상기 캠 샤프트에 고정된 종동 풀리와, 상기 구동 풀리 및 상기 종동 풀리에 감긴 무단 벨트로 구성된 종진동 부품 정렬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 샤프트의 양단이 제3 및 제4 베어링에 의해 상기 고정 테이블 상에 지지되고, 그리고 상기 제1 전달수단과 상기 편심 캠 사이에 제 5 베어링이 설치된 종진동 부품 정렬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핀이, 상기 진동 테이블로부터 상기 고정 테이블을 향해 돌출하는 한 쌍의 측판 사이에 고정되고, 상기 제1 핀과 상기 제1 베어링 사이에는 구(球) 형상 면을 갖는 제1 환상(環狀) 슬리브가 개장(介裝)되고, 상기 제1 베어링의 베어링면이 상기 제1 환상 슬리브의 상기 구 형상 면에 대응한 형상이고, 그리고
    상기 제2 핀이, 상기 웨이트 테이블로부터 상기 고정 테이블을 향해 돌출하는 한 쌍의 측판 사이에 고정되고, 상기 제2 핀과 상기 제2 베어링 사이에는 구 형상 면을 갖는 제2 환상 슬리브가 개장되고, 상기 제2 베어링의 베어링면이 상기 제2 환상 슬리브의 상기 구 형상 면에 대응한 형상인 종진동 부품 정렬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기구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상기 제2 방향으로 세워 설치된 베어링 지주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고,
    상기 요동기구는, 상기 캠 샤프트의 상기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신장되는 기축(基軸)과,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고, 반전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축을 회전하는 구동원과, 상기 기축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2 전달수단과, 그리고 상기 기축의 요동의 각도를 제어하는 각도 제어수단을 갖고, 그리고
    상기 고정 테이블은, 상기 제2 면에서 클램프 부재에 의해 상기 기축과 일체적으로 고정된 종진동 부품 정렬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제2 전기 모터를 갖고,
    상기 제2 전달수단이, 상기 제2 전기 모터의 회전축에 감속기를 통해 장착된 구동 풀리와, 상기 기축에 고정된 종동 풀리와, 상기 구동 풀리 및 상기 종동 풀리 에 감긴 무단 벨트로 구성되고,
    상기 각도 제어수단은, 상기 기축 및 상기 고정 프레임에 각각 설치된 부재로 구성되는 각도 위치 검출수단과, 상기 기축의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각도 위치 검출수단의 출력에 기초로 상기 기축의 요동을 소정의 각도 위치로 설정하는 전자식 캠으로 구성된 종진동 부품 정렬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위치 검출수단이, 상기 기축에 일체적으로 병치된 2개의 디스크로 구성되는 요동각 검지 캠 및 오버 트래블 검지 캠과, 상기 고정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2개의 디스크의 둘레 가장자리 부분을, 상기 제1 방향에서 양측으로부터 끼우도록 배치된 검지 센서로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검지 센서로부터의 상기 기축의 각도 위치에 관한 신호에 의해 상기 전자식 캠이 제어된 종진동 부품 정렬기.
KR1020060021489A 2005-04-26 2006-03-07 종진동 부품 정렬기 KR1007336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27926 2005-04-26
JP2005127926A JP2006306519A (ja) 2005-04-26 2005-04-26 縦振動パーツ整列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204A KR20060112204A (ko) 2006-10-31
KR100733649B1 true KR100733649B1 (ko) 2007-06-28

Family

ID=37473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1489A KR100733649B1 (ko) 2005-04-26 2006-03-07 종진동 부품 정렬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6306519A (ko)
KR (1) KR1007336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08183A (zh) * 2012-06-19 2014-01-15 台湾暹劲股份有限公司 电子元件送料装置及其应用设备
KR102103313B1 (ko) * 2017-11-17 2020-04-22 주식회사 서형 부품 정렬기
CN109573533A (zh) * 2019-01-17 2019-04-05 昆山艾派科技有限公司 自动排选机
CN112619896B (zh) * 2020-11-27 2023-04-28 江苏宇星科技有限公司 一种三氧化二铁浆料筛选除铁系统
KR20240010953A (ko) 2022-07-18 2024-01-25 송기석 아일렛 정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0152A (ja) * 1995-07-26 1997-02-10 Asahi Chem Ind Co Ltd 物品の整列装置
JPH0940168A (ja) * 1995-08-03 1997-02-10 Kaijo Corp 部品搬送装置における差動動作制御機構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9599Y2 (ja) * 1989-08-18 1997-03-19 関西日本電気株式会社 ワーク振込み装置
JP2791750B2 (ja) * 1994-06-29 1998-08-27 株式会社ウエステック 揺動式パーツ整列機及び整列方法
JP3625899B2 (ja) * 1995-06-26 2005-03-02 イビデン株式会社 ピン挿入装置
JP3599212B2 (ja) * 1996-03-19 2004-12-08 株式会社ウエステック 揺動式パーツ整列機およびその防振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0152A (ja) * 1995-07-26 1997-02-10 Asahi Chem Ind Co Ltd 物品の整列装置
JPH0940168A (ja) * 1995-08-03 1997-02-10 Kaijo Corp 部品搬送装置における差動動作制御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204A (ko) 2006-10-31
JP2006306519A (ja) 200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3649B1 (ko) 종진동 부품 정렬기
US5513586A (en) Belt driven looper drive
KR102047715B1 (ko) 제한된 회전 모터 시스템에서 미러의 균형을 이루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3228950B (zh) 偏心摇动型减速齿轮
US7946172B2 (en) Device for mounting rotors, in particular articulated shafts, in a balancing machine
JP2006310709A (ja) 半導体ウェハ保持装置及び方法
KR101345869B1 (ko) 3차원 진동 시험기
EP0600526B1 (en) Vibrating arrangement for machinery
HU199715B (en) Mass balancing device
US8475232B2 (en) Grinding machine
US6210258B1 (en) Vibrational finishing assembly
JPH03106711A (ja) 直線型振動フィーダ
US5983752A (en) Adjustable counterweight system for a machine for forming concrete blocks, pavers or the like
JP4507321B2 (ja) 部品整列機の振動機構
JPS62192298A (ja) 往復動機械のバランサ
FR2655281A1 (fr) Appareil et procede pour comprimer du sable.
JP3061553B2 (ja) 研磨装置
EP2037031B1 (en) Device for reducing vibrations of sewing machines
RU154504U1 (ru) Вибрационный грохот
JPH04146303A (ja) 振動ローラ
CA2290057C (en) Vibrational finishing assembly
JPH0513482Y2 (ko)
KR102103313B1 (ko) 부품 정렬기
JPH09225586A (ja) 鋳物砂充填用振動装置
KR101302300B1 (ko) 대면적 기판의 방향 전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