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3377B1 - 염모제 암모니아취 마스킹용 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염모제 암모니아취 마스킹용 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3377B1
KR100733377B1 KR1020060029351A KR20060029351A KR100733377B1 KR 100733377 B1 KR100733377 B1 KR 100733377B1 KR 1020060029351 A KR1020060029351 A KR 1020060029351A KR 20060029351 A KR20060029351 A KR 20060029351A KR 100733377 B1 KR100733377 B1 KR 100733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dye
fragrance
ammonia
masking
perf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9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창식
이은주
신보현
서형제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60029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33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3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3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0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어 염모제 조성물 속에 배합된 암모니아 성분으로부터 유래되는 불쾌한 냄새를 마스킹하는 효과가 우수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염모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염모제 1제용으로 휘발도(b.p)가 250℃ 이하인 향료를 함유하고, 염모제 2제용으로 낮은 pH에 안정한 향료를 함유함으로써 마스킹 효과가 뛰어나고 경시변화에 따른 향취 발현력이 우수한 헤어 염모제용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염모제에 관한 것이다.
헤어 염모제, 탈색제, 암모니아, 마스킹

Description

염모제 암모니아취 마스킹용 향료 조성물{Perfume Composition for Ammonia Masking of Hair Dye}
도 1은암모니아취 표준 측정자 사진이다.
도 2는 휘발도에 따른 암모니아취 마스킹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염모제 1제 및 염모제 2제의 동시부향에 따른 암모니아취 마스킹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헤어 염모제 조성물 속에 배합된 암모니아 성분으로부터 유래되는 불쾌한 냄새를 마스킹하는 효과가 우수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염모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염모제 1제용으로 휘발도(b.p)가 250℃ 이하인 향료를 함유하고, 염모제 2제용으로 낮은 pH에 안정한 향료를 함유함으로써 마스킹 효과가 뛰어나고 경시변화에 따른 향취 발현력이 우수한 헤어 염모제용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염모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어 탈색제나 염모제에는 모발을 탈색시키는 작용을 하는 하이드로젠 퍼옥사이드, 우레아 퍼옥사이드, 멜라민 페하이드레이트와 같은 과산화물의 산화제가 사용된다. 암모니아는 이러한 과산화물이 모발을 탈색 및 염색 시키는 작용, 즉 멜라닌의 산화 파괴작용을 가속화 시키고 염료의 산화 커플링 비율을 높이는 효과적인 활성화제이다. 또한 과산화수소수가 모발 탈색제로 효과적으로 작용하려면 pH가 알칼리 쪽에 맞춰져야 한다. 이러한 pH 조절 효과는 다른 알칼리제로도 달성될 수 있지만 암모니아는 활성화제 효과와 pH 조절의 효과 두가지 모두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며 모발을 팽윤시키고 염색 후 쉽게 제거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가장 선호되는 알칼리제이다. 이러한 효과 때문에 헤어 탈색제나 염모제에 암모니아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암모니아의 사용은 안구 자극 및 피부 자극 뿐만 아니라 매우 역겨운 취(臭)를 유발함으로써 불쾌한 느낌을 준다. 이러한 악취는 향을 이용하여 일정 부분 마스킹 할 수 있다. 이때 암모니아취 마스킹용 향료조성물은 첫째, 암모니아성 악취 성분을 갖는 제품 기제(베이스)와 혼합 시 암모니아성 악취를 소취 또는 좋은 향취로 전환하는 효과가 뛰어나야 하며, 둘째, 일상적으로 각 제품 기제(베이스)에 일반적으로 첨가되는 향료의 농도 범위에서 피부에 대한 자극이 없어야 하며, 셋째, 암모니아성 악취 성분을 갖는 제품 기제(베이스)와 혼합시 경시 안정도가 뛰어나야 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암모니아 취가 단지 향료의 작용기나 냄새강도에 의한 것이 아니라 향료의 휘발도와 매우 큰 상관관계가 있음을 발견하고, 휘발도(b.p)가 250℃이하가 되는 향료 물질들이 암모니아취 마스킹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또한 염모제 1제 뿐 아니라 염모제 2제에 안정한 향료를 첨가하여 염모제 1제와 2제를 섞었을 때 암모니아 취가 획기적으로 줄어드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헤어 염모제 조성물 속에 배합된 암모니아 성분으로부터 유래되는 불쾌한 냄새를 마스킹하는 효과가 우수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염모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염모제 1제와 염모제 2제를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용 향료 조성물로서, 염모제 1제 용으로서 휘발도(b.p)가 250℃ 이하인 향료를 포함하고, 염모제 2제 용으로서 pH 3 이하에서 안정한 향료를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염모제 1제와 염모제 2제를 포함하는 염모제에 있어서, 휘발도 250℃이하인 향료를 염모제 1제에 50~60% 함유하고, pH 3이하에서 안정한 향료, 바람직하게는 그린 프루티 계열의 향료를 염모제 2제에 0.02%~0.1%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염모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에 있어서 염모제 1제 용으로 휘발도(b.p)가 250℃이하인 향료 물질을 포함한다. 이는 도 2의 그래프에서 보듯이 b.p가 250℃이하인 향료들은 암모니아취 마스킹력이 좋은 반면 250℃이상인 향료는 휘발도가 낮아 암모니아취 마스킹력이 현격하게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염모제 1제에 함유되는 향료는 50% 내지 60%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향료의 함량이 50% 미만이면 암모니아취 마스킹력이 떨어지고, 60%를 초과하면 향료 전체의 휘발도가 너무 강해 머리카락에 남아 있는 잔향이 거의 없게 되어 향취 기호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상기 염모제 1제에 함유되는 향료 물질은 그 종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벤즈 알데히드(Benzaldehyde), 벤질 알코올(Benzyl Alcohol), 아네톨(Anethole), 인돌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시스-3-헥세놀(Cis-3-Hexenol)을 함유한다.
현재 염모제에는 제형의 안정성과 변취문제로 pH가 낮은 염모제 2제에는 부향을 하고 있지않으나, 암모니아취 마스킹력 테스트 결과 염모제 2제에 부향을 했을 때 마스킹력을 탁월하게 좋아지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경시변화에 따른 향취 발현성도 좋아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는 pH가 높은 염모제 1제에만 부향하였을 때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높은 pH에서 불안정한 향료들이 변질되어 전체적으로 향취력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염모제 1제에 함유되는 향료 중에서 pH 12 이상의 높은 pH에서는 약하나 pH 3 이하의 낮은 pH에서는 안정한 향료를 각각 분리하여 이를 염모제 2제에 함유함으로써 암모니아취 마스킹력도 우수하고 경시변화에 따른 향취 발현력도 좋아지는 염모제 조성물용 향료 조성물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에 있어서 염모제 2제 용으로 pH 3이하에서 안정한 향료, 특히 그린 프루티(green fruity) 계열의 향료물질을 0.02%~0.1%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염모제 2제 베이스는 냄새가 거의 없은 원료들로 조합되어 있어 아주 소량만으로도 향취발현이 용이하지만 산화제이므로 0.1%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염모제 색상에 변화를 줄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염모제 2제에 함유되는 향료 물질은 그 종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알데히드 C-10(Aldehyde C-10), 알릴아밀글리코레이트(Allyl amyl glycolate), 벤즈알데히드(Benzaldehyde), 트리프랄(Triplal), 리리알(Lilial)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염모제용 향료 조성물에는 제형에 따라 통상적인 향료 성분을 함유할 수 있으며, 당업계에 주지된 통상적인 담체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염모제 1제 무향 기제(베이스) 및 염모제 2제 무향 기제(베이스)의 제조
하기 표 1의 성분 및 함량을 사용하여 기존의 암모니아 타입 영구 염모제 1제를 업계에 통상적으로 공지된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되 향이 첨가되지 않은 무향 기제(베이스)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1제 베이스는 정제수에 프로필렌글리콜, 무수소듐설파이트, 에리쏘르빈산, 디소듐이디티에이를 넣고 가온 용해 후 색소를 투입해서 완전히 용해하였다. 세테아일알코올, 스테아레스-21, 폴리옥시에칠렌라우릴에텔을 가온 용해하여 상기액에 혼합한 후, 강암모니아수를 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또한, 하기 표 2의 성분 및 함량을 사용하여 산화제로서 염모제 2제의 표준베이스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2제 베이스는 정제수에 프로필렌글리콜, 소듐스타네이트, 소듐포스페이트, 디소듐이디티에이를 넣고 가온 용해하였다. 세테아릴알코올, 스테아레스-21을 가온용해하여 상기액에 혼합한 후, 과산화수소수(35%) 및 인산을 가하여 액성을 조절하였다.
성 분 명 함량 (%)
세티아릴알코올 10.0
스테아레스-21 3.0
폴리옥시에칠렌라우릴에텔 2.0
정제수 75.4
프로필렌글리콜 2.0
무수소듐설파이트 0.2
디소듐이디티에이 0.2
에리쏘르빈산 0.2
암모니아수(28%) 6.0
색소 1.0
100.0
성 분 명 함량 (%)
세티아릴알코올 6.0
스테아레스-21 3.0
정제수 69.39
프로필렌글리콜 4.0
소듐스테아네이트 0.2
소듐포스페이트 0.2
디소듐이디티에이 0.2
과산화수소수(35%) 16.85
인산 0.16
100.0
[참고예] 암모니아취 표준 측정자
본 발명에서는 암모니아취의 소취효과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암모니아취 표준 측정자(도 1)를 고안하였다. 이는 표 1의 표준 베이스에서 암모니아 함량만을 조절하여 암모니아취 강도를 조절한 것으로 7점 척도법으로 하였다. 즉, 암모니아수(28%)의 함량이 0%인 것을 1점, 2%인 것을 2점, 4%를 3점, 6%를 4점, 8%를 5점, 10%를 6점, 12%를 7점으로 하여 실험이 되는 샘플과 비교해서 암모니아취 마스킹력을 수치로 표현하였다.
본 발명에서 마스킹력 테스트에 적용된 베이스는 암모니아 함유량이 6%인 것으로 암모니아취 강도는 4점을 기준으로 하여 각 향료에 따라 마스킹력이 좋을수록 암모니아취 강도점수가 낮아진다. 이는 암모니아 표준 측정자와 비교하여 암모니아취의 마스킹력을 비교한 것이다.
[시험예 1] 단품 향료의 암모니아취 마스킹력 테스트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한 암모니아 함유 영구 염모제 1제 무향 기제(베이스)에 대한 단품 향료의 마스킹력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암모니아취 마스킹력과 휘발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하기 표 3와 같이 휘발도가 큰 향료와 작은 향료로 각각 5개씩 그룹을 나누어 암모니아취 마스킹력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인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각각의 단품 향료를 염모제 1제 베이스(표1)에 각각 0.7%씩 부향하였다. 그 후, 염모제 1제와 염모제 2제를 각각 20g씩 60초 동안 섞고 난 후 상기 참고예에서 제조한 암모니아 표준 측정자를 사용하여 전문가 패널 6명이 각각의 향취강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휘발도가 큰 향료 휘발도가 작은 향료
향료명 b.p(℃) 향료명 b.p(℃)
무스크 T 332 시스-3-헥세놀 157
로즈페논 312 벤즈알데히드 179
세드릴 아세테이트 303 벤질 알코올 205
헤디온 310 인돌 254
세드롤 285 아네톨 236
Figure 112006022707716-pat00001
테스트 결과는 표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휘발도가 작은 향료들이 큰 향료들에 비해서 초기와 3주후에 암모니아취 강도가 확실하게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시스-3-헥세놀(b.p 157℃)의 경우 암모니아취 표준강도 점수가 평균 3점 이하를 보이고 있어 암모니아취 마스킹력이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2는 표 4의 결과를 도식화한 것으로서, b.p 250℃를 기준으로 그보다 휘발도가 높은 향료들은 암모니아취 강도 점수가 5점 이상으로 암모니아취 소취 효과가 거의 없으며, 반대로 250℃이하의 휘발도가 낮은 향료들은 탁월한 암모니아취 소취 효과를 보이고 있으며 데이터의 유의성을 확인하는 p-value또한 0.05이하로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염모제 2제에 향료를 부향했을 때 암모니아취 마스킹력 테스트
염모제 1제에만 부향했을 때와 염모제 1제와 2제에 동시 부향했을때의 암모니아취 마스킹력을 알아보기 위한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특히, 염모제 2제에 향료를 부향했을 때 암모니아취 마스킹력을 알아보기 위해서 하기 표 5와 같이 높은 pH에서 안정한 향료와 낮은 pH에서 안정한 향료로 각각 5개씩 그룹을 나누어 암모니아취 마스킹력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인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하기 표5에 나타낸 10종의 향료를 동량으로 혼합하여 염모제 1제 베이스(표 1)에 0.7% 부향하고 이를 샘플A로 하였다.
이와 대비하여, 높은 pH에서 안정한 향료인 암브록산(Ambroxan), 아니실 아세테이트(Anisyl acetate), 시스-3-헥세놀(Cis-3-hexenol), 디히드로 미르세놀(Dihydro myrcenol), 유게놀(Eugenol)을 동량으로 혼합후 염모제 1제 베이스(표1)에 0.68% 부향하고, 낮은 pH에서 안정한 향료인 알데히드 C-10(Aldehyde C-10), 알릴아밀글리코레이트(Allyl amyl glycolate), 벤즈알데히드(Benzaldehyde), 트리프랄(Triplal), 리리알(Lilial)도 동량으로 혼합후 염모제 2제 베이스(표2)에 0.05% 부향하고 마스킹력을 테스트할 때 각각 20g씩 동량으로 섞은 것을 샘플 B로 하였다.
각각을 1주후와 3주후에 암모니아 표준측정자를 사용하여 암모니아취 마스킹력을 전문가 패널 6명이 비교 측정하였다
높은 pH에서안정한향료 낮은 pH에서안정한향료
암브록산 알데히드 C-10
아니실아세테이트 알릴아밀글리코레이트
시스-3-헥세놀 벤즈알데히드
디히드로미르세놀 트리프랄
유게놀 리리알
그 결과 하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암모니아취 마스킹력이 샘플A의 경우 패널평균 점수가 1주후 4.25점이고 샘플 B의 경우 3.83점으로 샘플B의 암모니아취 마스킹력이 훨씬 우수하다고 판단하였고, 3주후의 결과를 보면 샘플A의 경우 패널평균 점수가 4.83점이고 샘플B의 경우가 3.33점으로 차이가 현격하게 나는 것으로 보아, 샘플B의 마스킹력이 월등히 우수하며 경시변화에 따른 향취 발현력에서도 염모제 1제와 염모제 2제에 동시에 향을 함유한 경우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염모제 2제의 경우는 암모니아나 모노에탄올아민(MEA)이 함유되어 있지않아 베이스원료취가 무취에 가까워 소량의 향료만으로도 향취발현력을 좋게 하기 때문이며 각각 pH가 높은 베이스에 안정한 향료를 부향하고 pH가 낮은 베이스에 안정한 향료를 부향하여 향료의 안정성도 높였기 때문이다.
Figure 112006022707716-pat00002
도 3은 표 6의 결과를 그래프에 나타낸 것으로서, 샘플 A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암모니아취 마스킹력이 나빠지는 반면 샘플 B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암모니아취 마스킹력이 오히려 좋아지는 것을 암모니아취 표준측정자의 점수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암모니아취 마스킹용 향료 조성물은 소취 효과, 향취 만족도 및 경시 안정성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화장료, 피부 외용제, 약제 조성물등의 각종 제품 기제에 함유될 경우, 장기간 사용시에도 피부 자극의 부작용이 없으므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8)

1제와 2제를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용 향료 조성물에 있어서,
염모제 1제용으로서 시스-3-헥세놀, 벤즈알데하이드, 벤질알코올, 인돌 및 아네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휘발도(b.p)가 250℃ 이하인 향료를 포함하고,
염모제 2제용으로서 알데하이드 C-10, 알릴 아밀 글리코실레이트, 벤즈알데하이드, 트리프랄 및 리리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pH3이하에서 안정한 향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삭제
삭제
삭제
1제와 2제를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에 있어서,
1제에 시스-3-헥세놀, 벤즈알데하이드, 벤질알코올, 인돌 및 아네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휘발도(b.p)가 250℃ 이하인 향료를 포함하고,
2제에 알데하이드 C-10, 알릴 아밀 글리코실레이트, 벤즈알데하이드, 트리프랄 및 리리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pH3이하에서 안정한 향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모제 조성물.
삭제
삭제
삭제
KR1020060029351A 2006-03-31 2006-03-31 염모제 암모니아취 마스킹용 향료 조성물 KR100733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351A KR100733377B1 (ko) 2006-03-31 2006-03-31 염모제 암모니아취 마스킹용 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351A KR100733377B1 (ko) 2006-03-31 2006-03-31 염모제 암모니아취 마스킹용 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3377B1 true KR100733377B1 (ko) 2007-06-29

Family

ID=38373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9351A KR100733377B1 (ko) 2006-03-31 2006-03-31 염모제 암모니아취 마스킹용 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33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317A (ko) 2017-11-13 2019-05-22 주식회사 웰코스 센티드제라늄, 박하, 오레가노, 엘더 및 세이지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악취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065703A (ko) 2021-11-05 2023-05-12 (주)아모레퍼시픽 두피취 케어에 효과가 있는 향료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87521A (ja) * 1990-04-03 1991-12-18 Hoyu Co Ltd 染毛剤及び2剤式染毛剤キット
JP2000344629A (ja) 1999-06-07 2000-12-12 Kao Corp 消臭剤組成物
JP2002097122A (ja) 2000-09-21 2002-04-02 Kao Corp 毛髪化粧料
KR20030076427A (ko) * 2002-03-22 2003-09-26 다카사고 고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소취제 조성물
KR20060029351A (ko) * 2004-10-01 2006-04-06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금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87521A (ja) * 1990-04-03 1991-12-18 Hoyu Co Ltd 染毛剤及び2剤式染毛剤キット
JP2000344629A (ja) 1999-06-07 2000-12-12 Kao Corp 消臭剤組成物
JP2002097122A (ja) 2000-09-21 2002-04-02 Kao Corp 毛髪化粧料
KR20030076427A (ko) * 2002-03-22 2003-09-26 다카사고 고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소취제 조성물
KR20060029351A (ko) * 2004-10-01 2006-04-06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금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60029351 - 804608
1020060029351 - 804609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317A (ko) 2017-11-13 2019-05-22 주식회사 웰코스 센티드제라늄, 박하, 오레가노, 엘더 및 세이지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악취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065703A (ko) 2021-11-05 2023-05-12 (주)아모레퍼시픽 두피취 케어에 효과가 있는 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80238A1 (en) Deodorant composition
US4834767A (en) Compositions used in permanent alteration of hair color
JP4201472B2 (ja) 毛髪化粧料
JP2010070559A (ja) 毛髪処理剤組成物を構成する剤の選択方法、毛髪処理剤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0356901C (zh) 拟体臭组合物和用于抑制体臭的香料组合物
JP2006282627A (ja) 染毛剤用安定組成物
JP2007016045A (ja) ローズマリー抽出物およびdhaを含有する化粧品組成物
JP2003300811A (ja) ロスマリン酸含有組成物
MX2008002228A (es) Composiciones y metodos para contrarestar el mal olor oral.
CA1111349A (en) Low ammonia bleach compositions
KR20200106865A (ko) 마이크로에멀전 상을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DE59807411D1 (de) Mittel zur behandlung keratinischer fasern
CA1312288C (en) Compositions used in permanent alteration of hair color
MX2008002231A (es) Composiciones y metodos para contrarrestar el mal olor oral.
KR100733377B1 (ko) 염모제 암모니아취 마스킹용 향료 조성물
JPH09255541A (ja) 脱色・染毛用組成物
JPH07215848A (ja) 皮膚外用剤及び皮膚化粧料
KR19990088400A (ko) 저수분비휘발성유기화합물모발광택제및염색조성물
KR20190056968A (ko) 산화형 염모제 조성물
AU597454B2 (en) Composition used in permanent alteration of hair colour comprising quaternized amino lactam
JPS61176510A (ja) 美白化粧料
KR100335572B1 (ko) 황약용비누 제조방법
KR102073057B1 (ko) 타투 스티커의 제거제
KR20000025753A (ko) 암모니아취소취용향료조성물
JP4061255B2 (ja) 一剤式毛髪脱色及び該毛髪脱色剤を用いる毛髪脱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