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2566B1 - 기관차의 공기제동장치 - Google Patents

기관차의 공기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2566B1
KR100732566B1 KR1020050103505A KR20050103505A KR100732566B1 KR 100732566 B1 KR100732566 B1 KR 100732566B1 KR 1020050103505 A KR1020050103505 A KR 1020050103505A KR 20050103505 A KR20050103505 A KR 20050103505A KR 100732566 B1 KR100732566 B1 KR 100732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raking
delete delete
locomotive
at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3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8334A (ko
Inventor
한성수
Original Assignee
(주)아한피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한피앤이 filed Critical (주)아한피앤이
Priority to KR1020050103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2566B1/ko
Publication of KR20050108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8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3/00Actuating rail vehicle brakes
    • B61H13/20Transmitt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3/00Actuating rail vehicle brakes
    • B61H13/34Details
    • B61H13/38Suspension of transmitt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3/00Applications or arrangements of brakes with an outwardly movable braking member or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5/00Construction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alves incorporated in power brake systems and not covered by groups B60T11/00 or B60T13/00
    • B60T15/02Application and release valves
    • B60T15/021Railway control or brake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TP 제동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기관차용 공기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페이스 유니트는 균형공기통(52)과 연결되며 공기가 충전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제어공기통(6)과, 균형공기통(52)과 제어공기통(6)의 연결통로상에 마련되며 차상신호시스템(ATP)의 전기적 제동신호 인가시에는 연결통로를 연결시키고 정상운전시에는 제어공기통(6)의 공기를 배기시키는 상용제동전자변(2)과, 상용제동전자변(2)과 제어공기통(6) 사이에 마련되어 통과되는 공기량을 제어하는 유량조절밸브(3)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공기제동장치는 유럽의 UIC규격(26L 제동장치) 제동장치가 설치된 기관차 또는 CK1P 타입의 제동장치가 설치된 기관차 모두 안전하고 상호 호환 가능한 철도교통을 위한 표준화된 기관차용 공기제동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기존의 장치의 수정 없이 신설하는 ATP 차상 제어시스템과 기존의 제동장치 간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함으로써, 설치, 운영, 정비성은 물론 기관차의 제동시스템의 안정화를 도모한다.
전자변, 유량조절 밸브, 차단콕크, 공기통, 압력스위치, 차단콕크, 역지변

Description

기관차의 공기제동장치{A train brake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기관차용 ATP 제동 인터페이스 공기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정상운전상태에서의 기관차용 ATP 제동 인터페이스 공기 흐름도,
삭제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상용제동상태에서의 기관차용 ATP 제동 인터페이스 공기 흐름도,
삭제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비상제동상태에서의 기관차용 ATP 제동 인터페이스 공기 흐름도,
삭제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기관차용 ATP 제동 인터페이스 유니트의 평면도, 정면도 및 우측면도를 도시한 외형도이다.
삭제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균형공기차단전자변 8 : 바이패스 콕크
2 : 상용제동 전자변 51 : P-2-A제동작용변
3 : 유량조절 밸브 52 : 균형공기통
4 : 압력 스위치 53 : EP 제동장치
5 : 역지변 54 : 26C제동변
6 : 제어공기통 55 : 균형공기조정변
7 : 제1차단콕크 8 : 제2차단콕크
본 발명은 기관차의 공기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철도차량의 고속, 고밀도 운행시대를 대비하여 경부선, 호남선에서 운행하고 있는 열차의 운전체계를 기존의 지상신호방식에서 차상신호(ATP: Automatic Train Protection)방식으로 시스템 구축하는데 필요한 차상신호장치(ATP)와 기관차의 제동장치(유럽의 UIC 제동장치 및 일본의 CK1P 제동장치)를 결합시키는 기관차용 ATP 제동 인터페이스 장치를 구비하는 기관차의 공기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관차는 안전운행 및 기관사의 과실에 따른 사고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기관차의 자동제어장치(ATC: Auto Train Control)와 자동정지장치(ATS: Auto Train Stop)가 설치되기도 하고, 최근에는 기관차의 운행을 무인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동운전장치(ATO: Auto Train Operating)가 설치되기도 한다.
또한, 열차운전체계를 종래의 지상신호방식에서 차상신호(ATP: Automatic Train Protection)(이하 ATP라 한다)방식을 사용하는 차상신호시스템이 도입되어 있다.
상기 지상신호방식은 지상의 신호기에 신호내용을 현시하여 안전을 확보하게 하는 것으로서, 열차가 진입하려는 곳에 신호기를 설치하고 약속된 신호를 현시하게 하여 열차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상신호방식은 열차가 신호 현시내용을 무시하거나 오인하여 운행될 경우 사고로 이어지게 되므로 각종 안전장치를 설치하여 안전확보 상태를 보완하여 왔으나, 열차의 고속화, 고밀도화에 따라 안전한계에 도달하게 되었다.
상기 차상신호시스템은 지상신호의 현시내용을 차상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열차가 고속으로 주행하거나 우천, 안개 등과 같은 기상조건하에서 기관사의 시계가 불량하더라도 신호 현시내용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고, 열차특성을 고려하는 안전운행간격이 확보되도록 지속적인 열차상태 감시 및 제어가 실행되는 것이다.
따라서 열차가 정지신호를 무시하고 운행되거나 지시된 속도를 넘어서는 과속을 하더라도 사전에 열차운행 제어범위가 계산되어 안전을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기관차의 공기제동장치는 차륜에 마찰 또는 이격되도록 이동가능한 브레이크슈와, 상기 브레이크슈를 이동시키도록 공기압이 공급 또는 해제되는 제동관과, 상기 제동관과 연결 또는 차단되며 일정압의 공기압이 충전된 균형공기통과, 상기 균형공기통에 공기를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P-2-A제동작용변과, 상기 제동관과 균형공기통을 동일한 공기압으로 제어하는 중계밸브를 포함하는 26C제동변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공기제동장치는 한국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0-18330호의 종래기술로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 차량마다 공압 제동관이 설치되어 있는바, 기관차의 26C제동변의 작동에 의해 규정압력으로 공급되어 있던 제동관의 압축공기를 일정량 대기로 배출하게 되면, 미리 저장되어 있던 공기통 속의 압축공기가 변동하중변을 타고 각 화차의 제동통으로 공급되어 제동통에 설치된 피스톤이 공압에 의해 밀리면서 브레이크슈가 차륜에 밀착되어 제동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그러나 기관차의 ATP 차상 제어장치에서 나오는 전기신호를 받아서 상용제동을 수행하여야 하나, 현재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공기제동장치로는 ATP 차상 제어장치에서 나오는 전기신호를 받을 수 없게 되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기관차의 차상신호(ATP)의 전기적 제동신호를 공기적신호로 변환하여 공기제동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기관차의 공기제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ATP 차상 제어장치가 제동장치에 한하여 요구하는 제동기능을 유럽의 UIC규격 제동장치와 일본 규격인 CK1P 타입의 제동장치 모두를 만족하는 기관차 ATP 제동 인터페이스 유니트를 갖는 기관차의 공기제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차륜에 마찰 또는 이격되도록 이동가능한 브레이크슈와, 상기 브레이크슈를 이동시키도록 공기압이 공급 또는 해제되는 제동관과, 상기 제동관과 연결 또는 차단되며 일정압의 공기압이 충전된 균형공기통과, 상기 균형공기통에 공기를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P-2-A제동작용변과, 상기 제동관과 균형공기통을 동일한 공기압으로 제어하는 중계밸브를 포함하는 26C제동변을 구비하는 기관차의 공기제동장치에 있어서,
지상신호의 현시내용을 차상에서 확인하고 열차상태의 감시 및 제어를 실행하는 차상신호시스템(ATP)의 전기적 제동신호를 공기적 제동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브레이크슈를 작동시키는 기관차용 인터페이스 유니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유니트는 상기 균형공기통과 연결되며 공기가 충전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제어공기통과, 상기 균형공기통과 제어공기통의 연결통로상에 마련되며 상기 차상신호시스템(ATP)의 전기적 제동신호 인가시에는 상기 연결통로를 연결시키고 정상운전시에는 제어공기통의 공기를 배기시키는 상용제동전자변과, 상기 상용제동전자변과 제어공기통 사이에 마련되어 통과되는 공기량을 제어하는 유량조절밸브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공기제동장치는 상기 균형공기통과 상기 제어공기통의 분기점과 상기 P-2-A제동작용변 사이의 연결통로에 상기 차상신호시스템(ATP)의 전기적 제동신호 인가시에는 상기 연결통로를 차단시키고 정상운전시에는 연결시키는 균형공기차단전자변과, 상기 분기점으로부터 상기 균형공기차단전자변을 우회하여 상기 P-2-A제동작용변에 연결되는 연결통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균형공기통으로의 공기이동을 방지하는 역지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공기제동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 유니트(10)와 상기 P-2-A제동작용변(51) 사이의 연결통로를 개폐시키는 제1차단콕크(7)와, 상기 균형공기통(52)과 상기 인터페이스 유니트(10) 사이의 연결통로를 개폐시키는 제2차단콕크(8)와, 상기 인터페이스 유니트를 우회하여서 상기 P-2-A제동작용변(51)과 균형공기통(52)을 연결하는 연결통로 상에 마련되어 그 연결통로를 개폐하는 바이패스콕크(9)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기관차의 공기제동장치를 나타낸 도 1을 참조하면, 이는 차륜에 마찰 또는 이격되도록 이동가능한 브레이크슈(미도시)와, 상기 브레이크슈를 이동시키도록 공기압이 공급 또는 해제되는 제동관(54a)과, 상기 제동관(54a)과 연결 또는 차단되며 일정압의 공기압이 충전된 균형공기통(52)과, 상기 균형공기통(52)에 공기를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P-2-A제동작용변(51)과, 상기 제동관(54a)과 균형공기통(52)을 동일한 공기압으로 제어하는 중계밸브를 포함하는 26C제동변(54)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으로서, 상기 공기제동장치에 지상신호의 현시내용을 차상에서 확인하고 열차상태의 감시 및 제어를 실행하는 차상신호시스템(ATP)의 전기적 제동신호를 공기적 제동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브레이크슈를 작동시키는 기관차용 인터페이스 유니트(10)를 구비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유니트(10)는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균형공기통(52)과 연결되며 공기가 충전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제어공기통(6)과, 상기 균형공기통(52)과 제어공기통(6)의 연결통로상에 마련되며 상기 차상신호시스템(ATP)의 전기적 제동신호 인가시에는 상기 연결통로를 연결시키고 정상운전시에는 제어공기통(6)의 공기를 배기시키는 상용제동전자변(2)과, 상기 상용제동전자변(2)과 제어공기통(6) 사이에 마련되어 통과되는 공기량을 제어하는 유량조절밸브(3)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 실시예의 공기제동장치에는 상기 균형공기통(52)과 상기 제어공기통(6)의 분기점과 상기 P-2-A제동작용변(51) 사이의 연결통로에 상기 차상신호시스템(ATP)의 전기적 제동신호 인가시에는 상기 연결통로를 차단시키고 정상운전시에는 연결시키는 균형공기차단전자변(1)과, 상기 분기점으로부터 상기 균형공기차단전자변(1)을 우회하여 상기 P-2-A제동작용변(51)에 연결되는 연결통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균형공기통(52)으로의 공기이동을 방지하는 역지변(5)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 실시예의 공기제동장치에는 상기 인터페이스 유니트(10)와 상기 P-2-A제동작용변(51) 사이의 연결통로를 개폐시키는 제1차단콕크(7)와, 상기 균형공기통(52)과 상기 인터페이스 유니트(10) 사이의 연결통로를 개폐시키는 제2차단콕크(8)와, 상기 인터페이스 유니트를 우회하여서 상기 P-2-A제동작용변(51)과 균형공기통(52)을 연결하는 연결통로 상에 마련되어 그 연결통로를 개폐하는 바이패스콕크(9)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기관차용 공기제동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기관차의 운행 중 제동은 크게 1) 정상운전(운행)상태 2) 상용제동상태 3) 비상제동상태로 구분되어지므로 이하에서는 3가지 상태에 따른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정상운전상태 (도 2 참조)
정상운행 조건시에는 ATP 제어장치의 신호지령이 차단되므로 압축공기는 P-2-A제동작용변(51)의 관(#5-1), 제1차단콕크(7)를 경유하여 전기가 차단되면 열리는 기관차용 ATP 제동인터페이스 유니트(10)내 균형공기차단전자변(1)의 P↔E간의 통로를 열어 제2차단콕크(8), 3.6리터의 균형공기통(52)에 충기됨과 동시에 26C제동변(54)에 조합되어 있는 균형공기조정변(55)의 관(#5-2)로 공급 및 EP제동장치(53)에도 공기가 공급되어 정상운행 조건의 에어회로가 구성 되도록 한다.
또한, 전기가 차단되면 닫히는 상용제동전자변(2)은 1.5리터의 제어공기통(6)에 충기되어 있는 공기를 유량조절밸브(3)를 경유하여 상용제동전자변(2)의 P↔E간의 통로를 열어 배기구로 대기로 방출함으로써 제동완해가 이루어져서 정상운행 조건을 충족시킨다.(즉 다음 제동체결에 대한 준비가 되었음을 뜻함) 압력스위치(4)는 1bar 이하에서는 접점 1↔2와 구성되어 제동이 완해 되었음을 ATP 차상제어장치에 신호를 피드백 하도록 한다.
2) 상용제동상태( 도 3 참조)
열차가 정상운행조건에서 ATP 제어장치가 상용제동이 지령되면 전기가 공급되면 차단되는 균형공기차단전자변(1)의 P↔E간의 통로를 닫고, P↔A간 위치로 이동하여 통로를 열어, P-2-A제동작용변(51)으로부터 26C제동변(54)에 조합되어 있는 균형공기조정변(55)의 관(#5-2)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한다.
또한, 전기가 공급되면 열리는 상용제동전자변(2)은 P↔E간을 닫고, P↔A간의 통로를 열어 26C제동변(54)에 조합되어 있는 균형공기조정변(55)의 관(#5-2)로 공급된 공기와 3.6리터의 균형공기통(52)에 충기되어 있는 압축공기가 차단콕크(8)→상용제동전자변(2)→유량조절밸브(3)를 경유하여 1.5리터의 제어공기통(6)에 서서히 공급(충기) 시키도록 하여 압력을 6.3bar에서 4.7bar로(이하에서 설명) 동일하게 함으로서 제동관의 압력을 저하시켜 상용제동을 체결토록 한다.
이때 압력스위치(4)는 1.5bar 이상에서는 접점 1↔4와 구성되어 상용제동이 체결되었음을 ATP 차상제어장치에 신호를 피드백 하도록 하였다.
유량조절밸브(3)는 3.6리터의 균형공기통(52)에 충기되어 있는 압축공기가 1.5리터의 제어공기통(6)으로 5.0bar→3.8bar로 균압이 되는 시간을 4.5Sec±0.5Sec로 조절을 하기 위하여 설치하였다.(이하에서 설명)
3) 비상제동상태(도 4 참조)
ATP 차상 제어장치가 상용제동을 지령하여 열차가 ATP에 의한 상용제동이 체결된 상태에서 기관사 또는 열차의 안전장치에 의해 현재 체결되어 있는 상용제동 레벨보다 높은 레벨의 상용제동이나 비상제동 체결이 요청되면 26C제동변(54)에 조합되어 있는 균형 공기조정변(55)의 관(#5-2)로 공급된 공기와 3.6리터의 균형공기통(52)에 충기되어 있는 압축공기 및 1.5리터의 제어공기통(6)에 충기되어 있는 압축공기가 역지변(5)과 제1차단콕크(7), 관(#5-1)을 경유하여 P-2-A 제동작용변(51)에서 대기로 토출시킴으로서 높은 레벨의 상용제동이나 비상제동을 체결시킨다.
또한, ATP 차상제어장치 또는 본 기관차용 ATP 제동 인터페이스 유니트가 고장시에 기존 제동장치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바이패스콕크(9)의 통로를 열고, 제1차단콕크(7)와 제2차단콕크(8)를 차단함으로써, P-2-A제동작용변(51)과 26C제동변(54) 및 균형공기통(52) 간의 공기회로는 기존 공기회로와 동일하게 구성되도록 하였다.
정상운행상태에서는 바이패스콕크(9)는 차단위치이며 제1차단콕크(7) 및 제2차단콕크(8)는 열림위치에 있어, 기관차 ATP 제동 인터페이스 유니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한편, UIC 규격의 제동장치가 설치된 기관차가 객차나 화차가 연결되어 운행의 경우에는 상용최대제동시 제동관 압력을 5.0bar에서 3.8bar 로 감압되어야 하며, 감압되는 시간은 약4.5±0.5초 수준으로 되어야 한다.
또한, CK1P 타입의 제동장치가 설치된 기관차가 객차와 연결되어 운행의 경우에는 상용최대제동시 제동관 압력을 6.2bar에서 약 4.7bar로 감압 되어야 하며, 감압되는 시간은 약4.5±0.5초 수준으로 되어야 한다.
본 출원인은 UIC 규격의 제동장치가 설치된 기관차가 객차나 화차가 연결되어 운행의 경우에는 상용제동시 제동관 압력을 5.0bar에서 3.8bar로 감압되어야 하는 조건을 구성하기 위하여, 추가로 필요한 제어공기통(6) 용량을 아래와 같은 식에 따라 계산실험하였다.
수학식 1 P1 X Q1 = P2 X Q2
P1 = 5.0bar
P2 = 3.8bar
Q1 = 4.75리터
즉, Q1은 균형공기통(52)의 3.6리터와 제어공기통(6)에 연결될 위치까지의 관(PIPE)의 용량인 약 1.15리터를 합한 부피이므로 Q1은 4.75리터이다.
∴ Q2 = 6.25 리터
추가로 필요한 제어공기통(6) 용량 Q3는
수학식 2 Q3 = Q2 - Q1
Q3 = 6.25 - 4.75 = 1.5리터로 용량을 결정하여, 기관차에 제어공기통(6)을 1.5리터 용량으로 적용결과 ATP에 의한 상용제동시 제동체결 압력 및 제동 완해에 문제가 없었다.
또한, 제어공기통(1.5리터)(6)을 적용하여, CK1P 타입의 제동장치가 설치된 기관차가 객차와 연결되어 운행의 경우에 상용제동시 제동관 압력을 6.3bar에서 약 4.7bar로 감압되어야 조건에 대한 검증을 하였다.
수학식 1 P1 X Q1 = P2 X Q2
P1 = 6.3bar
Q1 = 4.75리터
즉, Q1은 균형공기통(52)의 3.6리터와 제어공기통(6)에 연결될 위치까지의 관(PIPE)의 용량인 약 1.15리터를 합한 부피이므로 Q1은 4.75리터이다.
Q2 = 1.5리터
∴ P2 = 4.788bar
CK1P 타입의 제동장치 기관차에 제어공기통(6)을 1.5리터 용량으로 적용결과 ATP에 의한 상용최대제동시 제동체결 압력이 0.088bar의 차이는 있으나, 제동체결 및 제동완해에 문제가 없다.
상기의 산출근거와 시험결과로 유럽 규격인 UIC타입의 제동장치와 일본 규격인 CK1P 타입의 제동장치 모두를 만족하는 기관차 ATP 제동 인터페이스 유니트를 구성하였으며, 상기 상용제동 요구압력인 P1 및 P2값의 변화에 따라 제어공기통(6) 용량을 변경으로 제동요구량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ATP 차상 제어장치에 의한 상용제동체결시 제동체결 시간은 유량조절밸브(3)로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유럽의 UIC규격 제동장치가 설치된 기관차가 객차나 화차가 연결되어 운행의 경우에는 상용제동시 3.6리터의 균형공기통(52)에 충기되어 있는 5.0bar의 압력을 3.6리터의 균형공기통(52)과 대기압상태인 1.5리터 제어공기통(6)을 3.8bar로 균압이 되는 시간은 상용제동(ON-Type)전자변(2)을 경유하여 유량조절밸브(3)의 조정으로 5.0bar에서 3.8bar로 균압시간(상용제동체결시간)을 4.5±0.5초로 설정하여 시험 후, CK1P 타입의 제동장치가 설치된 기관차가 객차와 연결되어 운행의 조건에서도 상용제동 압력이 6.3bar에서 약 4.7bar로 감압시간(상용제동체결시간)을 측정결과 약 4.5±0.5초로 나타나, 유럽의 UIC규격 제동장치가 설치된 기관차 또는 CK1P 타입의 제동장치가 설치된 기관차는 모두 유량조절밸브(3)를 조절하여 상용 최대 체결시간인 4.5±0.5초 수준으로 셋팅하여 사용가능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첫째, 유럽의 UIC규격(26L 제동장치) 제동장치가 설치된 기관차 또는 CK1P 타입의 제동장치가 설치된 기관차 모두 안전하고 상호 호환 가능한 철도교통을 위한 표준화된 기관차용 공기제동장치를 제공한다.
둘째, 기존의 장치의 수정 없이 신설하는 ATP 차상 제어시스템과 기존의 제동장치 간의 인터페이스를 함으로써, 설치, 운영, 정비성은 물론 기관차의 제동시스템의 안정화를 도모한다.
셋째, 매니폴드(MANIFOLD)를 적용 하였으며, 부속부품 또한 블럭(BLOCK)화 하여 기존장치와 연결이 용이하며, 소형화하여 협소한 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다.

Claims (4)

  1. 차륜에 마찰 또는 이격되도록 이동가능한 브레이크슈와, 상기 브레이크슈를 이동시키도록 공기압이 공급 또는 해제되는 제동관과, 상기 제동관과 연결 또는 차단되며 일정압의 공기압이 충전된 균형공기통과, 상기 균형공기통에 공기를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P-2-A제동작용변과, 상기 제동관과 균형공기통을 동일한 공기압으로 제어하는 중계밸브를 포함하는 26C제동변을 구비하는 기관차의 공기제동장치에 있어서,
    지상신호의 현시내용을 차상에서 확인하고 열차상태의 감시 및 제어를 실행하는 차상신호시스템(ATP)의 전기적 제동신호를 공기적 제동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브레이크슈를 작동시키는 기관차용 인터페이스 유니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차의 공기제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유니트는 상기 균형공기통(52)과 연결되며 공기가 충전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제어공기통(6)과, 상기 균형공기통(52)과 제어공기통(6)의 연결통로상에 마련되며 상기 차상신호시스템(ATP)의 전기적 제동신호 인가시에는 상기 연결통로를 연결시키고 정상운전시에는 제어공기통(6)의 공기를 배기시키는 상용제동전자변(2)과, 상기 상용제동전자변(2)과 제어공기통(6) 사이에 마련되어 통과되는 공기량을 제어하는 유량조절밸브(3)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차의 공기제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균형공기통(52)과 상기 제어공기통(6)의 분기점과 상기 P-2-A제동작용변(51) 사이의 연결통로에 마련되며 상기 차상신호시스템(ATP)의 전기적 제동신호 인가시에는 상기 연결통로를 차단시키고 정상운전시에는 연결시키는 균형공기차단전자변(1)과, 상기 분기점으로부터 상기 균형공기차단전자변(1)을 우회하여 상기 P-2-A제동작용변(51)에 연결되는 연결통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균형공기통(52)으로의 공기이동을 방지하는 역지변(5)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차의 공기제동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관차의 공기제동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 유니트(10)와 상기 P-2-A제동작용변(51) 사이의 연결통로를 개폐시키는 제1차단콕크(7)와, 상기 균형공기통(52)과 상기 인터페이스 유니트(10) 사이의 연결통로를 개폐시키는 제2차단콕크(8)와, 상기 인터페이스 유니트를 우회하여서 상기 P-2-A제동작용변(51)과 균형공기통(52)을 연결하는 연결통로 상에 마련되어 그 연결통로를 개폐하는 바이패스콕크(9)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차의 공기제동장치.
KR1020050103505A 2005-10-31 2005-10-31 기관차의 공기제동장치 KR100732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3505A KR100732566B1 (ko) 2005-10-31 2005-10-31 기관차의 공기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3505A KR100732566B1 (ko) 2005-10-31 2005-10-31 기관차의 공기제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8334A KR20050108334A (ko) 2005-11-16
KR100732566B1 true KR100732566B1 (ko) 2007-06-27

Family

ID=37284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3505A KR100732566B1 (ko) 2005-10-31 2005-10-31 기관차의 공기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256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82609A (zh) * 2012-03-06 2012-07-18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自动调节动车组制动力使用系数的列车安全防护方法
KR102275627B1 (ko) * 2021-02-25 2021-07-12 유진기공산업주식회사 철도 차량용 공급공기 차단 장치
KR102275642B1 (ko) * 2021-02-25 2021-07-12 유진기공산업주식회사 철도 차량용 공급공기 차단코크
DE102020100259B4 (de) 2019-01-16 2024-02-08 Cattron North America, Inc. Systeme und verfahren zur fahrzeugbremssteueru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344Y1 (ko) * 2010-06-08 2012-03-23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의 공기제동장치
CN104149813B (zh) * 2014-08-25 2016-07-06 南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轨道车辆及其缓解停放制动系统
CN111661025B (zh) * 2020-06-18 2021-06-04 中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机车制动机平均管压力控制方法及装置
CN113665547B (zh) * 2021-09-13 2022-05-06 中车洛阳机车有限公司 一种提高jz-7制动系统制动速度的辅助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9537A (ko) * 1993-02-16 1994-09-14 쯔찌모또 마사유끼 철도 차량용 브레이크 제어장치 및 유지 기구 부착 전환 밸브
JPH10203348A (ja) 1997-01-28 1998-08-04 American Standard Inc 空気列車指令線制御ユニット
KR19990031273A (ko) * 1997-10-10 1999-05-06 안원기 화차용 제동장치
JP2001018784A (ja) 1999-07-02 2001-01-23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車の空気ブレーキ装置及び空気ブレーキ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9537A (ko) * 1993-02-16 1994-09-14 쯔찌모또 마사유끼 철도 차량용 브레이크 제어장치 및 유지 기구 부착 전환 밸브
JPH10203348A (ja) 1997-01-28 1998-08-04 American Standard Inc 空気列車指令線制御ユニット
KR19990031273A (ko) * 1997-10-10 1999-05-06 안원기 화차용 제동장치
JP2001018784A (ja) 1999-07-02 2001-01-23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車の空気ブレーキ装置及び空気ブレーキ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82609A (zh) * 2012-03-06 2012-07-18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自动调节动车组制动力使用系数的列车安全防护方法
CN102582609B (zh) * 2012-03-06 2014-03-12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自动调节动车组制动力使用系数的列车安全防护方法
DE102020100259B4 (de) 2019-01-16 2024-02-08 Cattron North America, Inc. Systeme und verfahren zur fahrzeugbremssteuerung
KR102275627B1 (ko) * 2021-02-25 2021-07-12 유진기공산업주식회사 철도 차량용 공급공기 차단 장치
KR102275642B1 (ko) * 2021-02-25 2021-07-12 유진기공산업주식회사 철도 차량용 공급공기 차단코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8334A (ko) 2005-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2566B1 (ko) 기관차의 공기제동장치
CA2624113C (en) Pneumatic emergency brake release timer
CA2619322C (en) Pneumatic emergency brake assurance module
AU2013205185B2 (en) Park Brake Control Assembly
WO2019024632A1 (zh) 控制车集中制动控制系统、方法及动车组制动控制系统
CA2203605C (en) Brake pipe sensing unit
CA2212105C (en) Dual pneumatic trainline control unit
CA2203603C (en) Universal pneumatic brake control unit
US2958561A (en) Fluid pressure brake apparatus
US7144090B2 (en) China type 120 brake valve ECP manifold
US6017098A (en) Brake pipe control portion to enhance operation under low main reservoir pressure conditions
CA2202938C (en) Penalty brake scheme for straight air pipe brake control equipment
KR101796672B1 (ko) 완해 불량 방지 밸브를 포함하는 철도 차량용 제동장치
RU2749551C1 (ru) Тормозное оборудование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20040104311A1 (en) System to provide enhanced security and control of locomotives and trains
RU2749308C1 (ru) Тормозное оборудование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A2203047C (en) Penalty brake circuit for straight air pipe brake control equipment
US5700066A (en) Penalty brake design for straight air pipe brake control equipment
US3275383A (en) Fluid pressure brake system
US863823A (en) Combined automatic and straight air brake.
CA1305742C (en) Railway vehicle penalty brake control system
LV14236B (lv) Lokomotīves bremz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