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2231B1 - 무빙 용접용 토치 - Google Patents

무빙 용접용 토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2231B1
KR100732231B1 KR1020050122233A KR20050122233A KR100732231B1 KR 100732231 B1 KR100732231 B1 KR 100732231B1 KR 1020050122233 A KR1020050122233 A KR 1020050122233A KR 20050122233 A KR20050122233 A KR 20050122233A KR 100732231 B1 KR100732231 B1 KR 100732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torch
welding
hous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2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6200A (ko
Inventor
정영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티웰
(주)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티웰, (주)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티웰
Priority to KR1020050122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2231B1/ko
Priority to PCT/KR2005/004512 priority patent/WO2006071033A1/en
Publication of KR20060076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6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2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 B23K9/022Welding by making use of electrode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2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 B23K9/0216Seam profiling, e.g. weaving, multi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26Controlling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 and the gas tor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24Features related to electrodes
    • B23K9/28Supporting devices for electrodes
    • B23K9/29Supporting devices adapted for making use of shielding means
    • B23K9/291Supporting devices adapted for making use of shielding means the shielding means being a gas
    • B23K9/295Supporting devices adapted for making use of shielding means the shielding means being a gas using consumable electrode-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24Features related to electrodes
    • B23K9/28Supporting devices for electrodes
    • B23K9/30Vibrating holders for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개시된 무빙 용접용 토치는, 용접팁, 토치 가이드 그리고 토치 본체가 서로 결합되어 그 내부에 와이어가 관통되는 와이어부와, 가이드와, 양쪽에 전자석이 설치된 본체 하우징이 서로 결합되어 그 내부에 삽입된 와이어부가 전자석의 자장에 무빙되도록 하는 하우징부로 이루어진 무빙 용접용 토치에 있어서; 와이어부에 토치 본체의 외주연을 감싸는 힌지 하우징에서 돌출된 힌지축과, 힌지축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토치 본체의 외주연을 감싸는 하우징에서 돌출된 무빙핀이 더 형성되고, 하우징부에는 힌지축이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힌지축홈과, 무빙핀을 가이드하여 일정 공간을 이동되게 하는 무빙홈이 더 형성되어, 와이어부가 하우징부내에서 힌지축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운동하고 토치 본체가 무빙홈을 따라 전진후퇴운동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무빙 용접용 토치는, 일정한 전류값과 전압값을 가지기 위해 용접모재의 각도에 따라 일정각도 회전운동과 전진후퇴운동을 동시에 함으로써 아크길이 및 스틱아웃길이를 용접모재와 일정하게 유지시켜줌으로써 용접아크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전진후퇴운동, 무빙 용접, 토치, 회전운동, 힌지축, 무빙핀

Description

무빙 용접용 토치 {Torch for moving welding}
도 1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용접 용어의 정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무빙 용접용 토치의 위빙 운동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빙 용접용 토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와이어부만의 평면도,
도 5는 도 3에 나타낸 하우징부만의 평면도,
도 6와 도 6b는 도 3에 나타낸 힌지축 부위와 무빙핀 부위를 상세히 나타내 사시도,
도 7a 내지 도 7c는 무빙홈 형상별 무빙 용접용 토치의 위빙 운동 방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와이어부 102 : 와이어
104 : 용접팁 106 : 토치 가이드
108 : 토치 본체 110 : 힌지 하우징
112 : 힌지축 114 : 자성체 하우징
116 : 무빙핀 118 : 이완 케이블
200 : 하우징부 202 : 노즐
204 : 본체 하우징 206 : 탄성체 수용홈
208 : 탄성체 210 : 전자석
212 : 무빙홈 214 : 케이블 홀더
216 : 밸런스 스프링홈 218 : 밸런스 스프링
220 : 힌지축홈 300 : 용접용 토치
본 발명은 용접용 토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균일한 전류값과 전압값을 가지기 위해 용접모재의 각도에 따라 일정각도 회전운동과 전진후퇴운동을 동시에 하여 아크길이 및 스틱아웃길이를 용접모재와 일정하게 유지시켜줌으로써 용접아크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무빙 용접용 토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접작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용접시 발생하는 아크(3)의 안정성과 용접작업후의 용접비드(2)의 모양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작업의 능률 즉 생산성의 증진이다.
이러한, 용접아크의 안정성과 용접비드(2)는 상호 연관된다.
아크길이(l)의 변화와 스틱아웃길이(m)는 용접기의 전류값(용접와이어(5)의 송금속도)과 전압값(용접기에서는 항상 일정한 값을 보내지만 용접와이어(5)의 길이에 따라 변함)에 변화를 일으켜 아크(3)의 퍼짐성, 용입 정도의 차이가 생기는 용접특성에 아주 중요하다.
즉, 용접시 아크길이(l)와 스틱아웃길이(m)가 불안정하면 용접비드(2)가 고르지 않고 용접전압, 전류의 변화가 심하며 다량의 용접 스패터(spatter) 발생으로 신속하고 고속의 작업이 불가능하다.
종래 무빙(moving) 용접용 토치(4)의 위빙 운동이 도 2에서와 같이 일정각도 회전운동만 하기 때문에 현재 조선소 작업에서 가장 중요한 비드(2)가 일정하지 않고 용접기의 아크(3)가 안정되지 않아 용접성이 치명적으로 나빠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종래 무빙 용접용 토치로 일반 조선소 내에서 용접하는 경우 아크길이(l)와 스틱아웃길이(m)가 불안정하므로 분당 400~500mm로 작업 능률이 떨어진다.
이러한 문제점은 용접기의 문제가 아니고 토치(4) 끝단의 용접 와이어(5)와 용접모재(1)간의 접촉(아크길이(l)와 스틱아웃길이(m))에서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균일한 전류값과 전압값을 가지기 위해 용접모재의 각도에 따라 일정각도 회전운동과 전진후퇴운동을 동시에 함으로써 아크길이 및 스틱아웃길이를 용접모재와 일정하게 유지시켜줌으로써 용접아크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무빙 용접용 토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아크길이와 스틱아웃길이의 변화폭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안정된 용접아크를 발생시킴으로써 보다 뛰어난 용접비드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용접 캐리지의 신속한 이동에도 최상의 용접아크를 발생하므로 작업능률에서도 탁월한 무빙 용접용 토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정각도 회전운동과 함께 전진후퇴운동을 병행함으로써 종래 무빙 토치용접에 비해 2배나 빠른 속도의 작업이 가능하며, 전진후퇴운동에 의해 용접 와이어가 미치지 못하는 용접모재의 용접 와이어가 도달하기 때문에 안정되고 뛰어난 아크를 발생시켜 보다 뛰어난 용접 비드와 용접성을 얻을 수 있는 무빙 용접용 토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빙 용접용 토치는 을 용접팁, 토치 가이드 그리고 토치 본체가 서로 결합되어 그 내부에 와이어가 관통되는 와이어부와, 가이드와, 양쪽에 전자석이 설치된 본체 하우징이 서로 결합되어 그 내부에 삽입된 와이어부가 전자석의 자장에 무빙되도록 하는 하우징부로 이루어진 무빙 용접용 토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부에, 토치 본체의 외주연을 감싸는 힌지 하우징에서 돌출된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토치 본체의 외주연을 감싸는 하우징에서 돌출된 무빙핀이 더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에는, 힌지축이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힌지축홈과, 무빙핀을 가이드하여 일정 공간을 이동되게 하는 무빙홈이 더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부가 하우징부내에서 힌지축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운동 하고 토치 본체가 무빙홈을 따라 전진후퇴운동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서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빙 용접용 토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와이어부만의 평면도, 도 5는 도 3에 나타낸 하우징부만의 평면도, 도 6와 도 6b는 도 3에 나타낸 힌지축 부위와 무빙핀 부위를 상세히 나타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빙 용접용 토치(300)는 와이어부(100)와 상기 와이어부(100)를 보호하는 하우징부(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와이어부(100)는 와이어(102), 용접팁(104), 토치 가이드(106), 토치 본체(108), 힌지 하우징(110), 힌지축(112), 자성체 하우징(114), 무빙핀(116), 이완 케이블(118)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102)는 와이어부(100)의 일측 선단부를 이루어 용접모재에 접촉하여 용접을 하는 부위이다.
상기 용접팁(104; welding tip)과 상기 토치 가이드(106)는 상호 나사 결합되어 용접시 발생하는 고열과 용접 스패터(spatter)로 인해 용접팁(104)이 마모되는 경우 용접팁(104)의 교체가 용이하다.
상기 토치 가이드(106)는 상기 용접팁(104)과 토치 본체(108)를 연결한다.
상기 토치 가이드(106), 용접팁(104), 토치 본체(108)는 길이방향으로 내부가 빈 관형상으로 미도시된 전원 케이블이 관통한다.
상기 토치 본체(108)에는 힌지축(112)과 힌지 하우징(110)이 설치된다.
상기 힌지 하우징(110)은 토치 본체(108)에 길이방향으로 외삽되게 위치되며 힌지축(112)이 상하로 돌출되되, 힌지축(112)이 토치 본체(108)를 관통하면 와이어(102)의 진행을 방해하기 때문에 힌지 하우징(110)은 토치 본체(108)를 감싸는 형식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힌지축(112)은 하우징부(200)의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208)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상기 힌지축(112)은 상기 와이어부(100)가 일정각도 회전운동하는 경우 중심이 되는 회전축이 되고 또 일정길이 전진후퇴하게 된다.
상기 무빙핀(116)은 상기 하우징부(200)의 양쪽 전자석(210) 사이의 자성체 하우징(114)에 돌출되게 설치되며 무빙홈(212)에 삽입되어 이동된다.
이러한, 상기 무빙핀(116)은 무빙홈(212)을 좌우 왕복운동하기 때문에 마모 나 변형에 강한 재질을 사용하고, 상기 무빙홈(21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이즈가 큰 머리부를 형성한다.
상기 이완 케이블(118)은 전원 케이블을 약간 이완되게 한 것으로 상기 와이어부(100)의 일정각도 회전운동과 전진후퇴운동을 원활하게 한다.
이러한, 상기 이완 케이블(118) 없이 전원 케이블을 일직선으로 고정하면 일정각도 회전운동은 가능하지만 전진후퇴운동에는 많은 동력이 필요하게됨으로 전자석(210)이 아주 커지거나 무빙핀(116) 등에 무리를 줄 수 있다.
상기 자성체 하우징(114)은 상기 토치 본체(109)에 외삽하여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무빙핀(116)이 상부에 설치되어 하우징부(200)의 무빙홈(212)에 위치된다.
다음, 상기 하우징부(200)는 내부가 빈 관형상으로 상기 와이어부(100)가 내삽된 상태에서 일정각도 회전운동과 전진후퇴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부(200)는 노즐(202)과 본체 하우징(204), 탄성체 수용홈(206), 탄성체(208), 완충구(209), 전자석(210), 무빙홈(212), 케이블홀더(214), 밸런스 스프링홈(216), 밸런스 스프링(218), 힌지축홈(22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노즐(202)은 용접 시 발생하는 고온의 열과 용접 스패터로부터 마모나 변형이 없도록 철의 합금이나 철도금을 한 재질을 사용하고 교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본체 하우징(204)과 나사 결합된다.
상기 본체 하우징(204)은 상기 토치 본체(108)를 감싸 보호하는 것으로, 힌지축홈(220)에는 와이어부(100)의 힌지 하우징(110)에 형성된 힌지축(112)이 내삽 되며 이때 힌지축(112)이 일정각도 회전운동을 하면서 전진후퇴운동시 전진 및 후퇴가 용이하도록, 힌지축홈(220)의 지름이 힌지축(112)의 외경보다 크도록 한다.
이때 힌지축의 전진폭은 약 12mm가 되도록 한다.
상기 탄성체(208)는 본체 하우징(204)에 형성된 탄성체 수용홈(206)에 탄설되어 힌지축(112)을 용접용 토치(300)의 선단부측에서 지지함으로써 토치 본체(108)가 전진 운동을 한 후 다시 원래의 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후퇴를 돕는 스프링 등으로 완충구(209)를 통해서 힌지축(112)을 지지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체(208)는 스프링뿐만 아니라 탄성 복원력이 있는 재질이며 어떤 재질이어도 무방하다.
특히 재질은 강하고 녹이 발생하지 않는 스테인리스 스틸을 사용한다.
또한 선단부 반대 방향에 즉, 힌지축홈(220)을 기준으로 전자석(210)이 있는 쪽에 탄성체로 스프링을 설치하고, 이 스프링을 힌지축(112)에 연결하여, 토치 본체(208)가 전진하는 경우 늘어난 상태에서 스프링이 압축되는 힘에 의해 토치 본체를 복귀하는 후퇴운동을 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무빙홈(212)은 무빙핀(116)이 안내되어 이송될 수 있는 공간으로 토치 본체(108)가 힌지축(112)에 의해 일정각도 회전운동을 하는 경우, 무빙핀(116)이 전진후퇴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용접용 토치(300) 선단부에서의 무빙폭은 25mm가 되도록 무빙홈(212)을 형성한다.
상기 무빙홈(212)의 형상은 선단부쪽으로 일정폭을 가지고 라운드지거나(도 7a), 일정폭을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일자이거나(도 7b), 일정폭을 가지고 대각선 방향으로 일자의 형상이(도 7c)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무빙홈(212) 하부의 본체 하우징(204)에 밸런스 스프링(218)이 위치되는 밸런스 스프링홈(216)이 형성되어 무빙홈(212) 양쪽편에서 내측으로 밸런스 스프링(218)에 의해 무빙핀(116)이 지지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전자석(210)에서 자장이 발생되지 않을 시, 즉 용접작업을 하지 않은 경우 상기 토치 본체(108)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무빙홈(212)이 상기 힌지축(112) 후방의 본체 하우징(204)에 형성하였으나, 상기 힌지축(112) 전방의 노즐(202)에 형성하고, 상기 무빙핀(116)도 그 위치의 와이어부(100)에 형성하여 일정각도 회전운동 및 전진후퇴운동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자석(210)은 상기 본체 하우징(204) 내측부에 마주보는 상태로 한쌍이 고정설치되며, 각각의 상기 전자석(210)에는 전원케이블의 전원 인가에 여부에 따라 자장에 의해 전자석(210) 내부를 관통한 상태로 슬라이드 이송되면서 상기 전자석(210)의 일측부에 일단의 머리부가 탈부착되는 공이쇠(211)가 구비된다.
즉, 전원케이블을 통해 상기 전자석(210)에 전원이 공급되면 전자석(210)이 자장을 형성하게 되고, 이 자장에 의해 상기 공이쇠(211)의 일단 머리부가 상기 전자석(210)에 밀착되면서 타단부가 돌출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공이쇠(211)의 돌출 단부가 상기 와이어부(100)의 자성체 하우징(114)을 밀게됨으로서 상기 와이어부(100)는 좌우방향으로 무빙한다.
상기 케이블 홀더(214)는 상기 하우징부(200) 내부의 와어어부(100)와 외부의 전원 케이블을 연결 고정시킨다.
상기 케이블 홀더(214)에서 상기 와어어부(100)와 전원 케이블을 고정시킴으로써 전자석(210)에 의해 상하운동과 전진후퇴운동을 하는 와이어부(100)에 무리를 적게 주게 된다.
상술한 구성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콘트롤러(도면미도시)에서 전원케이블을 통해 상기 본체 하우징(204)에 설치된 한쌍의 전자석(210) 중 일측의 전자석(210)에 전원을 인가하면, 전자석(210)에 자장이 형성되며, 이 자장에 의해 상기 전자석(210)의 공이쇠(211) 일단의 머리부가 부착되며, 타단은 돌출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공이쇠(211)의 돌출 단부가 상기 자성체 하우징(114)을 밀게 되고, 상기 자성체 하우징(114)은 상기 무빙홈(212)을 따라 이송된다.
이후, 먼저 전원을 인가한 전자석(210)의 전원을 차단하고, 마주보는 타측의 전자석(210)에 전원을 인가하면, 그 전자석(210)의 공이쇠(211)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원리로 운동하면서 상기 자성체 하우징(114)이 상기 무빙홈(212)을 따라 이송하게 된다.
즉, 각각의 전자석(210)에 의해 각 상기 공이쇠(211)가 슬라이드 이송되면서 상기 자성체 하우징(114)을 밀어 좌우로 회전운동하게 되는 상기 와이어부(100)는 상기 무빙핀(116)이 상기 하우징부(200)에 형성된 반달형상의 무빙홈(212)을 따라 이송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와이어부(100)는 상기 무빙홈(212)의 휨각에 의해 상기 힌지축(112)이 상기 하우징(200)의 힌지축홈(220)상에서 전진운동을 하게 되며, 전진된 상기 와이어부(100)는 다시 상기 탄성체(208)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함으로서 후퇴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일정각도 회전운동 및 전진후퇴운동은 연속적으로 발생하며 평균 진동 주파수는 30Hz 내외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토치로 용접을 하면 분당 800mm~900mm, 최대 1000mm까지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의 능률면에서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 아크길이 및 스틱아웃길이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와어어부(100)가 일정각도 회전운동과 전진후퇴운동을 함께 함으로써 용접모재와 아크길이의 변화를 최소화 하여 용접아크를 안정되게 할 수 있다.
이로서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고 작업의 생산성을 월등히 향상 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빙 용접용 토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균일한 전류값과 전압값을 가지기 위해 용접모재의 각도에 따라 일정각도 회전운동과 전진후퇴운동을 동시에 함으로써 아크길이 및 스틱아웃길이를 용접모재와 일정하게 유지시켜줌으로써 용접아크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둘째, 아크길이와 스틱아웃길이의 변화폭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안정된 용접 아크를 발생시킴으로써 보다 뛰어난 용접비드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용접 캐리지의 신속한 이동에도 최상의 용접아크를 발생하므로 작업능률에서도 탁월하다.
셋째, 일정각도 회전운동과 함께 전진후퇴운동을 병행함으로써 종래 무빙 토치용접에 비해 2배나 빠른 속도의 작업이 가능하며, 전진후퇴운동에 의해 용접 와이어가 미치지 못하는 용접모재의 용접 와이어가 도달하기 때문에 안정되고 뛰어난 아크를 발생시켜 보다 뛰어난 용접 비드와 용접성을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0)

  1. 용접팁, 토치 가이드 그리고 토치 본체가 서로 결합되어 그 내부에 와이어가 관통되는 와이어부와, 가이드와, 양쪽에 전자석이 설치된 본체 하우징이 서로 결합되어 그 내부에 삽입된 와이어부가 전자석의 자장에 무빙되도록 하는 하우징부로 이루어진 무빙 용접용 토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부에, 토치 본체의 외주연을 감싸는 힌지 하우징에서 돌출된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토치 본체의 외주연을 감싸는 하우징에서 돌출된 무빙핀이 더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에는, 힌지축이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힌지축홈과, 무빙핀을 가이드하여 일정 공간을 이동되게 하는 무빙홈이 더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부가 하우징부내에서 힌지축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운동하고 토치 본체가 무빙홈을 따라 전진후퇴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용접용 토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홈은 전자석 사이의 본체 하우징에 형성되고 그 대응되는 위치의 토치 본체에 무빙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용접용 토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홈 하부의 본체 하우징에 밸런스 스프링홈이 형성되어 무빙홈 양쪽 편에서 내측으로 밸런스 스프링에 의해 무빙핀이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용접용 토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홈은 힌지축 전방의 노즐에 형성되고 그 대응되는 위치의 용접팁이나 토치 가이드에 무빙핀이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용접용 토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홈은 용접용 토치의 선단부쪽으로 일정폭을 가지고 라운드진 형상이거나, 일정폭을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일자인 형상이거나, 일정폭을 가지고 대각선 방향으로 일자의 형상중에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용접용 토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부에는 상기 와이어를 피복하는 전원케이블이 상기 와이어부 외측에서 이완되도록 하는 이완 케이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용접용 토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은 본체 하우징에 삽입된 탄성체에 의해 지지되어 토치 본체가 전진한 상태에서 복귀하는 후퇴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용접용 토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핀이 돌출되는 하우징은 자성체인 금속성의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용접용 토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은 힌지 하우징의 상하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무빙핀은 하우징의 상 또는 하에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용접용 토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에는 전원케이블의 전원 인가에 여부에 따라 자장에 의해 전자석 내부를 관통한 상태로 슬라이드 이송되면서 상기 전자석의 일측부에 일단의 머리부가 탈부착되는 공이쇠가 구비되어, 전원케이블을 통해 상기 전자석에 전원이 공급되면 전자석이 자장을 형성하게 되고, 이 자장에 의해 상기 공이쇠의 일단 머리부가 상기 전자석에 밀착되며 타단부가 돌출되면서 상기 와이어부를 밀어 무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용접용 토치.
KR1020050122233A 2004-12-28 2005-12-13 무빙 용접용 토치 KR100732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2233A KR100732231B1 (ko) 2004-12-28 2005-12-13 무빙 용접용 토치
PCT/KR2005/004512 WO2006071033A1 (en) 2004-12-28 2005-12-23 Torch for moving wel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113867 2004-12-28
KR1020040113867 2004-12-28
KR1020050122233A KR100732231B1 (ko) 2004-12-28 2005-12-13 무빙 용접용 토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6200A KR20060076200A (ko) 2006-07-04
KR100732231B1 true KR100732231B1 (ko) 2007-06-25

Family

ID=36615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2233A KR100732231B1 (ko) 2004-12-28 2005-12-13 무빙 용접용 토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32231B1 (ko)
WO (1) WO2006071033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465B1 (ko) 2008-09-30 2009-02-06 에스엠티앤디 주식회사 자동 용접용 위빙 토치장치
WO2010038921A1 (en) * 2008-09-30 2010-04-08 Sm T & D Co., Ltd. Weaving torch device for auto welding
WO2013191497A1 (ko) * 2012-06-21 2013-12-27 에스엠티앤디 주식회사 용접용 위빙 토치장치
KR101739191B1 (ko) * 2015-07-14 2017-05-2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자동 용접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09097B2 (ja) * 2012-01-18 2016-04-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溶接方法
CN104070312B (zh) * 2013-03-28 2016-01-13 厦门亿智机器人科技有限公司 摆动焊枪
JP6421182B2 (ja) * 2013-07-09 2018-11-07 ウェルド レボ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ー カンパニーWeld Revolution LLC 回転アークプロセス溶接を使用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CN111633302A (zh) * 2020-04-27 2020-09-08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一种焊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7288B2 (ja) * 1992-06-29 2000-12-1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消耗電極式溶接トーチ
JP2909325B2 (ja) * 1992-09-28 1999-06-2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消耗電極式溶接トーチ
JP3145542B2 (ja) * 1993-07-27 2001-03-1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Tig溶接トーチ
JP3364025B2 (ja) * 1994-11-02 2003-01-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消耗電極式溶接トーチ
JP3510426B2 (ja) * 1996-04-17 2004-03-2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消耗電極式溶接トーチ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465B1 (ko) 2008-09-30 2009-02-06 에스엠티앤디 주식회사 자동 용접용 위빙 토치장치
WO2010038921A1 (en) * 2008-09-30 2010-04-08 Sm T & D Co., Ltd. Weaving torch device for auto welding
WO2013191497A1 (ko) * 2012-06-21 2013-12-27 에스엠티앤디 주식회사 용접용 위빙 토치장치
KR101739191B1 (ko) * 2015-07-14 2017-05-2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자동 용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71033A1 (en) 2006-07-06
KR20060076200A (ko) 2006-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2231B1 (ko) 무빙 용접용 토치
JP4726038B2 (ja) 溶接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その使用方法
JP5863952B2 (ja) 半自動溶接システム、変換用アダプタキット、及び溶接用トーチ
CA2918861C (en) Narrow groove welding method and system
CA2765315A1 (en) Front consumables for pulse gmaw torches
JP5433895B2 (ja) Tig溶接ヘッド及び該tig溶接ヘッドを備えた自動溶接装置
JP2010536582A (ja) 自動熔接用ウィービングトーチ装置
KR20190078731A (ko) 가우징 토치 및 이를 이용한 가우징 건
KR102063423B1 (ko) 자동 위빙용 티그용접 홀더
JPS58181472A (ja) 狭開先tig溶接方法
CN210633115U (zh) 一种焊枪头和激光电弧复合焊装置
ES2282580T3 (es) Aparato y metodo de soldadura tig con electrodos y corrientes pulsantes superpuestas en fases opuestas.
KR101651852B1 (ko) 진동 스폿 용접 장치
JP5429786B2 (ja) 消耗電極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トーチ
CN110666355A (zh) 一种焊枪头、激光电弧复合焊装置和方法
JP2018075583A (ja) 溶接装置及び溶接方法
KR101875337B1 (ko) 회동형 용접장치
JP2005021977A (ja) 非消耗電極式アーク溶接方法および溶接装置
WO2022158584A1 (ja) トーチ及びその走査方法
CN109789503A (zh) 包括在操作中相对于焊炬主体独立地移动、特别是枢转的接触焊嘴的用于焊接或包覆的焊炬
KR20030006186A (ko) 원호 용접용 극소 협개선 미그 용접장치
KR101257182B1 (ko) 와이어 직선교정장치를 구비한 일렉트로 가스 용접기용 용접토치
CN221047511U (zh) 窄间隙焊接装置
JP2005081376A (ja) 複数トーチを備えた溶接ヘッド及び溶接方法
JP2009006368A (ja) ガスシールとアーク溶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