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2150B1 - 전자제어 현가시스템용 엠알 씨디씨 댐퍼의 전기연결커넥터 - Google Patents

전자제어 현가시스템용 엠알 씨디씨 댐퍼의 전기연결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2150B1
KR100732150B1 KR1020050086092A KR20050086092A KR100732150B1 KR 100732150 B1 KR100732150 B1 KR 100732150B1 KR 1020050086092 A KR1020050086092 A KR 1020050086092A KR 20050086092 A KR20050086092 A KR 20050086092A KR 100732150 B1 KR100732150 B1 KR 100732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rod
connector
damper
terminal
electrica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6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3876A (ko
Inventor
재 우 박
Original Assignee
에스앤티대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앤티대우(주) filed Critical 에스앤티대우(주)
Priority to KR1020050086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2150B1/ko
Publication of KR20050103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3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제어 현가시스템용 MR CDC 댐퍼의 전기연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경우, MR 댐퍼 또는 MR CDC 댐퍼의 구성요소 중 (-)극 전선이 접지된 솔레노이드 코어와의 통전을 통해 (-) 전극을 이루는 피스톤 로드 선단상에 차체 콘트롤러와의 전기 연결을 위한 링 형태의 피스톤 로드 연결단자, 및 솔레노이드 코일에 연결되어 피스톤 로드의 내경을 통해 공급된 (+)극 전선과 연결되는 연결단자, (+)/(-) 터미널, (+)/(-) 터미널과 각 연결단자를 연결하는 단자코일 등으로 이루어진 커넥터를 설치 구성함으로써, (-) 전극을 이루는 피스톤 로드의 내경을 통해 공급된 (+)극 전선을 차체의 콘트롤러에 연결하였던 종래 방식에 비해 본 발명의 커넥터를 통한 차체 콘트롤러와 각 전극간의 원활한 전기 연결 및 그 연결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커넥터를 통해 피스톤 로드를 거쳐 공급된 (+)극 전선을 보호함에 따라 상기 차체 콘트롤러에 (+)극 전선을 직접 연결하였던 종래에 비해 (+)/(-)극간의 절연작용 및 상기 각 극간의 방수작용 역시 보다 완전하게 이룰 수 있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전자제어, 현가시스템, 댐퍼, MR 댐퍼, MR CDC 댐퍼, 솔레노이드 코어, 솔레 노이드 코일, 피스톤 헤드, 피스톤 로드, 커넥터

Description

전자제어 현가시스템용 엠알 씨디씨 댐퍼의 전기연결 커넥터{The electricity connector of MR CDC DAMPER for ECS System}
도 1은 종래 전자제어 현가시스템용 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전자제어 현가시스템용 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너트와 전기연결 커넥터의 연결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연결 커넥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연결 커넥터의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연결 커넥터 중 내부단자의 연결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전기연결 커넥터를 프론트용과 리어용 MR CDC 댐퍼에 각각 설치된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0a. 댐퍼 11. 실린더
12. 압축실 13. 인장실
15. 자기 유동성 유체 16. 피스톤 로드
18. (+)극 전선 20. 피스톤 헤드
21. 솔레노이드 코어 22. 솔레노이드 코일
23. 유로 24. 체크밸브
30. 다이아프램 40. 연결 너트
41. 걸림홈 42, 60, 61. 실링부재
50. 전기연결 커넥터 51. 커넥터 몸체
51a. 걸림부재 52. 피스톤 로드 연결단자
53, 55. 절개부 54. (+)선 연결단자
56, 57. 단자코일 58. (+) 터미널
59. (-) 터미널
본 발명은 전자제어 현가시스템용 MR CDC 댐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MR(Magneto Rheological; 자기유변) 댐퍼 또는 MR CDC(Continuous Damping Control; 반능동 현가시스템) 댐퍼의 구성요소 중 (-)극 전선이 접지된 솔레노이드 코어와의 통전을 통해 (-) 전극을 이루는 피스톤 로드(Hollow Rod) 선단상에 차체 콘트롤러와의 전기 연결을 위한 링 형태의 피스톤 로드 연결단자 및 솔레노이드 코일에 연결되어 피스톤 로드의 내경을 통해 공급된 (+)극 전선과 연결되는 연결단자, (+)/(-) 터미널, (+)/(-) 터미널과 각 연결단자를 연결하는 단자코일 등으로 이루어진 커넥터를 설치 구성함으로써, (-) 전극을 이루는 피스톤 로드의 내경을 통해 공급된 (+)극 전선을 차체의 콘트롤러에 연결하였던 종래 방식에 비해 본 발명의 커넥터를 통한 차체 콘트롤러와 각 전극간의 원활한 전기 연결 및 그 연결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커넥터를 통해 피스톤 로드를 거쳐 공급된 (+)극 전선을 보호함에 따라 상기 차체 콘트롤러에 (+)극 전선을 직접 연결하였던 종래에 비해 (+)/(-)극간의 절연작용 및 상기 각 극간의 방수작용 역시 보다 완전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한 전자제어 현가시스템용 MR CDC 댐퍼의 전기연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댐퍼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진동이나 충격력을 감쇠시키는 장치로서, 차량의 현가장치를 포함하여 각종 산업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 때 상기 현가장치의 경우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중에 노면으로부터 차축으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이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체는 물론, 차량에 적재된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객에게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하는 등 차량을 구성하는 중요한 장치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현가장치의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노면으로부터 인가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새시스프링과, 차량의 롤링현상을 방지하는 스테빌라이저(Stabilizer)와, 상기 새시스프링의 자유진동을 제어하여 향상된 승차감을 제공하는 댐퍼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현가장치의 구성요소 중 댐퍼의 경우 전류를 인가하여 유도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자기 유동성(MR) 유체의 겉보기 점도를 순간적으로 변화시켜 감쇠성능을 조절하는 댐퍼 즉, MR 댐퍼 또는 MR CDC 댐퍼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 때 상기 MR 댐퍼(실용신안 출원번호 05-14706호) 구조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종래 MR 댐퍼(10)의 경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은 밀폐된 원통형 실린더(11)와, 상기 실린더(11) 내에 설치되는 중공의 피스톤 로드(16)와, 상기 피스톤 로드(16)를 가이드 하는 로드가이드(25)와, 솔레노이드 코어(21)와 솔레노이드 코일(22)이 구비된 피스톤 헤드(20)와, 상기 피스톤 헤드(20)의 압축/인장행정시 유로(23)를 개폐하는 체크밸브(24)와, 상기 피스톤 헤드(20)의 압축/인장행정에 따라 체적보상작용을 하는 다이아프램(3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 설명 부호 14는 실린더(11) 상단 외측에 삽착 고정된 캡(14)을 나타낸 것이고, 19는 솔레노이드 코일(22)에 연결된 (+)극 전선(18)과 피스톤 로드(16) 내에 삽입된 (+)극 전선(18)을 연결하도록 상기 피스톤 로드(16) 하단에 설치된 커넥터(19)를 나타낸 것이다.
이 때, 상기 피스톤 헤드(20)의 경우 피스톤 로드(16)의 일측 단부에 고정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실린더(11) 내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11)의 하부측은 압축실(12), 실린더(11)의 상부측은 인장실(13)로 각각 구획시키며, 상기 피스톤 헤드(20)의 외측 둘레면에 설치된 전자석 즉, 솔레노이드 코어(21)와 솔레노이드 코일(22)의 상호 대응작용을 통해 실린더 헤드(20)의 압축 및 인장행정시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면서 압축실(12)과 인장실(13)에 충진된 자기 유동성 유체(15)인 MR 유체의 유동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 헤드(20)의 내부에는 압축행정시에만 압축실(12) 내의 자 기 유동성 유체(15)가 인장실(13) 내부로 유동할 수 있도록 별도의 유로(23)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MR 댐퍼(10)를 차체 콘트롤러(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함에 있어, 차체에 설치되어 있는 콘트롤러에 전원을 연결시키기 위하여 (-)극은 솔레노이드 코어(21)에 (-)극 전선(미도시)을 접지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코어(21)와의 통전을 통해 피스톤 로드(16)를 따라 흐르도록 하고, (+)극은 솔레노이드 코일(22)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피스톤 로드(16)의 내경(1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 하나의 (+)극 전선(18)으로 흐르도록 전기적 연결을 이루게 하는 방식과, 피스톤 헤드(20) 부분의 솔레노이드 코어(21)와 솔레노이드 코일(22)로부터 (+), (-)극의 전선을 뽑아 상기 피스톤 로드(16)의 내경(17)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배출된 각 전선에 외부 커넥터 단자(미도시)를 설치한 후 이를 차체의 콘트롤러 상에 연결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특히 후자(後者)의 전기적 연결방식은 피스톤 헤드(20) 부분의 피스톤 로드(16) 밑부분에서 2개의 전선에 대한 실링처리를 해야하는 등 상기 피스톤 헤드(20) 내부에 위치하는 피스톤 로드(16) 밑부분의 실링처리가 매우 어렵고 번거로운 문제점 등이 있었다.
또한, 상기 MR 댐퍼(10)의 비정상적 작동으로 피스톤 로드(16) 내 (+), (-)극 전선의 파손시 파손된 전선으로부터 다른 전자기기들 상으로 통전되면서 전자기기의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차량 수리를 위한 작업자의 감전 사고를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 역시 있었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 로드(16) 내 (+), (-)극 전선의 파손에 따른 합선시 차 체에 설치된 콘트롤러에 영향을 미치게 되면서 상기 콘트롤러의 고장으로 이어지게 되고, 상기 콘트롤러 고장에 따른 전자 제어의 오동작 또는 사용 불능으로 차량을 안전하게 운행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반면에, 상기한 전기적 연결방식 중 전자(前者)의 경우, 피스톤 로드(16)의 선단상에 (-)전극을 이루는 상기 피스톤 로드(16) 선단으로부터 (+)극 전선(18)과의 절연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극 전선(18)을 연결을 하기 위한 전선 연결용 커넥터의 설치가 필수적인데, 이 때 전자(前者)의 전기적 연결방식이 적용된 MR 댐퍼(10)에 있어 상기 (+)극 전선(18)을 연결하면서 피스톤 로드(16)의 선단상에 설치되는 전선 연결용 커넥터가 전무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상기한 전선 연결용 커넥터의 경우 차체 콘트롤러와 커넥터 내 각 전극 즉, (+)/(-) 터미널간의 원활한 전기 연결 및 그 연결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하여야 함과 더불어, 상기 각 전극간의 절연 및 각 전극간의 방수 문제에 따른 커넥터 전체 형상이 매우 복잡해지거나 또는 부가적인 장치나 하우징이 필요해지게 되는 문제점 등이 대두되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MR 댐퍼 또는 MR CDC 댐퍼의 구성요소 중 (-)극 전선이 접지된 솔레노이드 코어와의 통전을 통해 (-) 전극을 이루는 피스톤 로드 선단상에 차체 콘트롤러와의 전기 연결을 위한 링 형태의 피스톤 로드 연결단자 및 솔레노이드 코일에 연결되어 피스톤 로드의 내경을 통해 공급된 (+)극 전선과 연결되는 연결단자, (+)/(-) 터미널, (+)/(-) 터미널과 각 연결단자를 연결하는 단자코일 등으로 이루어진 커넥터를 설치 구성함으로써, (-) 전극을 이루는 피스톤 로드의 내경을 통해 공급된 (+)극 전선을 차체의 콘트롤러에 연결하였던 종래 방식에 비해 본 발명의 커넥터를 통한 차체 콘트롤러와 각 전극간의 원활한 전기 연결 및 그 연결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를 통해 피스톤 로드를 거쳐 공급된 (+)극 전선을 보호함으로써, 차체 콘트롤러에 (+)극 전선을 직접 연결하였던 종래에 비해 (+)/(-)극간의 절연작용 및 상기 각 극간의 방수작용 역시 보다 완전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전자제어 현가시스템용 MR CDC 댐퍼의 전기연결 커넥터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 내에 설치되는 중공의 피스톤 로드, 상기 피스톤 로드를 가이드 하는 로드가이드, 솔레노이드 코어와 솔레노이드 코일이 구비된 피스톤 헤드, 상기 피스톤 헤드의 압축/인장행정시 유로를 개폐하는 체크밸브, 상기 피스톤 헤드의 압축/인장행정에 따라 체적보상작용을 하는 다이아프램으로 이루어진 MR댐퍼 또는 MR CDC 댐퍼에 있어서;
(-)극 전선이 접지되는 솔레노이드 코어와의 통전을 통해 (-) 전극을 이루는 피스톤 로드 선단상에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에 연결되어 피스톤 로드의 내경을 통 해 공급된 (+)극 전선과 연결되면서 차체 콘트롤러와 댐퍼간의 원활한 전기 연결 및 그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전기연결 커넥터가 설치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스톤 로드의 선단상에는 전기연결 커넥터와의 결합을 위한 연결 너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연결 너트는 피스톤 로드의 상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의 형태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내주면엔 숫나사가 형성된 피스톤 로드와의 나사 체결이 이루질 수 있도록 암나사가 형성되고, 그 외주면엔 전기연결 커넥터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전기연결 커넥터는 피스톤 로드 선단에 삽착되는 피스톤 로드 연결단자와; 솔레노이드 코일에 일측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피스톤 로드의 내경을 통해 공급된 (+)극 전선의 타측에 삽착되는 (+)선 연결단자와; 각각의 단자코일을 통해 상기 피스톤 로드 연결단자 및 (+)선 연결단자와 각기 연결되는 (+)/(-) 터미널과; 상기 각 (+)/(-) 터미널 사이 및 상기 피스톤 로드 연결단자와 (+)선 연결단자 사이에 상호 절연이 이루어지도록 이를 내장한 상태로 사출 성형된 커넥터 몸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 로드 연결단자와 (+)선 연결단자는 피스톤 로드 선단과 (+)극 전선의 타측에 삽착되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일측면에는 텐션작용을 통해 피스톤 로드의 선단과 (+)극 전선의 삽입/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스톤 로드 연결단자와 (+)선 연결단자 사이에는 커넥터 몸체를 통해 피스톤 로드 연결단자와 결합된 상기 피스톤 로드의 내경으로 물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실링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 몸체는 "ㄱ"자 형태로 사출 성형되되, 그 양측면에는 피스톤 로드 선단에 결합된 커넥터 몸체의 분리 방지를 위해 연결 너트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홈과 대응 결착되는 후크 형태의 걸림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커넥터 몸체의 전방(前方)에는 차체 콘트롤러와 MR CDC 댐퍼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기연결 커넥터 상의 (+)/(-) 터미널과 외부단자간의 연결시 상기 전기연결 커넥터와 외부단자 사이를 밀폐하여 물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중공의 실링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 너트와 전기연결 커넥터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전자제어 현가시스템용 MR CDC 댐퍼의 전기연결 커넥터(이하, 전기연결 커넥터라 함)를 도면과 대비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전자제어 현가시스템용 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너트와 전기연결 커넥터의 연결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연결 커넥터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연결 커넥터의 결합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연결 커넥터 중 내부단자의 연결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의 전기연결 커넥터(50)에 대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MR CDC 댐퍼(10a)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이는 도 1과 같이 실린더(11) 및 상기 실린더(11) 내에 설치되는 중공의 피스톤 로드(16), 상기 피스톤 로드(16)를 가이드 하는 로드가이드(25), 솔레노이드 코어(21)와 솔레노이드 코일(22)이 구비된 피스톤 헤드(20), 상기 피스톤 헤드(20)의 압축/인장행정시 유로(23)를 개폐하는 체크밸브(24), 상기 피스톤 헤드(20)의 압축/인장행정에 따라 체적보상작용을 하는 다이아프램(30) 등으로 구성된 MR 댐퍼(10) 또는 MR CDC 댐퍼(10a) 중 상기 피스톤 로드(16) 선단 즉, (-)극 전선(미도시)이 접지되는 솔레노이드 코어(21)와의 통전을 통해 (-) 전극을 이루는 피스톤 로드(16) 선단상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22)에 연결되어 피스톤 로드(16)의 내경(17)을 통해 공급된 (+)극 전선(18)과 연결되면서 차체 콘트롤러(미도시)와 댐퍼(10a)간의 원활한 전기 연결 및 그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전기연결 커넥터(50)가 설치 구성된 것으로서, 이 때 상기한 MR CDC 댐퍼(10a)의 상세한 설명은 종래 기술에서 설명하였기 때문에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본 발명에 해당되는 전기연결 커넥터(50)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MR CDC 댐퍼(10a)의 세부구성 중 종래 MR 댐퍼(10)와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적용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기연결 커넥터(50)와 피스톤 로드(16) 선단과의 완전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전기연결 커넥터(50)가 피스톤 로드(16)의 선단에 설치되기 전(前) 연결 너트(40)를 상기 피스톤 로드(16)의 선단에 결합시키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연결 너트(40)의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 로드(16)의 상단부가 삽입 관통될 수 있도록 중공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주면에는 숫나사가 형성된 피스톤 로드(16)와의 나사 체결을 통해 상기 연결 너트(40)가 피스톤 로드(16)에 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 형성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연결 너트(40)의 외주면에는 연결 너트(40)가 결합된 상기 피스톤 로드(16)의 선단에 삽착되는 전기연결 커넥터(50)와 연결 너트(40)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원둘레 전체에 걸림홈(4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너트(40)와 전기연결 커넥터(50)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42)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때 상기 실링부재(42)는 일반 고무재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실링부재(42)를 통해 연결 너트(40)와 전기연결 커넥터(50) 사이로 외부로부터 물의 유입이 차단되는 방수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전기연결 커넥터(50)는, (-)극 전선이 접지되는 솔레노이드 코어(21)와의 통전을 통해 (-) 전극을 이루는 피스톤 로드(16) 즉, 연결 너트(40)가 결합된 피스톤 로드(16) 선단상에 솔레노이드 코일(22)에 연결되어 피스톤 로드(16)의 내경(17)을 통해 공급된 (+)극 전선(18)과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어 차체 콘트롤러와 댐퍼(10a)간의 원활한 전기 연결 및 그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요소로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너트(40)가 결합된 피스톤 로드(16) 선단에 삽착되는 피스톤 로드 연결단자(52)와; 상기 피스톤 로드 연결단자(52)의 내측에 위치되며, 솔레노이드 코일(22)에 일측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피스톤 로드(16)의 내경(17)을 통해 공급된 (+)극 전선(18)의 타측에 삽착되는 (+)선 연결단자(54)와; 각각의 단자코일(56,57)을 통해 상기 피스톤 로드 연결단자(52) 및 (+)선 연결단자(54)와 각기 연결되는 (+)/(-) 터미널(58,59)과; 상기 각 (+)/(-) 터미널(58,59) 사이 및 상기 피스톤 로드 연결단자(52)와 (+)선 연결단자(54) 사이에 상호 절연이 이루어지도록 이를 내장한 상태로 사출 성형된 커넥터 몸체(51)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기연결 커넥터(50) 중 상기 피스톤 로드 연결단자(52)와 (+)선 연결단자(54)는 피스톤 로드(16) 선단과 (+)극 전선(18)의 타측에 각각 삽착될 수 있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 로드 연결단자(52)와 (+)선 연결단자(54)의 일측면에는 텐션작용을 통해 상기 피스톤 로드 연결단자(52)에 삽착되는 피스톤 로드(16)의 선단과, 상기 (+)선 연결단자(54)에 삽착되는 (+)극 전선(18)의 삽입 및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절개부(53,5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 로드 연결단자(52)와 (+)선 연결단자(54) 사이에는 커넥터 몸체(51)를 통해 피스톤 로드 연결단자(52)와 결합된 상기 피스톤 로드(16)의 내경(17)으로 물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실링부재(60)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때 상기 실링부재(60)의 경우 전술한 실링부재(42) 즉, 상기 연결 너트(40)와 전기연결 커넥터(50) 사이에 설치된 실링부재(42)와 동일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실링부재(60)를 통해 커넥터 몸체(51)를 거쳐 피스톤 로드 연결단자(52)와 결합된 상기 피스톤 로드(16)의 내경(17)으로 물의 유입이 차단되는 방수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기연결 커넥터(50) 중 상기 커넥터 몸체(51)는 각 (+)/(-) 터미널(58,59) 사이 및 상기 피스톤 로드 연결단자(52)와 (+)선 연결단자(54) 사이에 상호 절연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도 6과 같이 연결된 각 (+)/(-) 터미널(58,59) 및 피스톤 로드 연결단자(52), (+)선 연결단자(54), 단자코일(56,57)을 보호할 수 있게 이를 내장한 상태로 사출 성형되는 요소로서, 전체 형상이 "ㄱ"자 형태로 형성되되, 그 양측면에는 피스톤 로드(16) 선단에 결합된 커넥터 몸체(51)의 분리 방지를 위해 연결 너트(40)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홈(41)과 대응 결착되는 후크 형태의 걸림부재(51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 몸체(51)의 전방(前方)에는 차체 콘트롤러와 MR CDC 댐퍼(10a)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기연결 커넥터(50) 상의 (+)/(-) 터미널(58,59)과 외부단자(미도시)간의 연결시 상기 전기연결 커넥터(50)와 외부단자 사이를 밀폐하여 물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하는 중공의 실링부재(61)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기연결 커넥터에 대한 제조과정 및 피스톤 로드상의 연결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전기연결 커넥터(50)에 대한 제조과정으로서, 먼저 각 단자코일(56,57)을 통해 (-) 터미널과 피스톤 로드 연결단자(52), (+) 터미널과 (+)선 연결단자(54)를 각각 연결시킨 다음 이를 사출금형(미도시)의 캐비티(미도시) 내에 설치한 후 액상수지를 상기 캐비티 내에 사출함으로써, 상기 각 (+)/(-) 터미널(58,59) 및 피스톤 로드 연결단자(52), (+)선 연결단자(54), 단자코일(56,57)이 사출된 몸체 즉, 전체 형상이 "ㄱ"자 형태로 형성되면서 그 양측에 연결 너트(40)의 걸림홈(41)과 대응 결착되도록 하는 후크 형태의 걸림부재(51a)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의 커넥터 몸체(51)에 내장된 상태로 하여 본 발명의 전기연결 커넥터(50)가 제조되게 된다.
그 다음,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전기연결 커넥터(50)를 MR CDC 댐퍼(10a) 즉, 상기 피스톤 로드(16) 상에 삽입 설치하여 상기 댐퍼(10a)와 차체 콘트롤러간의 전기적 연결을 이루는 과정으로서, 각 단자코일(56,57)을 통해 (+)/(-) 터미널(58,59)에 연결된 피스톤 로드 연결단자(52)와 (+)선 연결단자(54) 상에 (-)극 전선이 접지되는 솔레노이드 코어(21)와의 통전을 통해 (-) 전극을 이루는 피스톤 로드(16)와, 솔레노이드 코일(22)에 연결되어 피스톤 로드(16)의 내경(17)을 통해 공급된 (+)극 전선(18)이 연결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전기연결 커넥터(50) 하부를 연결 너트(40)가 체결된 피스톤 로드(16)의 선단상에 삽입시킨 후 상기 전기연결 커넥터(50)의 양측에 형성된 후크 형태의 걸림부재(51a)를 상기 연결 너트(40)의 외주면 둘레에 형성된 걸림홈(41)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MR CDC 댐퍼(10a)와 전기연결 커넥터(50)간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게 되고, 또한 차체 컨트 롤러에 연결되는 외부단자와 상기 전기연결 커넥터(50)의 상부 즉, (+)/(-) 터미널(58,59)이 설치되는 전기연결 커넥터(50) 전방(前方)과의 연결을 통해 상기 MR CDC 댐퍼(10a)와 차체 콘트롤러간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도 7은 MR CDC 댐퍼(10a)에 대한 본 발명의 전기연결 커넥터(50) 설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7의 (a)는 스트러트 타입의 프론트용 MR CDC 댐퍼(10a) 하단의 연결 너트(40) 상에 본 발명의 전기연결 커넥터(50)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의 (b)는 컨벤셔널 타입의 리어용 MR CDC 댐퍼(10a) 상단의 연결 너트(40) 상에 본 발명의 전기연결 커넥터(50)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기연결 커넥터는, MR 댐퍼 또는 MR CDC 댐퍼의 구성요소 중 (-)극 전선이 접지된 솔레노이드 코어와의 통전을 통해 (-) 전극을 이루는 피스톤 로드 선단상에 차체 콘트롤러와의 전기 연결을 위한 링 형태의 피스톤 로드 연결단자 및 솔레노이드 코일에 연결되어 피스톤 로드의 내경을 통해 공급된 (+)극 전선과 연결되는 연결단자, (+)/(-) 터미널, (+)/(-) 터미널과 각 연결단자를 연결하는 단자코일 등으로 이루어진 커넥터를 설치 구성함으로써, (-) 전극을 이루는 피스톤 로드의 내경을 통해 공급된 (+)극 전선을 차체의 콘트롤러에 연결하였던 종래 방식에 비해 본 발명의 커넥터를 통한 차체 콘트롤러와 각 전극간의 원활한 전기 연결 및 그 연결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를 통해 피스톤 로드를 거쳐 공급된 (+)극 전선을 보호함으로써, 차체 콘트롤러에 (+)극 전선을 직접 연결하였던 종래에 비해 (+)/(-)극간의 절연작용 및 상기 각 극간의 방수작용 역시 보다 완전하게 이룰 수 있는 효과 등도 있다.

Claims (6)

  1.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 내에 설치되는 중공의 피스톤 로드, 상기 피스톤 로드를 가이드 하는 로드가이드, 솔레노이드 코어와 솔레노이드 코일이 구비된 피스톤 헤드, 상기 피스톤 헤드의 압축/인장행정시 유로를 개폐하는 체크밸브, 상기 피스톤 헤드의 압축/인장행정에 따라 체적보상작용을 하는 다이아프램으로 이루어진 MR댐퍼 또는 MR CDC 댐퍼에 있어서,
    (-)극 전선이 접지되는 솔레노이드 코어와의 통전을 통해 (-) 전극을 이루는 피스톤 로드 선단상에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에 연결되어 피스톤 로드의 내경을 통해 공급된 (+)극 전선과 연결되면서 차체 콘트롤러와 댐퍼간의 원활한 전기 연결 및 그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전기연결 커넥터가 설치되되;
    상기 피스톤 로드의 선단상에는 상기 전기연결 커넥터와의 결합을 위한 연결 너트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 너트와 전기연결 커넥터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 현가시스템용 엠알 씨디씨 댐퍼의 전기연결 커넥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너트는 피스톤 로드의 상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의 형태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내주면엔 숫나사가 형성된 피스톤 로드와의 나사 체결이 이루질 수 있도록 암나사가 형성되고, 그 외주면엔 전기연결 커넥터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 현가시스템용 엠알 씨디씨 댐퍼의 전기연결 커넥터.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연결 커넥터는 피스톤 로드 선단에 삽착되는 피스톤 로드 연결단자와;
    솔레노이드 코일에 일측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피스톤 로드의 내경을 통해 공급된 (+)극 전선의 타측에 삽착되는 (+)선 연결단자와;
    각각의 단자코일을 통해 상기 피스톤 로드 연결단자 및 (+)선 연결단자와 각기 연결되는 (+)/(-) 터미널과;
    상기 각 (+)/(-) 터미널 사이 및 상기 피스톤 로드 연결단자와 (+)선 연결단자 사이에 상호 절연이 이루어지도록 이를 내장한 상태로 사출 성형된 커넥터 몸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 현가시스템용 엠알 씨디씨 댐퍼의 전기연결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로드 연결단자와 (+)선 연결단자는 피스톤 로드 선단과 (+)극 전선의 타측에 삽착되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일측면에는 텐션작용을 통해 피스톤 로드의 선단과 (+)극 전선의 삽입/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 연결단자와 (+)선 연결단자 사이에는 커넥터 몸체를 통해 피스톤 로드 연결단자와 결합된 상기 피스톤 로드 의 내경으로 물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실링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 현가시스템용 엠알 씨디씨 댐퍼의 전기연결 커넥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몸체는 "ㄱ"자 형태로 사출 성형되되, 그 양측면에는 피스톤 로드 선단에 결합된 커넥터 몸체의 분리 방지를 위해 연결 너트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홈과 대응 결착되는 후크 형태의 걸림부재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몸체의 전방(前方)에는 차체 콘트롤러와 MR CDC 댐퍼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기연결 커넥터 상의 (+)/(-) 터미널과 외부단자간의 연결시 상기 전기연결 커넥터와 외부단자 사이를 밀폐하여 물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중공의 실링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 현가시스템용 엠알 씨디씨 댐퍼의 전기연결 커넥터.
KR1020050086092A 2005-09-15 2005-09-15 전자제어 현가시스템용 엠알 씨디씨 댐퍼의 전기연결커넥터 KR100732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092A KR100732150B1 (ko) 2005-09-15 2005-09-15 전자제어 현가시스템용 엠알 씨디씨 댐퍼의 전기연결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092A KR100732150B1 (ko) 2005-09-15 2005-09-15 전자제어 현가시스템용 엠알 씨디씨 댐퍼의 전기연결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876A KR20050103876A (ko) 2005-11-01
KR100732150B1 true KR100732150B1 (ko) 2007-06-25

Family

ID=37281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6092A KR100732150B1 (ko) 2005-09-15 2005-09-15 전자제어 현가시스템용 엠알 씨디씨 댐퍼의 전기연결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21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4823B1 (ko) 2016-12-13 2023-12-18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와이어 커넥터 및 이를 갖는 댐퍼용 피스톤 조립체
KR102537935B1 (ko) * 2021-04-26 2023-05-31 주식회사 인팩 차량용 댐퍼의 피스톤 조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9012A (ko) * 1991-03-13 1992-10-22 루이스 에이. 헥트 전기 커넥터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9012A (ko) * 1991-03-13 1992-10-22 루이스 에이. 헥트 전기 커넥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876A (ko) 2005-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2748B1 (ko) 엔진 점화코일 장치
DE69719556T2 (de) Zündspulenvorrichtung für Verbrennungsmotor
US11043322B2 (en) Magnetic valv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magnetic valve
KR100732150B1 (ko) 전자제어 현가시스템용 엠알 씨디씨 댐퍼의 전기연결커넥터
CN106416423B (zh) 用于恒温器的筒式加热器及其制造方法
KR102614823B1 (ko) 와이어 커넥터 및 이를 갖는 댐퍼용 피스톤 조립체
EP0827163B1 (en) Engine igniting coil device
US20060000931A1 (en) Method for obtaining a fuel injector for an internal-combustion engine, and an injector made according to said method
CN104871344A (zh) 电源连接装置及包括该装置的电池组
CA2587599A1 (en) Cover cap
CN105402068A (zh) 一种双线圈式高速电磁阀
CN100507261C (zh) 电子模块、具有该电子模块的点火线圈及其生产工艺
CN202325975U (zh) 一种汽车点火线圈
CN208655952U (zh) 一种汽车用大电流电连接器的公端接插件
CN216623962U (zh) 一种电磁线圈及具有该线圈的电子膨胀阀
CN110686119A (zh) 一种电磁阀隔水套组件
KR20210031484A (ko) 코일조립체 및 그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밸브
US8911652B2 (en) System and method of sealing coil leads during encapsulation
CN213782319U (zh) 一种固定有磁芯的三相高压连接器保护结构
US20150345442A1 (en) Fuel injector including an injection control valve having an improved stator core
RU2788800C1 (ru) Соленоидный клапан для воды, способный увеличивать электромагнитную силу всасывания, и способ его выполнения
JP3752745B2 (ja) エンジンの点火コイル装置
KR200160485Y1 (ko) 전기플러그
CN113074213B (zh) 越野车、减振器及其活塞总承
US20210239179A1 (en) Piston for magneto-rheological dam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