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7935B1 - 차량용 댐퍼의 피스톤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댐퍼의 피스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7935B1
KR102537935B1 KR1020210053644A KR20210053644A KR102537935B1 KR 102537935 B1 KR102537935 B1 KR 102537935B1 KR 1020210053644 A KR1020210053644 A KR 1020210053644A KR 20210053644 A KR20210053644 A KR 20210053644A KR 102537935 B1 KR102537935 B1 KR 102537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iston
damper
vehicle
piston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6862A (ko
Inventor
안선우
김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팩
Priority to KR1020210053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935B1/ko
Publication of KR20220146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6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6Characteristics of dampers, e.g. mechanical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8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14Constructional features of pis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댐퍼의 피스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피스톤 헤드와, 피스톤 헤드에 일단이 연결되며 원통의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피스톤 로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댐퍼의 피스톤 조립체에 있어서, 피스톤 헤드는 내측에서 전기 기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하부 와이어와, 상측에 구비되어 제1 및 제2 하부 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하부 커넥터를 구비하고, 피스톤 로드는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외부의 전자제어장치와 연결되는 제1 및 제2 상부 와이어와, 하측에 구비되어 제1 및 제2 상부 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및 제2 하부 커넥터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및 제2 상부 커넥터를 구비하여 피스톤 헤드의 전기 기구와 연결된 와이어가 피스톤 로드를 통과하여 외부 전자제어장치와 연결된 와이어에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됨에 따라 작업성이 향상되며 조립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댐퍼의 피스톤 조립체 {PISTON ASSEMBLY OF DAMP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댐퍼의 피스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스톤 헤드의 전기 기구와 연결된 와이어가 피스톤 로드를 통과하여 외부 전자제어장치와 연결된 와이어에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됨에 따라 작업성이 향상되며 조립 및 설계가 용이한 차량용 댐퍼의 피스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가장치는 노면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차체나 탑승자에게 그 충격력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키는 장치로서, 쇼크업소버, 스프링, 서스펜션암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현가장치는 상하방향으로는 스프링과 쇼크업소버 등에 의해 지지되며, 기타방향으로는 높은 강성과 유연성을 적절히 조화시킴으로써, 차체와 휠 사이의 상대운동을 기계적으로 적절히 조화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현가장치는 타이어를 지면에 확실하게 접지시키는 기능을 함께 수행함으로써, 차량의 고속주행 시 차체가 지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그러나 과속방지턱이나 비포장길과 같은 도로를 주행 시, 차고가 낮으면 충돌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또한 차량의 롤링 또는 피칭 등의 주행 상황 발생시 차량이 기울어짐에 따라 승차감 및 조향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차량의 주행조건 및 노면에 따라 실시간으로 감쇠력을 제어하여 승차감 및 조정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쇼크업소버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전자제어 쇼크업소버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전자제어 쇼크업소버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위치에 따라 외장형과 내장형으로 구분된다. 특히, 내장형 전자제어 쇼크업소버의 경우, 외장형에 비해 튜닝자유도를 향상시켜 R&H(Ride & Handling) 성능 개선 효과가 있고, 또한 중량 절감의 효과가 있다.
내장형 전자제어 쇼크업소버를 구성하기 위하여 피스톤 헤드 내부의 솔레노이드밸브로부터 연결되는 커넥터가 피스톤로드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도록 구성해야 하며, 이에 따라 피스톤 헤드의 내부에 자기장 형성을 위해 코일이 감긴 보빈이 마련되고 피스톤 로드의 내부 공간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어 외부의 전자제어장치와 연결되는 커넥터가 코일과 결선된다.
그러나 커넥터가 피스톤로드의 일측단에서 타측단까지 통과하여 피스톤 헤드의 내부에 배치되는 코일과 상대 회전이 불가능한 일체 구조로 연결됨에 따라 외부의 전자제어장치와 연결될 때 특정 방향으로만 조립 가능하여 조립 및 레이아웃 설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커넥터는 피스톤로드 측의 2개의 상부 터미널과 피스톤헤드 측의 2개의 하부 터미널로 구성되는데 2개의 상부 터미널과 2개의 하부 터미널이 스팟 용접으로 연결된 후 외측에 절연튜브가 열융착되어 마감처리되고, 절연튜브는 다시 보빈과 초음파 융착으로 결합된다.
그러나 스팟 용접, 열융착, 초음파 융착은 공정이 복잡하며 시간이 오래걸리고 자칫 불량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피스톤 헤드 측의 커넥터와 피스톤 로드 측의 커넥터가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외부의 전자제어장치에 연결시 조립과 레이아웃 설정이 용이하며 작업성이 향상된 차량용 댐퍼의 피스톤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종래의 커넥터 조립시 스팟 용접, 열융착, 초음파 융착 등의 복잡한 공정에 비해 단순한 공정을 통해 조립하여 작업이 수월해지고 원가가 절감되며 조립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차량용 댐퍼의 피스톤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용 댐퍼의 피스톤 조립체는 피스톤 헤드와, 피스톤 헤드에 일단이 연결되며 원통의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피스톤 로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댐퍼의 피스톤 조립체에 있어서, 피스톤 헤드는 내측에서 전기 기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하부 와이어와, 상측에 구비되어 제1 및 제2 하부 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하부 커넥터를 구비하고, 피스톤 로드는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외부의 전자제어장치와 연결되는 제1 및 제2 상부 와이어와, 하측에 구비되어 제1 및 제2 상부 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및 제2 하부 커넥터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및 제2 상부 커넥터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상부 커넥터와 제1 하부 커넥터는 각각 제2 상부 커넥터와 제2 하부 커넥터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내측에 원통 형상의 제2 상부 커넥터와 제2 하부 커넥터가 각각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상부 커넥터는 제1 하부 커넥터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압입되어 연결되고, 제2 상부 커넥터는 제2 하부 커넥터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압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제1 상부 커넥터는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서 제1 하부 커넥터 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 하부 커넥터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형성된 톱니부에 걸림 지지되는 단턱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피스톤 헤드는 내부에 전기 기구를 감싸며 몰딩되어 형성되되, 제1 및 제2 하부 커넥터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형성되는 몰딩체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댐퍼의 피스톤 조립체는 피스톤 로드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상부 와이어를 감싸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몰딩되어 형성되되 제1 및 제2 상부 커넥터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형성된 절연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절연캡은 하단부의 둘레가 피스톤 헤드 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피스톤 헤드에 지지되며, 제1 상부 커넥터와 제1 하부 커넥터의 외측을 보호하는 절연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피스톤 헤드는 내부에 전기 기구가 설치되며 상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몸체, 몸체의 상측을 덮도록 마련되되 가운데에서 피스톤 로드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중공 형상의 돌출부를 구비하며, 돌출부의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피스톤 로드의 내측에 나사 체결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피스톤 헤드 측의 커넥터와 피스톤 로드 측의 커넥터가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외부의 전자제어장치에 연결시 조립과 레이아웃 설정이 용이하며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커넥터 조립시 스팟 용접, 열융착, 초음파 융착 등의 복잡한 공정에 비해 단순한 공정을 통해 조립하여 작업이 수월해지고 원가가 절감되며 조립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단순한 공정에 따라 불량 발생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댐퍼의 피스톤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댐퍼의 피스톤 조립체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일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댐퍼의 피스톤 조립체(10)는 피스톤 헤드(100)와, 피스톤 헤드(100)에 일단이 연결되며 원통의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피스톤 로드(200)를 포함하며, 피스톤 헤드(100)는 내측에서 전기 기구(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하부 와이어(101, 102)와, 상측에 구비되어 제1 및 제2 하부 와이어(101, 10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하부 커넥터(103, 104)를 구비하고, 피스톤 로드(200)는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외부의 전자제어장치와 연결되는 제1 및 제2 상부 와이어(201, 202)와, 하측에 구비되어 제1 및 제2 상부 와이어(201, 20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및 제2 하부 커넥터(103, 104)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및 제2 상부 커넥터(203, 204)를 구비한다.
차량용 댐퍼의 피스톤 조립체(10)는 피스톤 헤드(100)와 피스톤 로드(200)로 구성되고, 피스톤 헤드(100)의 내부에는 전기 기구(120)가 구비된다.
전기 기구(120)는 중공의 보빈(121)과 보빈(121)에 감기는 코일(122), 보빈(121)의 내측에 배치되는 코어, 밸브 구조, 이러한 구성들이 피스톤 헤드(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작동되기 위한 추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피스톤 조립체(10)는 감쇠력 가변 댐퍼 또는 회생형 댐퍼 등에 장착될 수 있으며, 감쇠력 가변 댐퍼에 장착되는 경우에, 피스톤 헤드(100)에는 유로가 형성되고, 이 유로의 경로를 변경하거나 차단하며 솔레노이드에 의해서 작동되는 밸브가 마련되어, 피스톤 헤드(100)에 형성된 유로를 통해서 유동되는 작동 유체의 유량을 조절함에 따라 발생되는 감쇠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피스톤 조립체(10)가 회생형 댐퍼에 장착되는 경우에, 피스톤 헤드(100)에 마련되는 유로를 통해서 유동되는 유체에 의해서 기전력을 발생할 수 있는 발전 소자가 전기 기구(120)로서 장착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피스톤 헤드(100)와 피스톤 로드(200)가 용이하게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고, 피스톤 헤드(100)와 피스톤 로드(200)의 조립 및 분리에 따라 별도의 조립 또는 분리 공정 없이 내부의 피스톤 헤드(100) 측의 와이어(101, 102)가 피스톤 로드(200) 측의 와이어(201, 202)에 전기적으로 연결 및 연결 해제되므로 조립과 결선이 용이한 피스톤 조립체(10)를 제공한다.
먼저, 피스톤 헤드(100)는 내부에 전기 기구(120)가 마련되고, 전기 기구(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하부 와이어(101)와 제2 하부 와이어(102), 제1 하부 커넥터(103)와 제2 하부 커넥터(104)를 구비한다.
제1 하부 와이어(101)와 제2 하부 와이어(102)는 일예로, 각각 양극과 음극을 갖는 전선일 수 있으며, 일측단이 피스톤 헤드(100)의 내부에서 보빈(121)에 감긴 코일(122)과 연결되며 타측단이 제1 하부 커넥터(103)와 제2 하부 커넥터(104)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피스톤 헤드(100)는 몸체(110)와 커버(140)로 구성되고, 몸체(110)는 내부에 전기 기구(120)가 설치되며 상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커버(140)는 몸체(110)의 내측면에 나사 체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몸체(110)와의 사이에 실링을 위한 오링 등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커버(140)는 몸체(110)의 상측을 덮도록 형성되되 가운데에 제1 하부 커넥터(103)와 제2 하부 커넥터(104)가 관통하여 상측으로 노출되는 개구 부분이 형성되며, 개구 부분의 가장자리가 피스톤 로드(200)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중공 형상의 돌출부(141)를 구비한다.
이러한 돌출부(141)는 중공의 내부에 제1 하부 커넥터(103)와 제2 하부 커넥터(104)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제1 하부 커넥터(103)와 제2 하부 커넥터(104)를 보호하며, 피스톤 로드(200)가 결합되면서 삽입되는 제1 상부 커넥터(203)와 제2 상부 커넥터(204)를 보호하고 커넥터(103, 104, 203, 204) 간의 연결 상태를 보호한다.
또한, 돌출부(141)는 외측에 나사산이 형상의 나사부(142)가 구비되며, 나사부(142)가 피스톤 로드(200)의 내측에 나사 체결되어 피스톤 헤드(100)가 피스톤 로드(200)와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또한, 피스톤 헤드(100)는 커버(140)의 피스톤 로드(200)를 덮는 부분과 돌출부(141) 사이에 각각에 단차지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안착부(143)가 마련되어 나사부(142)에 나사 체결된 피스톤 로드(200)의 하단부가 지지될 수 있다.
피스톤 로드(200)는 원통의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측단이 피스톤 헤드(100)와 연결되며, 상측단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후술할 절연캡(300)의 단턱면(320)에 지지되는 지지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피스톤 로드(200)는 내부 공간에 외부의 전자제어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상부 와이어(201)와 제2 상부 와이어(202), 제1 상부 커넥터(203)와 제2 상부 커넥터(204)를 구비한다.
제1 상부 와이어(201)와 제2 상부 와이어(202)는 일예로, 각각 양극과 음극을 갖는 전선일 수 있으며, 일측단이 피스톤 로드(200)의 상측단의 개구를 통해 외부의 전자제어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측단이 제1 하부 커넥터(103)와 제2 하부 커넥터(104)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쌍의 하부 커넥터(103, 104)와 한쌍의 상부 커넥터(203, 204)는 한쌍의 하부 와이어(101, 102)와 한쌍의 상부 와이어(201, 202)가 용이하게 연결되기 위해 각각의 단부에 연결되어 마련되고, 접촉상태를 유지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1 상부 커넥터(203)는 제2 상부 커넥터(204)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내측에 원통 형상의 제2 상부 커넥터(204)가 이격되게 배치된다. 즉, 제1 상부 커넥터(203)와 제2 상부 커넥터(204)는 동일 중심축을 가지며 제2 상부 커넥터(204)가 제1 상부 커넥터(203)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1 상부 커넥터(203)와 제2 상부 커넥터(204)의 직경 차이로 인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또한, 제1 하부 커넥터(103)는 제2 하부 커넥터(104)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내측에 원통 형상의 제2 하부 커넥터(104)가 이격되게 배치된다. 즉, 제1 하부 커넥터(103)와 제2 하부 커넥터(104)는 동일 중심축을 가지며 제2 하부 커넥터(104)가 제1 하부 커넥터(103)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1 하부 커넥터(103)와 제2 하부 커넥터(104)의 직경 차이로 인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제1 상부 커넥터(203)와 제2 상부 커넥터(204) 사이, 제1 하부 커넥터(103)와 제2 하부 커넥터(104) 사이는 각각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아야 하므로, 제1 하부 커넥터(103)와 제2 하부 커넥터(104)는 피스톤 헤드(100)의 내부에 몰딩체(130)를 매개로 위치 고정된다. 그리고, 제1 상부 커넥터(203)와 제2 상부 커넥터(204)는 절연캡(300)에 인서트된 상태로 절연캡(300)이 몰딩 형성됨에 따라 서로 이격되어 위치 고정된다.
몰딩체(130)는 피스톤 헤드(100)의 내부에서 전기 기구(120)를 감싸며 몰딩되어 형성되되, 제1 하부 커넥터(103)와 제2 하부 커넥터(104)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형성된다.
일예로, 몰딩체(130)는 피스톤 헤드(100)와 전기 기구(120) 사이로 주입된 후 경화되어 피스톤 헤드(100)의 내부 공간을 채우도록 몰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전기 기구(120)가 피스톤 헤드(100)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몰딩체(130)는 돌출부(141)의 중공의 내측에 일정 높이까지 형성되어 제1 하부 커넥터(103)와 제2 하부 커넥터(104)의 하측 일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제1 하부 커넥터(103)와 제2 하부 커넥터(104)의 위치를 고정한다.
이러한 몰딩체(130)는 제1 하부 커넥터(103)가 돌출부(141)의 내측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부(141)와 제1 하부 커넥터(103) 사이에 몰딩되어 형성되는 몰딩지지부(131)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몰딩체(130)는 제1 하부 커넥터(103)와 제2 하부 커넥터(104)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을 정도의 높이까지 몰딩되어 형성되고, 몰딩지지부(131)는 몰딩체(130)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제1 하부 커넥터(103)가 피스톤 헤드(100)와 통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절연캡(300)은 제1 상부 와이어(201), 제2 상부 와이어(202), 제1 상부 커넥터(203)의 상측 일부분, 제2 상부 커넥터(204)의 상측 일부분이 인서트 된 상태로 몰딩되어 형성되어 하측으로 제1 상부 커넥터(203)와 제2 상부 커넥터(204)의 하측 부분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절연캡(300)은 길이방향으로 긴 원통 형상으로 몰딩되어 형성되어 피스톤 로드(200)의 내부에 배치되고, 피스톤 로드(200)와 피스톤 헤드(100)의 결합시 돌출부(141)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또한, 절연캡(300)은 제1 상부 커넥터(203)와 제1 하부 커넥터(103)가 피스톤 헤드(100)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단부의 둘레가 피스톤 헤드(100) 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피스톤 헤드(100)에 지지되는 절연지지부(310)를 구비하여 제1 상부 커넥터(203)와 제1 하부 커넥터(103)의 외측을 보호한다.
이러한 절연지지부(310)는 제1 상부 커넥터(203)와 제1 하부 커넥터(103)를 보호할 수 있도록 내경이 제1 상부 커넥터(203)와 제1 하부 커넥터(103)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돌출 단부가 몰딩체(130)의 몰딩지지부(131)의 상단에 지지되어 안착된다.
또한, 절연지지부(310)에는 상측에 단차지게 형성된 단턱면(320)이 구비되어 피스톤 로드(200)의 지지부(210)가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상부 커넥터(203)와 제1 하부 커넥터(103), 제2 상부 커넥터(204)와 제2 하부 커넥터(104)는 서로 압입 되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축방향으로 걸림 체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한쌍의 상부 커넥터(203, 204)와 한쌍의 하부 커넥터(103, 104)는 절연캡(300)이 피스톤 헤드(100)의 돌출부(141)에 축방향으로 삽입되면서 압입되거나 걸림 체결된다.
그리고 한쌍의 상부 커넥터(203, 204)와 한쌍의 하부 커넥터(103, 104)는 중심축이 동일하도록 연결되어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상부 커넥터(203)는 제1 하부 커넥터(103)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접촉되며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상부 커넥터(203)가 제1 하부 커넥터(103)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2 상부 커넥터(204)는 제2 하부 커넥터(104)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접촉되며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반대측 커넥터가 삽입되게 일측으로만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으나, 도면에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상부 커넥터(204)가 제2 하부 커넥터(104)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제1 하부 및 상부 커넥터(103, 203)는 제2 하부 및 상부 커넥터(104, 204)와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되며 통전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이처럼 제1 하부 커넥터(103)와 제1 상부 커넥터(203)가 면접촉되며 제2 하부 커넥터(104)와 제2 상부 커넥터(204)가 면접촉되고, 접촉면적을 충분히 확보함에 따라 전기적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한쌍의 하부 커넥터(103, 104)에 한쌍의 상부 커넥터(203, 204)가 압입되어 연결되는 경우, 제1 상부 커넥터(203)는 제1 하부 커넥터(103)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제1 상부 커넥터(203)의 외주면이 제1 하부 커넥터(103)의 내주면에 압입되어 위치 고정되며 압입력 보다 큰 힘이 가해질 경우 회전되거나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제2 상부 커넥터(204)는 내측으로 제2 하부 커넥터(104)가 삽입되며 제2 상부 커넥터(204)의 내주면이 제2 하부 커넥터(104)의 외주면에 압입되어 위치 고정되고 압입력 보다 큰 힘이 가해질 경우 회전되거나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처럼 압입을 통해 연결되는 경우 압입된 부분이 서로 밀착되면서 면접촉됨에 따라 제1 하부 커넥터(103)와 제1 상부 커넥터(203) 사이, 제2 하부 커넥터(104)와 제2 상부 커넥터(204) 사이가 보다 안정적으로 전기적 연결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상부 커넥터(203)는 제1 하부 커넥터(103)에 걸림 체결되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상부 커넥터(204)와 제2 하부 커넥터(104)는 서로 면접촉되도록 배치되며, 반대로 제1 상부 커넥터(203)와 제1 하부 커넥터(103)가 서로 면접촉되며 제2 상부 커넥터(204)와 제2 하부 커넥터(104) 사이가 걸림 체결될 수도 있다.
일예로, 제1 상부 커넥터(203)는 외주면에서 제1 하부 커넥터(103) 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 하부 커넥터(103)의 내주면에 형성된 톱니부(205)에 걸림 지지되는 단턱부(105)를 구비할 수 있다. 반대로 단턱부(105)는 제1 상부 커넥터(203)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톱니부(205)가 제1 하부 커넥터(103)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톱니부(205)와 단턱부(105)는 제1 하부 커넥터(103)의 내주면 또는 제1 상부 커넥터(203)의 외주면에서 돌기 형태로 돌출 형성되되 원주방향으로 등간격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되거나, 둘레를 따라 링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톱니부(205)는 단턱부(105)가 축방향 하측으로 용이하게 삽입된 후 축방향 상측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상측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경사면으로 마련되고 하측면은 제1 하부 커넥터(103)의 내주면과 수직한 평면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턱부(105)는 축방향 하측으로 이동하여 톱니부(205)에 용이하게 체결되고 톱니부(205)에 의해 하측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측면이 상측으로 갈수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경사면으로 마련되고 상측면이 제1 상부 커넥터(203)의 외주면과 수직한 평면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피스톤 헤드(100)는 내부에 몰딩체(130)를 매개로 전기 기구(120), 한쌍의 하부 와이어(101, 102), 및 한쌍의 하부 커넥터(103, 104)가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고, 돌출부(141)의 내측으로 절연캡(300)이 삽입되면서 한쌍의 하부 커넥터(103, 104)에 한쌍의 상부 커넥터(203, 204)가 압입되거나 걸림 체결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절연캡(300)의 절연지지부(310)가 몰딩체(130)의 몰딩지지부(131)에 안착되어 축방향으로 지지되며 제1 상부 커넥터(203)와 제1 하부 커넥터(103)가 피스톤 헤드(100)와 접촉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 후 피스톤 헤드(100)의 돌출부(141)에 형성된 나사부(142)에 피스톤 로드(200)가 나사 체결되되 피스톤 로드(200)의 하측단이 피스톤 헤드(100)의 안착부(143)에 안착되거나 피스톤 로드(200)의 상측단이 절연캡(300)의 단턱면(320)을 지지할 때까지 나사 체결되어 조립 완료된다.
따라서 종래의 스팟 용접, 열융착, 초음파 융착 등의 복잡하고 어려운 공정이 불필요하고 각 절연캡(300)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커넥터들(103, 104, 203, 204)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한 후 피스톤 로드(200)를 나사 체결하는 단순한 공정을 통한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조립이 완료된 후에도 절연캡(300)은 피스톤 헤드(100) 또는 피스톤 로드(200)에 회전 가능함에 따라 절연캡(300)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제1 상부 와이어(201)와 제2 상부 와이어(202)를 외부의 전자제어장치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각각 절연과 통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형상과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피스톤 헤드 측의 커넥터와 피스톤 로드 측의 커넥터가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외부의 전자제어장치에 연결시 조립과 레이아웃 설정이 용이하며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커넥터 조립시 스팟 용접, 열융착, 초음파 융착 등의 복잡한 공정에 비해 단순한 공정을 통해 조립하여 작업이 수월해지고 원가가 절감되며 조립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단순한 공정에 따라 불량 발생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피스톤 조립체 100: 피스톤 헤드
101: 제1 하부 와이어 102: 제2 하부 와이어
103: 제1 하부 커넥터 104: 제2 하부 커넥터
110: 몸체 120: 전기 기구
121: 보빈 122: 코일
130: 몰딩체 131: 몰딩지지부
140: 커버 141: 돌출부
142: 나사부 143: 안착부
200: 피스톤 로드 201: 제1 상부 와이어
202: 제2 상부 와이어 203: 제1 상부 커넥터
204: 제2 상부 커넥터 210: 지지부
300: 절연캡 310: 절연지지부
320: 단턱면

Claims (8)

  1. 피스톤 헤드와, 상기 피스톤 헤드에 일단이 연결되며 원통의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피스톤 로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댐퍼의 피스톤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헤드는 내측에서 전기 기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하부 와이어와,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 하부 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하부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는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외부의 전자제어장치와 연결되는 제1 및 제2 상부 와이어와,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 상부 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하부 커넥터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및 제2 상부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상부 커넥터는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서 상기 제1 하부 커넥터 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하부 커넥터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형성된 톱니부에 걸림 지지되는 단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댐퍼의 피스톤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커넥터와 제1 하부 커넥터는 각각 상기 제2 상부 커넥터와 제2 하부 커넥터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내측에 원통 형상의 제2 상부 커넥터와 제2 하부 커넥터가 각각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댐퍼의 피스톤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커넥터는 상기 제1 하부 커넥터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압입되어 연결되고,
    상기 제2 상부 커넥터는 상기 제2 하부 커넥터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압입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댐퍼의 피스톤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부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반경이 작아지도록 경사를 이루고,
    상기 단턱부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반경이 커지도록 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댐퍼의 피스톤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헤드는 내부에 상기 전기 기구를 감싸며 몰딩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 하부 커넥터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형성되는 몰딩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댐퍼의 피스톤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로드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1 및 제2 상부 와이어를 감싸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몰딩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 상부 커넥터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형성된 절연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댐퍼의 피스톤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캡은 하단부의 둘레가 상기 피스톤 헤드 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 헤드에 지지되며, 상기 제1 상부 커넥터와 제1 하부 커넥터의 외측을 보호하는 절연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댐퍼의 피스톤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헤드는,
    내부에 상기 전기 기구가 설치되며 상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측을 덮도록 마련되되 가운데에서 상기 피스톤 로드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중공 형상의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의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 로드의 내측에 나사 체결되는 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댐퍼의 피스톤 조립체.
KR1020210053644A 2021-04-26 2021-04-26 차량용 댐퍼의 피스톤 조립체 KR102537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644A KR102537935B1 (ko) 2021-04-26 2021-04-26 차량용 댐퍼의 피스톤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644A KR102537935B1 (ko) 2021-04-26 2021-04-26 차량용 댐퍼의 피스톤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862A KR20220146862A (ko) 2022-11-02
KR102537935B1 true KR102537935B1 (ko) 2023-05-31

Family

ID=84043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644A KR102537935B1 (ko) 2021-04-26 2021-04-26 차량용 댐퍼의 피스톤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793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608Y1 (ko) 2004-12-17 2005-03-14 대우정밀 주식회사 전자석 솔레노이드에 의한 차량용 현가장치의 연속감쇠력 가변형 쇽업소버
JP2007321863A (ja) * 2006-05-31 2007-12-13 Hitachi Ltd 減衰力調整式緩衝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150B1 (ko) * 2005-09-15 2007-06-25 에스앤티대우(주) 전자제어 현가시스템용 엠알 씨디씨 댐퍼의 전기연결커넥터
KR101906010B1 (ko) * 2016-12-13 2018-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체결모듈
KR102614823B1 (ko) * 2016-12-13 2023-12-18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와이어 커넥터 및 이를 갖는 댐퍼용 피스톤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608Y1 (ko) 2004-12-17 2005-03-14 대우정밀 주식회사 전자석 솔레노이드에 의한 차량용 현가장치의 연속감쇠력 가변형 쇽업소버
JP2007321863A (ja) * 2006-05-31 2007-12-13 Hitachi Ltd 減衰力調整式緩衝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862A (ko) 2022-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12042B1 (en) Damper
KR100947415B1 (ko) 차량용 전자기식 충격 흡수기
US20070228627A1 (en) Electromagnetic shock absorber for vehicle
US7958979B2 (en) Variable damper
EP2012043B1 (en) Damper
US20100001217A1 (en)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of shock absorber
US8770358B2 (en) Variable damping force damper
JP2007292255A (ja) 緩衝器
JP2554509Y2 (ja) 緩衝器
KR102537935B1 (ko) 차량용 댐퍼의 피스톤 조립체
JP4868929B2 (ja) 緩衝器
JP2011196507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
US20050034941A1 (en) Shock absorber with a function of transmiss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sprung and unsprung parts of a vehicle
JP4142946B2 (ja) 車両用電磁緩衝器
JP4383986B2 (ja) 緩衝器
US5090524A (en) Shock absorber with an electrical connector
EP1589255B1 (en) Electromagnetic shock absorber for vehicle
JP2008256179A (ja) 車両用電磁式アブソーバ
JP6924695B2 (ja) 緩衝器
KR102175411B1 (ko) 전자식 쇽업소버를 갖는 서스펜션 장치
JP2008095798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NL2030171B1 (en) Vehicle suspension
KR100570336B1 (ko) 스트로크 가변장치를 구비한 쇼크업소버
KR100471752B1 (ko) 차량 현가장치용 스트러트
JP2004011753A (ja) 電磁緩衝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