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1496B1 -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1496B1
KR100731496B1 KR1020060083865A KR20060083865A KR100731496B1 KR 100731496 B1 KR100731496 B1 KR 100731496B1 KR 1020060083865 A KR1020060083865 A KR 1020060083865A KR 20060083865 A KR20060083865 A KR 20060083865A KR 100731496 B1 KR100731496 B1 KR 100731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emiconductor device
dielectric
adhesive layer
dielectric b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3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천만
Original Assignee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3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14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1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1496B1/ko
Priority to US11/848,708 priority patent/US2008005447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3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 H01L23/5329Insulating materials
    • H01L23/53295Stacked insulat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29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of thin functional dielectric layers, e.g. dielectric etch-stop, barrier, capping or liner layers
    • H01L21/76832Multipl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29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of thin functional dielectric layers, e.g. dielectric etch-stop, barrier, capping or liner layers
    • H01L21/76834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of thin functional dielectric layers, e.g. dielectric etch-stop, barrier, capping or liner layers formation of thin insulating films on the sidewalls or on top of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3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 H01L23/5329Insulat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배선 형성을 위한 금속층과, 금속층 위에 형성된 접착층과, 접착층 위에 형성된 유전체 배리어층과, 유전체 배리어층 위에 형성된 저유전상수의 유전체층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금속층은 Cu로 형성되고 접착층은 SiN으로 형성되며, SiN의 접착층은 10~300Å의 두께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유전체 배리어층은 SiCN, SiCON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저유전상수의 유전체층은 유전상수(k) 값이 3 보다 작은 물질로 형성되며, 저유전상수의 유전체층은 SiOC:H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은, 배선 형성을 위한 금속층을 증착하는 단계와, 금속층 위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접착층 위에 유전체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유전체 배리어층 위에 저유전상수의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배선 형성을 위한 금속층과 유전체 배리어(dielectric barrier)층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소자 특성의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 반도체 소자에서 발생되는 필링(peeling) 현상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반도체 소자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0... 금속층
20, 200... 유전체 배리어층
30, 300... 유전체층
400... 접착층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130nm 로직 소자에서는 Cu/FSG 스킴(scheme)을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Cu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SiN을 유전체 배리어(dielectric barrier)로 사 용하고 있다. 그런데, 90nm 이하에서는 소자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RC 감소) Cu/low-k 스킴(scheme)를 사용하고 있다.
여기에 사용하는 유전체 배리어(dielectric barrier)로는 유전상수가 SiN (k=7.0) 보다 작은 k=5.0의 SiCN, SiCON 등의 물질을 사용하고 있다. 이럴 경우 Cu와 SiCN, SiCON의 접착(adhesion)이 Cu와 SiN의 접착력에 비하여 1/2로 줄어들어 신뢰성에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또한 패드 본딩(pad bonding) 시에 Cu층과 유전체 배리어(dielectric barrier)층이 떨어지는 심각한 문제도 발생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반도체 소자에서 발생되는 필링(peeling) 현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반도체 소자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 반도체 소자에 적용되는 ILD(Inter Layer Dielectric)층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Cu로 형성된 금속층(10) 위에 저유전상수의 유전체 배리어층(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전체 배리어층(20) 위에 저유전상수의 유전체층(30)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반도체 소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필링(peeling)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소자 특성의 신뢰도를 확보할 수 없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배선 형성을 위한 금속층과 유전체 배리어(dielectric barrier)층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소자 특성의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배선 형성을 위한 금속층; 상기 금속층 위에 형성된 접착층; 상기 접착층 위에 형성된 유전체 배리어층; 상기 유전체 배리어층 위에 형성된 저유전상수의 유전체층; 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금속층은 Cu로 형성되고 상기 접착층은 SiN으로 형성되며, 상기 SiN의 접착층은 10~300Å의 두께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유전체 배리어층은 SiCN, SiCON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저유전상수의 유전체층은 유전상수(k) 값이 3 보다 작은 물질로 형성되며, 상기 저유전상수의 유전체층은 SiOC:H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은, 배선 형성을 위한 금속층을 증착하는 단계; 상기 금속층 위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접착층 위에 유전체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유전체 배리어층 위에 저유전상수의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금속층은 Cu로 형성되고 상기 접착층은 SiN으로 형성되며, 상기 SiN의 접착층은 10~300Å의 두께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유전체 배리어층은 SiCN, SiCON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저유전상수의 유전체층은 유전상수(k) 값이 3 보다 작은 물질로 형성되며, 상기 저유전상수의 유전체층은 SiOC:H 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배선 형성을 위한 금속층과 유전체 배리어(dielectric barrier)층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소자 특성의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위(on/above/over/upper)"에 또는 "아래(down/below/under/low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그 의미는 각 층(막), 영역, 패드,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직접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에 접촉되어 형성되는 경우로 해석될 수도 있으며, 다른 층(막), 다른 영역, 다른 패드, 다른 패턴 또는 다른 구조물들이 그 사이에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경우로 해석될 수도 있다. 따라서, 그 의미는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판단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ILD(Inter Layer Dielectric)층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층(100), 접착층(400), 유전체 배리어층(200), 유전체층(300)을 포함한다.
상기 금속층(100)은 배선 형성을 위한 것이며, 저저항 배선을 형성하기 위하여 하나의 예로서 Cu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400)은 상기 금속층(100)과 상기 유전체 배리어층(200)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형성된 버퍼층이다.
상기 유전체 배리어층(200)은 SiCN, SiCON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전체 배리어층(200)과 상기 금속층(100)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상기 접착층(400)은 SiN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SiN으로 형성되는 상기 접착층(400)은 10~300Å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전체 배리어층(200) 위에는 저유전상수의 유전체층(30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저유전상수의 유전체층(300)은 유전상수(k) 값이 3 보다 작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유전상수의 유전체층(300)은 SiOC:H 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적층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에 의하면, 상기 접착층(200)에 의하여 상기 금속층(100)과 상기 유전체 배리어층(200)의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에 의하면 상기 유전체 배리어층(200)과 상기 금속층(100) 간에 필링(peeling) 현상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을 설명해 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배선 형성을 위한 금속층(100)을 증착한다(단계 401).
상기 금속층(100)은 배선 형성을 위한 것이며, 저저항 배선을 형성하기 위하여 하나의 예로서 Cu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금속층(100) 위에 접착층(400)을 형성한다(단계 403)
상기 접착층(400)은 상기 금속층(100)과 이후에 형성될 유전체 배리어 층(200)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형성되는 버퍼층이다.
상기 접착층(400) 위에 유전체 배리어층(200)을 형성한다(단계 405)
상기 유전체 배리어층(200)은 SiCN, SiCON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전체 배리어층(200)과 상기 금속층(100)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상기 접착층(400)은 SiN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SiN으로 형성되는 상기 접착층(400)은 10~300Å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SiN은 Cu와의 접착력이 좋기 때문에 추후 패드 본딩 시에 필링(peeling)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SiN의 유전상수(k)는 6 보다 크고 8 보다 작은 값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전체 배리어층(200) 위에 저유전상수의 유전체층(300)을 형성한다(단계 407).
상기 저유전상수의 유전체층(300)은 유전상수(k) 값이 3 보다 작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유전상수의 유전체층(300)은 SiOC:H 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적층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에 의하면, 상기 접착층(200)에 의하여 상기 금속층(100)과 상기 유전체 배리어층(200)의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에 의하면 상기 유전체 배리어층(200)과 상기 금속층(100) 간에 필링(peeling) 현상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저유전상수의 유전체층에 사용하고 있는 SiCN, SiCON 등의 유전체 배리어가 Cu와 접착력이 나쁘기 때문에 FSG에서 사용하는 유전체 배리어를 버퍼층으로 하여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소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패드 공정 시에 발생될 수 있는 필링(peeling)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필링(peeling)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패드 공정시에 예컨대 Al 패드를 Cu와 직접 연결하지 않고 한 쪽으로 빼는 방식 등의 방법을 취하지 않아도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웨이퍼 내의 유효 다이(net die) 수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되므로, 웨이퍼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배선 형성을 위한 금속층과 유전체 배리어(dielectric barrier)층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소자 특성의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2)

  1. 배선 형성을 위한 금속층;
    상기 금속층 위에 형성된 접착층;
    상기 접착층 위에 형성된 유전체 배리어층;
    상기 유전체 배리어층 위에 형성된 저유전상수의 유전체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Cu로 형성되고, 상기 접착층은 SiN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SiN의 접착층은 10~300Å의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배리어층은 SiCN, SiCO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유전상수의 유전체층은 유전상수(k) 값이 3 보다 작은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유전상수의 유전체층은 SiOC:H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7. 배선 형성을 위한 금속층을 증착하는 단계;
    상기 금속층 위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접착층 위에 유전체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유전체 배리어층 위에 저유전상수의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Cu로 형성되고, 상기 접착층은 SiN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SiN의 접착층은 10~300Å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 체 소자 제조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배리어층은 SiCN, SiCO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저유전상수의 유전체층은 유전상수(k) 값이 3 보다 작은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저유전상수의 유전체층은 SiOC:H 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KR1020060083865A 2006-08-31 2006-08-31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731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3865A KR100731496B1 (ko) 2006-08-31 2006-08-31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11/848,708 US20080054478A1 (en) 2006-08-31 2007-08-31 Semiconductor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3865A KR100731496B1 (ko) 2006-08-31 2006-08-31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1496B1 true KR100731496B1 (ko) 2007-06-21

Family

ID=38373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3865A KR100731496B1 (ko) 2006-08-31 2006-08-31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80054478A1 (ko)
KR (1) KR10073149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1587B1 (ko) * 2002-07-26 2003-07-12 에이엔 에스 주식회사 에어 갭을 갖는 금속 박막의 제조 방법
KR100407542B1 (ko) * 1999-03-09 2003-11-28 동경 엘렉트론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431823B1 (ko) * 1999-12-28 2004-05-2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콘택 형성방법
KR100619470B1 (ko) * 2001-08-29 2006-09-08 동경 엘렉트론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93653B2 (en) * 1999-09-30 2003-07-15 Novellus Systems, Inc. Low leakage current silicon carbonitride prepared using methane, ammonia and silane for copper diffusion barrier, etchstop and passivation applications
US7514359B2 (en) * 2003-01-14 2009-04-07 Alcatel-Lucent Usa Inc. Adhering layers to metals with dielectric adhesive layers
US7285842B2 (en) * 2004-04-27 2007-10-23 Polyset Company, Inc. Siloxane epoxy polymers as metal diffusion barriers to reduce electromigration
US7193325B2 (en) * 2004-04-30 2007-03-20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Reliability improvement of SiOC etch with trimethylsilane gas passivation in Cu damascene interconnects
DE102005052053B4 (de) * 2005-10-31 2007-12-06 Advanced Micro Devices, Inc., Sunnyval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Ätzstoppschicht für eine Metallisierungsschicht mit verbesserter Ätzselektivität und besserem Einschlussverhalte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542B1 (ko) * 1999-03-09 2003-11-28 동경 엘렉트론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431823B1 (ko) * 1999-12-28 2004-05-2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콘택 형성방법
KR100619470B1 (ko) * 2001-08-29 2006-09-08 동경 엘렉트론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391587B1 (ko) * 2002-07-26 2003-07-12 에이엔 에스 주식회사 에어 갭을 갖는 금속 박막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54478A1 (en) 2008-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5564B2 (en) Multi-layer passivation structure and method
US20070290361A1 (en) Via layout with via groups placed in interlocked arrangement
US8450206B2 (en) Method of forming a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a stress buffer material formed above a low-k metallization system
US8916464B2 (en) Structures and methods for improving solder bump connections in semiconductor devices
CN101770962B (zh) 改善半导体器件中的焊料凸块连接的结构和方法
JP4946436B2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8310056B2 (en) Semiconductor device
US9312230B2 (en) Conductive pillar structure for semiconductor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e
JP2004235416A (ja)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20070246821A1 (en) Utra-thin substrate package technology
KR100370238B1 (ko) 반도체 소자의 본드패드 및 그 형성방법
US8227916B2 (en) Package structure and method for reducing dielectric layer delamination
CN102832188A (zh) 具有厚聚合物层的焊球保护结构
US7202565B2 (en) Semiconductor device which employs an interlayer insulating film of a low mechanical strength and a highly reliable metal pad,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324731B2 (en) Integrated circuit device
US8853858B2 (en) Curing low-k dielectrics for improving mechanical strength
KR100777926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05142351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731496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3725527B2 (ja) 半導体装置
JP2003218114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20511B1 (ko) 금속 배선 및 금속 배선의 형성 방법
JP5564557B2 (ja) 半導体装置
US20090115065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896841B1 (ko) 반도체 소자 제조시 본드 패드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