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0061B1 - 마그네슘합금 재질의 전기압력밥솥용 탑 플레이트와 록킹링, 그리고 이들을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마그네슘합금 재질의 전기압력밥솥용 탑 플레이트와 록킹링, 그리고 이들을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0061B1
KR100730061B1 KR1020060032498A KR20060032498A KR100730061B1 KR 100730061 B1 KR100730061 B1 KR 100730061B1 KR 1020060032498 A KR1020060032498 A KR 1020060032498A KR 20060032498 A KR20060032498 A KR 20060032498A KR 100730061 B1 KR100730061 B1 KR 100730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plate
magnesium alloy
locking ring
electric pressure
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2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우
Original Assignee
웅진쿠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쿠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쿠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2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00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0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0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7/00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1/00Electrolytic coating by surface reaction, i.e. forming conversion layers
    • C25D11/02Anodisation
    • C25D11/30Anodisation of magnesium or alloys based there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압력밥솥의 뚜껑부에 구비되는 탑 플레이트과 록킹 링에 관한 것으로, 탑 플레이트와 록킹 링의 재질을 마그네슘합금으로 구성하고 이를 제조하는데는 다이캐스트 공정을 이용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마그네슘합금 탑 플레이트와 마그네슘합금 록킹 링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원자재인 마그네슘합금을 녹여서 용해하는 단계; 상기 용해된 마그네슘합금의 상태를 확인하는 초물검사 단계; 상기 용해된 용융 합금을 금형 내부에 주입하여 상기 금형과 동일한 형태로 주조하는 사상 단계; 상기 주조된 주물의 표면을 기계 가공하는 단계; 상기 주물의 표면을 연마기로 샌딩하는 단계; 상기 샌딩된 주물의 표면에 얇은 산화막을 형성하는 아노다이징 단계; 상기 아노다이징된 주물의 표면을 열처리하고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코팅된 탑 플레이트(또는 록킹 링)의 외관 상태를 검사하여 최종 제품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하여 이루어진 마그네슘합금 탑 플레이트 및 록킹 링은 무게가 가벼워 주부들이 사용하는데 편의성을 제공하고, 열전도성도 우수하여 연비를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기압력밥솥, 뚜껑, 탑 플레이트, 록킹 링, 마그네슘, 다이캐스트, 용해, 용융, 금형, 연마, 샌딩, 산화막, 아노다이징, 열처리, 코팅, 외관 검사, 열전도

Description

마그네슘합금 재질의 전기압력밥솥용 탑 플레이트와 록킹 링, 그리고 이들을 제조하는 방법{Top plate and Locking ring made of Magnesium alloy material for Electric pressure rice cook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likes}
도 1은 종래 전기압력밥솥의 뚜껑부 구성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전기압력밥솥에서 내솥과 뚜껑부의 결합 구조를 보인 도면,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전기압력밥솥 뚜껑부의 구성 중 마그네슘합금 재질로 된 탑 플레이트와 록킹 링을 대표하여 상기 마그네슘합금 탑 플레이트에 대한 각종 신뢰성 테스트 공정을 보여주는 것으로, 도 3a,3b는 본 발명의 마그네슘합금 탑 플레이트에 대해 염수 분무시험을 실시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화상 도면,
도 4a,4b는 본 발명의 마그네슘합금 탑 플레이트에 대해 용기 내압력 시험을 실시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화상 도면,
도 5a,5b는 본 발명의 마그네슘합금 탑 플레이트 대비 알루미늄합금 탑 플레이트의 방열성 정도를 시험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화상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슘합금 재질의 탑 플레이트 및 록킹 링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본 발명은 전기압력밥솥의 뚜껑부에 구비되는 탑 플레이트(top plate)와 록킹 링(locking ring)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그네슘합금을 이용하여 탑 플레이트와 록킹 링을 구성함으로써 전기압력밥솥의 경량화를 달성한 마그네슘합금 재질의 전기압력밥솥용 탑 플레이트와 록킹 링, 그리고 이들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전기압력밥솥(도 1을 참조)의 내부를 개폐하기 위해 밥솥 본체(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뚜껑(200)은 그 일측의 힌지부(100b)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외뚜껑(210)과, 이 외뚜껑(2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뚜껑(220), 그리고 상기 내뚜껑(220)의 하측에 고정되어 내솥(110)의 상부로 전열을 공급하는 탑 플레이트(230)로 구성된다. 탑 플레이트(230)는 통상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내솥(110)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밀폐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전기압력밥솥의 취사단계를 보면, 먼저 내솥(110) 내부에 적정량의 물과 쌀을 채운 다음 뚜껑을 닫고 취사 모드를 선택한다. 이때, 밥솥 본체(100)에 구비되는 하부열판(130)과 측면열판(140), 그리고 뚜껑(200)에 구비되는 탑 플레이트(230)는 전원 공급에 의해 발열되며, 이 전열은 밥솥 본체(100)의 내벽 에 전달되어 내솥(110)을 가열하면서 취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종래 전기압력밥솥에서 내솥과 뚜껑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 2에 따르면, 내솥(10)은 일반적으로 둘레부의 상단이 외향 절곡된 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절곡부(11)는 내솥(10)이 밥솥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밥솥 뚜껑(3)을 닫을 경우 이 뚜껑부에 구비된 록킹 링(1)과 체결이 이루어진다. 이때, 밥솥 뚜껑(3)의 내측 원주홈에 고정된 압력 패킹(2)이 내솥(10)과 밥솥 뚜껑(3)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미세한 틈 까지도 차단하면서 밥솥 내부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의 경우 내솥 내부와 직접 면하는 탑 플레이트의 재질이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이었다. 이는 록킹 링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였는데, 스테인레스는 다른 금속에 비해 비중이 큰 편이어서 밥솥의 뚜껑부에 결합시 뚜껑의 하중을 높이게 되고, 그 결과로 뚜껑의 개폐시 힌지스프링에 부담을 주어 변형 등의 문제점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의 재질이 알루미늄인 경우에는 알루미늄 성분 자체가 인체에 치명적인 피해를 주고 있는 것으로, 특히 의학계에 보고된 정보에 의하면 알루미늄은 치매와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심각한 질병을 유발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힌지스프링 등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밥솥 뚜껑부에는 경량화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이를 위해 탑 플레이트와 록킹 링의 재질을 변경할 필요성이 있었다. 또한, 스테인레스에 비해 가볍지만 치명적인 유해성을 가지는 알루미늄을 대체하여 인체에 무해한 재료로 탑 플레이트와 록킹 링의 재질을 변경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기압력밥솥의 뚜껑부에 구비되는 탑 플레이트와 록킹 링의 재질을 마그네슘합금으로 하여, 보다 가볍고 열전도율도 우수한 전기압력밥솥용 탑 플레이트 및 록킹 링, 그리고 이들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전기압력밥솥의 뚜껑부에 구비되는 탑 플레이트와 록킹 링의 재질을 마그네슘합금을 이용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이 마그네슘합금을 이용하여 탑 플레이트와 록킹 링을 제작하는 이유는 마그네슘합금이 매우 가볍고 진동흡수성(감쇄능)과 열전도율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또한, 마그네슘합금은 다양한 형상으로 주조가 가능하고 주조사이클이 짧으며, 박육 성형성과 생산성이 뛰어나다. 아울러, 전자파 차폐성이 우수하고, 금형으로 할 경우 수명이 길며 기계 가공 또한 용이하다.
본 발명에서 밥솥 뚜껑부에 구비되는 탑 플레이트 및 록킹 링의 재질로 채용된 마그네슘합금의 특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아래의 표 1은 대표적인 마그네슘합금의 성분을 나타낸 것으로, 마그네슘합 금은 다이캐스트 공정을 통해 주로 이용된다.
<표 1>
Figure 112006024900601-pat00001
위의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그네슘합금은 기본 성분인 마그네슘(Mg)에 알루미늄(Al), 아연(Zn), 망간(Mn), 규소(Si), 구리(Cu), 니켈(Ni) 및 철(Fe)을 일정량씩 포함함으로써 여러 종류로 제공된다.
<표 2>
Figure 112006024900601-pat00002
위의 표 2는 마그네슘합금의 일종인 AZ91D합금의 특성을 다른 금속과 비교한 것으로, AZ91D합금은 경량성 면에서 볼 때 비중이 1.81에 불과하여 종래 탑 플레이트의 재질로 주로 사용된 알루미늄(Al)합금(예를 들어, ADC12합금)에 비해 2/3 수준이고, 아연(Zn)합금(예를 들어, ZDC2합금)에 비해서는 1/4 수준으로 상용 금속 중에서 가장 가벼운 재료임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마그네슘합금은 비강도 또는 비강성이 철과 알루미늄에 비해 우수하므로 경량성과 강도를 모두 겸비한 전기압력 밥솥 뚜껑부의 구성에 최적의 재질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마그네슘합금은 진동흡수성 면에서도 우수성을 보이는데, 20Mpa에서 마그네슘은 55%, 알루미늄은 11%, 철은 11%의 진동흡수율을 각각 보이고 있어 마그네슘합금을 이용할 경우 진동을 흡수하여 소음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기계장치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마그네슘합금은 전기압력밥솥의 뚜껑부와 같은 진동 흡수가 필요한 부품에 적합하다.
마그네슘합금은 마그네슘은 변형되기 어려운 결정구조를 가지고 있어, 치수안정성 면에서 매우 안정적이다. 일반적으로 마그네슘합금은 어닐링이나 응력제거 처리를 하지 않고도 시간의 경과와 온도변화에 대해 치수 안정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금형에서 이젝팅(ejecting)시 제품의 변형률(특히, 알루미늄 대비 제품의 변형률이 월등하게 낮음)이 낮고 주조 잔류 응력도 매우 작다.
다이캐스트 공정의 자동화 면에서, 마그네슘은 강(steel)과 반응을 잘하지 않기 때문에 다이캐스트 장치의 시스템을 용탕 내에 설치할 수 있어 아연처럼 핫 챔버(hot chamber) 타입의 다이캐스트 주조법으로 제품의 생산이 가능하다(소형 제품의 경우에는 250 shot/hr로 생산 가능).
또한, 마그네슘합금은 생산성 면에서 알루미늄에 비하여 동일 부피당 열용량이 작기 때문에 금형 내에서 빨리 응고되는데, 그에 따라 단위 시간당보다 보다 많은 개수의 제품을 주조할 수 있다. 통상 알루미늄합금에 비해 생산량을 약 40~50% 정도, 최대 2배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더욱이, 마그네슘함금은 타 금속에 비해 가볍기 때문에 동일 중량에 대해 다른 금속보다 훨씬 많은 수의 제품을 얻을 수 있 어 결과적으로 원가 절감이 이루어지게 된다.
아래의 표 3은 마그네슘합금의 절삭력지수를 통해 기계가공성을 비교한 것으로, 기계가공성 면에서 볼 때 마그네슘합금은 외력에 대한 저항이 작아 절삭소요동력이 작다(마그네슘을 1로 했을 때 알루미늄은 1.8, 주철은 3.5정도). 또한, 비중이 작아 가공시 관성력이 작아 기계의 급시동 또는 급정지의 경우에 유리하며, 열전도성이 좋아 가공시 발생하는 열에 의한 온도상승이 적다.
<표 3>
Figure 112006024900601-pat00003
(절삭력이 가장 작은 마그네슘합금을 기준값 1로 한다)
마그네슘합금은 강의 1/4 정도로 가볍기 때문에 가공 과정에서 탈착 등 핸들링하기가 쉬우며, 가공속도와 이송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어 가공효율이 매우 좋고, 공구마모가 적어 공구수명이 길어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마그네슘합금은 재활용성 면에서 재용해 및 정련이 상대적으로 용이하여 재활용성이 높다. 또한, 신재 생산 대비 4 %대 에너지 소비로 재생이 가능하므로 환경친화적이다. 전자파 차폐성(EMI Shield/RFI Shield) 면에서 볼 때, 마그네슘합금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경량 재료들 중 최고의 전자파 차폐능력을 보유하고 있 으며, 별도의 EMI 도장이 필요없다. 또한, 마그네슘합금은 박육 성형면에서 볼 때 실용금속 중 현저히 낮은 점성도(Viscosity)를 가지므로 주조시 그 흐름성이 뛰어나 매우 소형의, 또는 복잡한 구조의 성형이 용이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탑 플레이트 재질 변경시 해결해야 할 문제점으로서, 첫째 크리프(creep)성 면에서 150℃이상 되는 고온에서 강도 등의 성능이 저하되는 성질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보급형 탑 플레이트의 구 금형을 마그네슘 다이캐스팅 금형으로 개조하여 샘플을 제작한 후 중량 검사(도 3a 및 3b 참조)를 실시하였다.
<표 4>
Figure 112006024900601-pat00004
위의 표 4를 통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마그네슘합금을 재질로 하는 탑 플레이트는 기계가공 전과 후 모두 알루미늄합금 재질의 탑 플레이트에 비해 그 무게가 훨씬 가벼움을 알 수 있다. 표 4에서 표기하지는 않았지만, 이는 록킹 링의 경우에도 물론 마찬가지이다.
둘째, 정상상태에서 마그네슘합금의 내식성은 알루미늄합금보다 뛰어나지만, 염분이 함유된 물질의 영향이 있을 때는 알루미늄보다 취약한 성질을 가지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개선점을 확인하기 위해 샘플 제작 후 염수분무시험을 실시하였다.
본 발명에서 염수분무시험은 상온 35℃의 염수 5% 용액을 72시간동안 연속 분무한 후 확인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3a와 3b의 사진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슘 탑 플레이트는 표면에 아노다이징 및 코팅처리되어 있으므로, 알루미늄 재질로 된 종래의 탑 플레이트에 비해 깨끗하고, 부풀음이나 주름, 깨짐, 발청 등이 전혀 없다. 이 실험결과는 데이터로 제공되지는 않았지만, 록킹 링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셋째, 마그네슘합금은 알루미늄합금에 비해 인장강도, 전단강도, 항복강도, 충격강도 및 피로강도 등의 항목에서 다소 취약한 성질을 가지고 있는데, 이를 개건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마그네슘 탑 플레이트가 채용된 전기압력밥솥 용기에 대해 내압력시험을 실시하였다.
용기의 내압력 시험은 압력조정장치, 안전장치 및 기타의 안전유지장치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로 한 후 최고 사용압력의 3배 또는 안전장치 압력의 2배 중 높은 쪽 기준으로 수압을 1분간 가하여 누수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이때, 패킹누수압력 이상의 압력에서 패킹 등 기타 안전유지장치로 누수가 될 경우는 필요한 누수 방지 조치를 취하여 누수가 되지 않게 하여 압력을 가하고, 압력을 제거한 후 용기 각부의 이상 유무를 조사하였다(도 4a, 4b 참조).
시험 결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슘 탑 플레이트를 구비한 전기압력밥솥은 기준 수압 4.2kgf/㎠에서 1분간 아무런 변화가 없었는데, 이는 통상 10인용 압력밥솥의 안전장치 압력인 2.1kgf/㎠의 2배에 해당한다. 이후, 실험을 계속하여 5.60kgf/㎠으로 수압을 올렸을 때 비로소 제품의 압력패킹(Pressure Packing)이 이탈되면서 누수가 발생하였다.
한편, 제품 각부의 변형량을 보면, 오븐 바닥면의 라운드 및 상부 히터 플레이트의 라운드 변형량은 R15 이하에 불과하였으며, 용기 플랜지의 변형량도 상한값인 1.0mm에 훨씬 못미치는 0.3mm 이하에 불과하였다.
넷째, 마그네슘합금(AZ91D)은 열전도율이 79 W/mc로서, 이는 알루미늄합금(ADC12)의 열전도율(100W/mc)보다 떨어져 탑 플레이트의 방열체로서의 성능이 다소 떨어지는 문제점을 일으킬 수 있어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탑 플레이트의 방열성 비교시험을 실시하였다.
탑 플레이트의 방열성 비교시험은 알루미늄합금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전도율이 다소 떨어지는 마그네슘합금이 뚜껑부 발열체로서의 역할이 가능한지를 검사하는 것으로, 시험방법은 알루미늄 탑 플레이트를 적용한 제품과 마그네슘 탑 플레이트를 적용한 제품의 뚜껑부 탑 플레이트에 온도 커플(couple)선을 4개소에 설치(도 5b 참조)하고 취반과 보온시의 온도를 확인하여 알루미늄합금 대비 마그네슘합금 탑 플레이트의 방열성을 비교하였다.
검사결과에 따르면, 본 발명의 마그네슘 탑 플레이트는 알루미늄합금 재질에 비해 방열성이 동등 수준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록킹 링의 경우에도 위의 검사조건과 동일 환경에서 동일한 결과가 나오게 됨은 물론이다.
아래의 표 5와 표 6은 마그네슘 탑 플레이트 대비 알루미늄 탑 플레이트의 취사시간 및 취사온도를 비교한 것이다.
<표 5>
Figure 112006024900601-pat00005
<표 6> 온도비교
Figure 112006024900601-pat00006
위의 표 5 및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대 3℃가량의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시험 오차로 인정되므로 기존 알루미늄 합금 탑 플레이트 대비 동등한 방열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아래의 표 7은 마그네슘 탑 플레이트 대비 알루미늄 탑 플레이트의 보온 시 온도를 비교한 것으로, 총 보온시간은 33시간으로 취사 완료 24시간 후 1시간 동안의 탑 플레이트의 온도를 분석한 것이다.
<표 7>
Figure 112006024900601-pat00007
위의 표 7을 통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그네슘 탑 플레이트의 경우 최저온도와 최고온도의 차이는 알고리즘 상의 차이로 판단되며, 보온을 위한 유지 온도는 거의 비슷하므로 보온시의 방열성 또한 알루미늄합금 탑 플레이트 대비 적어도 동등 수준 이상인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의 록킹 링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그 외에도, 본 발명에서는 리드스위치가 접속된 회로에서 정격 전압을 가하여 리드스위치 동작을 위한 마그네트가 부착된 온/오프 손잡이로 개폐 동작을 1회에 분당 30∼40회 속도로 10,000회 실시 후 제품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리드스위치 동작시험을 실시하였다.
<표 8>
Figure 112006024900601-pat00008
위의 표 8에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그네슘 탑 플레이트는 시험 후 표준 취사 조건으로 시험 시 증기누설없이 정상적으로 취사가 이루어졌으며, 실 사용상 아무런 이상도 발생하지 않았다. 한편, 개,폐 동작10,000회 후 본 발명의 마그네슘합금 탑 플레이트의 긁힘 수준은 알루미늄합금에 비해 상태가 나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마그네슘합금 탑 플레이트와 록킹 링은 다이캐스트 공정에 의해 주조될 수 있는데, 이하 첨부된 도면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슘합금 탑 플레이트와 록킹 링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다이캐스트 공정을 통해 본 발명의 마그네슘합금 탑 플레이트 및 록킹 링을 제작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탑 플레이트 (또는 록킹 링)을 구성하기 위한 첫 단계로서 원자재인 마그네슘합금을 녹이는 용해단계(S1)를 거치게 된다. 다음으로, 용해된 마그네슘합금의 상태를 지켜보며 초물검사(初物檢査:S2)를 한 후 다이캐스팅에 적합한 상태로 용해되었을 때 기계가공된 강제(鋼製)의 금형(金型)에 상기 용융합금(熔融合金)을 주입하여 금형과 동일한 형태로 제작하는 사상(寫象:S3)단계를 거치게 된다. 이후, 제작된 다이캐스트 주물(즉, 탑 플레이트 또는 록킹 링)의 표면을 자동 탭핑머신 또는 CNC 선반 등으로 가공(S4)하고, 연마기를 이용하여 주물인 탑 플레이트(또는 록킹 링)의 표면을 매끄럽게 샌딩(sanding:S5)처리하게 된다. 샌딩처리된 탑 플레이트(또는 록킹 링)의 표면에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얇은 산화막을 형성하는 아노다이징(anodizing:S6) 처리가 이어지고, 아노다이징 작업이 끝난 뒤에는 탑 플레이트(또는 록킹 링)의 표면에 열처리와 함께 프라이머(primer) 등으로 코팅(coating:S7)을 한 후, 탑 플레이트(또는 록킹 링)를 외관상태를 검사하여 최종 제품으로 완성(S8)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면에 별도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설명하지 않은 기술적 변형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첨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기압력밥솥의 뚜껑부에 구비되는 탑 플레이트과 록킹 링의 재질을 마그네슘합금으로 구성함으로써 무게가 보다 가벼워져 주부들이 사용하는데 편의성을 제공하고, 열전도성도 우수하여 연비를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전기압력밥솥의 뚜껑부에 구비되는 탑 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원자재인 마그네슘합금을 녹여서 용해하는 단계;
    상기 용해된 마그네슘합금의 상태를 확인하는 초물검사 단계;
    상기 용해된 용융 합금을 금형 내부에 주입하여 상기 금형과 동일한 형태로 주조하는 사상 단계;
    상기 주조된 주물의 표면을 기계 가공하는 단계;
    상기 주물의 표면을 연마기로 샌딩하는 단계;
    상기 샌딩된 주물의 표면에 얇은 산화막을 형성하는 아노다이징 단계;
    상기 아노다이징된 주물의 표면을 열처리하고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코팅된 주물인 탑 플레이트의 외관 상태를 검사하여 최종 제품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압력밥솥용 마그네슘합금 탑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2. 전기압력밥솥의 뚜껑부에 구비되는 록킹 링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원자재인 마그네슘합금을 녹여서 용해하는 단계;
    상기 용해된 마그네슘합금의 상태를 확인하는 초물검사 단계;
    상기 용해된 용융 합금을 금형 내부에 주입하여 상기 금형과 동일한 형태로 주조하는 사상 단계;
    상기 주조된 주물의 표면을 기계 가공하는 단계;
    상기 주물의 표면을 연마기로 샌딩하는 단계;
    상기 샌딩된 주물의 표면에 얇은 산화막을 형성하는 아노다이징 단계;
    상기 아노다이징된 주물의 표면을 열처리하고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코팅된 주물인 록킹 링의 외관 상태를 검사하여 최종 제품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압력밥솥용 마그네슘합금 록킹 링의 제조방법.
  3. 전기압력밥솥의 뚜껑부에 구비되는 탑 플레이트로서,
    마그네슘합금을 재질로 하고 상기 제1항의 방법에 따른 다이캐스트 공정을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용 마그네슘합금 탑 플레이트.
  4. 전기압력밥솥의 뚜껑부에 구비되는 록킹 링으로서,
    마그네슘합금을 재질로 하고 상기 제2항의 방법에 따른 다이캐스트 공정을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용 마그네슘합금 록킹 링.
KR1020060032498A 2006-04-10 2006-04-10 마그네슘합금 재질의 전기압력밥솥용 탑 플레이트와 록킹링, 그리고 이들을 제조하는 방법 KR100730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2498A KR100730061B1 (ko) 2006-04-10 2006-04-10 마그네슘합금 재질의 전기압력밥솥용 탑 플레이트와 록킹링, 그리고 이들을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2498A KR100730061B1 (ko) 2006-04-10 2006-04-10 마그네슘합금 재질의 전기압력밥솥용 탑 플레이트와 록킹링, 그리고 이들을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0061B1 true KR100730061B1 (ko) 2007-06-20

Family

ID=38372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2498A KR100730061B1 (ko) 2006-04-10 2006-04-10 마그네슘합금 재질의 전기압력밥솥용 탑 플레이트와 록킹링, 그리고 이들을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00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6638A (ko) * 2012-09-17 2014-03-26 쿠쿠전자주식회사 조리기용 내솥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818A (zh) * 1993-03-20 1994-09-28 钟长柱 新型保健灶、餐、饮器具金属材料及其制造方法
JPH09237677A (ja) * 1996-02-29 1997-09-09 Sumitomo Electric Ind Ltd 電磁誘導発熱用複合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332036A (ja) * 2002-05-16 2003-11-21 Tiger Vacuum Bottle Co Ltd 誘導加熱調理器
KR100415876B1 (ko) * 2000-06-26 2004-01-24 (주)한비텍 주방용기 및 그 제조 방법
KR200368267Y1 (ko) * 2004-09-03 2004-11-18 엠팩트 주식회사 마그네슘 합금을 이용한 건강용 조리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818A (zh) * 1993-03-20 1994-09-28 钟长柱 新型保健灶、餐、饮器具金属材料及其制造方法
JPH09237677A (ja) * 1996-02-29 1997-09-09 Sumitomo Electric Ind Ltd 電磁誘導発熱用複合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15876B1 (ko) * 2000-06-26 2004-01-24 (주)한비텍 주방용기 및 그 제조 방법
JP2003332036A (ja) * 2002-05-16 2003-11-21 Tiger Vacuum Bottle Co Ltd 誘導加熱調理器
KR200368267Y1 (ko) * 2004-09-03 2004-11-18 엠팩트 주식회사 마그네슘 합금을 이용한 건강용 조리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6638A (ko) * 2012-09-17 2014-03-26 쿠쿠전자주식회사 조리기용 내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36279A1 (en) Anodized Clad Copper Cookware
CN109201765B (zh) 钛合金蒙皮的真空热蠕变式成形方法及钛合金蒙皮
KR100730061B1 (ko) 마그네슘합금 재질의 전기압력밥솥용 탑 플레이트와 록킹링, 그리고 이들을 제조하는 방법
EP2133439B1 (en) Aluminum alloy for die casting and molded article
CN106086539A (zh) 一种气缸盖罩的制作工艺
KR100884094B1 (ko)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조리용기
CN105200276A (zh) 一种带内冷油腔的伪合金增强复合材料活塞制造方法
CN109652757A (zh) 一种高真空挤压压铸模的表面复合处理方法
WO2016033032A1 (en) Improved aluminum casting alloys having manganese, zinc and zirconium
CN101456061A (zh) 一种提高石墨型钛合金铸件质量的辅助工艺
CN101250648B (zh) 一种制作换热器用铝合金材料及其加工方法
CN113215516B (zh) 一种烹饪容器及其制造方法
CN104308130A (zh) 一种利用高温烘烤除去铸件针孔中油渍的方法
CN109926567A (zh) 一种钛合金/钢双金属复合件及其制备方法
CN104264161A (zh) 一种汽车离合器总泵泵体制造方法
CN106624629A (zh) 一种金属产品加工方法
CN210211431U (zh) 一种用于聚醚醚酮板材生产的退火匣
CN104080375A (zh) 用于获得包含着色硬质阳极化外面的烧煮容器的方法
JP4435766B2 (ja) ダイカスト用アルミニウム合金および成形品
CN106216937B (zh) 一种zl114a铝合金铸件内部冶金缺陷的修复方法
CN107866548B (zh) 铝合金压铸件毛坯精密成型工艺方法
EP4116466A2 (en) Medical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yielding medical devices with consistent surface features
CN110592576A (zh) 一种缸套生产方法、缸套及该缸套生产方法的应用
CN109128734A (zh) 一种oem铝合金车轮铸造模具底模的加工方法
Czerepak et al. Casting of Combustion Engine Pistons Before and Now on the Example of FM Gorzy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EXTG Ip right invalidated
O064 Revocation of registration by opposition: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