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7603B1 - 건축물 관리인원 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건축물 관리인원 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7603B1
KR100727603B1 KR1020070032614A KR20070032614A KR100727603B1 KR 100727603 B1 KR100727603 B1 KR 100727603B1 KR 1020070032614 A KR1020070032614 A KR 1020070032614A KR 20070032614 A KR20070032614 A KR 20070032614A KR 100727603 B1 KR100727603 B1 KR 100727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s
management
minimum
information
perso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2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온
손재호
이은동
Original Assignee
김재온
손재호
이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온, 손재호, 이은동 filed Critical 김재온
Priority to KR1020070032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76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7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7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건축물 관리인원 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산출 시스템은 복수 개의 건축물의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최적 또는 최소의 인원의 수를 산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해당 건축물의 유지관리에 필요한 소요경비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복수 개의 건축물을 유지관리 대상으로 할 때 최소의 인원이 산출되는 번들(묶음)을 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산출 시스템은 각 건축물 간의 최소 이동시간에 기초한, 상주운영모델, 계속이동 운영모델 및 혼용운영모델의 3개 운영모델에 따른 소요인력과 최소의 소용인력이 산출되는 번들을 구할 수 있다. 이러한 산출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고객 단말기로부터의 고객 정보를 기초로 자동으로 소요인력 및 번들을 산출하여 제공한다.
건축물, 유지관리, 소요인원

Description

건축물 관리인원 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Necessary Human Power for maintaining a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관리운영 모델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최소 이동시간 산출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관리인원 산출시스템 의 구성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관리인원 산출시스템 의 동작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복수 개 시설물의 시설관리에 소요되는 최적의 소요인력, 소요경비 및 유지관리 번들을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는, 건축물 관리인원 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각종 건축물에 대한 종합적인 관리를 외부의 전문 용역업체에 맡기려는 수요가 크게 늘고 있으며, 이러한 수요는 민간부분에 국한되지 않고 공공부분도 마찬가지이며, 정부는 이른바, 비티엘(BTL: Build-Transfer -Lease)방식을 도입하여 각종 공공 건축물에 대한 관리를 외부의 전문 용역업체에 맡기고 있는 실정이다.
건축물에 대한 관리라 함은 다양한 관리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경비용역, 위생관리용역, 시설물관리 및 정기점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1개 시설물에 대한 관리를 고려할 경우, 해당 관리를 위해 소요되는 인원의 수는 해당 시설물에 상주하여 관리하는 인원의 수에 해당할 수 있다. 그러나 복수 개의 시설물에 대한 관리는 반드시 해당 관리인이 상주하여 관리하는 것만을 고려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시설물을 수인의 관리인이 이동하면서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문제는, 현재단계에서, 외부 용역을 의뢰하는 측과 용역을 제공하는 측 어느 쪽도 복수 개의 시설물에 소요되는 최적의 인원을 계산해 내기 위한 기준이나 알고리즘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소요 인원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관리비가 과다하게 적용되어 낭비 요인이 되거나, 과소하게 적용되어 적절한 요구 수준의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반드시 외부 용역업체에 관리용역을 의뢰하는 측면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시설물 관리인력의 고용 및 관리를 위해, 복수 개의 시설물 관리자가 시설물 관리에 필요한 소요인력(또는 소요 관리비)을 계산하는 일반적인 문제로 확대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시설물을 관리할 경우, 시설물의 번들의 구성마다 소요인력 이 차이가 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시설물을 관리할 경우에는 유지관리 번들을 찾아내어 소요인력을 최적화하여 경비를 절감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타당하고 합리적인 기준이 제시되지 못한 점도 있을 뿐 아니라, 고려되어야 할 몇 개의 기준을 선정하더라도 그 계산이 매우 복잡하여 관리자가 시도조차 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개 시설물의 시설관리에 소요되는 최적의 소요인력, 소요경비 및 유지관리 번들을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는, 건축물 관리인원 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네트워크로 접속된 사용자에 대하여 시설관리를 위한 최적의 소요인력, 소요경비 및 유지관리 번들을 자동으로 산출하여 제공하는, 건축물 관리인원 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관리인원 산출 시스템의 관리인원정보 제공방법은, 복수 개의 건축물의 관리를 위한 소요인원의 산출을 요청하는 고객 단말기가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단계; 상기 접속된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건축물 각각의 이름, 관리대상 면적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고객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고객정보에 포함된 상기 복수 개의 건축 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그룹을 모두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각 그룹에 포함된 건축물들을 경유하기 위한 최소 이동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 건축물을 모두 포함하는 상기 생성된 그룹들의 번들을 모두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최소 이동시간을 기초로, 상기 생성된 모든 번들에 대해 전원상주 운영모델, 계속이동 운영모델 및 혼용운영모델에 따른 소요인원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소요인원을 기초로 최소의 소요인원이 산출된 번들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번들에 대한 정보와 상기 산출된 최소 소요인원에 대한 정보를 상기 고객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상주 운영모델은 상기 복수 개의 건축물 각각에 필요한 인원이 계속 상주하는 경우이고, 상기 계속이동 운영모델은 상기 복수 개의 건축물 전체를 소정의 인원이 계속 순회하면서 관리하는 경우이며, 상기 혼용운영모델은 일부 인원이 상기 복수개의 건축물에 상주하고, 일부 인원은 상기 복수 개의 건축물을 순회하며 관리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혼용운영모델에서의 소용인원은 일부 상주하는 인원과 일부 이동하는 인원의 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일부 상주하는 인원은 다음의 수학식
Figure 112007025679112-pat00001
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일부 이동하는 인원은 다음의 수학식
Figure 112007025679112-pat00002
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서, 상기 as는 대상 건축물의 관리면적, ah는 관리원 1인의 1시간당 관리면적, td는 관리원 1인의 1일 업무시간, tm은 건축물 간 이동시간이다.
또한, 상기 고객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는, 소정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인건비를 기초로, 상기 산출된 최소 소요인원에 따른 상기 복수 개 건축물의 관리를 위한 최소 소요경비를 상기 최소 소요인원과 함께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최소 이동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도 정보를 기초로, 컴플리트 링키지(Complete Linkage)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그룹에 포함된 건축물을 경유하기 위한 최소의 이동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관리운영 모델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경비, 위생관리, 설비관리 및 기타 정기점검 등을 포함하는 건축물에 대한 다양한 관리항목 중에서 위생관리 항목을 기초로 설명한다. 실제로 위생관리 항목이 건축물에 대한 전체 관리항목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최적 소요경비는 산출된 최적 소요인력에 소정의 관리원당 인건비를 곱하는 방법 등에 의해 당연히 결정될 수 있는 것이므로, 이하의 설명은 최적(또는 최소) 소요인력 산출에 대해 설명으로 최적 소요경비 산출에 대한 설명을 대신한다.
본 발명의 최적 소요인력 산출은 복수 개의 건축물 간의 실제 거리에 따른 이동 소요시간을 산출기준 중 하나로 고려한다. 여기서, 실제 거리 및 이동 소요시간은 통상의 지도정보 또는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또는 그 알고리즘)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a)전원상주 운영모델, (b)계속이동 운영모델 및 (c)혼용운영모델을 포함하는 3가지의 운영모델을 제시한다. 도 1의 (a)는 전원상주 운영모델, (b)는 계속이동 운영모델, 그리고 (c)는 혼용운영모델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을 위해 다음의 표 1과 같은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건축물 위생관리면적(m2) 비 고
4,872 위생관리원 1일 업무시간 : 8시간 위생관리원 1인 상주시 1시간당 위생관리면적 : 165.28 m2 위생관리원 1인 1일당 위생관리면적 : 1322.31 m2
3,844
2,954
3,668
3,558
1,460
표 1에서, 위생관리원 1인 1일당 위생관리면적은, 소정의 값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한국건물위생관리협회의 기준을 준용하였다.
(a)의 전원상주 운영모델은 각 건축물에 필요한 소요인력을 별개로 계산하여 각 건축물에 배치하는 방법이다. 이에 따라 전원상주 운영모델에 따른 소요인력의 산정은 다음의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07025679112-pat00003
여기서, n은 건축물의 수, as는 대상 건축물의 위생관리면적, ah는 위생관리인원 1인 상주시의 1시간당 위생관리면적, td는 위생관리원 1인의 1일 업무시간이다. 따라서 수학식 1에 따르면 전원상주 운영모델에 따른 소요인원은 각 건축물의 위생관리를 위해 필요한 것으로 산출된 인원을 전부 더한 것이 된다. 전원상주 운영모델에서는 건축물과 이동관리가 없으므로, 계속 상주를 위해 산출결과를 라운드 업(Round up)할 필요가 있다.
수학식 1을 기초로 표 1의 건축물에 대한 전원상주 운영모델에서의 소요인원을 계산하면 다음의 표 2와 같다.
건축물 위생관리면적 (as) 위생관리소요시간 (as ÷ ah) 필요인원 (as ÷ ah ÷ td) 최종 인원 (Round up)
4,872 29.48 3.68 4
3,844 23.26 2.91 3
2,954 17.87 2.23 3
3,668 22.19 2.77 3
3,558 21.53 2.69 3
1,460 8.83 1.10 2
합 계 18 명
(b)의 계속이동 운영모델은 소요되는 관리인력 전부가 계속 순회 이동하면서 각 건축물을 관리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각 건축물간 이동시간이 고려되어야 한다. 여기서 이동시간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 장치 등을 이용한 최적(또는 최소) 경로에 따른 이동시간이어야 한다.
도 1의 (b)는, 전체 관리인원이 계속 순회 이동하면서 관리함을 도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계속이동 운영모델에 따른 소요인력의 산정은 다음의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112007025679112-pat00004
여기서, am은 위생관리원 이동시 1인의 1시간당 위생관리면적, tm은 건축물 간 이동시간이다. td-tm은 이동 관리원의 1인당 1일 업무시간에서 이동시간을 뺀 것으로, 1일 순수 업무시간이 된다. 편의상 ah(위생관리원 상주시 1인의 1시간당 위생관리면적)와 am(위생관리원 이동시 1인의 1시간당 위생관리면적)은 동일한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수학식 2를 참조하면, (b)의 계속이동 운영모델의 계산은 전원상주 운영모델의 계산식에서 각 건축물 간 이동 소요시간을 고려한 것이다.
수학식 2를 기초로 표 1의 건축물에 대한 계속이동 운영모델에서의 소요인원을 계산하면 다음의 표 3과 같다.
건축물 위생관리면적 (as) 위생관리소요시간 (as ÷ am) 이동 시간 산출 결과
4,872 29.48 1.83 1인당 순수 업무시간: 6.17 필요 인원 : 19.96 필요 인원 : 20 명
3,844 23.26
2,954 17.87
3,668 22.19
3,558 21.53
1,460 8.83
합 계 123.16
(c)의 혼용운영모델은 건축물의 전부 또는 일부에 일부 인력을 상주시키고 나머지 관리인원은 순회 이동시키면서 관리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이동 관리원은 상주 관리원에 의해 관리되지 못하는 영역을 관리하게 된다. 혼용운영모델도 계속이동 운영모델과 마찬가지로, 각 건축물간 이동시간이 고려되어야 한다.
도 1의 (c)는, 전체 관리인원 중 일부만이 계속 순회 이동하면서 관리함을 도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혼용운영모델에 따른 소요인력의 산정은 다음의 수학식 3과 같다.
혼용모델-소용인원 = 일부상주소요인원 + 일부이동소요인원
여기서, 일부상주소요인원은 다음의 수학식 4와 같다.
Figure 112007025679112-pat00005
혼용운영모델에서, aih는 일부 상주 관리원 1인의 1시간당 관리면적, 일부 상주인원은 각 건축물에 대해 (as÷aih÷td)를 수행한 결과를 라운드 다운한 값을 모두 더한 것이 된다. 혼용운영모델의 경우, 상주 관리원의 위생관리영역이 특별한 부분에 한정되어, 전원상주운영모델에서의 위생관리면적과 달라질 수 있으므로, ah와 다른 aih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aih는 전원 상주 관리원의 시간당 관리면적인 ah와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일부이동소요인원은 다음의 수학식 5와 같다.
Figure 112007025679112-pat00006
aim는 혼용운영모델에서 일부 이동 관리원 1인의 1시간당 관리면적이다. 다만, aim은 계속 이동시 관리원 1인의 시간당 위생관리면적 am과 같을 수 있다. 수학식 3 내지 5를 기초로 표 1의 건축물에 대한 혼용운영모델에서의 소요인원을 계산하면 다음의 표 4과 같다.
건축물 위생 관리 면적 위생 관리 소요 시간 상주 인원 (Round down) 부족한 위생 관리 시간 이동 시간 이동관리원 순수업무시간 이동 인원 최종 이동 인원 최종 인원
4,872 29.48 3 5.48 1.83 6.17 4.40 5 17 명
3,844 23.26 2 7.26
2,954 17.87 2 1.87
3,668 22.19 2 6.19
3,558 21.53 2 5.53
1,460 8.83 1 0.83
합 계 20,221 122.34 12 27.16
표 2 내지 4의 결과를 기초로 하면, 표 1의 제시된 6개의 건축물을 통합적으로 관리함에 있어서는 혼합운영모델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최적의 소요인원이 요구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방법은 기본적으로, 각 건축물 간의 이동시간이 최적(또는 최소)의 경로에 따른 최소 이동시간에 기초해야 한다.
또한, 6개의 건축물을 어떠한 그룹으로 나누어 산출할 것인지를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6개의 건축물 중 일부가 거리상 너무 떨어져 있어 전체 이동시간을 과도하게 높일 수 있다. 이러한 것은 결국 해당 건축물을 같은 그룹으로 포함시키는 것이 계속이동 운영모델 또는 혼용운영모델 상의 최종 산출인원의 수를 과도하게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먼저, 도 2를 기초로 최소 이동시간을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최소 이동시간 산출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 개의 건축물들(A, B, C, D)이 도시되어 있다. 각 건축물(A, B, C, D) 사이에 표시된 숫자는 거리(Km)를 나타낸다. 예컨대, A 건축물과 B 건축물은 2 Km 떨어져 있고, B 건축물과 C 건축물은 5 Km 떨어져 있다.
최소 이동시간 산출방법은 최소 이동거리 산출에 대응된다. 각 건축물 간의 거리 및 거리당 이동 소요시간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할 수 있으며, 또는 기 설정된 값을 사용할 수 있다.
최소 이동거리 산출은 다양한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으며, 컴플리트 링키지(Complete Linkage) 알고리즘이 그 일 예이다. 컴플리트 링키지 알고리즘은 거리가 가장 가까운 개체를 묶어서 군집을 형성하고, 다음 단계로 군집과 나머지 개체와의 최대거리를 계산한 후 가장 가까운 개체와 다시 군집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도 2에서, 먼저 두 객체 간의 거리 중 거리가 가장 가까운 {A, D}를 선택한다. 그리고, {A, D}를 기준으로 양 끝점 즉 {A}, {D}를 기준으로 각 개체간의 가장 가까운 객체를 선택한다. 본 예에서는 {A, C}=2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C, A, D}라는 객체의 그룹이 형성되었다.
이후 {C}, {D}점에서 가장 가까운 객체를 선택해야 한다. 본 예에서는 {B, D}를 선택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C, A, D, B}라는 객체 간의 그룹이 형성된다. 결국 최소 이동 경로는 C→A→D→B이고, 최소 이동 거리는 6km가 된다.
최소 이동 거리가 결정되면, 최소 이동시간은 기 설정된 시간당 이동거리를 기초로 최소 이동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상의 방법 등을 이용하여, 본 발명은 컴플리트 링키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모든 조합 가능한 경우의 그룹(예를 들어, {A,B}, {A,C}, {A,B,D}, ..., {A,B,C,D})을 생성하고 각 그룹의 최소 이동시간을 구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의 방법은 대상 건축물을 모두 포함하도록, 모든 가능한 그룹들 중에서 선택된 그룹들의 번들(Bundle)을 모두 생성하고, 생성된 각 번들에 대해 앞의 각 운영 방식에 따른 수학식을 적용하여 최소 인원이 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번들을 찾게 된다. 예를 들어, 도 2의 대상 건축물에 대한 번들은 다음의 표 5의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 분 번들의 구성 최소 관리인원
번들 1 {A,B,C,D} 전원상주운영 - 14 명
번들 2 {A,B}, {C,D} A-B, C-D 각각 혼합운영 - 14 명
번들 3 {A}, {B,C,D} A: 상주, B-C-D: 혼합운영 -13 명
... ... ...
번들 n {A}, {B}, {C}, {D} 전원상주운영 - 12 명
선택된 최종 번들 {A}, {B,C,D} A: 상주, B-C-D: 혼합운영 -13 명
표 5의 최소 관리인원은 각 번들에 기초하여 구해진 최소 관리인원의 예시이다. 표 5와 달리, 최소 인원이 산출되는 번들은 당연히 복수 개 나올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상 건축물 중 일부가 거리상 너무 떨어져 있는 등의 이유로, 최종 산출인원의 수를 과도하게 높게 나오는 그룹(또는 건축물)을 배제하면서 최적의 번들을 찾는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관리인원 산출시스템 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관리인원 산출시스템 의 동작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건축물 관리인원 산출시스템 (310)은 네트워크(350)를 통해 고객 단말기(331, 333)와 연결된다.
네트워크(350)는 통상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서, 건축물 관리인원 산출시스템 (310)과 고객 단말기(331, 333)를 연결한다. 인터넷은 가장 일반적인 네트워크(350)의 예가 될 수 있다.
고객 단말기(331, 333)는 네트워크(350)에 접속할 수 있는 장치로서,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피디에이(PDA), 기타 다른 고객의 전산시스템 등이 해당할 수 있다.
고객 단말기(331, 333)는 네트워크(350)를 통해 건축물 관리인원 산출시스템 (310)에 접속할 수 있으며, 건축물 관리인원 산출시스템 (310)이 제공하는 각종 인터페이스에 따라 건축물 최소 관리인원 또는 최소 관리비용 산출을 위한 고객 정보를 건축물 관리인원 산출시스템 (310)에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고객 정보라 함은, 대상 건축물의 이름, 각 대상 건축물의 관리대상 면적 그리고 각 대상 건축물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건축물 관리인원 산출시스템 (310)은 인터페이스부(311), 데이터베이스(313), 소요시간산출부(315) 및 최소인원산출부(317)를 포함하여, 고객 단말기(331, 333)의 요청에 따라 복수 개의 대상 건축물에 대한 최소 관리인원 및 최소 관리비용을 산출하여 제공한다.
인터페이스부(311)는 네트워크(35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350)를 통해 접속하는 고객 단말기(331, 333)를 위한 소정의 인터페이스 정보(또는 그 화면)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311)는 고객 단말기(331, 333)로부터 입력되는 고객 정보를 최소인원산출부(317)로 제공하며, 최소인원산출부(317)로부터 최종 산출한 최종 소요인원 또는 소용비용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고객 단말기(331, 333)로 전달한다.
데이터베이스(313)는 각종 고객 정보, 소요인원 산출에 필요한 기본 정보, 지도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소요인원 산출에 필요한 기본 정보는 수학식 1 내지 5의 계산을 위해 필요한 정보로서, 상주 또는 이동시의 관리원 1인당 관리면적에 대한 정보, 관리원 1인당 업무시간 정보, 관리원의 인건비 등을 말한다.
또한, 지도정보에 대해,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베이스(313)는 모든 지도 정보를 저장하지 않고, 외부의 지도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필요한 지도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소요시간산출부(315)는 최소인원산출부(317)로부터 전달받은 그룹에 대한 최소 이동 소요시간을 산출한다. 이를 위해, 소요시간산출부(315)는 데이터베이스(313)에 저장된 지도정보를 기초로 각 그룹에 포함된 건축물 간의 거리를 구한 후, 구해진 거리정보를 기초로 컴플리트 링키지 알고지즘 등을 이용하여 최소 이동 소요시간을 산출하여 최소인원산출부(317)에게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라, 소요시간산출부(315)가 직접 거리정보를 구하지 않고, 외부의 정보서버에게 해당 건축물의 위치를 제공하여 거리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최소인원산출부(317)는 인터페이스부(311)로부터 고객 정보를 입력받으면, 고객 정보에 포함된 복수 개 대상 건축물에 대한 최소 소요인력 또는 소요경비를 산출하여 인터페이스부(311)로 제공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건축물 관리인원 산출시스템 (310)의 동작을 설명한다.
인터페이스부(311)는 네트워크(350)를 통해 접속된 고객 단말기(331, 333)로부터 고객 정보를 입력받아 최소인원산출부(317)로 전달한다(S401).
최소인원산출부(317)는 고객정보를 기초로, 복수 개 대상 건축물에 기초한 조합 가능한 그룹들을 구하고, 해당 그룹들에 대한 고객정보를 소요시간산출부(315)로 제공하여 해당 그룹들 각각에서의 최소 이동 소요시간을 산출토록 한다. 소요시간산출부(315)는 앞서 설명한 방법으로 각 그룹들의 최소 이동시간을 산출하여 최소인원산출부(317)로 제공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최소 이동시간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서버로부터 입력받을 수도 있다(S403).
최소인원산출부(317)는 각 그룹에 대한 최소 이동 소요시간 정보를 소요시간산출부(315)로부터 제공받으면, 해당 각 그룹의 소요시간 정보를 기초로 가능한 번들을 정리한다. 최소인원산출부(317)는 가능한 번들들 각각에 대해 앞의 3가지 운영모델에 따른 소요인원을 산출한다(S405).
최소인원산출부(317)는 최소 소요인원이 나오는 적어도 하나의 번들(최적 번들)을 구한 다음, 해당 적어도 하나의 최적 번들에 대한 정보와 최소 소요인원에 대한 정보를 인터페이스부(311)로 제공하여 고객 단말기(331, 333)에게 전달되도록 한다. 또한, 이 경우 최소인원산출부(317)는 데이터베이스(313)로부터 추출한 1 인당 비용기준에 기초하여, 최소 소요인원에 대응되는 관리비용을 산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S407).
이상 설명된 방법 또는 시스템은 위생관리를 기초로 설명되었으나, 다른 건축물 관리분야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이다. 이상의 방법을 통해 건축물 관리인원 산출시스템 (310)은 복수 개의 건축물에 대한 최소 관리인력 또는 최소 관리비용을 산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컴퓨터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필요한 동작의 수행에 필요한 코드 세그먼트(code segment)로 대치될 수 있다. 프로그램이나 코드 세그먼트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전송매체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반송파(carrier waves)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로서 전송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매체는 전자회로, 반도체 메모리 소자, 롬(ROM), 플래시(Flash) 메모리,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광학적 디스크, 하드(Hard) 디스크, 광섬유, 무선 네트워크 등과 같이 정보를 전달하고 저장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데이터는 전기적 네트워크 채널, 광섬유, 전자기장, 무선 네트워크 등을 통해 전송될 수 있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관리인원 산출 시스템은 복수 개의 건축물의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최적 또는 최소의 인원의 수와 최소의 경비가 산출되는 최적의 번들을 자동으로 산출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해당 건축물의 유지관리에 필요한 소요경비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산출 시스템은 각 건축물 간의 최소 이동시간에 기초한, 상주운영모델, 계속이동 운영모델 및 혼용운영모델의 3개 운영모델에 따른 소요인력을 산출할 수 있 다. 또한, 산출 시스템은 최소 이동시간에 기초하여 대상 건축물들을 소정의 그룹으로 조합하는 최적의 번들을 찾아, 최적의 관리비용의 산출이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산출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고객 단말기로부터의 고객 정보를 기초로 자동으로 소요인력을 산출하여 제공함으로써, 특별한 기준없이 운영되는 건축물의 유지관리를 간단히 개선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4)

  1. 복수 개의 건축물의 관리를 위한 소요인원의 산출을 요청하는 고객 단말기가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단계;
    상기 접속된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건축물 각각의 이름, 관리대상 면적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고객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고객정보에 포함된 상기 복수 개의 건축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그룹을 모두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각 그룹에 포함된 건축물들을 경유하기 위한 최소 이동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 건축물을 모두 포함하는 상기 생성된 그룹들의 번들을 모두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최소 이동시간을 기초로, 상기 생성된 모든 번들에 대해 전원상주 운영모델, 계속이동 운영모델 및 혼용운영모델에 따른 소요인원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소요인원을 기초로 최소의 소요인원이 산출된 번들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번들에 대한 정보와 상기 산출된 최소 소요인원에 대한 정보를 상기 고객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상주 운영모델은 상기 복수 개의 건축물 각각에 필요한 인원이 계속 상주하는 경우이고, 상기 계속이동 운영모델은 상기 복수 개의 건축물 전체를 소정의 인원이 계속 순회하면서 관리하는 경우이며, 상기 혼용운영모델은 일부 인 원이 상기 복수개의 건축물에 상주하고, 일부 인원은 상기 복수 개의 건축물을 순회하며 관리하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관리인원 산출 시스템의 관리인원정보 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용운영모델에서의 소용인원은 일부 상주하는 인원과 일부 이동하는 인원의 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일부 상주하는 인원은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결정되고,
    Figure 112007025679112-pat00007
    상기 일부 이동하는 인원은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결정되며,
    Figure 112007025679112-pat00008
    여기서, 상기 as는 대상 건축물의 관리면적, aih는 혼용모델에서의 상주 관리원 1인의 1시간당 관리면적, aim은 혼용모델에서의 이동 관리원 1인의 1시간당 관리면적, td는 관리원 1인의 1일 업무시간, tm은 건축물 간 이동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관리인원 산출 시스템의 관리인원정보 제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는,
    소정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인건비를 기초로, 상기 산출된 최소 소요인원에 따른 상기 복수 개 건축물의 관리를 위한 최소 소요경비를 상기 최소 소요인원과 함께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관리인원 산출 시스템의 관리인원정보 제공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이동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도 정보를 기초로, 컴플리트 링키지(Complete Linkage)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그룹에 포함된 건축물을 경유하기 위한 최소의 이동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관리인원 산출 시스템의 관리인원정보 제공방법.
KR1020070032614A 2007-04-03 2007-04-03 건축물 관리인원 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27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614A KR100727603B1 (ko) 2007-04-03 2007-04-03 건축물 관리인원 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614A KR100727603B1 (ko) 2007-04-03 2007-04-03 건축물 관리인원 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7603B1 true KR100727603B1 (ko) 2007-06-14

Family

ID=38359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2614A KR100727603B1 (ko) 2007-04-03 2007-04-03 건축물 관리인원 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76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7657B1 (ko) * 2018-05-15 2018-12-10 오순임 청소인원 관리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5811A (ja) * 1995-08-11 1997-02-25 Toshiba Corp ビル群管理システム
KR20000064132A (ko) * 2000-08-23 2000-11-06 최상희 자동화기술과 인터넷 구현 기술을 결합 이용한 공동주택온 라인 종합관리 서비스 및 사이버 관리사무소를중심으로 한 인트라 네트워크와 컨텐츠 제공 서비스
KR20020085052A (ko) * 2001-05-04 2002-11-16 에스케이 주식회사 인터넷을 통한 설비의 정비비용 자동 산출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40092784A (ko) * 2003-04-29 2004-11-04 안용재 인터넷을 이용한 건축물 정보 관리 및 제3자 활용시스템과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5811A (ja) * 1995-08-11 1997-02-25 Toshiba Corp ビル群管理システム
KR20000064132A (ko) * 2000-08-23 2000-11-06 최상희 자동화기술과 인터넷 구현 기술을 결합 이용한 공동주택온 라인 종합관리 서비스 및 사이버 관리사무소를중심으로 한 인트라 네트워크와 컨텐츠 제공 서비스
KR20020085052A (ko) * 2001-05-04 2002-11-16 에스케이 주식회사 인터넷을 통한 설비의 정비비용 자동 산출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40092784A (ko) * 2003-04-29 2004-11-04 안용재 인터넷을 이용한 건축물 정보 관리 및 제3자 활용시스템과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7657B1 (ko) * 2018-05-15 2018-12-10 오순임 청소인원 관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itropoulos et al. Combining DEA with location analysis for the effective consolidation of services in the health sector
US10062042B1 (en) Electronically assigning tasks to workers while the workers are distributed among different locations within a work area
Shao et al. The therapist routing and scheduling problem
US8645158B2 (en) Displaying clinical predicted length of stay of patients for workload balancing in a healthcare environment
CN103581283A (zh) 用于控制支持中心的方法和系统
US2008024358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llocating representatives to sites in clinical trials
Bard Staff scheduling in high volume service facilities with downgrading
KR102032059B1 (ko) 매장 내 대기열 안내 시스템
US20140136221A1 (en) Online matching system between patient and curer
CN108921391A (zh) 一种业务分配方法及装置
CN107220800A (zh) 基于区域的人才供需信息系统
CN109214666A (zh) 一种智能化客服管理调控系统
Grot et al. Fairness or efficiency-Managing this conflict in emergency medical services location planning
KR100727603B1 (ko) 건축물 관리인원 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242123B (zh) 一种医疗机构预约检验方法
CN116011798B (zh) 一种用于智慧城市的居民网格化管理调配方法
Alves et al. Periodic vehicle routing problem in a health unit
CN112669945A (zh) 一种智能分诊排序方法
Moline et al. Approaches for Locating and Staffing FEMA's Disaster Recovery Centers
CN108694182A (zh) 活动推送方法、活动推送装置和服务器
Ansarilari et al. Transfer time optimisation in public transit networks: assessment of alternative models
KR102036902B1 (ko) 사용자 맞춤형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674185B1 (ko) 근무 교번 설정 시스템 및 방법
CN114091797A (zh) 智能派工的方法和装置
KR100901531B1 (ko) 디지털컨텐츠 제작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