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4185B1 - 근무 교번 설정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근무 교번 설정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4185B1
KR101674185B1 KR1020140182662A KR20140182662A KR101674185B1 KR 101674185 B1 KR101674185 B1 KR 101674185B1 KR 1020140182662 A KR1020140182662 A KR 1020140182662A KR 20140182662 A KR20140182662 A KR 20140182662A KR 101674185 B1 KR101674185 B1 KR 101674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alternation
work alternation
setting
sh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2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3840A (ko
Inventor
오석문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82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4185B1/ko
Publication of KR20160073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3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1Collaborative creation, e.g. joint development of products or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무 교번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무 교번 설정 방법은 실행 가능한 모든 경우의 근무 교번 집합을 생성하는 단계; 근무 교번 집합을 근무 환경에 따른 비용계수값의 총합에 기초하여 정렬하는 단계; 정렬된 근무 교번 집합에 기초하여 제 1 근무 교번 집합 및 제 2 근무 교번 집합을 설정하는 단계; 및 제 1 근무 교번 집합 및 제 2 근무 교번 집합의 근무 교번 집합을 근로자에게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정렬된 근무 교번 집합에 기초하여 제 1 근무 교번 집합 및 제 2 근무 교번 집합을 설정하는 단계는 비용계수값의 총합이 높은 상위 근무 교번 집합 중, 미리 설정된 개수에 해당하는 근무 교번 집합을 제 1 근무 교번 집합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교번 집합 중 근로자의 개별 선호도를 평준화 하도록 하는 제 2 근무 교번 집합을 설정한다.

Description

근무 교번 설정 시스템 및 방법{SCHEDULING SYSTEM FOR DUTY}
본 발명은 근무 교번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항공사의 승무원 스케줄링, 철도 운영사의 기관사 스케줄링 및 병원의 간호사 스케줄링과 같은 인력운영 스케줄링 문제는 일반적으로 근무 교번 설정 문제와 인력을 근무 교번에 할당하는 문제가 존재한다.
기존의 근무 교번을 설정하는 방법은 대체로 개별 근무자들의 근무 강도, 근무의 용이성 및 이에 따른 보수를 평준화하는 방법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개별적으로 보수와 근무 용이성 측면에서 선호가 다른 개별 근무자의 만족도는 미흡할 가능성이 있으며, 전반적인 근무 용이성이 하향평준화 될 가능성이 높다.
한편,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70935호 (발명의 명칭: 현장 작업자 할당 장치 및 방법)는 고객이 요청한 작업 시간, 작업 위치 및 작업 종류를 포함한 작업 정보를 입력 받아 작업 위치에 따른 작업 구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작업 구역에 해당하는 작업자 리스트를 검색하고, 작업자 리스트에 해당하는 복무 정보를 검색하며, 복무 적합 작업자 정보를 대상으로 예측된 작업 소요 시간 및 이동 시간을 이용하여 최적의 작업자를 검색하여 지정해주는 현장 작업자 할당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근로자의 선호를 감안한 근무 교번 설정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근무 교번 설정 방법은 실행 가능한 모든 경우의 근무 교번 집합을 생성하는 단계; 근무 교번 집합을 근무 환경에 따른 비용계수값의 총합에 기초하여 정렬하는 단계; 정렬된 근무 교번 집합에 기초하여 제 1 근무 교번 집합 및 제 2 근무 교번 집합을 설정하는 단계; 및 제 1 근무 교번 집합 및 제 2 근무 교번 집합의 근무 교번 집합을 근로자에게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정렬된 근무 교번 집합에 기초하여 제 1 근무 교번 집합 및 제 2 근무 교번 집합을 설정하는 단계는 비용계수값의 총합이 높은 상위 근무 교번 집합 중, 미리 설정된 개수에 해당하는 근무 교번 집합을 제 1 근무 교번 집합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교번 집합 중 근로자의 개별 선호도를 평준화 하도록 하는 제 2 근무 교번 집합을 설정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잡하고 근무 강도가 높은 근무 교번에 대하여 일반적인 근무 교번보다 높은 보수를 책정하여 근무 교번을 설정함으로써,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근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근로자의 선호를 감안하여 근무 교번을 설정함으로써, 근무자의 개별적인 선호를 충족하여 직무의 만족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무 교번 설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무 교번 설정 시스템의 근무 교번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무 교번 설정 방법에서 고려되는 철도 승무원의 근무 교번 조합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행 가능한 근무 교번 집합과 개별 근무 집합의 관계를 나타내는 행렬을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무자 선호를 감안한 근무 교번 설정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무 교번 설정 방법에서 고려되는 근무 조건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설정된 철도 승무원의 근무 교번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덧붙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나는 구성부들은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들을 나타내기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되는 것으로, 각 구성부들이 분리된 하드웨어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단위로 이루어짐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각 구성부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구성부로 나열하여 기술되고, 각 구성부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부가 합쳐져 하나의 구성부로 이루어지거나,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 개의 구성부로 나뉘어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각 구성부의 통합된 실시 예 및 분리된 실시 예도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따른 근무 교번 설정 시스템에 대해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무 교번 설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무 교번 설정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모듈(110), 메모리(120), 및 프로세서(130) 등을 포함하는 실제 하드웨어를 탑재한 컴퓨팅 장치이다. 예를 들어, 근무 교번 설정 시스템(10)은 서버 컴퓨터(server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데스크톱 컴퓨터(desktop computer) 및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등 일반적인 컴퓨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모듈(110)은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네트워크 모듈(110)은 근로자 단말로부터 보수의 중요도 또는 근무의 용이성 등의 근무 선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모듈(110)은 근무 교번 설정 결과 또는 근무 교번 스케쥴을 근로자 단말에 송신 가능하다.
이때, 근로자 단말은 휴대용 단말기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패드(Smart Pad)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테블릿 PC(tablet PC) 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근무 교번 설정 프로그램과 네트워크 모듈(110)로부터 수신된 근무자의 근무 선호 정보 및 근무 교번 설정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120)는 컴퓨터 저장 매체중의 하나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프로세싱 유닛(130)은 메모리(120)에 저장된 근무 교번 설정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실행가능한 모든 경우의 근무 교번을 생성하고, 근무 교번을 근무 환경에 따른 비용계수값에 기초하여 정렬한다. 프로세싱 유닛(130)은 비용계수값의 총합이 높은 상위 근무 교번 집합 중, 미리 설정된 개수에 해당하는 근무 교번 집합을 제 1 근무 교번 집합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근무 교번 집합 중 근로자의 개별 선호도를 평준화 하도록 하는 제 2 근무 교번 집합을 설정하여 제 1 근무 교번 집합 및 제 2 근무 교번 집합의 근무 교번 집합을 근로자에게 할당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무 교번 설정 시스템의 근무 교번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무 교번 설정 방법은 근무 교번을 생성하는 단계(s100); 근무 선호 정보를 바탕으로 제 1 근무 교번 집합을 설정하는 단계(s200); 제 2 근무 교번 집합을 설정하는 단계(s300); 근무 교번을 근로자에게 할당하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무 교번 설정 방법은 먼저, 근무 교번을 생성하는 단계(s100)에서 실행 가능한 모든 경우의 근무 교번 집합을 생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무 교번 설정 방법에서 고려되는 철도 승무원의 근무 교번 조합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p는 교번의 부호를 의미하며, f는 열차 번호와 같은 개별 근무의 부호를 나타낸다. 일례로, 17대의 열차와 6명의 근로자가 있다고 가정 하였을 때, 교번 p1은 근무 {f2, f5, f12}으로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개별 근무 부호 f가 실행 가능한 교번에 속하는 경우 1로 나타내고, 그렇지 않은 경우, 0으로 나타내게 되면, p1은 {010010000001} 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행 가능한 근무 교번 집합과 개별 근무 집합의 관계를 나타내는 행렬을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무 교번 설정 방법은 근무 교번을 생성하는 단계에서, 실행 가능한 모든 교번 집합을 각각의 근무 교번과 개별 근무 인덱스를 나타내는 하나의 행렬로써 표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무자 선호를 감안한 근무 교번 설정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무 교번 설정 방법은 근무 선호 정보를 바탕으로 제 1 근무 교번 집합을 설정하는 단계(s200)에서, 실행 가능한 교번 집합 p에 대하여 근무 강도 및 근무의 불편성을 나타내는 비용계수값의 총합을 산출하고, 비용계수값의 총합을 기준으로 모든 실행 가능한 근무 교번 집합을 정렬한다. 따라서, 비용계수값의 총합이 높은 상위 근무 교번 집합 중, 미리 설정된 개수에 해당하는 근무 교번 집합을 제 1 근무 교번 집합(210)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근무 교번 집합에서 제 2 근무 교번 집합(220)을 설정할 수 있다. 제 2 근무 교번 집합(220)을 설정하는 방법은 추후에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제 1 근무 교번 집합(210)의 개수 및 제 2 근무 교번 집합(220)의 개수는 차등화된 보수, 즉 급여의 총량이 차등화 하기 이전의 방법과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무 교번 설정 방법은 근로자 단말로부터 근로 선호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수집된 특정 근무형태를 선호하는 근로자의 수를 함께 고려하여 제 1 근무 교번 집합(210)의 개수와 제 2 근무 교번 집합(220)의 개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무 교번 설정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값은 비용값 이외에, 근로자의 근무 조건들이 부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으며, 부가적인 근무 조건은 일례로 근무 조건에 대한 규정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무 교번 설정 방법에서 고려되는 근무 조건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근무자 선호를 고려한 근무 교번 설정방법은 수학식 1과 같은 수리 모형으로 표현 될 수 있으며, 수학식 1은 모든 개별근무가 최소 하나의 패턴에 포함되도록 하며, 둘 이상의 패턴에 중복으로 포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목적 함수와 근로자들의 근무 조건 규정을 반영하는 목적 함수를 포함한 수학식 2 내지 수학식 5와 같은목적 함수를 갖는다.
Figure 112014122877354-pat00001
Figure 112014122877354-pat00002
Figure 112014122877354-pat00003
Figure 112014122877354-pat00004
Figure 112014122877354-pat00005
여기서, P 는 실행 가능한 근무 교번의 인덱스 집합,
P1은 제 1 근무 교번 집합,
P2는 제 2 근무 교번 집합,
F는 개별 근무의 인덱스 집합,
afp는 근무 f가 실행 가능한 교번 p에 속하면 1, 그렇지 않으면 0을 나타내는 행렬,
rp는 실행 가능한 교번 p에 대한 근무 강도 및 근무의 불편성을 나타내는 비용 계수,
Q는 근무자의 근무조건을 나타내는 부가 제약식의 인덱스 집합,
bpq 는 실행 가능한 근무 교번 p가 근무조건을 나타내는 부가 제약식 q에 관여되는 계수(contribution),
eq는 근무조건을 나타내는 부가 제약식 q의 한계 값 (우변항).
y1 p = 1는 실행 가능한 근무 교번 p가 보수를 중시하는 집합으로 선택되는 경우,
y2 p = 1 실행 가능한 근무 교번 p가 근무 용이성을 중시하는 집합으로 선택되는 경우,
Figure 112014122877354-pat00006
,
Figure 112014122877354-pat00007
을 나타낸다.
상술한 수리 모형에서, 제 1 근무 교번 집합(210)을 나타내는 P1은, 근무 조건이 열악하고 근로자의 선호가 다른 근무 교번에 비해 현저히 낮아서 높은 보수를 책정하거나, 인센티브를 부여한 근무 교번 집합이다. 따라서, 제 1 근무 교번 집합(210)은 보수를 중요시하는 근로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반대로, 제 2 근무 교번 집합(220)을 나타내는 P2는, P1에 속해있는 근무 교번들에 비하여 근무 조건이 용이하고 대부분의 근로자가 선호하는 근무 교번의 집합이다. 따라서, 높은 보수보다는 근무의 용이성을 중요시하는 근로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z2 p함수는 개별적인 근무 교번 p에 대한 근로자의 선호를 반영할 수 있다. 이때, 근로자의 선호는 일례로, 근무 교번 p를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교번 p를 수행하기에 따른 개별 근무자의 이동거리, 또는 밤 근무, 휴일 근무, 휴일 전 후와 같은 교번 p의 근무 일시 등 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무 교번 설정 방법은 제 2 근무 교번 집합을 설정하는 단계에서, 제 1 근무 교번 집합을 제외한 나머지의 실행 가능한 근무 교번 집합 중, 근로자의 수에서 제 1 근무 교번 집합을 뺀 나머지 수만큼의 제 2 교번 집합을 설정한다.
이때, 제 2 교번 집합을 설정하는 수리 모형은 수학식 6과 같으며, 수학식 6은 수학식 7 내지 수학식 9와 같은 목적함수를 갖는다.
Figure 112014122877354-pat00008
Figure 112014122877354-pat00009
Figure 112014122877354-pat00010
상술한 바에 의하여 근로자의 선호를 반영하는 제 1 근무 교번 집합 및 제 2 근무 교번 집합이 설정되면, 근무 교번을 근로자에게 할당하는 단계에서 설정된 근무 교번 집합을 근로자에게 개별적으로 송신하고 입찰 과정을 통하여 근무 교번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무 교번 설정 방법은 근로자 단말로부터 수집하여 저장된 근로 선호 정보를 기초로 근로자를 제 1 근무 교번 집합을 선호하는 제 1 그룹 및 제 2 근무 교번 집합을 선호하는 제 2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일례로, 제 1 그룹은 보수를 중요시 하는 근로자 그룹일 수 있고, 제 2 그룹은 근무의 용이성을 중요시하는 그룹일 수 있다. 따라서, 제 1 근무 교번 집합을 선호하는 근로자 집단 인 제 1 그룹에, 제 1 근무 교번 집합을 전송할 수 있고, 제 2 근무 교번 집합을 선호하는 제 2 그룹에, 제 2 근무 교번 집합을 전송함으로써, 근로자가 선호하는 근무 교번 집합 내에서 근무 교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설정된 철도 승무원의 근무 교번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근무 교번 1의 경우 근무 f2가 터미널에서 시작하지 않고 주박지에서 시작하도록 계획이 되어 있으며, 근무 교번 4의 경우 역시, 근무 f15가 터미널에서 끝나지 않고 중간 주박지에서 종료하도록 계획이 되어있다. 따라서, 해당 승무원들은 터미널에서 주박지까지 별도의 방법으로 개별 이동하여 근무를 시작하거나 종료해야 한다. 이때, 주박지에서 근무가 시작되거나, 주박지에서 근무가 종료되는 근무 교번의 경우, 다른 근무 교번에 비하여 더 높은 보수를 책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무 교번 설정 방법은 복잡하고 근무 강도가 높은 근무 교번에 대하여 일반적인 근무 교번보다 높은 보수를 책정하여 근무 교번을 설정함으로써, 근로자로 하여금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근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근무 교번 설정 시스템 110 : 네트워크 모듈
120: 메모리 130 : 프로세싱 유닛

Claims (8)

  1. 근무 교번 설정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근무 교번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근무 교번 설정 시스템이 실행 가능한 모든 경우의 근무 교번을 수집하여, 근무 교번 집합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근무 교번 설정 시스템이 상기 근무 교번 집합을 근무 환경에 따른 비용계수값의 총합에 기초하여 정렬하는 단계;
    상기 근무 교번 설정 시스템이 상기 정렬된 근무 교번 집합에 기초하여 제 1 근무 교번 집합 및 제 2 근무 교번 집합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근무 교번 설정 시스템이 상기 제 1 근무 교번 집합 및 제 2 근무 교번 집합에 포함된 근무 교번 집합을 근로자에게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정렬된 근무 교번 집합에 기초하여 제 1 근무 교번 집합 및 제 2 근무 교번 집합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근무 교번 설정 시스템이 상기 비용계수값의 총합이 높은 상위 근무 교번 집합 중, 미리 설정된 개수에 해당하는 근무 교번 집합을 제 1 근무 교번 집합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교번 집합 중 근로자의 개별 근무 선호 정보를 평준화 하도록 하는 제 2 근무 교번 집합을 설정하는 것이고,
    상기 비용계수값은 근무 교번에 대응하는 근무 강도 및 근무의 불편성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것인 근무 교번 설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무 교번 설정 시스템이 상기 비용계수값의 총합에 기초하여, 근무 교번과 급여를 매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근무 교번과 매칭되는 급여는 상기 비용계수값의 총합이 높을수록 더 높은 급여가 매칭되도록하는 것인 근무 교번 설정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근무 교번 집합 및 상기 제 2 근무 교번 집합의 개수는, 근무 선호 정보를 반영하기 이전에 정해진 급여의 총량과 같도록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인 근무 교번 설정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무 교번 설정 시스템이 근로자 단말로부터 근무 선호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근무 교번 설정 시스템이 상기 저장된 근무 선호 정보에 따라 상기 근로자의 단말에 대응하는 근로자를 제 1 그룹 및 제 2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렬된 근무 교번 집합을 제 1 근무 교번 집합 및 제 2 근무 교번 집합으로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근무 선호 정보에 따라 분류된 제 1 그룹 및 제 2 그룹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정렬된 근무 교번 집합을 제 1 근무 교번 집합 및 제 2 근무 교번 집합으로 분류하고,
    상기 근무 선호 정보는 상기 근로자가 근무 교번을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상기 근로자가 근무 교번을 수행하기 위하여 이동한 거리 및 상기 근로자가 근무 교번을 수행하는 일시를 포함하고,
    상기 일시는 밤, 휴일 및 휴일 전후 중 적어도 하나로 구분되는 것인 근무 교번 설정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근무 교번을 피고용자에게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근무 교번 집합을 상기 제 1 그룹의 피고용자에게 전송하고,
    상기 제 2 근무 교번 집합을 상기 제 2 그룹의 피고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무 교번 설정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근무 선호 정보는,
    보수의 중요도 또는 근무 용이성 중 어느 하나인 근무 교번 설정 방법.
  7. 근무 교번 설정 시스템에 있어서,
    근무 교번 설정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네트워크 통신 모듈 및
    상기 메모리와 인터페이싱하도록 정렬된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근무 교번 설정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실행 가능한 모든 경우의 근무 교번을 수집하여, 근무 교번 집합을 생성하여 상기 근무 교번 집합을 근무 환경에 따른 비용계수값의 총합에 기초하여 정렬하고,
    상기 비용계수값의 총합이 높은 상위 근무 교번 집합 중, 미리 설정된 개수에 해당하는 근무 교번 집합을 제 1 근무 교번 집합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근무 교번 집합 중 근로자의 개별 선호도를 평준화 하도록 하는 제 2 근무 교번 집합을 설정하여 상기 제 1 근무 교번 집합 및 제 2 근무 교번 집합의 근무 교번 집합을 근로자에게 할당하되,
    상기 비용계수값은 근무 교번에 대응하는 근무 강도 및 근무의 불편성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것인 근무 교번 설정 시스템.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 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40182662A 2014-12-17 2014-12-17 근무 교번 설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674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662A KR101674185B1 (ko) 2014-12-17 2014-12-17 근무 교번 설정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662A KR101674185B1 (ko) 2014-12-17 2014-12-17 근무 교번 설정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840A KR20160073840A (ko) 2016-06-27
KR101674185B1 true KR101674185B1 (ko) 2016-11-08

Family

ID=56344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2662A KR101674185B1 (ko) 2014-12-17 2014-12-17 근무 교번 설정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41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51393A (zh) * 2017-06-29 2017-12-08 山东师范大学 基于随机变邻域搜索算法的护士排班方法和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9929A (ja) 2000-11-10 2002-05-24 Api:Kk 勤務表作成システム
JP2002203085A (ja) 2000-12-28 2002-07-19 Nippon Syst Design Kk 従業員シフトプラン支援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9929A (ja) 2000-11-10 2002-05-24 Api:Kk 勤務表作成システム
JP2002203085A (ja) 2000-12-28 2002-07-19 Nippon Syst Design Kk 従業員シフトプラン支援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51393A (zh) * 2017-06-29 2017-12-08 山东师范大学 基于随机变邻域搜索算法的护士排班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840A (ko) 2016-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lenbruch et al. Typology and literature review for dial-a-ride problems
Braekers et al. A bi-objective home care scheduling problem: Analyzing the trade-off between costs and client inconvenience
Landa et al. A hybrid optimization algorithm for surgeries scheduling
Noyan Alternate risk measures for 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 design
Zak The methodology of multiple criteria decision making/aiding in public transportation
US7885846B2 (en) Method and system for planning of services workforce staffing using hiring, contracting and cross-training
Wirojanagud et al. Modelling inherent worker differences for workforce planning
KR101995839B1 (ko) 경력 정보를 이용한 구인 구직자 매칭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US20070282618A1 (en) Method and system for scheduling delivery of at least one of goods and services
Lee et al. Operations scheduling with multiple resources and transportation considerations
Chen et al. Assigning licenced technicians to maintenance tasks at aircraft maintenance base: a bi-objective approach and a Chinese airline application
US2018032244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scheduling tasks across an enterprise
González et al. A proactive transfer policy for critical patient flow management
US20140278653A1 (en)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Field Service Appoint Scheduling
Zheng et al. Integrated civilian–military pre-positioning of emergency supplies: A multiobjective optimization approach
Feng et al. Optimizing ridesharing services for airport access
US20160063425A1 (en) Apparatus for predicting future vendor performance
White et al. A model for efficiency-based resource integration in services
Pour et al. Sample average approximation method for a new stochastic personnel assignment problem
Armony et al. Critical care in hospitals: When to introduce a step down unit
Tohidi et al. Integrated physician and clinic scheduling in ambulatory polyclinics
KR101674185B1 (ko) 근무 교번 설정 시스템 및 방법
Barbato et al. On the impact of resource relocation in facing health emergencies
Kim A column generation heuristic for congested facility location problem with clearing functions
Hoseinpour et al. Designing a service system with price-and distance-sensitive demand: A case study in mining indus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