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6932B1 - 영상신호처리회로, 영상신호처리방법 및 컴퓨터 독출가능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영상신호처리회로, 영상신호처리방법 및 컴퓨터 독출가능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6932B1
KR100726932B1 KR1020050038483A KR20050038483A KR100726932B1 KR 100726932 B1 KR100726932 B1 KR 100726932B1 KR 1020050038483 A KR1020050038483 A KR 1020050038483A KR 20050038483 A KR20050038483 A KR 20050038483A KR 100726932 B1 KR100726932 B1 KR 100726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ignal
int
video
output terminal
imag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8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5980A (ko
Inventor
카즈나리 토미자와
요시히로 오카다
아츠시 반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5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5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6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6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3Display of colou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52Details of colour pixel setup, e.g. pixel composed of a red, a blue and two green compon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07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for displaying colours or for displaying grey scales with a specific pixel layout, e.g. using sub-pix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화상표시패널에 의한 화상 표시에 사용되는 원색의 각각에 대해, 각 화소에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시계열적으로 연속하도록 구성되는 J계통의 영상신호열 중에서, 화상표시패널에 있어서 각 화소에 J원색 중 어느 하나에 배색되어 있는 순번 과, 3개의 영상신호의 각각에 의해 표시되는 원색의 순번이 일치하도록 영상신호를 3개씩 추출하고, 상기 3개의 영상신호의 각각이 3개의 계통 중 어느 하나에 속하도록 순차적으로 나란하게 하여 3계통의 영상신호를 구성한다.

Description

영상신호처리회로, 영상신호처리방법 및 컴퓨터 독출가능 기록매체{VIDEO SIGNAL PROCESSING CIRCUIT,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도1(a)은, J원색을 표시하기 위한 영상신호 및 그 영상신호가 3계통으로 정렬된 상태의 영상신호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1(b)는, J원색의 화상표시패널과 소스 드라이버를 접속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영상신호처리회로를 사용하는 화상표시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3(a)는, 5원색을 표시하기 위한 영상신호 및 그 영상신호가 3계통으로 정렬된 상태의 영상신호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3(b)는, 5원색의 화상표시패널과 소스 드라이버를 접속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4(a)는, 5원색을 표시하기 위한 영상신호 및 그 영상신호가 3계통으로 정렬된 상태의 영상신호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4(b)는, 5원색의 화상표시패널과 소스 드라이버를 접속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5(a)는, 다른 5원색의 화상표시패널과 소스 드라이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5(b)는, 도5(a)에 나타낸 화상표시패널과 소스 드라이버의 접속상태를 나타낸 도 면이다.
도6은, 화상표시패널에 접속되지 않는 출력단자가, 소스 드라이버의 후반에 배치되는 접속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7은, 화상표시패널에 접속되는 출력단자가, 소스 드라이버의 중앙 부근에 배치되는 접속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8은, 화상표시패널에 접속되는 출력단자가, 소스 드라이버의 중앙 부근에 배치되는 다른 접속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9는, 화상표시패널에 접속되지 않는 출력단자가, 소스 드라이버의 전반에 배치되는 접속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0은, RGB색을 사용하여 화상표시를 행하는 화상표시패널과, 소스 드라이버 및 게이트 드라이버의 접속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1은, RGB 3색에 의해 화상표시를 행하기 위한 영상신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2는, 도11의 영상신호를, 홀수 라인의 영상신호와 짝수 라인의 영상신호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3은, 도12의 영상신호를, 홀수 라인의 소스버스라인 및 짝수 라인의 소스버스라인에 입력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4는, 다원색용 서스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J원색의 화상표시패널에 의한 화상표시를 행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컬러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영상신호처리회로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3원색보다 많은 원색을 사용하여 컬러영상을 표시하는 화상표시 디바이스에 입력하는, 영상신호의 신호처리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컬러 텔레비전, 컬러 모니터 등의 화상표시 디바이스는, RGB 3원색을 가법혼색함으로써 색재현을 행하고 있다. 이들 화상표시 디바이스의 내, 매트릭스 구동을 사용하는 화상표시 디바이스가 있다(예컨대, 일본국 특개평 3-78790호 공보(1991년 4월3일 공개)참조).
우선, 매트릭스 구동에 대해 도1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매트릭스형의 화상표시 디바이스의 구조는, 액정화상표시 디바이스, EL 화상표시 디바이스, PDP(Plasma Display Panel: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표시 디바이스 등에 일반적으로 넓게 사용되고 있다. 단, 화상표시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명칭은, 디바이스의 종류에 의따라 다른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액정패널에 있어서의 명칭을 사용하여, 매트릭스형 화상표시 디바이스의 구조를 설명한다.
매트릭스형 화상표시 패널은,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로로 평행으로 나란하게 된 소스버스라인(100)…과, 각 소스버스라인과 직교하도록 나란하게 된 게이트 버스라인(200)…으로 구성된다.
소스버스라인(100)…은, 화상표시패널의 단에서 소스 드라이버(300)에 접속 되어 있고, 소스드라이버(300)로부터 각 화소의 영상입력신호가 전송된다. 또한, 게이트 버스라인(200)…은, 화상표시패널의 단에서 게이트 드라이버(400)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소스 드라이버(300)는, 각 소스라인의 영상입력신호를 저장해 있고, 게이트 드라이버(400)에 의해 ON상태로 된 게이트버스라인(200)에, 영상신호를 기입해 간다. 그리고, 게이트 드라이버(400)가 게이트 버스라인(200)…을 1라인씩 ON해 감으로써, 화상표시패널의 전체를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컬러표시를 행할 경우, 통상, 소스버스라인(100)…은, R색의 화소, G색의 화소, 및 B색의 화소가 규칙적으로 배열되도록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소스 드라이버(300)…에 접속되어진다. 또한, 소스 드라이버(300)…에는, 컬러표시용이 사용되고, RGB의 3계통으로 이루어지는 입력라인 r-라인·g-라인·b-라인에, RGB 3색의 영상신호가 입력되어 있다.
또한, 소스 드라이버(300)에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도11에 나타낸다. 도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상입력신호는, 소스 드라이버(300)의 입력 라인 r-라인·g-라인·b-라인에 대응하여, R색의 화소에 입력하는 영상신호 R(i), G색의 화소에 입력하는 영상신호 G(i), 및 B색의 화소에 입력하는 영상신호 B(i)가 시계열적으로 연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는 정수).
또한, 영상신호 R(i)는, 최초로 표시되는 R색의 화소로부터, 게이트 버스라인 방향으로 i번째 R색의 화소에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의미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영상신호 G(i)는, 최초로 표시되는 G색의 화소로부터, 게이트 버스라인 방향으로 i 번째 G색의 화소에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의미하고, 영상신호 B(i)는, 최초로 표시되는 B색의 화소로부터, 게이트 버스라인 방향으로 i번째 B색의 화소에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의미한다.
또한, 소스 드라이버(300)의 출력단자는, 소스 버스라인(100)…에 의해 구성되는 RGB 색의 배열에 1대1로 대응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화상표시패널에 의한 컬러표시가 가능해진다.
또한, 컬러표시용 소스 드라이버에는, RGB 3계통의 입력이 2조 존재하고 있는 것이 있다. 이는 RGB의 영상입력신호를, 홀수라인과 짝수라인으로 분리하여 입력하는 것이 있다.
즉, 도11에 나타낸 영상입력신호를,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상신호 R(2n-1)·G(2n-1)·B(2n-1)로 이루어지는 홀수라인의 영상입력신호와, 영상신호 R(2n)·G(2n)·B(2n)으로 이루어지는 짝수라인의 영상입력신호로 분리한다(n은 정수). 이와 같이 분리된 영상입력신호를, 도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수라인의 소스버스라인(100)… 및 짝수라인의 소스버스라인(100)…에 각각 입력해 간다.
이와 같이, 소스 드라이버(300)로부터 영상입력신호를 기입하는 경우는, 단지 소스 드라이버(300)로의 입력단에서, RGB 신호를 홀수라인과 짝수라인에 각각 분리하는 작업만을 행하면 족하다. 따라서, 이와 같이 영상신호를 분리하여 화소에 입력하는 드라이버도, 3계통의 입력단자를 갖는 드라이버로서 취급한다.
한편, RGB의 3원색 외에, 타 원색을 추가함으로써, 4개 이상의 원색을 사용하여 화상표시를 행하는 화상표시 디바이스가 제안되어 있다. 4개 이상의 원색을 사용하는 화상표시 디바이스는, CIE 색도도상에서 RGB원색으로 만들어지는 재현 범위 외에 표시가능한 색재현 범위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RGB 3원색의 화상표시 디바이스보다 색재현 범위를 넓게 취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4개 이상의 원색을 사용하는 화상표시 디바이스는, 소스 드라이버로서, 4개 이상의 원색에 대응하기 위해, 4개 이상의 입력 계통을 갖는 전용 드라이버가 사용되고 있다.
즉, 도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J원색(J는 4이상의 정수)의 화상표시패널(500)에 의해 다원색을 사용한 화상표시를 행하는 경우, 소스 드라이버(510) 및 게이트 드라이버(520)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600)에는, J개의 계통으로 이루어지는 영상신호(J원색 영상신호)가 입력된다. 따라서, 소스 드라이버(510)로서도, 입력 계통을 J개 갖는 다원색 전용 소스 드라이버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입력 계통이 4개 이상 있는 다원색 전용 소스 드라이버는 그다지 보급되지 않아, 소스 드라이버로서는 입력 게통이 RGB의 3계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다원색 전용 소스 드라이버를 사용하면, 화상표시 디바이스의 제조 코스트가 상승해 버리는 문제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다원색에 의한 화상표시가 가능한 화상표시 디바이스를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는 영상신호처리회로, 영상신호처리방법, 영상처리 프로그램, 및 컴퓨터 독취가능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영상신호처리회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복수의 화소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설된 화상표시패널에 있어서의 각 화소에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변환하는 영상신호처리회로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패널에 의한 화상표시에 사용되는 J원색(J는 4이상의 정수)의 각각에 대해, 각 화소에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시계열적으로 연속하도록 구성되는 J계통의 영상신호열 중에서, 상기 화상표시패널에 있어서 각 화소에 J원색의 어느 하나가 배색되어 있는 순번과, 3개의 영상신호의 각각에 의해 표시되는 원색의 순번이 일치하도록 영상신호를 3개씩 추출하고, 상기 3개의 영상신호의 각각이 3개의 계통 중 어느 하나에 속하도록 순차적으로 나란하게 하여 3계통의 영상신호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신호처리방법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복수의 화소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설된 화상표시 디바이스에 있어서의 각 화소에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변환하는 영상신호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 디바이스에 의한 화상표시에 사용되는 J원색(J는 4이상의 정수)의 각각에 대해, 각 화소에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시계열적으로 연속하도록 구성되는 J계통의 영상신호열 중에서, 상기 화상표시패널에 있어서 각 화소에 J원색 중 어느 하나가 배색되어 있는 순번과, 3개의 영상신호의 각각에 의해 표시되는 원색의 순번이 일치하도록 영상신호를 3개씩 추출하는 제1 스텝과, 상기 제1 스텝에 있어서 추출된 3개의 영상신호의각각이 3개의 계통 중 어느 하나에 속하도록 순차적으로 나란하게 되어 3계통의 영상신호열을 구성하는 제2 스텝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복수의 화소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설된 화상표시패널에 있어서는, 소스 드라이버와 게이트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복수의 화소를 매트릭스 구동함으로써, 화상표시가 행해진다.
그러나, 화상표시패널이 4개 이상의 원색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 각 화소에는 4개 이상의 원색 중 어디든 원색이 부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다원색을 사용하여 화상표시를 행하는 화상표시패널에 대해, 화상표시에 사용되고 있는 원색의 수와 동일한 수의 입출력 계통을 갖는 소스 드라이버를 사용하면, 그와 같은 소스 드라이버는 범용적이지 않기 때문에, 화상표시패널을 포함하는 화상표시 디바이스의 제조 코스트가 상승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영상신호처리회로 및 영상신호처리방법은, J계통의 영상신호열로부터, 화상표시패널에 있어서 각 화소에 J원색 중 어느 하나에 배색되어 있는 순번과, 3개의 영상신호의 각각에 의해 표시되는 원색의 순번이 일치하도록 영상신호를 3개씩 추출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3개의 영상신호의 각각이 3개의 계통 중 어느 하나에 속하도록 순차적으로 나란하게 되어 3계통의 영상신호열을 구성하기 때문에, 추출된 3개의 영상신호에 의해 표시되는 원색의 순번이 무너지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영상신호처리회로에 의해 구성되는 3계통의 영상신호열은, 화상표시패널에 있어서의 J원색의 배색순으로 대응된 순번에 의해 영상신호를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영상신호처리회로 및 영상신호처리방법에 의해 출력되는 3계통의 영상신호열을, 3개의 입출력 계통을 갖는 소스 드라이버에 출력하면, 화상표시패널에 있어서의 J원색의 배색순으로 대응된 순번에 의해 영상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3개의 입출력 계통을 갖는 소스 드라이버로부터, 본 발명의 영상신호처리회로에서 입력된 3계통의 영상신호열을 순차 출력해 감으로써, 화상표시패널에 있어서의 J원색의 배색순으로 대응된 순번에 의해 영상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영상신호처리회로 및 영상신호처리방법을 사용하면, 3개의 입출력 계통을 갖는 소스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J원색에 의한 화상표시가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은 3개의 입출력 계통을 갖는 소스 드라이버는, 예컨대, RGB색을 사용하여 화상표시를 행하는 일반적인 액정화상표시패널에 사용되고 있는 것이고, 범용성이 높은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영상신호처리회로 및 영상신호처리방법을 사용하면, 법용성이 높은 소스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J원색에 의한 화상표시가 가능해지기 때문에, 화상표시 디바이스의 제조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특징, 및 우수한 점은, 이하에 나타낸 기재에 듸해 충분히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다.
[1. 화상표시 디바이스의 구성]
본 발명의 신호처리회로에 대한 실싱의 일례에 대해,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영상신호처리회로(1)를 사용하는 화상표시 디바이스는, 영상신호처리회로(1), 타이밍 컨트롤러(2), 3원색용 소스 드라이버(3), 게이트 드라이버(4), 각 화소에 J개의 원색 중 어느 하나가 부착 되어 있는 J원색의 화상표시패널(5)로 구성되어 있다.
영상신호처리회로(1)는, 자체에 입력되는 J개의 계통으로 이루어지는 영상신호(J원색 영상신호) D1·D2·D3·…·DJ를,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RGB색의 3계통으로 이루어지는 영상신호 R(t)·G(t)·B(t)로 변환한다(t는 정수). 영상신호처리회로(1)에 의해, 예컨대 RGB의 3계통으로 변환된 영상신호 R(t)·G(t)·B(t)는, 타이밍 컨트롤러(2)에 입력된다. 또한, 영상신호처리회로(1)는, J원색 영상신호를, CMY색의 3계통으로 이루어지는 영상신호로 변환해도 된다.
타이밍 컨트롤러(2)는, 영상신호처리회로(1)에 의해 3원색으로 정렬된 영상신호 R(t)·G(t)·B(t)를, 3원색용 소스 드라이버(3)에 출력한다.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2)는, 타이밍 제어신호를 게이트 드라이버(4)에 출력한다. 이 타이밍 제어신호는, J원색의 화상표시패널(5)의 내부에 있어서의 복수의 게이트 버스라인(도시하지 않음)을, 순차 선택하여 ON상태로 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소스 드라이버(3)는, 게이트 드라이버(4)에 의해 선택된 게이트 버스라인에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소스버스라인(도시하지 않음)에, 영상신호 R(t)·G(t)·B(t)를 순차 기입해 가는 것이다. 또한, 게이트 드라이버(4)는, J원색의 화상표시패널(5)의 내부에 있어서의 복수의 게이트 버스라인을, 타이밍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순차선택하여 ON상태로 하는 것이다.
J원색의 화상표시패널(5)은, 복수의 게이트 버스라인과, 복수의 소스버스라인이, 서로 직교하도록 제공되어 있다. J원색의 화상표시패널(5)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10을 사용하여 설명한 매트릭스형의 화상표시패널의 구성과 동일하다. 그러 나, 도10에 나타낸 화상표시패널에 있어서는, 각 게이트 버스라인과 각 소스 버스라인의 교차부분에 제공된 각 화소에 대해, R색·G색·B색 중 어느 하나의 1색이 부여되어 있는 한편, 도2의 J원색의 화상표시패널(5)에 대해서는, 각 화소에 대해 J개의 원색 중 어느 하나의 1색이 부여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도10에 나타낸 화상표시패널과 도2에 나타낸 화상표시패널과는 구성이 상이하다.
상기 구성에 의해, 본 실시예의 화상표시 디바이스는, 영상신호처리회로(1)를 사용하여 J원색 영상신호를 3계통의 영상신호로 변환하고, 그 변환된 3계통의 영상신호를 소스 드라이버(3)를 사용하여 J원색의 화상표시패널(5)에 출력함으로써, J개의 원색을 사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화상표시 디바이스는, J원색의 영상신호를 3계통의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영상신호처리회로(1)를 사용하고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이 영상신호의 변환처리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2.영상신호의 변환처리 예]
영상신호처리회로(1)가 행하는 영상신호의 변환처리의 일례에 대해, 이하에 기재한다. 우선, 도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J원색 영상신호는, 원색(1)을 표시하기 위한 신호열(11), 원색(2)을 표시하기 위한 신호열(12), 원색(3)을 표시하기 위한 신호열(13), 원색(4)을 표시하기 위한 신호열(14)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J원색 영상신호는, J개의 원색 중 각각의 원색을 표시하기 위한 신호열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호열(11)는, 영상신호 D11·D12·D13·D14…가, 시계 열적으로 나란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신호열(12)는, 영상신호 D21·D22·D23·D24…가, 시계열적으로 나란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잇고, 신호열(13)은, 영상신호 D31·D32·D33·D34…가 시계열적으로 나란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원색 J를 표시하기 위한 신호열에 대해서는, 영상신호 DJ1·DJ2·DJ3·…가 시계열적으로 나란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원색(1)을 적색으로 하면, 영상신호 D11은, J원색의 화상표시패널(5)에 있어서 1번째에 표시되는 적색의 화소로 입력되는 영상신호이다. 마찬가지로, 영상신호 D12는, J원색의 화상표시패널(5)에 있어서 2번째에 표시되는 적색의 화소로 입력되는 영상신호이다. 또한, 원색(2)을 확색으로하면, 영상신호 D21는, J원색의 화상표시패널(5)에 있어서 1번째에 표시되는 황색의 화소로 입력되는 영상신호이다.
그리고, 3원색용 소스 드라이버(3)와 J원색의 화상표시패널(5)을 접속한 상태를 도1(b)에 나타낸다. 또한, 도1(b)에 있어서는,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화상표시패널(5)에 있어서, 1개의 게이트 버스라인에 접속된 복수의 화소만을 기재하고 있다.
도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J원색의 화상표시패널(5)에 3원색의 소스 드라이버(3)를 단순히 접속하면, 소스 드라이버(3)의 출력 계통수에 대해 패널의 원색수가 많기 때문에, 소스 드라이버(3)의 출력계통과 화상표시패널(5)의 원색의 관계가 뿔뿔이 흩어진다.
즉, 3원색의 화상표시패널을 사용하는 화상표시패널 디바이스라면, 도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스 드라이버(300)의 출력단자 r(1)·r(2)·…가, 항상 원색(1)(적색)의 화소에 대응한다. 그러나, 다원색의 화상표시패널(5)에 있어서는, 도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스 드라이버(3)의 동일 계통의 출력단자가, 항상 동일 색의 화소에 대응하지 않게 되어버린다. 또한, "동일 계통"이란, 소스 드라이버(3)의 출력단자를 3원색마다 분류한 경우에, 동일한 원색으로 분류되는 출력단자의 그룹을 말한다.
예를 들면, 소스 드라이버(3)의 출력단자 r(1)로부터는, 영상신호 D11가 출력되고 있다. 즉, 소스 드라이버(3)의 출력단자 r(1)는, 원색(1)에 대응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소스 드라이버(3)의 출력단자 r(1)와 동일 계통의 그룹에 속하는 출력단자 r(2)로부터는, 영상신호 D41가 출력되고 있다. 즉, 소스 드라이버(3)의 출력단자 r(2)는, 원색(4)에 대응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출력단자 r(1)와 출력단자 r(2)는, 동일 계통에 속하는 것이지만, 각각에 출력단자는 상이한 원색에 대응하게 된다.
따라서, 버스 드라이버(3)로의 입력단에서, 화상표시패널(5)에 있어서의 각 화소의 원색과, 소스 드라이버(3)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에 의해 표시되는 원색이, 1대1로 대응하도록, J원색의 영상신호를 이하와 같이 정렬할 필요가 있다.
즉,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상신호처리회로(1)를 사용하여, 영상신호의 입력 계통을 3원색 밖에 갖지 않는 타이밍 컨트롤러(2)에 대해, J원색 영상신호 D1·D2…DJ를 3계통의 영상신호 R(t)·G(t)·B(t)로 정렬하여 입력하면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스 드라이버(3)를 통해 타이밍 컨트롤러(2)로부터 화상표시패널 (5)로 출력되는 영상신호 R(t)·G(t)·B(t)에 의해 표시되는 원색의 순번이, 화상표시패널(5)에 있어서의 화소에 부여된 원새의 순번이 일치하도록, 영상신호처리회로(1)를 사용하여 J원색 영상신호 D1·D2…DJ를 정렬하면 된다. 또한, 영상신호처리회로(1)에 의해 정렬된 3계통의 영상신호를, 소스 드라이버(3)에 직접 입력해도 된다.
즉, 도1(b)에 나타낸 소스 드라이버(3)의 출력단자 r(t)·g(t)·b(t)의 각각으로부터는, 영상신호 R(t)·G(t)·B(t)가 출력된다. 따라서, 소스 드라이버(3)로부터 화상표시패널(3)로 출력되는 영상신호에 따르면, 영상신호 R(1)·G(1)·B(1)·R(2)·G(2)·B(2)…의 순번으로, 색표시를 행하게 된다. 이 색표시의 순번이, 화상표시패널(5)에 있어서의 화소에 부여된 원색의 순번, 즉 원색(1)·원색(2)·원색(3)…원색(J)의 순번과 일치하도록, 영상신호처리회로(1)를 사용하여 J원색 영상신호 D1·D2…DJ를 정렬하면 된다.
즉, 도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표시패널(5)에 있어서, 원색(1)의 화소에 대해서는 원색(1)의 영상신호 D11, 원색(2)의 화소에 대해서는 원색(2)의 영상신호 D21, 원색(3)의 화소에 대해서는 원색(3)의 영상신호 D31, 원색(4)의 화소에 대해서는 원색(4)의 영상신호 D41이라고 하도록, 각 화소에 부여된 원색과 동일한 색을 표시하기 위한 영상신호를, 소스 드라이버(3)의 출력단자 r(1)·g(1)·b(1)·r(2)…로부터 출력한다.
이상에 설명한, 영상신호처리회로(1)에 의한 J원색 영상신호로부터 3계통의 영상신호의 변환처리는, 이하에 설명하는 수식을 사용하여 기재할 수 있다.
즉, 도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계열적으로 J원색 영상신호의 영상신호 D11·12·…·D21·D22·…·DJ1·DJ2·…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신호열(J는 4이상의 정수)에 의해, J원색 영상신호를 표현하고, 영상신호 R(t)·G(t)·B(t)로 이루어지는 신호열(t는 정수)에 의해 3계통의 영상신호를 표현한다. 그리고, 이하의 수식을 사용하여, J원색 영상신호를 3계통의 영상신호로 변환한다.
R(t)=Drxry
G(t)=Dgxgy
B(t)=Dbxby
rx={3(t-1)+1}-J·Int[{3(t-1)}/J]
ry=Int[{3(t-1)}/J]+1
gx={3(t-1)+2}-J·Int[{3(t-1)+1}/J]
gy=Int[{3(t-1)+1}/J]+1
bx={3(t-1)+3}-J·Int[{3(t-1)+2}/J]
by=Int[{3(t-1)+2}/J]+1
또한, 상기 식에 있어서, rx·gx·bx는, 원색의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ry·gy·by는, 그 영상신호가 각 원색 중 몇번째에 표시되는 화소에 입력되는 것인 지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Int[]는, 괄호 내의 소수점 이하를 절사한 값이 출력된다.
상기 수식을 사용하여 J원색의 영상신호를 변환하면, 도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력단자 r(1)로부터는 영상신호 D11이 출력되고, 출력단자 r(1)로부터는 영상신호 D21이 출력되고, 출력단자 g(1)으로부터는 영상신호 D31이 출력되고, 출력단자 r(2)로부터는 영상신호 D41이 출력되도록, 소스 드라이버(3)로부터 화상표시패널(5)에 출력되는 영상신호 R(t)·G(t)·B(t)에 의해 표시되는 원색의 순번이, 화상표시패널(5)에 있어서의 화소에 부여된 원색의 순번이 일치하게 된다. 이로써 3계통의 입력신호밖에 갖지 않는 소스 드라이버(3)를 사용하여도, 다원색의 화상표시패널(5)에 의한 컬러 화상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3.실시예1〕
도3(a)및 도3(b)를 사용하여, 5개의 원색에 의해 컬러표시를 행하는 화상표시 디바이스에 상기 신호변환처리를 사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5원색에 의한 컬러표시를 행하기 위한 영상신호가, 신호열(21), 신호열(22), 신호열(23), 신호열(24), 및 신호열(25)로 구성되어 있다.
신호열(21)은, 원색(1)을 표시하기 위한 영상신호 D11·D12·D13·D14…가 시계열적으로 나란하게 된 것이다. 신호열(22)은, 원색(2)을 표시하기 위한 영상신호 D21·D22·D23·D24…가 시계열적으로 나란하게 된 것이다. 신호열(23)은, 원색(3)을 표시하기 위한 영상신호 D31·D32·D33·D34…가 시계열적으로 나란하게 된 것이다. 신호열(24)은, 원색(4)을 표시하기 위한 영상신호 D41·D42·D43·D44…가 시계열적으로 나란하게 된 것이다. 신호열(25)은, 원색(5)을 표시하기 위한 영상신호 D51·D52·D53·D54…가 시계열적으로 나란하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은 5원색을 표시하기 위한 영상신호를, 상기 식에 J=5를 대입하고, r-라인·g-라인·b-라인으로 이루어지는 3계통의 입력 영상신호에 정렬한다. 또한. r-라인의 신호열은, 상기 식에서의 영상신호 R(t)를, 괄호 내의 정수의 크기순으로 나란하게 함으로써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g-라인의 신호열은, 상기 식에서의 영상신호 G(t)를, 괄호 내의 정수의 크기순으로 나란하게 함으로써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b-라인의 신호열은, 상기 식에서의 영상신호 B(t)를, 괄호 내의 정수의 크기순으로 나란하게 함으로써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면, 도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r-라인에 관해서는 영상신호 D11·D41·D22·D52·D33…가 시계열적으로 나란하게 된다. 또한, g-라인에 관해서는, 영상신호 D21·D51·D32·D13·D43…가 시계열적으로 나란하게 된다. 또한, b-라인에 관해서는, 영상신호 D31·D12·D42·D23·D53…가 시계열적으로 나란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3계통의 영상신호로서 정렬된 신호열에 대해, 영상신호 R(t)는 소스 드라이버(3)의 출력단자 r(t)로부터 화상표시패널(5)에 출력되도록 설정하고, 영상신호 G(t)는 소스 드라이버(3)의 출력단자 g(t)로부터 화상표시패널(5)에 출력되도록 설정하고, 영상신호 B(t)는 소스 드라이버(3)의 출력단자b(t)로부터 화상표시패널(5)에 출력되도록 설정한다.
이로써, 도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스 드라이버(3)의 출력단자 r(1)로부터는 영상신호 D11이 출력되고, 출력단자 g(1)로부터는 영상신호 D21이 출력되고, 출력단자b(1)로부터는 영상신호 D31이 출력되고, 출력단자 r(2)로부터는 영상신호 D41이 출력되고, 출력단자 g(2)로부터는 영상신호 D51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소스 드라이버(3)로부터 화상표시패널(5)에 출력되는 영상신호 R(t)·G(t)·B(t)에 의해 표시되는 원색의 순번을, 화상표시패널(5)에 있어서의 화소에 부여된 원색의 순번으로 일치시킬 수 있다.
〔4.실시예2〕
영상신호처리회로(1)가 행하는 영상신호의 변환 처리에 있어서의 다른 예에 대해, 이하 기재한다.
다원색에 의한 컬러표시를 행하는 화상표시패널로서는, 도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표시패널에서 사용되는 모든 원색의 각각이 부여된 화소가, 순번으로 나란하게 되는 구성의 화상표시패널(5)만이 사용된다고는 할 수 없다.
즉, 도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한 게이트 버스라인(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 화소에 대해 인접하는 4개의 화소를 하나의 그룹으로서 본 경우, 최초의 그룹에는 원색(1)의 화소·원색(2)의 화소·원색(3)의 화소·원색(4)의 화소가 이 순번으로 나란하게 되어 있는 한편, 상기 그룹에 인접하는 그룹에는, 원색(1)의 화소·원색(2)의 화소·원색(3)의 화소·원색(5)의 화소가 이 순번으로 나란하게 되는 구성의 화상표시패널(5')도 존재한다.
또한, 도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 인접하는 2화소로 이루어지는 화소의 배열이, 횡방향으로 2열 나란하게 됨으로써 구성되는 4개의 화소로 이루어지는 그룹을 하나의 그룹으로 하여 본 경우, 최초의 그룹에는 원색(1)의 화소·원색(2)의 화소·원색(3)의 화소·원색(4)의 화소가 포함되어 있는 한편, 상기 그룹에 인접하는 다음 그룹에는, 원색(1)의 화소·원색(2)의 화소·원색(3)의 화소·원색(5)의 화소가 이 순번으로 나란하게 되는 구성의 화상표시패널(6)도 존재한다.
또한, 도5(a)에 나타낸 화상표시패널(6)에 대해서는, 도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 인접하는 화소의 사이에, 각 화소에 대한 소스 버스라인(3a)…의 접속 방향이 서로 상이하도록 소스 드라이버(3)의 소스 버스라인(3a)…이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원색(1)의 화소에 대해서는, 그 좌측으로 소스 버스라인(3a)이 접속되어 있는 한편, 원색(1)의 화소에 대해 종방향으로 인접하는 원색(2)의 화소에 대해서는, 그 우측으로 소스 버스라인(3a)이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원색(3)의 화소에 대해서는, 그 좌측으로 소스 버스라인(3a)이 접속되어 있는 한편, 원색(3)의 화소에 대해 종방향으로 인접하는 원색(4)의 화소에 대해서는, 그 우측으로 소스 버스라인(3a)이 접속되어 있다.
즉, 화상표시패널(5')및 화상표시패널(6)에 있어서는, 원색(4)의 화소 및 원색(5)의 화소가, 화소의 각 그룹에 대해 교대로 제공되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화상표시패널(5')및 화상표시패널(6)에 대해, 3원색에 의한 컬러표시용 소스 드라이버(3)를 사용하여 컬러표시를 행하기 위해서는, 영상신호처리회로(1)(도2참조)를 사용하고, 이하와 같이 5원색에 의한 컬러표시용 영상신호를, 3원색에 의해 컬러표시용 영상신호로 변환하면 된다.
우선, 도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5원색에 의한 컬러표시를 행하기 위한 영상신호가, 신호열(21), 신호열(22), 신호열(23), 신호열(24), 및 신호열(25)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신호열(21∼25)의 구성은, 도3(a)에 나타낸 영상신호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에 설명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 1과 상이한 것은, 5원색에 의한 컬러표시를 행하기 위한 영상신호가, 외관상, 4원색에 의한 컬러표시를 행하기 위한 영상신호로 변환되어 있는 점이다.
즉, 도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호열(24)과 신호열(25)로부터, 원색(4*)을 표시하기 위한 신호열(31)을 생성한다. 이 신호열(31)은, 영상신호 D41*·D42*·D43*·D44*…가 시계열적으로 나란하게 된 것이다.
여기서, 신호열(31)에 있어서의 영상신호 D41*·D42*·D43*·D44*…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신호열(31)은, 상기한 바와 같이, 신호열(24)과 신호열(25)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영상신호 D41*·D42*·D43*·D44*…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영상신호 D41*=영상신호 D41
영상신호 D42*=영상신호 D52
영상신호 D43*=영상신호 D43
영상신호 D44*=영상신호 D54
이와 같이 신호열(31)을, 영상신호 D41·D52·D43·D54…가 시계열적으로 나란하게 되도록 설정함으로써 원색(4)의 영상신호와 원색(5)의 영상신호가 교대로 출현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는, 다음과 같이 영상신호 D41*·D42*·D43*·D44*…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영상신호 D41*에 의해 표시되는 계조레벨)=(영상신호 D41에 의해 표시되는 계조레벨)+(영상신호 D42에 의해 표시되는 계조레벨)
(영상신호 D42*에 의해 표시되는 계조레벨)=(영상신호 D51에 의해 표시되는 계조레벨)+(영상신호 D52에 의해 표시되는 계조레벨)
(영상신호 D43*에 의해 표시되는 계조레벨)=(영상신호 D43에 의해 표시되는 계조레벨)+(영상신호 D44에 의해 표시되는 계조레벨)
(영상신호 D44*에 의해 표시되는 계조레벨)=(영상신호 D53에 의해 표시되는 계조레벨)+(영상신호 D54에 의해 표시되는 계조레벨)
이와 같이, 연속하는 2개의 원색(4)의 영상신호를 합성하는 처리와, 연속하는 2개의 원색(5)의 영상신호를 합성하는 처리를 교대로 반복함으로써 신호열(31)을 생성해도 된다. 이로써 원색(4)의 신호열(24) 및 원색(5)의 신호열(25)에 포함되는 영상신호의 전부를 고려해 원색(4*)의 신호열(31)을 생성할 수 있다.
단, 상기한 바와 같이 2개의 영상신호의 각각에 의해 표시되는 계조레벨을 단순히 합산하는 처리를 행한 경우에는, 그 합계 후의 계조레벨이, 화상표시패널(5')에 표시가능한 계조레벨의 최대치를 초과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합계 후의 계조레벨은, 화상표시패널(5')에 표시가능한 계조레벨의 최대치로서 설정하면 된다.
또한, 영상신호 D41*·D42*·D43*·D44*…를 생성하기 위해, 이하와 같이 해도 된다.
(영상신호 D41*에 의해 표시되는 계조레벨)=((영상신호 D41에 의해 표시되는 계조레벨)+(영상신호 D42에 의해 표시되는 계조레벨))/2
(영상신호 D42*에 의해 표시되는 계조레벨)=((영상신호 D51에 의해 표시되는 계조레벨)+(영상신호 D52에 의해 표시되는 계조레벨))/2
(영상신호 D43*에 의해 표시되는 계조레벨)=((영상신호 D43에 의해 표시되는 계조레벨)+(영상신호 D44에 의해 표시되는 계조레벨))/2
(영상신호 D44*에 의해 표시되는 계조레벨)=((영상신호 D53에 의해 표시되는 계조레벨)+(영상신호 D54에 의해 표시되는 계조레벨))/2
상기한 바와 같이, 연속하는 2개의 영상신호의 각각으로 표시되는 계조레벨의 평균치를 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5원색의 영상신호를, 외관상, 4원색에 의한 컬러표시를 행하기 위한 영상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상기 J원색 영상신호를 3계통의 영상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이하의 수식, 즉
R(t)=Drxry
G(t)=Dgxgy
B(t)=Dbxby
rx={3(t-1)+1}-J·Int[{3(t-1)}/J]
ry=Int[{3(t-1)}/J]+1
gx={3(t-1)+2}-J·Int[{3(t-1)+1}/J]
gy=Int[{3(t-1)+1}/J]+1
bx={3(t-1)+3}-J·Int[{3(t-1)+2}/J]
by=Int[{3(t-1)+2}/J]+1
에 있어서, J=4를 대입함으로써 요구되는 영상신호 R(t)·G(t)·B(t)의 각각을. r-라인, g-라인, 및 b-라인의 각각으로 분할하면 된다.
그러면, 도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r-라인에 관해서는 영상신호 D11·D41*·D32·D23·D14·D44*…가 시계열적으로 나란하게 된다. 또 g-라인에 관해서는 영상신호 D21·D12·D42*·D33·D24·D15…가 시계열적으로 나란하게 된다. 또 b-라인에 관해서는 영상신호 D31·D22·D13·D43*·D34·D25…가 시계열적으로 나란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3계통의 영상신호로서 정렬된 신호열에 대해, 영상신호 R(t)는 소스 드라이버(3)의 출력단자 r(t)로부터 화상표시패널(5')또는 화상표시패널(6)에 출력되도록 설정하고, 영상신호 G(t)는 소스 드라이버(3)의 출력단자 g(t)로부터 화상표시패널(5')또는 화상표시패널(6)에 출력되도록 설정하고, 영상신호 B(t)는 소스 드라이버(3)의 출력단자 b(t)로부터 화상표시패널(5')또는 화상표시패널(6)에 출력되도록 설정한다.
이로써 도4(b) 또는 도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스 드라이버(3)의 출력단자 r(1)로부터는 영상신호 D11이 출력되고, 출력단자 g(1)로부터는 영상신호 D21이 출력되고, 출력단자b(1)로부터는 영상신호 D31이 출력되고, 출력단자 r(2)로부터는 영상신호 D41*이 출력되고, 출력단자 g(2)로부터는 영상신호 D12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소스 드라이버(3)로부터 화상표시패널(5')에 출력되는 영상신호 R(t)·G(t)·B(t)에 의해 표시되는 원색의 순번을, 화상표시패널(5')에 있어서의 화소에 부여된 원색의 순번으로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환처리에서는, 5원색에 의한 컬러표시를 행하기 위한 영상신호를, 외관상 4원색에 의한 컬러표시를 행하기 위한 영상신호로 변환한 후에, 3계통의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K원색(K는 6이상의 정수)을 사용하여 컬러표시를 행하는 화상표시패널에 있어서, 화상표시패널에 있어서 인접하는 K-1개의 화소를 하나의 그룹으로서 본 경우, K원색 중에서 임의로 선택되는 2개의 원색 중 어느 하나에 부여된 화소가, 각 그룹에 대해 교대로 제공되고 있는 구성의 화상표시패널에도, 상기 신호변환처리를 적용할 수 있다.
즉, K원색에 의한 컬러표시를 행하기 위한 영상신호를 구성하는 K개의 신호열 중, 인접하는 K-1개의 화소로 이루어지는 그룹의 각각에 교대로 제공된 화소에 대응하는 원색을 표시하기 위한 2개의 신호열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변환처리와 같이, 하나의 신호열을 생성하면 된다.
〔5.실시예3〕
실시예1 또는 2에서는, 소스 드라이버(3)의 출력수가 패널의 화소수와 일치하고 있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그러나, 대개는 소스 드라이버의 출력수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화소수가 많은 화상표시패널에서는, 소스 드라이버를 복수개 사용 함으로써, 소스 드라이버의 출력수를 패널의 화소수에 대응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복수개 사용한 소스 드라이버의 토탈 출력수는, 패널의 화소수보다도 많아지는 것이 보통이다. 이에 대해 도6을 사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화상표시패널(7)은, 4원색의 640 그룹으로 구성되는 패널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소스 드라이버(3)…는. rgb의 출력단자를 300개 갖는 것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화상표시패널(7)의 횡1열의 화소수는, 4원색이 640 그룹이기 때문에 2560(=4×640)개이다. 따라서, 300개의 출력단자를 갖는 소스 드라이버(3)를 복수개 사용하여 화상표시패널(7)의 화소수에 대응시키고자 하면, 9개(9×300=2700)의 소스 드라이버(3)가 필요하게 된다.
그 결과, 9개의 소스 드라이버(3)…의 출력단자의 수는, 화상표시패널(7)의 화소수보다도 많아진다. 이와 같은 경우, 소스 드라이버(3)…의 출력단자 중, 140(=2700-2560)개는 화소에 접속되지 않고 미사용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미사용의 출력단자가 존재하는 상태에 있어서의, 화상표시패널(7)과 소스 드라이버(3)…의 접속방법은 4가지로 생각된다. 도6부터 도9에 접속방법을 나타낸다.
도6은, 화상표시패널(7)에 접속되지 않는 출력단자가, 소스 드라이버(3)…의 후반에 배치되는 접속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때, 소스 드라이버(3)의 출력단자 r(1)가, 화상표시패널(7)에 있어서 영상신호 D11이 입력되는 화소에 대응한다.
도7은, 화상표시패널(7)에 접속되는 출력단자가, 소스 드라이버(3)…의 중앙 부근에 배치되는 접속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경우, 소스 드라이버(3)…의 전 반 후반에, 140을 2로 나눈 값인 70개의 출력단자를 균등하게 할당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소스 드라이버(3)의 출력단자는 rgb로 1세트이기 때문에, 적어도 소스 드라이버(3)의 전반에는, 70 부근 또한 3으로 나누어지는 수의 출력단자를 할당하는 것이 적당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소스 드라이버(3)의 전반에 69개,후반에 71개의 미사용의 출력단자를 할당했다. 이 때, 소스 드라이버(3)의 출력단자 r(24)이, 영상신호 D11이 입력되는 화소에 대응한다.
도8은, 화상표시패널(7)에 접속되는 출력단자가 소스 드라이버(3)…의 중앙 부근으로 배치되는 다른 접속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경우는, 소스 드라이버(3)의 출력단자가 rgb로 1세트를 구성하는 것을 무시하여, 단순히 소스 드라이버(3)…의 전반에 70개, 후반에 70개의 미사용의 출력단자가 할당된다. 이 때, 소스 드라이버(3)의 출력단자 g(24)가, 영상신호 D11이 입력되는 화소에 대응한다. 주의할 것은, 출력단자 r(24)·g(24)·b(24) 중, 출력단자 r(24)만이 화상표시패널(7)에 접속되지 않게 되어 버리는 것이다.
도9는, 화상표시패널(7)에 접속되지 않는 출력단자가 소스 드라이버(3)의 전반에 배치되는 접속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때, 소스 드라이버(3)의 출력단자b(47)가, 영상신호 D11에 대응한다. 또 출력단자 r(47)·g(47)·b(47) 중, 출력단자 r(47)·g(47)는, 화상표시패널(7)에 접속되지 않게 되어 버린다.
도6에 나타낸 접속방법은, 실시예1 또는 2에 설명한 접속방법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래서 우선, 도7에 나타낸 접속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력단자 r(24)를 영상신호 D11이 입력되는 화소에 대응시키기 위해서는, 소스 드라이버(3)가, 출력단자 r(1)로부터 출력단자 r(24)까지「어긋난」것으로서 생각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항상 t에서 24를 감산한 값을 사용하면 바람직하게 된다.
즉, 이것을 일반화한 경우, 소스 드라이버(3)이 어긋난 분량을 S라고 하면, t에서 S를 감산한 값을 사용하게 되기 때문에, 실시예1,2에서 사용한 수식을, 이하와 같이 변경하면 된다.
R(t)=Drxry
G(t)=Dgxgy
B(t)=Dbxby
rx={3(t-S)+1}-J·Int[{3(t-S)}/J]
ry=Int[{3(t-S)}/J]+1
gx={3(t-S)+2}-J·Int[{3(t-S)+1}/J]
gy=Int[{3(t-S)+1}/J]+1
bx={3(t-S)+3}-J·Int[{3(t-S)+2}/J]
by=Int[{3(t-S)+2}/J]+1
또한, Int[ ]는, 괄호 내의 소수점 이하를 절사한 값이 출력된다. 또 S는, 영상신호 D11이 입력되는 화소에 대응하는 출력단자 r()의 괄호 내의 숫자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도7에 나타낸 접속방법에서는, 영상신호 D11이 출력단자 r(24)에 대응하기 때문에, S=24로 하여 계산한다. 상기 식을 갖고 계산하면, 소스 드라이버(3)의 출력단자 r(24)로부터는 영상신호 D11이 출력되고, 출력단자 g(24)로부터는 영상신호 D21이 출력되고, 출력단자 b(24)로부터는 영상신호 D31이 출력되고, 출력단자 r(25)로부터는 영상신호 D41이 출력되고, 출력단자 g(25)로부터는 영상신호 D12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단, t<24 인 경우, 즉 미사용의 출력단자에 상당하는 부분에 관해서는, ry, gy, by가 0 또는 음의 값으로 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J원색의 영상신호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하여 산출된다. 따라서, t는 24(=S)이상으로 설정됨으로써 비로소 유효하게 된다.
이로써, 소스 드라이버(3)로부터 화상표시패널(5)에 출력되는 영상신호 R(t)·G(t)·B(t)에 의해 표시되는 원색의 순번을, 도7에 나타낸 화상표시패널(7)에 있어서의 화소에 부여된 원색의 순번으로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도8 및 도9에 나타낸 접속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8 및 도9의 어떠한 접속방법에 관해서도 동일한 설명으로 되기 때문에, 도8의 접속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8에 나타낸 접속방법에서도, 도7에 나타낸 접속방법과 같이, 우선 S=24로 하여 계산한다. 그러나, 상기 식을 사용하면, 출력단자 r(24)가, 영상신호 D11가 입력되는 화소에 대응하게 되고,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력단자 g(24)가, 영상신호 D11가 입력되는 화소에 대응하는 것으로는 되지 않는다. 이는, 상기 식에 있어서, 출력단자 r(S)가, 항상 영상신호 D11가 입력되는 화소로 되는 것이 상정 되 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8 또는 도9에 나타낸 접속방법에 대응시키려면, 출력단자 g(24)(=출력단자 g(S))에 영상신호 D11이 대응하는 경우나, 출력단자b(24)(=출력단자b(S))에 영상신호 D11이 대응하는 경우에 있어서, 약간 다른 수식을 사용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은 식이 된다.
우선, 출력단자 g(S)에 영상신호 D11이 대응하는 경우는, 이하와 같이 수식을 설정한다.
Figure 112005024212819-pat00001
또한, 출력단자b(S)에 영상신호 D11이 대응하는 경우는, 이하와 같이 수식을 설정한다.
Figure 112005024212819-pat00002
즉, 상기 수식에 있어서는, 하선 부분만이 도7의 접속방법에 대해 설정된 수식으로부터 변경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식의 하선부를 일반화하면,
R(t)=Drxry
G(t)=Dgxgy
B(t)=Dbxby
rx={3(t-S)+A+1}-J·Int[{3(t-S)+A}/J]
ry=Int[{3(t-S)+A}/J]+1
gx={3(t-S)+A+2}-J·Int[{3(t-S)+A+1}/J]
gy=Int[{3(t-S)+A+1}/J]+1
bx={3(t-S)+A+3}-J·Int[{3(t-S)+A+2}/J]
by=Int[{3(t-S)+A+2}/J]+1
이고,
(1) r(S)에 D11이 오는 경우, A=0
(2) g(S)에 D11이 오는 경우, A=-1
(3) b(S)에 D11이 오는 경우, A=-2
(Int[ ]는, 괄호 내의 소수점 이하를 절사한 값이 출력된다. 또 S는 (1)∼(3)으로 경우를 나눈 때에 영상신호 D11에 대응하는 출력단자 r() g() b() 어느쪽이든 괄호 내의 숫자가 반환된다.)
로 되다.
본 실시예의 도8에 나타낸 접속방법에서는, 영상신호 D11이 출력단자 g(24)에 대응하기 때문에, A=-1, S=24로 하여 상기 식을 사용하여 계산하면, 소스 드라이버(3)의 출력단자 g(24)로부터는 영상신호 D11이 출력되고, 출력단자b(24)로부터는 영상신호 D21이 출력되고, 출력단자 r(24)로부터는 영상신호 D31이 출력되고, 출력단자 g(25)로부터는 영상신호 D41이 출력되고, 출력단자b(25)로부터는 영상신호 D12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단, t<24(=S)인 때, 즉 미사용의 출력단자에 상당하는 부분에 관해서는. ry, gy, by등이 0 또는 음의 값이 되고, 이와 같은 J원색의 영상신호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하여 산출된다. 따라서, t는 24(=S)이상이 되어 비로소 유효하게 된다. 또 t=24인 때에서도, ry가 0이 되기 때문에, 출력단자 r(24)에 대한 영상신호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소스 드라이버(3)로부터 화상표시패널(7)에 출력되는 영상신호 R(t)·G(t)·B(t)에 의해 표시되는 원색의 순번을, 도8에 나타낸 화상표시패널(7)에 있어서의 화소에 부여된 원색의 순번으로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도9에 나타낸 접속에서는, 영상신호 D11이 출력단자b(47)에 대응하기 때문에, A=-2, S=47로 하여 상기 식을 사용하여 계산하면, 소스 드라이버(3)의 출력단자 b(47)로부터는 영상신호 D11이 출력되고, 출력단자 r(48)로부터는 영상신호 D21이 출력되고, 출력단자 g(48)로부터는 영상신호 D31이 출력되고, 출력단자 b(48)로부터는 영상신호 D41이 출력되고, 출력단자 r(49)로부터는 영상신호 D12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단, t<47(=S)인 때, 즉 미사용의 출력에 상당하는 부분에 관해서는. ry, gy, by 등이 0 또는 음의 값이 되고, 이와 같은 J원색의 영상신호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하여 산출된다. 또한, t=47인 때에서도. ry, gy가 0이 되기 때문에, 출력단자 r(47)·g(47)에 대한 영상신호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소스 드라이버(3)로부터 화상표시패널(7)에 출력되는 영상신호 R(t)·G(t)·B(t)에 의해 표시되는 원색의 순번을, 도9에 나타낸 화상표시패널(7)에 있어서의 화소에 부여된 원색의 순번으로 일치시킬 수 있다.
물론, 실시예3에서 설명한, J계통의 영상신호를 3계통의 영상신호로 정렬하는 변환처리에 있어서는, 실시예2에 설명한 변환처리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J계통의 영상신호를 일단 (J-1)계통의 영상신호로 정렬한 후에, 그 (J-1)계통의 영상신호를, 3계통의 영상신호로 정렬하여도 된다.
J계통의 영상신호를 (J-1)계통의 영상신호로 정렬하기 위한 처리로서는, 실시예2에 설명 한 것과 동일한 처리를 사용할 수 있다. 즉,
(1) J계통의 영상신호열 중에서, 임의로 선택되는 2개의 영상신호열에 포함 되는 영상신호를, 추출원으로 되는 영상신호열을 상기 2개의 영상신호열로부터 교대로 선택하면서 추출하는 동시에, 추출된 영상신호를 시계열적으로 나란하게 하여 하나의 영상신호열을 생성하는 처리,
또는,
(2) J계통의 영상신호열 중에서 임의로 선택되는 2개의 영상신호열에 대해, 각 영상신호열 내에 동일한 순위로 나란하게 되어 있는 영상신호를 합성하는 동시에, 합성된 영상신호를 시계열적으로 나란하게 하여 하나의 영상신호열을 생성하는 처리.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된다.
〔6.보충〕
상기 설명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도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스 드라이버(3)의 좌단과 화상표시패널(5)의 좌단이 일치하고 있는 구성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 적용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소스 드라이버(3)의 좌단과 화상표시패널(5)의 좌단이 어긋나 있는 경우이라도, 본 발명은 적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신호처리회로는, 상기 화상표시 디바이스에 의한 화상표시에 사용되는 J원색(J는 4이상의 정수)의 각각에 대해, 각 화소에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시계열적으로 연속하도록 구성되는 J계통의 영상신호열 중에서, 상기 화상표시 디바이스에 있어서 각 화소에 J원색 중 어느 하나가 배색되어 있는 순번으로 대응시켜 영상신호를 3개씩 순번으로 추출하는 제1 스텝과, 상기 제1 스텝에 있어서 추출된 3개의 영상신호의 각각이 3개의 계통 중 어느 하나에 속하도록 순차적 으로 나란하게 하여 3계통의 영상신호열을 구성하는 제2 스텝을 구비하고 있는 영상신호처리방법으로 해도 표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영상신호처리방법에 있어서의 각 처리 스텝은, CPU등의 연산 수단이, ROM(Read Only Memory)이나 RAM 등의 기억 수단으로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키보드 등의 입력 수단, 디스플레이 등의 출력 수단, 또는, 인터페이스 회로 등의 통신 수단을 제어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수단을 갖는 컴퓨터가, 상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를 독취하고,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신호처리회로의 각종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을 착탈식 기록 매체에 기록함으로써, 임의의 컴퓨터상에서 상기 각종 기능 및 각종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이 기록 매체로서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처리를 행하기 위해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 예컨대 ROM과 같은 것이 프로그램 미디어에 있어서도 좋고,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외부 기억장치로서 프로그램 판독 장치가 제공되고, 거기에 기록 매체를 삽입함으로써 판독가능한 프로그램 미디어여도 좋다.
또한, 어느 경우에서도,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은,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억세스하여 실행되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로그램을 독출하고, 독출된 프로그램은, 마이크로 컴퓨터의 프로그램 기억 에어리어에 다운로드되어, 그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다운로드용 프로그램은 사전에 본체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 미디어로서는, 본체와 분리가능하게 구성되는 기록 매 체이고, 자기 테이프나 카세트 테이프 등의 테이프계, 플렉시블 디스크나 하드 디스크 등의 자기 디스크나 CD/MO/MD/DVD 등의 디스크의 디스크계, IC카드(메모리 카드를 포함한다)등의 카드계, 또는 마스크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프락시 ROM 등에 의한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한 고정적으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 등이 있다.
또한, 인터넷을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접속할 수 있는 시스템 구성이면,통신 네트워크로부터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도록 유동적으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같이 통신 네트워크부터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는 경우에는, 그 다운로드용 프로그램은 사전에 본체 장치에 저장해 두는지, 또는 다른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원색의 영상신호에 대해, 일반적으로 보급하고 있는 3원색용 소스 드라이버를 사용해도 다원색 패널을 표시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다원색을 사용하여 화상표시를 행하는 퍼스널 컴퓨터 모니터, 액정TV, 프로젝터, 휴대 전화 등의 화상표시 디바이스를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영상신호처리회로는, 복수의 화소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화상표시패널에 있어서의 각 화소에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변환하는 영상신호처리회로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패널에 의한 화상표시에 사용되는 J원색(J는 4이상의 정수)의 각각에 대해, 각 화소에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시계열적으로 연속 하도록 구성되는 J계통의 영상신호열 중에서, 상기 화상표시패널에 있어서 각 화소에 J원색의 어느 하나가 배색되어 있는 순번과, 3개의 영상신호의 각각에 의해 표시되는 원색의 순번이 일치하도록 영상신호를 3개씩 추출하고, 상기 3개의 영상신호의 각각이 3개의 계통 중에 어느 하나에 속하도록 순차적으로 나란하게 하여 3계통의 영상신호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신호처리방법은, 복수의 화소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화상표시 디바이스에서의 각 화소에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변환하는 영상신호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 디바이스에 의한 화상표시에 사용되는 J원색(J는 4이상의 정수)의 각각에 대해, 각 화소에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시계열적으로 연속하도록 구성되는 J계통의 영상신호열 중에서, 상기 화상표시패널에 있어서 각 화소에 J원색의 어느 하나에 배색되어 있는 순번과, 3개의 영상신호의 각각에 의해 표시되는 원색의 순번이 일치하도록 영상신호를 3개씩 추출하는 제1 스텝과, 상기 제1 스텝에 있어서 추출된 3개의 영상신호의 각각이 3개의 계통 중에 어느 하나에 속하도록 순차적으로 나란하게 하여 3계통의 영상신호열을 구성하는 제2 스텝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복수의 화소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화상표시패널에 있어서는, 소스 드라이버와 게이트 드라이버를 사용하고, 복수의 화소를 매트릭스 구동함으로써 화상표시가 행해진다.
그러나, 화상표시패널이 4개 이상의 원색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것인 경우, 각 화소에는 4개 이상의 원색 중 어느 하나의 원색이 첨부되게 된다. 이와 같이 다원색을 사용하여 화상표시를 하는 화상표시패널에 대해, 화상표시에 사용되어 있는 원색의 수와 같은 수의 입출력 계통을 갖는 소스 드라이버를 사용하면, 그와 같은 소스 드라이버는 범용적이지 않기 때문에, 화상표시패널을 포함하는 화상표시 디바이스의 제조 코스트가 상승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영상신호처리회로 및 영상신호처리방법은, J계통의 영상신호열로부터, 화상표시패널에 있어서 각 화소에 J원색 중 어느 하나가 배색되어 있는 순번과, 3개의 영상신호의 각각에 의해 표시되는 원색의 순번이 일치하도록 영상신호를 3개씩 추출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3개의 영상신호의 각각이 3개의 계통 중에 어느 하나에 속하도록 순차적으로 나란하게 하여 3계통의 영상신호열을 구성하기 때문에, 추출된 3개의 영상신호에 의해 표시되는 원색의 순번이 무너질 것은 없(아니)다. 즉, 본 발명의 영상신호처리회로에 의해 구성되는 3계통의 영상신호열은, 화상표시패널에서의 J원색의 배색 순서대로 대응된 순번에 의해 영상신호를 함축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영상신호처리회로 및 영상신호처리방법에 의해 출력되는 3계통의 영상신호열을, 3개의 입출력 계통을 갖는 소스 드라이버에 출력하면, 화상표시패널에서의 J원색의 배색 순서대로 대응된 순번에서 영상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3개의 입출력 계통을 갖는 소스 드라이버로부터, 본 발명의 영상신호처리회로에서 입력된 3계통의 영상신호열을 순차적으로 출력해 감으로써 화상표시패널에서의 J원색의 배색 순서대로 대응된 순번에서 영상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영상신호처리회로 및 영상신호처리방법을 사용하면, 3개의 입출 력 계통을 갖는 소스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J원색에 의한 화상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3개의 입출력 계통을 갖는 소스 드라이버는, 예를 들면 RGB색을 사용하여 화상표시를 행하는 일반적인 액정화상표시패널에 사용되어 있는 것이고, 범용성이 높은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영상신호처리회로 및 영상신호처리방법을 사용하면, 범용성이 높은 소스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J원색에 의한 화상표시가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화상표시 디바이스의 제조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신호처리회로는, 상기 구성의 영상신호처리회로에 있어서, 상기 J계통의 영상신호열에 포함되는 영상신호를, Dmn으로 나타내고 (m은, 1에서 J까지의 정수, n은, 그 영상신호가 각 원색 중에 몇번째로 표시되는 화소로 입력되는지를 나타낸 정수), 상기 3계통의 영상신호열로 포함되는 영상신호를. R(t)·G(t)·B(t)로 나타낸 경우(t는, 그 영상신호가 속하는 영상신호열에 있어서 몇번째에 나란하게 되는 영상신호인지를 나타낸 정수), 이하의 수식에 기초하여, J계통의 영상신호열을 3계통의 영상신호열로 정렬하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R(t)=Drxry
G(t)=Dgxgy
B(t)=Dbxby
단,
rx={3(t-1)+1}-J·Int[{3(t-1)}/J]
ry=Int[{3(t-1)}/J]+1
gx={3(t-1)+2}-J·Int[{3(t-1)+1}/J]
gy=Int[{3(t-1)+1}/J]+1
bx={3(t-1)+3}-J·Int[{3(t-1)+2}/J]
by=Int[{3(t-1)+2}/J]+1
(Int[]는, 괄호 내의 소수점 이하를 절사한 값이 출력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상기 식에 따라, J계통의 영상신호열을 3계통의 영상신호열로 정렬할 수 있다.
즉, 상기 식에 있어서, J계통의 영상신호열은, 이하와 같이 표현된다. 또한,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J를 5로 설정한다.
원색(1)에 대한 영상신호열: 영상신호 D11·D12·D13…로 이루어지는 영상신호열
원색(2)에 대한 영상신호열: 영상신호 D21·D22·D23…로 이루어지는 영상신호열
원색(5)에 대한 영상신호열: 영상신호 D51·D52·D53…로 이루어지는 영상신호열.
또한, 원색(1), 원색(2), 원색(3), 원색(4),및 원색(5)은, 이 순번에 있어서, 화상표시패널에서의 각 화소에 배색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식에 있어서, t=1,2, 3…와 같이, 작은 정수부터 차례로 t로서 대입하여 rx, ry,gx,gy, bx, by를 산출하면, 영상신호 R(t)·G(t)·B(t)는 이하와 같이 구해진다.
R(t):영상신호 D11·D41·D22…
G(t):영상신호 D21·D51·D32…
B(t):영상신호 D31·D12·D42…
즉, 상기 5계통의 영상신호열이, 이하에 나타낸 3계통의 영상신호열로 변환된 것으로 된다.
제1계통:영상신호 D11·D41·D22…
제2계통:영상신호 D21·D51·D32…
제3계통:영상신호 D31·D12·D42…
그리고, 이와 같이 변환된 3계통의 영상신호열로 있어서, 각 계통에서 1번째에 나란하게 되는 영상신호는, 영상신호 D11·D21·D31이고, 이러한 영상신호는 각각, 원색(1)·원색(2)·원색(3)에 대응하는 영상신호이다. 즉, 화상표시패널에 있어서의 5원색의 배색순에 대응된 차례로, 5계통의 영상신호열이 3계통의 영상신호열로 변환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3개의 입출력 계통을 갖는 소스 드라이버로부터, 본 발명의 영상신호처리회로로부터 입력된 3계통의 영상신호열을 순차적으로 출력해 나감으로써, 화상표시패널에 있어서의 5원색의 배색순에 대응된 차례로, 영상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영상신호처리회로를 사용하면, 3개의 입출력 계통을 갖는 소스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5원색에 의한 화상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미리 설정된 식을 사용하여 3계통의 영상신호열을 구성한 것이고, 간이인 처리에 있어서 J계통의 영상신호열을 3계통의 영상신호열로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범용성이 높은 소스 드라이버를 사용함으로써 화상표시 디바이스의 제조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고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상신호처리회로 내의 처리를 간략화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신호처리회로는, 상기 구성 영상신호처리회로에 있어서, 상기 J계통의 영상신호열 중에서, 임의로 선택되는 2개의 영상신호열에 포함되는 영상신호를, 추출원으로 되는 영상신호열을 상기 2개의 영상신호열로부터 교대로 선택하면서 추출하는 동시에, 추출된 영상신호를 시계열적으로 나란하게 하여 하나의 영상신호열을 생성함으로써 J계통의 영상신호열을 (J-1)계통의 영상신호열로 변환하고, 상기 (J-1)계통의 영상신호열에 포함되는 영상신호를, Dmn으로서 나타내고 (m은, 1에서 J-1까지의 정수, n은, 상기 영상신호가 각 원색 중에 몇번째에 표시되는 화소에 입력되는지를 나타낸 정수), 상기 3계통의 영상신호열로 포함되는 영상신호를. R(t)·G(t)·B(t)로서 나타낸 경우(t는, 그 영상신호가 속하는 영상신호열에 있어서 몇번째에 나란하게 되는 영상신호인지를 나타낸 정수), 이하의 수식에 기초하여, (J-1)계통의 영상신호열을 3계통의 영상신호열로 정렬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R(t)=Drxry
G(t)=Dgxgy
B(t)=Dbxby
단,
rx={3(t-1)+1}-(J-1)·Int[{3(t-1)}/(J-1)]
ry=Int[{3(t-1)}/(J-1)]+1
gx={3(t-1)+2}-(J-1)·Int[{3(t-1)+1}/(J-1)]
gy=Int[{3(t-1)+1}/(J-1)]+1
bx={3(t-1)+3}-(J-1)·Int[{3(t-1)+2}/(J-1)]
by=Int[{3(t-1)+2}/(J-1)]+1
(Int[]는, 괄호 내의 소수점 이하를 잘라서 버린 값이 출력된다).
즉, J개의 원색을 사용하여 화상표시를 하는 화상표시패널에 있어서는, J개의 원색에 포함되는 원색이 각 화소에 대해 1대1 대응으로 부여되어 있는 것만은 아니다. 즉, 화상표시패널에 있어서의 (J-1)개의 화소를 1그룹으로 하여 본 경우, J개의 원색 중에 어느 2개의 원색이, 각 그룹에 대해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화상표시패널도 존재한다.
이와 같은 화상표시패널에 대해, 상기 J계통의 영상신호열을 3계통의 영상신호열로 정렬하는 변환식을 사용하여 변환된 3계통의 영상신호열을 사용하여 화상표시를 행하면, 각 화소에 첨부된 원색과, 상기 화소에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의해 표시되는 원색이 일치하지 않아, 적절한 화상표시가 행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특히, J계통의 영상신호열 중에서, 임의로 선택되는 2개의 영상신호열에 포함되는 영상신호를, 추출원으로 되는 영상신호열을 상기 2개의 영상신호열로부터 교대로 선택하면서 추출하는 동시에, 추출된 영상신호를 시계 열적으로 나란하게 하여 하나의 영상신호열을 생성함으로써 J계통의 영상신호열을 (J-1)계통의 영상신호열로 변환한다.
예를 들면, J가 5인 경우, 즉, 원색(1), 원색(2), 원색(3), 원색(4), 및 원색(5)로 이루어지는 5원색 중 어느 1색이, 화상표시패널에 있어서의 각 화소에 첨부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한다. 그리고, 상기 화상표시패널에 있어서, 4개의 화소를 1그룹으로 하여 본 경우, 원색(4) 및 원색(5)가, 각 그룹에 대해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영상신호의 변환처리에 있어서는, 원색(4)을 표시하기 위한 영상신호열과, 원색(5)을 표시하기 위한 영상신호열로부터, 하나의 영상신호열을 생성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원색(4) 및 원색(5)의 영상신호열로부터 생성되는 신호열을, 원색(4*)의 영상신호열로 하는 경우, 원색(4*)의 영상신호열은, 이하와 같이 구성된다.
원색(4*)에 대한 영상신호열:영상신호 D41·D52·D43…
그리고, 상기 식에 기초하여, 원색(1), 원색(2), 원색(3), 및 원색(4*)의 영상신호열을 3계통의 영상신호 R(t)·G(t)·B(t)로 변환하면, 이하와 같이 된다.
제1계통:영상신호 D11·D41·D32…
제2계통:영상신호 D21·D12·D52…
제3계통:영상신호 D31·D22·D13…
그리고, 이와 같이 변환된 3계통의 영상신호열로부터, 제1계통, 제2계통, 제 3계통의 순번으로, 영상신호를 출력해 나가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최초로 출력되는 영상신호는, 영상신호 D11·D21·D31·D41이고, 이러한 영상신호는 각각, 원색(1)·원색(2)·원색(3)·원색(4)에 대응하는 영상신호이다. 그리고, 그 다음에 출력되는 영상신호는, 영상신호 D12·D22·D32·D52이고, 이러한 영상신호는 각각, 원색(1)·원색(2)·원색(3)·원색(5)에 대응하는 영상신호이다.
즉, 본 발명의 영상신호처리회로에 의해 변환된 3계통의 영상신호열을, 4개의 영상신호를 1단위로 보면, 원색(4) 및 원색(5)의 영상신호가 교대로 출력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3개의 입출력 계통을 갖는 소스 드라이버로부터, 본 발명의 영상신호처리회로로부터 입력된 3계통의 영상신호열을 순차적으로 출력해 나감으로써 화상표시패널에 있어서의 5원색의 배색순에 대응된 순번으로 영상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영상신호처리회로를 사용하면, 3개의 입출력 계통을 갖는 소스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J원색에 의한 화상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미리 설정된 식을 사용하여 3계통의 영상신호열을 구성한 것이고, 간이인 처리에 있어서 J계통의 영상신호열을 3계통의 영상신호열로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범용성이 높은 소스 드라이버를 사용함으로써 화상표시 디바이스의 제조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고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상신호처리회로 내의 처리를 간략화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신호처리회로는, 상기 구성 영상신호처리회로에 있어서, 상기 J계통의 영상신호열 중에서 임의로 선택되는 2개의 영상신호열에 대해, 각 영상신호열 내에 동일한 순위로 나란하게 되어 있는 영상신호를 합성하는 동시에, 합성된 영상신호를 시계열적으로 나란하게 하여 하나의 영상신호열을 생성함으로써 J계통의 영상신호열을 (J-1) 계통의 영상신호열로 변환하고, 상기 (J-1)계통의 영상신호열에 포함되는 영상신호를, Dmn으로서 나타내고 (m은, 1에서 J-1까지의 정수, n은, 상기 영상신호가 각 원색 중 몇번째에 표시되는 화소에 입력되는지를 나타낸 정수), 상기 3계통의 영상신호열로 포함되는 영상신호를. R(t)·G(t)·B(t)로 하여 나타낸 경우(t는, 그 영상신호가 속하는 영상신호열에 있어서 몇번째에 나란하게 되는 영상신호인지를 나타낸 정수), 이하의 수식에 기초하여, (J-1)계통의 영상신호열을 3계통의 영상신호열로 정렬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R(t)=Drxry
G(t)=Dgxgy
B(t)=Dbxby
단,
rx={3(t-1)+1}-(J-1)·Int[{3(t-1)}/(J-1)]
ry=Int[{3(t-1)}/(J-1)]+1
gx={3(t-1)+2}-(J-1)·Int[{3(t-1)+1}/(J-1)]
gy=Int[{3(t-1)+1}/(J-1)]+1
bx={3(t-1)+3}-(J-1)·Int[{3(t-1)+2}/(J-1)]
by=Int[{3(t-1)+2}/(J-1)]+1
(Int[]는, 괄호 내의 소수점 이하를 절사한 값이 출력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화상표시패널에 있어서의 (J-1)개의 화소를 1그룹으로 하여 본 경우, J개의 원색 중 어느 2개의 원색이, 각 그룹에 대해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화상표시패널도 존재한다.
이와 같은 화상표시패널에 대해, 상기 J계통의 영상신호열을 3계통의 영상신호열로 정렬하는 변환식을 사용하여 변환된 3계통의 영상신호열을 사용하여 화상표시를 행하면, 각 화소에 부여된 원색과, 상기 화소에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의해 표시되는 원색이 일치하지 않아, 적절한 화상표시가 행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특히, J계통의 영상신호열 중에서 임의로 선택되는 2개의 영상신호열에 대해, 각 영상신호열 내에 동일한 순위로 나란하게 되어 있는 영상신호를 합성하는 동시에, 합성된 영상신호를 시계열적으로 나란하게 하여 하나의 영상신호열을 생성함으로써, J계통의 영상신호열을 (J-1)계통의 영상신호열로 변환한다. 또한,「영상신호를 합성한다」란,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계조레벨의 값을 합산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J가 5인 경우, 즉, 원색(1), 원색(2), 원색(3), 원색(4), 및 원색(5)로 이루어지는 5원색 중 어느 1색이, 화상표시패널에 있어서의 각 화소에 부여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한다. 그리고, 상기 화상표시패널에 있어서, 4개의 화소를 1그룹으로 하여 본 경우, 원색(4) 및 원색(5)가, 각 그룹에 대해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영상신호의 변환 처리에 있어서는, 원색(4)을 표시하기 위한 영상신호열과, 원색(5)을 표시하기 위한 영상신호열로부터, 하나의 영상신호열을 생성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원색(4) 및 원색(5)의 영상신호열로부터 생성되는 신호열을, 원색(4*)의 영상신호열로 하는 경우, 원색(4*)의 영상신호열은, 이하와 같이 구성된다.
(영상신호 D41*에 의해 표시되는 계조레벨)=(영상신호 D41에 의해 표시되는 계조레벨)+(영상신호 D42에 의해 표시되는 계조레벨)/2
(영상신호 D42*에 의해 표시되는 계조레벨)=(영상신호 D51에 의해 표시되는 계조레벨)+(영상신호 D52에 의해 표시되는 계조레벨)/2
(영상신호 D43*에 의해 표시되는 계조레벨)=(영상신호 D43에 의해 표시되는 계조레벨)+(영상신호 D44에 의해 표시되는 계조레벨)/2
(영상신호 D44*에 의해 표시되는 계조레벨)=(영상신호 D53에 의해 표시되는 계조레벨)+(영상신호 D54에 의해 표시되는 계조레벨)/2
그리고, 상기 식에 기초하여, 원색(1), 원색(2), 원색(3), 및 원색(4*)의 영상신호열을 3계통의 영상신호 R(t)·G(t)·B(t)로 변환하면, 이하와 같이 된다.
제1계통:영상신호 D11·D41*·D32…
제2계통:영상신호 D21·D12·D42*…
제3계통:영상신호 D31·D22·D13…
그리고, 이와 같이 변환된 3계통의 영상신호열로부터, 제1계통, 제2계통, 제3계통의 순번으로, 영상신호를 출력해 나가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최초에 출력되 는 영상신호는, 영상신호 D11·D21·D31·D41*이고, 이러한 영상신호는 각각, 원색(1)·원색(2)·원색(3)·원색(4)에 대응하는 영상신호이다. 그리고, 그 다음에 출력되는 영상신호는, 영상신호 D12·D22·D32·D42*이고, 이러한 영상신호는 각각, 원색(1)·원색(2)·원색(3)·원색(5)에 대응하는 영상신호이다.
즉, 본 발명의 영상신호처리회로에 의해 변환된 3계통의 영상신호열을, 4개의 영상신호를 1단위로 보면, 원색(4) 및 원색(5)의 영상신호가 교대로 출력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3개의 입출력 계통을 갖는 소스 드라이버로부터, 본 발명의 영상신호처리회로에서 입력된 3계통의 영상신호열을 순차적으로 출력해 나감으로써 화상표시패널에 있어서의 5원색의 배색순에 대응된 순번으로 영상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영상신호처리회로를 사용하면, 3개의 입출력 계통을 갖는 소스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J원색에 의한 화상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미리 설정된 식을 사용하여 3계통의 영상신호열을 구성한 것이고, 간단한 처리에 있어서 J계통의 영상신호열을 3계통의 영상신호열로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범용성이 높은 소스 드라이버를 사용함으로써 화상표시 디바이스의 제조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고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상신호처리회로 내의 처리를 간략화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J계통의 영상신호열 중에서 임의로 선택되는 2개의 영상신호열에 대해, 각 영상신호열 내에 동일한 순위로 나란하게 되어 있는 영상신호를 합성하는 동시에, 합성된 영상신호를 시계열적으로 나란하게 하여 하나의 영상신호열을 생성하기 때문에, J계통의 영상신호열에 포함되는 모든 영상신호를 고려하여 3계통의 영상신호열이 구성된다. 따라서, 보다 적절한 색상에 의한 화상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신호처리회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J계통의 영상신호열에 포함되는 영상신호를, Dmn으로 나타내고 (m은, 1에서 J까지의 정수, n은, 상기 영상신호가 각 원색 중 몇번째로 표시되는 화소로 입력되는지를 나타낸 정수),
상기 3계통의 영상신호열로 포함되는 영상신호를. R(t)·G(t)·B(t)로서 나타내고 (t는, 그 영상신호가 속하는 영상신호열에 있어서 몇번째에 나란하게 되는 영상신호인지를 나타낸 정수),
소스 드라이버에 있어서의 3계통의 출력단자를. r(l)·g(l)·b(l)로서 나타낸 경우(l은, 그 출력단자가, 자신이 속하는 계통에 있어서 몇번째에 나란하게 되는 출력단자인지를 나타낸 정수),
J계통의 영상신호에 있어서의 영상신호 D11이, 출력단자 r(S), 출력단자 g(S), 및 출력단자 b(S) 중 어느 하나에 입력되는 경우, 이하의 수식에 기초하여, J계통의 영상신호열을 3계통의 영상신호열로 정렬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R(t)=Drxry
G(t)=Dgxgy
B(t)=Dbxby
단,
rx={3(t-S)+A+1}-J·Int[{3(t-S)+A}/J]
ry=Int[{3(t-S)+A}/J]+1
gx={3(t-S)+A+2}-J·Int[{3(t-S)+A+1}/J]
gy=Int[{3(t-S)+A+1}/J]+1
bx={3(t-S)+A+3}-J·Int[{3(t-S)+A+2}/J]
by=Int[{3(t-S)+A+2}/J]+1
로서,
(1) 출력단자 r(S)에 영상신호 D11이 입력되는 경우, A=0
(2) 출력단자 g(S)에 영상신호 D11이 입력되는 경우, A=-1
(3) 출력단자 b(S)에 영상신호 D11이 입력되는 경우, A=-2
(Int[]는, 괄호 내의 소수점 이하를 절사한 값이 출력된다. 또 S는, (1)∼(3)으로 경우를 나눈 때에 있어서의, 영상신호 D11에 대응하는 출력단자 r(), 출력단자 g(), 및 출력단자 b() 중, 어느 출력단자의 괄호 내의 숫자로서 설정된다).
즉, 상기 식에 있어서, J계통의 영상신호열은, 이하와 같이 표현된다. 또한,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J를 4로 설정한다.
원색(1)에 대한 영상신호열:영상신호 D11·D12·D13…로 이루어지는 영상신호열
원색(2)에 대한 영상신호열:영상신호 D21·D22·D23…로 이루어지는 영상신호열
원색(4)에 대한 영상신호열:영상신호 D41·D42·D43…로 이루어지는 영상신호열.
또한, 원색(1), 원색(2), 원색(3), 및 원색(4)은, 이 순번에 있어서, 화상표시패널에 있어서의 각 화소에 배색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식에 있어서, t는 S이상의 자연수가 되기 때문에, 영상신호 D11이 출력단자 r(S), g(S), b(S) 중 어디에 입력되는지를 판정한 후, t=S, S+1, S+2…와 같이, 작은 정수부터 차례로 t로서 대입하고, rx. ry, gx, gy, bx, by를 산출하면, 영상신호 R(t)·G(t)·B(t)는 이하와 같이 구해진다.
(1) 출력단자 r(S)에 영상신호 D11이 대응하는 경우, A=0으로 되고
R(t):영상신호 D11·D41·D32…
G(t):영상신호 D21·D12·D42…
B(t):영상신호 D31·D22·D13…
즉,
제1계통:영상신호 D11·D41·D32…
제2계통:영상신호 D21·D12·D42…
제3계통:영상신호 D31·D22·D13…
로 된다.
(2)출력단자 g(S)에 영상신호 D11이 대응하는 경우, A=-1로 되고
제1계통:영상신호―――·D31·D22…
제2계통:영상신호 D11·D41·D32…
제3계통:영상신호 D21·D12·D42…
로 된다.
또한,「―――」는, 대응하는 J원색의 영상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의미 하고 있다.
(3) 출력단자 b(S)에 영상신호 D11이 대응하는 경우, A=-2로 되고
제1계통:영상신호―――·D21·D12…
제2계통:영상신호―――·D31·D22…
제3계통:영상신호 D11·D41·D32…
로 된다.
또한,「―――」는, 대응하는 J원색의 영상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의미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변환된 3계통의 영상신호열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화상표시패널에 있어서의 4원색의 배색순에 대응된 순번에 의해, 4계통의 영상신호열이 3계통의 영상신호열로 변환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3개의 입출력 계통을 갖는 소스 드라이버로부터, 본 발명의 영상신호처리회로로부터 입력된 3계통의 영상신호열을 순차적으로 출력해 나감으로써 화상표시패널에 있어서의 4원색의 배색순에 대응된 순번에 의해 영상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영상신호처리회로를 사용하면, 3개의 입출력 계통을 갖는 소스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4원색에 의한 화상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미리 설정된 식을 사용하여 3계통의 영상신호열 을 구성한 것이고, 간단한 처리에 있어서 J계통의 영상신호열을 3계통의 영상신호열로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범용성이 높은 소스 드라이버를 사용함으로써 화상표시 디바이스의 제조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상신호처리회로 내의 처리를 간략화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구성의 영상신호처리회로에 있어서는, J개의 원색 중에 어느 2개의 원색이 각 그룹에 대해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화상표시패널에 대응하기 위해, 상기 J계통의 영상신호열을 (J-1)계통의 영상신호열로 변환하는 처리를 적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영상신호처리회로는, 상기 J계통의 영상신호열 중에서, 임의로 선택되는 2개의 영상신호열에 포함되는 영상신호를, 추출원으로 되는 영상신호열을 상기 2개의 영상신호열로부터 교대로 선택하면서 추출하는 동시에, 추출된 영상신호를 시계열적으로 나란하게 하여 하나의 영상신호열을 생성함으로써 J계통의 영상신호열을 (J-1)계통의 영상신호열로 변환하고,
상기 (J-1)계통의 영상신호열에 포함되는 영상신호를, Dmn로 나타내고 (m은, 1부터 J-1까지의 정수, n은, 그 영상신호가 각 원색 중 몇번째로 표시되는 화소로 입력되는지를 나타낸 정수),
상기 3계통의 영상신호열로 포함되는 영상신호를. R(t)·G(t)·B(t)로서 나타내고 (t는, 그 영상신호가 속하는 영상신호열에 있어서 몇번째에 나란하게 되는 영상신호인지를 나타낸 정수),
소스 드라이버에 있어서의 3계통의 출력단자를. r(l)·g(l)·b(l)로서 나타 낸 경우(l은, 그 출력단자가, 자신이 속하는 계통에 있어서 몇번째에 나란하게 되는 출력단자인지를 나타낸 정수),
(J-1)계통의 영상신호에 있어서의 영상신호 D11이, 출력단자 r(S), 출력단자 g(S), 및 출력단자 b(S) 중 어느 하나에 입력되는 경우, 이하의 수식에 기초하여, (J-1)계통의 영상신호열을 3계통의 영상신호열로 정렬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R(t)=Drxry
G(t)=Dgxgy
B(t)=Dbxby
단,
rx={3(t-S)+A+1}-(J-1)·Int[{3(t-S)+A}/(J-1)]
ry=Int[{3(t-S)+A}/(J-1)]+1
gx={3(t-S)+A+2}-(J-1)·Int[{3(t-S)+A+1}/(J-1)]
gy=Int[{3(t-S)+A+1}/(J-1)]+1
bx={3(t-S)+A+3}-(J-1)·Int[{3(t-S)+A+2}/(J-1)]
by=Int[{3(t-S)+A+2}/(J-1)]+1
로서,
(1)출력단자 r(S)에 영상신호 D11이 입력되는 경우, A=0
(2)출력단자 g(S)에 영상신호 D11이 입력되는 경우, A=-1
(3)출력단자 b(S)에 영상신호 D11이 입력되는 경우, A=-2
(Int[]는, 괄호 내의 소수점 이하를 절사한 값이 출력된다. 또 S는,(1)∼(3) 으로 경우를 나눈 때에 있어서의, 영상신호 D11에 대응하는 출력단자 r(), 출력단자 g(), 및 출력단자 b() 중, 어느 하나의 출력단자의 괄호 내의 숫자로서 설정된다).
또는, 본 발명의 영상신호처리회로는, 상기 J계통의 영상신호열 중에서 임의로 선택되는 2개의 영상신호열에 대해, 각 영상신호열 내에 동일한 순위로 나란하게 되어 있는 영상신호를 합성하는 동시에, 합성된 영상신호를 시계열적으로 나란하게 하여 하나의 영상신호열을 생성함으로써 J계통의 영상신호열을 (J-1)계통의 영상신호열로 변환하고,
상기 (J-1)계통의 영상신호열에 포함되는 영상신호를, Dmn으로 나타내고 (m은, 1부터 J-1까지의 정수, n은, 그 영상신호가 각 원색 중 몇번째로 표시되는 화소로 입력되는지를 나타낸 정수),
상기 3계통의 영상신호열로 포함되는 영상신호를. R(t)·G(t)·B(t)로서 나타내고 (t는, 그 영상신호가 속하는 영상신호열에 있어서 몇번째에 나란하게 되는 영상신호인지를 나타낸 정수),
소스 드라이버에 있어서의 3계통의 출력단자를. r(l)·g(l)·b(l)로서 나타낸 경우(l은, 그 출력단자가, 자신이 속하는 계통에 있어서 몇번째에 나란하게 되는 출력단자인지를 나타낸 정수),
(J-1)계통의 영상신호에 있어서의 영상신호 D11이, 출력단자 r(S), 출력단자 g(S), 및 출력단자 b(S) 중 어느 하나에 입력되는 경우, 이하의 수식에 기초하여, (J-1)계통의 영상신호열을 3계통의 영상신호열로 정렬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R(t)=Drxry
G(t)=Dgxgy
B(t)=Dbxby
단,
rx={3(t-S)+A+1}-(J-1)·Int[{3(t-S)+A}/(J-1)]
ry=Int[{3(t-S)+A}/(J-1)]+1
gx={3(t-S)+A+2}-(J-1)·Int[{3(t-S)+A+1}/(J-1)]
gy=Int[{3(t-S)+A+1}/(J-1)]+1
bx={3(t-S)+A+3}-(J-1)·Int[{3(t-S)+A+2}/(J-1)]
by=Int[{3(t-S)+A+2}/(J-1)]+1
로서,
(1)출력단자 r(S)에 영상신호 D11이 입력되는 경우, A=0
(2)출력단자 g(S)에 영상신호 D11이 입력되는 경우, A=-1
(3)출력단자 b(S)에 영상신호 D11이 입력되는 경우, A=-2
(Int[]는, 괄호 내의 소수점 이하를 절사한 값이 출력된다. 또 S는, (1)∼(3)로 경우를 나눈 때에 있어서의, 영상신호 D11에 대응하는 출력단자 r(), 출력단자 g(), 및 출력단자 b() 중, 어느 하나의 출력단자의 괄호 내의 숫자로서 설정된다).
또한, 컴퓨터로 상기 영상신호처리방법에 있어서의 각 스텝을 실행시키는 영상신호처리 프로그램에 의해 컴퓨터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영상신호처리방법과 같 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신호처리 프로그램을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억시킴으로써 임의의 컴퓨터상에서 상기 영상신호처리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이루어진 구체적인 실시형태 모양 또는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 기술 내용을 명백히 하기 위한 것이고, 그와 같은 구체적인 사례에만 한정하여 협의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과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원색에 의한 화상표시가 가능한 화상표시 디바이스를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는 영상신호처리회로, 영상신호처리방법, 영상처리 프로그램, 및 컴퓨터 독취가능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복수의 화소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설된 화상표시패널에 있어서의 각 화소에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변환하는 영상신호처리회로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패널에 의한 화상 표시에 사용되는 J원색(J는 4이상의 정수)의 각각에 대해, 각 화소에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시계열적으로 연속하도록 구성되는 J계통의 영상신호열 중에서, 상기 화상표시패널에 있어서 각 화소에 J원색 중 어느 하나에 배색되어 있는 순번과, 3개의 영상신호의 각각에 의해 표시되는 원색의 순번이 일치하도록 영상신호를 3개씩 추출하고, 상기 3개의 영상신호의 각각이 3개 계통 중 어느 하나에 속하도록 순차적으로 나란하게 하여 3계통의 영상신호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처리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J계통의 영상신호열에 포함되는 영상신호를, Dmn로서 나타내고 (m은, 1부터 J까지의 정수, n은, 상기 영상신호가 각 원색 중 몇번째로 표시되는 화소에 입력되는지를 나타내는 정수),
    상기 3계통의 영상신호열로 포함되는 영상신호를, R(t)·G(t)·B(t)로서 나타낸 경우(t는, 상기 영상신호가 속하는 영상신호열에 있어서 몇번째에 나란하게 되는 영상신호인지를 나타내는 정수),
    이하의 수식에 기초하여, J계통의 영상신호열을 3계통의 영상신호열로 정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처리 회로.
    R(t)=Drxry
    G(t)=Dgxgy
    B(t)=Dbxby
    단,
    rx={3(t-1)+1}-J·Int[{3(t-1)}/J]
    ry=Int[{3(t-1)}/J]+1
    gx={3(t-1)+2}-J·Int[{3(t-1)+1}/J]
    gy=Int[{3(t-1)+1}/J]+1
    bx={3(t-1)+3}-J·Int[{3(t-1)+2}/J]
    by=Int[{3(t-1)+2}/J]+1
    (Int[]는, 괄호 내의 소수점 이하를 절사한 값이 출력된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J계통의 영상신호열 중에서, 임의로 선택되는 2개의 영상신호열에 포함되는 영상신호를, 추출원으로 되는 영상신호열을 상기 2개의 영상신호열로부터 교대로 선택하면서 추출하는 동시에, 추출된 영상신호를 시계열적으로 나란하게 하여 하나의 영상신호열을 생성함으로써, J계통의 영상신호열을 (J-1)계통의 영상신호열로 변환하고,
    상기 (J-1)계통의 영상신호열에 포함되는 영상신호를, Dmn로서 나타내고 (m 은, 1부터 J-1까지의 정수, n은, 상기 영상신호가 각 원색 중 몇번째로 표시되는 화소에 입력되는지를 나타내는 정수),
    상기 3계통의 영상신호열로 포함되는 영상신호를, R(t)·G(t)·B(t)로서 나타낸 경우(t는, 상기 영상신호가 속하는 영상신호열에 있어서 몇번째에 나란하게 되는 영상신호인지를 나타내는 정수),
    이하의 수식에 기초하여, (J-1)계통의 영상신호열을 3계통의 영상신호열로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처리회로.
    R(t)=Drxry
    G(t)=Dgxgy
    B(t)=Dbxby
    단,
    rx={3(t-1)+1}-(J-1)·Int[{3(t-1)}/(J-1)]
    ry=Int[{3(t-1)}/(J-1)]+1
    gx={3(t-1)+2}-(J-1)·Int[{3(t-1)+1}/(J-1)]
    gy=Int[{3(t-1)+1}/(J-1)]+1
    bx={3(t-1)+3}-(J-1)·Int[{3(t-1)+2}/(J-1)]
    by=Int[{3(t-1)+2}/(J-1)]+1
    (Int[]는, 괄호 내의 소수점 이하를 절사한 값이 출력된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J계통의 영상신호열 중에서 임의로 선택되는 2개의 영상신호열에 대해, 각 영상신호열 내에 동일한 순위에 나란하게 되어 있는 영상신호를 합성하는 동시에, 합성된 영상신호를 시계열적으로 나란하게 하여 하나의 영상신호열을 생성함으로써, J계통의 영상신호열을 (J-1)계통의 영상신호열로 변환하고,
    상기 (J-1)계통의 영상신호열에 포함되는 영상신호를, Dmn로서 나타내고 (m은, 1부터 J-1까지의 정수, n은, 상기 영상신호가 각 원색 중 몇번째로 표시되는 화소에 입력되는지를 나타내는 정수),
    상기 3계통의 영상신호열로 포함되는 영상신호를, R(t)·G(t)·B(t)로서 나타낸 경우(t는, 상기 영상신호가 속하는 영상신호열에 있어서 몇번째에 나란하게 되는 영상신호인지를 나타내는 정수),
    이하의 수식에 기초하여, (J-1)계통의 영상신호열을 3계통의 영상신호열로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처리회로.
    R(t)=Drxry
    G(t)=Dgxgy
    B(t)=Dbxby
    단,
    rx={3(t-1)+1}-(J-1)·Int[{3(t-1)}/(J-1)]
    ry=Int[{3(t-1)}/(J-1)]+1
    gx={3(t-1)+2}-(J-1)·Int[{3(t-1)+1}/(J-1)]
    gy=Int[{3(t-1)+1}/(J-1)]+1
    bx={3(t-1)+3}-(J-1)·Int[{3(t-1)+2}/(J-1)]
    by=Int[{3(t-1)+2}/(J-1)]+1
    (Int[]는, 괄호 내의 소수점 이하를 절사한 값이 출력된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J계통의 영상신호열에 포함되는 영상신호를, Dmn로서 나타내고 (m은, 1부터 J까지의 정수, n은, 상기 영상신호가 각 원색 중 몇번째로 표시되는 화소에 입력되는지를 나타내는 정수),
    상기 3계통의 영상신호열로 포함되는 영상신호를, R(t)·G(t)·B(t)로서 나타내고 (t는, 상기 영상신호가 속하는 영상신호열에 있어서 몇번째에 나란하게 되는 영상신호인지를 나타내는 정수),
    소스 드라이버에 있어서의 3계통의 출력단자를, r(l)·g(l)·b(l)로서 나타낸 경우 (l은, 상기 출력단자가, 자신이 속하는 계통에 있어서 몇번째에 나란하게 되는 출력단자인지를 나타내는 정수),
    J계통의 영상신호에 있어서의 영상신호 D11가, 출력단자 r(S) ,출력단자 g(S), 및 출력단자 b(S) 중 어느 하나에 입력되는 경우, 이하의 수식에 기초하여, J계통의 영상신호열을 3계통의 영상신호열로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처리회로.
    R(t)=Drxry
    G(t)=Dgxgy
    B(t)=Dbxby
    단,
    rx={3(t-S)+A+1}-J·Int[{3(t-S)+A}/J]
    ry=Int[{3(t-S)+A}/J]+1
    gx={3(t-S)+A+2}-J·Int[{3(t-S)+A+1}/J]
    gy=Int[{3(t-S)+A+1}/J]+1
    bx={3(t-S)+A+3}-J·Int[{3(t-S)+A+2}/J]
    by=Int[{3(t-S)+A+2}/J]+1
    로서,
    (1) 출력단자 r(S)에 영상신호 D11이 입력되는 경우, A=0
    (2) 출력단자 g(S)에 영상신호 D11이 입력되는 경우, A=-1
    (3) 출력단자 b(S)에 영상신호 D11이 입력되는 경우, A=-2
    (Int[]는, 괄호 내의 소수점 이하를 절사한 값이 출력된다. 또한, S는, (1)∼(3)로 경우를 나눈 때에 있어서의, 영상신호 D11에 대응하는 출력단자 r(), 출력단자 g(), 및 출력단자 b() 중, 어느 하나의 출력단자의 괄호 내의 숫자로서 설정된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J계통의 영상신호열 중에서, 임의로 선택되는 2개의 영상신호열에 포함되는 영상신호를, 추출원으로 되는 영상신호열을 상기 2개의 영상신호열로부터 교 대로 선택하면서 추출하는 동시에, 추출된 영상신호를 시계적으로 나란하게 하여 하나의 영상신호열을 생성함으로써, J계통의 영상신호열을 (J-1)계통의 영상신호열로 변환하고,
    상기 (J-1)계통의 영상신호열에 포함되는 영상신호를, Dmn로서 나타내고 (m은, 1부터 J-1까지의 정수, n은, 상기 영상신호가 각 원색 중 몇번째로 표시되는 화소에 입력되는지를 나타내는 정수),
    상기 3계통의 영상신호열로 포함되는 영상신호를, R(t)·G(t)·B(t)로서 나타내고 (t는, 상기 영상신호가 속하는 영상신호열에 있어서 몇번째에 나란하게 되는 영상신호인지를 나타내는 정수),
    소스 드라이버에 있어서의 3계통의 출력단자를, r(l)·g(l)·b(l)로서 나타낸 경우(l은, 상기 출력단자가, 자신이 속하는 계통에 있어서 몇번째에 나란하게 되는 출력단자인지를 나타내는 정수),
    (J-1)계통의 영상신호에 있어서의 영상신호 D11가, 출력단자 r(S), 출력단자g(S), 및 출력단자 b(S) 중 어느 하나에 입력되는 경우, 이하의 수식에 기초하여, (J-1)계통의 영상신호열을 3계통의 영상신호열로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처리회로.
    R(t)=Drxry
    G(t)=Dgxgy
    B(t)=Dbxby
    단,
    rx={3(t-S)+A+1}-(J-1)·Int[{3(t-S)+A}/(J-1)]
    ry=Int[{3(t-S)+A}/(J-1)]+1
    gx={3(t-S)+A+2}-(J-1)·Int[{3(t-S)+A+1}/(J-1)]
    gy=Int[{3(t-S)+A+1}/(J-1)]+1
    bx={3(t-S)+A+3}-(J-1)·Int[{3(t-S)+A+2}/(J-1)]
    by=Int[{3(t-S)+A+2}/(J-1)]+1
    로서,
    (1) 출력단자 r(S)에 영상신호 D11이 입력되는 경우, A=0
    (2) 출력단자 g(S)에 영상신호 D11이 입력되는 경우, A=-1
    (3) 출력단자 b(S)에 영상신호 D11이 입력되는 경우, A=-2
    (Int[]는, 괄호 내의 소수점 이하를 절사한 값이 출력된다. 또한 S는, (1)∼(3)로 경우를 나눈 때에 있어서의, 영상신호 D11에 대응하는 출력단자 r(), 출력단자 g(), 및 출력단자 b() 중, 어느 하나의 출력단자의 괄호 내의 숫자로서 설정된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J계통의 영상신호열 중에서 임의로 선택되는 2개의 영상신호열에 대해, 각 영상신호열 내에 동일한 순위로 나란하게 되어 있는 영상신호를 합성하는 동시에, 합성된 영상신호를 시계열적으로 나란하게 하여 하나의 영상신호열을 생성함으로써 J계통의 영상신호열을 (J-1)계통의 영상신호열로 변환하고,
    상기 (J-1)계통의 영상신호열에 포함되는 영상신호를, Dmn로서 나타내고 (m은, 1부터 J-1까지의 정수, n은, 상기 영상신호가 각 원색 중 몇번째로 표시되는 화소에 입력되는지를 나타내는 정수),
    상기 3계통의 영상신호열에 포함되는 영상신호를, R(t)·G(t)·B(t)로서 나타내고 (t는, 상기 영상신호가 속하는 영상신호열에 있어서 몇번째에 나란하게 되는 영상신호인지를 나타내는 정수),
    소스 드라이버에 있어서의 3계통의 출력단자를, r(l)·g(l)·b(l)로서 나타낸 경우(l은, 상기 출력단자가, 자신이 속하는 계통에 있어서 몇번째에 나란하게 되는 출력단자인지를 나타내는 정수),
    (J-1)계통의 영상신호에 있어서의 영상신호 D11이, 출력단자 r(S), 출력단자g(S), 및 출력단자 b(S) 중 어느 하나에 입력되는 경우, 이하의 수식에 기초하여, (J-1)계통의 영상신호열을 3계통의 영상신호열로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처리회로.
    R(t)=Drxry
    G(t)=Dgxgy
    B(t)=Dbxby
    단,
    rx={3(t-S)+A+1}-(J-1)·Int[{3(t-S)+A}/(J-1)]
    ry=Int[{3(t-S)+A}/(J-1)]+1
    gx={3(t-S)+A+2}-(J-1)·Int[{3(t-S)+A+1}/(J-1)]
    gy=Int[{3(t-S)+A+1}/(J-1)]+1
    bx={3(t-S)+A+3}-(J-1)·Int[{3(t-S)+A+2}/(J-1)]
    by=Int[{3(t-S)+A+2}/(J-1)]+1
    로서,
    (1) 출력단자 r(S)에 영상신호 D11이 입력되는 경우, A=0
    (2) 출력단자 g(S)에 영상신호 D11이 입력되는 경우, A=-1
    (3) 출력단자 b(S)에 영상신호 D11이 입력되는 경우, A=-2
    (Int[]는, 괄호 내의 소수점 이하를 절사한 값이 출력된다. 또한, S는, (1)∼(3)으로 경우를 나눈 때에 있어서의, 영상신호 D11에 대응하는 출력단자 r(), 출력단자 g(), 및 출력단자 b() 중, 어느 하나의 출력단자의 괄호 내의 숫자로서 설정된다).
  8. 복수의 화소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설된 화상표시패널에 있어서의 각 화소에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변환하는 영상신호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패널에 의한 화상표시에 사용되는 J원색(J는 4이상의 정수)의 각각에 대해, 각 화소에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시계열적으로 연속하도록 구성되는 J계통의 영상신호열 중에서, 상기 화상표시패널에 있어서 각 화소에 J원색 중 어느 하나에 배색되어 있는 순번과, 3개의 영상신호의 각각에 의해 표시되는 원색의 순번이 일치하도록 영상신호를 3개씩 추출하는 제1 스텝과,
    상기 제1 스텝에 있어서 추출된 3개의 영상신호의 각각이 3개의 계통 중 어 느 하나에 속하도록 순차적으로 나란하게 하여 3계통의 영상신호열을 구성하는 제2 스텝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처리방법.
  9. 삭제
  10. 컴퓨터에 제8항에 기재된 영상신호 처리방법에 있어서의 각 스텝을 실행시키기 위한 영상신호처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독출가능 기록매체.
KR1020050038483A 2004-05-10 2005-05-09 영상신호처리회로, 영상신호처리방법 및 컴퓨터 독출가능 기록매체 KR1007269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40309A JP4230409B2 (ja) 2004-05-10 2004-05-10 映像信号処理回路、映像信号処理方法、映像信号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JP-P-2004-00140309 2004-05-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5980A KR20060045980A (ko) 2006-05-17
KR100726932B1 true KR100726932B1 (ko) 2007-06-14

Family

ID=35239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8483A KR100726932B1 (ko) 2004-05-10 2005-05-09 영상신호처리회로, 영상신호처리방법 및 컴퓨터 독출가능 기록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04623B2 (ko)
JP (1) JP4230409B2 (ko)
KR (1) KR100726932B1 (ko)
CN (1) CN100492458C (ko)
TW (1) TWI2770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834B1 (ko) 2006-01-13 2007-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의 라인들을 복수개의 메모리에 나누어 저장하는비디오 디코딩 장치, 비디오 디코딩 방법 및 기준화면 저장방법
CN101427294B (zh) * 2006-07-04 2011-05-18 日立等离子显示器股份有限公司 等离子体显示装置
JP4712642B2 (ja) * 2006-08-17 2011-06-29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デブロッキングフィルタ、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画像復号化装置
JP4362139B2 (ja) * 2007-03-28 2009-11-11 Oki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タイミング・コントローラ、液晶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パネル駆動方法
JP5676219B2 (ja) * 2010-11-17 2015-02-25 京セラ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液晶表示パネルの駆動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8325A (ja) 1985-11-18 1987-05-29 Fujitsu Ltd 液晶表示パネル
JPH0321189A (ja) * 1990-06-01 1991-01-29 Seiko Epson Corp 液晶表示装置
JPH07306656A (ja) * 1993-04-08 1995-11-21 Soc Appl Gen Electr Mec <Sagem> カラーマトリックス表示装置
JP2002032051A (ja) 2000-07-18 2002-01-31 Sony Corp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ならびに携帯端末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8790A (ja) 1989-08-23 1991-04-03 Hitachi Ltd 多色カラー液晶表示装置
EP1419497A4 (en) * 2001-06-11 2005-11-16 Genoa Color Technologies Ltd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COLOR DISPLA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8325A (ja) 1985-11-18 1987-05-29 Fujitsu Ltd 液晶表示パネル
JPH0321189A (ja) * 1990-06-01 1991-01-29 Seiko Epson Corp 液晶表示装置
JPH07306656A (ja) * 1993-04-08 1995-11-21 Soc Appl Gen Electr Mec <Sagem> カラーマトリックス表示装置
JP2002032051A (ja) 2000-07-18 2002-01-31 Sony Corp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ならびに携帯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321659A (ja) 2005-11-17
CN100492458C (zh) 2009-05-27
KR20060045980A (ko) 2006-05-17
US7304623B2 (en) 2007-12-04
CN1697001A (zh) 2005-11-16
TW200612371A (en) 2006-04-16
JP4230409B2 (ja) 2009-02-25
TWI277028B (en) 2007-03-21
US20050248595A1 (en) 2005-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61061B (zh) 显示系统及用于将数据供应到显示器的方法
US8390652B2 (en) Drive control circuit and drive control method for color display device
KR101340427B1 (ko) 영상 프로세싱을 위한 개선된 메모리 구조
US8599120B2 (en) Timing controlle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timing controller and method of driving the LCD device
CN108074539B (zh) 电子装置、显示驱动器以及显示面板的显示数据产生方法
KR100726932B1 (ko) 영상신호처리회로, 영상신호처리방법 및 컴퓨터 독출가능 기록매체
KR20070014862A (ko) 영상신호 처리장치,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WO2011034872A1 (en) Display device
CN109308868B (zh) 一种显示面板的驱动方法、系统及显示装置
KR20160143810A (ko) 데이터 취득 모듈과 방법, 데이터 처리 유닛, 구동기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0096279B2 (en) Display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sub-display areas comprising a plurality of shared regions
JP5321627B2 (ja) 液晶表示装置
CN108062931B (zh) 图像处理装置、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CN107437408B (zh) 调色电路、显示驱动器以及显示装置
US9076377B2 (en) Signal processing circuit,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70919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digital display data and auxiliary processing data within a computer graphics system
CN116013186A (zh) 一种显示面板的驱动方法、驱动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041919B (zh) 用于经由包括多个传输通道的传输接口传输单色数字图像的方法
CN108877617B (zh) 图像处理装置以及显示面板的显示数据产生方法
KR20140018606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WO2016185958A1 (ja) 表示装置および色空間の拡張方法
US20090278855A1 (en) Memory structures for image processing
CN106356016B (zh) 一种四色像素排布及其对应的显示方法及显示装置
CN107369405B (zh) 驱动装置与驱动方法
JP2003255881A (ja) カラーディスプレイ用のサブピクセルを再マッピングする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