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6618B1 - 데이터착신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착신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6618B1
KR100726618B1 KR20040079451A KR20040079451A KR100726618B1 KR 100726618 B1 KR100726618 B1 KR 100726618B1 KR 20040079451 A KR20040079451 A KR 20040079451A KR 20040079451 A KR20040079451 A KR 20040079451A KR 100726618 B1 KR100726618 B1 KR 100726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ransmitting
information
address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79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0610A (ko
Inventor
김정근
이상연
한정표
조미성
이혜경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40079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6618B1/ko
Publication of KR20060030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0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6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661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CDMA2000 1x, CDMA2000 1x-EVDO 망에서 페이징을 통해 데이터착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착신 방법이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PI(Push Initiator)가 PG(Push Gateway)로 소정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착신을 요청하고, 상기 PG가 상기 단말기로 페이징을 수행하며, 상기 단말기가 PDSN과 PPP세션을 설정하면, 상기 PG가 상기 단말기로 데이터 컨텐츠를 전송함으로써, 착신단말기에 실시간(Real-Time)으로 데이터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착신, 페이징, PPP세션, PG, PDSN, 착신단말기

Description

데이터착신 시스템 및 그 방법{DATA TERMIN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CDMA2000 1x 망에서의 착신데이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CDMA2000 1x-EVDO 망에서의 착신데이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3내지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데이터착신 방법들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라 DNS를 통해 세션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착신단말기
110: BSC(Base Station Controller)
120: PCF(Packet Carrier Function)
130: MSC(Mobile Switching Center)
140: HLR(Home Location Register)
150: PDSN(Packet Data Serving Node)
160: PG(Push Gateway)
170: AAA(Access, Authorization and Account)
180: DNS(Domain Name System)
220: H-DLR(Home-Data Location Register)
230: DLR(Data Location Register)
240: ANC/PCF(Access Network Controller/Packet Carrier Function)
300: PI(Push Initiator)
본 발명은 이동통신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CDMA2000 1x, CDMA2000 1x-EVDO 망에서 페이징을 통해 데이터착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착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화 서비스 중 음성서비스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누르면 망에서 착신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통해 음성 가입자간에 서로 통화가 되는 방식이고 데이터 서비스는 주로 이동통신 단말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한다든가 상대방에게 메일을 보낸다든가 하는 발신 위주의 방식이었다.
그러나, 점차 가치 있는 정보를 수시로 받아 보고자 하는 욕구가 커짐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에서도 착신 기반의 서비스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데이터착신 서비스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 SMS)를 이용해 착신단말기에 페이징(paging)하고 지정된 데이터가 있는 서버의 Callback URL정보를 전송한 후, 상기 착신단말기는 상기 URL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전송받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 방식은 Push방식의 서비스라기 보다는 Pull 방식의 서비스라 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이동통신환경에서의 착신 서비스는, 세션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착신단말기로 Push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하여, PPG(Push Proxy Gateway)가 SMS 메시지를 착신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착신단말기는 세션을 설정한 후에 착신 데이터가 있는 PPG나 착신 메시지가 존재하는 서버로 직접 연결하여 착신 메시지를 전송 받는다.
그러나, 상술한 데이터착신 서비스는, SMS가 정상적으로 단말에 Callback URL을 전달하지 못할 경우에는 리얼타임(Real-time) 데이터를 착신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CDMA2000 1x- EVDO망 자체로는 SMS를 이용한 데이터착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CDMA2000 1x망 뿐만 아니라 CDMA 2000 1x-EVDO 망에서도 데이터착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 착신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관점에 따른 데이터착신 방법 은, (a) PI(Push Initiator)가 PG(Push Gateway)로 소정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착신을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PG가 상기 단말기로 페이징을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단말기가 PDSN과 PPP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PG가 상기 단말기로 데이터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PG가 HLR로 상기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위치정보 요청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b-2) 상기 HLR이 상기 단말기의 MIN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단말기가 위치한 MSC로 푸시 라우팅을 요청하는 푸시 라우팅 요청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b-3) 상기 MSC가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BSC로 전송하는 단계; 및 (b-4) 상기 BSC가 상기 단말기로 페이징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관점에 따른 데이터착신 방법은, (a) PI(Push Initiator)가 상기 PG(Push Gateway)로 푸시 메시지를 통해 데이터착신을 위한 유저 ID를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PG가 상기 유저ID에 해당하는 IP주소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확인결과 IP주소가 생성되지 않았으면, (d) 단계 이하를 수행하는 단계; (d) 상기 PG가 상기 단말기로 페이징을 수행하는 단계; (e) 상기 단말기가 PDSN과 PPP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f) 상기 PDSN이 상기 단말기와 PPP세션이 맺어졌음을 알리는 세션 통지(Session Notification)메시지를 RADIUS(Remote Authentication Dial-in User Service)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PG로 전송하는 단계; 및 (g) 상기 PG가 상기 세션통지 메시지를 근거로 하여 상기 단말기로 데이터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관점에 따른 데이터착신 방법은, (a) PI가 PG로 Push메시지를 통해 데이터착신을 위한 유저 ID를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PG가 상기 유저ID에 해당하는 IP주소의 존재여부에 대한 질의(query) 메시지를 DNS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DNS는 상기 IP주소의 존재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결과를 응답메시지(response)에 포함시켜 PG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확인결과 IP주소가 생성되지 않았으면, (e) 단계 이하를 수행하는 단계; (e) 상기 PG가 상기 단말기로 페이징을 수행하는 단계; (f) 상기 단말기가 PDSN과 PPP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g) 상기 PDSN이 상기 단말기와 PPP세션이 맺어졌음을 알리는 어카운트(Account) 정보를 AAA로 전송하는 단계; (h) 상기 AAA가 상기 어카운트 정보를 토대로 DNS업데이트 메시지를 DNS로 전송하는 단계; (i) 상기 DNS가 상기 업데이트 메시지를 통해 상기 단말기의 MIN에 해당하는 IP주소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 (j) 상기 PG가 상기 유저ID에 해당하는 IP주소의 존재여부에 대한 질의(query) 메시지를 DNS로 전송하는 단계; (k) 상기 DNS가 상기 IP주소를 응답메시지(response)에 포함시켜 PG로 전송하는 단계; 및 (l) 상기 PG가 상기 IP주소에 해당하는 단말기로 데이터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관점에 따른 데이터착신 방법은, (a) PI가 PG로 소정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착신을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PG가 HLR로 상기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위치정보 요청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HLR이 상기 단말기가 위치한VLR정보가 있는 해당 MSC정보를 상기 위치정보 요청메시지의 응답메시지에 포함시켜 PG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PG가 상기 HLR로부터 전송된 상기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통해 해당 MSC로 푸시 라우팅을 요청하는 푸시 라우팅 요청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MSC가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BSC로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BSC가 상기 단말기로 페이징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g) 상기 단말기가 PDSN과 PPP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및 (h) 상기 PG가 상기 단말기로 데이터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5관점에 따른 데이터착신 방법은, (a) PI가 PG로 소정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착신을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PG가 HLR로 상기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위치정보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HLR이 상기 단말기가 위치한VLR정보가 있는 해당 MSC정보를 상기 위치정보 요청메시지의 응답메시지를 통해 PG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PG가 상기 HLR로부터 전송된 상기 MSC정보를 통해 PCF로 데이터착신을 위한 푸시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e) PCF가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임의의 BSC로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임의의BSC는 MSC를 통해 해당 단말기를 제어하는 BSC를 탐색하는 단계; (g) 상기 탐색된 BSC가 해당 단말기로 페이징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h) 상기 단말기가 PDSN과 PPP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및 (i) 상기 PG가 상기 단말기로 데이터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6관점에 따른 데이터착신 방법은, (a) PI가 PG로 소정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착신을 요청하는 단계; (b) PG가 H-DLR로 데이터착신을 위한 푸시 라우팅 요청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H-DLR이 푸시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를 제어하는 DLR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DLR이 ANC/PCF로 페 이징 명령을 지시하는 페이징 커맨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ANC/PCF가 해당 단말기로 페이징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단말기가 PDSN과 PPP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및 (g) 상기 PG가 상기 단말기로 데이터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관점에 따라 PI(Push Initiator)가 소정 단말기로 데이터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착신을 수행하는 데이터착신 시스템은, 상기 PI로부터 데이터 전송 요구에 따른 해당 단말기의 세션정보를 관리하는 PG(Push Gateway); 상기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PG의 위치정보요청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상기 PG로 전송하는 HLR(Home Location Register); 상기 PG로부터의 푸시 라우팅 요청에 따른 호 교환 및 무선 자원 할당을 수행하는 MSC(Mobile Switching Center); 상기 단말기가 위치한 셀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MSC의 페이징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로 페이징 정보를 전송하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 상기 단말기와 PPP세션을 설정하며, 상기 PPP세션이 설정되는 상기 단말기의NAI(Network Access identifier) 및 상기 NAI에 할당되는 IP 정보를 생성하는 PDSN(Packet Data Serving Nod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관점에 따라 PI(Push Initiator)가 소정 단말기로 데이터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착신을 수행하는 데이터착신 시스템은, 단말기들의 세션정보를 관리하는 PG(Push Gateway); 홈 가입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착신을 위한 단말기로 라우팅을 수행하는 H-DLR; 방문망의 가입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H-DLR로부터의 페이징 요청에 따른 페이징 커 맨드를 전송하는 DLR; 상기 DLR의 페이징 커맨드에 따라 상기 데이터착신을 위한 단말기로 페이징(Paging)을 수행하는 ANC/PCF(Access Network Controller/Packet Carrier Function); 상기 데이터착신을 위한 단말기와 PPP세션을 설정하며, 상기 PPP세션이 설정되는 상기 단말기의NAI(Network Access identifier) 및 상기 NAI에 할당되는 IP 정보를 생성하는 PDSN(Packet Data Serving Nod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은 PG가 착신단말기에 PDSN과 세션 설정을 요청하고, 상기 착신단말기와 PDSN이 세션을 설정한 후, 해당 세션 설정정보를 토대로 PG에서 상기 착신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착신 방법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CDMA2000 1x 망에서의 착신데이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착신데이터 시스템은, 착신단말기(100); 상기 착신단말기(100)로 데이터 컨텐츠를 전송하는PI(Push Initiator, 300); 상기 PI(300)로부터 데이터 전송 요구에 따른 해당 착신단말기(100)의 세션정보를 관리하는 PG(Push Gateway, 160); 상기 착신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PG(160)의 위치정보요청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상기 PG(160)로 전송하는 HLR(Home Location Register,140); 상기 PG(160)로부터의 푸시 라우팅 요청에 따른 호 교환 및 무선 자원 할당을 수행하는 MSC(Mobile Switching Center, 130); 상기 착신단말기(100)가 위치한 셀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MSC(130)의 페이징 요청에 따라 상기 착신단말기(100)로 페이징 정보를 전송하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 110); 상기 착신단말기(100)와 PPP(Point to Point Protocol)세션을 설정하며, 상기 PPP세션이 설정되는 상기 착신단말기(100)의NAI(Network Access identifier) 및 상기 NAI에 할당되는 IP 정보를 생성하는 PDSN(Packet Data Serving Node, 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PI(300)는 일종의 데이터 서버로써, 컨텐츠 제공자 또는 상대방 단말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착신단말기(100)로의 페이징(Paging)을 수행하는 PCF(12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착신단말기(100)의 NAI(Network Access Identifier)를 관리하는 DNS(Domain Name System, 180); 및 상기 PDSN(150)으로부터 NAI와 IP 주소 정보 변동에 따라 어카운트 정보를 상기 DNS(180)로 전송함으로써 업데이트 요구를 하는 AAA(Access, Authorization and Account, 170)를 더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CDMA2000 1x-EVDO 망에서의 착신데이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착신데이터 시스템은, 착신단말기(100); 상기 착신단말기(100)로 데이터 컨텐츠를 전송하는PI(Push Initiator, 300); 착신단말기들의 세션정보를 관리하는 PG(Push Gateway, 160); 홈 가입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착신을 위한 단말기로 라우팅을 수행하는 H-DLR(Home-Data Location Register, 220); 방문망의 가입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H-DLR(220)로부터의 페이징 요청에 따른 페이징 커맨드를 전송하는 DLR(Data Location Register, 230); 상기 DLR(230)의 페이징 커맨드에 따라 상기 데이터착신을 위한 착신단말기(100)로 페이징(Paging)을 수행하는 ANC/PCF(Access Network Controller/Packet Carrier Function, 240); 상기 데이터착신을 위한 착신단말기(100)와 PPP세션을 설정하며, 상기 PPP세션이 설정되는 상기 착신단말기(100)의NAI(Network Access identifier) 및 상기 NAI에 할당되는 IP 정보를 생성하는 PDSN(Packet Data Serving Node, 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착신단말기(100)들의 NAI(Network Access Identifier)를 관리하는 DNS(Domain Name System, 180); 및 상기 PDSN(150)으로부터 NAI와 IP 주소 정보 변동에 따라 어카운트 정보를 상기 DNS(180)로 전송하여 업데이트 요구를 하는 AAA(170)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CDMA2000 1x 및 CDMA2000 1x-EVDO망에서 데이터착신 방법을 각 실시예별로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착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착신 방법은 CDMA2000 1x망에서 구현되고, MSC(130)가 HLR(140)을 통해 해당 착신단말기(100)가 위치한 BSC(110)로의 페 이징을 수행함으로써 구현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PI(300)는 PG(160)로 Push메시지를 통해 데이터착신을 위한 유저 ID를 전송한다(S301). 상기 유저ID는 MIN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유저 ID에는 전송할 데이터 컨텐츠가 부가된다.
PG(160)는 상기 유저ID에 해당하는 IP주소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302). 상기 IP주소확인은 PG(160)내의 IP주소 DB(미도시)와 상기 유저ID를 맵핑함으로써 알 수 있다.
상기 확인결과 IP주소가 생성되어 있으면, 상기 IP주소에 해당하는 착신단말기(100)로 데이터착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절차(SIP메시지나 기타 특정메시지 규격)를 거쳐 상기 데이터 컨텐츠를 전송한다. 그러나, IP주소가 존재하지 않으면, 데이터착신을 위한 다음과 같은 과정을 진행한다.
즉, PG(160)가 HLR(140)로 푸시할 유저ID에 해당하는 착신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PushLocationReq 메시지를 전송한다(S303). 상기 PushLocationReq 메시지에는 해당 수신자정보인 MIN이 포함된다.
이어, HLR(140)은 상기 착신단말기(100)의 MIN을 참조하여 상기 MIN에 해당하는 착신단말기(100)의 위치를 알아내고, 상기 착신단말기(100)가 위치한MSC(130)로 푸시 라우팅을 요청하는 메시지인 PushRoutingReq 메시지를 전송한다(S304). 상기 PushRoutingReq메시지에도 역시 해당 수신자정보인 MIN을 포함한다.
그러면, MSC(130)는 해당 착신단말기(100)가 PPP세션을 열도록 하는 페이징 요청 메시지인 PagingReq메시지를 상기 착신단말기(100)를 제어하는 BSC(110)로 전 송한다(S305).
그리고, 상기 MSC(130)는 푸시 라우팅 요청메시지의 응답메시지인 PushRoutingRsp 메시지를 HLR(140)로 전송한다(S306). 여기서, 상기 응답메시지에는 상기 BSC(110)에 대한 라우팅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HLR(140)은 상기 MSC(130)로부터 전송된 푸시 라우팅 응답메시지 (PushRoutingRsp 메시지)를 참조하여 상기 착신단말기(100)가 위치한VLR정보가 있는 해당 MSC정보를 PushLocationRsp 메시지를 통해 PG(160)로 전송한다(S307).
이어, BSC(110)는 해당 착신단말기(100)로 페이징 정보를 전송한다(S308). 이때, 상기 페이징 정보에는 PPP세션을 열기 위한 지시자(indicator)정보가 포함된다.
그러면, 착신단말기(100)는 상기 지시자를 토대로 PDSN(150)과 PPP세션을 맺는다(S309).
이어, PDSN(150)은 상기 착신단말기(100)와 PPP세션이 맺어졌음을 알리는 세션 통지(Session Notification)메시지를 RADIUS프로토콜을 통해 PG(160)로 전송한다(S310). 이때, 상기 세션통지 메시지에는 상기 착신단말기(100)의 IP주소정보를 구비하는 세션정보가 포함된다.
그러면, PG(160)는 상기 세션정보를 토대로 SIP메시지나 기타 특정 메시지규격을 통해 상기 착신단말기(100)로 데이터착신정보를 제공한 후, 데이터 컨텐츠를 전송한다(S311).
한편, 상기 PDSN(150)과 착신단말기(100)가 PPP세션을 설정한 후, DNS(180) 을 통해 세션정보를 PG(160)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이 필요하다.
상기 단계302에서 PG(160)는 상기 유저ID에 해당하는 IP주소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이때, 상기 IP주소확인은 PG(160)가 DNS(180)로 질의(query)/응답(response)를 통해 알 수 있다.
상기 확인결과 IP주소가 생성되어 있으면, 상기 IP주소에 해당하는 착신단말기(100)와 데이터착신을 어플리케이션 절차(SIP메시지나 기타 특정메시지 규격)를 거쳐 상기 데이터 컨텐츠를 전송한다. 그러나, IP주소가 존재하지 않으면, 데이터착신을 위한 단계303 내지 단계309를 진행한다.
이어, PDSN(150)은 상기 착신단말기(100)와 PPP세션이 맺어졌음을 알리는 어카운트(Account) 정보를 AAA(170)로 전송하고, 상기 AAA(170)는 상기 어카운트 정보를 토대로 DNS업데이트 메시지를 DNS(180)로 전송하면, DNS(180)는 상기 업데이트 메시지를 통해 가입자 정보(즉, MIN에 해당하는 IP주소 할당)를 업데이트 한다. 이때, 상기 어카운트 정보에 착신단말기(100)의 IP주소 및 이에 해당하는 MIN이 구비된 세션정보가 포함된다.
이후. PG(160)는 주기적으로 상기 DNS(180)에 질의(query)/응답(response)을 통해 상기 유저ID에 해당하는 IP주소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확인되면, 상기 세션정보를 토대로 SIP메시지나 기타 특정 메시지규격을 통해 상기 착신단말기(100)로 데이터착신정보를 제공한 후, 데이터 컨텐츠를 전송한다.
(제2실시예)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착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착신 방법은 CDMA2000 1x망에서 구현되고, MSC(130)가 해당 착신단말기(100)가 위치한BSC(110)로 직접 페이징을 수행함으로써 구현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PI(300)는 PG(160)로 Push메시지를 통해 데이터착신을 위한 유저 ID를 전송한다(S401). 상기 유저ID는 MIN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유저 ID에는 전송할 데이터 컨텐츠가 부가된다.
PG(160)는 상기 유저ID에 해당하는 IP주소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402). 상기 IP주소확인은 PG(160)내의 IP주소 DB(미도시)와 상기 유저ID를 맵핑함으로써 알 수 있다.
상기 확인결과 IP주소가 생성되어 있으면, 상기 IP주소에 해당하는 착신단말기(100)로 데이터착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절차(SIP메시지나 기타 특정메시지 규격)를 거쳐 상기 데이터 컨텐츠를 전송한다. 그러나, IP주소가 존재하지 않으면, 데이터착신을 위한 다음과 같은 과정을 진행한다.
즉, PG(160)가 HLR(140)로 푸시할 유져ID에 해당하는 착신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PushLocationReq 메시지를 전송한다(S403). 상기 PushLocationReq 메시지에는 해당 수신자정보인 MIN이 포함된다.
그러면, HLR(140)은 상기 착신단말기(100)가 위치한VLR정보가 있는 해당 MSC정보를 PushLocationRsp 메시지를 통해 PG(160)로 전송한다(S404).
이어, PG(160)는 상기 HLR(140)로부터 전송된 착신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통해 해당 MSC(130)로 푸시 라우팅을 요청하는 메시지인 PushRoutingReq 메시지를 전송한다(S405). 상기 PushRoutingReq메시지에도 역시 해당 수신자정보인 MIN을 포함한다.
그러면, MSC(130)는 해당 착신단말기(100)가 PPP세션을 열도록 하는 페이징 요청 메시지인 PagingReq메시지를 상기 착신단말기(100)를 제어하는 BSC(110)로 전송한다(S406).
그리고, 상기 MSC(130)는 푸시 라우팅 요청메시지의 응답메시지인 PushRoutingRsp 메시지를 PG(160)로 전송한다(S407). 여기서, 상기 응답메시지에는 상기 BSC(110)에 대한 라우팅정보가 포함된다.
이어, BSC(110)는 해당 착신단말기(100)로 페이징 정보를 전송한다(S408). 이때, 상기 페이징 정보에는 PPP세션을 열기 위한 지시자(indicator)정보가 포함된다.
그러면, 착신단말기(100)는 상기 지시자를 토대로 PDSN(150)과 PPP세션을 맺는다(S409).
이어, PDSN(150)은 상기 착신단말기(100)와 PPP세션이 맺어졌음을 알리는 세션 통지(Session Notification)메시지를 RADIUS프로토콜을 통해 PG(160)로 전송한다(S410). 이때, 상기 세션통지 메시지에는 상기 착신단말기(100)의 IP주소정보를 구비하는 세션정보가 포함된다.
그러면, PG(160)는 상기 세션정보를 토대로 SIP메시지나 기타 특정 메시지규격을 통해 상기 착신단말기(100)로 데이터착신정보를 제공한 후, 데이터 컨텐츠를 전송한다(S411).
한편, 상기 PDSN(150)과 착신단말기(100)가 PPP세션을 설정한 후, DNS(180)를 통해 세션정보를 PG(160)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이 필요하다.
상기 단계402에서 PG(160)는 상기 유저ID에 해당하는 IP주소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이때, 상기 IP주소확인은 PG(160)가 DNS(180)로 질의(query)/응답(response)를 통해 알 수 있다.
상기 확인결과 IP주소가 생성되어 있으면, 상기 IP주소에 해당하는 착신단말기(100)와 데이터착신을 어플리케이션 절차(SIP메시지나 기타 특정메시지 규격)를 거쳐 상기 데이터 컨텐츠를 전송한다. 그러나, IP주소가 존재하지 않으면, 데이터착신을 위한 단계403 내지 단계409를 진행한다.
이어, PDSN(150)은 상기 착신단말기(100)와 PPP세션이 맺어졌음을 알리는 어카운트(Account) 정보를 AAA(170)로 전송하고, 상기 AAA(170)는 상기 어카운트 정보를 토대로 DNS업데이트 메시지를 DNS(180)로 전송하면, DNS(180)는 상기 업데이트 메시지를 통해 가입자 정보(즉, MIN에 해당하는 IP주소 할당)를 업데이트 한다. 이때, 상기 어카운트 정보에 착신단말기(100)의 IP주소 및 이에 해당하는 MIN이 구비된 세션정보가 포함된다.
이후. PG(160)는 주기적으로 상기 DNS(180)에 질의(query)/응답(response)을 통해 상기 유저ID에 해당하는 IP주소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확인되면, 상기 세션정보를 토대로 SIP메시지나 기타 특정 메시지규격을 통해 상기 착신단말기(100)로 데이터착신정보를 제공한 후, 데이터 컨텐츠를 전송한다.
(제3실시예)
도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착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착신 방법은 CDMA2000 1x망에서 구현되고, PCF(120)가 임의의 BSC로 페이징을 요청하면, 상기 임의의 BSC는 MSC(130)를 이용하여 해당 착신단말기(100)를 제어하는 BSC(110)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BSC(110)가 상기 착신단말기(100)로 페이징을 요청함으로써 구현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PI(300)는 PG(160)로 Push메시지를 통해 데이터착신을 위한 유저 ID를 전송한다(S501). 상기 유저ID는 MIN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유저 ID에는 전송할 데이터 컨텐츠가 부가된다.
PG(160)는 상기 유저ID에 해당하는 IP주소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502). 상기 IP주소확인은 PG(160)내의 IP주소 DB(미도시)와 상기 유저ID를 맵핑함으로써 알 수 있다.
상기 확인결과 IP주소가 생성되어 있으면, 상기 IP주소에 해당하는 착신단말기(100)로 데이터착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절차(SIP메시지나 기타 특정메시지 규격)를 거쳐 상기 데이터 컨텐츠를 전송한다. 그러나, IP주소가 존재하지 않으면, 데이터착신을 위한 다음과 같은 과정을 진행한다.
즉, PG(160)가 HLR(140)로 푸시할 유저ID에 해당하는 착신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PushLocationReq 메시지를 전송한다(S503). 상기 PushLocationReq 메시지에는 해당 수신자정보인 MIN이 포함된다.
그러면, HLR(140)은 상기 착신단말기(100)가 위치한VLR정보가 있는 해당 MSC정보를 PushLocationRsp 메시지를 통해 PG(160)로 전송한다(S504).
PG(160)는 상기 HLR(140)로부터 전송된 상기 MSC정보를 통해 PCF(120)로 데이터착신을 위한 푸시 페이징 요청 메시지인 PushPagingReq 메시지를 전송한다(S505).
그러면, PCF(120)는 상기 PG(160)로 푸시 페이징 응답 메시지인 PushPagingAck메시지를 전송한다(S506). 여기서, 상기 응답메시지에는 상기 임의의 BSC(110)에 대한 라우팅정보가 포함된다.
이어, PCF(120)는 해당 착신단말기(100)가 PPP세션을 열도록 하는 페이징 요청 메시지인 PagingReq메시지를 임의의 BSC로 전송한다(S507).
그러면, 상기 임의의BSC는 MSC(130)를 통해 해당 착신단말기(100)를 제어하는 BSC(110)를 탐색하고(S508-S510), 상기 탐색된 BSC(110)는 해당 착신단말기(100)로 페이징 정보를 전송한다(S511). 이때, 상기 페이징 정보에는 PPP세션을 열기 위한 지시자(indicator)정보가 포함된다.
그러면, 착신단말기(100)는 상기 지시자를 토대로 PDSN(150)과 PPP세션을 맺는다(S512).
이어, PDSN(150)은 상기 착신단말기(100)와 PPP세션이 맺어졌음을 알리는 세션 통지(Session Notification)메시지를 RADIUS프로토콜을 통해 PG(160)로 전송한다(S513). 이때, 상기 세션통지 메시지에는 상기 착신단말기(100)의 IP주소정보를 구비하는 세션정보가 포함된다.
그러면, PG(160)는 상기 세션정보를 토대로 SIP메시지나 기타 특정 메시지규격을 통해 상기 착신단말기(100)로 데이터착신정보를 제공한 후, 데이터 컨텐츠를 전송한다(S514).
한편, 상기 PDSN(150)과 착신단말기(100)가 PPP세션을 설정한 후, DNS(180)를 통해 세션정보를 PG(160)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이 필요하다.
상기 단계502에서 PG(160)는 상기 유저ID에 해당하는 IP주소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이때, 상기 IP주소확인은 PG(160)가 DNS(180)로 질의(query)/응답(response)를 통해 알 수 있다.
상기 확인결과 IP주소가 생성되어 있으면, 상기 IP주소에 해당하는 착신단말기(100)와 데이터착신을 어플리케이션 절차(SIP메시지나 기타 특정메시지 규격)를 거쳐 상기 데이터 컨텐츠를 전송한다. 그러나, IP주소가 존재하지 않으면, 데이터착신을 위한 단계503 내지 단계512를 진행한다.
이어, PDSN(150)은 상기 착신단말기(100)와 PPP세션이 맺어졌음을 알리는 어카운트(Account) 정보를 AAA(170)로 전송하고, 상기 AAA(170)는 상기 어카운트 정보를 토대로 DNS업데이트 메시지를 DNS(180)로 전송하면, DNS(180)는 상기 업데이트 메시지를 통해 가입자 정보(즉, MIN에 해당하는 IP주소 할당)를 업데이트 한다. 이때, 상기 어카운트 정보에 착신단말기(100)의 IP주소 및 이에 해당하는 MIN이 구비된 세션정보가 포함된다.
이후. PG(160)는 주기적으로 상기 DNS(180)에 질의(query)/응답(response)을 통해 상기 유저ID에 해당하는 IP주소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확인되면, 상기 세션정보를 토대로 SIP메시지나 기타 특정 메시지규격을 통해 상기 착신단말기(100)로 데이터착신정보를 제공한 후, 데이터 컨텐츠를 전송한다.
(제4실시예)
도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착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착신 방법은 CDMA2000 1xEV-DO망에서 구현된다. 상기 CDMA2000 1xEV-DO망에서의 데이터착신 방법은 MSC(130)를 거치지 않고 자체적으로 ANC/PCF(240)를 통해 페이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내지 제3실시예와는 다르다.
먼저, PI(300)는 PG(160)로 Push메시지를 통해 데이터착신을 위한 유저 ID를 전송한다(S601). 상기 유저ID는 MIN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유저 ID에는 전송할 데이터 컨텐츠가 부가된다.
PG(160)는 상기 유저ID에 해당하는 IP주소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602). 상기 IP주소확인은 PG(160)내의 IP주소 DB(미도시)와 상기 유저ID를 맵핑함으로써 알 수 있다.
상기 확인결과 IP주소가 생성되어 있으면, 상기 IP주소에 해당하는 착신단말기(100)로 데이터착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절차(SIP메시지나 기타 특정메시지 규격)를 거쳐 상기 데이터 컨텐츠를 전송한다. 그러나, IP주소가 존재하지 않으면, 데이터착신을 위한 다음과 같은 과정을 진행한다.
즉, PG(160)는 H-DLR(220)로 데이터착신을 위한 푸시 라우팅 요청메시지인 PushRoutingReq 메시지를 전송한다(S603). 상기 PushRoutingReq메시지는 해당 수신자정보인 MIN이 포함된다.
그러면, H-DLR(220)은 해당 착신단말기(100)가 PPP세션을 열도록 하는 푸시 페이징 요청 메시지인 PushPagingReq메시지를 착신단말기(100)를 제어하는 DLR(230)로 전송한다(S604). 여기서, 상기 푸시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는 상기 착신단말기(100)의 MIN을 포함한다.
이어, DLR(230)은 ANC/PCF(240)로 페이징 명령을 지시하는 페이징 커맨드(PageCmd) 메시지를 전송한다(S605).
그리고, 상기 DLR(230)은 푸시 페이징 요청메시지의 응답메시지인 PushPagingRsp 메시지를 H-DLR(220)로 전송한다(S606).
또한, H-DLR(220)은 상기 푸시 라우팅 요청메시지에 대한 푸시 라우팅 응답메시지인 PushRoutingRsp 메시지를 PG(160)로 전송한다(S607). 상기 응답메시지에는 상기 DLR(230)에 대한 라우팅정보가 포함된다.
이어, ANC/PCF(240)는 해당 착신단말기(100)로 페이징 정보를 전송한다(S608). 이때, 상기 페이징 정보에는 PPP세션을 열기 위한 지시자(indicator)정보가 포함된다.
그러면, 착신단말기(100)는 상기 지시자를 토대로 PDSN(150)과 PPP세션을 맺는다(S609).
이어, PDSN(150)은 상기 착신단말기(100)와 PPP세션이 맺어졌음을 알리는 세 션 통지(Session Notification)메시지를 RADIUS프로토콜을 통해 PG(160)로 전송한다(S610). 이때, 상기 세션통지 메시지에는 상기 착신단말기(100)의 IP주소정보를 구비하는 세션정보가 포함된다.
그러면, PG(160)는 상기 세션정보를 토대로 SIP메시지나 기타 특정 메시지규격을 통해 상기 착신단말기(100)로 데이터착신정보를 제공한 후, 데이터 컨텐츠를 전송한다(S611).
한편, 상기 PDSN(150)과 착신단말기(100)가 PPP세션을 설정한 후, DNS(180)를 통해 세션정보를 PG(160)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이 필요하다.
상기 단계602에서 PG(160)는 상기 유저ID에 해당하는 IP주소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이때, 상기 IP주소확인은 PG(160)가 DNS(180)로 질의(query)/응답(response)를 통해 알 수 있다.
상기 확인결과 IP주소가 생성되어 있으면, 상기 IP주소에 해당하는 착신단말기(100)와 데이터착신을 어플리케이션 절차(SIP메시지나 기타 특정메시지 규격)를 거쳐 상기 데이터 컨텐츠를 전송한다. 그러나, IP주소가 존재하지 않으면, 데이터착신을 위한 단계603 내지 단계609를 진행한다.
이어, PDSN(150)은 상기 착신단말기(100)와 PPP세션이 맺어졌음을 알리는 어카운트(Account) 정보를 AAA(170)로 전송하고, 상기 AAA(170)는 상기 어카운트 정보를 토대로 DNS업데이트 메시지를 DNS(180)로 전송하면, DNS(180)는 상기 업데이트 메시지를 통해 가입자 정보(즉, MIN에 해당하는 IP주소 할당)를 업데이트 한다. 이때, 상기 어카운트 정보에 착신단말기(100)의 IP주소 및 이에 해당하는 MIN이 구 비된 세션정보가 포함된다.
이후. PG(160)는 주기적으로 상기 DNS(180)에 질의(query)/응답(response)을 통해 상기 유저ID에 해당하는 IP주소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확인되면, 상기 세션정보를 토대로 SIP메시지나 기타 특정 메시지규격을 통해 상기 착신단말기(100)로 데이터착신정보를 제공한 후, 데이터 컨텐츠를 전송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CDMA2000 1x 망에서 페이징을 통해 데이터착신 서비스를 수행함으로써, 착신단말기에 실시간(Real-Time)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CDMA2000 1x-EVDO망에서도 착신단말기에 푸시 방식으로 데이터착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2)

  1. (a) PI(Push Initiator)가 PG(Push Gateway)로 소정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착신을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PG가 상기 단말기로 페이징을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단말기가 PDSN과 PPP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PG가 상기 단말기로 데이터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PG가 HLR로 상기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위치정보 요청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b-2) 상기 HLR이 상기 단말기의 MIN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단말기가 위치한 MSC로 푸시 라우팅을 요청하는 푸시 라우팅 요청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b-3) 상기 MSC가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BSC로 전송하는 단계; 및
    (b-4) 상기 BSC가 상기 단말기로 페이징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1) 단계는, 상기 위치정보 요청메시지에 상기 단말기의 MIN정보를 포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2) 단계는, 상기 푸시 라우팅 요청메시지에 상기 단말기의 MIN정보를 포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PI가 상기 PG로 푸시 메시지를 통해 데이터착신을 위한 유저 ID를 전송하는 단계;
    (a-2) 상기 PG가 상기 유저ID에 해당하는 IP주소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a-3) 상기 확인결과 IP주소가 생성되지 않았으면, (b) 단계 이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ID는, 상기 단말기의 MIN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IP주소확인은, 상기 PG에 저장된 IP주소와 상기 유저ID를 맵핑하여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PI가 PG로 Push메시지를 통해 데이터착신을 위한 유저 ID를 전송하는 단계;
    (a-2) 상기 PG가 상기 유저ID에 해당하는 IP주소의 존재여부에 대한 질의(query) 메시지를 DNS로 전송하는 단계;
    (a-3) 상기 DNS는 상기 IP주소의 존재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결과를 응답메시지(response)에 포함시켜 PG로 전송하는 단계;
    (a-4) 상기 확인결과 IP주소가 생성되지 않았으면, (b) 단계 이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ID는, 상기 단말기의 MIN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PDSN이 상기 단말기와 PPP세션이 맺어졌음을 알리는 세션 통지(Session Notification)메시지를 RADIUS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PG로 전송하는 단계; 및
    (d-2) 상기 PG가 상기 세션통지 메시지를 근거로 하여 상기 단말기로 데이터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d-1) 단계는, 상기 세션통지 메시지에 상기 단말기의 IP주소정보가 구비된 세션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 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PDSN이 상기 단말기와 PPP세션이 맺어졌음을 알리는 어카운트(Account) 정보를 AAA로 전송하는 단계;
    (d-2) 상기 AAA가 상기 어카운트 정보를 토대로 DNS업데이트 메시지를 DNS로 전송하는 단계;
    (d-3) 상기 DNS가 상기 업데이트 메시지를 통해 상기 단말기의 MIN에 해당하는 IP주소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
    (d-4) 상기 PG가 상기 유저ID에 해당하는 IP주소의 존재여부에 대한 질의(query) 메시지를 DNS로 전송하는 단계;
    (d-5) 상기 DNS가 상기 IP주소를 응답메시지(response)에 포함시켜 PG로 전송하는 단계; 및
    (d-6) 상기 PG가 상기 IP주소에 해당하는 단말기로 데이터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d-1) 단계는, 상기 어카운트 정보에 상기 단말기의 IP주소 및 MIN정보가 구비된 세션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14. (a) PI(Push Initiator)가 상기 PG(Push Gateway)로 푸시 메시지를 통해 데이터착신을 위한 유저 ID를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PG가 상기 유저ID에 해당하는 IP주소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확인결과 IP주소가 생성되지 않았으면, (d) 단계 이하를 수행하는 단계;
    (d) 상기 PG가 상기 단말기로 페이징을 수행하는 단계;
    (e) 상기 단말기가 PDSN과 PPP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f) 상기 PDSN이 상기 단말기와 PPP세션이 맺어졌음을 알리는 세션 통지(Session Notification)메시지를 RADIUS(Remote Authentication Dial-in User Service)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PG로 전송하는 단계; 및
    (g) 상기 PG가 상기 세션통지 메시지를 근거로 하여 상기 단말기로 데이터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PG가 HLR로 상기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위치정보 요청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d-2) 상기 HLR이 상기 단말기의 MIN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단말기가 위치한 MSC로 푸시 라우팅을 요청하는 푸시 라우팅 요청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d-3) 상기 MSC가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BSC로 전송하는 단계; 및
    (d-4) 상기 BSC가 상기 단말기로 페이징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ID는, 상기 단말기의 MIN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IP주소확인은, 상기 PG에 저장된 IP주소와 상기 유저ID를 맵핑하여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상기 세션통지 메시지에 상기 단말기의 IP주소정보가 구비된 세션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19. (a) PI가 PG로 Push메시지를 통해 데이터착신을 위한 유저 ID를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PG가 상기 유저ID에 해당하는 IP주소의 존재여부에 대한 질의(query) 메시지를 DNS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DNS는 상기 IP주소의 존재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결과를 응답메시지(response)에 포함시켜 PG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확인결과 IP주소가 생성되지 않았으면, (e) 단계 이하를 수행하는 단계;
    (e) 상기 PG가 상기 단말기로 페이징을 수행하는 단계;
    (f) 상기 단말기가 PDSN과 PPP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g) 상기 PDSN이 상기 단말기와 PPP세션이 맺어졌음을 알리는 어카운트(Account) 정보를 AAA로 전송하는 단계;
    (h) 상기 AAA가 상기 어카운트 정보를 토대로 DNS업데이트 메시지를 DNS로 전송하는 단계;
    (i) 상기 DNS가 상기 업데이트 메시지를 통해 상기 단말기의 MIN에 해당하는 IP주소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
    (j) 상기 PG가 상기 유저ID에 해당하는 IP주소의 존재여부에 대한 질의(query) 메시지를 DNS로 전송하는 단계;
    (k) 상기 DNS가 상기 IP주소를 응답메시지(response)에 포함시켜 PG로 전송하는 단계; 및
    (l) 상기 PG가 상기 IP주소에 해당하는 단말기로 데이터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e-1) 상기 PG가 HLR로 상기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위치정보 요청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e-2) 상기 HLR이 상기 단말기의 MIN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단말기가 위치한 MSC로 푸시 라우팅을 요청하는 푸시 라우팅 요청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e-3) 상기 MSC가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BSC로 전송하는 단계; 및
    (e-4) 상기 BSC가 상기 단말기로 페이징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ID는, 상기 단말기의 MIN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IP주소확인은, 상기 PG에 저장된 IP주소와 상기 유저ID를 맵핑하여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는, 상기 어카운트 정보에 상기 단말기의 IP주소 및 MIN정보가 구비된 세션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24. (a) PI가 PG로 소정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착신을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PG가 HLR로 상기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위치정보 요청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HLR이 상기 단말기가 위치한VLR정보가 있는 해당 MSC정보를 상기 위치정보 요청메시지의 응답메시지에 포함시켜 PG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PG가 상기 HLR로부터 전송된 상기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통해 해당 MSC로 푸시 라우팅을 요청하는 푸시 라우팅 요청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MSC가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BSC로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BSC가 상기 단말기로 페이징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g) 상기 단말기가 PDSN과 PPP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및
    (h) 상기 PG가 상기 단말기로 데이터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PI가 상기 PG로 푸시 메시지를 통해 데이터착신을 위한 유저 ID를 전송하는 단계;
    (a-2) 상기 PG가 상기 유저ID에 해당하는 IP주소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a-3) 상기 확인결과 IP주소가 생성되지 않으면, (b) 단계 이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25. 삭제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ID는, 상기 단말기의 MIN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IP주소확인은, 상기 PG에 저장된 IP주소와 상기 유저ID를 맵핑하여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PI가 PG로 Push메시지를 통해 데이터착신을 위한 유저 ID를 전송하는 단계;
    (a-2) 상기 PG가 상기 유저ID에 해당하는 IP주소의 존재여부에 대한 질의(query) 메시지를 DNS로 전송하는 단계;
    (a-3) 상기 DNS는 상기 IP주소의 존재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결과를 응답메시지(response)에 포함시켜 PG로 전송하는 단계;
    (a-4) 상기 확인결과 IP주소가 생성되지 않았으면, (b) 단계 이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ID는, 상기 단말기의 MIN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IP주소확인은, 상기 PG에 저장된 IP주소와 상기 유저ID를 맵핑하여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31.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는
    (g-1) 상기 PDSN이 상기 단말기와 PPP세션이 맺어졌음을 알리는 세션 통지(Session Notification)메시지를 RADIUS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PG로 전송하는 단계; 및
    (g-2) 상기 PG가 상기 세션통지 메시지를 근거로 하여 상기 단말기로 데이터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g-1) 단계는, 상기 세션통지 메시지에 상기 단말기의 IP주소정보가 구비된 세션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33. 제24항 또는 28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는
    (g-1) 상기 PDSN이 상기 단말기와 PPP세션이 맺어졌음을 알리는 어카운트(Account) 정보를 AAA로 전송하는 단계;
    (g-2) 상기 AAA가 상기 어카운트 정보를 토대로 DNS업데이트 메시지를 DNS로 전송하는 단계;
    (g-3) 상기 DNS가 상기 업데이트 메시지를 통해 상기 단말기의 MIN에 해당하는 IP주소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
    (g-4) 상기 PG가 상기 유저ID에 해당하는 IP주소의 존재여부에 대한 질의(query) 메시지를 DNS로 전송하는 단계;
    (g-5) 상기 DNS가 상기 IP주소를 응답메시지(response)에 포함시켜 PG로 전송하는 단계; 및
    (g-6) 상기 PG가 상기 IP주소에 해당하는 단말기로 데이터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g-1) 단계는, 상기 어카운트 정보에 상기 단말기의 IP주소 및 MIN정보가 구비된 세션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35. (a) PI가 PG로 소정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착신을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PG가 HLR로 상기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위치정보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HLR이 상기 단말기가 위치한VLR정보가 있는 해당 MSC정보를 상기 위치정보 요청메시지의 응답메시지를 통해 PG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PG가 상기 HLR로부터 전송된 상기 MSC정보를 통해 PCF로 데이터착신을 위한 푸시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e) PCF가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임의의 BSC로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임의의BSC는 MSC를 통해 해당 단말기를 제어하는 BSC를 탐색하는 단계;
    (g) 상기 탐색된 BSC가 해당 단말기로 페이징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h) 상기 단말기가 PDSN과 PPP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및
    (i) 상기 PG가 상기 단말기로 데이터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PI가 상기 PG로 푸시 메시지를 통해 데이터착신을 위한 유저 ID를 전송하는 단계;
    (a-2) 상기 PG가 상기 유저ID에 해당하는 IP주소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a-3) 상기 확인결과 IP주소가 생성되지 않으면, (b) 단계 이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36. 삭제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ID는, 상기 단말기의 MIN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3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IP주소확인은, 상기 PG에 저장된 IP주소와 상기 유저ID를 맵핑하여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39.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PI가 PG로 Push메시지를 통해 데이터착신을 위한 유저 ID를 전송하는 단계;
    (a-2) 상기 PG가 상기 유저ID에 해당하는 IP주소의 존재여부에 대한 질의(query) 메시지를 DNS로 전송하는 단계;
    (a-3) 상기 DNS는 상기 IP주소의 존재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결과를 응 답메시지(response)에 포함시켜 PG로 전송하는 단계;
    (a-4) 상기 확인결과 IP주소가 생성되지 않았으면, (b) 단계 이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ID는, 상기 단말기의 MIN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41.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위치정보 요청메시지에 상기 단말기의 MIN정보를 포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42.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h) 단계는
    (h-1) 상기 PDSN이 상기 단말기와 PPP세션이 맺어졌음을 알리는 세션 통지(Session Notification)메시지를 RADIUS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PG로 전송하는 단계; 및
    (h-2) 상기 PG가 상기 세션통지 메시지를 근거로 하여 상기 단말기로 데이터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h-1) 단계는, 상기 세션통지 메시지에 상기 단말기의 IP주소정보가 구비된 세션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44.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h) 단계는
    (h-1) 상기 PDSN이 상기 단말기와 PPP세션이 맺어졌음을 알리는 어카운트(Account) 정보를 AAA로 전송하는 단계;
    (h-2) 상기 AAA가 상기 어카운트 정보를 토대로 DNS업데이트 메시지를 DNS로 전송하는 단계;
    (h-3) 상기 DNS가 상기 업데이트 메시지를 통해 상기 단말기의 MIN에 해당하는 IP주소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
    (h-4) 상기 PG가 상기 유저ID에 해당하는 IP주소의 존재여부에 대한 질의(query) 메시지를 DNS로 전송하는 단계;
    (h-5) 상기 DNS가 상기 IP주소를 응답메시지(response)에 포함시켜 PG로 전송하는 단계; 및
    (h-6) 상기 PG가 상기 IP주소에 해당하는 단말기로 데이터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h-1) 단계는, 상기 어카운트 정보에 상기 단말기의 IP주소 및 MIN정보가 구비된 세션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46. (a) PI가 PG로 소정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착신을 요청하는 단계;
    (b) PG가 H-DLR로 데이터착신을 위한 푸시 라우팅 요청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H-DLR이 푸시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를 제어하는 DLR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DLR이 ANC/PCF로 페이징 명령을 지시하는 페이징 커맨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ANC/PCF가 해당 단말기로 페이징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단말기가 PDSN과 PPP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및
    (g) 상기 PG가 상기 단말기로 데이터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PI가 상기 PG로 푸시 메시지를 통해 데이터착신을 위한 유저 ID를 전송하는 단계;
    (a-2) 상기 PG가 상기 유저ID에 해당하는 IP주소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a-3) 상기 확인결과 IP주소가 생성되지 않았으면, (b) 단계 이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푸시 라우팅 요청메시지에 상기 단말기의 MIN정보를 포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48.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푸시 페이징 요청메시지에 상기 단말기의 MIN정보를 포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49. 삭제
  50.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ID는, 상기 단말기의 MIN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51.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IP주소확인은, 상기 PG에 저장된 IP주소와 상기 유저ID를 맵핑하여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52.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PI가 PG로 Push메시지를 통해 데이터착신을 위한 유저 ID를 전송하는 단계;
    (a-2) 상기 PG가 상기 유저ID에 해당하는 IP주소의 존재여부에 대한 질의(query) 메시지를 DNS로 전송하는 단계;
    (a-3) 상기 DNS는 상기 IP주소의 존재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결과를 응답메시지(response)에 포함시켜 PG로 전송하는 단계;
    (a-4) 상기 확인결과 IP주소가 생성되지 않았으면, (b) 단계 이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ID는, 상기 단말기의 MIN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54. 제46항 또는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f-1) 상기 PDSN이 상기 단말기와 PPP세션이 맺어졌음을 알리는 세션 통지(Session Notification)메시지를 RADIUS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PG로 전송하는 단계; 및
    (f-2) 상기 PG가 상기 세션통지 메시지를 근거로 하여 상기 단말기로 데이터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f-1) 단계는, 상기 세션통지 메시지에 상기 단말기의 IP주소정보가 구비된 세션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56. 제46항 또는 47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f-1) 상기 PDSN이 상기 단말기와 PPP세션이 맺어졌음을 알리는 어카운트(Account) 정보를 AAA로 전송하는 단계;
    (f-2) 상기 AAA가 상기 어카운트 정보를 토대로 DNS업데이트 메시지를 DNS로 전송하는 단계;
    (f-3) 상기 DNS가 상기 업데이트 메시지를 통해 상기 단말기의 MIN에 해당하는 IP주소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
    (f-4) 상기 PG가 상기 유저ID에 해당하는 IP주소의 존재여부에 대한 질의(query) 메시지를 DNS로 전송하는 단계;
    (f-5) 상기 DNS가 상기 IP주소를 응답메시지(response)에 포함시켜 PG로 전송하는 단계; 및
    (f-6) 상기 PG가 상기 IP주소에 해당하는 단말기로 데이터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f-1) 단계는, 상기 어카운트 정보에 상기 단말기의 IP주소 및 MIN정보가 구비된 세션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방법.
  58. PI(Push Initiator)가 소정 단말기로 데이터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착신을 수행하는 데이터착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PI로부터 데이터 전송 요구에 따른 해당 단말기의 세션정보를 관리하는 PG(Push Gateway);
    상기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PG의 위치정보요청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상기 PG로 전송하는 HLR(Home Location Register);
    상기 PG로부터의 푸시 라우팅 요청에 따른 호 교환 및 무선 자원 할당을 수행하는 MSC(Mobile Switching Center);
    상기 단말기가 위치한 셀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MSC의 페이징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로 페이징 정보를 전송하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
    상기 단말기와 PPP세션을 설정하며, 상기 PPP세션이 설정되는 상기 단말기의NAI(Network Access identifier) 및 상기 NAI에 할당되는 IP 정보를 생성하는 PDSN(Packet Data Serving Node);
    상기 단말기로의 페이징(Paging)을 수행하는 PCF(Packet Carrier Function);
    상기 단말기의 NAI(Network Access Identifier)를 관리하는 DNS(Domain Name System); 및
    상기 PDSN으로부터 NAI와 IP 주소 정보 변동에 따라 어카운트 정보를 상기 DNS로 전송함으로써 업데이트 요구를 하는 AAA(Access, Authorization and Account)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시스템.
  59. 삭제
  60. 삭제
  61. PI(Push Initiator)가 소정 단말기로 데이터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착신을 수행하는 데이터착신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기들의 세션정보를 관리하는 PG(Push Gateway);
    홈 가입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착신을 위한 단말기로 라우팅을 수행하는 H-DLR(Home-Data Location Register);
    방문망의 가입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H-DLR로부터의 페이징 요청에 따른 페이징 커맨드를 전송하는 DLR(Data Location Register);
    상기 DLR의 페이징 커맨드에 따라 상기 데이터착신을 위한 단말기로 페이징(Paging)을 수행하는 ANC/PCF(Access Network Controller/Packet Carrier Function);
    상기 데이터착신을 위한 단말기와 PPP세션을 설정하며, 상기 PPP세션이 설정되는 상기 단말기의NAI(Network Access identifier) 및 상기 NAI에 할당되는 IP 정보를 생성하는 PDSN(Packet Data Serving Node);
    단말기들의 NAI(Network Access Identifier)를 관리하는 DNS(Domain Name System); 및
    상기 PDSN으로부터 NAI와 IP 주소 정보 변동에 따라 어카운트 정보를 상기 DNS로 전송하여 업데이트 요구를 하는 AAA(Access, Authorization and Accoun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착신 시스템.
  62. 삭제
KR20040079451A 2004-10-06 2004-10-06 데이터착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26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79451A KR100726618B1 (ko) 2004-10-06 2004-10-06 데이터착신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79451A KR100726618B1 (ko) 2004-10-06 2004-10-06 데이터착신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0610A KR20060030610A (ko) 2006-04-11
KR100726618B1 true KR100726618B1 (ko) 2007-06-11

Family

ID=37140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79451A KR100726618B1 (ko) 2004-10-06 2004-10-06 데이터착신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66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889B1 (ko) * 2006-07-10 200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862729B1 (ko) * 2007-03-12 2008-10-1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Cdma 이동통신망의 데이터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10165897A1 (en) * 2008-05-12 2011-07-07 Zitnik Stephen J Enhanced data push capabilities system and method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448A (ko) * 2001-11-05 2003-05-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차세대 이동 통신망에서의 페이징 기반의 패킷 푸시서비스 방법
KR20030090824A (ko) * 2002-05-22 2003-12-0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망에서의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93603A (ko) * 2002-06-03 2003-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데이터통신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인증방법
KR20030093602A (ko) * 2002-06-03 2003-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페이징방법
KR20050078353A (ko) * 2004-01-29 2005-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단말에 대한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과 이를 위한 푸시서버 장치
KR20050095198A (ko) * 2004-03-25 2005-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개시 데이터 세션 설정 방법과 이를 위한 서버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448A (ko) * 2001-11-05 2003-05-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차세대 이동 통신망에서의 페이징 기반의 패킷 푸시서비스 방법
KR20030090824A (ko) * 2002-05-22 2003-12-0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망에서의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93603A (ko) * 2002-06-03 2003-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데이터통신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인증방법
KR20030093602A (ko) * 2002-06-03 2003-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페이징방법
KR20050078353A (ko) * 2004-01-29 2005-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단말에 대한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과 이를 위한 푸시서버 장치
KR20050095198A (ko) * 2004-03-25 2005-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개시 데이터 세션 설정 방법과 이를 위한 서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0610A (ko) 2006-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8543B2 (en) Common mobility management protocol for multimedia applications, systems and services
US6061341A (en) Use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proxy within packet data service transmissions in a mobile network
EP1123626B1 (en) Ip roaming number gateway
JP4991050B2 (ja) H.323システムにおけるローミング中の移動局に移動停止呼を与えるための方式及び方法
JP4364791B2 (ja) 無線装置間でのip通信用技術
EP1301056B1 (en) A system for providing subscriber features with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EP1786176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packet mobile-terminated calls using dynamic IP
KR101015642B1 (ko)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푸쉬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US20060141981A1 (en) Universal temporary communication ID with service integration
JP2004506359A (ja) Umtsにおけるローミングサポート方法及びシステム
US7185091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compressed messages at a proxy to a mobile device in a network
WO2003014938A1 (en) Dynamic allocation of ports at firewall
US7403516B2 (en) Enabling packet switched calls to a wireless telephone user
JP2002305588A (ja) Ip電話との相互接続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KR100657121B1 (ko) 차세대 이동 통신(imt-2000) 패킷 망에서 사용자식별자를 이용하여 이동 착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장치 및 그 방법
KR100726618B1 (ko) 데이터착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02787B1 (ko) 이동통신망에서 화상전화 서비스를 위한 호 설정 방법
KR10060453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적 ip에 대한 데이타 착신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JP2002232934A (ja) 移動体パケット通信システム
EP1327372B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signalling between a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US7583680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between subsystems in hybrid cellular telecommunication systems
KR20040060524A (ko) 메일서버를 이용한 전화 연결방법
KR20040036351A (ko) 휴대폰의 아이피 주소 획득 방법
KR20070016247A (ko) 교환 시스템의 착신 전환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