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7121B1 - 차세대 이동 통신(imt-2000) 패킷 망에서 사용자식별자를 이용하여 이동 착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세대 이동 통신(imt-2000) 패킷 망에서 사용자식별자를 이용하여 이동 착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7121B1
KR100657121B1 KR1020000066158A KR20000066158A KR100657121B1 KR 100657121 B1 KR100657121 B1 KR 100657121B1 KR 1020000066158 A KR1020000066158 A KR 1020000066158A KR 20000066158 A KR20000066158 A KR 20000066158A KR 100657121 B1 KR100657121 B1 KR 100657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mobile terminal
internet address
service
user ident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6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6137A (ko
Inventor
백기진
장휘일
윤동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00066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7121B1/ko
Publication of KR20020036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6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7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712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세대 이동 통신(IMT-2000) 패킷 망에서 사용자 식별자를 이용하여 이동 착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터넷 주소 대신 전자우편(E-mail) 주소 형식의 사용자 식별자 할당을 통해 동적 인터넷 주소를 사용하는 사용자도 이동 착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IMSI 번호가 아닌 사용자 식별자 또는 이동 단말기의 전화번호(MSISDN)만 알고 있어도 내부적인 절차에 의해 이동 착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차세대 이동 통신 패킷 가입자에게 필요할 때마다 이동 착신 서비스를 제공하여 기존 인터넷과 차별화 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현재 인터넷 주소 부족 현상으로 인한 정적 인터넷 주소 할당의 부담을 줄이며, 가입자 유치에 유리하고, 인터넷 주소보다 기억하기 쉽고 편리한 사용자 식별자를 사용함으로 인해 차세대 이동 통신 패킷 서비스의 수요를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차세대 이동 통신(IMT-2000) 패킷 망에서 사용자 식별자를 이용하여 이동 착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Th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obile-Terminated Services with User-ID in IMT-2000 Packet Domain Network}
도 1은 종래의 차세대 이동 통신의 인터넷 서비스 제공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세대 이동 통신망에서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식별자를 이용하여 이동 착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디렉토리 에이젼트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상기 도 2의 디렉토리 에이젼트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상기 도 3을 활용한 망 구성도.
도 5는 상기 도 2의 디렉토리 에이젼트 시스템의 서비스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상기 도 5의 PDP 컨텍스트 상태 문의 요청 처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상기 도 5의 인터넷 주소 문의 요청 처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상기 도 5의 IP 베어러 연결 요청 처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2, 100 : 이동 단말기 14, 16 : 기지국
18, 19 : 기지국 제어기 20 : 차세대 이동 통신 패킷 도메인 망
30 : 차세대 이동 통신 운용자 IP 망 40 : 인터넷 망
50, 55 : SGSN 60 : GGSN
62, 64 : 푸시 서버 66 : 단말기
68, 70 : 웹 서버 110 : 인터넷 프로토콜 망
200 : 디렉토리 에이젼트 시스템 205 : 입/출력 처리부
210 : 메시지 식별부 215 : 주소 변환 처리부
220 : 연결 요청 처리부 225 : PDP 상태 문의 처리부
230 : 사용자 정보관리 테이블 232, 314, 324 : 사용자 식별자 필드
234 : 단말기 전화번호 필드 236 : 단말기 인터넷 주소 필드
240 : 메시지 처리부 300 : 서비스 요청부
310, 320 : 응용서버 312, 322 : 로컬 사용자 식별자 필드
330 : 단말
본 발명은 차세대 이동 통신(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 IMT-2000) 패킷 망에서 효과적인 이동 착신 서비스(mobile-terminated service)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세대 이동 통신 패킷 서비스 가입자의 인터넷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 : IP address)를 알지 못하더라도, 사용자 식별자(Identifier : ID)를 이용하여 상기 가입자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일종의 디렉토리 서비스(Directory service)와 차세대 이동 통신 패킷 망의 인터넷 프로토콜(이하 IP라 칭한다) 베어러 연결을 요청하고 현재 상기 가입자 단말기의 상태를 문의할 수 있는 에이젼트 서비스(Agent service)를 제공하는 차세대 이동 통신망에서 사용자 식별자를 이용하여 이동 착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이동 통신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Packet data service)는 호의 발생 유형에 따라 크게 이동 발신 (Mobile Oriented : MO) 서비스와 이동 착신(Mobile Terminated : MT) 서비스로 구별된다. 차세대 이동 통신의 초기 서비스는 대부분 인터넷 접속 서비스와 같은 이동 발신 서비스가 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현재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와 같은 국제 표준화 단체에서는 이동 착신 서비스보다는 이동 발신 서비스에 대한 표준화 및 연구를 중점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언제 어디서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차세대 이동 통신의 서비스 특성을 고려한다면, 증권 정보나 뉴스 등을 해당 단말기로 전송하는 푸시 서비스(push service)나 단말기와 단말기간의 화일 전송 같은 peer-to-peer 서비스 등의 이동 착신 서비를 필요로 하는 패킷 서비스가 주요한 응용 서비스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
현재의 비동기식 차세대 이동 통신망에서 이동 착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발신자는 착신자의 인터넷 주소를 미리 알고 있어야 하는데, 이것이 가능하기 위해서 착신자는 고정된 인터넷 주소인 고정 인터넷 주소(Static IP address)를 가져야 한다. 즉, 현재까지 3GPP의 표준 규격(3G TS 23.060)에 의하면 이동 착신 서비스는 고정 인터넷 주소를 갖는 사용자에게만 제공 가능하다.
따라서 동적 인터넷 주소(Dynamic IP address)를 사용하는 가입자에게는 이동 착신 서비스가 제공되지 못하며, 대부분의 차세대 이동 통신 사업자들은 현재 인터넷 주소 체계인 IPv4(Internet Protocol version 4)의 제한된 주소 공간을 고려하여 가입자들에게 동적 인터넷 주소를 제공할 것이므로, 현재의 3GPP 규격을 적용하면 이동 착신 서비스의 제공은 불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차세대 이동 통신의 인터넷 서비스 제공을 나타낸 구성도로, 차세대 이동 통신 망의 구성과 이동 발신 서비스 및 이동 착신 서비스 경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은 차세대 이동 통신에 가입된 이동 단말기(Mobile Station :MS)(10,12)와;
무선 자원을 관리하고, 무선 트래픽 및 유선 트래픽 채널을 설정하여 데이터를 전달하는 기지국(Base Station : BS)(14,16)과;
상기 이동 단말기와 패킷 데이터를 연결하는 기지국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 RNC)(18, 19)와;
상기 차세대 이동 통신 사업자들의 IP을 관리하는 차세대 이동 통신 운용자 IP 망(30)과;
상기 이동 단말기(10, 12)의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인터넷(40)과;
상기 이동 단말기(10, 12)로 이동 착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푸시 서버(62, 64)와;
상기 푸시 서버와 같이 이동 착신 서비스를 이동 단말기(10, 12)로 보내는 단말(예: 컴퓨터 등)(66); 및
상기 이동 단말기(10, 12)의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지원하는 웹 서버(Web server)(68, 70)를 구비한다.
상기 차세대 이동 통신 운용자 IP 망(30)은 이동 단말기의 패킷 모드에 대한 이동성 관리 및 세션 기능을 제공하는 SGSN(Serving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Support Node)(50, 55); 및
외부 패킷 망 또는 인터넷과의 연동 기능을 제공하는 GGSN(Gateway GPRS Surport Node)(60)으로 구성된 패킷 통신을 위한 차세대 이동 통신 패킷 도메인 망(20)을 구비한다.
차세대 이동 통신 단말기가 인터넷( 예 : ISP, 인트라넷 등)에 접속하여 패킷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차세대 이동 통신 패킷 도메인 망 내에 사용자 인터넷 프로토콜(IP)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광대역 이동 통신 서비스(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 UMS) 베어러(bearer) 연결이 설정되어야 한다. 이는 인터넷 주소 할당 및 채널 연결을 위한 IP 연결을 지원하는 베어러 서비스(Bearer Service)로서, 실제 사용자 트래픽을 그대로 전달하고 채널 을 연결하기 위한 서비스이다.
이렇게 설정된 베어러 연결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IP 패킷의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도 1의 ⓐ와 ⓑ는 인터넷 접속이나 차세대 이동 통신 운영자 IP 망 접속 등의 이동 발신 서비스 설정 경로를 나타내며, ⓒ∼ⓔ는 이동 착신 서비스 설정 경로를 나타낸다.
상기 이동 단말기(10, 12)가 이러한 이동 발신 서비스 및 이동 착신 서비스 사용을 위해 인터넷(40)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항상 상기 SGSN(50)과 GGSN(60)을 경유해야만 한다.
이때 인터넷 주소를 할당하고 관리하는 것은 GGSN(60)에서 담당하며, 차세대 이동 통신 가입자는 서비스 가입 시에 고정 인터넷 주소를 사용할 것인지 동적 인터넷 주소를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하게 된다.
상기 고정 인터넷 주소 사용의 경우, 서비스 가입 시 인터넷 주소를 부여받게 되고 그 정보는 GGSN(60)에 저장되어 관리되며, 상기 ⓐ∼ⓔ의 이동 착신 및 이동 발신 서비스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동적 인터넷 주소 사용의 경우, 매번 접속 할 때마다 새로운 인터넷 주소를 GGSN(60)으로부터 할당받게 되며, 이동 발신 서비스 ⓐ와 ⓑ는 이용 가능하나, 이동 착신 서비스 ⓒ∼ⓔ는 이용 불가능하다.
또한 실제 차세대 이동 통신망의 내부에서 사용되는 식별번호로는 이동 단말기에 유일하게(unique) 부여되는 번호인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가 있으며, 이것은 개인의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한 식별번호로서, 상기 IMSI 번호는 차세대 이동 통신 가입자들이 모르는 망에서 부여한 번호이다.
그리고, 대부분의 인터넷 사용자는 통신하고자 하는 목적지의 인터넷 주소보다는 홈페이지 주소와 같은 URL(Uniform Resource Locator) 형태나 전자우편(e-mail) 주소와 같은 사용자가 기억하기 쉬운 식별자(ID)를 사용하는 것이 이동 착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편리하나, 아직 이에 대한 연구나 표준화가 미진한 상태이다.
또한 현재 인터넷상의 서버들은 자신의 서버에서만 유효한 로컬 식별자(Local ID)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서버마다 다른 식별자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로컬 식별자만으로는 차세대 이동 통신 가입자에게 직접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차세대 이동 통신 패킷 망에서 이동 착신 서비스 제공 시, 인터넷 주소 대신 전자메일(E-mail) 주소와 같이 식별자(ID)와 도메인 이름(Domain name)으로 된 NAI(Network Access Identifier) 등의 전세계적으로 유일하게(unique) 식별되는 사용자 식별자를 할당하여, 사용자 식별자 정보로부터 해당하는 인터넷 주소 정보를 얻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인터넷이나 외부 패킷 망에서도 사용자 식별자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번호가 아닌 사용자 식별자 또는 이동 단말기의 전화번호만 알고 있어도 내부적인 절차에 의해 인터넷 주소를 할당받고, 동적 인터넷 주소를 사용하는 차세대 이동 통신 가입자도 이동 착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차세대 이동 통신(IMT-2000) 패킷 망에서 사용자 식별자를 이용하여 이동 착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그리고, 차세대 이동 통신 패킷 망 내에서 IP 베어러 연결을 설정하고, 동적 인터넷 주소를 할당하는 방법에 대한 것은 이미 3GPP의 3G TS 23.060 의 문서에 정의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다루지 않는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세대 이동 통신 패킷 망에서 이동 착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착신자의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이용한 이동 착신 서비스 제공 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수단은, 차세대 이동 통신 망의 사용자 이동 단말기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관리 테이블과;
현재 상기 착신자 이동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GGSN(Gateway GPRS Surport Node)으로 문의하여, 그 결과를 반환하는 착신 단말기 정보 처리부와;
상기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통해 상기 착신자 이동 단말기의 인터넷 주소로 변환하여 반환하는 주소 변환 처리부; 및
상기 착신자 이동 단말기와 GGSN 간에 IP 베어러 서비스가 설정 되도록 GGSN 으로 요구하는 연결 요청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차세대 이동 통신 패킷 망에서 이동 착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착신자의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이용한 이동 착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착신 서비스 제공 과정을 구비하되;
상기 이동 착신 서비스 제공 과정은, 발신자로부터 착신자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한 이동 착신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 받는 이동 착신 서비스 요청 메시지 수신 과정과;
상기 이동 착신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검색하여, 각각의 이동 착신 서비스 요청 메시지 유형에 따라 서비스를 수행하는 이동 착신 서비스 요청 메시지 처리 과정; 및
상기 이동 착신 서비스 요청 메시지 처리 과정에 의한 결과를 상기 발신자에게 전송하는 이동 착신 서비스 요청 메시지 결과 전송 과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세대 이동 통신망에서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식별자를 이용하여 이동 착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디렉토리 에이젼트 시스템(200)의 동작을 나타낸 구성도로, 발신자가 착신자의 이동 단말기에 부여된 사용자 식별자만을 알고 인터넷 주소는 알지 못하며, 차세대 이동 통신 패킷 망(20)에서는 착신자 이동 단말기에 대한 IP 연결이 설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 인터넷상의 발신자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 패킷 서비스(이동 착신 서비스)를 하고자 할 때 동작 설정을 보여준다.
상기 도 2는 이동 착신 서비스를 받을 착신 단말기인 차세대 이동 통신망 가입자의 이동 단말기(100)와;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되어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차세대 이동 통신 패킷 도메인 망(UMTS 패킷 도메인 망)(20)과;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GGSN(60)에 인터넷 주소 할당 및 IP 베어러 연결을 요청하는 디렉토리 에이젼트 시스템(200); 및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 식별자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 패킷 서비스를 하기 위해, IP 망(110)을 통하여 디렉토리 에이젼트 시스템(200)으로 이동 단말기(100)와의 연결 요청을 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비스 요청부(발신자)(예 : 응용서버, 단말)(300)를 구비한다.
도 3은 상기 도 2의 디렉토리 에이젼트 시스템(200)의 구성도로, 상기 서비스 요청부(300)로부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입/출력 처리부(205)로 전송 받아 서비스 요청 메시지의 종류를 식별하는 메시지 식별부(210)와;
상기 사용자 식별자 등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 테이블(230)과;
상기 사용자 식별자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인터넷 주소로 변환하 는 주소 변환 처리부(215)와;
차세대 이동 통신 패킷 망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GGSN(60) 간에 IP 베어러 연결이 설정되도록 GGSN(60)으로 요청하는 연결 요청 처리부(220)와;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전화번호나 인터넷 주소 등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 정보인 PDP 컨텍스트(Packet Data Protocol context)를 상기 GGSN(60)으로 문의하는 PDP 컨텍스트 상태 문의 처리부(225); 및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의 결과를 주소 처리부(215)와 연결 요청 처리부(220) 및PDP 컨텍스트 상태 문의 요청부(225)로부터 전송받아 상기 입/출력 처리부(205)를 통해 서비스 요청부(300)로 전송하는 메시지 처리부(240)를 구비한다.
상기 사용자 정보 관리 테이블(200)은 사용자 식별자를 저장하는 사용자 식별자 필드(232)와;
차세대 이동 통신 패킷 망에서 식별 가능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전화번호( MSISDN(Mobile Station Integrated System Digital Network))를 저장하는 단말기 전화번호 필드(234); 및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고정 인터넷 주소를 저장하는 인터넷 주소(IP address) 필드(236)를 구비한다.
상기 사용자 식별자는 전자메일(E-mail) 주소와 같이 식별자(ID)와 도메인 이름(Domain name)으로 된 NAI(Network Access Identifier) 등을 사용하여 전세계적으로 식별 가능한 유일한 식별자를 사용함으로써, 외부 IP 망에서도 식별된다.
예를들어, 상기 사용자 식별자가 kjbaeck@imt2000.co.kr일 경우 kibaeck는 차세대 이동 통신망 사업자내의 식별자에 해당하며, 도메인 이름 imt2000.co.kr은 차세대 이동 통신 사업자의 도메인 이름에 해당한다.
상기 사용자 정보 관리 테이블(200)은 차세대 이동 통신망 사업자나 가입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그 내용이 추가된다.
상기 서비스 요청부(300)는 상기 착신자(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식별자를 가지고 디렉토리 에이젼트 시스템(200)으로 착신자의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인터넷 주소 문의 요청을 하며, 상기 디렉토리 에이젼트 시스템(200)은 서비스 요청부(300)로부터 받은 착신자의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정보 관리 테이블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할당 된 인터넷 주소가 존재하는지 인터넷 주소 필드(236)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인터넷 주소가 존재하면, 인터넷 주소를 서비스 요청부(300)로 반환하고, 인터넷 주소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단말기 전화번호 필드(234)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GGSN(60)으로 IP 베어러 연결을 요청한다.
상기 GGSN(60)은 이동 단말기(100)까지 망 요청 PDP 컨텍스트 활성화 절차(Network-requested PDP context activation procedure)를 수행하여, 동적 인터넷 주소를 할당 받는다.
GGSN(60)은 상기 인터넷 주소를 디렉토리 에이젼트 시스템(200)으로 전송하고, 디렉토리 에이젼트 시스템(200)은 인터넷 주소를 서비스 요청부(300)로 전송한 다.
서비스 요청부(300)는 전송 받은 인터넷 주소를 이용하여 GGSN(60)으로 IP 패킷(Packet Data Unit : PDU)을 전송하고, GGSN(60)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상기 IP 패킷을 전송한다.
도 4는 상기 도 3을 활용한 망 구성도로, 차세대 이동 통신 운용자 IP 망(30)과 외부 망(예 : 인터넷 망, 인트라넷 등)에서 로컬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를 연동한 이동 착신 서비스를 보여준다.
상기 도 4에서 응용서버(예 : 푸시 서버)(310, 320)와 단말(330)은 서비스 요청부(300)로, 상기 응용 서버(310, 320)의 사용자는 해당 응용서버에서만 유효한 로컬 식별자를 가진다.
상기 응용 서버(310, 320)는 로컬 식별자를 저장하는 로컬 식별자 필드(312, 322); 및
차세대 이동 통신 망에서 부여한 상기 사용자 식별자를 저장하는 사용자 식별자 필드(314, 324)를 구비한다.
상기 응용 서버(310, 320)에서 이동 단말기(100)로의 이동 착신 서비스 시, 상기 로컬 식별자 정보를 통해 사용자 식별자 필드(314, 324)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읽어들여,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상기 디렉토리 에이젼트 시스템(200)으로 전송한다.
도 5는 상기 도 2의 디렉토리 에이젼트 시스템의 서비스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로, 먼저 상기 디렉토리 에이젼트 시스템(200)은 서비스 요청부(300)로부터 사용 자 식별자 정보를 포함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 받는다(S2).
상기 사용자 식별자가 사용자 정보 관리 테이블(230)에 존재하는지 판단하여(S4), 사용자 식별자가 존재하지 않으면 서비스 요청부(300)로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임을 통보한다(S16).
상기 판단 결과, 사용자 식별자가 존재하면 서비스 요청의 종류가 무엇인지 판단하여(S6), 현재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PDP 컨텍스트 상태를 문의하는 요청일 경우(①), PDP 컨텍스트 상태 문의 요청 처리 과정을 수행하여(S8), 이동 단말기(100)의 PDP 컨텍스트 상태 정보를 서비스 요청부(300)로 전송한다(S14).
상기 서비스 요청의 판단 결과, 이동 단말기(100)의 인터넷 주소를 문의하는 요청이면(②), 인터넷 주소 문의 처리 과정을 수행하고(S10), 상기 S14로 진행하여 이동 단말기의 인터넷 주소를 서비스 요청부(300)로 전송한다(S14).
또한 상기 서비스 요청의 판단 결과, 상기 GGSN(60)과 이동 단말기(100)와의 IP 베어러 연결 요청이면(③), IP 베어러 연결 요청 처리 과정을 수행하고(S12), 상기 S14로 진행하여 이동 단말기의 인터넷 주소를 서비스 요청부(300)로 전송한다(S14).
도 6은 상기 도 5의 PDP 컨텍스트 상태 문의 요청 처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로, GGSN(60)으로부터 현재 착신자 이동 단말기(100)의 동적 인터넷 주소 등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PDP 컨텍스트 상태 정보를 전송 받는 과정을 나타낸다.
먼저 사용자 정보 관리 테이블(230)의 단말기 전화번호 필드(234)로부터 이동 단말기(100)의 전화번호를 읽고(S30), 상기 GGSN(60)로 이동 단말기의 전화번호(MSISDN)를 통해 PDP 컨텍스트 상태 정보를 요청한다(S32).
상기 GGSN(60)은 이동 단말기(100)의 기설정된 PDP 컨텍스트가 존재하는지 판단하여(S34),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PDP 컨텍스트가 존재하지 않음을 디렉토리 에이젼트 시스템(200)에 통보하고(S38), 기설정된 PDP 컨텍스트가 존재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PDP 컨텍스트 상태 정보를 디렉토리 에이젼트 시스템(200)으로 전송한다(S36).
도 7은 상기 도 5의 인터넷 주소 문의 요청 처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로, 이동 단말기(100)의 정적 인터넷 주소나, 또는 현재 이동 단말기가 차세대 이동 통신 망에 접속하여 할당받아 사용 중인 동적 인터넷 주소를 GGSN(60)으로부터 전송 받는 과정을 나타낸다.
먼저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터넷 주소 필드(236)에 이동 단말기(100)의 정적 인터넷 주소가 존재하는지 검색하여(S52), 정적 인터넷 주소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54).
상기 판단 결과, 인터넷 주소가 존재하면 서비스 요청부(300)로 상기 인터넷 주소를 전송하고, 정적 인터넷 주소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도 6의 PDP 컨텍스트 상태 문의 처리 과정을 수행한다(S60).
상기 PDP 컨텍스트 상태 문의 처리 과정 수행 결과,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동적 인터넷 주소가 존재하는지 판단하여(S62), 존재하면 디렉토리 에이젼트 시스템(200)은 동적 인터넷 주소를 상기 서비스 요청부(300)로 전송하고(S64), 동적 인터넷 주소가 존재하지 않으면 인터넷 주소가 존재하지 않음을 서비스 요청부(300)로 통보한다(S66).
도 8은 상기 도 5의 IP 베어러 연결 요청 처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로, 먼저 상기 도 6의 PDP 컨텍스트 상태 문의 처리 과정을 수행한다(S72).
상기 수행 결과, GGSN에 기절정된 IP 연결이 존재하는지 판단하여(S72), 존재하면 디렉토리 에이젼트 시스템(200)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인터넷 주소를 상기 서비스 요청부(300)로 전송하고(S82),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GGSN(60)으로 IP 베어러 연결을 요청한다(S76).
상기 GGSN(60)은 망 요청 PDP 컨텍스트 활성화 절차를 수행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GGSN(60) 사이의 IP 베어러 연결을 설정하고(S78), GGSN(60)은 상기 망 요청 PDP 컨텍스트 활성화 절차에 의해 할당받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적 인터넷 주소를 인터넷 디렉토리 에이젼트 시스템(200)으로 전송한다(S80).
참고로, 상기 서비스 요청부(300)는 사용자 식별자 대신 이동 단말기(100)의 전화번호 정보(MSISDN)를 가지고 서비스 디렉토리 에이젼트 시스템(200)으로 상기와 같은 서비스 요청메시지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인터넷상에서 패킷 전화(VOIP)를 지원하기 위한 세션을 제어하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와 같은 프로토콜을 활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세대 이동 통신망에 있어서 정적 인터넷 주소를 사용하는 가입자만 이용 가능한 이동 착신 서비스를 동적 인터넷 주소를 사용하는 가입자도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 현재 인터넷 주소 부족 현상 으로 인한 정적 인터넷 주소 할당의 부담을 줄이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발신자가 착신자의 인터넷 주소를 모르더라도, 차세대 이동 통신 패킷 망의 사용자 식별자 정보만으로 이동 착신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으며, 사용자 식별자 또는 착신 이동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인터넷 주소를 할당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차세대 이동 통신 패킷 가입자에게 필요할 때마다 이동 착신 서비스를 제공하여 기존 인터넷과 차별화 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가입자 유치에 유리한 장점이 있으며, 인터넷 주소보다 기억하기 쉽고 편리한 사용자 식별자를 사용함으로써 차세대 이동 통신 패킷 서비스의 수요를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차세대 이동 통신 패킷 망에서 이동 착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착신자의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이용한 이동 착신 서비스 제공 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수단은, 차세대 이동 통신망의 사용자 이동 단말기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관리 테이블과;
    현재 상기 착신자 이동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GGSN(Gateway GPRS Surport Node)으로 문의하여, 그 결과를 반환하는 착신 단말기 정보 처리부와;
    상기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통해 상기 착신자 이동 단말기의 인터넷 주소로 변환하여 반환하는 주소 변환 처리부; 및
    상기 착신자 이동 단말기와 GGSN 간에 IP 베어러 서비스가 설정 되도록 GGSN으로 요구하는 연결 요청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 통신 패킷 망에서 사용자 식별자를 이용하여 이동 착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관리 테이블은 상기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식별자 필드와;
    차세대 이동 통신망에서 이동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단말기 전화번 호 필드; 및
    상기 착신자 이동 단말기의 정적 인터넷 주소를 저장하는 인터넷 주소 필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 통신 패킷 망에서 사용자 식별자를 이용하여 이동 착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3. 차세대 이동 통신 패킷 망에서 이동 착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착신자의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이용한 이동 착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착신 서비스 제공 과정을 구비하되;
    상기 이동 착신 서비스 제공 과정은, 발신자로부터 착신자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한 이동 착신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 받는 이동 착신 서비스 요청 메시지 수신 과정과;
    상기 이동 착신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검색하여, 각각의 이동 착신 서비스 요청 메시지 유형에 따라 서비스를 수행하는 이동 착신 서비스 요청 메시지 처리 과정; 및
    상기 이동 착신 서비스 요청 메시지 처리 과정에 의한 결과를 상기 발신자에게 전송하는 이동 착신 서비스 요청 메시지 결과 전송 과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 통신 패킷 망에서 사용자 식별자를 이용하여 이동 착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자는 외부 망의 로컬 식별자와의 연동을 통해 외부 망에서도 식별되며, 그 형식은 식별자와 도메인 이름으로 된 전자 우편 형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 통신 패킷 망에서 사용자 식별자를 이용하여 이동 착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착신 서비스 요청 메시지 처리 과정은 상기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통해 처리하되;
    상기 이동 착신 서비스 요청 메시지 유형에 따라,
    현재 상기 착신자 이동 단말기의 상태 문의 요청을 처리하는 단말기 상태 문의 요청 처리 단계와;
    상기 착신자 이동 단말기의 인터넷 주소 문의 요청을 처리하는 인터넷 주소 문의 처리 단계; 및
    상기 착신자 이동 단말기와 GGSN과의 IP 베어러 연결 요청을 처리하는 IP 베어러 연결 요청 처리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 통신 패킷 망에서 사용자 식별자를 이용하여 이동 착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6. 상기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상태 문의 요청 처리 단계는,
    상기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통해 착신자 이동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전화번호 검색 단계와;
    상기 착신 전화번호를 활용하여 GGSN으로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PDP) 컨텍스트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PDP 컨텍스트 상태 정보 요청 단계와;
    상기 GGSN으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한 PDP 컨텍스트 상태 정보를 전송 받는 PDP 컨텍스트 상태 정보 수신 단계; 및
    상기 PDP 컨텍스트 상태 정보를 결과 값으로 반환하는 정보 반환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 통신 패킷 망에서 사용자 식별자를 이용하여 이동 착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7. 상기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주소 문의 처리 단계는,
    상기 사용자 식별자를 통해 이동 단말기에 할당된 정적 인터넷 주소가 존재하는지 검색하는 정적 인터넷 주소 확인 단계와;
    상기 정적 인터넷 주소가 존재하면, 정적 인터넷 주소를 결과 값으로 반환하는 정적 인터넷 주소 반환 단계; 및
    상기 고정 인터넷 주소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활용하여 GGSN으로 PDP 컨텍스트 상태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GGSN으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한 PDP 컨텍스트 상태 정보를 전송 받아,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적 인터넷 주소를 결과 값으로 반환하는 동적 인터넷 주소 전송 단계를 구 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 통신 패킷 망에서 사용자 식별자를 이용하여 이동 착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8. 상기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IP 베어러 연결 요청 처리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반환하는 상기 단말기 상태 문의 요청 처리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 정보로부터 현재 이동 단말기로 설정되어 있는 IP 연결이 존재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인터넷 주소를 결과 값으로 반환하는 인터넷 주소 반환 단계; 및
    현재 상기 이동 단말기로 설정되어 있는 IP 연결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활용하여 GGSN으로 IP 베어러 연결을 요청하고, 상기 전화번호를 통해 상기 GGSN이 망 요청 PDP 컨텍스트 활성화 절차를 수행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와 GGSN 사이의 IP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IP 연결을 통해 할당 된 이동 단말기의 인터넷 주소를 상기 GGSN으로부터 전송 받아 결과 값으로 반환하는 동적 인터넷 주소 할당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 통신 패킷 망에서 사용자 식별자를 이용하여 이동 착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1020000066158A 2000-11-08 2000-11-08 차세대 이동 통신(imt-2000) 패킷 망에서 사용자식별자를 이용하여 이동 착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장치 및 그 방법 KR100657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6158A KR100657121B1 (ko) 2000-11-08 2000-11-08 차세대 이동 통신(imt-2000) 패킷 망에서 사용자식별자를 이용하여 이동 착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6158A KR100657121B1 (ko) 2000-11-08 2000-11-08 차세대 이동 통신(imt-2000) 패킷 망에서 사용자식별자를 이용하여 이동 착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6137A KR20020036137A (ko) 2002-05-16
KR100657121B1 true KR100657121B1 (ko) 2006-12-12

Family

ID=19697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6158A KR100657121B1 (ko) 2000-11-08 2000-11-08 차세대 이동 통신(imt-2000) 패킷 망에서 사용자식별자를 이용하여 이동 착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71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0561A (ko) * 2001-02-28 2002-09-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모바일 패킷망에서 인터넷 프로토콜 어드레스 제공방법
KR20020072929A (ko) * 2001-03-13 2002-09-19 주식회사 앳폰텔레콤 컴퓨터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383552B1 (ko) * 2001-05-12 2003-05-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복수개의 착신 인식자를 가진 차세대 이동 통신망 가입단말기의 착신 방법
KR100392377B1 (ko) * 2001-06-07 2003-07-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 서비스를 위한 가입자 데이터자동 등록 방법
KR100428249B1 (ko) * 2001-11-19 2004-04-2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단말기의 고유이름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패킷 통신방법
KR100750774B1 (ko) * 2001-12-26 2007-08-20 엘지노텔 주식회사 이동 통신 패킷 망에서의 착신 서비스 방법
KR20040020295A (ko) * 2002-08-30 2004-03-09 시그마텔레콤 주식회사 피피피 통신방식을 이용한 무선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방법
KR100480720B1 (ko) * 2002-09-26 2005-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망 및 이동통신 망의 이동 단말에 대한 착신 호서비스 방법
KR100565293B1 (ko) * 2003-09-30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의 아이피 데이터 전송 방법
KR100708363B1 (ko) * 2005-05-16 2007-04-17 엘지노텔 주식회사 패킷서비스통지기능이 구비된 더불유씨디엠에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59531A2 (en) * 1997-01-15 1998-08-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for providing a unique temporary indentification of a mobile station
KR20020007940A (ko) * 2000-07-19 2002-01-29 공남수 통신망식별번호를 이용한 인터넷폰 가입자 접속 방법 및이를 기반으로 한 인터넷폰 서비스 시스템
KR100406571B1 (ko) * 1999-12-18 2003-11-20 주식회사 케이티 평생번호를 이용한 지능형 단말의 인터넷폰 수신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59531A2 (en) * 1997-01-15 1998-08-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for providing a unique temporary indentification of a mobile station
KR100406571B1 (ko) * 1999-12-18 2003-11-20 주식회사 케이티 평생번호를 이용한 지능형 단말의 인터넷폰 수신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20007940A (ko) * 2000-07-19 2002-01-29 공남수 통신망식별번호를 이용한 인터넷폰 가입자 접속 방법 및이를 기반으로 한 인터넷폰 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6137A (ko) 2002-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11064B2 (ja) 認証方法及びシステム
US7289792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media messages and a multimedia message communication system
US665460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and monitoring mobile communication across platforms
EP1266506B1 (en) Ip communication in a cellular telecommunications system
US20030214958A1 (en) Linking of bearer and control for a multimedia session
EP1786176B9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packet mobile-terminated calls using dynamic IP
KR101015642B1 (ko)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푸쉬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EP1772003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trieving network addresses in hybrid telecommunication networks
JP353852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EP1210835A1 (en) Facilitating data transmission
JP4418136B2 (ja) 通信システム
KR100657121B1 (ko) 차세대 이동 통신(imt-2000) 패킷 망에서 사용자식별자를 이용하여 이동 착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장치 및 그 방법
US20040240441A1 (en) Enabling packet switched calls to a wireless telephone user
JP4585500B2 (ja) 通信サーバ、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KR100519664B1 (ko) 착신제어시스템을 이용한 imt-2000의 비동기 망에서 동기 망으로의 착신 데이터 로밍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26891A (ko) 이동통신 망 및 이동통신 망의 이동 단말에 대한 착신 호서비스 방법
KR100726618B1 (ko) 데이터착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50774B1 (ko) 이동 통신 패킷 망에서의 착신 서비스 방법
KR20040032630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 방법
JP2006230011A (ja) 認証方法及びシステム
KR20020094975A (ko) Ip 기반의 패킷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