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0824A - 이동통신망에서의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망에서의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0824A
KR20030090824A KR1020020028410A KR20020028410A KR20030090824A KR 20030090824 A KR20030090824 A KR 20030090824A KR 1020020028410 A KR1020020028410 A KR 1020020028410A KR 20020028410 A KR20020028410 A KR 20020028410A KR 20030090824 A KR20030090824 A KR 20030090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data session
message
mobile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8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반태원
이준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20028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0824A/ko
Publication of KR20030090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082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2Setup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서의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측이 이동통신망에 존재하는 이동단말로 데이터 세션의 설정 시작을 지시하는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고,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단말은 네트워크 측으로 데이터 세션의 설정 시작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데이터 세션의 설정이 완료되면, 네트워크 측과 이동단말 사이에서 멀티미디어 정보들이 송수신되고, 네트워크 측에서 이동단말로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무선 접속 프로토콜에 새로운 제어 메시지나 필드를 정의하고, 네트워크가 새로운 제어 메시지나 필드를 공통제어 채널을 통해서 이동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이동단말의 요청 없이 데이터 세션의 설정을 시작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외부 네트워크 망에 존재하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들이 네트워크 측에서 이동단말로 전송할 수 있는 푸시 서비스가 가능해지는 효과를 제공하여 준다.

Description

이동통신망에서의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PROVIDING PUSH SERVICE O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서의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단말의 요청 없이도 네트워크 측에서 멀티미디어 정보들을 이동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는 이동통신망에서의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이동 통신 환경에서의 풀 서비스와 푸시 서비스의 일례가 도시된 도면이다.
이동 통신 시스템은 고속으로 다양한 멀티미디어들을 사용자들에게 서비스 제공하려고 한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모델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서버 모델로서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응하여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정보를 전송하는 풀(pull) 서비스가 대부분이다.
즉, 클라이언트(단말)와 서버 사이에서 정보가 전송되기 위해서는 항상 단말이 네트워크에게 PPP(Point-to-Point Protocol) 데이터 세션의 설정을 요청해야만 한다.
이렇게 설정된 데이터 세션을 이용해서 단말과 서버는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만약,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에 PPP 데이터 세션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서버는 단말에게 전송할 데이터가 있어도 이를 전송할 방법이 없다.
향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push) 서비스는 서버가 단말의 요청 없이도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서비스로서 그 요구가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푸시 서비스에는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를 포함하고 있는 전자 우편, 멀티미디어 광고 메시지 등이 있다.
현재, 서버가 단말의 요청 없이 단말에게 단문 전송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를 이용해서 정보를 전송할 수는 있지만 이러한 서비스는 텍스트와 같은 소량의 데이터 전송용이며 대량의 멀티미디어 전송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와 같이, 향후 다양한 서비스들이 외부의 IP 네트워크가 이동 통신 서비스 영역에 존재하는 제3세대 단말에게 데이터를 푸시할 수 있는 능력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규격으로는 이동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의 PPP 세션이 연결되어 있을 경우, 즉 단말이 네트워크로부터 할당받은 IP 주소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만 푸시 서비스가 가능하다. 물론, 이러한 기술은 이동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에 PPP 세션이 존재하더라도 네트워크에서 단말의 상태와 IP 정보를 관리한다면 특별한 기술 없이 푸시 서비스가 구현 가능하다.
그런데, 완전한 푸시 서비스를 위해서는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에 PPP 세션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는 단말에게 데이터 세션의 설정을 요청하도록 트리거링(Triggering) 할 수 있어야 한다.
네트워크가 단말에게 데이터 세션의 설정을 요청하도록 트리거링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2가지 방법이 있다.
먼저, 단문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데이터 세션의 설정을 요청하는 방법은 단말이 특정 형식의 단문을 수신한 후 데이터 세션 설정을 요청하는 것으로서 특별한 기술 없이 응용 수준에서 구현할 수 있다.
그런데, 단문 전송 서비스는 네트워크의 부하에 따라서 전송 지연이 커질 수 있고, 성공적 전송이 보장되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 공통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데이터 세션의 설정을 요청하는 방법은 현재 무선 접속 프로토콜 구조에서 단말만이 데이터 세션의 설정을 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에 데이터 세션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네트워크 측에서 이동단말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단말의 요청 없이 네트워크 측이 이동통신망에 존재하는 이동단말로 멀티미디어 정보들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이동 통신 환경에서의 풀 서비스와 푸시 서비스의 일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이동통신망에서의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공통 채널을 이용한 네트워크의 신호 절차가 도시된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의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제1 특징은, a) 네트워크 측이 이동통신망에 존재하는 이동단말로 데이터 세션의 설정 시작을 지시하는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를 통해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단말은 네트워크 측으로 데이터 세션의 설정 시작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데이터 세션의 설정 시작 메시지가 전송되면, 네트워크 측과 이동단말은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데이터 세션의 설정을 완료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데이터 세션의 설정이 완료되면, 네트워크 측과 이동단말 사이에서 멀티미디어 정보들이 송수신되고, 네트워크 측에서 이동단말로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에서 제어 메시지를 시작하는 단계는,
가) 네트워크 측에서 이동단말의 기지국으로 데이터 세션의 설정 시작을 요구하는 이동단말 시작 요구(MS Origina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나) 상기 가) 단계에서 이동단말 시작 요구 메시지를 전송받은 기지국은 이동단말로 시작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의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제2 특징은, a)네트워크와 이동단말 사이의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메시지에 데이터 세션의 설정 시작을 지시하는 제어 필드를 정의하고, 네트워크 측이 이동통신망에 존재하는 이동단말로 상기 제어필드가 정의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를 통해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단말은 네트워크 측으로 데이터 세션의 설정 시작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데이터 세션의 설정 시작 메시지가 전송되면, 네트워크 측과 이동단말은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데이터 세션의 설정을 완료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데이터 세션의 설정이 완료되면, 네트워크 측과 이동단말 사이에서 멀티미디어 정보들이 송수신되고, 네트워크 측에서 이동단말로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에서 제어 필드를 정의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측에서 이동단말의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채널-기지국간 서비스 요구 메시지와, 상기 기지국에서 이동단말로 전송되는 페이징(Paging) 메시지에 데이터 세션의 설정을 위한 새로운 필드를 정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의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1 특징은, 네트워크 측에서 데이터 세션의 설정 시작을 요구하는 이동단말 시작 요구 메시지를 전송받은 후, 이동단말로 시작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이동단말에서 데이터 세션의 설정을 알리는 시작 메시지를 전송받는 기지국; 상기 기지국을 통해 전달되는 이동단말의 멀티미디어 정보들을 목적지로 전송하기 위해 호처리, 부가서비스 처리를 하는 이동교환국(MSC); 상기 이동단말 시작 요구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패킷 제어 기능부; 상기 패킷 제어부와 기지국간 전송되는 메시지를 통해데이터 세션의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이동단말과 멀티미디어 정보들을 송수신하고, 이동단말로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 서비스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의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2 특징은, 이동단말과 멀티미디어 정보들을 송수신하고, 이동단말로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 서비스부; 상기 데이터 서비스부의 푸시 서비스 제공이 가능토록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서비스 요구 메시지에 이동단말로 데이터 세션의 설정 시작을 요구하는 제어 필드를 추가 정의하여 이를 전송하는 패킷 제어 기능부; 상기 패킷 제어 기능부의 서비스 요구 메시지가 전송되면, 상기 이동단말로 전송되는 페이징 메시지에 데이터 세션의 설정을 요청하는 제어 필드를 정의하여 이를 이동단말로 전송한 후 상기 이동단말에서 데이터 세션의 설정을 알리는 시작 메시지를 전송받는 기지국; 및 상기 기지국과 패킷 제어 기능부 사이에서 이동단말의 멀티미디어 정보들을 목적지로 전송하기 위해 호처리, 부가서비스 처리를 하는 이동교환국(MSC)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어느 한 실시예에서 언급한 내용 중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할 수 있는 내용은 다른 실시예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아도 이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이동통신망에서의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공통 채널을 이용한 네트워크의 신호 절차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시스템은,
이동통신 가입자와 기지국(Base Station, BS)간 연결 기능을 하는 이동단말(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S)로 무선 채널을 할당 및 신호 전송 기능을 하고 이동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MSC)과 연결되는 기지국(BS),
이동통신망에서 이동단말(MS)로부터 전달되는 음성, 영상, 데이터 등을 목적지로 전달하기 위해 호처리, 부가서비스 처리를 하는 이동교환국(MSC),
이동교환국(MSC)과 패킷 데이터 서빙 모드(Packet Data Serving Node, PDSN) 사이에서 패킷 데이터의 제어를 담당하는 패킷 제어 펑크션(Packet Control Function, PCF),
이동단말(MS)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PDSN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이동통신망에서의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에는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공통 채널을 이용한 네트워크의 데이터 세션 설정 절차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나 있듯이, 무선 접속 프로토콜에서 PCF는 기지국(BS)으로 MS 시작 요구(MS Origina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러면, 기지국(BS)은 MS 시작 요구 메시지를 전송받은 후 이동단말(MS)로 시작 요구(Origina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동 단말(MS)은 시작 요구메시지를 전송받은 다음에 기지국으로 시작(Origination)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데이터 세션의 설정을 시작한다.
이때, 데이터 세션의 설정은 무선 접속 프로토콜 상의 2 계층, 즉 데이터 링크 계층의 라디오 링크 프로토콜(Radio Link Protocol) 표준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위에서, 라디오 링크 프로토콜 표준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은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 TCH)의 일부를 회선으로 이용한다.
즉, 이동 단말(MS)이 시작 메시지를 기지국(BS)으로 전송한 후, 기지국(BS)은 이동 단말(MS)로 BS ACK 명령(Order)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ACK(acknowledgment, 확인 응답)는 메시지 수신이 발생했음을 확인해 주기 위해 보내는 통지이다.
기지국(BS)은 이동교환기(MSC)로 CM(Connection Management) 서비스 요구(CM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동교환기(MSC)는 CM 서비스 요구 메시지를 전송받은 후 기지국(BS)으로 할당 요구(Assignment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러면, 이동 단말(MS)과 기지국(BS) 간에 전송채널(TCH)의 일부가 설치(establishment)된다. 그리고, 기지국(BS)과 PCF 간에는 A9/A8 연결을 위해 A9-셋업(Setup)-A8 메시지와 A9-연결(Connect)-A8 메시지가 전송되며, PCF와 PDSN 사이에는 A10/A11 연결(Connection)이 수행된다.
위와 같이 채널 할당이 완료되면, 기지국(BS)은 이동교환기(MSC)로 할당 완료(Assignment 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렇게 하여, 이동 단말(MS)과 PDSN사이에서는 PPP 연결이 수행되고(Establishing PPP connection), 능동적인 패킷 데이터 세션의 설정(Active Packet Data Session)이 완료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이동통신망에서의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은 PCF에서 기지국(BS)으로 전송되는 A9-BS 서비스 요구(Service Request) 메시지와 기지국(BS)에서 이동 단말(MS)로 전송되는 페이징 메시지(Paging Message)에 새로운 필드를 정의한다.
그러면, 이동 단말(MS)이 새로운 필드가 정의된 메시지를 수신하고 기지국(BS)으로 시작 메시지를 전송하여 데이터 세션의 설정을 시작할 수 있도록 한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네트워크가 단말의 요청 없이 데이터 세션 설정이 가능해짐으로써 외부 인터넷망에 존재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들이 이동통신망에 존재하는 이동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도면과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망에서의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무선 접속 프로토콜에 새로운 제어 메시지나 필드를 정의하고, 네트워크가 새로운 제어 메시지나 필드를 공통제어 채널을 통해서 이동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이동단말의 요청 없이 데이터 세션의 설정을 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망에서의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이동단말의 요청 없이 데이터 세션 설정이 가능해짐에 따라 외부 네트워크 망에 존재하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들이 네트워크 측에서 이동단말로 전송할 수 있는 푸시 서비스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a) 네트워크 측이 이동통신망에 존재하는 이동단말로 데이터 세션의 설정 시작을 지시하는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를 통해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단말은 네트워크 측으로 데이터 세션의 설정 시작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데이터 세션의 설정 시작 메시지가 전송되면, 네트워크 측과 이동단말은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데이터 세션의 설정을 완료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데이터 세션의 설정이 완료되면, 네트워크 측과 이동단말 사이에서 멀티미디어 정보들이 송수신되고, 네트워크 측에서 이동단말로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제어 메시지를 시작하는 단계는,
    가) 네트워크 측에서 이동단말의 기지국으로 데이터 세션의 설정 시작을 요구하는 이동단말 시작 요구(MS Origina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나) 상기 가) 단계에서 이동단말 시작 요구 메시지를 전송받은 기지국은 이동단말로 시작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
  3. a) 네트워크와 이동단말 사이의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메시지에 데이터 세션의 설정 시작을 지시하는 제어 필드를 정의하고, 네트워크 측이 이동통신망에 존재하는 이동단말로 상기 제어필드가 정의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를 통해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단말은 네트워크 측으로 데이터 세션의 설정 시작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데이터 세션의 설정 시작 메시지가 전송되면, 네트워크 측과 이동단말은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데이터 세션의 설정을 완료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데이터 세션의 설정이 완료되면, 네트워크 측과 이동단말 사이에서 멀티미디어 정보들이 송수신되고, 네트워크 측에서 이동단말로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제어 필드를 정의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측에서 이동단말의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채널-기지국간 서비스 요구 메시지와, 상기 기지국에서 이동단말로 전송되는 페이징(Paging) 메시지에 데이터 세션의 설정을 위한 새로운 필드를 정의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푸시 서비스제공 방법.
  5. 네트워크 측에서 데이터 세션의 설정 시작을 요구하는 이동단말 시작 요구 메시지를 전송받은 후, 이동단말로 시작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이동단말에서 데이터 세션의 설정을 알리는 시작 메시지를 전송받는 기지국;
    상기 기지국을 통해 전달되는 이동단말의 멀티미디어 정보들을 목적지로 전송하기 위해 호처리, 부가서비스 처리를 하는 이동교환국(MSC);
    상기 이동단말 시작 요구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패킷 제어 기능부;
    상기 패킷 제어부와 기지국간 전송되는 메시지를 통해 데이터 세션의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이동단말과 멀티미디어 정보들을 송수신하고, 이동단말로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 서비스부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이동단말과 멀티미디어 정보들을 송수신하고, 이동단말로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 서비스부;
    상기 데이터 서비스부의 푸시 서비스 제공이 가능토록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서비스 요구 메시지에 이동단말로 데이터 세션의 설정 시작을 요구하는 제어 필드를 추가 정의하여 이를 전송하는 패킷 제어 기능부;
    상기 패킷 제어 기능부의 서비스 요구 메시지가 전송되면, 상기 이동단말로 전송되는 페이징 메시지에 데이터 세션의 설정을 요청하는 제어 필드를 정의하여이를 이동단말로 전송한 후 상기 이동단말에서 데이터 세션의 설정을 알리는 시작 메시지를 전송받는 기지국; 및
    상기 기지국과 패킷 제어 기능부 사이에서 이동단말의 멀티미디어 정보들을 목적지로 전송하기 위해 호처리, 부가서비스 처리를 하는 이동교환국(MSC)
    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020028410A 2002-05-22 2002-05-22 이동통신망에서의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908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410A KR20030090824A (ko) 2002-05-22 2002-05-22 이동통신망에서의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410A KR20030090824A (ko) 2002-05-22 2002-05-22 이동통신망에서의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0824A true KR20030090824A (ko) 2003-12-01

Family

ID=32383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8410A KR20030090824A (ko) 2002-05-22 2002-05-22 이동통신망에서의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082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8190B1 (ko) * 2004-04-06 2006-04-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푸쉬 투 토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726618B1 (ko) * 2004-10-06 2007-06-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데이터착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42589B1 (ko) * 2004-01-29 2008-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단말에 대한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과 이를 위한 푸시서버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58897A2 (en) * 1999-03-30 2000-10-05 Sourcegate Systems, Inc. Internet point of access content insertion method and informationdistribution system
US20010014085A1 (en) * 1999-10-08 2001-08-16 Microsoft Corporation Originator authentication
US20020142763A1 (en) * 2001-03-28 2002-10-03 Kolsky Amir David Initiating a push session by dialing the push target
KR20030037448A (ko) * 2001-11-05 2003-05-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차세대 이동 통신망에서의 페이징 기반의 패킷 푸시서비스 방법
KR20030083428A (ko) * 2002-04-23 2003-10-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3gpp imt-2000 패킷망의 착신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58897A2 (en) * 1999-03-30 2000-10-05 Sourcegate Systems, Inc. Internet point of access content insertion method and informationdistribution system
US20010014085A1 (en) * 1999-10-08 2001-08-16 Microsoft Corporation Originator authentication
US20020142763A1 (en) * 2001-03-28 2002-10-03 Kolsky Amir David Initiating a push session by dialing the push target
KR20030037448A (ko) * 2001-11-05 2003-05-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차세대 이동 통신망에서의 페이징 기반의 패킷 푸시서비스 방법
KR20030083428A (ko) * 2002-04-23 2003-10-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3gpp imt-2000 패킷망의 착신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589B1 (ko) * 2004-01-29 2008-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단말에 대한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과 이를 위한 푸시서버 장치
US7979560B2 (en) 2004-01-29 2011-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providing push service to mobile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high-speed data transmission and push server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568190B1 (ko) * 2004-04-06 2006-04-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푸쉬 투 토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726618B1 (ko) * 2004-10-06 2007-06-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데이터착신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76319B (zh) 用于无线接入终端和分组交换通信系统之间经由电路交换通信系统的分组数据交换的方法和装置
EP1340391B1 (en) Transmitting messages in tele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packet radio network
EP1745616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rvice integration in a multi-service communication system
EP144054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dormant mode, packet data mobile handoffs
WO2001056232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optimization during point-to-point protocol (ppp) session requests
US9391890B2 (en) Network-initiated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data communication using IP with a wireless terminal
WO2006022518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packet processing method thereof
WO2005125227A2 (e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including an originator base station capable of notifying of channel resource reservation status
KR20030090824A (ko) 이동통신망에서의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20089942A1 (en) Communication of data
KR100708363B1 (ko) 패킷서비스통지기능이 구비된 더불유씨디엠에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353226B1 (ko) 세션 관리 장치의 장애 발생 시의 서비스 복구 방법
EP3962228A1 (en) Method for initiating data transmission from a user equipment
KR100384764B1 (ko) 차세대 이동통신망의 비동기식 주소 관리방법
KR100429289B1 (ko) 데이터 호 사용 중 음성 호 착신 방법
KR100603442B1 (ko) 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단문메시지 전송 방법
KR20020026984A (ko)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인터넷 서비스 품질 제공 방법
KR20050079195A (ko)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동 단말들의 도메인별 접근제한방법
KR20060025875A (ko)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의 패킷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070111251A (ko) 이동통신망에서 무선자원 절약을 위한 상시 접속 유지 방법및 그 시스템
KR20040076359A (ko) 3세대 통신망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KR20090060873A (ko) 단말간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그 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