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4764B1 - 차세대 이동통신망의 비동기식 주소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차세대 이동통신망의 비동기식 주소 관리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84764B1 KR100384764B1 KR10-2001-0059122A KR20010059122A KR100384764B1 KR 100384764 B1 KR100384764 B1 KR 100384764B1 KR 20010059122 A KR20010059122 A KR 20010059122A KR 100384764 B1 KR100384764 B1 KR 1003847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cket
- address
- terminal
- network
- subscri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6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6855 network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41 tunne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1)
- 단말장치(Terminal Equipment)와 이동단말기(Mobile Terminal)는 링크 프로토콜로 연결되고, UTRAN(UMTS Terrestial Radio Access Network)는 상기 단말장치 및 이동단말기로의 무선 인터페이스로서 기지국과 핵심 망 사이를 상호 연결시키며, 패킷교환장치/패킷망교환장치(SGSN/GGSN)는 상기 UTRAN을 통해 단말장치와 이동단말기가 외부망이나 핵심망과 연동되도록 하는 차세대 이동통신망의 비동기식 주소 관리 방법에 있어서,상기 단말장치와 이동단말기를 패킷 단말로 구성하고, 핵심망과 패킷 단말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패킷단말 관리부에서 관리하도록 구성되면, 상기 패킷 단말에서 가입자가 동적/정적 주소 체계 중에서 사용할 주소 체계를 결정하고 패킷 단말 사이의 연결 설정을 요구하는 제1 단계;상기 제1 단계에서 결정된 주소 체계에 따라 패킷 단말에서는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주소를 생성하여 패킷단말 관리부로 전송하고, 패킷단말 관리부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가입자 등록 메시지를 패킷교환장치/패킷망교환장치를 통해 핵심망으로 전달하는 제2 단계;상기 제2 단계에서 가입자 등록 메시지를 전달받은 핵심망에서는 가입자 인증을 통하여 가입자 등록 결과를 패킷교환장치/패킷망교환장치를 통해 패킷단말 관리부로 전송하는 제3 단계;상기 가입자 등록 결과가 전송되면 패킷단말 관리부는 이전에 생성한 패킷데이터 프로토콜 주소를 이용하여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생성 요구 메시지를 핵심망으로 전송하는 제4 단계;상기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생성 요구 메시지를 전달받은 핵심망은 주소 체계에 따라 패킷 단말의 주소를 결정하고 이를 패킷단말 관리부로 전송하는 제5 단계;상기 패킷단말 관리부는 패킷 단말 사이의 연결 설정 결과를 패킷 단말로 전달하고, 상기 단말장치의 새로운 IP(Internet Protocol)주소가 할당되면 패킷 서비스를 실시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차세대 이동통신망의 비동기식 주소 관리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패킷단말 관리부는,세션 관리 기능, 패킷 단말의 이동 관리 기능, 무선 자원 관리 기능을 담당하는 각 계층이 상기 패킷 단말과 패킷교환장치/패킷망교환장치 사이에 순서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통신망의 비동기식 주소 관리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패킷 단말의 단말 장치와 이동단말기 사이에서는 PPP(Point-to-Point Protocol)기반 네트워킹이 지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통신망의 비동기식 주소 관리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2 단계는,가입자가 정적 주소 체계를 결정한 경우에, 이미 단말에 할당되어 있는 IP 주소로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주소를 생성하고,가입자가 동적 주소 체계를 결정한 경우에, 0.0.0.0(Null) IP 주소로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주소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통신망의 비동기식 주소 관리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5 단계는,가입자가 정적 주소 체계를 결정한 경우에, 패킷 단말에서 요구한 주소로 IP주소를 결정하고,가입자가 동적 주소 체계를 결정한 경우에, 핵심망에서 할당하는 주소로 IP 주소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통신망의 비동기식 주소 관리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1 단계는,다양한 가입자 유형을 수용하기 위해 이동단말기에서 가입자 관련 데이터 베이스를 IP주소와 접속점명(Access Point Name)을 연동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통신망의 비동기식 주소 관리방법.
- 단말장치(Terminal Equipment)와 이동단말기(Mobile Terminal)는 링크 프로토콜로 연결되고, UTRAN(UMTS Terrestial Radio Access Network)는 상기 단말장치 및 이동단말기로의 무선 인터페이스로서 기지국과 핵심 망 사이를 상호 연결시키며, 패킷교환장치/패킷망교환장치(SGSN/GGSN)는 상기 UTRAN을 통해 단말장치와 이동단말기가 외부망이나 핵심망과 연동되도록 하는 차세대 이동통신망의 비동기식 주소 관리 방법에 있어서,상기 단말장치와 이동단말기를 패킷 단말로 구성하고, 핵심망과 패킷 단말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패킷단말 관리부에서 관리하도록 구성되면, 상기 단말장치에서 이동단말기로 주소 할당 요구시 이동단말기에서는 이미 할당되어 있는 IP 주소로 할당하여 PPP(Point-to-Point Protocol) 연결 처리하는 제1 단계;상기 이동단말기는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을 생성하기 위한 관련 메시지를 주소 체계에 따라 고유 IP 주소 또는 널(Null) 주소로 생성하고 이를 패킷단말 관리부를 통해 핵심망에 전달하는 제2 단계;상기 핵심망에서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의 생성 결과 메시지를 패킷교환장치/패킷망교환장치를 통해 패킷단말 관리부로 전송하는 제3 단계;상기 단말장치에서 재연결 설정 요구시, 상기 제3 단계에서 전송받은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의 생성 결과 메시지 내에 포함되어 있는 할당된 주소로 주소를 갱신함으로써 주소 변경시 시스템의 재시동 없이 연속적인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차세대 이동통신망의 비동기식 주소 관리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제1 단계는,가입자가 정적 주소 체계를 결정한 경우에, 이동단말기에서 할당하는 주소가 고유 IP 주소로 결정되고,가입자가 동적 주소 체계를 결정한 경우에, 이동단말기에서 할당하는 임시 주소는 널(Null) 주소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통신망의 비동기식 주소 관리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제4 단계는,동적 주소를 체계를 갖는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가입자의 경우에, 단말장치와 이동단말기 사이에서는 연결 해제가 수행되는 단계;단말장치에서는 이동단말기로 재연결 설정을 요구하면서 주소 할당을 요구하는 단계;이동단말기에서는 핵심망에서 수신한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의 생성 결과 메시지 내에 포함되어 있는 단말 주소를 단말장치의 IP 주소로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세대 이동통신망의 비동기식 주소 관리 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제4 단계는,동적 주소 체계를 갖는 MIP(Mobile Internet Protocol) 가입자인 경우에, 패킷단말과 핵심 망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응용 메시지 내에 포함되어 있는 주소를 단말장치가 수신하는 단계;상기 단말장치는 핵심망에서 할당한 주소를 이용하여 이동단말기에 재연결 설정을 요구하는 단계;상기 이동단말기는 단말장치에서 이용하는 주소를 단말의 새로운 주소로 갱신하고 응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세대 이동통신망의 비동기식 주소 관리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제1 단계는 연결 설정이 완료된 PPP 연결 관리에서 재연결을 요구하는 이벤트 발생 또는 예외 경우 발생으로 인한 상태 관리를 위하여 특정 쓰레드(thread)를 존재시키면서 각 이벤트와 관련된 모뎀 명령어들을 생성하여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통신망의 비동기식 주소 관리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59122A KR100384764B1 (ko) | 2001-09-24 | 2001-09-24 | 차세대 이동통신망의 비동기식 주소 관리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59122A KR100384764B1 (ko) | 2001-09-24 | 2001-09-24 | 차세대 이동통신망의 비동기식 주소 관리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26114A KR20030026114A (ko) | 2003-03-31 |
KR100384764B1 true KR100384764B1 (ko) | 2003-05-23 |
Family
ID=27725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59122A Expired - Fee Related KR100384764B1 (ko) | 2001-09-24 | 2001-09-24 | 차세대 이동통신망의 비동기식 주소 관리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8476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0774B1 (ko) * | 2001-12-26 | 2007-08-20 | 엘지노텔 주식회사 | 이동 통신 패킷 망에서의 착신 서비스 방법 |
-
2001
- 2001-09-24 KR KR10-2001-0059122A patent/KR100384764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26114A (ko) | 2003-03-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02073B1 (ko) | 이동 단말 장치를 위한 ip 어드레스 할당 방법 및 장치 | |
CN101040463B (zh) | 用于连接移动通信网络和无线网络的双模式移动终端的切换系统和方法 | |
RU2412550C2 (ru) | Инициируемый сетью переход от речевой службы к мультимедийной службе | |
US20050207336A1 (en) | System and method of receiving various packet services through the same internet protocol address in a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system | |
JP2001518743A (ja) | Gprs加入者による多数のインタネットサービスプロバイダの選択 | |
KR100604531B1 (ko) |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패킷 데이터 서비스 방법 | |
US7289462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initiated context activation using dynamic DNS updates | |
KR100399576B1 (ko) | 차세대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단순한 아이피와 이동성 아이피 서비스 지원시스템 및 방법 | |
US7246176B2 (en) | PDP context distribution among multiple GGSNs | |
KR100375825B1 (ko) | 패킷 이동통신망에서의 하드 핸드오프 방법 | |
US9391890B2 (en) | Network-initiated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data communication using IP with a wireless terminal | |
JP4497555B2 (ja) | ダイヤルアップ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効率的なIPv6用IPアドレス割当装置及びその方法 | |
KR100384764B1 (ko) | 차세대 이동통신망의 비동기식 주소 관리방법 | |
KR100475481B1 (ko) | 패킷 네트워크에서의 접속점 이름 변경장치 및 방법 | |
KR100474740B1 (ko) | 이동통신 패킷망에서 에스.아이.피 기반의 인스턴트메시징 서비스 방법 | |
KR20050095420A (ko)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시그널링을 제외한 사용자 트래픽에대한 과금 방법 | |
KR100388487B1 (ko) | 3세대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 네트워크를 방문한 인터넷서비스 가입자 단말에게 동적 아이피 주소를 할당하는방법 및 장치 | |
KR100557147B1 (ko) | 무선 패킷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별서비스등급 설정 방법 | |
KR100519664B1 (ko) | 착신제어시스템을 이용한 imt-2000의 비동기 망에서 동기 망으로의 착신 데이터 로밍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
KR100451438B1 (ko) | 이동통신 패킷망에서 sip 기반 프리젠스 서비스의 친구등록 및 삭제 방법 | |
KR100446638B1 (ko) | 다중 패킷 호 지원이 가능한 패킷 단말기 및 이 패킷단말기에서의 다중 패킷 호 지원 방법 | |
KR20030090824A (ko) | 이동통신망에서의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100860658B1 (ko) | 이동통신시스템의 방송서비스 방법 | |
KR20040008752A (ko) | 이동 ip에서의 홈 에이전트 동적 할당방법 | |
KR20050054353A (ko) | 무선 인터넷에서 이동 노드에 대한 라우팅 영역 갱신 방법및 이동 통신 네트워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9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4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5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305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05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4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5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4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4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5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5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4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4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42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1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