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8353A -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단말에 대한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과 이를 위한 푸시서버 장치 - Google Patents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단말에 대한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과 이를 위한 푸시서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8353A
KR20050078353A KR1020040005761A KR20040005761A KR20050078353A KR 20050078353 A KR20050078353 A KR 20050078353A KR 1020040005761 A KR1020040005761 A KR 1020040005761A KR 20040005761 A KR20040005761 A KR 20040005761A KR 20050078353 A KR20050078353 A KR 20050078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push
data
terminal
ident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5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2589B1 (ko
Inventor
전영기
김주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5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2589B1/ko
Priority to US11/044,018 priority patent/US7979560B2/en
Publication of KR20050078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8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2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25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3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using an address exchange platform which sets up a session between two nodes, e.g. rendezvous servers, session initiation protocols [SIP] registrars or H.323 gatekeep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5014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using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 or bootstrap protocol [BOO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9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application layer [OSI layer 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로 호출 메시지 등의 데이터 착신 서비스를 용이하게 제공하기 위한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에 대한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과 이를 위한 푸시 서버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동 단말(AT)의 통신 접속 시 소정 임시 식별자(UATI)를 할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위치 등록기(DLR)와, 상기 임시 식별자(UATI)가 할당된 이동 단말(AT)의 소정 단말 식별자와 상기 데이터 위치 등록기(DLR)의 소정 식별정보가 대응되게 저장된 홈 DLR과, 상기 이동 단말(AT)과 PPP 세션이 설정되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PDSN)와, 도메인 네임 서버(DNS) 및 외부 호스트(CN)로부터 전송된 푸시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PPP 세션이 해지된 이동 단말(MN)로 푸시 데이터 전송을 위한 호출 요청을 수행하는 푸시 서버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단말(AT)의 PPP 세션 설정 여부와 관계없이 데이터 착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에 대한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과 이를 위한 푸시 서버 장치{Method for providing push service to a mobile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or high speed data transmission and push server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통신 방법과 그 장치에 대한 것으로, 특히 이동 단말로 호출 메시지 등의 데이터 착신 서비스를 용이하게 제공하기 위한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에 대한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과 이를 위한 푸시 서버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그 통신 방법에 따라 정해진 주파수 대역을 다수의 채널로 구분하여 가입자 마다 할당된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 FDMA)과, 하나의 주파수 채널을 다수의 가입자가 시간을 나누어 사용하는 시분할 다중화 방식(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 TDMA)과, 다수의 가입자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동일한 시간대에 사용하되 가입자마다 다른 코드를 할당하여 통신을 하는 코드 분할 다중화 방식(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CDMA) 등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현재 통신 기술의 급격한 발전에 따라 일반적인 음성통화 서비스는 물론 이동 단말로 이메일이나 정지 영상은 물론 동영상과 같은 대용량의 디지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에 이르고 있다.
상기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는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CDMA 2000 1x와, 고속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1x EV-DO(Evolution Data Only)와, 음성과 패킷을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송수신하기 위한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등이 연구되고 있다. 상기 CDMA 2000 1x 서비스는 기존의 IS-95A, IS-95B 망에서 진화된 IS-95C 망을 이용하여 종래 14.4kbps/56kbps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IS-95A/IS-95B 망 보다 더욱 고속인 144kbps의 순방향 전송 속도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1x EV-DO는 대용량의 디지털 데이터 전송을 위해 미국의 퀄검(Qualcomm)에 의해 제안된 고속 데이터 서비스 표준의 하나로 종래 CDMA 2000 1x를 한 단계 진화시켜 약 2.4Mbps의 순방향 전송 속도를 제공하도록 마련된 것이다. 상기 1x EV-DO 망은 그 표준에 규정된 것처럼 이동 단말의 점 대 점 프로토콜(Point to Point Protocol : PPP)(이하, "PPP"라 칭함) 세션(Session)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PPP 세션의 연결 상태에 따라 1x EV-DO 망에서의 이동 단말은 활동 상태(Active), 유휴 상태(Dormant), 해지 상태(Idle/Null)로 구분된다. 상기 활동 상태의 이동 단말은 CDMA 2000 1x 망에서 정의된 바 있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Packet Data Service Node)(이하, "PDSN"이라 칭함)를 통해 인터넷 등 IP 망에 접속된 외부 호스트(host) 등의 상대 통신 노드(Correspondent Node : CN)(이하, "외부 호스트(CN)"라 칭함)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 유휴 상태의 이동 단말은 PPP 세션은 유효하나 일정 시간 동안 데이터 송수신이 없어 무선 데이터 전송을 위한 베어러(Radio Bearer)가 해지된 상태이나 상기 외부 호스트(CN)과의 데이터 송수신 재개가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해지 상태의 이동 단말은 상기 PDSN과의 PPP 세션이 설정되어 있지 않거나 PPP 세션이 해지된 경우로 이 경우 이동 단말을 통한 PPP 접속이 다시 이루어지지 않으면, 외부 호스트(CN)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종래 1x EV-DO 망에서는 상기 해지 상태의 이동 단말로 외부 호스트(CN)를 통해 전달되는 호출 메시지나 패킷의 전달을 위한 데이터 착신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이동 단말을 이용한 화상전화 서비스 등 향후 예상되는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이동 단말의 데이터 착신 서비스는 필수적이다.
그리고 종래 1x EV-DO 망 구성으로 데이터 착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모든 이동 단말에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할당하고, 모든 이동 단말의 망 접속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나 이와 같은 방법은 현재 운용되고 있는 IPv4(Internet Protocol version 4) 주소 체계로는 운용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PPP 세션 설정이 안된 해지 상태의 이동 단말로도 호출 메시지 등 데이터 착신을 알리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PPP 세션 설정 여부에 관계없이 이동 단말로 데이터 착신을 알리는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에 대한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단말의 PPP 세션 설정 여부와 관계없이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푸시 서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에 대한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은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IP 망에 접속된 외부 호스트로부터 이동통신 가입자의 이동 단말로 푸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에 할당된 IP 주소를 확인하는 단말 IP 확인 단계와, 상기 IP 확인 단계의 결과 상기 이동 단말에 할당된 IP 주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의 단말 식별자를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말 위치 확인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의 확인된 위치로 상기 푸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소정 호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호출 요청 단계와, 상기 호출 요청 메시지를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의 PPP 세션이 설정되는 PPP 설정 단계와, 상기 PPP 세션에 따라 할당된 IP 주소로 상기 푸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푸시 서버 장치는 이동 단말의 통신 접속 시 소정 임시 식별자를 할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위치 등록기와, 상기 임시 식별자가 할당된 상기 이동 단말의 소정 단말 식별자와 상기 데이터 위치 등록기의 소정 식별정보가 대응되게 저장된 홈 데이터 위치 등록기와, 상기 이동 단말과 PPP 세션이 설정되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및 도메인 네임 서버가 구비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외부 호스트로부터 이동통신 가입자의 상기 이동 단말로 푸시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푸시 데이터는 해당 가입자에게 부여된 소정 가입자 식별자를 함께 상기 서버 장치로 전달되며, 상기 데이터 위치 등록기, 홈 데이터 위치 등록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도메인 네임 서버 및 외부 호스트와 통신 접속하기 위한 다수의 통신 인터페이스와, 상기 가입자 식별자와 상기 단말 식별자가 매핑된 테이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가입자 정보 테이블과, 상기 푸시 데이터를 버퍼링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외부 호스트로부터 상기 푸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에 일시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가입자 식별자에 대응되는 단말 식별자를 조회한 후, 해당 단말 식별자에 대응되는 IP 주소로 상기 푸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로서, 이는 예컨대, 본 발명에 따라 이동 단말로 외부 호스트(CN)로부터 전달된 데이터의 착신을 알리도록 구성된 1x EV-DO 망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각각의 망 구성요소들은 설명의 편의상 하나씩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다수의 망 구성요소들이 1x EV-DO 망을 형성하게 된다.
도 1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동 단말(Access Terminal : AT)(이하, "AT"라 칭함)(110)과, 상기 AT(110)와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지국(Access Network Transceiver System : ANTS)(이하, "ANTS"라 칭함)(120)과, 상기 ANTS(120)와 패킷 제어부(Packet Control Function : PCF)(이하, "PCF"라 칭함)(140) 사이에 연결되어 ANTS(120)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Access Network Controller : ANC)(이하, "ANC"라 칭함)(1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PCF(140)는 ANC(130)와 PDSN(150) 사이에 접속되어 패킷 흐름을 제어하며, 상기 PDSN(150)은 AT(110)와 PPP 접속되어 AT(110)가 IP 망과 같은 패킷데이터망(Public Serving Data Network : PSDN)에 통신 접속하기 위한 게이트웨이(Gateway) 역할을 수행한다.
도 1의 도메인 네임 서버(Domain Name Server : DNS)(이하, "DNS"라 칭함)(160)는 IP 망에 접속되어 도 1의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되는 망 구성요소들의 IP 주소를 관리한다. 상기 DNS(160)는 후술할 푸시 서버(Push Server)(190)로부터 특정 AT(110)에 대한 소정 DNS 문의 메시지(DNS Query)가 전달된 경우 해당 AT(110)에 할당된 IP 주소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AT(110)의 IP 주소의 유무에 따른 소정 DNS 응답 메시지(DNS Response)를 푸시 서버(190)로 전송한다.
상기 DNS 문의 메시지에는 AT(110) 마다 고유하게 부여되는 소정 단말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단말 식별자는 DNS(160)에서 식별 가능하도록 해당 AT(110)에 대한 도메인 호스트 네임(Domain Host Name)을 사용한다. 상기 도메인 호스트 네임은 예컨대, 가입자의 이메일 아디가 abc이고, 전화번호가 1234567이며, 이동통신 사업자의 도메인 네임이 ktf.com인 경우 abc.ktf.com 또는 1234567.ktf.com과 같이 가입자를 식별할 수 있는 호스트 네임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DNS(160)는 AT(110)의 상기한 단말 식별자와 해당 AT(110)에 할당된 IP 주소를 대응되게 저장하여 관리하며, 해당 AT(110)에 할당된 IP 주소가 있는 경우 상기 DNS 응답 메시지에 그 IP 주소를 포함하여 전송하며, 해당 AT(110)에 IP 주소가 할당되어 있지 않은 경우(즉, PPP 세션 설정이 안된 경우) AT(110)에 할당된 IP 주소가 없음을 알리는 DNS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푸시 서버(190)는 외부 호스트(CN)로부터 상기 해지 상태의 AT(110)를 목적지로 하는 호출 메시지 등의 데이터(이하, "푸시(Push) 데이터"라 칭함)가 전송된 경우 홈(Home) 데이터 위치 등록기(Data Location Register : DLR)(이하, "홈 DLR"이라 칭함)(180)로 소정 단말 위치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고, 상기 홈 DLR(180)로부터 해당 AT(110)의 위치 정보가 등록된 데이터 위치 등록기(DLR)(이하, "DLR"이라 칭함)(170)의 IP 주소 또는 그 IP 주소와 관련된 정보(예컨대, DLR의 식별 ID)를 단말 위치 응답 메시지로 전달받는다.
상기 단말 위치 응답 메시지로 상기 DLR 식별 ID를 전달받는 경우 상기 푸시 서버(190)는 각각의 DLR 식별 ID와 이와 대응되는 DLR(170)의 IP 주소를 매핑 테이블로 저장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단말 위치 응답 메시지로 DLR(170)의 IP 주소를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DLR(170)은 기본적으로 서브 넷(Subnet)에 있는 AT(110)의 소정 위치 정보를 등록(할당) 및 관리하며, 상기 홈 DLR(170)과 접속하기 위한 소정 통신 인터페이스(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위치 정보는 AT(110)의 위치 등록 시 마다 임시로 할당되는 소정 임시 식별자(Unicast Access Terminal Identifer : UATI)(이하, "UATI"라 칭함)를 이용하며. 상기 UATI의 할당 과정은 후술할 도 3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DLR(170)은 자신의 DLR 식별자(예컨대, IP 주소)와, 상기 UATI를 할당한 AT(110)의 단말 식별자를 상기 홈 DLR(180)에 등록함으로써 상기 푸시 서버(190)가 상기 홈 DLR(180)을 통해 특정 AT(110)의 위치 정보를 관리하는 DLR(170)의 IP 주소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DLR(170)은 상기 DLR 식별자와 상기 단말 식별자를 상기 홈 DLR(180)로 전송하도록 소정 통신 인터페이스(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DLR(170)은 각 AT(110)에 할당된 UATI와 상기 단말 식별자를 매핑(Mapping) 테이블로 저장하고, 상기 DLR(170)의 IP 주소를 확인한 푸시 서버(190)로부터 특정 AT(110)에 대한 소정 호출 요청 메시지가 전달된 경우 해당 AT(110)의 UATI를 조회한 후, PCF(140)를 통해 상기 호출 요청 메시지를 AT(110)로 전달하여 AT(110)의 PPP 세션이 수행되도록 한다.
상기 DLR(170)로 전달되는 상기 호출 요청 메시지에는 해당 AT(110)의 단말 식별자가 포함되고, 상기 DLR(170)은 AT(110)로 상기 호출 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잘 알려진 시스템/단말 관리기(Session Contoller/Mobility Manager : SC/MM)(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의 상기 홈 DLR(180)은 상기 DLR(170)의 IP 주소와 상기 DLR(170)을 통해 상기 UATI가 할당된 모든 AT(110)의 단말 식별자를 등록 및 저장한 후, 상기 푸시 서버(190)로부터 상기 단말 위치 요청 메시지가 전달된 경우 해당 AT(110)의 UATI를 관리하는 DLR(170)의 IP 주소로 응답한다. 그리고 상기 홈 DLR(180)은 상기 DLR(170)과 푸시 서버(190)와 접속하기 위한 소정 통신 인터페이스(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한다.
상기 푸시 서버(190)는 IP 망에 접속된 외부 호스트(CN)로부터 특정 AT(110)를 목적지로 하는 푸시 데이터가 전달된 경우 먼저 이를 내부 메모리에 버퍼링 한다. 그리고 상기 DNS(160)로 상기 DNS 문의 메시지를 전달하여 해당 AT(110)에 대한 IP 주소가 존재하는 지 확인한 후, DNS(160)로부터 AT(110)의 IP 주소의 유무에 따른 상기 DNS 응답 메시지를 전달받는다.
상기 푸시 데이터에는 목적지 AT(110)의 가입자 마다 고유하게 부여된 소정 가입자 식별자가 함께 전송된다. 상기 가입자 식별자는 가입자의 이메일 주소나, 잘 알려진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 SIP)(이하, "SIP"라 칭함)을 이용한 SIP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와 같이 외부 호스트(CN)에서 가입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푸시 서버(190)는 모든 가입자의 이메일 주소 등의 상기 가입자 식별자와 상기 가입자 식별자와 대응되는 도메인 호스트 네임 등의 상기 단말 식별자를 매핑 테이블로 관리하여 상기 푸시 데이터를 전송할 목적지 AT(110)를 조회한다.
또한 상기 푸시 서버(190)는 상기 DNS 응답 메시지의 확인 결과 해당 AT(110)의 IP 주소가 함께 전송된 경우 상기 PDSN(150)를 통해 그 IP 주소를 목적지로 푸시 데이터를 전송하고, 해당 AT(110)의 IP 주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홈 DLR(180)을 통해 해당 AT(110)의 UATI 정보를 관리하는 DLR(170)의 IP 주소를 조회하고, 조회된 DLR(170)로 해당 AT(110)에 대한 호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푸시 서버(190)의 내부 구성을 기능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서 제1 내지 제4 인터페이스(191~194)는 제어부(197)와 접속되어 각각 외부 호스트(CN)와 DNS(160), PDSN(150), 홈 DLR(180) 및 DLR(170)에 대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 2에서 상기 제어부(197)는 제1 인터페이스(191)를 통해 인터넷 등 외부 IP 망에 통신 접속하여 외부 호스트(CN)로부터 전송되는 푸시 데이터를 수신하고, DNS(160)와 상기 DNS 문의/응답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97)는 상기 푸시 데이터를 버퍼링한 후, AT(110)에 IP 주소가 할당된 상태이면, 제2 인터페이스(192)를 통해 상기 푸시 데이터를 PDSN(150)으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97)는 제3 인터페이스(193)를 통해 홈 DLR(180)에 통신 접속되어 상기 단말 위치 요청/응답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이를 통해 호출 대상 AT(110)의 위치 정보(UATI)를 관리하는 특정 DLR(170)의 IP 주소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97)는 제4 인터페이스(194)를 통해 호출 대상 AT(110)의 UATI를 할당한 DLR(170)에 통신 접속되어 상기 호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도 2에서 가입자 정보 테이블(195)은 상기 가입자 식별자와 단말 식별자가 매핑된 테이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메모리(196)는 AT(110)로 전송되는 상기 푸시 데이터를 버퍼링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호출 요청 메시지에는 AT(110)의 PPP 세션 설정을 위한 소정 명령어가 포함되며, 상기 AT(110)는 상기 호출 요청 메시지의 명령에 따라 PDSN(150)과 PPP 세션 설정을 위한 셋업 절차를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AT(110)는 PPP 세션이 해지된 상태에서 상기 호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며, PPP 세션이 설정된 후, 상기 푸시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몬(Demon)(이하, "푸시 데몬"이라 칭함)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의 DLR(170) 및 홈 DLR(180)을 통한 AT(110)의 위치 등록 과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AT(110)의 위치 등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ANC(130)는 주기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브 넷 정보(시스템 정보)를 브로드캐스트(Broadcast) 한다. 그리고 301 단계에서 AT(110)가 초기 구동되거나 상기 시스템 정보에 변동 사항이 생긴 경우 AT(110)는 자신의 위치 등록을 위한 식별 정보가 포함된 소정 UATI 요청 메시지를 ANC(130)로 전달한다. 302 단계에서 상기 UATI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ANC(130)는 해당 AT(110)가 서스 넷에 처음 접속한 단말인지 인접 서브 넷으로부터 이동한 단말인지 확인한 후, 해당 AT(110)에 대한 호출 파라미터가 포함된 소정 UATI 할당 요청 메시지를 DLR(170)로 전달한다.
이후 303 단계에서 상기 UATI 할당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DLR(170)은 해당 AT(110)의 위치 등록을 위해 UATI를 할당하고, 할당된 UATI가 포함된 소정 UATI 할당 응답 메시지를 ANC(130)로 전달한다. 그리고 304 단계에서 ANC(130)는 해당 AT(110)로 UATI 할당 메시지를 전송하여 UATI를 전달하고, 305 단계에서 AT(110)는 자신이 UATI를 할당받았음을 확인하는 UATI 할당 완료 메시지를 ANC(130)로 전송한다.
306 단계에서 상기 UATI 할당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ANC(130)는 DLR(170)로 UATI 할당 완료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여 AT(110)의 UATI 할당 완료를 통보하고, DLR(170)은 해당 AT(110)에 할당된 UATI와 AT(110)의 단말 식별자를 매핑하여 저장한다. 이후 307 단계에서 DLR(170)은 ANC(130)로 확인 메시지인 UATI 할당완료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308 단계에서 DLR(170)은 홈 DLR(180)로 UATI가 할당된 AT(110)의 단말 식별자와 자신의 DLR 식별자(IP 주소 등)가 포함된 소정 위치 갱신 등록 메시지를 전송한다. 309 단계에서 홈 DLR(180)은 AT(110)의 단말 식별자와 DLR(170)의 IP 주소를 해당 AT(110)의 단말 위치정보로 등록 및 저장한 후, 310 단계에서 DLR(170)로 단말 위치정보가 갱신되었음을 확인하는 소정 위치 갱신 등록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여 AT(110)에 대한 위치 등록 과정을 종료하게 된다.
상기한 과정에 의하면, 도 1의 푸시 서버(190)는 홈 DLR(180)에 접속하여 AT(110)의 UATI를 관리하는 DLR(170)을 조회할 수 있고, 푸시 서버(190)는 조회된 DLR(170)을 통해 원하는 AT(110)로 호출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게 된다.
이하 도 4 및 도 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AT)에 대한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PPP 세션이 설정된 AT(110)에 대한 푸시 서비스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에서 AT(110)는 PDSN(150)과 PPP 세션이 이미 설정되고,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AT(110)는 정해진 통신 포트(Port)에 대해 상기한 푸시 데몬이 실행되어 푸시 서버(190)로부터 전송되는 푸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401 단계에서 외부 호스트(CN)로부터 푸시 서버(190)로 특정 AT(110)을 목적지로 하는 푸시 데이터가 전송된 경우 402 단계에서 푸시 서버(190)는 확인 메시지인 푸시 응답 메시지를 외부 호스트(CN)으로 전송한 후, 403 단계에서 수신된 푸시 데이터를 메모리(196)에 버퍼링한다.
이후 404 단계에서 푸시 서버(190)는 상기 푸시 데이터에 포함된 가입자의 이메일 주소나 SIP URI 등 가입자 식별자를 근거로 가입자 정보 테이블(195)을 조회하여 해당 가입자 식별자에 대응되는 상기한 도메인 호스트 네임 등 단말 식별자를 읽어 들인 후, 그 단말 식별자가 포함된 DNS 문의 메시지를 DNS(160)로 전송한다.
405 단계에서 DNS(160)는 상기 DNS 문의 메시지의 단말 식별자에 대응되는 AT(110)의 IP 주소가 있는 지 조회하여 조회된 IP 주소가 포함된 DNS 응답 메시지를 푸시 서버(190)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405 단계에서 단말 식별자에 대응되는 IP 주소가 조회되지 않은 경우는 AT(110)의 PPP 세션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로 이 경우의 동작은 후술할 도 5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406 단계에서 상기 DNS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푸시 서버(190)는 메모리(196)에서 해당 푸시 데이터를 읽어들인 후, 상기 405 단계에 따라 수신된 AT(110)의 IP 주소를 목적지로 하여 푸시 데이터를 PDSN(150)으로 전송하고, 407 단계에서 PDSN(150)은 수신된 푸시 데이터를 해당 AT(110)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408 단계에서 AT(110)의 푸시 데몬은 수신된 푸시 데이터의 착신을 도시되지 않은 LCD 표시부나 부저를 통해 알리게 된다.
도 5는 PPP 세션이 해지된 AT(110)에 대한 푸시 서비스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에서 푸시 서버(190)가 외부 호스트(CN)로부터 전달된 푸시 데이터를 수신하여 버퍼링하고, DNS(160)로 AT(110)의 IP 주소를 문의하는 501 단계 내지 504 단계의 동작은 도 4의 401 단계 내지 404 단계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에서 AT(110)는 PDSN(150)과의 PPP 세션이 해지되었거나 초기 구동 후, 아직 PPP 세션의 설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이 경우 푸시 서버(190)로부터 DNS 문의 메시지를 수신한 DNS(160)는 505 단계에서 DNS 문의 메시지의 단말 식별자에 대응되는 AT(110)의 IP 주소가 있는 지 조회하게 된다. 이때 AT(110)는 PPP 세션이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할당된 IP 주소가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DNS(160)는 해당 AT(110)의 IP 주소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DNS 응답 메시지를 푸시 서버(190)로 전달한다.
이후 506 단계에서 푸시 서버(190)는 홈 DLR(180)로 해당 AT(110)의 단말 식별자가 포함된 단말 위치 요청 메시지를 전달한다. 그리고 507 단계에서 상기 단말 위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홈 DLR(180)은 등록된 단말 식별자로 확인된 경우 그 단말 식별자를 등록한 DLR(170)의 IP 주소가 포함된 단말 위치 응답 메시지를 푸시 서버(190)로 전달한다. 그리고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507 단계에서 등록된 단말 식별자가 아닌 것으로 확인된 경우 소정 에러 처리가 수행된다.
상기 507 단계에 따라 DLR(170)의 IP 주소를 전달받은 푸시 서버(190)는 508 단계에서 AT(110)의 단말 식별자가 포함된 호출 요청 메시지를 해당 DLR(17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호출 요청 메시지에는 AT(110)의 PPP 세션 설정을 위한 소정 명령어가 함께 전송된다. 그리고 509 단계와 510 단계에서 상기 호출 요청 메시지는 DLR(170)과 PCF(140)를 통해 해당 AT(110)로 전달된다.
이후 511 단계에서 상기 호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AT(110)는 PDSN(150)과의 PPP 세션을 설정하고, PDSN(150)은 해당 AT(110)에 데이터 수신을 위한 IP 주소를 할당하게 된다. 그리고 512 단계에서 AT(110)는 푸시 데몬이 구동되어 정해진 통신 포트를 통해 푸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상태로 들어간다.
513 단계에서 PDSN(150)은 AT(110)의 PPP 세션 설정에 따라 할당된 IP 주소를 도시되지 않은 잘 알려진 홈 인증 서버(Home AAA 서버)나 HA(Home Agent)를 통해 DNS(160)로 통보하는 DNS 갱신 동작을 수행한다. 이후 푸시 서버(190)와 DNS(160) 사이에 DNS 문의/응답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푸시 서버(190)로부터 AT(110)로 푸시 데이터가 전송되며, AT(110)에서 데이터 착신 서비스가 제공되는 514 단계 내지 도 518 단계의 동작은 도 4의 404 단계 내지 408 단계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5의 514 단계과 같이 푸시 서버(190)가 DNS(160)로 재차 DNS 문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은 푸시 서버(190)가 푸시 데이터를 수신한 후, 일정 주기 마다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상기 513 단계의 DNS 갱신 동작 시 마다 DNS(160)가 그 갱신 사실을 푸시 서버(190)로 알림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PPP 세션이 해지된 이동 단말로 외부 호스트의 푸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푸시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해지 상태의 이동 단말로 호출 요청을 수행하는 푸시 서버와 홈 DLR 및 DLR 등 새로운 네트워크 존재(Network Entity)를 정의하였으며, 이를 통해 이동 단말의 PPP 세션 설정 여부와 관계없이 데이터 착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단말의 PPP 세션 설정 여부와 관계없이 가입자에 대한 호출 메시지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한정된 IP 자원을 사용하는 IPv4 기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도 이동 단말에 대한 데이터 푸시가 보장되므로 IPv4 기반의 양방향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푸시 서버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이동 단말(AT)의 위치 등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AT)에 대한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Claims (15)

  1.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IP 망에 접속된 외부 호스트로부터 이동통신 가입자의 이동 단말로 푸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에 할당된 IP 주소를 확인하는 단말 IP 확인 단계와,
    상기 IP 확인 단계의 결과 상기 이동 단말에 할당된 IP 주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의 단말 식별자를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말 위치 확인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의 확인된 위치로 상기 푸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소정 호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호출 요청 단계와,
    상기 호출 요청 메시지를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의 PPP 세션이 설정되는 PPP 설정 단계와,
    상기 PPP 세션에 따라 할당된 IP 주소로 상기 푸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에 대한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데이터는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되기 전에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된 소정 서버 장치를 통해 버퍼링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에 대한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호스트는 상기 푸시 데이터 전송 시 해당 가입자에게 부여된 소정 가입자 식별자를 함께 전송하고, 상기 단말 식별자는 상기 가입자 식별자를 근거로 조회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에 대한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요청 메시지는 상기 PPP 세션 설정을 위한 소정 명령어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명령어를 근거로 상기 PPP 세션 설정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에 대한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PP 설정 단계가 수행된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푸시 데이터 수신을 위한 소정 푸시 데몬을 구동하고 상기 푸시 데이터 수신을 위한 대기상태로 전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에 대한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IP 확인 단계의 결과 상기 이동 단말에 할당된 IP 주소가 확인된 경우 상기 푸시 데이터를 해당 IP 주소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에 대한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요청 메시지는 상기 이동 단말이 접속된 서브 넷을 관리하는 데이터 위치 등록기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에 대한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PP 설정 단계와 상기 데이터 전송 단계 사이에 상기 단말 IP 확인 단계가 재차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에 대한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
  9. 이동 단말의 통신 접속 시 소정 임시 식별자를 할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위치 등록기와, 상기 임시 식별자가 할당된 상기 이동 단말의 소정 단말 식별자와 상기 데이터 위치 등록기의 소정 식별정보가 대응되게 저장된 홈 데이터 위치 등록기와, 상기 이동 단말과 PPP 세션이 설정되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및 도메인 네임 서버가 구비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외부 호스트로부터 이동통신 가입자의 상기 이동 단말로 푸시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푸시 데이터는 해당 가입자에게 부여된 소정 가입자 식별자를 함께 상기 서버 장치로 전달되며;
    상기 데이터 위치 등록기, 홈 데이터 위치 등록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도메인 네임 서버 및 외부 호스트와 통신 접속하기 위한 다수의 통신 인터페이스와,
    상기 가입자 식별자에 대응되는 상기 단말 식별자가 매핑된 테이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가입자 정보 테이블과,
    상기 푸시 데이터를 버퍼링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외부 호스트로부터 상기 푸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에 일시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가입자 식별자에 대응되는 단말 식별자를 조회한 후, 해당 단말 식별자에 대응되는 IP 주소로 상기 푸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서버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메인 네임 서버를 통해 상기 단말 식별자에 대응되는 IP 주소를 조회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서버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에 할당된 IP 주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홈 데이터 위치 등록기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에 상기 임시 식별자를 할당한 상기 데이터 위치 등록기를 확인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서버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위치 등록기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로 푸시 데이터 수신을 위한 소정 호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호출 요청 메시지를 근거로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와 PPP 접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서버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식별자는 가입자의 이메일 주소 임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서버 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식별자는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도메인 호스트 네임 임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서버 장치.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의 PPP 세션이 해지된 경우 상기 이동 단말로 상기 푸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소정 호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PPP 세션이 해지된 상태에서 상기 호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PPP 세션이 설정된 후 상기 푸시 데이터를 수신하는 소정 데몬을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서버 장치.
KR1020040005761A 2004-01-29 2004-01-29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단말에 대한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과 이를 위한 푸시서버 장치 KR100842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5761A KR100842589B1 (ko) 2004-01-29 2004-01-29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단말에 대한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과 이를 위한 푸시서버 장치
US11/044,018 US7979560B2 (en) 2004-01-29 2005-01-28 Method of providing push service to mobile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high-speed data transmission and push server apparatu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5761A KR100842589B1 (ko) 2004-01-29 2004-01-29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단말에 대한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과 이를 위한 푸시서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353A true KR20050078353A (ko) 2005-08-05
KR100842589B1 KR100842589B1 (ko) 2008-07-01

Family

ID=34806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5761A KR100842589B1 (ko) 2004-01-29 2004-01-29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단말에 대한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과 이를 위한 푸시서버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979560B2 (ko)
KR (1) KR1008425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618B1 (ko) * 2004-10-06 2007-06-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데이터착신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4531B1 (ko) * 2003-10-28 2006-07-2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패킷 데이터 서비스 방법
JP4414939B2 (ja) * 2004-06-29 2010-02-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報知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装置
EP1854090B1 (en) * 2005-03-01 2013-02-27 Nokia Corporation An electronic device and a method for transfer of data
KR100727993B1 (ko) * 2005-10-04 2007-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풀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푸시 서비스 방법 및시스템
KR101207467B1 (ko) * 2005-12-16 2012-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과 그장치
US20070197220A1 (en) * 2006-02-17 2007-08-23 Willey William D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providing inner-cell registration of access terminal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4644300B2 (ja) * 2007-03-14 2011-03-02 富士通株式会社 通信制御システム
US20080307093A1 (en) * 2007-06-07 2008-1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resource consumption by transport control protocol connections
US8271683B2 (en) * 2008-03-21 2012-09-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ent push service
CN103004239B (zh) 2010-05-03 2016-08-03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在短消息服务(sms)传输期间网际协议(ip)地址的分配和使用
CN102347967B (zh) * 2010-07-30 2014-01-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推送设备间的协作方法及装置
KR101948348B1 (ko) 2011-04-01 2019-02-14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성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14488B1 (ko) * 2011-04-06 2018-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푸시 알림 서비스를 위한 서버 클러스터 및 방법
KR101550051B1 (ko) * 2011-10-31 2015-09-08 네이버 주식회사 위치 정보 전송 장치 및 방법
US9148765B2 (en) * 2012-11-27 2015-09-29 Alcatel Lucent Push service without persistent TCP connection in a mobile network
WO2015065457A1 (en) * 2013-10-31 2015-05-07 Nokia Corporation User equipment power optimization
EP3249861B1 (en) * 2015-03-05 2018-12-19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Device for collecting communication destination correspondence relation,method for collecting communication destination correspondence relation, andprogram for collecting communication destination correspondence relation
CN105208075B (zh) * 2015-08-12 2018-07-31 新华通讯社 一种基于高分散哈希算法的数据采集策略方法及装置
CN109525620B (zh) * 2017-09-20 2021-11-16 中移(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消息推送系统、方法及装置
US11863709B2 (en) * 2020-09-15 2024-01-02 Apple Inc. Priority calling using cloud-based signaling for VoLTE and non-cellular call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2481A (en) * 1996-04-08 1999-01-19 Northern Telecom Limited Inter-technology roaming proxy
US6078575A (en) * 1996-10-01 2000-06-20 Lucent Technologies Inc. Mobile location management in ATM networks
US6138158A (en) * 1998-04-30 2000-10-24 Phone.Com, Inc. Method and system for pushing and pulling data using wideband and narrowband transport systems
US6421781B1 (en) * 1998-04-30 2002-07-16 Openwave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security in a push server
US6292657B1 (en) * 1998-07-13 2001-09-18 Openwave Systems Inc. Method and architecture for managing a fleet of mobile stations over wireless data networks
JP4090595B2 (ja) * 1998-10-08 2008-05-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通知方法、提供情報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
BR0009754A (pt) * 1999-04-12 2002-04-16 Ericsson Telefon Ab L M Processo para prover dados de assinatura regional para um registro de localização de visitante de serviço
US20020142763A1 (en) 2001-03-28 2002-10-03 Kolsky Amir David Initiating a push session by dialing the push target
US6885861B2 (en) * 2001-08-24 2005-04-26 Nokia Corporation Service mobility and recovery in communication networks
KR100449859B1 (ko) * 2001-11-05 2004-09-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차세대 이동 통신망에서의 페이징 기반의 패킷 푸시서비스 방법
FI114001B (fi) * 2001-11-09 2004-07-15 Nokia Corp Tiedonsiirtomenetelmä ja -järjestelmä
KR20030090824A (ko) * 2002-05-22 2003-12-0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망에서의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08650B1 (ko) * 2002-11-19 2005-08-18 주식회사 휴림인터랙티브 통신단말기간의 피어투피어 방식의 서비스를 위한 확장에스아이피를 이용한 티씨피/아이피 세션 설정 방법
KR100585651B1 (ko) * 2003-01-17 2006-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p2p 서비스 방법 및 장치
WO2004075598A1 (en) * 2003-02-18 2004-09-02 Roamware, Inc. Providing multiple msisdn numbers in a mobile device with a single imsi
US8023958B2 (en) * 2003-03-05 2011-09-20 Qualcomm Incorporated User plane-based location services (LCS) system, method and apparatus
WO2004104735A2 (en) * 2003-05-12 2004-12-02 Tekelec Methods ans systems for generating, distributing, and screening commercial cont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618B1 (ko) * 2004-10-06 2007-06-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데이터착신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79560B2 (en) 2011-07-12
US20050172026A1 (en) 2005-08-04
KR100842589B1 (ko) 2008-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9560B2 (en) Method of providing push service to mobile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high-speed data transmission and push server apparatus using the same
US7072340B2 (en) Dynamic assignment and validation of IP addresses in wireless IP networks
JP3402612B2 (ja) 動的に割り当てられるアドレスを無線通信局の宛て先と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KR100396643B1 (ko) 무선패킷데이터단말
KR100442594B1 (ko) 무선통신 시스템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A2686598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ff of a wireless packet data services connection
KR100962647B1 (ko) 모바일 단말기의 이동성 지원 방법 및 그 시스템
JP4106909B2 (ja) パケット通信制御装置及びパケット通信制御方法
JP4593856B2 (ja) データ伝送の容易化
US200701160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s of user equipment using internet protocol addres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080046593A1 (e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control system
US7221940B2 (en) Server on wireless network communicates with terminal on cellular network
KR101015642B1 (ko)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푸쉬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JP353852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20040240441A1 (en) Enabling packet switched calls to a wireless telephone user
KR20040049189A (ko) 무선랜과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망간의 아이피 할당 방법
KR100519664B1 (ko) 착신제어시스템을 이용한 imt-2000의 비동기 망에서 동기 망으로의 착신 데이터 로밍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38224A (ko) 멀티 무선망 ip 주소 할당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060453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적 ip에 대한 데이타 착신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KR20050095198A (ko)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개시 데이터 세션 설정 방법과 이를 위한 서버 장치
JP332554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制御方法
KR100501161B1 (ko) 착신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착신 데이터 로밍 서비스 시스템및 방법
KR100750774B1 (ko) 이동 통신 패킷 망에서의 착신 서비스 방법
KR100501160B1 (ko) 착신제어시스템을 이용한 imt-2000의 동기 망에서비동기 망으로의 착신 데이터 로밍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14745359A (zh) 一种可以减少用户终端地址续约频率的系统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