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2487B1 - 전방으로 회전되는 피난용 발코니 난간 - Google Patents

전방으로 회전되는 피난용 발코니 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2487B1
KR100722487B1 KR1020070029706A KR20070029706A KR100722487B1 KR 100722487 B1 KR100722487 B1 KR 100722487B1 KR 1020070029706 A KR1020070029706 A KR 1020070029706A KR 20070029706 A KR20070029706 A KR 20070029706A KR 100722487 B1 KR100722487 B1 KR 100722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frame
balcony
main fram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9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두
Original Assignee
김형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두 filed Critical 김형두
Priority to KR1020070029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24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2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2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65Collapsible or portable balustrad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08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9/1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forming part of a building, such as a balcony grid, window grid, or other window par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2011/1868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011/1876Movable elements, e.g. against sun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으로 회전되는 피난용 발코니 난간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방으로 회전되는 피난용 발코니는 건물의 창틀 또는 발코니의 전방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메인프레임(100);과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밑면에 형성되는 지지판(110);과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옆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안전바(120);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길이방향 모서리 중 건물의 창틀 또는 발코니와 인접한 일측 모서리의 상측과 하측에 형성되며, 중심부에 홀이 형성된 고리형상의 결합플랜지(130);와 상기 결합플랜지(130)와 결합되며, 건물의 외벽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310):과, 상기 고정프레임(310)의 하측단부에서부터 건물의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320):과, 상기 지지프레임(320)의 상면에 형성되는 삽입 홈(330):과, 상기 삽입 홈(330)에 끼움결합되는 끼움 봉(340): 및 상기 끼움 봉(340)과 건물의 외벽이 일정거리 유지되도록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고리(350):가 구비되는 회전축(300)과 상기 결합플랜지(130)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건물의 창틀 또는 발코니의 전방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방으로 회전되는 피난용 발코니 난간에 의하면, 평상시에는 발코니 또는 창틀의 외부에 위치하여 보조발코니 혹은 보조창틀의 역할을 하고, 화재발생시에는 현관문 또는 비상구로 미처 대피하지 못한 입주자가 메인프레임에 들어간 후 고정을 해제하면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되어 건물과 최대한으로 이격되므로 구조대가 도착하지 전까지 화재로부터의 안전이 확보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조대, 입주자

Description

전방으로 회전되는 피난용 발코니 난간{A shelter balcony handrail}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방으로 회전되는 피난용 발코니 난간의 작동예시도 및 부분확대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방으로 회전되는 피난용 발코니 난간의 작동예시도 및 부분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방으로 회전되는 피난용 발코니 난간의 회전축의 측단면도 및 부분확대도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메인프레임 110-지지판
120-안전바 130-결합플랜지
140-사다리
200-고정부재 210-너트부재
220-체결볼트 230-통공
300-회전축 310-고정프레임
320-지지프레임 330-삽입 홈
340-끼움 봉 350-고정고리
360-제1기어
370-제2기어 371-구동모터
372-조작스위치
본 발명은 전방으로 회전되는 피난용 발코니 난간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발코니 또는 창틀의 외부에 위치하여 보조발코니 혹은 보조창틀의 역할을 하고, 화재발생시에는 현관문 또는 비상구로 미처 대피하지 못한 입주자가 메인프레임에 들어간 후 고정을 해제하면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되어 건물과 최대한으로 이격되므로 구조대가 도착하지 전까지 화재로부터의 안전이 확보될 수 있는 전방으로 회전되는 피난용 발코니 난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세대가 거주하는 아파트나 연립주택 또는 다세대주택 등과 같은 공동주택에는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코니를 설치하고 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공동주택이 대부분 고층으로 시공됨에 따라 세대수가 점점 늘어가는 추세고, 상기와 같이 세대수가 늘어남에 따라 입주자가 늘어나게 되므로, 불의 사용이 잦아지게 되어 화재의 위험에 노출이 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발코니를 추락사고 방지의 목적뿐만 아니라 화재발생시 외부로 탈출가능한 용 도로 설치하도록 소방법으로 규제를 하는 추세다.
종래의 발코니는 화재발생시에 현관문 또는 비상구로 미처 대피하지 못한 입주자가 외부로 탈출가능하도록 발코니에 삼발이를 설치하여 상기 삼발이에 연결된 소방로프를 이용하여 외부로 탈출을 하거나 혹은 발코니의 하측단부에 구비된 비상사다리를 이용하여 아래층으로 대피하는 발코니가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발코니는 화재발생시 소방로프의 조작이 쉽지 않아 추락사고가 염려되었으며, 또한, 불의 특성상 불길이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기 때문에 아래층으로 대피를 할 경우 화재로 인한 안전이 확보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평상시에는 발코니 또는 창틀의 외부에 위치하여 보조발코니 혹은 보조창틀의 역할을 하고, 화재발생시에는 현관문 또는 비상구로 미처 대피하지 못한 입주자가 메인프레임에 들어간 후 고정을 해제하면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되어 건물과 최대한으로 이격되므로 구조대가 도착하지 전까지 화재로부터의 안전이 확보될 수 있는 전방으로 회전되는 피난용 발코니 난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방으로 회전되는 피난용 발코니 난간은, 건물의 창틀 또는 발코니의 전방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메인프레임(100);과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밑면에 형성되는 지지판(110);과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옆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안전바(120);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길이방향 모서리 중 건물의 창틀 또는 발코니와 인접한 일측 모서리의 상측과 하측에 형성되며, 중심부에 홀이 형성된 고리형상의 결합플랜지(130);와 상기 결합플랜지(130)와 결합되며, 건물의 외벽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310):과, 상기 고정프레임(310)의 하측단부에서부터 건물의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320):과, 상기 지지프레임(320)의 상면에 형성되는 삽입 홈(330):과, 상기 삽입 홈(330)에 끼움결합되는 끼움 봉(340): 및 상기 끼움 봉(340)과 건물의 외벽이 일정거리 유지되도록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고리(350):가 구비되는 회전축(300)과 상기 결합플랜지(130)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건물의 창틀 또는 발코니의 전방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끼움 봉(340)은 끝단이 구(求)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끼움 봉(34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기어(360);와 건물 외벽에 형성되는 구동모터(371);와 상기 구동모터(37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제1기어(360)와 끼워져 치합되는 제2기어(370);와 상기 구동모터(371)를 조작하는 조작스위치(3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00)는 통공(230)이 형성되어 건물 외벽에 탈부착되는 너트부재(210);와 상기 너트부재(210)와 나사결합하는 체결볼트(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방으로 회전되는 피난용 발코니 난간의 작동예시도 및 부분확대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방으로 회전되는 피난용 발코니 난간의 작동예시도 및 부분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전방으로 회전되는 피난용 발코니는 메인프레임(100), 지지판(110), 안전바(120), 결합플랜지(130), 고정부재(200), 회전축(300)이 포함되고, 사다리(140), 너트부재(210), 체결볼트(220), 통공(230), 고정프레임(310), 지지프레임(320), 삽입 홈(330), 끼움 봉(340), 고정고리(350), 제1기어(360), 제2기어(370), 구동모터(371), 조작스위치(37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건물의 창틀 또는 발코니의 전방, 즉, 건물의 창틀 또는 발코니의 외부에 고정 또는 해체작업이 선택적으로 가능하며, 대체로 직육면체의 프레임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선택적으로 건물의 창틀 또는 발코니의 외부에 고정되도록 후술할 고정부재(20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110)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밑면에 형성되는데, 화재발생시에 입주자가 실내에서 창문을 열고 들어갔을때, 입주자가 건물 아래로의 추락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지지판(110)은 예컨대, 비교적 휨강도가 높은 재질의 철판 등을 상기 메인프레임(100) 밑면의 접합부에 용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전바(12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옆면에 형성되는데, 입주자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내부에 들어갔을때, 외부로의 추락을 방지하도록 다수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전바(120)에는 사다리(140)가 형성되어 입주자가 실내에서부터 상기 메인프레임(100)으로 출입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플랜지(13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길이방향 모서리 중 건물의 창틀 또는 발코니와 인접한 일측 모서리의 상측과 아측에 대체로 중심부에 홀이 형성된 고리형상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후술할 회전축(300)의 끼움 봉(340)에 끼움결합되어 화재발생시 상기 끼움 봉(340)을 중심으로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건물의 전방으로 회전된다.
상기 고정부재(200)는 상기 너트부재(210)와 체결볼트(220)를 포함한다. 상 기 고정부재(20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건물의 창틀 또는 발코니의 외부에 선택적으로 고정 또는 해체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데, 대체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형상의 열린 부분의 양 끝단에는 건물 외벽에 부착이 용이하도록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에는 상기 체결볼트(220)가 삽입되는 통공(230)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의 프레임 중 건물의 창틀 또는 발코니와 인접한 타측 모서리, 즉, 상술한 결합플랜지(130)와 대향되는 타측의 모서리의 길이방향의 모서리에 상기 너트부재(210)를 감싸듯이 끼우고, 상기 너트부재(210)의 양 끝단에 형성된 통공(230)으로 상기 체결볼트(220)를 삽입하여 드라이버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건물의 외벽에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메인프레임을 건물의 외벽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어떤 것이라도 무방하다.
상기 회전축(300)은 상기 고정프레임(310)과 지지프레임(320)과 삽입 홈(330)과 끼움 봉(340) 및 고정고리(35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프레임(310)은 대체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건물 외벽에 일부 타설되어 고정이 되거나 혹은 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프레임(320)은 상기 고정프레임(310)의 하측단부에서부터 건물의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수직 하방향의 하중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삽입 홈(330)은 상기 지지프레임(320)의 상면에 홈의 형태, 즉, 대체로 일측이 구(求)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끼움 봉(340)을 지지함과 동시에 삽입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 홈(330)에는 상기 끼움 봉(340)이 끼움결합되는데, 상기 끼움 봉(340)은 상기 결합플랜지(130)와 끼움결합이 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건물의 전방으로 회전시킨다.
한편, 상기 고정 고리(350)는, 상기 끼움 봉(340)과 건물의 외벽이 일정한 거리가 유지되도록 대체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끼움 봉(340)은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건물의 창틀 또는 발코니의 외부에 형성되는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하여 건물의 전방 및 하방으로의 하중, 즉, 모멘트가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은 건물의 전방 및 하방으로의 하중으로 인하여 상기 끼움 봉(340)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건물의 외벽과 일정거리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역할을 하는 고정 고리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외벽과 상기 끼움 봉(340)이 평행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고정고리(350)가 형성되면,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상기 회전축(300)의 끼움 봉(340)을 중심으로 건물의 창틀 또는 발코니의 개구면에서부터 건물의 전방으로 평행하게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평행하게 회전되려면,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내측으로 대피한 입주자가 직접 손으로 건물 외벽을 밀어서 건물 전방으로의 회전이 가능하지만, 상기 끼움 봉(340)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제1기어(360)와 건물 외벽에 형성된 상기 구동모터(371)와 상기 구동모터(37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1기어(360)와 끼워져 치합되는 상기 제2기어(37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구동모터(371)를 조작하는 상기 조작스위치(372)가 형성되는 것은 당연하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외벽과 상기 끼움 봉(340)이 비스듬하게 기울어지도록 상기 고정고리(350)의 길이를 도 1 및 도 2에서 보다 길게 설치하면,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상기 회전축(300)의 끼움 봉(340)을 중심으로 건물의 창틀 또는 발코니의 개구면에서 기울어진 상태로 전방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끼움 봉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이 대체로 구(求)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320)과의 응력집중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끼움 봉(340)이 기울어진 상태에서는 전방으로 상기 메인프레임이 건물 외벽에서부터 기울어지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상기 제1기어(360), 제2기어(370), 구동모터(371), 조작스위치(372)가 없어도 건물의 전방으로 회전이 가능하므로, 무동력으로 작동되는 것이 특징이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화재발생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전방으로 회전되는 피난용 발코니 난간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함께 살펴보면, 전방으로 회전되는 피난용 발코니 난간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이에 대한 더 상세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5에 설명되었으므로 생략한다.
화재발생시 현관문 또는 비상탈출구가 불길로부터 안전하지 못하여 입주자가 대피하지 못한 경우, 입주자가 사다리(140)를 이용해 메인프레임(100)으로 들어간다.
상기와 같이 입주자가 메인프레임(100)으로 들어간 후, 드라이버 등의 해체수단을 이용하여 체결볼트(220)를 풀면 너트부재(210)가 건물 외벽으로부터 해체가 된다.
상기와 같이 해체가 된 상태에서, 상기 끼움 봉(340)이 건물 외벽과 평행한 상태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메인프레임(100) 내측에 위치한 입주자가 물리적인 힘을 건물 외벽에 가하여 반작용되는 힘으로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건물의 전방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상기와 같이 입주자가 건물 외벽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지 않고 조작스위치(372)로 구동모터(371)를 조작하면, 상기 구동모터(371)에 형성된 제2기어(370)와 상기 제2기어(370)에 끼워져 치합되며, 상기 끼움 봉(34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기어(360)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건물 외벽의 전방으로 평행하게 회전시킨다. 또한, 상기 조작스위치(372)의 밑면에 별도의 수납공간(미도시)을 형성하여 상기 수납공간에 드라이버 등의 해체수단을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 봉(340)이 건물 외벽과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 즉, 상기 끼움 봉(340)이 기울어져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무게중심이 전방으로 치우쳐서 설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해체수단으로 상기 체결볼트(220)를 풀면 너트부재(210)가 건물 외벽으로부터 해체가 됨과 동시에 상기 메인 프레임(100)도 해체가 되어 건물의 전방으로 무동력으로 회전이 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을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평상시에는 발코니 또는 창틀의 외부에 위치하여 보조발코니 혹은 보조창틀의 역할을 하고, 화재발생시에는 현관문 또는 비상구로 미처 대피하지 못한 입주자가 메인프레임에 들어간 후 고정을 해제하면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되어 건물과 최대한으로 이격되므로 구조대가 도착하지 전까지 화재로부터의 안전이 확보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건물의 창틀 또는 발코니의 전방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메인프레임(100);과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밑면에 형성되는 지지판(110);과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옆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안전바(120);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길이방향 모서리 중 건물의 창틀 또는 발코니와 인접한 일측 모서리의 상측과 하측에 형성되며, 중심부에 홀이 형성된 고리형상의 결합플랜지(130);와
    상기 결합플랜지(130)와 결합되며, 건물의 외벽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310):과, 상기 고정프레임(310)의 하측단부에서부터 건물의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320):과, 상기 지지프레임(320)의 상면에 형성되는 삽입 홈(330):과, 상기 삽입 홈(330)에 끼움결합되는 끼움 봉(340): 및 상기 끼움 봉(340)과 건물의 외벽이 일정거리 유지되도록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고리(350):가 구비되는 회전축(300)과
    상기 결합플랜지(130)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건물의 창틀 또는 발코니의 전방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으로 회전되는 피난용 발코니 난간.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끼움 봉(340)은 끝단이 구(求)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으로 회전되는 피난용 발코니 난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끼움 봉(34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기어(360);와
    건물 외벽에 형성되는 구동모터(371);와
    상기 구동모터(37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제1기어(360)와 끼워져 치합되는 제2기어(370);와
    상기 구동모터(371)를 조작하는 조작스위치(3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으로 회전되는 피난용 발코니 난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0)는
    통공(230)이 형성되어 건물 외벽에 탈부착되는 너트부재(210);와
    상기 너트부재(210)와 나사결합하는 체결볼트(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으로 회전되는 피난용 발코니 난간.
KR1020070029706A 2007-03-27 2007-03-27 전방으로 회전되는 피난용 발코니 난간 KR100722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706A KR100722487B1 (ko) 2007-03-27 2007-03-27 전방으로 회전되는 피난용 발코니 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706A KR100722487B1 (ko) 2007-03-27 2007-03-27 전방으로 회전되는 피난용 발코니 난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2487B1 true KR100722487B1 (ko) 2007-05-29

Family

ID=38278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9706A KR100722487B1 (ko) 2007-03-27 2007-03-27 전방으로 회전되는 피난용 발코니 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248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755B1 (ko) 2012-09-11 2013-01-23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도아 비상대피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펜스
KR101612265B1 (ko) 2015-09-15 2016-04-14 주식회사 승우엔지니어링 건축용 안전 난간
KR101725325B1 (ko) * 2016-10-21 2017-04-11 이영운 건축물용 개폐식 난간
KR101902205B1 (ko) 2018-03-21 2018-09-28 (주)에이비라인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에어컨 실외기 거치대
KR102112588B1 (ko) * 2019-09-16 2020-05-19 유병수 오토 셀프 스윙 아웃 대피구조물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0494A (ja) * 1990-07-19 1992-03-13 Misawa Homes Co Ltd 建物用バルコニー
JPH073973A (ja) * 1993-06-21 1995-01-06 Asahi Chem Ind Co Ltd 非常口用窓構造
KR19990039669U (ko) * 1998-04-16 1999-11-15 정휘웅 건물 발코니 난간의 고정브라켓
KR20000005948U (ko) * 1998-09-05 2000-04-06 김정구 창문 개폐장치
JP2001190701A (ja) * 1999-10-28 2001-07-17 Takeuchi Seiko Kk 緊急脱出用ベランダ装置
KR20040069307A (ko) * 2004-07-12 2004-08-05 김원구 화재시 대피용 난간
KR100607826B1 (ko) * 2005-02-25 2006-08-02 (주) 청화종합감리공단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위급시 수동식 탈출장치
KR100687280B1 (ko) * 2006-03-03 2007-02-27 주식회사 창조이십일 통신장비용 냉방장치의 이중 열교환 구조
KR20190000830A (ko) * 2017-06-23 2019-01-03 유니버셜 디스플레이 코포레이션 유기 전계발광 물질 및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0494A (ja) * 1990-07-19 1992-03-13 Misawa Homes Co Ltd 建物用バルコニー
JPH073973A (ja) * 1993-06-21 1995-01-06 Asahi Chem Ind Co Ltd 非常口用窓構造
KR19990039669U (ko) * 1998-04-16 1999-11-15 정휘웅 건물 발코니 난간의 고정브라켓
KR20000005948U (ko) * 1998-09-05 2000-04-06 김정구 창문 개폐장치
JP2001190701A (ja) * 1999-10-28 2001-07-17 Takeuchi Seiko Kk 緊急脱出用ベランダ装置
KR20040069307A (ko) * 2004-07-12 2004-08-05 김원구 화재시 대피용 난간
KR100607826B1 (ko) * 2005-02-25 2006-08-02 (주) 청화종합감리공단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위급시 수동식 탈출장치
KR100687280B1 (ko) * 2006-03-03 2007-02-27 주식회사 창조이십일 통신장비용 냉방장치의 이중 열교환 구조
KR20190000830A (ko) * 2017-06-23 2019-01-03 유니버셜 디스플레이 코포레이션 유기 전계발광 물질 및 디바이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755B1 (ko) 2012-09-11 2013-01-23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도아 비상대피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펜스
KR101612265B1 (ko) 2015-09-15 2016-04-14 주식회사 승우엔지니어링 건축용 안전 난간
KR101725325B1 (ko) * 2016-10-21 2017-04-11 이영운 건축물용 개폐식 난간
KR101902205B1 (ko) 2018-03-21 2018-09-28 (주)에이비라인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에어컨 실외기 거치대
KR102112588B1 (ko) * 2019-09-16 2020-05-19 유병수 오토 셀프 스윙 아웃 대피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1863B1 (en) Multi-purpose portable davit anchoring system
KR100722487B1 (ko) 전방으로 회전되는 피난용 발코니 난간
EP3888757A1 (en) Fire and disaster evacuation apparatus
KR101755263B1 (ko) 고층 건축물 소방 화재 진압 장치
KR101099764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WO2007114636A1 (en) Apparatus for refuge
US10309094B2 (en) Building access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building with such a building access system
US20220411231A1 (en) Lifting of building units
NO333644B1 (no) Utkragersystem
JP2010189970A (ja) 工事用足場の組付構造
US20080264725A1 (en) Hook-On Scaffold
US4548003A (en) Prefabricated balcony platform
CN110770404B (zh) 凸阳台护栏兼用火灾或其他灾害疏散设施
KR200324353Y1 (ko) 석재판넬 시공유니트
KR101099765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20170000701U (ko) 건축용 수직형 안전방망
KR101546295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
RU146691U1 (ru) Междуэтажная откидная спасательная платформа
KR102201489B1 (ko)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200467632Y1 (ko) 안전난간 탈부착 결합구
KR100596209B1 (ko) 비상대피가 용이한 건축용 난간 구조
RU2116413C1 (ru) Навесная площадка для работ на фасадах зданий
KR200429255Y1 (ko) 인명구조용 층간 사다리 받침대
AU2010214698A1 (en) A residential lift
JP2012041760A (ja) 木造多層建築物用層間密着金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