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255Y1 - 인명구조용 층간 사다리 받침대 - Google Patents

인명구조용 층간 사다리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255Y1
KR200429255Y1 KR2020060019914U KR20060019914U KR200429255Y1 KR 200429255 Y1 KR200429255 Y1 KR 200429255Y1 KR 2020060019914 U KR2020060019914 U KR 2020060019914U KR 20060019914 U KR20060019914 U KR 20060019914U KR 200429255 Y1 KR200429255 Y1 KR 2004292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adder
screw
horizontal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99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성
Original Assignee
박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성 filed Critical 박종성
Priority to KR20200600199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2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2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2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4Ladders attached to structures, such as windows, cornices, pol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50Joints or other connect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문화환경과 주거환경의 변화에 따른 고층빌딩, 고층아파트, 주상복합 아파트 등이 현대화된 구조물로 날로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초고층에서 화재나 각종재해 발생시 화염과 연기로 인해 주출입구가 차단되면 부득이 하게 창문이나 발코니쪽 등으로 대피해서 구호를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 발생되는데 대피로가 없어 인명피해가 늘어만 가고 있다.
이런 문제점에 착안하여 본 고안물인 인명구조용 층간 사다리 받침대를 이용하여 사고층 바로 밑층윗층을 연결하는 방법에 주안점을 두고 어느장소에서든 사용가능하고 조작이 간편하며 휴대가 편리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하여 본 고안물을 사고지점 바로밑층 베란다 창문, 빌딩 창문, 기타 창문 등을 열거나 파쇄하고 본 고안물을 바닥과 창문 윗 부분의 창틀 또는 벽면에 지지하게 설치한 후 사다리를 받침대에 얹어서 윗층 창문 높이에 맞도록 하고 본 고안물과 결합체결하여 묶은후 윗층에 있는 구호자가 직접 내려올 수 있도록 하거나 구조대원이 직접 올라가서 구조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타까운 인명피해를 줄여 사회에 이바지 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이다.
Figure 112006505878014-utm00001
하부 종바지지대, 상부 종바지지대, 천장부 지지대, 가로 사다리 받침대, 볼트나사, 슬링벨트, 접이식사다리, 안테나사다리, 통로개척, 스크류, 너트나사

Description

인명구조용 층간 사다리 받침대{Ladder support Layer for lifesaving}
도 1은 본 고안의 수동으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입체도
도 2는 본 고안의 스크류를 이용하여 반자동으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입체도
도 3는 건물내부에 사다리와 결합 설치된 본 고안물
도 4은 건물외벽에 사다리와 결합 설치된 본 고안물
※ 실험사진 1, 2, 3
※ 별첨 : 언론기사 내용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도 1
A : 하부 종바지지대 B : 상부 종바지지대
C : 천장부 지지대 D : 가로 사다리 받침대
E : 슬링벨트 1 : 하부받침
3 : 틀림방지바 5 : 볼트나사
6 : 볼트구멍 7 : 안전고리
8 : 사다리 이탈방지대 100 : 내측
200 : 외측 300 : 결합부분 400 : 결합부분
도 2
A : 하부 종바지지대 B : 상부 종바지지대
C : 천장부 지지대 D : 가로 사다리 받침대
E : 슬링벨트
1 : 하부받침 2 : 틀림방지바
5 : 볼트나사 7 : 사다리 이탈방지대
8 : 안전고리 9 : 가로고정부
13 : 고정용 볼트 14 : 너트나사
15 : 스크류 16 : 고정너트
17 : 너트나사 18 : 원형 손잡이
19 : 가로고정부 21 : 틀림방지바
100 : 내측 200 : 외측
300 : 결합부분 400 : 결합부분
현행 고층의 경우 화재나 각종재해를 대비하여 스프링클러 설치, 발코니에 대피공간 확보, 옆집으로 대피할 수 있는 통로를 경량칸막이 등으로 벽을 마감하고 있으나 대형화재시 스프링클러의 소화 한계, 오작동우려, 옆집으로 대피시 연소의 위험이 있다.
종래의 구조활동을 보면 화재나 재해시 저층 등에서는 구호자의 구조수단으로 일반사다리, 사다리차 등을 지면에 설치하여 구조를 할 수 있어 큰 문제는 아니다. 그러나 초고층의 경우는 옥상에 설치된 화물운반용 리프트를 이용하거나, 레펠링을 이용하여 하층부로 내려오거나 또는 고가 사다리차를 이용 고층까지 설치하여 살수 또는 구조활동을 할 수 있으며, 추락에 대비한 대형 에어매트를 지면에 설치 사용하고 있다. 또한 여러형태 개발품의 고정 또는 접이식 사다리를 발코니 난간등에 설치 고정하여 유사시에 펼치는 등의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치들이 있다.
그러나 화물용 리프트, 레펠링의 경우 강풍이나 수직상승하는 연기와 화염에는 속수무책이다. 고가 사다리차의 경우 지면에 설치 하려면 주차 공간확보와 바람과 시간의 영향등으로 인해 제약을 많이 받게되어 효용의 폭이 줄게 되고 최고 16층이 한계로써 그이상의 층에는 무용지물이 된다.
대형 에어매트의 경우는 주차난, 화단부지 등으로 인해 공간확보의 어려움으로 추락지점을 정확히 잡지못해 추락하는 모습을 지켜 볼 수밖에 없어 인명피해가 늘어나는 경우가 국내외적으로 자주 발생하고 예상된다. 베란다 난간등에 부착된 장치들은 현행 개인별로 장착하려면 비용과 공간의 제약을 많이 받게 되어 일부에 제한되는등 문제가 된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수많은 건물의 종류와 다양한 창문 높이 형태에 따라 설치 가능하도록 높이와 넓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였고 고층이든 저층이든 사고지점의 바로 밑층에서 윗층으로 연결하여 대피 할 수 있 도록 하고 휴대, 분리를 가능하게 하여 언제 어느 장소에서든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거나 고장시 비상계단으로 이동하여 설치 소요시간이 2∼3분 내에 신속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였다.
고안물과 같이 사용하는 일반사다리는 크거나 무거울 경우 운반과정이나 설치과정이 불편하고 위험할 수 있어 휴대가 간편하고 무게가 가벼운 안테나사다리, 접이식 사다리를 이용하여 윗층 창문높이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게 하였고 고안물을 수차례 설치하여 실험한 결과(실험사진 1,2,3), 설치하는데 신속성과 사다리가 벽면에서 견고하게 부착되어 밖으로 이탈되지 않아 안전(실험사진 3)에 이상 없이 사용가능함을 본인을 비롯한 다수인들이 확인 한 바 있다.
본 고안은 고층에 화재시 인명 구조용으로 층간 사다리 받침대를 고안한 것으로 로써 구성물에 대해 구조와 기능을 설명하고자 한다.
전술한바와 같이 본 고안의 특징은 간편하면서 이동이 편리하고 설치가 빠르고 제작과 비용의 절감을 위해 간단하게 고안 한 것이다.
도면 1 을 참고하여 설치 구성물을 설명한다면 다음과 같다
사다리 받침대를 크게 분류하면 하부 종바지지대(A), 상부 종바지지대(B), 천장부 지지대(C)가 세로지지대 역할을 하는 일체물이 되고 가로 사다리 받침대(D), 슬링벨트(E)가 같이 결합하여 전체 구성물이 된다.
먼저 하부 종바지지대(A)는 하부받침(1)과 세로로 두 개의 바(2)가 있고 틀림방지대(3) 두 개가 가로로 결합되었고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볼트구멍(4)이 양쪽상단에 뚫려 있고 상부 종바지지대(B) 하단 속으로(300) 결합하여 볼트나사(15)로 같이 고정하며 바닥과 천장부로 서서 하중을 지탱하면서 높이조절을 하고 상하 작용을 하고 가로 사다리 받침대(D)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볼트나사(5)로 같이 고정한다.
상부 종바지지대(B)는 양쪽바 상단에는 슬링벨트(9)를 걸수있는 안전고리(10)가 부착 되어 있고, 하부 종바지지대(A)와 같이 두 개의 바가 세로로 있고 가로로 틀림방지대(17) 두 개가 결합되어 있으며, 볼트구멍(16)이 양쪽 하단부에 있고 하부 종바지지대(A) 밖(300)으로 결합하여 볼트나사(15)로 높이에 맞도록 같이 끼워 고정하여 천장부 지지대와 하중을 지탱하는 일체물이 된다.
천장부 지지대(C)는 양쪽바 하단부에 볼트구멍을 뚫어 상부 종바지지대(B)속(400)으로 결합되어 높낮이 조절을 할 수 있고 천장부 지지대 상단(13) 부분이 벽면에 창틀 또는 벽면에 지지하여 창문밖으로 이탈되지 않게 하고 뒤로 튀어 나오게 설치함으로써 수직이 아닌 뒤로 약간 기울어지게 하여 하부받침(1)이 밀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가로 사다리 받침대(D)는 양쪽바의 내측(100)과 외측(200)에 틀림방지대(14)가 가로받침대와 결합되어 있고 넓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볼트구멍(6)이 있으며 하부 종바지지대(A)와 볼트나사(5))를 같이 끼워 고정하여 내외측으로 넓이를 조절할 수 있다.
외측부분(200)에는 틀림방지대 두 개가 결합되어 있으며 사다리 이탈방지용(8) 네 개가 세로로 부착되어 있고 슬링벨트(E)를 걸수 있는 안전고리(7) 두 개가 양쪽바에 부착되어 있으며, 사다리를 올려놓고 윗층과 연결되도록 하중을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슬링벨트(E)는 가로 사다리 받침대(D)에 부착된 안전고리(7)에 통과하여 벨트 끝에 카라비너를 걸어 상부 종바지지대(B) 상단 안전고리(10)와 가로 사다리 받침대(D)가 높낮이 또는 넓이조절로 인해 길이가 달라질때 매듭을 해서 적당한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4T이상을 하중을 견딜수 있는 벨트를 사용하였다.
여기까지가 도면 1에 관한 내용이고 도면 2에 대하여 구성물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 2는 하부 종바지지대(A,) 상부 종바지지대(B), 천장부 지지대(C)는 스크류를 이용하여 반자동으로 높낮이를 조절하는 세로지지대의 일체물이고 가로사다리 받침대(D), 슬링벨트(E)와 같이 결합하여 구성물이 된다.
먼저 하부 종바지지대(A)는 상기 도면 1의 (A)와 같은 구조와 기능을 하면서 높낮이 조절을 위해 윗부분 상단의 가로 고정대(19)에 부착된 원형 손잡이(18)와 너트나사(16), 스크류(15)는 고정되어 일체물로 구성 되고, 가로 고정대(19)에 부착된 너트나사(17)는 원형 손잡이(18)를 돌리게 되면 스크류(15)와 고정나사(16)는 같이 회전하게 되고 가로 고정대(19)에 부착된 너트나사(17)는 고정되어 있어 제자리에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상부 종바지지대(B)에 고정되어 있는 가로고정부(9)와 너트나사(14)가 상부 종바지지대(B) 일체물을 당기거나 밀면서 상하작용을 하게 되며 천장부 지지대(C)도 같이 작용한다.
상부 종바지지대(B)는 전술한바와 같이 하부 종바지지대(A) 상단 밖(300)으로 결합하여 원형손잡이(18)를 돌리면 상하작용을 하여 높낮이를 조절하게 되고 가로고정부(9)와 틀림방지대가 가로로 부착되어 있으며 상단부는 천장부 지지대(C) 밖으로 결합하여 볼트나사(10)로 같이 끼워 높낮이를 조절한다. 볼트(13)는 이동간의 필요시 분리하여 휴대하도록 탈부착이 가능하고 조립하는 볼트를 사용하였다.
천장부 지지대(C), 가로 사다리 받침대(D), 슬링벨트(E)는 상기 도면 1의 (C),(D),(E)와 같은 구조와 기능으로 되어 있어 중략.
도면 3의 내부에 설치된 모습을 설명한다면 다음과 같다.
사다리 받침대 구성물(1)(2)(4)를 건물 내부의 바닥과 창문틀을 이용하여 설치 한후 사다리(3)를 창문 밖으로 내고 가로 사다리받침대(2) 위에 올려 놓은 후 윗층 창문높이에 맞도록 사다리를 조절하여 사다리(3)와 세로 지지대(1) 상단부분에 서로 자동벨트나 로프(5)로 체결후 사용하면 된다.
도면 4의 외부 설치된 모습을 설명한다면 다음과 같다
세로 사다리 받침대(1)를 세우고 가로 사다리받침대(2)를 창문밖으로 펼친후 사다리(3)를 얹어서 윗층의 창문높이에 맞도록 높이를 조절후 자동벨트나 로프(5)를 이용하여 고안물과 체결후 사용하면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작동은 본 고안의 특징을 벗어나지 않고 동력장치를 이용하여 완전자동으로 작동하게 할 수 있다.
수억원의 인명구조용 고가 장비가 무용지물이 되는 경우 예산낭비가 될 수 있으나 본 고안물은 저가에 제작가능하고 다양한 창문의 형태에 적용 가능하도록 천장높이, 창문턱높이, 창문밖의 턱 넓이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언제 어디든지 운반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경량화 하였고 신속하게 설치 가능토록 간편하게 고안한 것이 특징이다.
고안물은 일반건물, 고층건물 화재 또는 각종재해등 주출입구가 차단되어 통로개척이 필요할 때 고안물을 이용 구조대원이 내부로 진입하거나 구호자의 비상 탈출로를 만들어 주는 데 목적이 있으며 범죄현장에서 인질을 잡고 대치중 주출입구가 차단될 경우 고안물을 이용 구조대원이 내부로 신속하게 진입하여 인질구출을 할수 있으며 현관문을 개방하는 시간보다 상대적으로 은밀히 설치후 진입할 수 있어 인질을 안전하게 구출할 수 있다.
현재 고층화재에 대한 인명피해가 무방비상태(별첨 1 : 언론기사 내용)에서 피해자가 늘고 있으며 이러한 기사를 언론으로 자주 접하게 되고 안타깝게 쳐다만 봐야 하는 현실에 고층화재, 각종재해에 대한 대안으로 구조대원 또는 범죄진압의 실전에 직접활용 하면 단 한명안타까운 희생자라도 줄일 수 있다.
3층 이하에 사용되는 일반사다리를 지면에 대각으로 세워 구조하는 것보다 고안물은 상대적으로 견고하게 벽면 부착되어 흔들림이 없으며 현재 사용중에 있다.

Claims (10)

  1. 하부 종바지지대(A,) 상부 종바지지대(B), 천장부 지지대(C), 가로 사다리 받침대(D), 슬링벨트(E)는 금속제품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층간 사다리 받침대.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하부 종바지지대(A) 하단에 하부받침(1)있고 두 개의 세로바에 틀림방지바(3) 두 개가 가로로 결합되고 상단부는 높낮이를 조절하는 볼트구멍(4)이 있고 상부 종바지지대 하단 속(300)으로 결합하여 상하조절 후 볼트나사(15)로 같이 끼우고, 가로 사다리 받침대(D)와 같이 결합해서 볼트나사(5)를 끼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층간 사다리 받침대.
  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부 종바지지대(B)에 가로로 두 개의 틀림방지바가 가로로 결합되고 상단부와 하단부에 높낮이 조절하는 볼트구멍(16)이 있고 볼트나사(15)를 같이 끼워 조절하며 상단부는 천장부 지지대(C) 하단부 밖(400)으로 결합해서 볼트나사(12)로 같이 끼우고 상단부에 안전고리(10) 두 개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층간 사다리 받침대.
  4.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천장부 지지대(C)는 "ㄱ"자형으로 구성되어 하단부는 상부 종바지지대 속(400)으로 결합되어 볼트나사(12)를 끼워 높낮이를 조절하며, 천장부 지지대 앞부분(13)이 창틀 또는 벽면에 지지하고 뒷부분은 약간 튀어나오게 하여 하부받침(1)이 밀리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층간 사다리 받침대.
  5.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가로 사다리 받침대(D)는 틀림방지바(14)가 내측(100)과 외측(200)에 가로바와 결합되어 있으며 내측부분에 볼트나사(5)를 이용넓이를 조절하는 볼트구멍(6)이 있고 외측(200)에 사다리 이탈방지대(8)가 네개가 부착되어 서있고 슬링벨트(9)를 거는 안전고리(7) 두개가 양쪽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인명구조용 층간 사다리 받침대.
  6.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슬링벨트(E)는 4T이상 견딜수 있는 것으로 사용하고 가로 사다리 받침대(D)부착된 안전고리(7)에 끼우고 길이조절을 하여 상부 종바지지대(B) 상단에 부착된 안전고리에 카라비너로 걸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층간 사다리 받침대.
  7. 하부 종바지지대(A,) 상부 종바지지대(B), 천장부 지지대(C), 가로 사다리 받침대(D), 슬링벨트(E)로 금속제품으로 구성되어 있고 원형손잡이(18)를 돌려 스크류를 높낮이 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반자동 인명구조용 층간 사다리 받침대.
  8. 청구항 제7항에 있어서 하부 종바지지대(A)는 상부 종바지지대(B) 하단부 속 으로(300) 결합되고, 가로로 두 개의 틀림방지바(2)가 있고 중간부에 가로 사다리 받침대(D)의 높낮이 조절하는 볼트구멍(4)이 있어 볼트나사(5)로 같이 끼운다. 상단부에 부착된 원형손잡이(18)를 돌리면 가로 고정부(19)에 부착된 너트나사(17)는 제자리에 고정되고 스크류(15)와 고정나사(16)는 원형손잡이(18)와 같이 회전하게 되며 상부 종바지지대(B)에 부착된 고정나사(14)와 가로고정부(9)는 같이 당겨져 상부 종바지지대(B)와 천장부 지지대(C)가 같이 상하작용을 하게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인명구조용 층간 사다리 받침대.
  9. 청구항 제7항에 있어서 가로 사다리 받침대(D)는 틀림방지바(21)가 내측(100)과 외측(200)에 가로 받침대와 결합되어 있으며 내측(100)부분에 넓이를 조절하는 볼트구멍(20)이 있고 하부 종바지지대(A)와 같이 볼트나사(5)를 이용하여 끼우고, 외측(200)에 사다리 이탈방지대(7)가 네 개가 서있고 슬링벨트(E)를 거는 안전고리(6) 두개가 양쪽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인명구조용 층간 사다리 받침대.
  10. 청구항 제7항에 있어서 슬링벨트(E)는 4T이상 견딜수 있는 것으로 사용하고 대각으로 가로 사다리 받침대의 안전고리에 통과하여 길이를 조절한 후 상부 종바지지대 상단의 안전고리에 카라비너를 이용 걸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인명구조용 층간 사다리 받침대.
KR2020060019914U 2006-07-20 2006-07-20 인명구조용 층간 사다리 받침대 KR2004292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914U KR200429255Y1 (ko) 2006-07-20 2006-07-20 인명구조용 층간 사다리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914U KR200429255Y1 (ko) 2006-07-20 2006-07-20 인명구조용 층간 사다리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255Y1 true KR200429255Y1 (ko) 2006-10-20

Family

ID=41777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9914U KR200429255Y1 (ko) 2006-07-20 2006-07-20 인명구조용 층간 사다리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25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39896B1 (en) Fire/disaster evacuation facility for building
KR101607133B1 (ko) 공동주택용 비상대피 난간
CN111794671A (zh) 一种单爬式铝合金折叠型室外逃生梯
CN104667441B (zh) 楼房折叠逃生箱
KR100613880B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 대피장치
CN1970114B (zh) 一种楼宇走火救生方法及其设施
RU2555951C2 (ru) Спасатель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KR101548010B1 (ko) 공동주택의 비상대피 기능을 갖춘 베란다 휀스장치
KR200429255Y1 (ko) 인명구조용 층간 사다리 받침대
KR20160143606A (ko) 응급탈출용 비상사다리
KR100725381B1 (ko) 공동주택용 안전난간
CN203383702U (zh) 一种消防安全防盗笼
RU146691U1 (ru) Междуэтажная откидная спасательная платформа
CN213297812U (zh) 一种铝合金折叠型室外逃生梯用开启机构
CN210828984U (zh) 一种高效逃生的防盗逃生窗
KR20070015237A (ko) 고층건물 화재진압 및 인명구조용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
RU2200813C2 (ru) Спасательная складывающаяся лестница "надежда" булгакова
RU73013U1 (ru) Канатно-веревочная лестница для спасения людей из горящих многоэтажных и высотных жилых домов и зданий при тушении пожаров и других бедствий
US4553636A (en) Lifesaving apparatus for escaping from a building
KR200378175Y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 대피장치
CN218759678U (zh) 一种具有防盗功能的户外逃生梯
CN2494681Y (zh) 可拆卸式抢险救生平台
KR101058118B1 (ko) 대피기능을 구비한 공동주택용 안전난간
CN212508050U (zh) 一种单爬式铝合金折叠型室外逃生梯
KR200469278Y1 (ko) 안전난간 탈부착 결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