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1971B1 - 재귀반사 시트 및 그로부터 제조된 재귀반사 실 - Google Patents

재귀반사 시트 및 그로부터 제조된 재귀반사 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1971B1
KR100721971B1 KR1020050032279A KR20050032279A KR100721971B1 KR 100721971 B1 KR100721971 B1 KR 100721971B1 KR 1020050032279 A KR1020050032279 A KR 1020050032279A KR 20050032279 A KR20050032279 A KR 20050032279A KR 100721971 B1 KR100721971 B1 KR 100721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troreflective
reflective
thread
base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2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0086A (ko
Inventor
이중철
Original Assignee
이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중철 filed Critical 이중철
Priority to KR1020050032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1971B1/ko
Publication of KR20060110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0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1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1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1/00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 B32B2311/24Aluminiu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극세사로 제직한 직물 위에 핫멜트형 접착제층과 합성수지층을 차례로 적층하여 이루어진 베이스지; 상기 베이스지 위에 도포된 합성수지계 접착제층; 상기 접착제층 위에 형성된 반사층; 및 상기 반사층 위에 증착된 글래스비드층을 포함하는 재귀반사 시트와, 이 시트를 절단하여 제조되는 재귀반사 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재귀반사 시트는 두께가 얇으면서 우수한 강도를 나타내고 또한 반사휘도가 우수하며, 이를 절단하여 형성한 재귀반사 실은 강도가 우수하여 자수사 봉제사로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재귀반사 시트, 재귀반사 실, 극세사 직물, 글래스비드, 자수사, 봉제사

Description

재귀반사 시트 및 그로부터 제조된 재귀반사 실{Reflective sheet and reflective thread made therefrom}
도 1a은 본 발명에 따른 재귀반사 시트의 하나의 구현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재귀반사 시트의 하나의 구현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귀반사 시트의 다른 구현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베이스지 11: 접착층
12: 반사층 13: 인쇄층
14: 글래스비드층
본 발명은 재귀반사 시트 및 그로부터 제조된 재귀반사 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께가 얇으면서도 우수한 강도를 갖는 재귀반사 시트 및, 그로부터 제조된 재귀반사 실에 관한 것이다.
재귀반사란 입사 광선을 광원의 방향으로 똑바로 되돌리는 효과를 말하며, 글래스비드를 포함한 재귀반사 시트는 먼거리에서 빛을 비추더라도 반사 효과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야간에 사용하는 제품이나 위험방지용 제품에 사용하기 적합하며, 이를 절단하여 장식용 자수사, 봉제사에 사용된다.
종래에 장식용으로 의복 모자, 신발 등에 사용되어 오던 반사재들은 통상 스티커, 전사지 형태로 제공되어 왔으며, 일부 반사실도 제공되어 왔다. 미국 3M사에서 시판하는 스카치라이트 제품은 박리지, 접착층, 글래스비드층 및 열가소성 수지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두께가 1/120인치 정도로 직조용 또는 자수용 실로 만들기에는 너무 두껍고, 접착층으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가공시 수지가 용융되어 점성이 생겨 커팅시 접착제가 밀려나오는 등 매끄러운 처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47552호에는 베이스지에 도포된 접착제층과, 상기 접착제층 위에 반사용 금속 분말이 도포된 반사층과, 상기 반사층 위에 안료조성물로 인쇄된 인쇄층과, 상기 인쇄층 위에 증착된 착색 코팅된 글래스비드층을 포함하는 반사 시트를 가늘게 절단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색반사실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에서는 베이스지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을 예로 들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등록실용신안 제20-0247552호에서 베이스지로 사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나 폴리에틸렌 수지는 인장강도가 떨어지므로, 그것을 베이스지로 사용하여 제조한 시트를 커팅하여 된 반사실은 고속으로 작동되는 봉제기 나 자수기에서 실이 끊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강도 증가를 위해 베이스지로 폴리우레탄 수지나 나일론 수지를 사용하여 시트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강도는 확보되나 신율이 너무 커서 시트를 절단할 수가 없어 이를 절단하여 실로 만드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였다.
또한, 일반 T/C 원단(폴리에스테르 65% & 커튼 35%)을 베이스지로 하여 제조한 시트는 두께가 너무 두꺼워(약 560㎛)서 이를 절단할 경우 올이 풀려서 1mm 이하의 두께의 실로는 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재귀반사 시트를 일정 폭으로 슬릿팅하여 제조된 재귀반사 실에 강도 보완을 위하여 고강도 원사를 합연 또는 커버링하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는 커버링에 따른 재귀반사 기능의 저하 문제, 다단계 공정에 따른 생산성 저하 문제 등이 있고, 고강도 원사를 합연 또는 커버링함에 따라 자수, 봉제 등의 원사 사용공정에서 갖추어야 될 유연성을 확보하지 못하여 공정성이 극히 불량하고, 세탁견뢰도가 떨어져 반복 세탁을 하게 되면 반사기능 자체가 없어져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55011호에는 글래스 비드 또는 운모인 재귀반사 물질 및 반사가 가능한 제 1 고분자 물질의 혼합물; 및 방사가 가능한 제 2 고분자 물질을 5-95: 95-5의 용적비로 복합 방사하여 제조되는 재귀 반사 필라멘트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 경우에도 강도 보강을 위한 제 2고분자 물질을 복합 방사함에 따라 성분 차이로 인하여 봉제시 밀리거나 반사 휘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두께가 얇아도 강도 및 반사성능이 우수하며, 이를 절단하여 실을 제조할 때에 올이 풀리지 않으며, 또한 고속으로 작동하는 봉제기나 자수기에서 사용 가능한 실을 제조할 수 있는 재귀반사 시트 및 그로부터 제조된 재귀반사 실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서는 극세사로 제직한 직물 위에 핫멜트 접착제층과 합성수지층을 차례로 적층하여 이루어진 베이스지; 상기 베이스지 위에 도포된 합성수지제 접착제층; 상기 접착제층 위에 형성된 반사층; 및 상기 반사층 위의 증착된 글래스비드층을 포함하는 재귀반사 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반사층은 알루미늄 분말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직물은 나일론 극세사 30D∼120D 또는 폴리에스테르 극세사 50D∼150D로 제직된 원단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합성수지층은 PVC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합성수지계 접착제층은 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편면 반사 재귀반사 시트는 두께가 120㎛ 내지 150㎛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지 하부에 합성수지계 접착제층, 반사층 및 글래스비드층을 차례로 더 형성하여 양면 반사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반사층과 글래스비드층 사이에 필요에 따라 인쇄층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양면 반사 재귀반사 시트는 그 두께가 180㎛ 내지 300㎛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서는 상기 재귀반사 시트를 가늘게 절단하여 제조된 재귀반사 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재귀반사 실은 자수용 또는 봉제용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재귀반사 시트는 강도가 뛰어나 자수기 및 봉제기 등에서 끊어지지 않는 자수사 및 봉제사를 제공할 수 있고, 가늘게 절단시 올이 풀리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효율적으로 재귀반사 실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귀반사 시트는 극세사로 제직된 직물 위에 핫멜트 접착제층과 합성수지층을 차례로 적층한 베이스지; 상기 베이스지 위에 도포된 합성수지제 접착제층; 상기 접착제층 위에 형성된 반사층; 및 상기 반사층 위에 증착된 글 래스비드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에 베이스지로서 사용되었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 필름은 인장강도가 현저히 떨어지므로, 이를 베이스지로 한 재귀반사 시트를 커팅하여 제조한 재귀반사 실은 자수기 또는 봉제기에서 끊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베이스지로서 일반 T/C원단(폴리에스테르 65% & 커튼 35%)을 사용하여 제조한 재귀반사 시트는 너무 두꺼워 이를 절단할 시에 올이 풀려서 자수사로서 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적절한 강도를 지니면서도 자수기 또는 봉제기에서 작업할 수 있을 정도로 두께가 얇은 재귀반사 실을 제공하기 위해, 극세사로 이루어진 직물에 핫멜트 접착제층을 코팅하고 그 위에 강도 보강을 위해 합성수지층을 합지한 것을 베이스지로 사용하였다.
상기 극세사로 이루어진 직물의 예로는 커튼 30s/l-60s/l의 직물, T/C 30s/l-45s/l의 직물, 나일론 30D-120D 다후다, 폴리 50D-150D 다후다 등의 조밀한 조직을 갖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강도 우수성 및 구입 용이성 등의 관점에서 나일론 30D-120D 다후다 또는 폴리 50D-150D 다후다가 바람직하다.
상기 극세사로 이루어진 직물의 두께는 강도 유지, 절단의 용이성 및 합성수지층과의 합지를 시행하는 관점에서 50∼70미크론 범위가 바람직하다.
이 때 핫멜트 접착제층은 극세사로 제직된 직물과 합성수지층을 접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접착제층은 상기 직물 위에 하이포라 브레스블(breathable) 코 팅법, 또는 라이프 코팅법에 의해 형성된다. 핫멜트 접착제로는 일액형 또는 이액형의 PU가 접착력 및 신율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 핫멜트 접착제로 직물과 합성수지 필름을 접착하면, 인장력이 우수하고 적당한 신율을 유지하므로 재귀반사 시트를 절단하여 1/100 인치 두께의 얇은 재귀반사 실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합성수지층의 예로는 PVC 필름, TPU 필름, PE 필름, PP 필름, OPP 필름, H.D 필름, 엘바 필름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신율 관점에서 PVC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합성수지층의 두께는 30㎛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35㎛이다. 상기 두께가 30㎛보다 작으면 원하는 강도 보강 효과를 얻을 수가 없고, 50㎛보다 크면 시트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져서 자수기 또는 봉제기에서 작업하기가 곤란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베이스지는 1겹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동일 구성의 베이스지를 접착하여 2겹으로 사용해도 좋다.
상기 구성의 베이스지의 두께는 1겹으로 되어 있는 경우 80㎛ 내지 120㎛이 바람직하며, 베이스지가 2겹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140㎛ 내지 2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가 80㎛보다 작으면 신율과 인장강도가 떨어지고, 250㎛보다 크면 재귀반사 시트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져서 자수기 또는 봉제기에서 작업이 곤 란하다.
상기와 같은 베이스지 위에는 합성수지제 접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착층은 열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며, 접착성을 확보하면서 열경화시에 물성의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2액형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액형 열경화성 수지 중에서는, 신율과 비드의 이탈 방지 측면에서 2액형 폴리우레탄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접착제층 위에는 반사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반사층은 재귀반사 시트의 거울반사면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반사도가 높은 금속 분말이 주로 사용되며, 특히 은 또는 알루미늄 분말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 분말의 입도는 통상 300∼800Å 이며, 후술할 글래스비드층 위에 300∼800Å 두께로 진공 증착에 의하여 균일하게 도포된다.
상기 반사층 위에는 글래스비드층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글래스비드는 빛이 입사되었을 때 높은 휘도를 얻을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하며, 입도가 균일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직경이 25㎛ 내지 4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귀반사 시트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얻기 위하여 상기 반사층과 상기 글래스비드층 사이에 인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은 안료조 성물로 인쇄된 층일 수 있으며, 그라비어 인쇄로 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글래스비드층 위에는 재귀반사 시트를 실로 가늘게 절단하기 전 시트 상태로 보관하기 위해 박리지를 더 부착시킬 수 있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박리지는 제한 없이 사용가능하며,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재귀반사 시트는 상기 베이스지 하부에 접착층, 반사층, 필요에 따라 인쇄층 및 글래스비드층을 더 적층함으로써 베이스지를 중앙에 두고 양면 대칭으로 함으로서 양면 반사용으로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빛이 상하 어느 방향으로 들어오더라도 반사가 가능하므로 반사 효과가 더욱 뛰어난 재귀반사 시트로 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지 하부에 적층되는 층들의 적층 순서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순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재귀반사 시트의 총 두께는 베이스 상부쪽에만 접착제층, 반사층 및 글래스비드층을 적층하여 편면 반사용으로 한 경우에는 120㎛ 내지 150㎛이고, 베이스 상하부 양쪽에 이들을 적층하여 양면 반사용으로 한 경우에는 180㎛ 내지 300㎛이다.
상기 재귀반사 시트의 제조 공정은 하기와 같다.
즉, 극세사로 제직된 직물 위에 롤을 이용하여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한 다 음, 합성수지제 필름을 열롤러에 의해 압압하여 베이스지를 만드는 공정, 상기 베이스지 위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 상기 접착제층 위에 반사용 금속분말을 도포하여 반사층을 증착시키는 공정, 필요에 따라 상기 반사층 위에 안료 조성물을 인쇄하여 인쇄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반사층 위에 또는 인쇄층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인쇄층 위에 글래스비드를 접착시키고, 건조 숙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베이스지 양면에 적층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베이스지 하부에 반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 1a은 베이스지 한 쪽에만 적층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재귀반사 시트의 개략 사시도, 도 1b는 베이스지 한 쪽에만 적층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재귀반사 시트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베이스지 상하부 양쪽에 적층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재귀반사 시트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극세사로 제직된 직물(10a) 위에 핫멜트 접착층(10b)과 합성수지층(10c)이 차례로 형성되어 베이스지(10)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베이스지(10) 위에는 접착제층(11), 반사층(12), 인쇄층(13)(필요에 따라) 및 글래스비드층(14)이 차레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시트 형태로 보관하기 위해 박리지층이 글래스비드층(14)에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지 상부뿐만 아니라, 하부에도 접착제층(11′), 반사층(12′), 인쇄층(13′), 및 글래스비드층(14′)이 차례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제조한 재귀반사 시트(폭 1m ×길이 500m)를 자동 롤 절단기를 사용하여 폭 10cm로 절단한 다음, 이 절단된 시트를 초정밀 절단기를 사용하여 재귀반사 실을 제조한다. 이 때 절단은 216가닥 ∼ 219가닥으로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절단 방식은 직각 날에 의한 방사형이 되어야 한다. 절단된 재귀반사 실은 MS, MH, MX, ST 방식으로 연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재귀반사 실은 가늘고 휘도가 높은 뿐만 아니라 인장강도가 우수하므로, 다른 원사와 연사하지 않고서도 자수용, 봉제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편면반사 재귀반사 시트의 제조
나일론 40D 다후다(제조사명: 고려합섬, 제품명: 나일론 TAFFTA ) 위에 핫멜트 접착제(제조사명: 알킨스, 제품명: 포리 핫멜트)를 라이프 코팅법으로 도포한 다음 그 위에 35㎛ PVC 필름(제조사명: (주)창원 제품명: P.V.C SHEET)을 적층하고 열롤러에 의해 압압하여 베이스지를 제조하였다.
이와 별도로, 박리지로 사용되는 P.E.T 필름(가로 1m x 세로 500m, 제조사명: (주)이화)에 입경 30㎛ 내지 50㎛의 글래스 비드를 붙였다. 그 위에 반사층 으로 알루미늄 분말을 5㎛ 두께로 증착한 후, 폴리우레탄 수지(제조사명: 동성화학, 제품명: 동성액상 폴리우레탄 수지)를 라이프 코팅법으로 그 위에 코팅하여 재귀반사 구조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베이스지와 상기 재귀반사 구조층을 열롤러에 의해 압압한 후 완전 건조시켜서 두께 110㎛∼130㎛의 재귀반사 시트를 제조하였다.
재귀반사 실의 제조
상기에서 제조한 재귀반사 시트를 자동 롤 절단기(제조사명: 광명기계제작소)로 세로 10cm로 절단한 다음, 상기 절단된 시트를 초정밀 절단기(제조사명: 성창기계제작소, 모델명: D.W 89 )로 0.26m/m의 폭으로 절단한 후 보빈에 와인딩하였다.
실시예 2
양면 반사 재귀반사 시트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편면 반사 재귀반사 시트의 베이스지 하부에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핫멜트 접착제와 PVC 필름을 적층하고 열롤러에 의해 압압하여 양면 반사용 베이스지를 형성하였다.
상기 양면 반사용 베이스지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얻은 재귀반사 구조층을 열롤러에 의해 압압하여 두께 약 250㎛의 양면 반사 재귀반사 시트를 제조하였다.
재귀반사 실의 제조
상기에서 제조한 양면 반사 재귀반사 시트를 자동 롤 절단기(제조사명: 광명기계제작소)로 세로 10cm로 절단한 다음, 상기 절단된 시트를 초정밀 절단기(제조사명: 성창기계제작소, 모델명: D.W 89)로 0.25∼0.3m/m의 폭으로 절단한 후 보빈에 와인딩하였다.
비교예 1
베이스지로 두께 50∼60㎛의 일반 T/C(폴리에스테르 65% & 커튼 35%) 원단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면 반사 재귀반사 시트를 제조한 후, 이를 절단하여 재귀반사 실로 하였다.
비교예 2
베이스지로 두께 30㎛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베이스지로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면 반사 재귀반사 시트를 제조하고, 이를 절단하여 재귀반사 실로 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한 재귀반사 시트의 반사 휘도롤 EN 471에 의거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표 1
구 분 관측각(°) 입사각(°) 반사성능(cd/Lux. ㎡)
실시예 1 0.2° 563.5
20° 564.0
30° 554.6
40° 426.0
0.33° 400.9
20° 398.7
30° 390.9
40° 337.5
1.0° 26.0
20° 27.6
30° 28.9
40° 20.7
1.5° 24.4
20° 22.8
30° 22.8
40° 23.3
비교예 1 0.2° 490.9
20° 529.1
30° 530.2
40° 517.2
0.33° 361.9
20° 386.1
30° 386.4
40° 375.8
1.0° 21.0
20° 23.7
30° 24.2
40° 23.7
1.5° 26.0
20° 26.7
30° 26.9
40° 26.3
상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한 재귀반사 시트는 비교예 1에 따라 제조한 시트에 비하여 반사성능이 우수함을 알았다.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에 따라 제조한 재귀반사 시트를 절단하여 형성한 재귀반사 실의 외관, 인장 강도 및 자수기에서의 작업성을 완력 및 육안 관 찰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한 재귀반사 실은 인장 강도 및 자수기에서의 작업성이 우수하였다. 그러나,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재귀반사 실은 올이 풀려 외관이 불량하며, 자수기에서 실이 자주 끊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교예 2에서 제조한 재귀반사 실은 인장 강도가 낮아서, 자수기에서 실이 자주 끊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재귀반사 시트는 극세사로 이루어진 직물과 합성 수지층을 핫멜트 접착제로 접합한 구조를 베이스지로 사용함에 따라, 두께가 얇아도 강도가 우수하며 또한 반사 휘도가 양호하다. 또한, 이 시트를 절단하여 재귀반사 실을 형성한 경우에, 다른 원사와 연사함이 없이도 강도가 우수하여 자수사 또는 봉제사로서 사용가능하다.

Claims (12)

  1. 극세사로 제직한 나일론 30D~120D 다후다 또는 폴리 50D~150D 다후다인 직물 위에 핫멜트형 접착제층과, PVC 필름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층을 차례로 적층하여 이루어진 베이스지;
    상기 베이스지 위에 도포된 열경화성 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진 합성수지계 접착제층;
    상기 접착제층 위에 형성된 반사층;
    상기 반사층 위에 형성된 인쇄층; 및
    상기 인쇄층 위에 증착된 글래스비드층을 포함하는 재귀반사 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알루미늄 분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 시트.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귀반사 시트는 두께가 120㎛ 내지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 시트.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지 하부에 합성수지계 접착제층, 반사층, 인쇄층 및 글래스비드층을 차례로 더 형성하여 양면 반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 시트.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재귀반사 시트는 두께가 180㎛ 내지 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 시트.
  11. 제 1항, 제 2항 및 제 8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재귀반사 시트를 절단하여 제조한 재귀반사 실.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재귀반사 실이 자수용 또는 봉제용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재귀반사 실.
KR1020050032279A 2005-04-19 2005-04-19 재귀반사 시트 및 그로부터 제조된 재귀반사 실 KR100721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279A KR100721971B1 (ko) 2005-04-19 2005-04-19 재귀반사 시트 및 그로부터 제조된 재귀반사 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279A KR100721971B1 (ko) 2005-04-19 2005-04-19 재귀반사 시트 및 그로부터 제조된 재귀반사 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0086A KR20060110086A (ko) 2006-10-24
KR100721971B1 true KR100721971B1 (ko) 2007-05-25

Family

ID=37616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2279A KR100721971B1 (ko) 2005-04-19 2005-04-19 재귀반사 시트 및 그로부터 제조된 재귀반사 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19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680B1 (ko) 2007-09-15 2008-08-13 (주)리플로맥스 인장강도가 향상된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시트
KR101691435B1 (ko) * 2015-03-30 2016-12-30 배재천 재귀반사 편사 및 이를 이용한 재귀반사 편성물
KR102637852B1 (ko) * 2021-03-24 2024-02-20 (주)더블비큐코리아 알루미늄 증착필름을 이용한 반사방초시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2279A (ko) * 2003-10-01 2005-04-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소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2279A (ko) * 2003-10-01 2005-04-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소자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50032279 - 686845
1020050032279 - 68684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0086A (ko) 200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15558C1 (ru) Композитное полотно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способ непрерывного получения непрерывного полотна с перекрещивающимися слоями, способ непрерывного получения непрерывного полотна с пересекающимися слоями, антибаллистическое изделие, полотно с пересекающимися слоями непрерывной длины (варианты) и многослойный композит
CN1201531A (zh) 具有背衬的微结构制品及其制造方法
KR100721971B1 (ko) 재귀반사 시트 및 그로부터 제조된 재귀반사 실
JP5889729B2 (ja) ゴム帯状部材の巻取りライナー
JP5623806B2 (ja) 布粘着テープ
WO1986002306A1 (en) Coated abrasive sheet material with improved backing
EP0301764B1 (en) Adhesive tapes
CN110423565B (zh) 粘合带以及该粘合带的制造方法
KR200247552Y1 (ko) 유색 반사실
AU662356B2 (en) Tape composition utilizing a multi-layer film
US4595627A (en) Fluorescent textile material
US5556690A (en) Composite ravel-free needlework fabric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10876239B2 (en) Primary base fabric for tufted carp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2017177674A (ja) ゴム巻き取りシート
EP0329320B1 (en) Thermal camouflage fabric
KR102234833B1 (ko) 앵커층을 포함하는 직물 테이프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9030219A (ja) 金銀糸
GB2361881A (en) Adhesive tape
KR102172039B1 (ko) 가연사를 이용한 직물 테이프용 바탕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0169809A (ja) 粘着テープ
JP2862566B2 (ja) 印刷面を有する横方向引裂性粘着テープ
GB2218674A (en) Decorative sheet material
JP5932176B2 (ja) ゴム帯状部材の巻取りライナー
JP2969886B2 (ja) 粘着テープ用基材
JPH05247421A (ja) 粘着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