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1767B1 - 차선도색차량 - Google Patents

차선도색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1767B1
KR100721767B1 KR1020070011758A KR20070011758A KR100721767B1 KR 100721767 B1 KR100721767 B1 KR 100721767B1 KR 1020070011758 A KR1020070011758 A KR 1020070011758A KR 20070011758 A KR20070011758 A KR 20070011758A KR 100721767 B1 KR100721767 B1 KR 100721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tank
lane
heating
heat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1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훈
Original Assignee
유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훈 filed Critical 유재훈
Priority to KR1020070011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17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1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1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04Devices for guiding or controlling the machines along a predetermined path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Abstract

본 발명은 차선도색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도료의 종류에 관계없이 모두 사용하여 차선을 도색할 수 있도록 한 차선도색차량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차체 아래의 좌측과 우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운팅 암이 구비된 트럭형의 차량; 상기 차량에 각각 탑재되는 것으로, 가열형ㆍ상온형ㆍ수용성ㆍ이액형 도로표지용 도료 중 어느 하나가 담기는 제1도료탱크와, 융착식 도로표지용 도료가 담기는 한편 이를 녹이기 위한 융해수단을 갖춘 제2도료탱크; 상기 마운팅 암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도료탱크 또는 제2도료탱크로부터 도료를 공급받아 노면에 차선을 긋는 도색장치; 상기 도색장치를 제1도료탱크 및 제2도료탱크와 연결하는 도료수송라인; 상기 도료수송라인에 설치된 도료압송펌프; 상기 도료수송라인에서 상기 도색장치와 도료압송펌프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도료탱크로부터 가열형 도로표지용 도료를 공급받아 차선도색작업을 할 때 이 도료를 가열하여 점성을 줄이는 도료가열수단; 상기 제1도료탱크로부터 이액형 도로표지용 도료를 공급받아 차선도색작업을 할 때 이 도료에 첨가되도록 상기 도료수송라인이나 도색장치에 경화제를 공급하는 경화제공급장치; 및, 상기 제2도료탱크로부터 도료를 공급받아 차선도색작업을 할 때 상기 도료수송라인을 가열하여 수송 중인 도료를 보온하는 온도유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료, 도색, 열매체, 전열선, 차량, 차선, 펌프

Description

차선도색차량{Road line marking vehicle}
도 1,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차량을 나타낸 도면 대용 사진으로서, 도 1은 앞쪽에서 촬영한 것이고, 도 2는 뒤쪽에서 촬영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차량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 대용 사진으로서, 위에서 촬영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차량의 주요부 계통관계 등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차량의 마운팅 프레임 어셈블리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차량의 도료수송라인을 따라 수송되는 도료를 보온하는 온도유지수단이 도시된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 제1도료탱크 2 : 제2도료탱크
21 : 융해조 25 : 저장조
3 : 도료수송라인 4 : 경화제공급장치
5 : 차량 6 : 도료리턴장치
74 : 마운팅 암 100 : 도색장치
C1, C2 : 맥동감쇄장치 G : 발전기
H : 도료가열수단 P : 도료압송펌프
본 발명은 차선도색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도료의 종류에 관계없이 모두 사용하여 차선을 도색할 수 있도록 한 차선도색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특히 차도)의 노면에는 주행방향이나 차로와 차로 등을 구분하기 위한 목적으로 차선이 표시되는 바, 이러한 차선은 도로표지용 도료에 의하여 그어지게 되고, 이 작업에는 차선도색장치가 사용된다.
한편, 도로표지용 도료의 종류에는 가열형, 상온형, 수용성, 융착식, 이액형 등이 있는데, 차선도색장치는 이들 도료 중에서 사용되는 것에 따라 구성이 결정된다. 즉 나열한 도료는 각각 저마다의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그 특성을 고려, 이에 맞게 차선도색장치를 구성하여야 하였던 것이다. 때문에 원활한 차선도색작업을 위해서는 다양한 차선도색장치를 보유하여야만 하였다. 정리하면, 이전까지는 어느 한 도료를 위한 전용의 차선도색장치만으로 그 밖의 도료를 사용하여 차선 도색작업을 하는 것이 곤란하였던 것이다.
설명한 문제점에 대한 예로는, ①가열형 도로표지용 도료 전용 차선도색장치는 도료를 가열, 그 점성을 줄이기 위한 수단을 갖추고 있고 융착식 도로표지용 도료 전용 차선도색장치는 도료를 융해시키기 위한 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에 대하여, 상온형ㆍ수용성ㆍ이액형 도로표지용 도료 전용 차선도색장치는 이러한 수단이 필요 없다는 점 ②융착식 도로표지용 도료는 건조에 30~120초가 소요되는 것에 대하여, 가열형 도로표지용 도료는 건조에 10~15분이 소요되기 때문에(참고로, 상온형ㆍ수용성ㆍ이액형 도로표지용 도료는 각각 건조에 20~25분, 30~40분, 20~30분이 소요된다) 융착식 도로표지용 도료를 사용, 가열형 도로표지용 도료 전용 차선도색장치로 차선도색작업을 하게 되면 도료의 융해는 어느 정도 가능하겠으나, 이 융해된 도료가 노면에 뿌려지기까지의 수송과정에서 (신속한 건조성 때문에)경화되어 수송라인의 관로가 막히게 된다는 점 ③수용성 도로표지용 도료 전용 차선도색장치의 경우에는 수송관로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처리가 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이 밖의 차선도색장치는 이러한 처리가 불필요하다는 점 ④이액형 도로표지용 도료 전용 차선도색장치의 경우에는 경화를 촉진시키기 위한 경화제첨가수단을 갖추고 있는 것에 대하여, 이것 이외의 도료를 사용하는 차선도색장치는 이와 같은 수단이 필요 없다는 점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가열형ㆍ상온형ㆍ수용성ㆍ이액형 도로표지용 도료 중에서 어느 한 도료가 담기는 탱크, 융착식 도로표지용 도료가 담기는 탱크, 이 두 개의 탱크 중에서 어느 하나에 담긴 도료에 의하여 노면에 차선을 긋는 도색장치, 가열형 도로표지용 도료를 가열하기 위한 수단, 융착식 도로표지용 도료를 융해시키기 위한 수단 및 수송과정에서 이 융착식 도로표지용 도료의 경화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 이액형 도로표지용 도료의 사용을 위한 경화제공급장치 등을 구비하되, 이들 모두를 트럭형의 차량에 탑재하고, 또 부식이 방지되도록 도료수송라인을 구성함으로써, 이 하나로 여러 종류의 도료를 사용하여 차선도색작업을 할 수가 있는 차선도색차량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재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 아래의 좌측과 우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운팅 암이 구비된 트럭형의 차량, 상기 차량에 각각 탑재되는 것으로 가열형ㆍ상온형ㆍ수용성ㆍ이액형 도로표지용 도료 중 어느 하나가 담기는 제1도료탱크 및 융착식 도로표지용 도료가 담기는 한편 이를 녹이기 위한 융해수단을 갖춘 제2도료탱크, 상기 마운팅 암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도료탱크 또는 제2도료탱크로부터 도료를 공급받아 노면에 차선을 긋는 도색장치, 상기 도색장치를 제1도료탱크 및 제2도료탱크와 연결하는 도료수송라인, 상기 도료수송라인에 설치된 도료압송펌프, 상기 도료수송라인에서 상기 도색장치와 도료압송 펌프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도료탱크로부터 가열형 도로표지용 도료를 공급받아 차선도색작업을 할 때 이 도료를 가열하여 점성을 줄이는 도료가열수단, 상기 제1도료탱크로부터 이액형 도로표지용 도료를 공급받아 차선도색작업을 할 때 이 도료에 첨가되도록 상기 도료수송라인이나 도색장치에 경화제를 공급하는 경화제공급장치 및, 상기 제2도료탱크로부터 도료를 공급받아 차선도색작업을 할 때 상기 도료수송라인을 가열하여 수송 중인 도료를 보온하는 온도유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도료탱크는 상기 융해수단이 갖추어진 융해조와, 상기 융해조로부터 융해된 도료를 공급받아 보관하는 저장조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본 발명은 상기 저장조로부터 도료를 공급받아 차선도색작업을 할 때 상기 도색장치의 작동정지로 이 도색장치 및 도료수송라인에 남아 있게 되는 도료를 상기 저장조로 돌려보내는 도료리턴장치와, 상기 저장조를 가열하여 보관되어 있는 도료를 보온하는 온도유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융해수단은 열을 가하여 도료를 녹이는 가열기와, 융해된 도료를 섞는 교반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료리턴장치는 상기 도색장치와 도료수송라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저장조를 연결하는 도료리턴라인, 상기 도료리턴라인에 설치된 도료리턴펌프 및, 상기 도료리턴라인을 가열하여 상기 저장조로 리턴 중인 도료를 보온하는 온도유지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리턴 중인 도료를 보온하는 온도유지수단은 상기 도료리턴라인에 감긴 전열선과, 상기 차량에 탑재되는 것으로 상기 전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발전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료리턴라인은 적어도 그 벽의 일부분에 유로가 마련된 구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상기 리턴 중인 도료를 보온하는 온도유지수단은 상기 도료리턴라인의 유로 한쪽으로는 열매체를 공급하고 다른 쪽으로는 이 공급된 열매체를 회수하는 방식으로 열매체를 순환시키도록 구성된 열매체순환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저장조는 적어도 그 벽의 일부분에 유로가 마련된 구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상기 저장조에 보관된 도료를 보온하는 온도유지수단은 상기 저장조의 유로 한쪽으로는 열매체를 공급하고 다른 쪽으로는 이 공급된 열매체를 회수하는 방식으로 열매체를 순환시키도록 구성된 열매체순환장치일 수 있다.
상기 수송 중인 도료를 보온하는 온도유지수단은 상기 도료수송라인에 감긴 전열선과, 상기 차량에 탑재되는 것으로 상기 전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발전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색장치는 적어도 좌우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도료수송라인은 이렇게 도색장치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일부분이 플렉시블 관으로 구성되는 한편 나머지는 적어도 그 벽의 일부분에 유로가 마련된 구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상기 수송 중인 도료를 보온하는 온도유지수단은 상기 도료수송라인 중에서 플렉시블 관을 가열하는 수단 및 나머지를 가열하는 수단으로 나누어지되, 전자는 적어도 플렉시블 관에 감긴 전열선과, 상기 차량에 탑재되는 것으로 상기 전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발전기로 구성될 수 있고, 후자는 유로의 한쪽으로는 열매체를 공급하고 다른 쪽으로는 이 공급된 열매체를 회수하는 방식으로 열매체를 순환시키도록 구성된 열매체순환장치일 수 있다.
상기 도료수송라인은 내식성재로 이루어지거나 내식성재가 코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료수송라인은 상기 도료압송펌프와 도색장치 사이에 도료의 맥동을 감쇄시키기 위한 맥동감쇄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차량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차량의 전체 또는 그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 대용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차량의 주요부 계통관계 등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차량은 마운팅 프레임 어셈블리(Mounting Frame Assembly)(7)를 갖춘 트럭 타입의 차량(5), 이 차량(5)에 탑재된 도료공급시스템(여기서의 시스템은 복합적인 기계장치를 뜻함), 이 도료시스템으로부터 도료를 공급받아 노면에 차선을 긋는 도색장치(예를 들어 스프레이건)(100)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중에서 도료공급시스템은 제1도료탱크(1)와 제2도료탱크(2), 도료를 위의 도색장치(100)로 수송하는 역할을 하는 도료수송라인(3)과 도료압송펌프(P), 도료가열수단(H), 경화제공급장치(4), 도료수송라인(3)을 따라 수송되는 도료를 보온하는 온도유지수단(이하, 제1보온수단이라 한 다), 도료리턴장치(6),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하는 발전기(G)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는 위의 마운팅 프레임 어셈블리(7)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마운팅 프레임 어셈블리(7)는 차량(5)의 전륜과 후륜 사이에 위치되도록 차체 아래의 좌측과 우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에 매달린 형태로 설치된 마운팅 포스트(72)와, 이 마운팅 포스트(72)의 하단부에 한쪽 단부가 힌지방식에 의하여 상하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마운팅 암(Arm)(74)과, 이 마운팅 암(74)을 마운팅 포스트(72)에 대하여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도록 회전시키는 암 구동수단(76)으로 구성된다.
마운팅 암(74)은 암 구동수단(76)에 의하여 펴진 때 그 다른 쪽(마운팅 포스트와의 힌지 연결부 반대편)이 차량(5)의 뒤쪽을 향하도록 마운팅 포스트(72)와 연결된다. 또한 펴진 때 노면에 닿아 차량(5)이 주행함에 따라 구름운동을 하도록 보조 휠(78)이 설치된다.
암 구동수단(76)은 실린더 하우징, 피스톤, 피스톤 로드 등으로 이루어진 유압식 실린더로 구성되는데, 이 실린더는 그 양단 부분이 마운팅 포스트(72)와 마운팅 암(74)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물론, 이러한 암 구동수단(76)은 설명한 실린더 타입 이외에 마운팅 암(74)을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른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이 가능하다.
제1도료탱크(1)는 그 안에 가열형ㆍ상온형ㆍ수용성ㆍ이액형 도로표지용 도료 중 어느 하나가 담긴다. 또 제1도료탱크(1)는 그 도료배출구에 배출되는 도료의 양을 조절하는 장치(개폐장치 따위)(G1)가 설치된다.
제2도료탱크(2)는 융해조(21)와 저장조(25)로 구성된다. 융해조(21)는 그 안에 융착식 도로표지용 도료가 담기는 바, 담긴 도료를 효과적으로 녹이기 위한 융해수단이 갖추어진다. 저장조(25)는 이렇게 융해된 도료를 융해조(21)로부터 공급받아 경화됨이 없도록 보관하는 것으로서, 도료의 경화방지는 저장조(25)의 구조변경과 이 저장조(25)를 간접가열방식으로 가열하는 온도유지수단(이하, 제2보온수단이라 한다)에 의하여 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 융해조(21)는 도료에 포함된 이물질 따위가 저장조(25)로 공급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그 도료배출구에 필터(24)가 설치되는 한편 배출되는 도료의 양을 조절하는 장치(개폐장치 따위)(G2a)가 설치되고, 저장조(25)도 마찬가지로 그 도료배출구에 배출되는 도료의 양을 조절하는 장치(G2b)가 설치된다. 또 융해조(21)와 저장조(25)는 저장조(25)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도록 설치되고, 각각 이러한 높낮이 차이에 의하여 융해조(21)의 도료가 저장조(25)에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융해수단은 융해조(21)에 180~220℃의 열을 가하여 이 융해조(21)에 담긴 도료를 녹이는 가열기(22), 이 가열기(22)에 의하여 융해되는 도료를 뒤섞기 위한 날개가 구비된 교반기(23)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가열기(22)는 가스공급원(LPG)으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작동하는 가스버너로 구성된다.
융해조(21)로부터 공급받은 도료, 즉 융착식 도로표지용 도료의 경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저장조(25)는 그 벽과 바닥 중에서 적어도 벽에 열매체(일반적으로 오일류가 사용된다)가 흐를 수 있는 유로가 마련된 구조로 구성되는데, 이 구조의 대표적인 예로는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내통과 외통으로 구성하는 게 있겠다. 이때 내통과 외통 사이의 공간은 언급한 유로가 된다.
제2보온수단은 저장조(25)의 유로 한쪽으로는 열매체를 공급하고 저장조(25)의 유로 다른 쪽으로는 이와 같이 공급된 열매체를 회수하는 방식으로 열매체를 순환시키는 열매체순환장치로서, 이는 열매체순환펌프(82), 이 열매체순환펌프(82)의 토출구 및 흡입구를 저장조(25)의 유로 한쪽 및 다른 쪽과 각각 연결하는 열매체공급라인(84) 및 열매체회수라인(86)과, 이 열매체공급라인(84) 또는 열매체회수라인(86)에 설치된 열매체가열수단(88)으로 구성된다. 이때 열매체가열수단(88)은 열매체를 250~350℃로 가열 가능하도록 구성된 히터이다.
도료수송라인(3)은 한쪽 끝이 도색장치(100)에 연결된 본관(Main Pipe)(32)과, 이 본관(32)의 반대쪽 끝에서 두 갈래로 갈라져 나와 제1도료탱크(1)의 도료배출구 및 저장조(25)의 도료배출구에 각각 연결된 지관(Branch Pipe)(34a)(34b)으로 구성된다. 참고로, 본관(32)과 지관(34a)(34b)의 연결지점에는 삼방밸브(Three Way Valve)(V1)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적어도 본관(32), 이 본관(32)과 제1도료탱크(1)를 잇는 지관(34a)은 수용성 도로표지용 도료로 차선도색작업을 할 때 이 도료에 의한 부식이 방지되도록 그 자체가 내식성재로 이루어지거나 이 내식성재가 일정한 두께로 코팅된다.
설명한 도료수송라인(3) 중에서 본관(32)은 도색장치(100)로부터 일정한 부분(32f)이 플렉시블 파이프(금속박판을 나사선형으로 조합한 가요성이 있는 관, 고무관, 비닐관 등)로 배관되고,(도 6 참조) 이 이외의 부분은 일반적인 고형의 파이프(강관 등)로 배관된다. 이렇게 도료수송라인(3)의 일부분이 유연성을 갖도록 구성한 것은 도색장치(100)의 경우, 마운팅 암(74)에 상하 및 좌우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이것(도색장치의 이동)이 가능하려면 이처럼 도료수송라인(3)의 일부분이 자유자재로 구부러져 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고형의 파이프로 배관된 부분 중 본관(32)의 전체 또는 일부분, 이 본관(32)과 저장조(25)를 잇는 지관(34b)의 전체 또는 일부분은 그 벽에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열매체가 흐를 수 있는 유로가 마련된 구조로 구성된다.(도 7 참조) 즉 이중관의 구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이중관의 내관과 외관 사이의 공간은 유로가 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도료수송라인(3)을 따라 수송되는 도료를 보온하는 제1보온수단과 관련된 구조변경으로서, 자세한 것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료압송펌프(P)는 실린더 안에서 플런저(Plunger)가 왕복운동을 하면서 유 체(도료)를 목적지(도색장치)로 보내는 플런저 펌프가 적용될 수 있는 바, 이는 일례로 2개가 구비되어 지관(34a)(34b)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고, 또는 1개가 구비되어 본관(32)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료가열수단(H)은 가열형 도로표지용 도료를 사용하여 차선도색작업을 하는 때 70~80℃의 열을 가하여 이 도료의 점성을 줄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도료수송라인(3)에서 도료압송펌프(P)와 도색장치(100) 사이에 위치되도록, 바람직하게는 본관(32)에 설치된 히터로 구성된다.
한편, 도료수송라인(3)은 그 본관(32)의 일정한 두 지점에 양끝이 각각 연결된 형태의 관(이하, 우회용 관이라 한다)(36)을 부과함과 아울러 이 우회용 관(36)과 본관(32)의 연결지점에 삼방밸브(V2)(V3)를 각각 설치하는 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도료가열수단(H)은 우회용 관(36)에 설치된다. 이 같은 변경은 본관(32)을 따라 수송되는 도로표지용 도료 중에서 가열형 도로표지용 도료를 제외한 나머지가 불필요하게 도료가열수단(H)을 경유함이 없이 곧장 도색장치(100)로 수송되도록 한다.
경화제공급장치(4)는 이액형 도로표지용 도료를 사용하여 차선도색작업을 하는 때 반드시 필요로 하는 경화제를 이 도료에 첨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경화제를 도색장치(100)에 공급하여 첨가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경화제공급장치(4)는 안에 경화제가 담긴 경화제탱크(42), 이 경화제탱크(42)와 도색장 치(100)를 연결하는 경화제수송라인(44), 경화제탱크(42)의 경화제배출구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경화제의 양을 조절하는 수단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경화제수송라인(44)은 경화제탱크(42)가 본관(32)과 연결되도록 배관될 수도 있다.
제1보온수단은 융착식 도로표지용 도료를 사용하여 차선도색작업을 할 때 수송과정에서 이 도료가 냉각되어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바, 도료수송라인(3)의 플렉시블 파이프로 배관된 부분(32f)을 가열하는 타입과, 고형의 파이프로 배관된 부분 중에서 본관(32) 및 이 본관(32)을 저장조(25)와 잇는 지관(34b)을 가열하는 타입으로 구분된다.
도 6은 도료수송라인(3)의 플렉시블 파이프로 배관된 부분(32f)의 가열에 사용되는 타입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제1보온수단 중에서 전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파이프로 배관된 부분(32f) 전체 또는 일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감겨 전류에 의한 발열작용으로 고온(250~600℃)의 열을 가하는 전열선(132)과, 이 전열선(132)을 감싸도록 피복된 보온재(134)로 구성된다. 이때 전열선(132)은 발전기(G)로부터 해당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는다.
제1보온수단 중에서 후자는 고형의 파이프로 배관된 부분 중 본관(32) 및 이 본관(32)을 저장조(25)와 잇는 지관(34b)의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 벽에 열매체가 흐를 수 있는 유로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이 유로의 한쪽으로는 열매체를 공급하고 다른 쪽으로는 이와 같이 공급된 열매체를 회수하는 방식으로 열매체를 순환시키는 열매체순환장치이다.(도 7 참조)
여기서의 열매체순환장치는 열매체순환펌프, 이 열매체순환펌프의 토출구 및 흡입구를 유로 한쪽 및 다른 쪽과 각각 연결하는 열매체공급라인(92)(96)과 열매체회수라인(94)(98), 이 열매체공급라인(92)(96) 및 열매체회수라인(94)(98)을 따라 흐르는 열매체에 열을 가하는 열매체가열수단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열매체순환펌프와 열매체가열수단은 별도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겠으나, 여기서는 구성의 단순화를 위하여 제2보온수단의 열매체순환펌프(82)와 열매체가열수단(88)을 사용하였고, 이에 따라 열매체공급라인(92)(96) 및 열매체회수라인(94)(98)은 제2보온수단의 열매체공급라인(84)과 열매체회수라인(86)에서 각기 분기된 구조를 갖도록 배관하였다.
한편, 고형의 파이프로 배관된 부분 중에서 본관(32) 및 이 본관(32)을 저장조(25)와 잇는 지관(34b)에도 앞서 설명한 전열선(132)이 감기고 보온재(134)가 피복될 수 있다.
도료리턴장치(6)는 저장조(25)로부터 도료를 공급받아 차선도색작업을 할 때 작업정지에 의하여 도색장치(100), 본관(32), 이 본관(32)과 저장조(25)를 잇는 지관(32b) 등에 남아 있게 되는 도료를 저장조(25)로 돌려보내는 것으로서, 도료리턴라인(62), 도료리턴펌프(64) 및 온도유지수단(이하, 제3보온수단이라 한다)으로 구 성된다.
여기에서 도료리턴라인(62)의 경우, 본관(32)과 저장조(25)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도료리턴펌프(64)의 경우에는 이 도료리턴라인(62)에 설치되어 도료를 강제로 흡입, 저장조(25)로 압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도료리턴라인(62)은 그 벽에 열매체가 흐를 수 있는 유로가 마련된 구조, 일례로 이중관의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료리턴라인(62)과 본관(32)의 연결지점에는 삼방밸브(V4)가 설치되고, 도료리턴펌프(64)로는 플런저 펌프를 적용하였다.
한편, 도료리턴라인(62)은 본관(32)이 아닌 도색장치(100)에 연결될 수도 있는 바, 이 경우에 삼방밸브(V4)는 일반 밸브로 대체되어 도료리턴라인(62)과 도색장치(100)의 연결지점에 설치된다.
제3보온수단은 도료리턴라인(62)을 따라 흘러 저장조(25)로 수송되는 도료에 열을 가하여 경화를 방지하는 것으로서, 도료리턴라인(62)에 마련된 유로의 한쪽으로는 열매체를 공급하고 다른 쪽으로는 이렇게 공급된 열매체를 회수하는 방식으로 열매체를 순환시키는 열매체순환장치이고, 그 구성은 열매체순환펌프, 이 열매체순환펌프의 토출구 및 흡입구를 도료리턴라인(62)의 유로 한쪽 및 다른 쪽과 각각 연결하는 열매체공급라인(66a)(68a)과 열매체회수라인(66b)(68b), 이 열매체공급라인(66a)(68a) 및 열매체회수라인(66b)(68b)을 따라 흐르는 열매체에 열을 가하는 열매체가열수단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 같은 제3보온수단도 제1보온수단의 열매체순환장치와 마찬가지로 열매체순환펌프와 열매체가열수단을 별도로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겠으나, 제2보온수단의 열매체순환펌프(82)와 열매체가열수단(88)을 그대로 사용하였고, 아울러 열매체공급라인(66a)(68a) 및 열매체회수라인(66b)(68b)은 제2보온수단의 열매체공급라인(84) 및 열매체회수라인(86)에서 각각 분기된 구조를 갖도록 배관하였다.
도색장치(100)는 제1도료탱크(1) 또는 저장조(25)로부터 도료(제1도료탱크로부터 공급받는 경우에는 가열형ㆍ상온형ㆍ수용성ㆍ이액형 도로표지용 도료 중 어느 하나이고, 저장조로부터 공급받는 경우에는 융착식 도로표지용 도료이다)를 공급받아 이 도료로 차선을 도색하는 것으로서, 공지의 위치조절수단(320)에 의하여 마운팅 프레임 어셈블리(7)의 마운팅 암(74)에 상하 및 좌우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 같은 도색장치(100)는 공급받는 도료, 즉 차선 도색에 사용할 도료의 종류에 따라 그 타입이 결정되는데, 여기서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레이건을 갖춘 타입을 적용하였다.
이상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C1 및 C2는 맥동감쇄장치이다. 이 맥동감쇄장치(C1)(C2)는 도료압송펌프(P)와 함께 도료수송라인(3)에 설치되는 바, 바람직하게는 도료압송펌프(P)와 도색장치(100) 사이에 위치되어 수송되는 도료의 맥동을 감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맥동감쇄장치(C1)(C2)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팽창탱크로 구성된다. 물론, 수송되는 도료의 맥동을 감쇄시킬 수가 있는 것이라면 다른 어떤 것이라도 적용이 가능하고, 개수 또한 증감이 가능하다.
도면부호 112, 114, 116 및 118은 주입구와 배출구를 각각 갖춘 보온조로서, 이 안에는 도료압송펌프(P), 도료리턴펌프(64) 및 맥동감쇄장치(C1)(C2)가 각각 수용된다. 또한 보온조(112)(114)(116)(118)는 제2보온수단의 열매체공급라인(84)에서 분기된 라인(122)(126)이 그 주입구에 각각 연결되고, 아울러 제2보온수단의 열매체회수라인(86)에서 분기된 라인(124)(128)이 그 배출구에 각각 연결된다.
다음에서는 사용할 도료의 종류에 따른 작동관계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1> 상온형ㆍ수용성 도로표지용 도료
본관(32)과 지관(34a)(34b)의 연결지점, 우회용 관(36)과 본관(32)의 연결지점, 도료리턴라인(62)과 본관(32)의 연결지점에 각각 설치된 삼방밸브(V1~V4)를 조작하여 도료가 제1도료탱크(1)에서 본관(32)과 제1도료탱크(1)를 잇는 지관(34a), 본관(32)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되, 우회용 관(36)을 경유함이 없이 도색장치(100)에 곧장 도달되도록 세팅한 상태에서 제1도료탱크(1)에 상온형(또는 수용성) 도로표지용 도료를 투입한 뒤 도료압송펌프(P)를 작동시키면 된다.
<2> 가열형 도로표지용 도료
각 삼방밸브(V1~V4)를 조작, 도료가 제1도료탱크(1)에서 본관(32)과 제1도료탱크(1)를 잇는 지관(34a), 본관(32)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되, 우회용 관(36)을 따라 우회하여 도색장치(100)에 도달되도록 세팅하고 도료가열수단(H)을 작동시킨 상 태에서 제1도료탱크(1)에 가열형 도로표지용 도료를 투입한 후 도료압송펌프(P)를 작동시키면 된다.
<3> 이액형 도로표지용 도료
각 삼방밸브(V1~V4)를 조작, 도료가 제1도료탱크(1)에서 본관(32)과 제1도료탱크(1)를 잇는 지관(34a), 본관(32)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되, 우회용 관(36)을 경유함이 없이 도색장치(100)에 곧장 도달되도록 세팅하고 경화제공급장치(4)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제1도료탱크(1)에 이액형 도로표지용 도료를 투입한 후 도료압송펌프(P)를 작동시키면 된다.
이에 따르면, 경화제는 도료수송라인(3)을 따라 수송되는 도료에 첨가되고, 도료는 이렇게 경화제가 첨가된 상태에서 노면에 뿌려진다.
<4> 융착식 도로표지용 도료
각 삼방밸브(V1~V4)를 조작하여 도료가 제2도료탱크(2)에서 본관(32)과 저장조(25)를 잇는 지관(34b), 본관(32)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되, 우회용 관(36)을 경유함이 없이 도색장치(100)에 곧장 도달되도록 세팅하고 제1ㆍ제2보온수단을 작동시킨 상태에서 융해조(21)에 융착식 도로표지용 도료를 투입한 뒤 융해수단(가열기, 교반기) 및 도료압송펌프(P)를 작동시키면 된다.
이에 따르면, 융해조(21)에 투입된 도료는 융해된 후 필터(24)에 의하여 여과된 상태로 저장조(25)에 공급되고, 이후 도료수송라인(3)을 따라 수송되어 노면 에 뿌려진다. 이 과정에서 제1보온수단은 열매체를 도료수송라인(3)의 유로에 공급하여 수송되는 도료를 보온, 경화를 방지하고, 제2보온수단은 열매체를 저장조(25)의 유로에 공급하여 보관 중인 도료가 냉각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차선도색작업이 정지된 경우, 도료리턴장치(6)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도료수송라인(3)의 해당 부분 및 도색장치(100)에 남아 있게 된 도료는 도료리턴펌프(64)의 압력작용에 의하여 도료리턴라인(62)을 따라 저장조(25)로 리턴된다. 이 과정에서 제3보온수단은 열매체를 도료리턴라인(62)의 유로에 공급, 리턴 중인 도료가 경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는 바,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가열형ㆍ상온형ㆍ수용성ㆍ이액형 도로표지용 도료 중에서 어느 하나가 담기는 제1도료탱크, 융착식 도로표지용 도료가 담기는 제2도료탱크, 제1도료탱크 및 제2도료탱크 중 어느 하나에 담긴 도료에 의하여 노면에 차선을 긋는 도색장치, 제1도료탱크 및 제2도료탱크를 도색장치와 연결하는 내식성의 도료수송라인, 가열형 도로표지용 도료가 갖는 점성을 줄 이기 위한 도료가열수단, 이액형 도로표지용 도료의 사용을 위한 경화제공급장치, 융착식 도로표지용 도료를 융해시키기 위한 융해수단 및 수송과정에서 이 융착식 도로표지용 도료가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온도유지수단 등이 하나의 차량에 모두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가열형ㆍ상온형ㆍ수용성ㆍ융착식ㆍ이액형 도로표지용 도료 중 어느 것이라도 사용하여 차선도색작업을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즉 도료의 종류에 따라 각기 상이한 장치를 보유하여야만 하였고, 이로 인하여 파생되었던 종래기술의 문제점(비용, 유지관리 등)을 모두 개선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1)

  1. 차체 아래의 좌측과 우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운팅 암이 구비된 트럭형의 차량;
    상기 차량에 각각 탑재되는 것으로, 가열형ㆍ상온형ㆍ수용성ㆍ이액형 도로표지용 도료 중 어느 하나가 담기는 제1도료탱크와, 융착식 도로표지용 도료가 담기는 한편 이를 녹이기 위한 융해수단을 갖춘 제2도료탱크;
    상기 마운팅 암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도료탱크 또는 제2도료탱크로부터 도료를 공급받아 노면에 차선을 긋는 도색장치;
    상기 도색장치를 제1도료탱크 및 제2도료탱크와 연결하는 도료수송라인;
    상기 도료수송라인에 설치된 도료압송펌프;
    상기 도료수송라인에서 상기 도색장치와 도료압송펌프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도료탱크로부터 가열형 도로표지용 도료를 공급받아 차선도색작업을 할 때 이 도료를 가열하여 점성을 줄이는 도료가열수단;
    상기 제1도료탱크로부터 이액형 도로표지용 도료를 공급받아 차선도색작업을 할 때 이 도료에 첨가되도록 상기 도료수송라인이나 도색장치에 경화제를 공급하는 경화제공급장치; 및,
    상기 제2도료탱크로부터 도료를 공급받아 차선도색작업을 할 때 상기 도료수송라인을 가열하여 수송 중인 도료를 보온하는 온도유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도색차량.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도료탱크는 상기 융해수단이 갖추어진 융해조와; 상기 융해조로부터 융해된 도료를 공급받아 보관하는 저장조로 구성되고,
    상기 차선도색차량은 상기 저장조로부터 도료를 공급받아 차선도색작업을 할 때 상기 도색장치의 작동정지로 이 도색장치 및 도료수송라인에 남아 있게 되는 도료를 상기 저장조로 돌려보내는 도료리턴장치와; 상기 저장조를 가열하여 보관되어 있는 도료를 보온하는 온도유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도색차량.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융해수단은 열을 가하여 도료를 녹이는 가열기와;
    융해된 도료를 섞는 교반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도색차량.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도료리턴장치는 상기 도색장치와 도료수송라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저장조를 연결하는 도료리턴라인;
    상기 도료리턴라인에 설치된 도료리턴펌프; 및,
    상기 도료리턴라인을 가열하여 상기 저장조로 리턴 중인 도료를 보온하는 온도유지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도색차량.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리턴 중인 도료를 보온하는 온도유지수단은 상기 도료리턴라인에 감긴 전열선과; 상기 차량에 탑재되는 것으로, 상기 전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발전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도색차량.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도료리턴라인은 적어도 그 벽의 일부분에 유로가 마련된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리턴 중인 도료를 보온하는 온도유지수단은 상기 도료리턴라인의 유로 한쪽으로는 열매체를 공급하고 다른 쪽으로는 이 공급된 열매체를 회수하는 방식으로 열매체를 순환시키도록 구성된 열매체순환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도색차량.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는 적어도 그 벽의 일부분에 유로가 마련된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저장조에 보관된 도료를 보온하는 온도유지수단은 상기 저장조의 유로 한쪽으로는 열매체를 공급하고 다른 쪽으로는 이 공급된 열매체를 회수하는 방식으로 열매체를 순환시키도록 구성된 열매체순환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도색차량.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송 중인 도료를 보온하는 온도유지수단은 상기 도료수송라인에 감긴 전열선과;
    상기 차량에 탑재되는 것으로, 상기 전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발전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도색차량.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색장치는 적어도 좌우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도료수송라인은 이렇게 도색장치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일부분이 플렉시블 관으로 구성되는 한편 나머지는 적어도 그 벽의 일부분에 유로가 마련된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송 중인 도료를 보온하는 온도유지수단은 상기 도료수송라인 중에서 플렉시블 관을 가열하는 수단 및 나머지를 가열하는 수단으로 나누어지되,
    전자는 적어도 플렉시블 관에 감긴 전열선과; 상기 차량에 탑재되는 것으로, 상기 전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발전기로 구성되고,
    후자는 유로의 한쪽으로는 열매체를 공급하고 다른 쪽으로는 이 공급된 열매체를 회수하는 방식으로 열매체를 순환시키도록 구성된 열매체순환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도색차량.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료수송라인은 내식성재로 이루어지거나 내식성재가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도색차량.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료수송라인은 상기 도료압송펌프와 도색장치 사이에 도료의 맥동을 감쇄시키기 위한 맥동감쇄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도색차량.
KR1020070011758A 2007-02-05 2007-02-05 차선도색차량 KR100721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758A KR100721767B1 (ko) 2007-02-05 2007-02-05 차선도색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758A KR100721767B1 (ko) 2007-02-05 2007-02-05 차선도색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1767B1 true KR100721767B1 (ko) 2007-05-25

Family

ID=38278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1758A KR100721767B1 (ko) 2007-02-05 2007-02-05 차선도색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17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255B1 (ko) 2010-07-07 2010-12-21 (주)중앙건설 차량 장착형 도로표시장치
KR101549354B1 (ko) * 2014-11-28 2015-09-01 이우재 차선 도색장치
KR20180049779A (ko) * 2016-11-03 2018-05-11 김영상 Lpg 가스통 동결방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8012A (ja) * 1994-10-28 1996-05-21 Nippon Kotsu Sangyo Kk 路面標示塗布装置
JPH09137403A (ja) * 1995-11-10 1997-05-27 Kensetsusho Kinkichihou Kensetsukyoku 路面区画線設置機械
KR100346415B1 (en) 2001-09-20 2002-08-21 Gungyo Co Ltd Uneven traffic lane painting device and traffic lane painting method using same
KR200320670Y1 (ko) 2003-04-30 2003-07-25 하스라인기계건설 주식회사 차선도포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8012A (ja) * 1994-10-28 1996-05-21 Nippon Kotsu Sangyo Kk 路面標示塗布装置
JPH09137403A (ja) * 1995-11-10 1997-05-27 Kensetsusho Kinkichihou Kensetsukyoku 路面区画線設置機械
KR100346415B1 (en) 2001-09-20 2002-08-21 Gungyo Co Ltd Uneven traffic lane painting device and traffic lane painting method using same
KR200320670Y1 (ko) 2003-04-30 2003-07-25 하스라인기계건설 주식회사 차선도포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255B1 (ko) 2010-07-07 2010-12-21 (주)중앙건설 차량 장착형 도로표시장치
KR101549354B1 (ko) * 2014-11-28 2015-09-01 이우재 차선 도색장치
KR20180049779A (ko) * 2016-11-03 2018-05-11 김영상 Lpg 가스통 동결방지장치
KR102035160B1 (ko) * 2016-11-03 2019-10-22 김영상 차선도색 용해기의 가스통 동결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1767B1 (ko) 차선도색차량
US5585143A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pplying solvent-free liquified coatings in a reclaim space
CA2072097A1 (en) Pain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vehicles
CN103648660B (zh) 用于对工件进行表面处理的设备
KR20180068807A (ko) 실러 순환 시스템
JP5913006B2 (ja) 水漏れ補修方法
US9481008B2 (en) Reclaim sealer application apparatus and method
JP4142894B2 (ja) 塗料供給装置および塗料供給方法
JP6537952B2 (ja) アスファルト乳剤散布装置
KR101648196B1 (ko) 폐열을 이용한 제설용액 히팅장치
US2158579A (en) Apparatus for recondftioning or painting pipe lines
JP3736198B2 (ja) 塗料供給装置
JPS629965Y2 (ko)
JP5751395B1 (ja) 配管内面の塗装方法
KR101822549B1 (ko) 파라핀 코팅 시공장치
EP0697557B1 (de) Verfahren zur Beschichtung und Schnellabdichtung von undichten Rohrleitungen, insbesondere Trinkwasserleitungen
KR101585602B1 (ko) 철도레일용 차열도료 자동코팅장치
JP6256371B2 (ja) 配管内面の塗装装置
JP5720746B2 (ja) 配管内面の塗装装置
CN210207948U (zh) 一种加油站地埋管用清洗机构
CN108018760A (zh) 一种防水材料铺设车
JP6256372B2 (ja) 配管内面の塗装装置
CN207185480U (zh) 一种城市浇灌装置
JP3108645U (ja) 道路区画線施工機における液体塗料の加熱装置
JPWO2006025122A1 (ja) 流体放出部を備えた上部旋回型作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