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1480B1 - 케이싱의 방배수 구조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케이싱의 방배수 구조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1480B1
KR100721480B1 KR1020050124288A KR20050124288A KR100721480B1 KR 100721480 B1 KR100721480 B1 KR 100721480B1 KR 1020050124288 A KR1020050124288 A KR 1020050124288A KR 20050124288 A KR20050124288 A KR 20050124288A KR 100721480 B1 KR100721480 B1 KR 100721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drainage
button
cover memb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4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5893A (ko
Inventor
신고 야마구찌
고헤이 쪼오라꾸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25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5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1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1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5K5/0214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ith means preventing penetration of rain water or du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3/00Venting
    • H01H2213/002Venting with external pressure
    • H01H2213/008Flaps cut out forming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싱의 커버 부재와 누름 버튼을 보유 지지하는 시트부와의 사이로 침입한 물이나 진애 등을 효율적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케이싱의 방배수 구조 및 전자 기기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표면에 복수의 누름 버튼(16)을 갖는 하부 케이싱(11)의 방배수 구조이다. 상기 표면을 형성하고, 또한 복수의 버튼 구멍(14a)이 마련된 커버 부재(14)와, 상기 복수의 누름 버튼(16) 및 복수의 누름 버튼(16)을 소정의 위치에 보유 지지하는 시트부(17)를 갖는다. 시트부(17)가 커버 부재(14)의 이면(14b)을 따라서 배치되는 동시에, 시트부(17)의 외주부가 커버 부재(14)에 밀착되고, 누름 버튼(16)이 커버 부재(14)의 버튼 구멍(14c)에 삽입된 버튼 유닛(15)을 구비하고 있다. 시트부(17)에는 누름 버튼(16)에 대향하고, 또한 누름 버튼(16)의 최대 외주 내의 면적보다 넓은 수로부를 갖는 홈 형상의 배수로(22)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싱, 누름 버튼, 커버 부재, 시트부, 버튼 유닛, 배수로

Description

케이싱의 방배수 구조 및 전자 기기 {WATERPROOF/DRAINAGE STRUCTURE FOR A CASING, AND ELECTRONIC DEVICES}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2의 (a)는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 형태의 누름 버튼, 시트부, 배수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1의 A-A단면도, 도2의 (b)는 배수로에 실시된 발수 처리 및 바이브레이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 형태의 버튼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 형태의 시트부 및 배수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 형태의 배수로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 형태의 배수로가 한번에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
도7은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 형태의 버튼 유닛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8은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 형태의 하부 케이싱에 있어서의 하단부 및 배수 구멍을 도시하는 도면.
도9는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 형태의 배수 구멍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8의 B-B 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 형태의 저수 탱크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 형태의 저수 탱크에 물이 저장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공진기 및 초음파 접합 헤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2는 본 발명에 관한 제2 실시 형태의 지지부 및 개구를 도시하는 도면.
도13은 본 발명에 관한 제3 실시 형태의 배수로, 배수 구멍 및 저수 탱크를 도시하는 도면.
도14는 본 발명에 관한 제4 실시 형태의 저수 탱크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15는 본 발명에 관한 제5 실시 형태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의 발열부 및 버튼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16은 본 발명에 관한 제5 실시 형태의 발열 부품 및 배수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15의 C-C 단면도.
도17은 본 발명에 관한 제6 실시 형태의 발열 부품 및 배수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휴대 전화기
11 : 하부 케이싱
12 : 상부 케이싱
13 : 힌지
14 : 커버 부재
14a : 표면 부분
14b : 이면
14c : 버튼 구멍
15 : 버튼 유닛
16 : 누름 버튼
16a, 17c : 외주 모서리
17 : 시트부
17a : 짧은 변
17b : 하단부 모서리
20 : 바이브레이터
21, 25 : 돌기
22, 53 : 배수로
22a : 배수로의 바닥벽부
23 : 확대 수로부
24 : 접속 수로부
26 : 수로 출구
28 : 고무 패킹
28a : 교축된 부분
29 : 배수 구멍
30 : 접속부
31 : 하부 케이싱의 바닥면
32 : 배터리 커버
33 : 저수 탱크
33a : 입구
33b : 출구
33c : 확인부
35, 37 : 역지 밸브
36 : 방수 시트
40, 51 : 기판
41 : 회로
42 : 돔 형상의 금속 시트
43 : 지지부
44 : 물
45 : 공기
50 : 전자 기기
52 : 발열 부품
53a : 바닥벽부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8-180760호 공보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2000-307697호 공보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2001-148726호 공보
본 발명은 노트북 컴퓨터, 휴대 전화기, 트랜시버, 전동 릴, 부엌의 설거지 물품, 현관의 차임 등 누름 버튼을 갖는 전자 기기 등에 적합한 케이싱의 방배수(防排水)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기나 퍼스널 컴퓨터 등의 IT(Information Technology) 관련의 전자 기기에는 다양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사용자의 요구가 많은 것 중 하나로, 전자 기기에 있어서의 누름 버튼 주위의 방수 기능이 있다.
종래, 전자 기기의 누름 버튼 주위의 방수 기술은 각종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에 있어서의 케이싱의 이면에 부착되는 시트부와, 이 시트부에 설치된 복수의 누름 버튼을 보유 지지하는 키 패드에 있어서, 전체 누름 버튼을 포위하는 외곽부와, 이 외곽부에 설치된 배수구를 갖는 방수 기기용 키 패드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휴대 전화의 케이싱에 내부로 침입한 물 등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용 구멍을 마련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또한, 키 버튼과 시트와 접점을 갖는 휴대 전화기이며, 키 버튼 및 시트로 이루어지는 외관부와, 시트와 접점으로 이루어지는 기능부로 분할하여 외관부와 기능부를 각각 따로따로 케이싱의 외측 및 내측으로부터 밀봉하는 방수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3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8-180760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2000-307697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2001-148726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케이싱의 방수 기술에서는 케이싱과 누름 버튼을 보유 지지하는 시트부 사이로 침입한 물이나 진애 등이 시트부가 넓은 범위로 분산되어 부착되므로, 이들 물이나 진애 등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물이나 진애 등이 케이싱과 시트부 사이에 잔류해도 내부의 전자 기기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은 거의 없다. 그러나, 내부에 잔류된 물에 의해 발생하는 곰팡이나, 진애 등에 의해 누름 버튼의 스트로크가 저해되어 누름 버튼의 조작성이 나빠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케이싱의 커버 부재와 누름 버튼을 보유 지지하는 시트부 사이로 침입한 물이나 진애 등을 효율적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케이싱의 방배수 구조 및 전자 기기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의 수단을 채용하였다.
(1) 본 발명은,
표면에 복수의 누름 버튼을 갖는 케이싱의 방배수 구조에 있어서,
상기 표면을 형성하고, 또한 복수의 버튼 구멍이 마련된 커버 부재와,
상기 복수의 누름 버튼 및 상기 복수의 누름 버튼을 소정의 위치에 보유 지 지하는 시트부를 갖고, 상기 시트부가 상기 커버 부재의 이면을 따라서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시트부의 외주부가 상기 커버 부재에 밀착되어 상기 누름 버튼이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버튼 구멍에 삽입된 버튼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시트부에는 상기 누름 버튼에 각각 대향하고, 또한 상기 누름 버튼의 최대 외주 내의 면적보다 넓은 수로부를 갖는 홈 형상의 배수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누름 버튼과 커버 부재의 버튼 구멍과의 간극으로부터 커버 부재와 버튼 유닛의 시트부와의 사이로 침입한 물이나 진애 등이 시트부에 설치된 홈 형상의 배수로에 모인다. 이에 의해, 물이나 진애 등이 배수로를 통해 흐르기 쉬워진다.
따라서, 누름 버튼과 버튼 구멍의 간극으로부터 커버 부재와 버튼 유닛의 시트부와의 사이로 침입한 물이나 진애 등을 효율적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물에 의해 발생한 곰팡이나, 진애 등에 의해 누름 버튼의 스트로크가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누름 버튼의 조작성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 상기 배수로는 상기 복수의 누름 버튼에 각각 대향하고, 또한 상기 누름 버튼의 최대 외주 내의 면적보다 넓은 확대 수로부와, 이들 확대 수로부를 접속하는 접속 수로부를 갖고, 상기 확대 수로부와 상기 접속 수로부를 연결하는 경로를 한번에 이어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배수로의 도중에 더 이상 갈 수 없는 부분이 없으므로, 배수로 내의 물이나 진애 등을 더 효율적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3) 상기 홈 형상의 배수로는 상기 시트부 상으로 돌출되는 끈 형상의 돌기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배수로를 간단히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배수로는 시트부에 오목 형상의 홈을 마련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4) 상기 시트부에는 상기 배수로로부터 나온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 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배수 구멍에는 개폐 가능한 덮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배수로 내의 물이나 진애 등을 배수 구멍으로부터 배출할 때에만 덮개를 개방하고, 물이나 진애 등을 배출할 때 이외에는 배수 구멍을 폐쇄함으로써 배수 구멍으로부터 배수로 내로 물이나 진애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5) 상기 배수로에는 발수(撥水)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수 처리로서는 테플론(등록 상표)이나 불소 수지의 코팅, 왁스계 등 각종 발수제의 도포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배수로 내의 물이 발수 처리에 의해 튀어 배수로 내를 흐르기 쉬워지므로, 더 효율적으로 물 등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6) 상기 배수로를 진동시키는 진동 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배수로 내의 물이나 진애 등을 진동시켜 강제적으로 흐르게 할 수 있다.
(7) 상기 배수 구멍에 접속된 탱크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배수로로부터 배출되어 물이 배수 구멍을 경유하여 탱크에 모이기 때문에, 배 수 구멍으로부터 배출된 물 등에 의해 주위의 것이 젖거나 오염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8) 본 발명은,
표면에 복수의 누름 버튼이 설치된 케이싱을 갖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표면을 형성하고, 또한 복수의 버튼 구멍이 마련된 커버 부재와,
상기 복수의 누름 버튼 및 상기 복수의 누름 버튼을 소정의 위치에 보유 지지하는 시트부를 갖고, 상기 시트부가 상기 커버 부재의 이면을 따라서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시트부의 외주부가 상기 커버 부재에 밀착되어 상기 누름 버튼이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버튼 구멍에 삽입되는 버튼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시트부에는 상기 복수의 누름 버튼에 각각 대향하고, 또한 상기 누름 버튼의 최대 외주 내의 면적보다 넓은 수로부를 갖는 홈 형상의 배수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자 기기의 케이싱에 설치된 누름 버튼과 버튼 구멍의 간극으로부터 내부로 침입한 물이나 진애 등을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9) 상기 케이싱 내에 설치된 발열 부재를 갖고, 상기 배수로의 벽부분이 상기 발열 부재에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에는 배수로의 벽부분이 발열부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배수로 내를 흐르는 물로 발열 부재를 냉각할 수 있다.
(10) 상기 케이싱 내에 설치된 발열 부재와, 상기 배수로로부터 배출된 물을 저장하는 탱크를 갖고, 상기 탱크가 상기 발열 부재에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에는, 탱크에 의해 발열 부재를 냉각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 형태의 전자 기기인 휴대 전화기(1)를 도시한다. 이 휴대 전화기(1)는 대략 직사각형이고 편평 형상의 하부 케이싱(11) 및 상부 케이싱(12)을 갖고 있다. 이들 하부 케이싱(11) 및 상부 케이싱(12)은 그 긴 변측의 일단부가 힌지(13)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1은 하부 케이싱(11)에 있어서의 커버 부재(14)의 상면 부분(14a)[도2의 (a) 참조]이 제거되어 버튼 유닛(15)이 노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하부 케이싱(11)의 내부에는 진동 부재인 바이브레이터(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바이브레이터(20)는 버튼 유닛(15)의 시트부(17)에 있어서의 배수로(22)의 바닥벽부(22b)[도2의 (b) 참조]에 접촉되어 있다.
또한, 이 하부 케이싱(11)의 내부에는 통상의 휴대 전화기와 같은 회로 기판 및 전자 부품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회로 기판 및 전자 부품은 일반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하부 케이싱(11)은, 도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외표면을 형성하는 상자 형상의 커버 부재(14)와, 이 커버 부재(14)에 있어서의 상면 부분(14a)의 이면(14b)을 따라서 배치된 버튼 유닛(15)을 갖고 있다.
또한, 도2의 (a) 중 부호 40은 기판, 41은 회로, 42는 도전성을 갖는 돔 형상의 금속 시트, 43은 커버 부재(14)에 있어서의 상면 부분(14a)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부이다.
지지부(43)는 버튼 유닛(15)에 있어서의 누름 버튼(16)의 측단부에 이격 가능하게 접촉되어 있다. 누름 버튼(16)이 눌리면 누름 버튼(16)의 측단부와 지지부(43) 사이에 간극이 발생한다.
상기 배수로(22)의 내면에는, 도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수 처리(22a)가 실시되고 있다. 발수 처리로서는, 테플론(등록 상표)이나 불소 수지의 코팅, 왁스계 등 각종 발수제의 도포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버튼 유닛(15)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누름 버튼(16)과, 이들 누름 버튼(16)을 보유 지지하는 대략 직사각형의 시트부(17)를 갖고 있다. 이 시트부(17)는 고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시트부(17)의 형상 및 크기는 하부 케이싱(11)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서 설정된다. 누름 버튼(16)은 시트부(17) 상에 적재되어 있다.
도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튼 유닛(15)의 누름 버튼(16)이 눌리면 돔 형상의 금속 시트(42)가 탄성 변형하여 회로(41)에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이에 의해, 누름 버튼(16)에 따른 동작이 행해진다.
도4는 시트부(17) 상의 누름 버튼(16)을 제외한 상태를 도시한다. 이 시트부(17)에는 시트부(17)의 버튼 적재면 상으로 돌출되는 가늘고 긴 돌기(21)에 의해 둘러싸인 배수로(2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배수로(22)는 복수의 누름 버튼(16)에 각각 대향하고, 또한 누름 버튼(16)의 최대 외주 내의 면적보다 조금 넓은 수로 면적을 갖는 대략 타원형 또는 부 채형의 확대 수로부(23)와, 이들 복수의 확대 수로부(23)를 접속하는 폭이 좁은 접속 수로부(24)를 갖고 있다.
즉, 확대 수로부(23)는 누름 버튼(16)의 최대 외주를 더 넓힌 위치에 누름 버튼(16)을 둘러싸는 제방 형상의 돌기(21)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확대 수로부(23)의 중심에는 누름 버튼(16)을 적재하는 돌기(25)가 설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도5 및 도6 중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수로(22)에 포함되는 모든 확대 수로부(23) 및 접속 수로부(24)를 연결하는 경로가 한번에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로(22)의 모든 확대 수로부(23) 및 접속 수로부(24)를 연결하는 경로가 하나의 선(S)이 되도록 연속해서 접속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시트부(17)의 짧은 변(17a)을 따라서 3개의 확대 수로부(23)가 일렬 n1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3개의 확대 수로부(23)로 이루어지는 열 n1, n2…이 복수단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열 n1, n2…에 있어서의 확대 수로부(23)의 형상은 누름 버튼(16)의 외주 모서리(16a)[도2의 (a) 참조]의 형상과 유사하다.
또한, 도6 중에서 상하의 관계를 갖는 2개의 열 n1 및 n2, n2 및 n3 …에 있어서의 한쪽 단부와 그 반대의 단부에 있어서의 확대 수로부(23, 23)가 교대로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어, 1단째와 2단째의 열 n1 및 n2에 있어서의 좌측단부의 확대 수로부(23, 23)가 접속된 경우에는 2단째와 3단째의 열 n2 및 n3에 있어서의 우측단부 의 확대 수로부(23, 23)가 접속된다.
또한, 3단째와 4단째의 열 n3 및 n4에 있어서의 좌측단부의 확대 수로부(23, 23)가 접속된다. 이하, 마찬가지로 하여 모든 단의 확대 수로부(23)가 하나의 선(S)으로 연결되도록 접속되어 있다.
도7은 시트부(17)의 배수로(22)에 있어서의 확대 수로부(23) 내에 누름 버튼(16)을 배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상기 배수로(22)의 확대 수로부(23)는, 도2의 (a)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 버튼(16)의 최대 외주인 외주 모서리(16a)보다 조금 외측으로 확대되어 있다.
따라서, 도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 버튼(16)의 외주 모서리(16a)와 커버 부재(14)의 버튼 구멍(14c)과의 간극으로부터 침입한 물이나 진애 등은 배수로(22)의 확대 수로부(23) 내로 낙하한다.
또한,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로(22)의 한쪽 단부(도7 중 하단부)에 설치된 확대 수로부(23a)에는 시트부(17)의 외측을 향해 개구된 수로 출구(26)가 설치되어 있다.
도8은 하부 케이싱(11)에 설치된 버튼 유닛(15)에 있어서의 상면도이다. 이 버튼 유닛(15)에 있어서의 시트부(17) 상에는 그 외주(17b)를 따라서 가늘고 긴 고무 패킹(28)이 설치되어 있다. 이 고무 패킹(28)에 의해 전체 누름 버튼(16)이 포위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배수로(22)의 외측으로 진입한 물이나 진애 등이 고무 패킹(28)으로부터 외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시트부(17)에 설치된 배수로(22)의 수로 출구(26)는 고무 패킹(28)으 로 둘러싸인 범위 내에 개구되어 있다.
이 고무 패킹(28)에 의해 둘러싸인 범위는 하부 케이싱(11)의 일단부측(도8 중 하단부측)에서 교축되어 있다. 이 교축된 부분(28a)에 있어서의 시트부(17)에는 배수 구멍(29)이 마련되어 있다. 이 배수 구멍(29)은 하부 케이싱(11)의 커버 부재(14) 등을 부착하는 나사 구멍용 보스의 일부에 마련할 수 있다. 또한, 배수 구멍(29)은 적당한 위치에 마련할 수 있다.
이 배수 구멍(29)은,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싱(11)의 측방에 있어서의 두꺼운 부분(30)을 관통하여 하부 케이싱(11)의 바닥면(31)까지 도달하고 있다. 배수 구멍(29)에는 덮개(29a)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배수 구멍(29)의 중간부에는 하부 케이싱(11)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저수 탱크(33)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9 중 부호 32는 배터리 커버이다.
배수로(22)의 수로 출구(26)로부터 배출된 물 등은 시트부(17) 상에 있어서의 고무 패킹(28)의 내측을 흘러 배수 구멍(29)으로부터 배출된다. 배수구(29)로부터 배출된 물 등은 저수 탱크(33)에 저장된다.
이 저수 탱크(33)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탄성을 갖는 재료로서는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폴리클로로플렌, 염소계 폴리에틸렌, 불소 고무, EPDM(에틸렌프로필렌 고무), SBR(스틸렌부타디엔 고무), NBR(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박육(薄肉) 형상으로 함으로써 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재료로서 열가소성 수지가 있다. 이 열가소제 수지로서는 ABS(아크릴니트릴 부타디엔스틸렌 수지), PC(폴리카보네이트 수지), PC-ABS(폴리카보네이트/아크릴니트릴 부타디엔스틸렌 수지), PA(폴리아미드 수지), POM(폴리옥시메틸렌 수지), PPS(폴리페닐렌설파이드 수지), PE(폴리에틸렌 수지),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 저수 탱크(33)의 양단부에는 배수 구멍(29)이 접속되는 입구(33a) 및 출구(33b)가 설치되어 있다. 입구(33a)는 버튼 유닛(15)측에 배치되고, 출구(33b)는 하부 케이싱(11)의 바닥면(31)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저수 탱크(33)의 입구(33a)측에는 역지 밸브(35)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저수 탱크(33) 내의 물 등이 버튼 유닛(15)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저수 탱크(33)의 출구(33b)측에는 방수 시트(36) 및 역지 밸브(37)가 설치되어 있다. 방수 시트(36)는 물을 통과시키지 않고 공기만 통과시키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저수 탱크(33)는 외부로부터 소정의 압박력(F)이 가해지면 탄성 변형하여 내부의 공기(45)가 압축된다. 이 공기(45)의 압력에 의해 역지 밸브(37)가 개방되어 내부의 공기(45)가 출구(33b)로부터 배출된다.
이 때에는, 방수 시트(36)에 의해 저수 탱크(33) 내의 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저수 탱크(33) 내의 물이나 진애 등은 강제적으로 배출하지 않는 한, 서서히 증가해간다.
또한,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수 탱크(33)로부터 상기 소정의 압박력(F)이 제거되면, 저수 탱크(33)가 탄성 복원되어 내부의 공기압이 저하된다. 그러면, 저수 탱크의 입구(33a)에 접속되어 있는 배수 구멍(29)으로부터 배수로(22) 내의 물이나 진애 등이 저수 탱크(33) 내로 강제적으로 흡입된다.
이에 의해, 버튼 유닛(15)의 시트부(17)와 커버 부재(14)의 상면 부분(14a)과의 사이로 침입한 물이나 진애 등을 강제적으로 저수 탱크(33) 내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이 때에는 출구(33b)의 역지 밸브(37)가 폐쇄되어 있다.
상기 저수 탱크(33)에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의 물 등을 확인하는 확인부(33c)가 설치되어 있다. 이 확인부(33c)는 투명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저수 탱크(33)의 일면에 전체적으로 확인부(33c)가 설치되어 있다. 이 확인부(33c)는 하부 케이싱(11)의 외측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확인부(33c)는 저수 탱크(33)의 일면의 일부, 또는 전면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확인부로서는 투명 창으로 한정되지 않고, 수량을 검지하는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전화기(1)는 누름 버튼(16)을 보유 지지하는 시트부(17)에 누름 버튼(16)과 대향하고, 또한 누름 버튼(16)의 최대 외주 내의 면적보다 넓은 확대 수로부(23)를 갖는 홈 형상의 배수로(22)를 설치하였으므로, 커버 부재(14)의 상면 부분(14a)과, 시트부(17) 사이로 침입한 물(44)이나 진애 등이 배 수로(22)에 모인다.
이에 의해, 물(44)이나 진애 등이 시트부(17) 상의 넓은 범위로 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물(44)이나 이물질 등을 배수로(22)에 의해 효율적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물(44)에 의해 발생한 곰팡이나 진애 등에 의해 누름 버튼(16)의 스트로크가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누름 버튼(16)의 조작성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저수 탱크(33)를 하부 케이싱(11)의 내측에 설치하였지만, 하부 케이싱(11)의 외측에 저수 탱크(33)를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배수 구멍(29)에 덮개를 덮어 두고, 배수 시에는 개방하여 저수 탱크(33)를 배수 구멍(29)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배수로(22)는 상기와 같이 복수의 누름 버튼(16)에 대향하는 확대 수로부(23) 및 이들 확대 수로부(23)를 접속하는 접속 수로부(24)를 갖고 있다. 그리고, 확대 수로부(23)와 접속 수로부(24)를 연결하는 경로가 한번에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배수로(22)의 도중에 더 이상 갈 수 없는 부분이 없으므로, 배수로(22)에 모인 물(44)이나 진애 등이 배수로(22)의 도중에 체류하지 않고 확실하게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배수 구멍(29)에는 개폐 가능한 덮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배수 구멍(29)으로부터 물(44) 등을 배출하는 경우에만 덮개를 개방하고, 이 이외일 때에는 덮개를 폐쇄해 둔다. 이에 의해, 배수 구멍(29)을 거쳐서 하부 케이싱(11) 내에 물이나 진애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로(22)에는 발수 처리가 실시되고 있으므로, 배수로(22) 내의 물 등이 발수 처리에 의해 튀어 배수로(22) 내를 흐르기 쉬워진다. 따라서, 더 효율적으로 물(44) 등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케이싱(11) 내에는 버튼 유닛(15)의 시트부(17)에 있어서의 배수로(22)의 바닥벽부(22b)[도2의 (a) 참조]에 접촉하는 바이브레이터(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바이브레이터(20)에 의해 배수로(22)를 진동시킴으로써 배수로(22) 내의 물(44)이나 진애 등이 더 흐르기 쉬워진다. 따라서, 배수로(22) 내의 물(44)이나 진애 등을 더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바이브레이터(20)는 착신 등을 진동에 의해 통지하기 위한 바이브레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착신 등을 통지하기 위한 진동의 형태와, 배수 시의 진동의 형태를 바꾸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 형태)
도12는 본 발명에 관한 제2 실시 형태의 시트부(17)를 도시한다. 또한, 여기서는 배수로(22)를 선 형상으로 모델화하여 도시하였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이 시트부(17)에는 배수 구멍(29)이 복수 마련되어 있다. 이들 배수 구멍(29)은 고무 패킹(28)으로 둘러싸이고 범위 내에 있어서의 단부측(도12 중 하측)에 적당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배수 구멍(29)은 모두 접속부(47)를 거쳐서 저수 탱크(33)의 1개의 입구(33a)에 접속되어 있다.
배수로(22) 내의 물이나 진애 등은 배수 구멍(29)으로부터 시트부(17) 상의 고무 패킹(28)으로 둘러싸인 범위에 배출된다. 이 배출된 물이나 진애 등은 복수의 배수 구멍(29)으로부터 저수 탱크(33) 내로 배출된다.
(제3 실시 형태)
도13은 본 발명에 관한 제3 실시 형태의 시트부(17)를 도시한다. 이 시트부(17)는 복수의 배수로(22)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배수로(22)는 전체 누름 버튼(16) 중 일부의 누름 버튼(16)에 대향하는 복수의 확대 수로부(23)(도시하지 않음)를 갖고 있다. 또한, 배수로(22)는 그 확대 수로부(23)와 접속 수로부(24)를 연결하는 경로가 한번에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배수로(22)의 일단부에는 수로 출구(2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시트부(17)에는 각 수로 출구(26)에 대응하는 배수 구멍(29)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저수 탱크(33)에는 복수의 입구(33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배수 구멍(29)은 각각 저수 탱크(33)의 입구(33a)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저수 탱크(33)의 복수의 입구(33a)에는,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역지 밸브(35)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배수로(2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배수로(22)가 1개뿐인 경우에 비해 각 배수로(22)가 짧아진다. 따라서, 각 배수로(22) 내의 물이나 진애 등이 비교적 단시간에 저수 탱크(33) 내로 배출된다. 또한, 배수로(22) 내에 물이나 진애 등이 체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도15는 본 발명에 관한 제4 실시 형태의 전자 기기(50)에 있어서의 기판(51) 및 버튼 유닛(15)을 도시한다. 이 기판(51)에는 CPU(중앙 연산 처리 장치) 등의 발열 부품(52)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발열 부품(52) 상에는 버튼 유닛(15)에 있어서의 시트부(17)가 배치되어 있다.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열 부품(52)의 상측에 배치된 시트부(17)에는 제1 실시 형태의 배수로(22)와 같은 배수로(53)가 설치되어 있다. 즉, 이 배수로(53)는 시트부(17)에 오목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배수로(53)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확대 수로부 및 접속 수로부를 갖고 있다. 배수로(53)의 바닥벽부(53a)는 발열 부품(52)에 접촉하고 있다.
이 전자 기기(50)는 발열 부품(52)이 배수로(53) 내를 흐르는 물(44)에 의해 냉각된다. 따라서, 발열 부품(52)을 냉각하기 위해 특별한 냉각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에 의해, 부품 개수의 저감 및 비용 저감이 가능해진다.
(제5 실시 형태)
도17은 본 발명에 관한 제5 실시 형태의 저수 탱크(33)를 도시한다. 이 저수 탱크(33)는 발열 부품(52)에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제5 실시 형태에서는 저수 탱크(33)에 저장되는 물(44)에 의해 발열 부품(52)이 냉각된다. 따라서, 부품 개수 삭감 및 비용 저감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케이싱의 막대 배수 구조 및 전자 기기는 이하의 부기적 사 항을 포함하는 것이다.
〔기타〕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이 특정할 수 있다.
(부기 1)
표면에 복수의 누름 버튼을 갖는 케이싱의 방배수 구조에 있어서,
상기 표면을 형성하고, 또한 복수의 버튼 구멍이 마련된 커버 부재와,
상기 복수의 누름 버튼 및 상기 복수의 누름 버튼을 소정의 위치에 보유 지지하는 시트부를 갖고, 상기 시트부가 상기 커버 부재의 이면을 따라서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시트부의 외주부가 상기 커버 부재에 밀착되어 상기 누름 버튼이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버튼 구멍에 삽입된 버튼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시트부에는 상기 복수의 누름 버튼의 각각에 대향하고, 또한 상기 누름 버튼의 최대 외주보다 넓은 수로부를 갖는 홈 형상의 배수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의 방배수 구조(1).
(부기 2)
상기 배수로는 상기 복수의 누름 버튼에 각각 대향하고, 또한 상기 누름 버튼의 최대 외주보다 넓은 확대 수로부와, 이들 확대 수로부를 접속하는 접속 수로부를 갖고, 상기 확대 수로부와 상기 접속 수로부가 한번에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케이싱의 방배수 구조(2).
(부기 3)
상기 홈 형상의 배수로는 상기 시트부 상으로 돌출되는 돌기에 의해 형성되 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또는 2에 기재된 케이싱의 방배수 구조(3).
(부기 4)
상기 시트부에는 상기 배수로로부터 나온 물을 배출하는 배수 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배수 구멍에는 개폐 가능한 덮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케이싱의 방배수 구조(4).
(부기 5)
상기 배수로에는 발수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케이싱의 방배수 구조(5).
(부기 6)
상기 배수로를 진동시키는 진동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케이싱의 방배수 구조(6).
(부기 7)
상기 배수 구멍에 접속된 탱크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케이싱의 방배수 구조(7).
(부기 8)
상기 배수 구멍이 복수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배수 구멍이 각각 상기 탱크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7에 기재된 케이싱의 방배수 구조(8).
(부기 9)
상기 배수로가 복수로 나뉘어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배수로에 있어서의 상기 확대 수로부와 상기 접속 수로부를 연결하는 경로가 각각 한번에 이어지도록 형 성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배수로가 각각 상기 탱크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7 또는 8에 기재된 케이싱의 방배수 구조.
(부기 10)
상기 탱크가 탄성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7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케이싱의 방배수 구조.
(부기 11)
상기 탱크는 상기 배수 구멍에 접속되는 복수의 접속구와, 상기 탱크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접속구 및 상기 배기구에는 각각 역지 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7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케이싱의 방배수 구조.
(부기 12)
상기 탱크의 압박 시에는 상기 배기구의 상기 역지 밸브가 개방되는 동시에, 상기 접속구의 상기 역지 밸브가 폐쇄되고, 상기 탱크 내의 공기가 상기 배기구로부터 외부로 배기되고,
상기 탱크의 비압박 시에는 상기 접속구의 상기 역지 밸브가 개방되는 동시에, 상기 배기구의 상기 역지 밸브가 폐쇄되고, 상기 배수로 내의 물이 상기 탱크 내로 흡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0 또는 11에 기재된 케이싱의 방배수 구조.
(부기 13)
상기 탱크는 상기 복수의 배수 구멍에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접속구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접속구에 각각 상기 역지 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8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케이싱의 방배수 구조.
(부기 14)
상기 탱크는 내부를 확인하는 확인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7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케이싱의 방배수 구조.
(부기 15)
상기 배기구에는 물을 통과시키지 않고 공기를 통과시키는 필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케이싱의 방배수 구조.
(부기 16)
표면에 복수의 누름 버튼이 설치된 케이싱을 갖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표면을 형성하고, 또한 복수의 버튼 구멍이 마련된 커버 부재와,
상기 복수의 누름 버튼 및 상기 복수의 누름 버튼을 소정의 위치에 보유 지지하는 시트부를 갖고, 상기 시트부가 상기 커버 부재의 이면을 따라서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시트부의 외주부가 상기 커버 부재에 밀착되고, 상기 누름 버튼이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버튼 구멍에 삽입되는 버튼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시트부에는 상기 복수의 누름 버튼에 각각 대향하고, 또한 상기 누름 버튼의 최대 외주 내의 면적보다 넓은 수로부를 갖는 홈 형상의 배수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8).
(부기 17)
상기 케이싱 내에 설치된 발열 부재를 갖고, 상기 배수로의 벽 부분이 상기 발열 부재에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9).
(부기 18)
상기 케이싱 내에 설치된 발열 부재와, 상기 배수로로부터 배출된 물을 저장하는 탱크를 갖고, 상기 탱크가 상기 발열 부재에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1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누름 버튼과 커버 부재의 버튼 구멍과의 간극으로부터 내부로 침입한 물이나 진애 등을 각 누름 버튼과 대향하는 수로부를 갖는 배수로에 모아 효율적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부재와 버튼 유닛 사이로 침입한 물에 의해 발생한 곰팡이나, 진애 등에 의해 누름 버튼의 스트로크가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누름 버튼의 조작성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0)

  1. 표면에 복수의 누름 버튼을 갖는 케이싱의 방배수 구조에 있어서,
    상기 표면을 형성하고, 또한 복수의 버튼 구멍이 마련된 커버 부재와,
    상기 복수의 누름 버튼 및 상기 복수의 누름 버튼을 보유 지지하는 시트부를 갖고, 상기 시트부가 상기 커버 부재의 이면을 따라서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시트부의 외주부가 상기 커버 부재에 밀착되어 상기 누름 버튼이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버튼 구멍에 삽입된 버튼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시트부에는 상기 복수의 누름 버튼의 각각에 대향하고, 또한 상기 누름 버튼의 최대 외주보다 넓은 수로부를 갖는 홈 형상의 배수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의 방배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는 상기 복수의 누름 버튼에 각각 대향하고, 또한 상기 누름 버튼의 최대 외주 내의 면적보다 넓은 확대 수로부와, 이들 확대 수로부를 접속하는 접속 수로부를 갖고, 상기 확대 수로부와 상기 접속 수로부를 연결하는 경로가 한번에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의 방배수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 형상의 배수로는 상기 시트부 상에 돌출되는 돌기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의 방배수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에는 상기 배수로로부터 나온 물을 배출하는 배수 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배수 구멍에는 개폐 가능한 덮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의 방배수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에는 발수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의 방배수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를 진동시키는 진동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의 방배수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구멍에 접속된 탱크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의 방배수 구조.
  8. 표면에 복수의 누름 버튼이 설치된 케이싱을 갖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표면을 형성하고, 또한 복수의 버튼 구멍이 마련된 커버 부재와,
    상기 복수의 누름 버튼 및 상기 복수의 누름 버튼을 보유 지지하는 시트부를 갖고, 상기 시트부가 상기 커버 부재의 이면을 따라서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시트부의 외주부가 상기 커버 부재에 밀착되어 상기 누름 버튼이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버튼 구멍으로 삽입되는 버튼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시트부에는 상기 복수의 누름 버튼에 각각 대향하고, 또한 상기 누름 버튼의 최대 외주 내의 면적보다 넓은 수로부를 갖는 홈 형상의 배수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내에 설치된 발열 부재를 갖고, 상기 배수로의 벽 부분이 상기 발열 부재에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내에 설치된 발열 부재와, 상기 배수로로부터 배출된 물을 저장하는 탱크를 갖고, 상기 탱크가 상기 발열 부재에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050124288A 2005-08-31 2005-12-16 케이싱의 방배수 구조 및 전자 기기 KR1007214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52363 2005-08-31
JP2005252363A JP2007066746A (ja) 2005-08-31 2005-08-31 筐体の防排水構造、及び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5893A KR20070025893A (ko) 2007-03-08
KR100721480B1 true KR100721480B1 (ko) 2007-05-23

Family

ID=37818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4288A KR100721480B1 (ko) 2005-08-31 2005-12-16 케이싱의 방배수 구조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365281B2 (ko)
JP (1) JP2007066746A (ko)
KR (1) KR100721480B1 (ko)
CN (1) CN19257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5506A (ko) * 2017-01-19 2018-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발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97041B2 (ja) * 2005-11-21 2010-12-15 株式会社リコー 操作パネル及び画像形成装置
CN101298885B (zh) * 2007-04-30 2010-06-23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防渗机构及应用其的机壳
JP2009076376A (ja) * 2007-09-21 2009-04-09 Daikin Ind Ltd 操作機器
JP4947438B2 (ja) * 2008-08-05 2012-06-06 日本精機株式会社 車両用計器におけるスイッチ装置
JP5100591B2 (ja) * 2008-09-25 2012-12-19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押しボタンスイッチ
TWM351402U (en) * 2008-10-09 2009-02-21 Darfon Electronics Corp Keyswitch and keyboard
WO2010078321A1 (en) 2008-12-29 2010-07-08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ushion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US8454101B2 (en) * 2009-06-11 2013-06-04 Getac Technology Corporation Waterproof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 and watertight door thereof
TWI380333B (en) * 2009-07-13 2012-12-21 Wistron Corp Key mechanism with waterproofing function and related electronic device
KR101025794B1 (ko) * 2009-07-14 2011-04-04 (주)블루버드 소프트 모바일 단말기
US8160657B2 (en) * 2009-07-24 2012-04-17 Harris Corporatio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with elastomeric sealing membrane covering switch and related methods
US8965458B2 (en) 2009-08-21 2015-02-24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ushion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CN102144383B (zh) * 2009-09-17 2013-09-04 海能达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通讯设备
CN102025076B (zh) * 2009-09-22 2014-03-26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防水结构及具有该防水结构的便携式电子装置
US9025317B2 (en) 2010-03-17 2015-05-05 Otter Products, Llc Multi-material protective case for sliding/articulating/rotating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8824162B2 (en) 2010-08-30 2014-09-02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moisture guiding structures
US9549598B2 (en) 2010-10-12 2017-01-24 Treefrog Developments, Inc. Housing for encasing an electronic device
EP2628064A2 (en) 2010-10-12 2013-08-21 Tree Frog Developments, Inc. Housing for encasing an object
CN102682807A (zh) * 2011-03-09 2012-09-1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碟片读取装置
FR2972970B1 (fr) * 2011-03-21 2014-08-15 Delphi Tech Inc Panneau de commande
EP2718781B2 (en) 2011-06-13 2019-10-23 TreeFrog Developments, Inc. Housing for encasing a tablet computer
USD736777S1 (en) 2012-06-13 2015-08-18 Treefrog Developments, Inc. Case for an electronic device
US9615476B2 (en) 2011-06-13 2017-04-04 Treefrog Developments, Inc. Housing for encasing a mobile device
CN103156369B (zh) * 2011-12-19 2016-06-29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保护套
WO2013106474A1 (en) 2012-01-10 2013-07-18 The Joy Factory, Inc. Protective casing providing impact absorption and water resistan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WO2013181644A1 (en) 2012-06-01 2013-12-05 Treefrog Developments, Inc. Housing for an electronic device with camera, microphone and flash isolation
US9241551B2 (en) 2012-06-13 2016-01-26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with compartment
AU2014268838B2 (en) 2013-05-18 2017-08-17 Otter Products, Llc Waterproof protective case for an electronic device
US9300078B2 (en) 2013-08-23 2016-03-29 Otter Products, Llc Waterproof housing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waterproof adapter for accessory device
US9529391B2 (en) * 2013-09-27 2016-12-27 Apple Inc. Button retention, assembly, and water sealing
WO2015047359A1 (en) 2013-09-29 2015-04-02 Bodhi Technology Ventures Llc Waterproof port for electronic devices
US9980026B2 (en) 2013-09-30 2018-05-22 Apple Inc. Method for clearing water from acoustic port and membrane
US9573165B2 (en) 2014-08-22 2017-02-21 Apple Inc. Hydrophobic mesh cover
JPWO2016079871A1 (ja) * 2014-11-21 2017-04-27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子機器
US9716934B2 (en) 2015-04-24 2017-07-25 Apple Inc. Liquid ingress-redirecting acoustic device reservoir
US9369556B1 (en) 2015-05-26 2016-06-14 Htc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protection method thereof
US9577697B2 (en) 2015-05-27 2017-02-21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with stylus access feature
US9627797B2 (en) 2015-07-21 2017-04-18 Apple Inc. Ejection assembly with plug feature
US9780554B2 (en) 2015-07-31 2017-10-03 Apple Inc. Moisture sensors
US10149396B2 (en) 2015-09-30 2018-12-04 Apple Inc. Circuit assembly for an electronic device
US9960521B2 (en) 2016-02-24 2018-05-01 Otter Products, Llc Connector for fluidly sealing an aperture of a protective case
US10178902B2 (en) 2016-09-07 2019-01-15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enclosure for encasing an electronic device
US10784062B2 (en) 2016-09-08 2020-09-22 Apple Inc. Ingress prevention for keyboards
CN206993549U (zh) * 2017-08-15 2018-02-09 艾思玛新能源技术(扬中)有限公司 一种防积水的控制面板及户外设备
KR101988618B1 (ko) * 2017-08-31 2019-06-13 (주)혜창 전자장치 보호를 위한 방호함
US10165694B1 (en) 2017-09-11 2018-12-25 Apple Inc. Concealed barometric vent for an electronic device
CN108319334B (zh) * 2018-01-23 2020-06-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US10827809B2 (en) 2018-04-05 2020-11-10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for electronic device
CN108600924B (zh) * 2018-05-14 2021-06-25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扬声器排水方法及可穿戴设备
CN108939376A (zh) * 2018-06-07 2018-12-07 中信重工开诚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新型外置电气部件防水装置
JP7119808B2 (ja) * 2018-09-13 2022-08-17 オムロン株式会社 遊技機用押しボタン
TWI673742B (zh) * 2018-12-13 2019-10-01 群光電子股份有限公司 鍵盤裝置
CN111341584B (zh) * 2018-12-18 2022-02-25 群光电子(苏州)有限公司 键盘装置
US11614716B2 (en) 2019-09-23 2023-03-28 Apple Inc. Pressure-sensing system fo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1860585B2 (en) 2020-06-17 2024-01-02 Apple Inc. Wear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ressible air-permeable seal
CN114898514A (zh) * 2022-05-26 2022-08-12 歌尔股份有限公司 一种门铃设备及其排水机构、排水控制方法和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5274A (en) 1990-06-04 1993-11-23 Motorola, Inc. Combined keypad and speaker porting
EP0685954A2 (en) 1994-06-03 1995-12-06 Kokusai Electric Co., Ltd. Waterproofed portable telephone
JPH09198902A (ja) * 1996-01-19 1997-07-31 Chiyuugai:Kk 携帯端末機のキー照明装置
JP2000151772A (ja) 1998-11-12 2000-05-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装置
KR20030040895A (ko) * 2001-11-16 2003-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콘덴서 보호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5443A (en) * 1988-11-29 1989-12-05 Tokheim Corporation Sealed backlit switch assembly
US5704467A (en) * 1993-04-20 1998-01-06 Keymat Technology Limited Keypads
JPH08180760A (ja) 1994-12-26 1996-07-12 Oki Electric Ind Co Ltd 防水機器用キーパッド
US5681122A (en) * 1996-02-20 1997-10-28 Ncr Corporation Fluid isolation and dispersion system for tactile input devices
US5734136A (en) * 1996-06-12 1998-03-31 Qualcomm Incorporated Keypad assembly with moisture-excluding seal
JP2000215754A (ja) * 1999-01-26 2000-08-04 Nec Shizuoka Ltd 電子機器の操作ボタン構造
JP2000307697A (ja) 1999-04-23 2000-11-02 Casio Comput Co Ltd 携帯用電子機器
JP2001057127A (ja) * 1999-08-20 2001-02-27 Nec Corp キースイッチ装置の防滴・防塵構造
US6443644B1 (en) * 2000-03-17 2002-09-03 Minebea Co., Ltd. Spill resistant keyboard
JP2003059368A (ja) * 2001-08-22 2003-02-28 Mitsumi Electric Co Ltd キースイッチ
JP4516804B2 (ja) * 2004-08-25 2010-08-04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接点スイッチ
JP4533786B2 (ja) * 2005-04-08 2010-09-01 株式会社ケンウッド ボタン防水構造
TWI264931B (en) * 2005-04-29 2006-10-21 Benq Corp Keytop module for cellular phones
US7087850B1 (en) * 2005-09-27 2006-08-08 Microsoft Corporation Cleanable keyboar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5274A (en) 1990-06-04 1993-11-23 Motorola, Inc. Combined keypad and speaker porting
EP0685954A2 (en) 1994-06-03 1995-12-06 Kokusai Electric Co., Ltd. Waterproofed portable telephone
JPH09198902A (ja) * 1996-01-19 1997-07-31 Chiyuugai:Kk 携帯端末機のキー照明装置
JP2000151772A (ja) 1998-11-12 2000-05-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装置
KR20030040895A (ko) * 2001-11-16 2003-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콘덴서 보호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5506A (ko) * 2017-01-19 2018-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발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20704B1 (ko) * 2017-01-19 2024-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발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5893A (ko) 2007-03-08
JP2007066746A (ja) 2007-03-15
US20070074473A1 (en) 2007-04-05
CN1925728A (zh) 2007-03-07
US7365281B2 (en) 2008-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1480B1 (ko) 케이싱의 방배수 구조 및 전자 기기
JP4424445B1 (ja) 電子機器
JP4352178B2 (ja) 押釦スイッチの防水構造及び電子機器
US7428140B2 (en) Electronic apparatus
US7561684B2 (en) Mounting structure for an electroacoustic transducer
US7038598B2 (en) Keyboard assemblies
US7436653B2 (en) Housing mechanism for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1412177B1 (ko) 이동 전자 장치용 탄성 중합체 라이너를 구비한 일체식 동시-성형 외부 하드 셀 케이스
CA2403281C (en) Spill resistant keyboard
KR100925320B1 (ko) 전자기기
JP5104056B2 (ja) 携帯電子機器の音穴防水・排水構造
JP4387342B2 (ja) 携帯端末装置
JP5304179B2 (ja) 電子装置
JP5686613B2 (ja) 電子機器
JP3741948B2 (ja) 折り畳み筐体構造
US6587332B2 (en) Structure of a housing for an electronic device
KR200252884Y1 (ko) 방수 핸드폰
KR200184577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사이드키 어셈블리 고정구조
JP4635850B2 (ja) キーボタンを有する携帯電子機器の浸入液体導水構造
JP4325375B2 (ja) 折り畳み式携帯用端末装置
JP2005032495A (ja) 電子機器
JP2005217298A (ja) 電子機器
JP2012007697A (ja) パッキン及び防水構造
JP2008181821A (ja) 電子機器
JP2001314017A (ja) 電気部品を内蔵したボックス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