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0693B1 - 시공석 및 이를 이용한 토목구축물 - Google Patents

시공석 및 이를 이용한 토목구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0693B1
KR100720693B1 KR1020060008517A KR20060008517A KR100720693B1 KR 100720693 B1 KR100720693 B1 KR 100720693B1 KR 1020060008517 A KR1020060008517 A KR 1020060008517A KR 20060008517 A KR20060008517 A KR 20060008517A KR 100720693 B1 KR100720693 B1 KR 100720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stone
construction stone
fixing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8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홍기
안태진
이용헌
박주선
최종남
Original Assignee
(주)리버앤텍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버앤텍,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리버앤텍
Priority to KR1020060008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06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0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0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석 및 이를 이용한 토목구축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초망에 시공석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제작할 수 있어 각종 토목구축물의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시공석을 다양한 패턴으로 설치가 가능하여 경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시공석 및 이를 이용한 토목구축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시공석은, 계단공, 징검다리공, 호안 공사 및 어도와 같은 토목구축물에 사용되는 시공석에 있어서, 고정줄을 삽입하여 일정 부분을 감싸며 지면이나 피물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표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시공석을 이용한 토목구축물은, 지면에 설치되며 격자 형태로 구비된 기초망과, 상기 기초망 상부에 수평 또는 계단형으로 배열되며 표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착홈이 형성된 시공석과, 상기 시공석의 안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시공석을 감싸는 고정줄과, 상기 고정줄의 양측을 상기 기초망에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공석, 토목구축물, 기초망, 계단공, 징검다리공, 흡출방지재

Description

시공석 및 이를 이용한 토목구축물{CONSTRUCTION STONE AND ENGINEERING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REOF}
도 1은 종래의 토목구축물에 사용되는 시공석과 기초망의 고정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시공석과 기초망을 이용하여 시공된 계단공의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석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석을 이용한 토목구축물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구의 실시예로서, (a)는 착탈고리의 사시도, (b)는 갈고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의 실시예들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석을 이용한 토목구축물로서 계단공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토목구축물 200 : 시공석
210 : 안착홈 300 : 고정줄
410 : 흡출방지재 420 : 기초망
500 : 고정부재 510 : 착탈구
520 : 고정구 521 : 제1결합공
522 : 가압판 523 : 너트
524 : 클램프 525 : 연결봉
526 : 통공 527 : 고정클립
528 : 제2결합공 529 : 볼트
본 발명은 시공석 및 이를 이용한 토목구축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초망에 시공석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제작할 수 있어 각종 토목구축물의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시공석을 다양한 패턴으로 설치가 가능하여 경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시공석 및 이를 이용한 토목구축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안, 수로 및 도심을 흐르는 하천의 하상보호공, 저수로 비탈면, 도로나 채석장의 절개지 등에는 침식을 방지하고 외력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옹벽, 계단공, 호안 공사 등의 다양한 토목구축물이 시공되는데, 최근에는 자연 경관과의 조화를 고려한 자연형 하천 조성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자연친화성을 추구할 수 있는 자연석이나 인공석(이하, "시공석"으로 통칭함)을 하상보호공, 호안 구조물, 계단공과 같은 토목구축물로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고, 도로나 채석장의 절개지 등에는 구조적 안정성과 경관미를 동시에 요구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특히, 시공석을 호안공, 하상보호공, 사면보호공 및 계단공에 사용하는 경우 시공석 자체의 무게와 물의 흐름에 의한 외력에 구조물이 견딜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돌망태를 이용하여 시공석을 고정하거나, 철망에 접착제 및 앵커 등을 고정하는 스톤네트(stone net)가 있다.
상기 돌망태의 경우, 시공석이나 기타 내용물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철망이 쉽게 떨어지는 일이 자주 발생하는 등 안전성 및 내구성에 문제가 있었고, 자연친화성을 높이기 위한 식생의 도입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이물질이 걸리기 쉬워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돌의 쏠림에 의한 배부름 현상 등이 일어나 돌망태의 모양이 변형되고 수명이 오래가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 스톤 네트(stone net)의 경우는 내구성이 뛰어나고 식생의 도입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기본적인 제작 비용이 높아 경제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으며, 시공자가 직접 제작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사석이나 시공석을 사용하여 쌓기나 덮기를 하는 경우 시공석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기초를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부수적인 보호공 등의 추가적인 부자재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즉,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스톤 네트를 이용하여 토목구축물(10)로서 계단공을 시공할 경우에는, 시공석(20)에 구멍을 천공한 뒤, 고정철판(40)과 앵커볼트(41)를 이용하여 시공석(20)을 하나씩 기초망(30)에 고정하거나 부수적으로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해야 하는 등 고정 작업이 매우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으며, 특히 운반이 용이하도록 일정 규격의 기초망 (30)에 수 개의 시공석(20)을 고정한 사각틀 형태로 제작하여 계단공을 시공함에 따라 시공석(20)이 일정한 패턴으로 배열될 수밖에 없고, 시공석(20)간의 간극(21)또한 직선형으로 형성될 수밖에 없어 경관미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토목구축물에 사용되는 시공석을 현장에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제작하여 토목구축물의 시공시간을 단축시킴과 동시에 작업효율을 높이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공석을 개별적으로 자유롭게 배열하여 고정하는 한편, 시공석을 고정하는 구성요소에 의해 경관미를 극대화시킴으로써 토목구축물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시공석을 이용한 토목구축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계단공, 징검다리공, 호안 및 어도 공사와 같은 토목구축물에 사용되는 시공석에 있어서, 고정줄을 삽입하여 일정 부분을 감싸며 지면이나 피물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표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홈은 표면에 상호 교차되도록 복수개로 형성되되, 홈의 깊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석을 이용한 토목구축물의 구성은, 지면에 설치되며 격자 형태로 구비된 기초망과, 상기 기초망 상부 에 수평 또는 계단형으로 배열되며 표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착홈이 형성된 시공석과, 상기 시공석의 안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시공석을 감싸는 고정줄과, 상기 고정줄의 양측을 상기 기초망에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초망의 하부에 설치되어 토사의 흡출을 방지하는 흡출방지재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기초망에 착탈되도록 착탈고리, 갈고리 중에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착탈구와, 상기 고정줄의 타측을 상기 기초망에 고정하는 고정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홈은 상호 교차되게 복수개로 형성되되, 홈의 깊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석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석(200)은, 계단공(階段工), 징검다리공, 호안 및 어도 공사와 같은 토목구축물(100)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고정줄(300)을 삽입하여 일정 부분을 감싸며 지면이나 피물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표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착홈(21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시공석(200)은 상기 토목구축물(100)의 형태에 따라 직육면체 의 평석 또는 다면체의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그 재료는 콘크리트, 특수콘크리트, 소일콘크리트, 돌가루 또는 광물 중 선택되거나, 둘 이상을 혼합한 고분자화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일정 형상으로 가공된 자연석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안착홈(210)은 도 3a와 같이 상기 고정줄(300)이 돌출되지 않을 정도의 깊이로 형성되도록 드릴(drill) 또는 그라인더(griner)로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시공석(200)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거나, 전방 및 측면 부분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안착홈(210)은 3b와 같이, 상기 시공석(200)의 가로 방향과 세로방향에 상호 교차되게 복수개로 형성되되, 이에 삽입되는 상기 고정줄(300)의 교차된 부분이 돌출되지 않도록 홈의 깊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안착홈(210)을 도 3c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고정줄(300)을 이용하여 지그 재그 형태로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 안착홈(210)에 상기 고정줄(300)을 삽입하여 지면이나 상기 토목구축물(200)의 하부에 설치되는 기초망(420)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시공석(200)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계단공이나, 징검다리공과 같은 상기 토목구축물(100)을 완성할 경우, 상기 안착홈(210)과 상기 고정줄(300)에 의해 균형적인 외관미를 부각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줄(300)은 금속, 합성수지, 천연섬유 재질로 제조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철선, 강선, 와이어, 로프, PVC(polyvinyl chloride)선 등이 사용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석을 이용한 토목구축물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구의 실시예로서, (a)는 착탈고리의 사시도, (b)는 갈고리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시공석(200)을 이용하여 계단공, 징검다리공과 같은 상기 토목구축물(100)을 시공할 수 있는데, 상기 토목구축물(100)은 지면에 설치되며 격자 형태로 구비되며, 상부에 상기 안착홈(210)이 형성된 상기 시공석(200)이 수평 또는 계단형으로 배열된 기초망(420)과, 상기 시공석(200)의 안착홈(210)에 삽입되어 상기 시공석(200)을 감싸는 상기 고정줄(300)과, 상기 고정줄(300)의 양측을 상기 기초망(420)에 고정하는 고정부재(500)가 포함된다.
상기 기초망(420)은 사각형, 마름모형, 육각형 등 다양한 격자 모양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균일한 형태의 격자를 갖는 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고정하고자 하는 시공석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비 균일한 격자 형태를 갖는 망을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기초망(420)의 하부에 흡출방지재(410)를 더 설치함으로써, 토사의 흡출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500)는, 상기 고정줄(3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기초망(420)에 착탈되도록 착탈고리, 갈고리 중에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착탈구(510)와, 상기 고정줄(300)의 타측을 상기 기초망(420)에 고정하는 고정구(51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착탈구(510)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줄(300)의 일측을 상기 기초망(320)에 신속하게 고정하고, 상기 고정줄(300)을 상기 안착홈(210)에 삽입하여 상기 시공석(200)을 감싼 뒤, 상기 고정줄(300)의 타측을 상기 기초망(420)에 위치시켜 상기 고정구(520)로 유동 없이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구(520)는 도 6의 (a)와 같이, 한 쌍의 제1결합공(521)이 형성된 가압판(522)과, 상기 제1결합공(521)에 끼움 결합되며 너트(523)가 하부에 체결되는 "∩" 형상의 클램프(524)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구(520)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의 (b)와 같이, 상기 고정줄(300)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며, 볼트(529)가 통과되는 통공(526)이 형성되며 일정 각도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 연결봉(525)과, 상기 통공(526)과 연통되는 한 쌍의 제2결합공(528)이 형성되며 상기 철망(420)에 끼워지도록 단면 형상이 "ㄷ" 형상으로 이루어진 고정클립(527)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정구(520)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상기 고정줄(300)을 상기 기초망(420)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석을 이용한 토목구축물로서 계단공의 일 실시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공석(200)을 상기 고정줄(300)과 상기 고정부재(500)를 이용하여 상기 기초망(420)에 개별적으로 각각 고정이 가능함 에 따라, 계단의 홀수열과 짝수열에 시공된 상기 시공석(200)간의 간극이 서로 다르게 배열할 수 있는 것으로, 시공자의 의도에 따라 시공석을 다양한 패턴으로 배열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종래의 스톤 네트형 계단공과 같이 시공석을 정형화되도록 고정할 수 밖에 없었던 구조적인 단점, 그에 따른 미관의 단조로움과 고정작업의 복잡성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토목구축물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천의 경사면에 토목구축물(100)인 계단공을 시공하기 위해 먼저, 경사면에 격자구조로 이루어진 기초망(420)을 설치한 다음, 상기 기초망(420)의 상부에 드릴(drill) 또는 그라인더(grinder)에 의해 안착홈(210)이 형성된 다수의 시공석(200)을 배열하게 된다.
상기 시공석(200)은 고정줄(300) 및 고정부재(500)을 이용하여 상기 기초망(420)에 각각 고정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시공석(200)의 안착홈(210)에 상기 고정줄(300)을 삽입하여 상기 시공석(200)의 일정 폭을 감싼 후, 착탈구(510)를 통해 상기 고정줄(300)의 일측을 상기 기초망(420)의 격자에 신속하게 결합한 다음, 상기 고정줄(300)의 타측을 상기 기초망(420)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고정구(520)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한다.
즉, 상기 안착홈(210)에 상기 고정줄(300)을 삽입하여 상기 고정부재(500)로 상기 기초망(420)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시공석(200)의 설치 및 고정이 극히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계단공의 시공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안착홈(210)은 상기 시공석(200)에 가로방향이나 세로방향에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상호 교차되게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형성하거나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고정줄(300)을 이용하여 상기 기초망(42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직육면체의 평석 형태를 갖는 시공석(200)을 이용하여 경사면 상, 하부의 경계면과 수평면에 설치하고, 하부가 평평하고 상부는 삼각형의 형태를 갖는 시공석(200)을 이용하여 경사면의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에 일렬로 수평하게 설치함으로써, 세로방향으로 자연스럽게 계단이 형성된다.
상기 시공석(200) 상호간에는 흙이 채워지는 일정 폭의 간극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는데, 이 간극이 세로방향으로 직선되게 형성되도록 상기 시공석(200)을 열과 행을 동일하게 맞춰 시공할 수도 있으나, 열마다 간극이 엇갈리게 형성되도록 상기 시공석(200)을 설치함으로써 간극에 의한 자연적인 경관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시공석(200)에 형성된 안착홈(210)과, 이에 삽입된 상기 고정줄(300)에 의해 균형적인 외관미를 더욱 부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상기 고정줄(300)을 섬유 또는 강선을 여러 가닥으로 꼬아 만든 로프(rope)를 사용함으로써, 계단공의 경관미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경사면에 상기 기초망(420)을 설치하기 이전에 흡출방지재(410)를 설치하여 토사의 흡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시공석(200)으로 자연석을 가공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토목구축물(100)의 다른 실시예로서 하천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징검다리공, 어도, 하천의 바닥에 시공되는 수제공 및 호안의 법면에 구축되는 옹벽도 동일한 방법으로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시공석(200)은 상기 안착홈(210)에 고정줄(300)을 삽입하여 지면 또는 기초망(420)에 시공자가 원하는 배열 방법으로 신속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계단공이나 징검다리공과 같은 상기 토목구축물(100)을 완성할 경우, 상기 안착홈(210)과 상기 고정줄(300)에 의해 경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어 시공시간의 단축, 작업효율 및 미관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시공석의 일정부분에 안착홈이 형성됨으로써, 고정줄을 삽입하여 지면이나 토목구축물의 기초망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토목구축물의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시공석을 시공자의 의도에 따라 개별적으로 자유롭게 고정할 수 있어 시공석을 다양한 패턴으로 배열할 수 있고, 시공석간의 간극에 의해 토목구축물의 외관을 좋게 형성할 수 있으며, 특히 시공석의 안착홈 및, 이에 삽입되는 고정줄에 의해 균형적인 아름다움을 부여할 수 있어 토목구축물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지면에 설치되며 격자 형태로 구비된 기초망과;
    상기 기초망 상부에 수평 또는 계단형으로 배열되며 표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착홈이 형성된 시공석과;
    상기 시공석의 안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시공석을 감싸는 고정줄과;
    상기 고정줄의 양측을 상기 기초망에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석을 이용한 토목구축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망의 하부에 설치되어 토사의 흡출을 방지하는 흡출방지재가 더 포 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석을 이용한 토목구축물.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기초망에 착탈되도록 착탈고리, 갈고리 중에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착탈구와;
    상기 고정줄의 타측을 상기 기초망에 고정하는 고정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석을 이용한 토목구축물.
  6.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상호 교차되게 복수개로 형성되되, 홈의 깊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석을 이용한 토목구축물.
KR1020060008517A 2006-01-26 2006-01-26 시공석 및 이를 이용한 토목구축물 KR100720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517A KR100720693B1 (ko) 2006-01-26 2006-01-26 시공석 및 이를 이용한 토목구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517A KR100720693B1 (ko) 2006-01-26 2006-01-26 시공석 및 이를 이용한 토목구축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0693B1 true KR100720693B1 (ko) 2007-05-21

Family

ID=38277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8517A KR100720693B1 (ko) 2006-01-26 2006-01-26 시공석 및 이를 이용한 토목구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06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3212A (ja) * 1992-12-09 1994-06-21 Matsukusuton Kk 施工面敷設ブロック
JP2000192467A (ja) * 1998-12-24 2000-07-11 Makkusuton Kk 施工面敷設ブロック
KR200344121Y1 (ko) * 2003-12-02 2004-03-09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앵커 블록
KR20050090604A (ko) * 2004-03-09 2005-09-14 최식중 호안블럭의 결합 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3212A (ja) * 1992-12-09 1994-06-21 Matsukusuton Kk 施工面敷設ブロック
JP2000192467A (ja) * 1998-12-24 2000-07-11 Makkusuton Kk 施工面敷設ブロック
KR200344121Y1 (ko) * 2003-12-02 2004-03-09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앵커 블록
KR20050090604A (ko) * 2004-03-09 2005-09-14 최식중 호안블럭의 결합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3730B2 (en) Modular block wall system
KR100794922B1 (ko) 에이치형강과 스크린이 결합된 빔크린 사방댐
KR101598582B1 (ko)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
US20090196695A1 (en) Modular Block Connecting Techniques
KR100720693B1 (ko) 시공석 및 이를 이용한 토목구축물
JP7197879B2 (ja) 落石防護柵
KR101598580B1 (ko) 법면 보호용 스톤네트 구조물
KR100891507B1 (ko) 고정장치가 부착된 조경석과 이를 이용한 조경석 어셈블리 및 와이어 고정장치
CN211421036U (zh) 一种水利工程边坡防护预制装置
RU176405U1 (ru) Блок для подпорной стены
CN210262920U (zh) 一种多功能水利护坡网
KR100908676B1 (ko) 조립식블록 사방댐
KR101402121B1 (ko) 자연석 결합 토목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126438A (ko) 조립식 계단블록
KR200403595Y1 (ko) 시공석 토목구축모듈을 이용한 토목구축물
JP3357641B2 (ja) 護岸ブロック
KR100699707B1 (ko) 개비온 옹벽용 보강핀 및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
KR100752401B1 (ko) 시공석 토목구축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석 토목구축물의구축방법
KR200346774Y1 (ko) 식생용 호안블록
KR102426108B1 (ko) 방파제용 조립식 피복블록
KR200463548Y1 (ko) 사면 보호용 시공석 고정유닛
KR20090084568A (ko) 토목 벽제 건설용 콘크리트 블록구조물
JP4873547B2 (ja) 土木構築物用ユニットの製造方法
KR20080112634A (ko) 절토사면 지지용 구조체
KR200247938Y1 (ko) 홈 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