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0118B1 - 자외선차단 두부 착용물 - Google Patents

자외선차단 두부 착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0118B1
KR100720118B1 KR1020050082980A KR20050082980A KR100720118B1 KR 100720118 B1 KR100720118 B1 KR 100720118B1 KR 1020050082980 A KR1020050082980 A KR 1020050082980A KR 20050082980 A KR20050082980 A KR 20050082980A KR 100720118 B1 KR100720118 B1 KR 100720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ear
opening portion
hood portion
ultraviolet r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2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8717A (ko
Inventor
박종옥
Original Assignee
박종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10122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72011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옥 filed Critical 박종옥
Priority to KR1020050082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0118B1/ko
Publication of KR20070028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8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0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0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6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ars or n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53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hood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1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 A42B1/0182Peaks or viso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9Hats; Caps; Hood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4Soft caps; Hoods
    • A42B1/041Peakless soft head coverings, e.g. turbans or ber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건부, 상기 두건부 아래에 형성된 일정 형상의 개방부, 상기 개방부의 아래에 형성된 마스크부로 구성되고, 삼각형으로 재단된 본체와 상기 개방부의 상기 두건부 측 둘레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봉재결합된 차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차단 두부 착용물에 관해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외선차단 두부 착용물은 본체가 얼굴 전체를 감싸므로 사용자의 얼굴을 완전히 가리게 되고 눈이 위치하는 부분은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시야가 트이기 때문에 골프나 등산 등 야외활동에 지장을 받지 않게 되고, 자외선으로부터 얼굴 피부의 노화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로서 통기성, 흡습성, 속건성, 보온성, 신축성 등이 뛰어난 기능성 고기능성의 얇은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사용하므로, 여름같이 더운 계절에 장기간 사용해도 땀이 차거나 덥지 않으며, 겨울같이 추운 계절에도 바람막이용 또는 보온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호흡 및 대화도 용이한 탁월한 효과가 있다.
자외선 차단, 마스크부, 차양부

Description

자외선차단 두부 착용물{HEAD WEAR FOR BLOCKING OUT ULTRAVIOLET RAYS}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외선차단 두부 착용물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자외선차단 두부 착용물의 저면도,
도3은 도1의 자외선차단 두부 착용물의 본체의 평면도,
도4 내지 도5는 도1의 자외선차단 두부 착용물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자외선차단 두부 착용물 130: 본체
131: 두건부 133:개방부
135:마스크부 150:차양부
본 발명은 자외선차단 두부 착용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외선차단기능을 갖는 직물지를 이용하여 야외활동시에 안면에 조사되는 자외선을 차단하여 자외선에 의한 피부질환의 우려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자외선차단 두부 착용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햇볕에는 파장이 긴 적외선, 중간의 가시광선, 짧은 자외선의 세 종류 광선이 복합되어 있다. 그 중 자외선이라 함은 약 397∼10nm에 이르는 파장으로 된 넓은 범위의 전자기파의 총칭으로서, 태양광의 스펙트럼을 사진으로 찍었을 때 가시광선의 단파장보다 바깥쪽에 나타나는 눈에 보이지 않는 빛을 말하는 것으로, 자외선은 태양광선이나 인공태양 등의 광선 속에 소량 포함되며, 생체에 미치는 작용이 가장 강하고, 적외선과는 달리 열작용이 없으므로 냉선(冷線)이라고도 하며, 여러 가지 화학적 변화를 일으키기 때문에 화학선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자외선에는 인체의 피부에 유해한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자외선에 오래 노출될 경우 햇빛알레르기, 기미, 주근깨 등의 여러 가지의 피부질환에 걸릴 가능성이 높다.
이와같은 피부질환중 피부가 햇빛에 예민하게 반응해 일어나는 피부 알레르기를 의학용어로는 광선과민증이라고 부르는데, 이와 같은 햇빛알레르기는 햇빛을 보면 두드러기가 생기는 광(光)두드러기, 햇빛을 쪼인 부위가 습진처럼 변하는 다형광 발진, 햇빛을 받으면 피부가 손상하면서 물집이 생기는 포르피린증 등 여러가지가 있으며, 가장 흔한 증상은 피부가 붉어지는 홍반증상으로 피부가 벌개지면서 아프고 심한 경우 물집이 생기기도 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광선과민증 환자들은 햇빛을 차단하기 위해 여름에도 긴 팔 옷을 입고, 외출할 때는 늘 챙이 넓은 모자를 써야 한다.
또한, 자외선은 피부의 색소 형성세포를 자극하고 활동을 왕성하게 하여 피부의 색깔을 진하게 만드는 작용을 하게되는데, 건강한 피부는 자외선의 작용으로 다소 검어졌다고 해도 얼마간 시간이 지나면 다시 원래의 피부색깔로 돌아온다. 그러나 자외선의 양이 너무 많거나 강하게 되면, 색소 형성세포를 많이 자극해 부분적으로 색소가 과다하게 쌓이게 되며 얼룩이 지게 되는 데, 이를 기미라고 부른다.
또, 주근깨라 함은 직경 5mm 이하의 불규칙한 모양의 갈색 점이나 암적색 반점이 하나 혹은 여럿이 뭉쳐 깨알처럼 얼굴의 콧등, 양 볼, 이마, 눈 주위 등의 노출 부위에 나타나 마치 검정 깨를 입으로 뿜어 놓은 듯 미세한 반점들이 얼굴에 뒤 덮여 있는 것처럼 보이며, 악성으로 번지거나 아프고 가렵지는 않지만, 피부가 지저분해 외관상 타인에게 혐오감을 주어 열등감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와같이, 기미와 함께 대표적인 색소성 피부질환의 양대 산맥을 형성하는 주근깨는 자외선의 영향을 크게 받게 되는데, 햇볕에 예민하여 강한 자외선을 받으면 더욱 진해지는 성질이 있다.
또한, 피부 건조증은 피부가 햇볕에 필요 이상으로 노출돼 피부의 수분이 심하게 증발함으로써 생기는 것으로, 피부가 건조해지면 가려움증이 함께 올 수 있게 되고, 때문에 자주 긁게 되면 긁은 부위에 상처가 생기면서 세균감염이 되어 곪을 수도 있으며, 심한 경우 고질적인 습관성 피부질환으로 발전할 우려가 높다.
이상에서와 같이, 태양광선 즉, 자외선의 노출은 기미, 주근깨, 검버섯 뿐 만 아니라 광선 각화증, 모공성 각화증, 피부건조증 등의 각종 피부질환의 원인이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자외선으로 인해 얼굴에 나타나는 햇빛알레르기, 기미, 주근깨 등의 각종 피부질환을 방지하기 위해 햇빛알레르기가 있거나, 야외활동을 자주하는 사람들의 경우 얼굴에 마스크를 착용하고 다니며, 보통의 사람들도 테니스, 골프, 낚시 등의 운동과 여가를 즐길시에는 얼굴에 마스크를 착용하고 다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런 용도로 사용되는 종래의 마스크는 단순히 직사각형 형상의 직물지의 양측상하부에 귀에 걸수 있는 결착끈이 부착형성되므로서 마스크를 착용하게 되면, 마스크가 코와 입을 차단하게 되어 호흡이 곤란해지게 되었고, 대화가 불편하여 의사소통이 불완전하였다. 또한, 호흡시 발생되는 입김으로 인해 마스크 표면이 쉽게 젖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입김이 상부로 올라와 시야를 방해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얼굴 전체를 감싸는 본체에 의해 사용자의 얼굴을 완전히 가리게 되고 눈이 위치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시야가 트이기 때문에 활동에 지장을 받지 않게 되고 자외선으로부터 얼굴 피부의 노화 및 손상에 대한 우려와 위축됨 없이 자신있게 야회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자외선차단 두부착용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차단 두부 착용물은, 두건부, 상기 두건부 아래에 형성된 일정 형상의 개방부, 상기 개방부의 아래에 형성된 마스크부로 구성되고, 삼각형으로 재단된 본체와 상기 개방부의 상기 두건부 측 둘레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봉재결합된 차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폴리에스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양부는 폴리에틸렌폼 또는 폴리우레탄폼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차단 두부 착용물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외선차단 두부 착용물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자외선차단 두부 착용물의 저면도, 도3은 도1의 자외선차단 두부 착용물의 본체의 평면도, 도4 내지 도5는 도1의 자외선차단 두부 착용물의 사용상태도이다.
도1 또는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외선차단 두부 착용물(100)은 두건부(131), 상기 두건부 아래에 형성된 일정 형상의 개방부(133), 상기 개방부의 아래에 형성된 마스크부(135)로 구성되고, 삼각형으로 재단된 본체(130)와 상기 개방부의 상기 두건부 측의 둘레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봉재결합된 차양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자외선차단 두부 착용물(100)은 먼저 도3의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삼각형의 직물지로 구성된 본체에 일정 형상, 바람직하게는 타원형의 개방부를 형성한 다음, 상기 개방부의 상부에 차양부를 봉재결합하여 고정, 부착한다. 그러나 상기 차양부가 상기 본체에 견고하게 고정되기만 한다면, 봉재방법 이외의 다른 방법으로 고정해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 개방부는 상기 두건부의 아래, 즉 상기 본체 길이(h)의 약 1/4정도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상기 자외선차단 두부 착용물(100)을 착용하고 활동하는 경우에 시야가 트이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때, 상기 두건부 와 상기 마스크부의 길이는 특정길이로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개방부도 이를 통하여 사물을 확인하고 시야가 트일 수 있으면 충분하고, 상기 위치 또는 형상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체는 태양광선이 내리쬐는 야외에서 활동하는 동안 자외선으로부터 얼굴을 보호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사용자는 상기 두건부부의 양측 하단부분(131a,131b)을 얼굴 뒤로 돌려 뒤통수 부분에 묶어 두상에 고정시켜 상기 자외선차단 두부 착용물(100)을 착용한다(도4 또는 도5 참조).
이때, 상기 자외선차단 두부 착용물(100)에 따르면 상기 차양부에 의해 이마 부분을 비롯한 일부가 가려지게 될 뿐만아니라, 얼굴 전체를 감싸는 상기 본체에 의해 사용자의 얼굴을 완전히 가리게 되고 눈이 위치하는 부분은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시야가 트이기 때문에 활동에 지장을 받지 않게 되고 자외선으로부터 얼굴 피부의 노화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계절과 관계없이 햇볕이 강한 날 즉, 자외선이 강한 날 피부알레르기 등이 있는 사람들도 안면에 조사되는 자외선을 완벽하게 차단하게 되어 피부질환에 대한 우려와 위축됨 없이 자신있게 야회활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는 햇빛/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것으로서 종이, 부직포, 직물, 합성수지 재질 등 가볍고 부드러운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통기성, 흡습성, 속건성, 보온성, 신축성 등이 뛰어난 기능성 고기능성의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고기능성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중에 쿨맥스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데, 쿨맥스는 섬유의 단면이 원형인 일반 폴리에스테르섬유와는 달리, 독특한 4채널의 섬유구조를 갖는 기능성 섬유(1980년대 미국의 듀폰사에서 개발)이다.
쿨맥스는 상기 4개의 채널을 통해 쿨맥스는 피부로부터 배출되는 땀을 직물의 맨 바깥층으로 신속하게 이동, 일단 직물의 맨 바깥층까지 이동한 수분(땀)은 독특한 4채널 섬유 구조로 인해 일반 섬유보다 20%넓어진 표면적을 이용하여 재빨리 외부로 증발하여 항상 건조하고 쾌적한 신체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편안한 느낌을 줄 수 있다.
쿨맥스와 비슷한 소재로서, 효성에서 개발한 에어로쿨(Aerocool)과 코오롱에서 개발한 쿨론(Coolon) 및 서플렉스(SUPPLEX), 필드센서(FIELD SENSOR), 헬사(HEALTHA), 파워드라이(POWER DRY)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세탁이 편리하고 원형 보전성이 뛰어나 관리가 용이하며, 수분 관리기능과 호흡성이 뛰어나 착용감이 부드럽기 때문에 쿨맥스 소재로 만든 자외선차단 두부 착용물(100)은 호흡 및 대화가 용이하고, 구김이 가지 않으며 신축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휴대와 보관도 편리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차단 두부 착용물(100)은 신축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마스크부의 길이 및 둘레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싸이즈로 제작하면 사용자의 얼굴이나 머리크기에 무관하게 남녀노소가 사용할 수 있어 판촉물로 사용하기에도 매우 적합하다.
또한, 사용자가 대화를 하기 원하거나 그늘에서 쉬는 등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마스크부를 잡아내려 턱밑에 걸쳐 두거나(도5 참조), 상기 마 스크부를 1회, 2회 혹은 그 이상 접어서 상기 차양부 위로 올려 걸침으로서 형태를 임의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그 용도에 따라 그 기능에 적합한 형태로 변형하여, 적절히 자외선을 차단하는 레저용 모자와 다양한 디자인의 패션모자를 겸할 수 있다.
상기 차양부는 종래의 캡모자에서 사용하는 것과 같이 다소 견고하고 신축하지도 않는 소재를 재단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탄성을 제공할 수 있는 직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좁은 공간에 구겨 넣어 보관한 후에도 그 외관에 전혀 변형없이 다음 사용시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차양부의 소재로서 발포성 합성수지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폴리에틸렌폼 또는 폴리우레탄폼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양부는 상기 본체와 동일한 색상 또는 매칭되는 색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콘트라스트 타이핑(대비 효과)같이 보이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차단 두부착용물은 상기 본체 또는 차양부에 일정 형상을 디자인하여 문양으로 장식하거나, 판매자 또는 공급자 등을 나타내는 상표나 로고 등을 부착하거나 자수하여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내에서 많은 변형에 의한 실시가능함은 명백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외선차단 두부 착용물은 하기와 같은 효과가 있다.
본체가 얼굴 전체를 감싸므로 사용자의 얼굴을 완전히 가리게 되고 눈이 위치하는 부분은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시야가 트이기 때문에 골프나 등산등의 야회활동에 지장을 받지 않게 되고 자외선으로부터 얼굴 피부의 노화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계절과 관계없이 햇볕이 강한 날 즉, 자외선이 강한 날 피부알레르기 등이 있는 사람들도 안면에 조사되는 자외선을 완벽하게 차단하게 되어 피부질환에 대한 우려와 위축됨 없이 자신있게 야회활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본체로서 통기성, 흡습성, 속건성, 보온성, 신축성 등이 뛰어난 기능성 고기능성의 얇은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사용하므로, 여름같이 더운 계절에 장기간 사용해도 땀이 차거나 덥지 않으며, 겨울같이 추운 계절에도 바람막이용 또는 보온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호흡 및 대화도 용이한 탁월한 효과가 있다.
마스크부를 잡아내려 턱밑에 걸쳐 두거나, 마스크부를 1회, 2회 혹은 그 이상 접어서 상기 차양부 위로 올려 걸침으로서 형태를 임의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용도에 따라 그 기능에 적합한 형태로 변형하여, 적절히 자외선을 차단하는 레저용 모자와 다양한 디자인의 패션모자를 겸할 수 있다.
차양부의 소재로서 폴리에틸렌폼 또는 폴리우레탄폼을 사용하면, 좁은 공간에 구겨 넣어 보관한 후에도 그 외관에 전혀 변형없이 다음 사용시에 사용할 수 있 다.
마스크부의 길이 및 둘레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얼굴이나 머리크기에 무관하게 남녀노소가 사용할 수 있다.

Claims (4)

  1. 삭제
  2. 두건부(131), 상기 두건부(131) 아래에 일정 형상의 통공으로 형성되어 시야를 확보하는 개방부(133), 상기 개방부(133)의 아래에 형성되고 상기 두건부(131)와 연결되는 마스크부(135)로 구성되고 삼각형으로 재단되는 폴리에스테르 소재로 된 본체; 및 상기 본체에서 개방부(133)의 두건부(131) 측 둘레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봉재결합된 차양부(150)를 포함하여, 상기 본체의 양측 하단부분(131a,131b)을 얼굴 뒤로 돌려 뒤통수 부분에 묶어 두상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차단 두부 착용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형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소재는 4채널의 섬유구조를 갖는 기능성 섬유인 쿨맥스 원단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차단 두부 착용물.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부는 탄성을 가진 폴리에틸렌폼 또는 폴리우레탄폼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차단 두부 착용물.
KR1020050082980A 2005-09-07 2005-09-07 자외선차단 두부 착용물 KR100720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980A KR100720118B1 (ko) 2005-09-07 2005-09-07 자외선차단 두부 착용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980A KR100720118B1 (ko) 2005-09-07 2005-09-07 자외선차단 두부 착용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8717A KR20070028717A (ko) 2007-03-13
KR100720118B1 true KR100720118B1 (ko) 2007-05-18

Family

ID=38101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2980A KR100720118B1 (ko) 2005-09-07 2005-09-07 자외선차단 두부 착용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01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513Y1 (ko) * 2021-08-10 2023-02-16 고도영 모자 겸용 손수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54416A (zh) * 2015-07-27 2015-11-18 南通德贝尔工贸有限公司 一种提神醒脑的头巾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450A (ko) * 2000-04-28 2001-11-26 이승호 머리 둘레를 조이지 않는 차양모
KR20030000661A (ko) * 2001-06-26 2003-01-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30000633A (ko) * 2001-06-26 2003-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리어 플로워 언더커버의 체결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450A (ko) * 2000-04-28 2001-11-26 이승호 머리 둘레를 조이지 않는 차양모
KR20030000661A (ko) * 2001-06-26 2003-01-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30000633A (ko) * 2001-06-26 2003-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리어 플로워 언더커버의 체결구조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10104450
2003633770000
2003661220000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513Y1 (ko) * 2021-08-10 2023-02-16 고도영 모자 겸용 손수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8717A (ko) 2007-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07233U (ja) 密着調節型多機能性ヘアーウェア
CA2167619C (en) Hat providing ultraviolet radiation protection
US20070074326A1 (en) Headgear With Cooling Device
KR200437319Y1 (ko) 입과 코가 노출되는 햇볕가리개
KR100720118B1 (ko) 자외선차단 두부 착용물
KR200490048Y1 (ko) 겨울 스포츠용 2-way 방한 마스크
KR20170098047A (ko) 헤어웨어
KR200255042Y1 (ko) 자외선 차단 마스크
KR200392695Y1 (ko) 자외선 차단용 마스크
KR200399101Y1 (ko) 차양보조구
US20160128398A1 (en) Supremely Adjustable Facial Mask
KR101666935B1 (ko) 차양막을 구비하는 상부 개방형 모자
KR101621521B1 (ko) 차양막과 호흡기 위치 맞춤형 마스크를 구비하는 모자
JP3213106U (ja) リバーシブル帽子
KR200449159Y1 (ko) 자외선 차단용 인디펜던트 타입 마스킹 칼라
KR20010088659A (ko) 자외선 차단 마스크
KR20100104128A (ko) 다기능 모자
KR20080000934U (ko) 햇빛 가리개
KR200363377Y1 (ko) 차양모자
KR200496142Y1 (ko) 햇빛 차단용 마스크
KR101261478B1 (ko) 차양막과 호흡기 위치 맞춤형 마스크를 구비하는 모자
KR200246436Y1 (ko) 차양모
KR102315084B1 (ko) 모자 전면부에 밴드를 걸쳐 고정하여 얼굴과 목귀를 동시에 보호하는 자외선 차단 마스크
JP5046070B2 (ja) 顔面と首の日よけカバー
KR200254831Y1 (ko) 동계용 자외선차단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413

Effective date: 2012013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312

Effective date: 2012072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824

Effective date: 20120907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