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9819B1 - 바이브레이터와 그 바이브레이터를 탑재한 휴대 단말 기기 - Google Patents

바이브레이터와 그 바이브레이터를 탑재한 휴대 단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9819B1
KR100719819B1 KR20057016097A KR20057016097A KR100719819B1 KR 100719819 B1 KR100719819 B1 KR 100719819B1 KR 20057016097 A KR20057016097 A KR 20057016097A KR 20057016097 A KR20057016097 A KR 20057016097A KR 100719819 B1 KR100719819 B1 KR 100719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or
contact portion
feed
circuit board
coi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7016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6059A (ko
Inventor
도시오 스즈키
미노루 우에다
츠요시 다카노
Original Assignee
나미키 세이미쓰 하우세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미키 세이미쓰 하우세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미키 세이미쓰 하우세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106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6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06B1/045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using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25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abutting or pinching, i.e. without alloying process; mechanical auxiliary part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measuring or protective devices or electric components
    • H02K2211/03Machines characterised by circuit boards, e.g. pcb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1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083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component, e.g. micropho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265Metallic coils or springs, e.g. as part of a connection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바이브레이터의 급전단자와 회로기판의 전극과의 전기 접속의 신뢰성 향상과 회로기판의 면 상에 대한 바이브레이터의 장착 효율 향상을 꾀하기 위해서, 급전단자를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하고, 또한 회로기판의 전극과 접촉하는 급전단자의 접촉부를 권회 형성한다. 또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부를 지지축 핀에 권회함과 함께, 하우징에 접촉부를 빠져나가게 하기 위한 단차부와, 접촉부가 면 대향하는 면부를 형성한다. 또, 2개의 급전단자 사이에 구획판을 형성하거나, 접촉부가 탄성 변형가능한 공간을 절연성의 상자 부재로 둘러싸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부에서 접촉부로의 신장 방향을, +극 및 -극에서 좌우 대칭으로 하여, 급전단자가 탄성 변형하면 각 접촉부가 각 비틀림 코일 스프링부보다 외측으로 변형하도록 구성한다.
바이브레이터

Description

바이브레이터와 그 바이브레이터를 탑재한 휴대 단말 기기{VIBRATOR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MOUNTED WITH THE VIBRATOR}
본 발명은 휴대 단말 기기 등의 진동 발생 장치로서 사용되는 바이브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 전화기로 대표되는 휴대 단말 기기 등의 진동 발생 장치로서 사용되는 바이브레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 기기에 탑재되는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경우에는, 상기 바이브레이터의 급전(給電) 단자와 상기 회로기판면 상의 전극을 리드선으로 납땜하는 수법이 채택되어 왔다. 그러나, 리드선은 사람의 손에 의해서 상기 전극에 위치 결정되어 납땜되어야 하기 때문에, 부착 공정수가 많아짐과 함께 많은 일손이나 시간을 허비하고 있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판스프링 형상의 급전단자 (이하, 판스프링 단자) 를 갖는 바이브레이터가 제안되어 있다. 이것은 급전단자를 판스프링 형상으로 함으로써, 급전단자를 상기 전극에 누르는 것만으로 바이브레이터의 급전을 행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리드선이 필요 없게 되므로 사람의 손에 의한 위치 결정 작업이 생략될 뿐만 아니라, 급전단자와 전극을 땜납 고정하는 공정도 생략할 수 있으므로, 부착 공정수나 일손 및 시간의 단축을 꾀한 다는 면에서는 유효한 것이다.
하지만, 판스프링 단자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금형이나 프레스를 사용한 펀칭 가공을 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판스프링 단자의 형성 공정을 포함하는 바이브레이터의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또한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더불어, 프레스로 펀칭 가공할 때에, 제품으로서 사용되는 급전단자 이외의 재료는 폐기하게 되므로, 재료의 수율도 그다지 좋지 않았다. 또한, 바이브레이터 내부에 판스프링 단자를 지지하기 위한 부품이 추가로 필요해지기 때문에, 부품의 수도 증가하게 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바이브레이터를 상기 회로기판의 면 상에 장착하는 어셈블리 제조사로부터 다종 다양한 형태의 급전단자를 요구받는 경우가 많아지고,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고자 하면, 판스프링 단자에서는 금형부터 변경해야 하기 때문에, 급전단자의 변경이 꽤 번잡하고 시간도 걸리게 된다. 따라서, 요구를 만족하는 급전단자를 구비한 바이브레이터를 쉽게 신속하고도 낮은 비용으로 제조하기는 어려웠다.
또한, 판스프링 단자는 소성 변형에 의한 주저앉음이 발생하기 쉽고, 판스프링 단자에 하중이 반복해서 가해지면, 판스프링 단자의 스프링성이 저하될 우려도 있었다.
그래서, 상기 판스프링 단자가 갖는 특징은 유지하면서, 문제점을 해결하는 급전단자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44904호 (3-5페이지, 도 1) 에, 급전단자를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한 바이브레이터가 제안되 어 있다.
도 21 에 그 급전단자를 구비하는 바이브레이터 (100) 를 나타낸다. 급전단자 (101) 는 도전성의 막대형 부재 (102) 의 일부를 권회하여 형성된 비틀림 코일 스프링부 (103) 를 갖고 있다. 급전단자 (101) 의 일단부 (104) 의 근방은 소정 각도로 절곡되어 절곡부 (105) 가 형성되어 있다. 도 22(A) 및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이브레이터 (100) 가 회로기판 (106) 의 면 상에 장착될 때에는 절곡부 (105) 가 회로기판 (106) 의 전극 (107) 에 접촉점 (P1) 으로 점접촉하게 된다.
상기 바이브레이터는 급전단자 (101) 를 막대형 부재 (102) 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금형을 필요 없게 함과 함께, 단자 형성 공정과 시간을 단축하고, 또한 상기 판스프링 단자의 경우와 같은 주저앉음의 발생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바이브레이터 (100) 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이나 상기 휴대 단말 기기의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휴대 단말 기기를 떨어뜨림에 따른 낙하 충격 하중) 등에 의해서, 바이브레이터 (100) 와 회로기판 (106) 의 상대 위치에 어긋남이 생기면, 당연히 절곡부 (105) 와 전극 (107) 의 접촉점 (P1) 도 원래의 위치에서 벗어나게 된다. 그 어긋남의 양이 전극 (107) 의 길이, 또는 폭보다 크면 접촉점 (P1) 은 전극 (107) 의 밖으로 이동하는 결과, 급전단자 (101) 의 전기 접속이 끊어지게 되어, 바이브레이터 (100) 의 동작이 도중에 끊겨 버리게 된다.
도 21 및 22 의 바이브레이터 (100) 의 구조에서는 전극 (107) 과 급전단자 (101) 의 전기 접속이 한 점만으로 행해지고 있기 때문에, 접촉점 (P1) 이 전극 (107) 밖으로 어긋나기 쉬워, 바이브레이터 (100) 에 대한 급전 동작의 신뢰성은 현저히 낮은 것이었다.
또한, 급전단자 (101) 를 막대 형상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회로기판 (106) 에 장착할 때에 판스프링 단자에 비하여 급전단자 (101) 에 가해지는 가압력 상태에 따라서 급전단자 (101) 가 좌우로 흔들리기 쉬운 특성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판스프링 단자에 비하면 급전단자 (101) 의 탄성 변형의 방향이 일 방향으로 정해지지 않아, 전극 (107) 과의 접촉 위치가 정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고, 그럼으로써 바이브레이터 (100) 의 회로기판 (106) 면 상에 대한 장착 효율이 저하된다는 과제가 있다.
또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 단체(單體)의 특성으로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부의 권회 방향 (도 21 의 화살표 (d, e) 방향) 으로 쓰러지기 쉬운 점을 들 수 있고, 쓰러짐으로써 전극 (107) 에 대한 탄성 가압력이 변화된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 상기 탄성 가압력이 부족하거나 또는 너무 커진다. 상기 가압력이 부족하면 전극 (107) 에 급전단자 (101) 의 절곡부 (105) 를 충분히 누르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에, 바이브레이터 (100) 가 구동하여 진동이 발생하면 전극 (107) 과 급전단자 (101) 의 접촉이 불안정해져 흔들림이 발생되고, 너무 크면 전극 (107) 에 너무 강하게 절곡부 (105) 를 누르게 되기 때문에, 바이브레이터 (100) 의 구동에 수반되는 진동에 의해서 절곡부 (105) 로 전극 (107) 을 문질러 깎게 되어, 역시 전극 (107) 과 급전단자 (101) 의 접촉이 불안정해진다.
또한, 급전단자 (101) 와 전극 (107) 의 접촉에 흔들림이 생기면, 흔들린 급전단자의 일단부 (104) 가 회로기판 (106) 면 상에 장착되어 있는 전극 (107) 이외의 부품에 접촉하여 간섭하게 되어, 원하는 가압 하중이나 스프링성을 발휘할 수 없게 된다는 과제도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 기기에 탑재되는 바이브레이터는 휴대 단말 기기 자체의 소형화 및 경량화의 요구 및 휴대 단말 기기의 다기능화에 수반되는 다른 부품 (예를 들어 카메라렌즈 등) 의 탑재에 의한 탑재 공간의 축소화에 의해서, 더한층 소형화와 경량화가 요구되고 있다. 바이브레이터 자체가 소형화되면 급전단자도 소형화하게 되지만,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급전단자에서는 막대형 부재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소형화 및 경량화하기 위해서는 막대형 부재의 직경을 가늘게 해야 하고, 가늘어지면 당연한 일이지만 강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휴대 단말 기기 외부로부터의 불의의 하중 (휴대 단말 기기를 사용자가 떨어뜨림에 따른 충격 하중 등) 에 의해서 급전단자는 변형되기 쉬워져, 바이브레이터에 대한 급전 동작의 신뢰성 저하를 초래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각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급전단자를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한 바이브레이터에 있어서, 급전단자와 전극의 전기 접속 신뢰성이 향상된 바이브레이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급전단자를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한 바이브레이터에 있어서, 회로기판의 면 상에 대한 장착 효율이 향상되는 바이브레이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1 에 기재된 발명은 진동발생기구와, 진동발생기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여 휴대 단말 기기에 탑재되는 회로기판의 전극에 전기 접속하여 상기 진동발생기구에 급전하는 +극 및 -극의 2개의 급전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급전단자는 스프링성을 갖는 도전성의 막대형 부재의 일부를 권회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부를 갖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전극과 접촉하는 상기 급전단자의 접촉부는 권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브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2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이브레이터가 편심분동(偏心分銅)을 갖는 진동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브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3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이브레이터가 왕복 운동형의 진동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브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4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바이브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지지축 핀을 구비함과 함께,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부가 상기 지지축 핀에 상기 막대형 부재를 권회함으로써 형성됨과 함께,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급전단자가 탄성 변형할 때에 상기 접촉부를 빠져나가게 하기 위한 단차부와, 탄성 변형한 상기 급전단자의 상기 접촉부가 면 대향하는 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브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탄성 변형 전의 상기 급전단자의 상기 접촉부 근방에 위치하는 상기 면부의 에지에 테이퍼면을 적절히 형성해도 된다.
또한, 청구항 5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이브레이터가 상기 회로기판의 면 상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바이브레이터를 평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접촉부가 상기 하우징과 겹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브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6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이브레이터에 있어서, 2개의 상기 급전단자 사이에 구획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브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7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또는 5 에 기재된 바이브레이터에 있어서, 2개의 상기 급전단자 사이에 구획판이 형성되고, 상기 구획판에 지지축 핀을 구비함과 함께,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부가 상기 지지축 핀에 상기 막대형 부재를 권회함으로써 형성됨과 함께, 상기 구획판에는 상기 급전단자가 탄성 변형할 때에 상기 접촉부를 빠져나가게 하기 위한 단차부와, 탄성 변형한 상기 급전단자의 상기 접촉부가 면 대향하는 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브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8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6 또는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이브레이터에 있어서, 2개의 상기 급전단자의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구획판으로 구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브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9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6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이브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급전단자의 접촉부 근방에 위치하는 구획판의 에지가 테이퍼 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브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10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이브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급전단자에 있어서의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부에서 상기 접촉부로의 신장 방향이, +극 및 -극끼리로 좌우 대칭이 되고, 또한 상기 급전단자가 탄성 변형하면 각 접촉부가 각 비틀림 코일 스프링부보다 외측으로 변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브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11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바이브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바이브레이터를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할 때에 상기 접촉부가 탄성 변형가능한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절연성의 상자 부재로 둘러싼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브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12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바이브레이터에 있어서, 편심분동 또는 왕복 운동형의 진동자를 갖는 진동발생기구와, 진동발생기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진동발생기구에 급전하는 +극 및 -극의 2개의 급전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급전단자는 스프링성을 갖는 도전성의 막대형 부재의 일부를 권회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전극과 접촉하는 상기 급전단자의 접촉부가 권회 형성되어, 휴대 단말 기기에 탑재되는 회로기판의 전극에 대하여, 상기 급전단자의 접촉부가 상기 기기 내에서 회로기판측에 가압됨으로써 접촉하여, 전기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브레이터를 탑재한 휴대 단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바이브레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을 상하 거꾸로 하고, 또한 급전단자측에서 본 배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을 상하 거꾸로 하고, 또한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바이브레이터와 회로기판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상태로부터 회로기판면 상에 바이브레이터를 장착하였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 은 도 5 의 상태를 급전단자측에서 본 배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바이브레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은 도 7 의 평면도이다.
도 9 는 도 7 의 바이브레이터를 상하 거꾸로 하고, 또한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10 은 도 9 를 급전단자측에서 본 배면도이다.
도 11 은 도 7 의 바이브레이터가 회로기판면 상에 장착되었을 때의 상태를 급전단자측에서 본 배면도이다.
도 12 는 제 2 실시형태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3 은 도 7 의 바이브레이터가 회로기판면 상에 장착되었을 때의 상태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바이브레이터를 급전단자측에서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5 는 도 14 의 바이브레이터가 회로기판면 상에 장착되었을 때의 상태를 급전단자측에서 본 배면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바이브레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 은 도 16 의 평면도이다.
도 18 은 도 16 의 바이브레이터를 상하 거꾸로 하고, 또한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19 는 도 18 을 급전단자측에서 본 배면도이다.
도 20 은 제 4 실시형태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1 은 종래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 급전단자를 구비한 바이브레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 는 도 21 의 바이브레이터를 회로기판면 상에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내 는 측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a, 1b: 바이브레이터 10: 하우징
4: 급전단자 4a: 비틀림 코일 스프링부
4b: 접촉부 5: 회로기판
6: 전극 7: 구획판
7a: 테이퍼면 8: 탄성 브래킷
8a: 상자 부재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1 실시형태의 구성을 도 1∼도 6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바이브레이터의 일 형태로서, 도시하지 않은 회전축 단부에 편심분동을 고정한 타입의 진동모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동모터 (1a) 는 도시하지 않은 회전축의 단부에 편심분동 (9) 이 고정되어 있고, 그 회전축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 기구가 모터 하우징 (2)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 상기 구동 기구와 편심분동 (9) 으로 진동발생기구가 구성된다. 상기 구동 기구는 도시하지 않은 고정자와 회전자로 형성되어 있다. 모터 하우징 (2) 의 일단측에는 브래킷 (3) 이 구비되어 있고, 모터 하우징 (2) 과 브래킷 (3) 으로 하우징 (10) 을 형성한다. 브래킷 (3) 은 수지 재료 또는 그 밖의 절연 재료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모터 하우징 (2) 의 단부에 끼워넣어지는 본체부 (3a) 와, 상기 본체부 (3a) 와 일체로 형성되어 모터 하우징 (2) 의 외주면 상을 따르도록 형성되는 단자 대부(台部) (3b) 를 갖는다. 본체부 (3a) 는 하우징 (2) 의 단부에 끼워맞춰지기 위해서, 하우징 (2) 의 외형에 거의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자대부 (3b) 의 일평면 (31b) 상으로부터 신장하도록, +극 및 -극의 2개의 급전단자 (4) 가 브래킷 (3) 에 형성된다. 따라서, 하우징 (2) 으로부터 급전단자 (4) 가 돌출하게 된다. 급전단자 (4) 의 일단측은 본체부 (3a)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브러시 (도시 안 됨) 에 접속되어 있다. 또, 단자대부 (3b) 에는 둥근 막대형의 절연 재료로 이루어진 지지축 핀 (3d) 이 구비되어 있다.
급전단자 (4) 는 스프링성을 가짐과 함께 도전성의 성질도 구비한 인청동, 베릴륨 구리 또는 양은 등의 구리 합금제, 또는 SUS, SWP 등의 철 합금제의 막대형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그 일부는 상기 지지축 핀 (3d) 에 수회 권회됨으로써 비틀림 코일 스프링부 (4a) 를 갖고 있다. 또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부 (4a) 의 타단으로부터는 직선 형상으로 막대형 부재가 연장된다. 연장되는 방향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부 (4a) 의 권회 방향 (도면 중 화살표 (a)) 에 평행하다. 또한, 막대형 부재는 연장된 단부 부근에서 다시, 수회 권회되어, 도시하지 않은 휴대 단말 기기에 탑재되는 회로기판면 상의 전극과 접촉되는 접촉부 (4b) 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진동모터 (1a) 를 상기 회로기판면 상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 4 ∼ 도 6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 도 6 에 걸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동모터 (1a) 가 회로기판 (5) 의 면 상에 장착되면 접촉부 (4b) 가 회로기판 (5) 의 전극 (6) 에 접촉하고, 그럼으로써 전극 (6) 으로부터 상기 진동발생기구에 전기 접속된다. 접촉부 (4b) 는 막대형 부재의 고리가, 복수개 권회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하나하나의 고리의 외주면이 전극 (6) 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전극 (6) 에 진동모터 (1a) 를 다접점으로 전기 접속할 수 있게 된다. 급전단자 (4) 의 접촉부 (4b) 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부 (4a) 의 주위에서 발생하는 비틀림 모멘트에 의해서 전극 (6) 에 탄성적으로 가압된다. 단자대부 (3b) 에는 급전단자 (4) 가 탄성 변형할 때에 접촉부 (4b) 를 빠져나가게 하여 탄성 변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단차부 (3e) 와 면부 (3f) 가 형성된다. 급전단자 (4) 가 탄성 변형하면 접촉부 (4b) 는 면부 (3f) 와 면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도 6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접촉부 (4b) 는 다접점으로 전극 (6) 에 접촉하기 때문에, 진동모터 (1a) 의 구동에 수반되는 진동이나 휴대 단말 기기의 낙하 충격 등과 같은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가해졌다 하더라도, 상기 고리의 복수의 외주면의 어느 하나가 전극 (6) 과 접촉하기 때문에, 전극 (6) 과의 접촉부에서의 급전 동작의 신뢰성을, 종래의 점접촉식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 급전단자에 비하여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접촉부 (4b) 자체를 원형으로 함으로써, 가는 직경의 막대형 부재를 사용하였다 하더라도 전극 (6) 과의 접촉 부분에 강성을 갖게 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진동모터 (1a) 의 진동이나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변형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접촉부 (4b) 를 원형으로 함으로써 접촉부 (4b) 에 탄성도 갖게 할 수 있으므로, 전극 (6) 에 대한 탄성 가압력의 변경을 비틀림 코일 스프링부 (4a) 뿐만 아니라 접촉부 (4b) 에서도 행할 수 있게 되고, 어셈블리 제조사로부터의 요구에 더한층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낮은 비용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 진동모터 (1a) 를 회로기판 (5) 에 장착할 때에 2개의 급전단자 (4, 4) 가 각각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부 (4a) 의 권회 방향 (도 1 의 화살표 (b, c) 방향) 으로 쓰러졌다 하더라도, 접촉부 (4b, 4b) 가 면부 (3f) 에 맞닿기 때문에 상기 쓰러짐은 일정 범위로 억제된다. 또한, 상기 권회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는 급전단자 (4) 는 쓰러지기 어렵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부 (4a) 가 쓰러짐을 억제하는 스토퍼로서 기능함과 함께, 지지축 핀 (3d, 3d) 으로 견고히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때문에, 급전단자 (4, 4) 의 탄성 변형의 방향이 일 방향으로 정해져 전극 (6) 과의 접촉 위치가 정해진다. 그럼으로써 바이브레이터 (1a) 의 회로기판 (5) 면 상에 대한 장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전극 (6) 에 대한 탄성 가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도 있게 되고, 전극 (6) 과 급전단자 (4, 4) 의 접촉을 안정되게 할 수 있다.
또, 단자대부 (3b) 의 에지 (3g) 에 테이퍼면을 형성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바이브레이터 (1a) 를 회로기판 (5) 에 장착할 때에 접촉부 (4b) 의 외주면이 에지 (3g) 에 걸려 원활하게 장착되지 않는 사태나, 에지 (3g) 에 걸려 접촉부 (4b) 가 변형되는 사태가 미연에 방지된다. 따라서, 바이브레이터 (1a) 의 장착에 보다 바람직하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 7 ∼ 도 13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거나 또는 간략하게 기술한다.
제 2 실시형태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극 및 -극 2개의 급전단자 (4, 4) 사이에 구획판 (7) 이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구획판 (7) 은 브래킷 (3) 에 구비된다. 또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바이브레이터의 다른 형태로서, 편심분동이 회전자에 고정되고, 모터 하우징 (2) 의 내부에 구동 기구와 함께 수납되어 구성되는, 진동발생기구 내장형 진동모터 (1b; 이하, 진동모터 (1b)) 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급전단자 (4, 4) 의 각 접촉부 (4b, 4b) 의 일부는 도 9 및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기판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구획판 (7) 으로 구획되어 있다. 구획판 (7) 에는 둥근 막대형의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는 지지축 핀 (7c) 이 구비되고 있고, 막대형 부재의 일부가 지지축 핀 (7c) 에 수회 권회됨으로써 비틀림 코일 스프링부 (4a) 가 형성된다. 또한, 구획판 (7) 에는 급전단자 (4) 가 탄성 변형할 때에 접촉부 (4b) 를 빠져나가게 하여 탄성 변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단차부 (7d) 와 면부 (7e) 가 형성된다. 급전단자 (4) 가 탄성 변형하면 접촉부 (4b) 는 면부 (7e) 와 면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도 13 참조).
구획판 (7) 으로 2개의 급전단자 (4, 4) 가 가로막혀짐으로써,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동모터 (1b) 를 회로기판 (5) 에 장착할 때에 2개의 급전단자 (4, 4) 가 각각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부 (4a) 의 권회 방향 (도면 중, 화살표 (b, c) 방향) 으로 쓰러졌다 하더라도, 접촉부 (4b, 4b) 는 면부 (7e) 에 맞닿기 때문에 상기 쓰러짐은 일정 범위로 억제된다. 또한, 상기 권회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는 급전단자 (4) 는 쓰러지기 어렵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부 (4a) 가 쓰러짐을 억제하는 스토퍼로서 기능함과 함께, 지지축 핀 (7c, 7c) 에서 견고히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때문에, 급전단자 (4, 4) 의 탄성 변형의 방향이 일 방향으로 정해져 전극 (6) 과의 접촉 위치가 정해진다. 그럼으로써 바이브레이터 (1a) 의 회로기판 (5) 면 상에 대한 장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전극 (6) 에 대한 탄성 가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도 있게 되고, 전극 (6) 과 급전단자 (4, 4) 의 접촉을 안정되게 할 수 있다.
또, 접촉부 (4b, 4b) 의 근방에 위치하는 구획판 (7) 의 에지에,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퍼 가공하여 테이퍼면 (7a) 을 형성하면, 회로기판 (5) 장착시에 접촉부 (4b, 4b) 의 외주면이 구획판 (7) 의 에지에 걸려 원활히 장착되지 않는 사태나, 에지에 걸려 접촉부 (4b, 4b) 가 변형되는 사태나, 접촉부 (4b, 4b) 가 회로기판 (5) 상에 장착될 때에 서로 구획판 (7) 의 평면 (7b)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여 서로 접촉한다는 여러 가지의 예측할 수 없는 사태가 미연에 방지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또,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동모터 (1b) 의 급전단자 (4, 4) 의 배치 위치를 브래킷 (3) 의 측면 (3c) 상에 설정함과 함께, 접촉부 (4b, 4b) 가 탄성 변형하는 방향을 하우징 (10) 의 외측에 설정함으로써, 진동모터 (1b) 가 회로기판 (5) 의 면 상에 장착된 상태에서 진동모터 (1b) 를 평면 방향 (도면 중, 화살표 (f) 방향) 에서 보았을 때에, 탄성 변형한 접촉부 (4b) 가 하우징 (10) 의 외측에 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모터 (1b) 에 대하여 회로기판 (5) 을, 그 두께 면 (5a) 이 상기 측면 (3c) 과 접하도록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도 5 의 장착상태에 비교하여 진동모터 (1b) 와 접하는 회로기판 (5) 의 면적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진동모터 (1) 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회로기판 (5) 에 전해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회로기판 (5) 에 면장착되어 있는 IC 나 LSI 와 같은 정밀 전자 부품에 전해지는 진동량을 저감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진동에 기인한 이들 정밀 전자 부품의 오작동이나 고장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회로기판 (5) 자체의 덜컥거림 발생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바이브레이터는 일반적으로, 회로기판에 장착됨과 함께, 휴대 단말 기기의 케이스에 직접 끼워넣어져 있고, 바이브레이터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은 상기 케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되기 때문에, 회로기판과 바이브레이터의 접촉 면적이 감소하더라도 단점은 없다.
또한, 장착시에 있어서 상기 평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접촉부 (4b) 가 하우징 (10) 과 겹치지 않기 때문에, 장착시의 두께를 억제할 수도 있게 된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 14 및 도 15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거나 또는 간략하게 기술한다.
제 3 실시형태가 상기 각 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급전단자 (4) 에 있어서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부 (4a) 에서 접촉부 (4b) 로의 신장 방향이, +극 및 -극끼리로 좌우 대칭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이다.
따라서, 진동모터 (1a) 가 회로기판 (5) 에 장착되어 급전단자 (4) 가 탄성 변형하면, 각 급전단자 (4, 4) 의 접촉부 (4b, 4b) 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부 (4a, 4a) 보다 외측으로 변형된다.
따라서, +극 및 -극의 전극 (6, 6) 을 서로 떨어뜨릴 수 있게 되고, +극의 전극에 접촉시켜야 하는 접촉부 (4b; 도 14 및 도 15 의 어느 일방) 가 잘못하여 -극의 전극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전극의 이극끼리의 접촉으로 인한 이상 단락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 16∼도 19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거나 또는 간략하게 기술한다.
제 4 실시형태가 상기 각 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접촉부 (4b, 4b) 가 탄성 변형가능한 공간의 적어도 일부가, 상자 부재 (8a) 로 둘러싸여 있는 점이다. 상자 부재 (8a) 는 홀더 (8) 와 일체로 형성된다. 홀더 (8) 는 일례로서 절연성의 탄성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 (10) 의 외주를 둘러싸는 내경부를 가짐과 함께, 모터 축 방향 (도면 중, 화살표 (g) 방향) 으로 급전단자 (4) 측으로 신장되고, 급전단자 (4) 의 주변을 둘러싸는 상자 부재 (8a) 를 갖도록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진동모터 (1b) 에 홀더 (8) 를 절결부 (8b) 를 펼치면서 씌우면, 급전단자 (4) 도 상자 부재 (8a) 에 수납된다.
이 진동모터 (1b) 를 회로기판에 장착하고자 하면, 2개의 급전단자 (4, 4) 는 탄성 변형을 개시하고, 좌우로 흔들리려고 한다. 따라서, 단부인 접촉부 (4b, 4b) 도, 급전단자 (4, 4) 의 탄성 변형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흔들리려고 한다. 그러나 좌우로 흔들리려고 하면 접촉부 (4b, 4b) 는 상자 부재 (8a) 의 내측 측면 또는 구획판 (7) 에 맞닿아, 그 이상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변형이 저지된다. 요컨대 상자 부재 (8a) 의 내측 측면이 접촉부 (4b, 4b) 의 탄성 변형 방향의 스토퍼가 되어, 소정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는 가이드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장착시에 있어서의 급전단자 (4, 4) 특히 접촉부 (4b, 4b) 의 좌우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탄성 변형의 방향이 일 방향으로 정해지기 쉬워지고, 접촉부 (4b, 4b) 와 전극 (6) 의 접촉 위치를 일정하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럼으로써, 바이브레이터의 회로기판면 상으로의 장착 효율을 높일 수 있음과 함께, 확실히 전극 (6) 에 접촉부 (4b) 를 접촉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접촉부 (4b) 의 사방이 상자 부재 (8a) 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회로기판에 장착하였을 때, 접촉부 (4b) 가 회로기판면 상의 다른 부품에 접촉하지 않게 되므로, 원하는 가압 탄성력이나 스프링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 상자 부재 (8a) 의 내측 측면을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전단자 (4) 의 평면 방향 형상에 일치시킴으로써, 보다 급전단자 (4) 의 좌우의 흔들림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각 효과에 더하여 급전단자 (4) 가 쓰러지는 방향을 완전히 일 방향으로 한정할 수 있으므로, 전극 (6) 에 대한 탄성 가압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전극 (6) 과 접촉부 (4b, 4b) 의 접촉을 보다 안정되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고, 진동발생기구가 왕복 운동형의 진동자를 갖는 타입의 바이브레이터에, 본 발명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급전단자를 구비해도 된다. 또, 홀더 (8) 는 절연성이면 탄성 재료가 아니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 1 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급전단자를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함과 함께, 전극과 접촉하는 급전단자의 접촉부를 권회 형성하였으므로, 바이브레이터를 회로기판에 장착할 때에 상기 접촉부의 복수의 고리의 외주면을 전극에 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극에 바이브레이터를 다접점으로 전기 접속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바이브레이터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이나 휴대 단말 기기에 외부로부터 하중이 가해지거나 하여, 바이브레이터와 회로기판의 상대 위치에 어긋남이 생겨 상기 접촉부와 전극의 접촉점이 원래의 위치에서 벗어나더라도, 복수의 상기 외주면 중 어느 하나는 상시, 전극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전극과 급전단자의 전기 접속이 끊어지는 경우는 없고, 그 결과, 바이브레이터에 대한 급전 동작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접촉부 자체를 원형으로 함으로써, 급전단자에 가는 직경의 막대형 부재를 사용하였다고 하더라도, 전극과의 접촉 부분에 강성을 갖게 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바이브레이터의 진동이나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변형되기 어렵 게 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를 원형으로 함으로써 접촉부에 탄성도 갖게 할 수 있으므로, 전극에 대한 탄성 가압력의 변경을 비틀림 코일 스프링부뿐 아니라 접촉부에서도 행하게 할 수 있게 되어, 어셈블리 제조사로부터의 요구에 더한층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낮은 비용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청구항 4 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에 지지축 핀을 구비함과 함께, 막대형 부재를 지지 핀에 권회함으로써 비틀림 코일 스프링부를 형성하고, 하우징에는 급전단자가 탄성 변형할 때에 접촉부를 빠져나가게 하기 위한 단차부와, 탄성 변형한 급전단자의 접촉부가 면 대향하는 면부를 형성하였으므로, 급전단자가 각각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부의 권회 방향으로 쓰러졌다 하더라도, 접촉부가 면부에 맞닿으므로 상기 쓰러짐을 일정 범위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급전단자의 탄성 변형의 방향을 일 방향으로 정할 수 있으므로 전극과 접촉부의 접촉 위치가 정해진다. 그럼으로써, 바이브레이터의 회로기판면 상에 대한 장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전극에 대한 탄성 가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도 있게 되어, 전극과 급전단자의 접촉을 안정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 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바이브레이터가 회로기판의 면 상에 장착된 상태에서 바이브레이터를 평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접촉부가 바이브레이터의 하우징과 겹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탄성 변형하도록 급전단자를 바이브레이터에 형성하였으므로, 바이브레이터와 접하는 회로기판의 면적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게 되고, 결과적으로, 바이브레이터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회로기판에 전해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회로기판에 면 장착되어 있는 IC 나 LSI 와 같은 정밀 전자 부품에 전해지는 진동량을 저감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진동에 기인한 이들 정밀 전자 부품의 오작동이나 고장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회로기판 자체의 덜컥거림 발생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장착시에 있어서 상기 평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접촉부가 하우징과 겹치지 않으므로, 그 만큼 바이브레이터를 회로기판면 상에 장착하였을 때의 장착시의 두께를 억제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청구항 6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2개의 급전단자의 사이에 구획판을 형성하였으므로, 구획판으로 2개의 급전단자를 가로막음으로써, 바이브레이터를 회로기판에 장착할 때에 2개의 급전단자가 각각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부의 권회 방향으로 쓰러졌다 하더라도, 구획판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쓰러짐을 일정 범위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바이브레이터의 회로기판면 상에 대한 장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전극에 대한 탄성 가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전극과 급전단자의 접촉을 안정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8 또는 9 에 기재된 발명이 따르면, 2개의 급전단자의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구획판으로 구획하여 가로막거나, 급전단자의 접촉부 근방에 위치하는 구획판의 에지에 테이퍼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바이브레이터를 회로기판에 장착할 때에 접촉부의 외주면이 구획판의 에지에 걸려 원활하게 장착되지 않는 사태나, 에지에 걸려 접촉부가 변형되는 사태나, 접촉부가 회로기판 상에 장착될 때에 서로 구획판의 평면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여 서로 접촉하는 여러 가지 예측할 수 없는 사태가 미연에 방지된다. 따라서, 바이브레이터의 장착에 보다 적절하다.
또한, 청구항 10 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급전단자에 있어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부에서 접촉부로의 신장 방향을, +극 및 -극끼리로 좌우 대칭되게 하고, 또한, 상기 급전단자가 탄성 변형하면 각 접촉부가 각 비틀림 코일 스프링부보다 외측으로 변형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회로기판의 +극 및 -극의 전극을 서로 떨어뜨릴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극의 전극에 접촉시켜야 하는 접촉부가 잘못하여 -극의 전극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전극의 이극끼리의 접촉으로 인한 이상 단락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1 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바이브레이터를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할 때에 상기 접촉부가 탄성 변형가능한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절연성의 상자 부재로 둘러쌌으므로, 각 접촉부가 탄성 변형할 때에 좌우로 흔들리려고 해도, 상자 부재의 내측 측면에 맞닿아, 그 이상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변형이 저지된다. 요컨대 상자 부재의 내측 측면이 접촉부의 탄성 변형 방향의 스토퍼가 되어, 소정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는 가이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장착시 에 있어서의 접촉부의 좌우의 흔들림이 방지되고, 탄성 변형의 방향이 일 방향으로 정해지기 쉬워져, 접촉부와 전극의 접촉 위치를 일정하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럼으로써, 바이브레이터의 회로기판면 상에 대한 장착 효율을 높일 수 있음과 함께, 확실하게 전극에 접촉부를 접촉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접촉부의 사방을 상자 부재로 둘러쌈으로써, 바이브레이터를 회로기판에 장착하였을 때, 접촉부가 회로기판면 상의 다른 부품에 접촉하지 않게 되므로, 원하는 가압 탄성력이나 스프링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 청구항 2 또는 3 에 기재된 발명은 본 발명의 바이브레이터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것이고, 여러 형식의 바이브레이터를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2 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에 기재된 발명이 갖는 효과를 얻고, 그 바이브레이터를 휴대 단말 기기에 탑재할 수 있게 된다. 요컨대 청구항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바이브레이터에 있어서, 편심분동 또는 왕복 운동형의 진동자를 갖는 진동발생기구와, 진동발생기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진동발생기구에 급전하는 +극 및 -극의 2개의 급전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급전단자는 스프링성을 갖는 도전성의 막대형 부재의 일부를 권회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전극과 접촉하는 상기 급전단자의 접촉부가 권회 형성되어, 휴대 단말 기기에 탑재되는 회로기판의 전극에 대하여, 상기 급전단자의 접촉부가 상기 기기 내에서 회로기판측에 가압됨으로써 접촉하고, 전기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브레이터를 탑재한 휴대 단말 기기가 가능해진다.

Claims (12)

  1. 진동발생기구와, 진동발생기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여 휴대 단말 기기에 탑재되는 회로기판의 전극에 전기 접속하여 상기 진동발생기구에 급전하는 +극 및 -극의 2개의 급전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급전단자는 스프링성을 갖는 도전성의 막대형 부재의 일부를 권회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부를 갖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전극과 접촉하는 상기 급전단자의 접촉부는 전극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 방향에서 고리 형상으로 권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 지지축 핀을 구비함과 함께,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부가 상기 지지축 핀에 상기 막대형 부재를 권회함으로써 형성됨과 함께,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급전단자가 탄성 변형할 때에 상기 접촉부를 빠져나가게 하기 위한 단차부와, 탄성 변형한 상기 급전단자의 상기 접촉부가 면 대향하는 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브레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브레이터는 편심분동을 갖는 진동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브레이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브레이터는 왕복 운동형의 진동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브레이터.
  4. 삭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브레이터가 상기 회로기판의 면 상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바이브레이터를 평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접촉부가 상기 하우징과 겹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브레이터.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급전단자 사이에 구획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브레이터.
  7. 진동발생기구와, 진동발생기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여 휴대 단말 기기에 탑재되는 회로기판의 전극에 전기 접속하여 상기 진동발생기구에 급전하는 +극 및 -극의 2개의 급전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급전단자는 스프링성을 갖는 도전성의 막대형 부재의 일부를 권회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부를 갖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전극과 접촉하는 상기 급전단자의 접촉부는 전극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 방향에서 고리 형상으로 권회 형성되고, 2개의 상기 급전단자 사이에 구획판이 형성되고, 상기 구획판에 지지축 핀을 구비함과 함께,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부가 상기 지지축 핀에 상기 막대형 부재를 권회함으로써 형성됨과 함께, 상기 구획판에는 상기 급전단자가 탄성 변형할 때에 상기 접촉부를 빠져나가게 하기 위한 단차부와, 탄성 변형한 상기 급전단자의 상기 접촉부가 면 대향하는 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브레이터.
  8. 제 6 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급전단자의 접촉부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구획판으로 구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브레이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단자의 접촉부 근방에 위치하는 구획판의 에지가 테이퍼 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브레이터.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단자에 있어서의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부에서 상기 접촉부로의 신장 방향이, +극 및 -극 으로 좌우 대칭이 되고, 또한 상기 급전단자가 탄성 변형하면 각 접촉부가 각 비틀림 코일 스프링부보다 외측으로 변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브레이터.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브레이터를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할 때에 상기 접촉부가 탄성 변형가능한 공간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절연성의 상자 부재로 둘러싼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브레이터.
  12. 편심분동 또는 왕복 운동형의 진동자를 갖는 진동발생기구와, 진동발생기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진동발생기구에 급전하는 +극 및 -극의 2개의 급전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급전단자는 스프링성을 갖는 도전성의 막대형 부재의 일부를 권회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전극과 접촉하는 상기 급전단자의 접촉부가 권회 형성되어, 휴대 단말 기기에 탑재되는 회로기판의 전극에 대하여, 상기 급전단자의 접촉부가 상기 기기 내에서 회로기판측에 가압됨으로써 접촉하여, 전기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기재된 바이브레이터를 탑재한 휴대 단말 기기.
KR20057016097A 2003-03-03 2004-03-02 바이브레이터와 그 바이브레이터를 탑재한 휴대 단말 기기 KR1007198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55955A JP2004261740A (ja) 2003-03-03 2003-03-03 バイブレータとそのバイブレータを搭載した携帯端末機器
JPJP-P-2003-00055955 2003-03-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6059A KR20050106059A (ko) 2005-11-08
KR100719819B1 true KR100719819B1 (ko) 2007-05-18

Family

ID=32958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7016097A KR100719819B1 (ko) 2003-03-03 2004-03-02 바이브레이터와 그 바이브레이터를 탑재한 휴대 단말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18275B2 (ko)
EP (1) EP1604746A4 (ko)
JP (1) JP2004261740A (ko)
KR (1) KR100719819B1 (ko)
CN (1) CN1784274B (ko)
WO (1) WO20040783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49357B2 (ja) * 2006-01-23 2012-01-11 シコー株式会社 振動モータ及び振動機器
US8069823B2 (en) * 2007-01-03 2011-12-06 Radio Systems Corporation Vibration stimulus delivery device
JP4699405B2 (ja) * 2007-02-26 2011-06-08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JP5060197B2 (ja) * 2007-08-06 2012-10-31 日本電産セイミツ株式会社 振動モータの基板実装構造
GB2446685B (en) * 2007-11-27 2009-04-01 Perpetuum Ltd An electromechanical generator for converting mechanical vibration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JP5095439B2 (ja) * 2008-02-19 2012-12-12 リコーエレメックス株式会社 モータおよび電子デバイス
US8461969B2 (en) * 2009-06-02 2013-06-11 Lg Innotek Co., Ltd. Dual mode vibrator
JP2012041887A (ja) * 2010-08-20 2012-03-01 Denso Corp 電子スロットル
US10674709B2 (en) 2011-12-05 2020-06-09 Radio Systems Corporation Piezoelectric detection coupling of a bark collar
US10154651B2 (en) 2011-12-05 2018-12-18 Radio Systems Corporation Integrated dog tracking and stimulus delivery system
US11553692B2 (en) 2011-12-05 2023-01-17 Radio Systems Corporation Piezoelectric detection coupling of a bark collar
US11470814B2 (en) 2011-12-05 2022-10-18 Radio Systems Corporation Piezoelectric detection coupling of a bark collar
CN102420502B (zh) * 2011-12-10 2015-04-15 东莞市旭业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音圈马达和平板弹片的冲压治具及其冲压工艺
US10231440B2 (en) 2015-06-16 2019-03-19 Radio Systems Corporation RF beacon proximity determination enhancement
US10645908B2 (en) 2015-06-16 2020-05-12 Radio System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sound masking environment
US10268220B2 (en) 2016-07-14 2019-04-23 Radio Systems Corporatio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voltage excitation waveforms
GB2573249B (en) 2017-02-27 2022-05-04 Radio Systems Corp Threshold barrier system
US11394196B2 (en) 2017-11-10 2022-07-19 Radio Systems Corporation Interactive application to protect pet containment systems from external surge damage
US10986813B2 (en) 2017-12-12 2021-04-27 Radio System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monitoring, and adjusting a stimulus to a pet
US10842128B2 (en) 2017-12-12 2020-11-24 Radio System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monitoring, and adjusting a stimulus to a pet
US11372077B2 (en) 2017-12-15 2022-06-28 Radio Systems Corporation Location based wireless pet containment system using single base unit
US10514439B2 (en) 2017-12-15 2019-12-24 Radio Systems Corporation Location based wireless pet containment system using single base unit
CN109981830B (zh) * 2017-12-28 2020-12-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离心电机、电子装置以及调整电子装置角度的方法
CN109981861B (zh) * 2017-12-28 2020-09-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离心电机、电子装置以及调整电子装置角度的方法
CN109981858B (zh) * 2017-12-28 2021-04-2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离心电机、电子装置以及调整电子装置角度的方法
CN109981833B (zh) * 2017-12-28 2020-12-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离心电机、电子装置以及调整电子装置角度的方法
CN109981828B (zh) * 2017-12-28 2021-02-1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离心电机、电子装置以及调整电子装置角度的方法
JP7255976B2 (ja) 2018-05-22 2023-04-11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モータ
CN110067807B (zh) * 2019-04-03 2020-06-26 浙江双友物流器械股份有限公司 一种铰接结构
US11238889B2 (en) 2019-07-25 2022-02-01 Radio System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multi-directional bark deterrence
US10796679B1 (en) * 2020-02-11 2020-10-06 Donald F. Powell Automated wind chime
US11490597B2 (en) 2020-07-04 2022-11-08 Radio Systems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keep out zones within wireless containment region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7460A (ja) * 1996-10-09 1998-05-06 Hosiden Corp 振動モータ
JPH11136327A (ja) * 1997-10-30 1999-05-21 C I Kasei Co Ltd 携帯無線機器における振動発生装置とプリント配線基板との電気的接続構造
JP2002044907A (ja) * 2000-07-27 2002-0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小型直流モータとそれを備えた携帯電子機器
JP2002044904A (ja) * 2000-07-21 2002-02-08 Mabuchi Motor Co Ltd 小型モータ
JP2003174753A (ja) * 2001-12-04 2003-06-20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小型モータ及び小型振動モータ並びに携帯用情報機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28566Y (zh) * 1992-07-04 1993-03-24 苏峰 电磁式仓壁振动器
CN100350823C (zh) * 1996-08-29 2007-11-2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振动器夹持装置
US6093036A (en) * 1997-12-05 2000-07-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erminal connection device for power supply circuit
JP3349118B2 (ja) * 1999-07-23 2002-11-20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モータ及び携帯電話
WO2003098779A1 (fr) * 2002-05-22 2003-11-27 Namiki Seimitsu Houseki Kabushikikaisha Moteu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7460A (ja) * 1996-10-09 1998-05-06 Hosiden Corp 振動モータ
JPH11136327A (ja) * 1997-10-30 1999-05-21 C I Kasei Co Ltd 携帯無線機器における振動発生装置とプリント配線基板との電気的接続構造
JP2002044904A (ja) * 2000-07-21 2002-02-08 Mabuchi Motor Co Ltd 小型モータ
JP2002044907A (ja) * 2000-07-27 2002-0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小型直流モータとそれを備えた携帯電子機器
JP2003174753A (ja) * 2001-12-04 2003-06-20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小型モータ及び小型振動モータ並びに携帯用情報機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404490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85495A1 (en) 2007-04-19
EP1604746A1 (en) 2005-12-14
KR20050106059A (ko) 2005-11-08
CN1784274A (zh) 2006-06-07
US7518275B2 (en) 2009-04-14
JP2004261740A (ja) 2004-09-24
WO2004078366A1 (ja) 2004-09-16
CN1784274B (zh) 2010-11-03
EP1604746A4 (en) 2008-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9819B1 (ko) 바이브레이터와 그 바이브레이터를 탑재한 휴대 단말 기기
EP2665165B1 (en) Motor for driving lenses
KR101249604B1 (ko) 카메라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20070102396A (ko) 진동 모터
US6271610B1 (en) Electromagnetic vibrator and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EP1236262B1 (en) Motor assembled by using motor-base-holder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motor
KR101148530B1 (ko) 선형 진동자
CN112162449A (zh) 防抖结构、防抖系统及摄像装置
US8105117B2 (en) Spring connector and terminal device
JP2018107152A (ja) 導電性エレメント、導電性エレメント用の板状部材及び導電性エレメントの製造方法
KR100808826B1 (ko) 진동 발생용 전동기
JP2002044907A (ja) 小型直流モータとそれを備えた携帯電子機器
JP2003224949A (ja) 電磁振動体を用いた電池駆動機器
JP2002075502A (ja) 電気接続方法、電気接続用コネクタ、及び電子部品ホルダ
JP4267371B2 (ja) 振動発生用電動機
JP4866987B2 (ja) 振動発生装置の携帯端末機器への実装構造
JP2008206222A (ja) 小型モー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6067717A (ja) 充電器
JP2004160315A (ja) 振動発生用小型モータ
JPWO2003098779A1 (ja) モータ
JP2005080421A (ja) バネ端子を有する小型モータ
JP2007195376A (ja) 振動モータ及び振動機器
JP2002291195A (ja) 電磁振動体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携帯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