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9176B1 - 어스앵커의 변위량 감시장치 - Google Patents

어스앵커의 변위량 감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9176B1
KR100719176B1 KR1020050123898A KR20050123898A KR100719176B1 KR 100719176 B1 KR100719176 B1 KR 100719176B1 KR 1020050123898 A KR1020050123898 A KR 1020050123898A KR 20050123898 A KR20050123898 A KR 20050123898A KR 100719176 B1 KR100719176 B1 KR 100719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 anchor
displacement
displacement measuring
anchor
ear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3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배혁
Original Assignee
(주) 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filed Critical (주) 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Priority to KR1020050123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91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 G01B7/1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using change in resis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어스앵커에 작용하는 토압에 의해 늘어난 각 어스앵커의 변위량이 일정 값이상 증가하였을 경우 이를 검출해서 시각적으로 알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절개지의 붕괴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어스앵커의 변위량 감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어스앵커, 변위량, 감시장치

Description

어스앵커의 변위량 감시장치{WATCH APPARATUS FOR MONITORING DISPLACEMENT OF EARTH ANCHO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스앵커의 변위량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스앵커의 변위량 측정장치를 분해해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스앵커의 변위량 측정장치가 시공된 어스앵커의 콘헤드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해서 도시한 확대 종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화살표 B방향에서 본 평면도,
도 6은 도 1에서 표시유닛을 확대해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7은 도 6을 일부분해해서 도시한 투시도,
도 8은 도 7에서 요부를 확대해서 도시한 확대투시도,
도 9는 도 6에 도시한 표시유닛의 동작을 설명하는 회로도,
도 10은 도 6에 도시한 표시유닛에 적용되는 리드 스위치의 단면도,
도 11은 도 6의 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스앵커의 변위량 측정장치에 있어서의 가동부재를 확대해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변위량 감시장치 101a:PC강선
102:절개지 103:콘헤드
103a:콘 104:흙받이용 판넬
105:지지부재 106a,106b:쉬스관
110:스페이서 112:오목홈
114:연결파이프 114a:나사부
116:관통구멍 122:나사부
124:장공 126:나사부
120a:눈금 120:변위측정 파이프
130:가동부재 132:측정핀
134:오목홈 136:자석
140:코일스프링 150:덮개
152:나사부 160:표시유닛
161:케이스 본체 161a:외측 동심벽체
161b:내측 동심벽체 161c:관통구멍
161d:바닥면 162:리드 스위치
162a:고정접점 162a':리이드 선
162b:가동접점 162b':리이드 선
162c:유리관 162d:보빈
162e:코일 163:배터리
164:배터리케이스 165d:상부면
165:캡 165a:외측 동심벽체
165b:내측 동심벽체(165a,165b 165c:관통구멍
본 발명은 어스앵커의 변위량 감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어스앵커에 작용하는 토압에 의해 늘어난 각 어스앵커의 변위량이 일정 값이상 증가하였을 경우 이를 검출해서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절개지의 붕괴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어스앵커의 변위량 감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종래에는 어스앵커에 작용하는 토압에 의해 늘어난 어스앵커의 변위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어스앵커의 경사도를 측정하는 경사계와 하중계를 사용해서 측정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경사계와 하중계를 사용해서 어스앵커의 변위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상기 경사계와 하중계가 고가의 장비이므로, 어스앵커의 특정부분에서 만의 변위량을 측정하므로서, 각 어스앵커의 변위량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없어 생각지도 못한 부분에서 어스앵커가 붕괴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경사계와 하중계를 사용해서 어스앵커의 변위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어스앵커의 감시자가 직접 현장을 방문하여 어스앵커의 변위량을 측정하여야 하므로, 많은 시간과 감시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어스 앵커의 변위량을 실시간에 감시할 수 없으므로, 어스앵커의 변위량이 일정 값 이상 증가하였을 경우, 신속하게 대응할 수 없어 붕괴사고를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어스앵커의 변위량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어스앵커에 작용하는 토압에 의해 늘어난 각 어스앵커의 변위량이 일정 값 이상 발생하였을 경우 시각적으로 알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는 어스앵커의 변위량 감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스앵커의 변위량이 일정 값 이상 증가하였을 경우, 주,야간으로 신속하게 대응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어스앵커의 변위량 감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어스 앵커의 PC강선이 삽입된 쉬스관을 일정간격을 두고 통과하도록 테두리면을 따라 다수의 오목홈이 일정간격 두고 형성되며, 중앙에 연결파이프가 수직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파이프의 양측에 시멘트 페이스트를 주입하는 다수개의 주입관이 삽입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스페이서와, 상기 스페이서의 중앙에 수직되게 설치되어 상기 연결파이프의 선단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와 나합되도록 일측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며, 서로 대향되게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장공이 형성되며, 어스앵커의 변위량을 측정하도록 상기 장공의 외측면에 눈금이 새겨진 계측용 변위측정 파이프와, 둘레면에 형성된 나사구멍에 ㄱ자 형상의 측정핀의 일측이 나합되고, 외측면에 형성된 오목홈의 둘레에 와샤형상의 자석이 설치되며, 상기 변위측정 파이프 내에 이동가능하게 배설된 가동부재와, 상기 가동부재의 외측에서 상기 가동부재를 콘헤드측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변위측정 파이프 내에 배설된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스프링을 고정하여 상기 가동부재를 콘헤드측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변위측정 파이프의 타측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와 나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된 덮개와, 상기 변위측정 파이프의 타측면과 상기 덮개의 단차부 사이에 위치고정되어 어스앵커에 가해지는 토압에 의해 어스 앵커의 PC강선의 자유단이 절개지 외측으로 밀려 나올 경우 상기 가동부재의 자석에서 방출되는 자력선에 의해 리드 스위치가 스위칭 온되어 제1 및 제2 발광 다이오드의 점등에 의해 어스앵커의 변위량이 일정 값 이상임을 표시하는 표시유닛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스앵커의 변위량 감시장치에 관하여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스앵커의 변위량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스앵커의 변위량 측정장치를 분해해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스앵커의 변위량 측정장치가 시공된 어스앵커의 콘헤드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해서 도시한 확대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화살표 B방향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서 표시유닛을 확대해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을 일부분해해서 도시한 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요부를 확대해서 도시한 확대투시도이고, 도 9는 도 6에 도시한 표시유닛의 동작을 설명하는 회로도이고, 도 10은 도 6에 도시한 표시유닛에 적용되는 리드 스위치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6의 종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스앵커의 변위량 측정장치에 있어서의 가동부재를 확대해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스앵커의 변위량 감시장치(100)는 어스 앵커의 앵커용 PC강선(101a)이 삽입된 쉬스관(106a,106b)을 일정간격을 두고 통과하도록 테두리면을 따라 다수의 오목홈(112)이 일정간격 두고 형성되며, 중앙에 연결파이프(114)가 수직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파이프(114)의 양측에 시멘트 페이스트(또는 시멘트 밀크라고도 한다)를 주입하는 다수개(본 발명에서는 2개)의 주입관이 삽입되는 관통구멍(116)이 형성된 스페이서(110)와, 상기 스페이서(110)의 중앙에 수직되게 설치되어 상기 연결파이프(114)의 선단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14a)와 나합되도록 일측 내주면에 나사부(122)가 형성되며, 서로 대향되게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장공(124)이 형성되며, 어스앵커의 변위량을 측정하도록 상기 장공(124)의 외측면에 눈금(120a)이 새겨진 계측용 변위측정 파이프(120)와, 둘레면에 형성된 나사구멍(도시하지 않음)에 ㄱ자 형상의 측정핀(132)의 일측이 나합되고, 외측면(도 2에서 좌측면)에 형성된 오목홈(134)의 둘레에 와샤 형상의 자석(136)이 설치되며, 상기 변위측정 파이프(120) 내에 이동가능하게 배설된 가동부재(130)와, 상기 가동부재(130)의 외측(도 2에서 좌측)에서 상기 가동부재(130)을 콘헤드(103)측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변위측정 파이프(120) 내에 배설된 코일스프링(140)과, 상기 코일스프링(140)을 고정하여 상기 가동부재(130)를 콘헤드(103)측으로 밀도록 상기 변위측정 파이프(120)의 타측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26)와 나합되는 나사부(152)가 형성된 덮개(150)와, 상기 변위측정 파이프(120)의 타측면과 상기 덮개(150)의 단차부 사이에 위치고정되어 어스앵커에 가해지는 토압에 의해 어스 앵커의 PC강선(101a)의 자유단이 절개지 외측으로 밀려 나올 경우 상기 가동부재(130)의 자석(136)에서 방출되는 자력선에 의해 리드 스위치(162)가 스위칭 온되어 제1 및 제2 발광 다이오드(LED1,LED2)의 점등에 의해 어스앵커의 변위량이 일정 값 이상임을 표시하는 표시유닛(16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동부재(130)의 외측면에는 상기 코일스프링(140)의 위치이탈을 방지하도록 오목홈(1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표시유닛(160)은 외측 및 내측 동심벽체(161a,161b)로 이루어지며, 한쪽(도 7에서 하부)이 바닥면(161d)에 의해 폐쇄되고, 타측(도 7에서 상부)이 개방되며, 상기 변위 측정파이프(120)와 상기 덮개(150) 사이에 끼울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구멍(161c)이 형성된 케이스 본체(161)와, 상기 외측 동심벽체(161a)에 형성된 한쌍의 관통공(부호 표시하지 않음) 내에 끼워 설치된 제1 및 제2 발광다이오드(LED1,LED2)와, 일측 전극이 리이드 선(부호표시하지 않음)을 개재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발광다이오드(LED1,LED2)에 각각 접속되어 어스앵커에 가해지는 토압에 의해 어스 앵커의 PC강선(101a)의 자유단이 절개지 외측으로 밀려 나올 경우 상기 가동부재(130)의 자석(136)에서 방출되는 자력선에 의해 유도기전력이 발생하여 스위칭 온되는 리드 스위치(162)와, 일측단자가 상기 리드 스위치(162)의 타측에 리이드 선(부호 표시하지 않음)을 개재하여 접속됨과 동시에, 타측단자가 전류제한 저항(R1,R2)을 개재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발광다이오드(LED1,LED2)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리드 스위치(162)의 스위칭 온시에, 상기 제1 및 제2 발광다이오드(LED1,LED2)를 점등시키도록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63)와, 상기 배터리(163)를 수용하는 배터리 케이스(164)와, 중앙에 관통구멍(165c)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161)의 개방부를 덮도록 외측 및 내측 동심벽체(165a,165b)로 이루어지며, 한쪽이 상부면(165d)에 의해 폐쇄되고, 타측이 개방되며, 상기 변위 측정파이프(120)와 상기 덮개(150) 사이에 끼울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구멍(165c)이 형성된 캡(165)과, 동작을 단속하는 메인스위치(16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 본체(161)의 외측 및 내측 동심벽체(161a,161b)와 바닥면(161 d)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는 상기 제1 발광다이오드(LED1), 제2 발광다이오드(LED1,LED2), 상기 리드 스위치(162), 상기 배터리(163) 및 상기 배터리 케이스(164)가 수용되어 있다.
상기 리드 스위치(162)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이 리이드 선 (162a')에 고정설치된 고정접점(162a)과, 일측이 리이드 선(162b')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고정접점(162a)에 인접해서 설치된 가동접점(162b)과, 내부에 질소가스가 봉입되며, 상기 고정접점(162a)과 상기 가동접점(162b)을 수용하는 유리관(162c)과, 상기 유리관(162c)의 외주면에 접착제를 개재하여 고정설치된 보빈(162d)과, 외부에서 자력선이 인가될 경우에 유도 기전력이 발생되도록 상기 보빈(162d)의 외주면에 권선된 코일(162e)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 미설명부호 102는 절개지이고, 104는 흙받이용 판넬이고, 105는 상기 PC강선(101a), 콘(103a) 및 콘헤드(103)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이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130)의 외측면에 상기 코일스프링(140)의 위치 이탈을 방지하도록 오목홈(13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상기 오목홈(134)이 꼭 있어야 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스앵커의 변위량 감시장치(10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어스앵커의 변위량 감시장치(100)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스페이서(110)에 수직되게 설치된 상기 연결파이프(114)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14a)에 상기 변위측정 파이프(120)의 일측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22)를 나합한 후에, 자석(136)이 외측면에 설치된 가동부재(130)을 삽입하고 상기 가동부재(130)의 테두리에 각각 형성된 나사구멍(부호표시 하지 않음)에 측정핀(132)의 일측 나사부(부호 표시하지 않음)를 나합하고 코일스프링(140)을 삽입한다.
다음에, 상기 표시유닛(160)에 형성된 관통구멍(161c)에 상기 덮개(150)의 나사부(152)를 삽입하고 나서 상기 변위측정 파이프(120)의 타측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26)에 덮개(150)의 나사부(152)를 나합해서 조립한다.
그리고, 절개지(102)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된 주름관(108) 내에 어스 앵커를 설치하면서 어스 앵커와 결합하여 본 발명의 어스앵커의 변위량을 측정하는 변위량 감시장치(100)의 설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절개지(102)에 도시하지 않은 굴착기계에 의해 어스 앵커용 구멍(107)을 천설하고 나서, 주름관(108)을 삽입한 후에 상기 어스 앵커용 구멍(107)과 주름관(108) 사이에 시멘트 페이스트를 충진하여 절개지와 주름관을 일체화하여 토압에 의하여 주름관(108)이 절개지에서 빠지지 않도록 한다.
다음에, PC강선(101a)이 각각 삽입된 쉬스관(106a,106b) 및 PC강선(101a)으로 이루어진 앵커체를 주름관(108) 내에 삽입한다.
다음에, 변위측정파이프(120)와 결합시킨 연결파이프(114)를 주름관(108) 내에 삽입하면, 상기 연결파이프(114)의 스페이서(110)의 가장자리 둘레에 각각 형성된 다수개의 오목홈(112)에 PC강선(101a)이 삽입된 쉬스관(106a,106b)이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통과하게 된다.
상기 주름관(108) 상부로는 쉬스관(106a,106b)이 씌워지지 않으며, PC강선(101a)이 노출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스페이서(110)에 형성된 관통구멍(116)내에 적어도 2개 이상(본 발명에서는 2개)의 시멘트 페이스트 주입관(90,91)을 각각 삽입한 후에, 상기 시멘트 페이스트 주입관(90,91)중 일측 주입관을 통하여 주름관(108) 내에 시멘트 페이스트를 충진하여 PC강선(101a)으로 된 앵커체의 하부를 정착시키고 양생한다.
상기 주름관(108)내에 주입된 시멘트 페이스트가 양생되면, 상기 콘헤드(103)에 형성된 콘 형상의 관통구멍에 상기 PC강선(101a)을 삽입하면서 상기 지지부재(105) 상에 상기 콘헤드(103)를 당접시키고, 상기 PC강선(101a)을 유압잭으로 인장시킨 후에 상기 콘헤드(103)에 형성된 콘 형상의 관통구멍 내에 콘(103a)을 삽입하면, 상기 PC강선(101a)의 인장반력에 의해 상기 콘(103a)이 상기 콘헤드(103)의 관통구멍 내로 밀려들어가면서 상기 콘(103a)이 상기 PC강선(101a)을 견고하게 클램프한다.
다음에, 상기 변위측정 파이프(120) 내에 상기 가동부재(130)를 삽입하고 상기 가동부재(130)의 테두리면에 각각 형성된 나사구멍에 측정핀(132)의 일측 나사부(부호 표시하지 않음)를 나합하고, 코일스프링(140)을 삽입한다.
이때, 상기 변위측정 파이프(120)의 타측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26)에 덮개(150)에 형성된 나사부(152)를 나합시키면, 상기 변위측정 파이프(120) 내에 내설된 코일스프링(140)이 가동부재(130)를 밀게 되므로 상기 가동부재(130)가 상기 변위측정 파이프(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공(124)의 양 외측면에 형성된 눈금(120a)의 일정점에 도달함과 동시에, 상기 가동부재(130)의 테두리면에 나합된 측정핀(132)의 선단부가 상기 콘헤드(103)의 상면에 당접된다.
다음에, 상기 표시유닛(160)의 가운데에 형성된 관통구멍(161c)을 상기 변위측정 파이프(120)의 외측으로부터 일정눈금 부위에 강제로 압입하고 나서 메인 스위치(166)를 스위칭 온시킨다.
상기 표시유닛(160)은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있으므로 상기 변위측정 파이프(120)에 강제 압입하여 끼우면 탄력에 의해서 상기 변위측정 파이프(120)에 잘 고정되지만, 더 잘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표시유닛(160)의 내측 동심벽체(161b)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167)를 형성하고 상기 변위측정 파이프(120)의 외측에 다수개의 고정홈(168)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홈(168)의 일정홈에 상기 고정돌기(167)를 결합하면 상당한 충격에도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스프링(140)은 자석(136)의 영향을 받지 않는 비철금속으로 제작하여야 하며, 재질로는 스테인레스 스틸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어스앵커의 변위량 감시장치(100)에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동부재(130)의 외측면에 와샤 형상의 자석(136)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변위측정 파이프(120)에 형성된 눈금(120a)의 일정점으로부터 일정눈금(예를 들면 30mm 내지 50mm) 떨어져서 상기 변위측정 파이프(120)의 일정눈금 부위에 상기 표시유닛(160)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어스앵커에 토압이 발생하면 어스 앵커의 PC강선(101a)의 자유단이 도 3 및 도 4에서 좌측으로 밀려나온다.
이때 상기 콘헤드(103)가 좌측으로 밀리게 되고, 이에 따라 가동부재(130)도 좌측으로 밀려나옴에 따라 상기 가동부재(130)의 외측면에 설치된 상기 자석(136)이 표시유닛에 접근하게 되고 자석(136)에서 출력되는 자력선이 상기 표시유닛(160)의 리드 스위치(162)의 보빈(162d)의 외주면에 권회되어 있는 코일(162e)인가된다.
이에 따라, 상기 코일(162e)에 유도 기전력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리드 스위 치(162)의 유리관(162c) 내의 가동접점(162b)이 고정접점(162a)에 접촉하여 상기 리드 스위치(162)가 스위칭 온되므로, 상기 배터리(163)에 충전되어 있는 전압이 상기 제1 및 제2 발광 다이오드(LED1,LED2)에 인가됨에 따라 전류제한 저항(R1,R2)을 통해서 전류가 흘러서 상기 제1 및 제2 발광 다이오드(LED1,LED2)가 점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어스앵커에 작용하는 토압에 의해 늘어난 각 어스앵커의 변위량이 일정 값이상 증가하였을 경우 이를 검출해서 시각적으로 알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으므로, 어스 앵커의 변위량을 관리자가 용이하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게 대응하여 절개지의 붕괴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특정 실시예를 들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가지로 설계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어스앵커의 변위량 감시장치에 의하면, 어스앵커에 작용하는 토압에 의해 늘어난 각 어스앵커의 변위량이 일정 값이상 증가하였을 경우 이를 검출해서 시각적으로 알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절개지의 붕괴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어스 앵커의 PC강선(101a)이 삽입된 쉬스관(106a,106b)을 일정간격을 두고 통과하도록 테두리면을 따라 다수의 오목홈(112)이 일정간격 두고 형성되며, 중앙에 연결파이프(114)가 수직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파이프(114)의 양측에 시멘트 페이스트를 주입하는 다수개의 주입관이 삽입되는 관통구멍(116)이 형성된 스페이서(110)와, 상기 스페이서(110)의 중앙에 수직되게 설치되어 상기 연결파이프(114)의 선단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14a)와 나합되도록 일측 내주면에 나사부(122)가 형성되며, 서로 대향되게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장공(124)이 형성되며, 어스앵커의 변위량을 측정하도록 상기 장공(124)의 외측면에 눈금(120a)이 새겨진 계측용 변위측정 파이프(120)와, 둘레면에 형성된 나사구멍에 ㄱ자 형상의 측정핀(132)의 일측이 나합되고, 외측면에 형성된 오목홈(134)의 둘레에 와샤 형상의 자석(136)이 설치되며, 상기 변위측정 파이프(120) 내에 이동가능하게 배설된 가동부재(130)와, 상기 가동부재(130)의 외측에서 상기 가동부재(130)를 콘헤드(103)측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변위측정 파이프(120) 내에 배설된 코일스프링(140)과, 상기 코일스프링(140)을 고정하여 상기 가동부재(130)를 콘헤드(103)측으로 밀도록 상기 변위측정 파이프(120)의 타측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26)와 나합되는 나사부(152)가 형성된 덮개(140)와, 상기 변위측정 파이프(120)의 타측면과 상기 덮개(150)의 단차부 사이에 위치고정되어 어스앵커에 가해지는 토압에 의해 어스 앵커의 PC강선(101a)의 자유단이 절개지 외측으로 밀려 나올 경우 상기 가동부재(130)의 자석(136)에서 방출되는 자력선에 의해 리드 스위치(162)가 스위칭 온되어 제1 및 제2 발광 다이오드(LED1,LED2)의 점등에 의해 어스앵커의 변위량이 일정 값 이상임을 표시하는 표시유닛(160)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앵커의 변위량 감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유닛(160)은 외측 및 내측 동심벽체(161a,161b)로 이루어지며, 한쪽이 바닥면(161d)에 의해 폐쇄되고, 타측이 개방되며, 상기 변위 측정파이프(120)와 상기 덮개(150) 사이에 끼울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구멍(161c)이 형성된 케이스 본체(161)와, 상기 외측 동심벽체(161a)에 형성된 한쌍의 관통공 내에 끼워 설치된 제1 및 제2 발광다이오드(LED1,LED2)와, 일측 전극이 리이드 선을 개재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발광다이오드(LED1,LED2)에 각각 접속되어 어스앵커에 가해지는 토압에 의해 어스 앵커의 PC강선(101a)의 자유단이 절개지 외측으로 밀려 나올 경우 상기 가동부재(130)의 자석(136)에서 방출되는 자력선에 의해 유도기전력이 발생하여 스위칭 온되는 리드 스위치(162)와, 일측단자가 상기 리드 스위치(162)의 타측에 리이드 선을 개재하여 접속됨과 동시에, 타측단자가 전류제한 저항(R1,R2)을 개재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발광다이오드(LED1,LED2)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리드 스위치(162)의 스위칭 온시에, 상기 제1 및 제2 발광다이오드(LED1,LED2)를 점등시키도록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63)와, 상기 배터리(163)를 수용하는 배터리 케이스(164)와, 중앙에 관통구멍(165c)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161)의 개방부를 덮도록 외측 및 내측 동심벽체(165a,165b)로 이루어지며, 한쪽이 상부면(165d)에 의해 폐쇄되고, 타측이 개방되며, 상기 변위 측정파이프(120)와 상기 덮개(150) 사이에 끼울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구멍(165c)이 형성된 캡(165)과, 동작을 단속하는 메인스위치(166)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앵커의 변위량 감시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유닛(160)의 내측 동심벽체(161b)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167)가 형성되고, 상기 변위측정 파이프(120)의 외측에 다수개의 고정홈(168)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홈(168)의 일정홈에 상기 고정돌기(167)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앵커의 변위량 감시장치.
KR1020050123898A 2005-12-15 2005-12-15 어스앵커의 변위량 감시장치 KR100719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3898A KR100719176B1 (ko) 2005-12-15 2005-12-15 어스앵커의 변위량 감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3898A KR100719176B1 (ko) 2005-12-15 2005-12-15 어스앵커의 변위량 감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9176B1 true KR100719176B1 (ko) 2007-05-17

Family

ID=38277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3898A KR100719176B1 (ko) 2005-12-15 2005-12-15 어스앵커의 변위량 감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917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517B1 (ko) * 2011-09-20 2012-06-28 유지형 건설 구조물 상태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1166127B1 (ko) 2011-09-23 2012-07-23 주식회사 하이콘엔지니어링 연약지반에 설치되는 교대 시공방법
KR101399976B1 (ko) 2012-12-21 2014-05-28 이상경 측정값상태 표시형 전기계측시스템
KR101615545B1 (ko) * 2014-09-05 2016-04-26 (주)지오사이언스 층별 침하계
CN109931860A (zh) * 2019-03-04 2019-06-25 中建东设岩土工程有限公司 一种土体位移场测试方法及装置
CN112556560A (zh) * 2021-02-22 2021-03-26 湖南联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深层土壤相对滑移的监测装置及方法
KR102529543B1 (ko) 2022-04-25 2023-05-08 (주)영신디엔씨 어스앙카 인장장치의 인장길이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어스앙카 인장 관제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18520A (ja) 1982-06-09 1983-12-19 Abe Kinzoku Kosan Kk 斜面崩壊予知・検知装置
KR950006154A (ko) * 1993-08-26 1995-03-20 박태성 지중변위 측정을 위한 측력감지장치
JP2000046662A (ja) 1998-07-29 2000-02-18 Ohbayashi Corp アンカー緊張力の測定方法
KR20000042624A (ko) * 1998-12-26 2000-07-15 신승교 터널 내공변위 측정용 앵커장치
JP2002070018A (ja) 2000-08-28 2002-03-08 Showa Kiki Kogyo Kk 凍上量測定方法、凍上量測定構造および凍上量測定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18520A (ja) 1982-06-09 1983-12-19 Abe Kinzoku Kosan Kk 斜面崩壊予知・検知装置
KR950006154A (ko) * 1993-08-26 1995-03-20 박태성 지중변위 측정을 위한 측력감지장치
JP2000046662A (ja) 1998-07-29 2000-02-18 Ohbayashi Corp アンカー緊張力の測定方法
KR20000042624A (ko) * 1998-12-26 2000-07-15 신승교 터널 내공변위 측정용 앵커장치
JP2002070018A (ja) 2000-08-28 2002-03-08 Showa Kiki Kogyo Kk 凍上量測定方法、凍上量測定構造および凍上量測定器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517B1 (ko) * 2011-09-20 2012-06-28 유지형 건설 구조물 상태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1166127B1 (ko) 2011-09-23 2012-07-23 주식회사 하이콘엔지니어링 연약지반에 설치되는 교대 시공방법
KR101399976B1 (ko) 2012-12-21 2014-05-28 이상경 측정값상태 표시형 전기계측시스템
KR101615545B1 (ko) * 2014-09-05 2016-04-26 (주)지오사이언스 층별 침하계
CN109931860A (zh) * 2019-03-04 2019-06-25 中建东设岩土工程有限公司 一种土体位移场测试方法及装置
CN109931860B (zh) * 2019-03-04 2023-11-28 中建东设岩土工程有限公司 一种土体位移场测试方法及装置
CN112556560A (zh) * 2021-02-22 2021-03-26 湖南联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深层土壤相对滑移的监测装置及方法
CN112556560B (zh) * 2021-02-22 2021-05-28 湖南联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深层土壤相对滑移的监测装置及方法
KR102529543B1 (ko) 2022-04-25 2023-05-08 (주)영신디엔씨 어스앙카 인장장치의 인장길이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어스앙카 인장 관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9176B1 (ko) 어스앵커의 변위량 감시장치
KR101602369B1 (ko) 배전선로 전압 감시 시스템
KR101899091B1 (ko) Ami 주상변압기 부하 측정 및 전원공급 프로브
WO2012047117A1 (en) Improvements to fencing
US4121457A (en) Liquid sensor
CN105548758A (zh) 输电线路绝缘子零值检测专用工具
KR102298693B1 (ko) 비접촉식 통전표시 단자대가 구비된 수배전반(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US4719359A (en) Sensing probe for sludge detectors
US4673819A (en) Sensing probe for sludge detectors
KR20160002783U (ko) 전자식 전력량계의 시험용 단자나사
AU2005316039A1 (en) A child barrier with a pressure indicator
JP5977903B1 (ja) 土砂災害感知システム
CN108759976A (zh) 一种水位传感器
CN205009893U (zh) 胎压计
US7980128B2 (en) Level monitoring system
KR100638884B1 (ko) 어스앵커의 변위량 측정장치
KR20140002298A (ko) 수위감지장치
KR100522935B1 (ko) 광역 지반 변위계측 및 경보 장치
CN217954569U (zh) 一种具有温湿度测试功能的变电站接地阻抗测试系统
KR200143617Y1 (ko) 알람식 수위측정기
CN217787358U (zh) 一种校线仪
US4001688A (en) Coulometer with end of integration color change indicator
CN218822661U (zh) 一种地震流体观测井水位校测装置
KR200340172Y1 (ko) 다기능 전력량계 단자커버
CN218724581U (zh) 一种磁致伸缩液位计电子仓内支撑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