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8884B1 - 어스앵커의 변위량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어스앵커의 변위량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8884B1
KR100638884B1 KR1020050106994A KR20050106994A KR100638884B1 KR 100638884 B1 KR100638884 B1 KR 100638884B1 KR 1020050106994 A KR1020050106994 A KR 1020050106994A KR 20050106994 A KR20050106994 A KR 20050106994A KR 100638884 B1 KR100638884 B1 KR 100638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 anchor
displacement
displacement measuring
pipe
movable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6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봉석
Original Assignee
(주) 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filed Critical (주) 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Priority to KR1020050106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88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4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 G01L5/1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using electrical means
    • G01L5/103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using electrical means using sensors fixed at one end of the flexible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1/00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 E21D21/02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having means for indicating tension

Abstract

본 발명은 어스앵커에 작용하는 토압에 의해 늘어난 각각의 어스앵커의 변위량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사계와 하중계등 고가의 측정장비를 사용하지 않으므로서 어스앵커의 변위 측정에서 발생되는 변위량 측정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어스앵커, 변위량 측정장치

Description

어스앵커의 변위량 측정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DISPLACEMENT OF RETAINING WAL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스앵커의 변위량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스앵커의 변위량 측정장치를 분해해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스앵커의 변위량 측정장치에 있어서의 가동부재와 측정핀과의 결합관계를 설명하는 확대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스앵커의 변위량 측정장치가 시공된 어스앵커의 콘헤드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해서 도시한 확대 종단면도,
도 6은 도 4에서 화살표 B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변위량 측정장치 101a:PC강선
102:절개지 103:콘헤드
103a:콘 103b:관통구멍
104:판넬 105:지지부재
106a,106b:쉬스관 110:스페이서
112:오목홈 114:연결파이프
114a:나사부 116:관통구멍
120:변위측정 파이프 120a:눈금
122:나사부 124:장공
130:가동원판 132:나사구멍
132a:오목홈 140:측정핀
150:코일스프링 160:덮개
162:나사부
본 발명은 어스앵커의 변위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어스앵커에 작용하는 토압에 의해 발생된 어스앵커의 변위량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고가의 측정장비를 사용하지 않으므로서 어스앵커에 발생되는 변위량의 측정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어스앵커의 변위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어스앵커에 작용하는 토압에 의해 늘어난 어스앵커의 변위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어스앵커의 경사도를 측정하는 경사계와 하중계를 사용해서 측정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경사계와 하중계를 사용해서 어스앵커의 변위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상기 경사계와 하중계가 고가의 장비이므로, 어스앵커의 특정부분에서 만의 변위량을 측정하므로서, 각 어스앵커의 변위량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없어 생각지도 못한 부분에서 어스앵커가 붕괴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어스앵커에 작용하는 토압에 의해 늘어난 각 어스앵커의 변위량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어스앵커의 변위량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가의 경사계와 하중계 등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으므로서 측정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어스앵커의 변위량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앵커용 PC강선이 삽입된 쉬스관이 일정간격을 두고 통과하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오목홈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중앙에 연결파이프가 수직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파이프의 양측에 시멘트 페이스트를 주입하는 주입관이 삽입되는 다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스페이서와, 상기 스페이서의 중앙에 수직되게 설치된 상기 연결파이프의 선단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와 나합되도록 일측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며, 서로 대향되게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장공이 형성되며, 어스앵커의 변위량을 측정하도록 상기 장공의 외측면에 눈금이 새겨진 변위측정 파이프와, 상기 변위측정 파이프 내에 이동가능하게 배설된 가동원판과, 상기 가동원판의 둘레면에 형성된 나사구멍에 일측이 나합되는 측정핀과, 상기 가동원판의 외측에서 상기 가동원판을 콘헤드측으로 부세하도록 상기 변위측정 파이프 내에 배설된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스프링을 고정하여 상기 가동원판을 콘헤드측으로 밀도록 상기 변위측정 파이프의 타측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와 나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된 덮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스앵커의 변위량 측정장치에 관하여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스앵커의 변위량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스앵커의 변위량 측정장치를 분해해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스앵커의 변위량 측정장치에 있어서의 가동부재와 측정핀과의 결합관계를 설명하는 확대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스앵커의 변위량 측정장치가 시공된 어스앵커의 콘헤드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해서 도시한 확대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화살표 B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스앵커의 변위량 측정장치(100)는 앵커용 PC강선(101a)이 삽입된 쉬스관(106a,106b)을 일정간격을 두고 통과하도록 테두리면을 따라 다수의 오목홈(112)이 일정간격 두고 형성되며, 중앙에 연결파이프(114)가 수직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파이프(114)의 양측에 시멘트 페이스트(또는 시멘트 밀크라고도 한다)를 주입하는 다수개(본 발명에서는 2개)의 주입관이 삽입되는 관통구멍(116)이 형성된 스페이서(110)와, 상기 스페이서(110)의 중앙에 수직되게 설치되어 상기 연결파이프(114)의 선단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14a)와 나합되도록 일측 내주면에 나사부(122)가 형성되며, 서로 대향되게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장공(124)이 형성되며, 어스앵커의 변위량을 측정하도록 상기 장공(124)의 외측면에 눈금(120a)이 새겨진 계측용 변위측정 파이프(120)와, 상기 변위측정 파이프(120) 내에 이동가능하게 배설된 가동원판(130)과, 상기 가동원판(130)의 둘레면에 형성된 나사구멍(132)에 일측이 나합되는 ㄱ자 형상의 측정핀(140)과, 상기 가동원판(130)의 외측(도 2에서 좌측)에서 상기 가동원판(130)을 콘헤드(103)측으로 부세하도록 상기 변위측정 파이프(120) 내에 배설된 코일스프링(150)과, 상기 코일스프링(150)을 고정하여 상기 가동원판(130)을 콘헤드(103)측으로 밀도록 상기 변위측정 파이프(120)의 타측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26)와 나합되는 나사부(162)가 형성된 덮개(16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동원판(130)의 외측면에는 상기 코일스프링(150)의 위치이탈을 방지하도록 오목홈(132a)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 미설명부호 104는 흙받이용 판넬이고, 105는 상기 PC강선(101a), 콘(103a) 및 콘헤드(103)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05)이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상기 가동원판(130)의 외측면에 상기 코일스프링(150)의 위치 이탈을 방지하도록 오목홈(132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상기 오목홈(132a)이 꼭 있어야 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스앵커의 변위량 측정장치(10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어스앵커의 변위량 측정장치(100)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스페이서(110)에 수직되게 설치된 상기 연결파이프(114)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14a)에 상기 변위측정 파이프(120)의 일측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22)를 나합한 후에, 상기 변위측정 파이프(120) 내에 가동원판(130)을 삽입하고 상기 가동원판(130)의 테두리에 각각 형성된 나사구멍(132)에 측정핀(140)의 일측 나사부(부호 표시하지 않음)를 나합하고 코일스프링(150)을 삽입한 후에 상기 변위측정 파이프(120)의 타측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26)에 덮개(160)의 나사부(162)를 나합해서 본 발명의 어스앵커의 변위량 측정장치(100)가 조립된다.
그리고, 절개지(102)에 어스 앵커를 설치하면서 어스 앵커와 결합하여 본 발명의 어스앵커의 변위량 측정장치(100)를 설치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절개지(102)에 도시하지 않은 굴착기계에 의해 어스 앵커용 구멍(107)을 천설하고 나서, 주름관(108)을 삽입한 후에 상기 어스 앵커용 구멍(107)과 주름관(108) 사이에 시멘트 페이스트를 충진하여 절개지와 주름관을 일체화하여 토압에 의하여 주름관이 절개지에서 빠지지 않도록 한다.
다음에, PC강선(101a)이 각각 삽입된 쉬스관(106a,106b) 및 PC강선(101a)으 로 이루어진 앵커체를 주름관(108) 내에 삽입한다.
다음에, 변위측정파이프(120)와 결합시킨 연결파이프(114)를 주름관(108) 내에 삽입하면, 상기 연결파이프(114)의 스페이서(110)의 가장자리 둘레에 각각 형성된 다수개의 오목홈(112)에 PC강선(101a)이 삽입된 쉬스관(106a,106b)이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통과하게 된다.
상기 주름관(108) 상부로는 쉬스관(106a,106b)을 사용하지 않고 PC강선(101a)을 노출시킨다.
다음에, 상기 스페이서(110)에 형성된 관통구멍(116)내에 적어도 2개 이상(본 발명에서는 2개)의 시멘트 페이스트 주입관(90,91)을 각각 삽입한 후에, 상기 시멘트 페이스트 주입관(90,91)중 일측 주입관을 통하여 주름관(108) 내에 시멘트 페이스트를 충진하여 PC강선(101a)으로 된 앵커체의 하부를 정착시키고 양생한다.
상기 주름관(108)내에 주입된 시멘트 페이스트가 양생되면, 상기 콘헤드(103)에 형성된 콘 형상의 관통구멍(103a)(103b)에 상기 PC강선(101a)을 삽입하면서 상기 지지부재(105) 상에 상기 콘헤드(103)를 당접시키고, 상기 PC강선(101a)을 유압잭으로 인장시킨후에 상기 콘헤드(103)에 형성된 콘 형상의 관통구멍(103b) 내에 콘(103a)을 삽입하면, 상기 PC강선(101a)의 인장반력에 의해 상기 콘(103a)이 상기 콘헤드(103)의 관통구멍 내로 밀려들어가면서 상기 PC강선(101a)을 견고하게 클램프한다.
다음에, 상기 변위측정 파이프(120) 내에 상기 가동원판(130)을 삽입하고 상기 가동원판(130)의 테두리면에 각각 형성된 나사구멍(132)에 측정핀(140)의 일 측 나사부(부호 표시하지 않음)를 나합하고, 코일스프링(150)을 삽입한 후에 상기 변위측정 파이프(120)의 타측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26)에 덮개(160)에 형성된 나사부(162)를 나합하게 되면, 상기 상기 변위측정 파이프(120) 내에 내설된 코일스프링(150)이 가동원판(130)을 밀게되므로 상기 가동원판(130)이 상기 변위측정 파이프(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공(124)의 양 외측면에 형성된 눈금(120a)의 일정점에 도달함과 동시에, 상기 가동원판(130)의 테두리면에 나합된 측정핀(140)의 선단부가 상기 콘헤드(103)의 상면에 당접된다.
이와 같이 상기 측정핀(140)을 상기 눈금(120a)의 일정점에 맞춘 상태에서 어스앵커에 토압이 발생하면 어스 앵커의 PC강선(101a)의 자유단이 도 4 및 도 5에서 보면, 좌측으로 밀려나오려고 하는데, 이때 상기 콘헤드(103)가 좌측으로 밀리게 되고, 이에 따라 가동원판(130)도 좌측으로 밀림에 따라 상기 측정핀(140)이 어스앵커(102)의 변위량을 상기 눈금(120a)에 지침하므로 어스앵커(102)에 작용하는 토압에 의해 늘어난 어스앵커(102)의 변위량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변위량의 측정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어스앵커의 변위량 측정장치(100)는 특정 공사장에서 사용한 후에는 회수하여 다시 사용할 수도 있으며, 또한 상기 측정핀(140)을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일자 형상으로 형성해도 본 발명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특정 실시예를 들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 에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가지로 설계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어스앵커의 변위량 측정장치에 의하면, 어스앵커에 작용하는 토압에 의해 늘어난 각 어스앵커 변위량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가의 측정장비를 사용하지 않으므로서 변위량의 측정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PC강선(101a)이 삽입된 쉬스관(106a,106b)을 일정간격을 두고 통과하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오목홈(112)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중앙에 연결파이프(114)가 수직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파이프(114)의 양측에 시멘트 페이스트를 주입하는 주입관이 삽입되는 관통구멍(116)이 형성된 스페이서(110)와, 상기 스페이서(110)의 중앙에 수직되게 설치된 상기 연결파이프(114)의 선단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14a)와 나합되도록 일측 내주면에 나사부(122)가 형성되며, 서로 대향되게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장공(124)이 형성되며, 어스앵커(102)의 변위량을 측정하도록 상기 장공(124)의 외측면에 눈금(120a)이 새겨진 변위측정 파이프(120)와, 상기 변위측정 파이프(120) 내에 이동가능하게 배설된 가동원판(130)과, 상기 가동원판(130)의 테두리면에 형성된 나사구멍(132)에 일측이 나합되는 측정핀(140)과, 상기 가동원판(130)의 외측에서 상기 가동원판(130)을 콘헤드(103)측으로 부세하도록 상기 변위측정 파이프(120) 내에 배설된 코일스프링(150)과, 상기 코일스프링(150)을 고정하여 상기 가동원판(130)을 콘헤드(103)측으로 밀도록 상기 변위측정 파이프(120)의 타측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26)와 나합되는 나사부(162)가 형성된 덮개(16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앵커의 변위량 측정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원판(130)은 그 외측면에는 상기 코일스프링(150)의 위치 이탈을 방지하도록 오목홈(132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앵커의 변위량 측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핀(140)은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앵커의 변위량 측정장치.
KR1020050106994A 2005-11-09 2005-11-09 어스앵커의 변위량 측정장치 KR100638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6994A KR100638884B1 (ko) 2005-11-09 2005-11-09 어스앵커의 변위량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6994A KR100638884B1 (ko) 2005-11-09 2005-11-09 어스앵커의 변위량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8884B1 true KR100638884B1 (ko) 2006-10-27

Family

ID=37620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6994A KR100638884B1 (ko) 2005-11-09 2005-11-09 어스앵커의 변위량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88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110B1 (ko) 2019-11-15 2020-03-26 김호규 앵커체의 토압 확인 장치
KR102529543B1 (ko) 2022-04-25 2023-05-08 (주)영신디엔씨 어스앙카 인장장치의 인장길이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어스앙카 인장 관제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110B1 (ko) 2019-11-15 2020-03-26 김호규 앵커체의 토압 확인 장치
KR102529543B1 (ko) 2022-04-25 2023-05-08 (주)영신디엔씨 어스앙카 인장장치의 인장길이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어스앙카 인장 관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1657B2 (en) Inclinometer system
JP2019191022A (ja) アンカー用引張試験機及びその方法
CN104950148A (zh) 垂直式探针装置及使用于该垂直式探针装置的支撑柱
JP2010071974A (ja) 地中変位測定装置
KR100638884B1 (ko) 어스앵커의 변위량 측정장치
CN106370335B (zh) 一种测量岩质围岩-衬砌接触压力的压力盒固定装置
KR101429064B1 (ko) 연직 재하시험이 가능한 선단구조를 가지는 강관말뚝, 이를 이용한 강관말뚝의 연직 재하시험방법 및 강관말뚝의 지지력 측정방법
KR102223483B1 (ko) 변형률 계측용 센서 매립봉의 기설 구조물 설치 구조 및 그 설치방법
KR20090076687A (ko) 광섬유 센서용 고정자 및 이를 이용한 광섬유 센서 부착방법
CN106767357A (zh) 墙体结构变形测量装置
KR101632285B1 (ko) 재인장이 용이한 영구 앵커 및 영구 앵커의 재인장 방법
KR101473704B1 (ko) 스프링 결합형 소일네일
JP5134917B2 (ja) 校正装置
JP2008248681A (ja) シース管保持治具
KR101640087B1 (ko) 철근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
KR100704642B1 (ko) 지반보강재 인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장시험방법
KR101423876B1 (ko) 원형관 연결구조
KR20120005611A (ko) 스파이럴형 락볼트를 이용한 지중변위 측정장치
KR101155855B1 (ko) 선형부재 연결기구를 이용한 경계구조물 시공방법
CN111174681A (zh) 一种深部岩体微小变形现场测量系统及方法
CN210014737U (zh) 发动机连杆测量装置及其孔径测量柱
JP2002090187A (ja) 沈下測定システムおよび沈下測定方法
CN218443958U (zh) 一种隧道分布式变形多参量监测装置
KR101466720B1 (ko) 몰드형 변위계
KR102414976B1 (ko) 앵커력 측정센서가 내장된 지압식 영구앵커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