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9140B1 - 차량의 시동제어장치 및 시동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시동제어장치 및 시동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9140B1
KR100719140B1 KR1020050113745A KR20050113745A KR100719140B1 KR 100719140 B1 KR100719140 B1 KR 100719140B1 KR 1020050113745 A KR1020050113745 A KR 1020050113745A KR 20050113745 A KR20050113745 A KR 20050113745A KR 100719140 B1 KR100719140 B1 KR 100719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control
welding
starter
deter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3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9214A (ko
Inventor
마나부 마츠바라
Original Assignee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76174A external-priority patent/JP456610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76175A external-priority patent/JP4515366B2/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9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9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60R25/045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by limiting or cutting the electrical supply to the propulsion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9Remote starting of eng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액세서리 스위치(SWa) 및 이그니션 스위치(SWi)를 서브 릴레이(RL1)에 접속함과 동시에 스타터 스위치(SWs)를 서브 릴레이(RL2)에 접속하여, 스타터 스위치(SWs)에 용착이 발생한 경우에 서브 릴레이(RL2)를 오프로 한다. 또 액세서리 스위치(SWa)에 용착이 발생한 경우에는 스타터 스위치(SWs)를 오프제어하는, 또는 스타터 스위치(SWs)의 온제어를 행하지 않는다.

Description

차량의 시동제어장치 및 시동제어방법{START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원격시동장치의 개요구성을 나타내는 개요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주제어부의 처리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처리에 의한 각 스위치에 대한 제어출력과 각 스위치의 상태에 대하여 설명하는 설명도,
도 4는 스타터 스위치의 용착판정후에 액세서리 스위치의 온제어를 행하는 경우의 처리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처리에 의한 각 스위치에 대한 제어출력과 각 스위치의 상태에 대하여 설명하는 설명도,
도 6은 액세서리 스위치의 용착판정과 스타터 스위치의 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처리에 의한 각 스위치에 대한 제어출력과 각 스위치의 상태에 대하여 설명하는 설명도,
도 8은 액세서리 스위치의 용착판정후에 스타터 스위치의 온제어를 행하는 경우의 처리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9는 도 8에 나타낸 처리에 의한 각 스위치에 대한 제어출력과 각 스위치의 상태에 대하여 설명하는 설명도,
도 10은 ACC 라인의 전하 나머지에 의한 오검출에 대하여 설명하는 설명도,
도 11은 복수계통의 IG나 ST가 존재하는 경우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개요 구성도(그 1),
도 12는 복수계통의 IG나 ST가 존재하는 경우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개요 구성도(그 2),
도 13은 원격시동제어에 있어서의 처리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서브 릴레이(RL) 온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5는 도 13에 나타낸 ACC 온 1회째의 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6은 도 13에 나타낸 IG 온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7은 도 13에 나타낸 ACC 오프 1회째의 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8은 도 13에 나타낸 ST 온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9는 도 13에 나타낸 ST 오프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20은 도 13에 나타낸 ACC 온 2회째의 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21은 서브 릴레이 고장판정에 대하여 설명하는 설명도,
도 22는 IG 고장판정에 대하여 설명하는 설명도,
도 23은 ACC 고장판정에 대하여 설명하는 설명도,
도 24는 ST 고장판정에 대하여 설명하는 설명도,
도 25는 「ST 용착시, 서브 릴레이(RL2) 오프후에 ACC 온」을 채용하는 경우의 ST 라인의 오프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26은 「ST 용착시, 서브 릴레이(RL2) 오프후에 ACC 온」을 채용하는 경우의 ST 고장판정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27은 「ACC 용착시에 ST 오프」를 채용하는 경우의 ST 라인의 온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28은 「ACC 용착시에 ST 오프」를 채용하는 경우의 ACC 고장판정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29는 「ACC 용착시에는 ST 온을 억지」를 채용하는 경우의 ACC 오프 1회째의 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30은 「ACC 용착시에는 ST 온을 억지」를 채용하는 경우의 ACC 고장판정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31은 ACC 용착판정 딜레이시간의 설정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32는 ACC 용착판정과 ST 온제어의 전후관계의 설정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33은 ST 온제어 모드 플래그를 사용하는 경우의 ACC 오프 1회째의 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34는 ST 온제어 모드 플래그를 사용하는 경우의 ST 온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35는 ST 온제어 모드 플래그를 사용하는 경우의 ACC 고장 판정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36은 ACC 용착판정과 ST 온제어의 전후관계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경우의 ACC 오프 1회째의 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37은 ACC 용착판정과 ST 온제어의 전후관계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경우의 ST 온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38은 ACC 용착판정과 ST 온제어의 전후관계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경우의 ACC 고장판정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39a 및 도 39b는 범용성 향상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하는 설명도,
도 40은 스타터 1 라인이 필요한 경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요 구성도,
도 41은 스타터 1 라인이 불필요한 경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요 구성도,
도 42는 스타터 스위치(SWs1)를 접속한 경우의 각 스위치에 대한 제어출력과 각 스위치의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43은 스타터 스위치(SWs1)를 삭제한 경우의 각 스위치에 대한 제어출력과 각 스위치의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44는 외부 접속단자를 스타터 2 라인에 접속한 경우의 각 스위치에 대한 제어출력과 각 스위치의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45는 판정 타이밍을 변경한 경우의 각 스위치에 대한 제어출력과 각 스위치의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46은 원격시동제어에 있어서의 처리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47은 도 46에 나타낸 서브 릴레이(RL) 온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48은 도 46에 나타낸 ACC 온 1회째의 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49는 도 46에 나타낸 IG1 온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50은 도 46에 나타낸 IG2 온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51은 도 46에 나타낸 ACC 오프 1회째의 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52는 도 46에 나타낸 ST2 온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53은 도 46에 나타낸 ST1 온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54는 도 46에 나타낸 ST1 오프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55는 도 46에 나타낸 ST2 오프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56은 도 46에 나타낸 ACC 온 2회째의 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57은 서브 릴레이 고장판정에 대하여 설명하는 설명도,
도 58은 ACC 고장판정에 대하여 설명하는 설명도,
도 59는 IG 고장판정에 대하여 설명하는 설명도(그 1),
도 60은 IG 고장판정에 대하여 설명하는 설명도(그 2),
도 61은 ST 고장판정에 대하여 설명하는 설명도(그 1),
도 62는 ST 고장판정에 대하여 설명하는 설명도(그 2),
도 63은 ST1 용착판정 타이밍을 변경하는 경우의 ST1 오프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64는 ST1의 접속상태를 자동판별하는 ST 고장판정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출원은 2004년 11월 26일에 선출원된 일본국 특허 출원번호2004-342679, 2004년 12월 1일에 선출원된 일본국 특허 출원번호2004-348397, 2005년 9월 22일에 선출원된 일본국 특허 출원번호2005-276174, 및 2005년 9월 22일에 선출원된 일본국 특허 출원번호2005-276175의 우선권의 이익을 향수함과 동시에, 그 전 내용을 조합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원격조작용 단말에서 수신한 신호에 의거하여, 또는 자율적으로 차량의 시동제어를 행하는 시동제어기술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엔진의 시동을 제어하는 스타터 스위치, 엔진의 점화를 제어하는 이그니션 스위치, 차량 탑재 전기기기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액세서리 스위치 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스타터 스위치가 온인 상태에서는 스타터 모터의 회전에 큰 전력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액세서리 스위치를 동시에 온상태로 하면 차량 탑재 전기기기에 대한 전원공급이 불안정하게 된다.
그 때문에, 종래 이들 스위치(스타터 스위치, 이그니션 스위치, 액세서리 스위치)는, 운전자에 의한 이그니션 키의 조작에 의해 물리적으로 온상태, 오프상태를 전환하는 구성으로 하여, 스타터 스위치와 액세서리 스위치가 동시에 온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었다.
그런데, 최근 리모트 키 등의 원격조작단말에 의해 이그니션 키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의 시동제어를 실행하는 요망이 있어, 릴레이 회로에 의해 스타터 스위치, 이그니션 스위치, 액세서리 스위치 등의 이그니션계 스위치의 온/오프제어를 행하는 구성이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스타터 스위치나 액세서리 스위치는 대전류를 제어하기 때문에 스위치(제어 릴레이)의 접점 용착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고, 용착에 의하여 스타터 스위치와 액세서리 스위치가 동시에 온상태가 될 가능성이 있었다.
그래서 일본국 등록실용신안제2573274호 공보는, 스위치(제어 릴레이)에 접점용착이 발생한 경우, 다른 제어 릴레이를 오프제어하고, 그후 각 스위치가 공용하는 서브 릴레이를 오프로 하는 기술을 공개하고 있다. 또 일본국 특개평9-329074호 공보는, 엔진 시동 접점을 바이패스하는 접점수단의 고장 검출능력을 높인 엔진 시동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는 접점 용착이 검출되어, 다른 스위치를 오프로 한 후에 서브 릴레이를 오프로 하기 때문에, 접점 용착이 발생한 스위치의 통전이 차단될 때까지 긴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때문에 스타터 스위치와 액세서리 스위치가 동시에 온이 되어 차량 탑재 전기기기에 노이즈가 실리는, 엔진의 시동이 완료된 후에도 스타터 모터가 가동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또, 용착이 발생한 경우이더라도 반드시 모든 스위치를 차단할 필요는 없고, 통상의 동작을 계속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스타터 스위치가 용착한 경우에는 스타터 스위치만을 차단하고, 액세서리 스위치나 이그니션 스위치는 통상의 동작을 하는 것이 적합하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서는 어느 하나의 스위치에 용착이 발생한 경우에는 모든 스위치를 차단하여 공유하는 서브 릴레이를 차단하고 있었기 때문에, 용착하고 있지 않은 스위치이어도 통상의 제어를 계속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런데, 차량에 따라서는 이그니션이나 스타터의 신호를 복수 사용하는 것이 있다. 이 경우, 시동제어장치에는 대응하는 수의 이그니션 스위치나 스타터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그니션이나 스타터의 신호가 단독인 차량용과, 복수의 신호를 사용하는 차량용으로 각각 개별로 시동제어장치를 작성하는 것으로 하면 비용의 증대를 초래하기 때문에, 이그니션이나 스타터의 신호가 단독인 경우에도 복수인 경우에도 사용 가능한 범용의 시동제어장치가 요구된다.
또한 비용절감의 관점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스위치는 삭제 가능하게 하여, 탑재할 차량에 필요한 경우에만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예를 들면 2계통의 스타터신호에 대응한 시동제어장치를 스타터신호가 1계통의 차량에 탑재하는 경우에 사용하지 않는 스위치를 단순히 삭제하면, 삭제한 스위치의 상태판정을 행할 때에 이상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스위치의 상태판정에는, 오픈판정(온제어에 대응하여 정확하게 스위치가 온상태가 되었는지의 판정)과 용착판정(오프제어에 대응하여 정확하게 스위치가 오프상태가 되었는지의 판정)이 있으나, 삭제한 스위치에 대해서는 항상 오프상태와 동일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 오픈판정에 의하여 「오픈고장(온제어를 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오프상태이다)」이라고 판정되어 버린다.
그 때문에 종래 차량측의 구성에 상관없이 사용 가능한 범용성이 높은, 또한 구성이 간이하고 정확하게 스위치의 상태를 판정 가능한 시동제어장치 및 시동제어방법의 실현이, 중요한 과제로 되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시동제어장치는, 원격조작용 단말에서 수신한 신호에 의거하여, 또는 자율적으로 차량의 시동제어를 행하는 시동제어장치로서, 엔진의 시동을 제어하는 스타터 스위치와, 상기 스타터 스위치의 통전을 차단하는 릴레이와, 엔진의 점화를 제어하는 이그니션 스위치, 차량 탑재 전기기기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액세서리 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대한 통전을 상기 릴레이에 대하여 독립으로 행하는 통전회로와, 상기 스타터 스위치의 용착을 검출하는 스타터 스위 치 용착 검출수단과, 상기 스타터 스위치 용착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스타터 스위치의 용착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릴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스타터 스위치의 통전을 차단하는 스위치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시동제어장치는, 원격조작용 단말에서 수신한 신호에 의거하여, 또는 자율적으로 차량의 시동제어를 행하는 시동제어장치로서, 엔진의 시동을 제어하는 스타터 스위치와, 차량 탑재 전기기기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액세서리 스위치와, 상기 스타터 스위치의 용착을 검출하는 스타터 스위치 용착 검출수단과, 엔진의 시동후에 있어서의 상기 액세서리 스위치의 온제어를, 상기 스타터 스위치 용착 검출수단에 의한 용착검출을 행한 후에 실행하는 스위치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시동제어장치는, 원격조작용 단말에서 수신한 신호에 의거하여, 또는 자율적으로 차량의 시동제어를 행하는 시동제어장치로서, 엔진의 시동을 제어하는 스타터 스위치와, 차량 탑재 전기기기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액세서리 스위치와, 상기 액세서리 스위치의 용착을 검출하는 액세서리 스위치 용착 검출수단과, 상기 스타터 스위치의 온제어후에 상기 액세서리 스위치 용착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액세서리 스위치의 용착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스타터 스위치를 오프제어하는 스위치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시동제어장치는, 원격조작용 단말에서 수신한 신호에 의거하여, 또는 자율적으로 차량의 시동제어를 행하는 시동제어장치로서, 엔진의 시동을 제어하는 스타터 스위치와, 차량 탑재 전기기기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액세서리 스위치와, 상기 액세서리 스위치의 용착을 검출하는 액세서리 스위치 용착 검출수단과, 상기 스타터 스위치의 온제어를 상기 액세서리 스위치 용착 검출수단에 의한 용착 검출을 행한 후에 실행하는 스위치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시동제어장치는, 원격조작용 단말에서 수신한 신호에 의거하여, 또는 자율적으로 차량의 시동제어를 행하는 시동제어장치로서, 엔진의 시동을 제어하는 스타터 스위치와, 차량 탑재 전기기기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액세서리 스위치와, 상기 액세서리 스위치의 용착검출을 행하는 액세서리 스위치 용착 검출수단과, 상기 스타터 스위치의 온제어와 상기 액세서리 스위치의 용착검출과의 실행순서를 전환 가능한 스위치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시동제어장치는, 원격조작용 단말에서 수신한 신호에 의거하여, 또는 자율적으로 차량의 시동제어를 행하는 시동제어장치로서, 제 1 스타터 스위치 또는 제 1 이그니션 스위치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스위치제어수단과 제 2 스타터 스위치 또는 제 2 이그니션 스위치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스위치제어수단과, 상기 제 1 스위치제어수단이 제어하는 스위치의 상태를 감시하는 제 1 감시수단과, 상기 제 2 스위치제어수단이 제어하는 스위치의 상태를 감시하는 제 2 감시수단과, 상기 제 2 감시수단에, 상기 제 2 스위치제어수단이 제어하는 스위치 이외의 스위치의 상태를 입력하는 보조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시동제어장치는, 시동제어시에 제 1 이그니션계 스위치의 상태를 감시하는 제 1 감시수단과, 시동제어시에 제 2 이그니션계 스위치의 상 태를 감시하는 제 2 감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감시수단은, 상기 제 2 이그니션계 스위치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1 이그니션계 스위치의 상태를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시동제어장치는, 시동제어시에 제 1 이그니션계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 1 스위치제어수단과, 시동제어시에 상기 제 1 이그니션계 스위치와 다른 타이밍으로 제 2 이그니션계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 2 스위치제어수단과, 제 1 이그니션계 스위치의 상태를 감시하는 제 1 감시수단과, 제 2 이그니션계 스위치의 상태를 감시하는 제 2 감시수단과, 상기 제 1 이그니션계 스위치의 상태 변화후 상기 제 1 감시수단에 의한 감시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이그니션계 스위치의 이상을 판정하는 제 1 판정수단과, 상기 제 2 이그니션계 스위치의 상태 변화후 상기 제 2 감시수단에 의한 감시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 2 이그니션계 스위치의 이상을 판정하는 제 2 판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판정수단에 의한 상기 제 1 이그니션계 스위치의 상태 변화후의 이상판정 개시 타이밍과 제 2 판정수단에 의한 제 2 이그니션계 스위치의 상태 변화후의 이상판정 개시 타이밍이 같은 타이밍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시동제어장치는, 시동제어시에 제 1 이그니션계 스위치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스위치제어수단과, 시동제어시에 상기 제 1 이그니션계 스위치와 다른 타이밍에서 제 2 이그니션계 스위치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스위치제어수단과, 제 1 이그니션계 스위치의 출력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제 1 이그니션계 스위치의 상태를 감시하는 제 1 감시수단과, 제 1 이그니션계 스위치의 출력신호 또는 제 2 이그니션계 스위치의 출력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입력되는 신호의 상태를 감시하는 제 2 감시수단과, 상기 제 1 이그니션계 스위치의 제어신호를 출력한 후 제 1 소정의 타이밍에서 상기 제 1 이그니션계 스위치의 이상판정을 개시하는 제 1 판정수단과, 상기 제 2 이그니션계 스위치의 제어신호를 출력한 후 제 2 소정의 타이밍에서 상기 제 2 감시수단에 입력되는 스위치의 이상판정을 개시하는 제 2 판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판정수단에 의한 상기 이상판정 개시 타이밍과 제 2 판정수단에 의한 이상판정 개시 타이밍은 같은 타이밍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시동제어장치는 시동제어시에 제 1 이그니션계 스위치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스위치제어수단과, 시동제어시에 상기 제 1 이그니션계 스위치와 다른 타이밍에서 제 2 이그니션계 스위치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스위치제어수단과, 제 1 이그니션계 스위치의 출력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제 1 이그니션계 스위치의 상태를 감시하는 제 1 감시수단과, 제 1 이그니션계 스위치의 출력신호 또는 제 2 이그니션계 스위치의 출력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입력되는 신호의 상태를 감시하는 제 2 감시수단과, 상기 제 1 이그니션계 스위치의 제어신호를 출력한 후 제 1 소정의 타이밍에서 상기 제 1 이그니션계 스위치의 이상판정을 개시하는 제 1 판정수단과, 상기 제 2 이그니션계 스위치의 제어신호를 출력한 후 제 2 소정의 타이밍에서 상기 제 2 감시수단에 입력되는 스위치의 이상판정을 개시하는 제 2 판정수단과, 제 1 감시수단 및 제 2 감시수단에 의한 감시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 2 감시수단에 입력되어 있는 이그니션계 스위치의 종류를 특정하는 입력특 정수단과, 상기 입력특정수단에 의해 상기 제 2 감시수단에 입력되어 있는 이그니션계 스위치가 제 1 이그니션계 스위치라고 특정된 경우, 상기 제 2 판정수단에 의한 상기 이상판정 개시 타이밍을 제 1 판정수단에 의한 이상판정 개시 타이밍으로 변경하는 판정 타이밍 변경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시동제어방법은, 원격조작용 단말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의거하여, 또는 자율적으로 차량의 엔진을 시동시키는 시동제어방법으로서, 스타터 스위치의 용착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스타터 스위치의 용착이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스타터 스위치에의 통전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것과,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징, 이점을 도면을 사용하여 이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하게 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원격시동장치의 개요구성을 나타내는 개요구성도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격시동장치(10)는, 차량(1)에 탑재되어 배터리(22), 도어 개폐 스위치(23), 도어록 스위치(24), 보닛 스위치(25), 안테나(29), 스타터 릴레이(31) 및 비상등(33)에 접속됨과 동시에, 시프트 포지션(26) 및 엔진 회전수(27)의 데이터를 취득하고 있다.
또, 배터리(22)는 이그니션(IG) 키 스위치(21)에 다시 접속되고, 스타터 릴레이(31)는, 스타터 모터(32)에 접속되어 있다.
IG 키 스위치(21)는, 운전자가 이그니션 키를 삽입하여 수동으로 조작함으로 써 차량 탑재 전기기기에의 전원공급(상기 도면에 있어서의 ACC에의 경로에 대한 전원공급), 점화제어장치에의 전원공급(상기 도면에 있어서의 IG에의 경로에 대한 전원공급), 엔진의 시동(상기 도면에 있어서의 스타터 릴레이에의 전원공급)을 행한다.
도어 개폐 스위치(23)는, 차량의 도어의 개폐상태에 대응하는 스위치이고, 도어록 스위치(24)는 차량의 도어의 잠금상태에 대응하는 스위치이다. 또 보닛 스위치(25)는, 보닛의 개폐상태에 대응하는 스위치이다.
안테나(29)는, 운전자가 소지하는 송신기(28)(예를 들면 리모트 키)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원격시동장치(10)에 출력한다. 또 스타터 릴레이(31)는, 엔진시동시에 스타터 모터(32)를 동작시키는 제어 스위치이다. 비상등(33)은 좌우의 방향지시등의 동시 점멸에 의하여 자차량의 거동에 관한 주변에 대한 경고를 행하는 것이나, 본 실시예에서는 원격시동의 제어결과에 대하여 운전자에게 통지하는 통지수단으로서 이용한다.
원격시동장치(10)는, 그 내부에 주제어부(11), 수신처리부(12), 입력처리부(13), 전원공급부(14), 구동출력부(15), 출력 모니터부(16), 출력처리부(17), 서브 릴레이(RL1), 서브 릴레이(RL2), 액세서리(ACC) 스위치(SWa), 이그니션(IG) 스위치(SWi), 스타터(ST) 스위치(SWs)를 가진다.
여기서 액세서리 스위치(SWa), 이그니션 스위치(SWi), 스타터 스위치(SWs)는, 각각 차량 탑재 전기기기에 대한 전원공급(상기 도면에 있어서의 ACC에의 경로에 대한 전원공급), 점화제어장치에 대한 전원공급(상기 도면에 있어서의 IG에의 경로에 대한 전원공급), 엔진의 시동(상기 도면에 있어서의 스타터 릴레이에의 전원공급)을 행한다. 즉, 원격시동장치(10)는 IG 키 스위치(21)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또, 서브 릴레이(RL1)는, 액세서리 스위치(SWa), 이그니션 스위치(SWi)에의 통전을 차단하는 페일 세이프기구이고, 서브 릴레이(RL2)는, 스타터 스위치(SWs)에의 통전을 차단하는 페일 세이프기구이다.
수신처리부(12)는, 안테나(29)가 수신한 신호를 주제어부(11)에 출력한다. 또 입력처리부(13)는, 도어 개폐 스위치(23), 도어록 스위치(24) 및 보닛 스위치(25)의 상태, 시프트 포지션(26) 및 엔진 회전수(27)를 주제어부(11)에 출력한다.
구동출력부(15)는, 액세서리 스위치(SWa), 이그니션 스위치(SWi), 스타터 스위치(SWs), 서브 릴레이(RL1), 서브 릴레이(RL2)의 온/오프제어를 실행하는 수단이고, 전원공급부(14)는, 이 제어에 필요한 전력을 배터리(22)로부터 취득하여 공급한다.
출력 모니터부(16)는, 서브 릴레이(RL1, RL2), 액세서리 스위치(SWa), 이그니션 스위치(SWi), 스타터 스위치(SWs)의 출력을 모니터하여 주제어부(11)에 출력한다. 또 출력처리부(17)는, 비상등(33)의 제어를 실행하는 수단이다.
주제어부(11)는, 원격시동장치(10)를 전체 제어하는 제어부이고, 수신처리부(12), 입력처리부(13), 출력 모니터(16)로부터의 신호입력에 의거하여 구동출력부(15) 및 출력처리부(17)에의 신호출력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주제어부(11)는 수신처리부(12)가 송신기(28)로부터 원격시동 지시를 수신한 경우에 액세서리 스위치(SWa), 이그니션 스위치(SWi), 스타터 스위치(SWs)를 제어하여 시동제어를 실행한다. 또한 입력처리부(13)로부터의 신호입력이 도어의 개방이나 잠금의 개방, 보닛의 개방 등을 나타내고 있을 때에는 시동제어를 행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시프트 포지션(26)이「주차」이외인 경우에도, 시동제어는 행하지 않는다.
또, 엔진 회전수(27)는, 스타터 스위치(SWs)의 온제어후, 엔진이 시동되었는지의 여부의 판정에 사용한다. 또 「원격시동후, 난기 종료시점에서 엔진을 끄는」제어를 행할 때에, 엔진의 난기가 종료되었는지의 여부의 판정에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에 주제어부(11)의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주제어부(11)의 처리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고, 상기 도면에 나타낸 처리플로우는 수신처리부(12)가 송신기(28)로부터 원격시동 지시를 수신한 경우에 개시한다.
처리가 개시되면 주제어부(11)는, 먼저 서브 릴레이(RL1) 및 서브 릴레이(RL2)를 온으로 한다(단계 S101). 다음에 주제어부(11)는 액세서리 스위치(SWa)의 온제어(단계 S102), 이그니션 스위치(SWi)의 온제어(단계 S103)를 차례로 실행한다.
그후, 주제어부(11)는 액세서리 스위치(SWa)를 오프로 한(단계 S104)후, 스타터 스위치(SWs)를 온으로 한다(단계 S105). 이와 같이 액세서리 스위치(SWa)를 오프로 하는 것은, 액세서리 스위치(SWa)와 스타터 스위치(SWs)가 동시에 온상태가 되어, 차량 탑재 전기기기에 대한 전원공급이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 이다.
이 스타터 스위치(SWs)의 온제어에 의하여 엔진이 시동되었으면(단계 S106),주제어부(11)는, 스타터 스위치(SWs)를 오프로 하고(단계 S107), 액세서리 스위치(SWa)를 온으로 한다(단계 S108).
계속해서 주제어부(11)는, 스타터 스위치(SWs)가 용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09). 그 결과, 스타터 스위치(SWs)가 용착하고 있으면(단계 S109, Yes), 주제어부(11)는 서브 릴레이(RL2)를 오프로 하여 스타터 스위치(SWs)의 통전을 차단하고(단계 S110), 시동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타터 스위치(SWs)가 용착하고 있지 않은 경우(단계 S109, No), 주제어부(11)는 그대로 시동처리를 종료한다.
여기서 시동처리에 있어서 스타터 스위치(SWs)의 용착을 검출하여, 서브 릴레이(RL2)를 차단한 경우이더라도 서브 릴레이(RL1)는 온상태 그대로이기 때문에 서브 릴레이(RL1)에 접속하고 있는 액세서리 스위치(SWa) 및 이그니션 스위치(SWi)의 통전은 유지되어, 통상의 제어를 계속할 수 있다.
다음에, 도 2에 나타낸 처리에 의한 각 스위치에 대한 제어출력과 각 스위치의 상태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면에는 스타터 스위치(SWs)가 용착하고 있지 않은 경우와, 스타터 스위치(SWs)가 용착한 경우의 처리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먼저, 스타터 스위치(SWs)가 용착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시각 Tl00에 있어서 원격시동 지시(엔진 스타터 개시신호)를 수신하면, 서브 릴레 이(RL1)와 서브 릴레이(RL2)의 용착판정을 실행하여, 용착하고 있지 않으면 서브 릴레이(RL1) 및 서브 릴레이(RL2)에 대하여 온제어를 행한다(시각 T101).
다음에 액세서리 스위치(SWa), 이그니션 스위치(SWi), 스타터 스위치(SWs)의 용착판정을 실행하여, 시각 T102에 액세서리 스위치(SWa)에 대한 온제어를 행한다. 또 액세서리 스위치(SWa)가 온제어에 대응하여 정확하게 스위치가 온상태가 되었는지의 판정[액세서리 스위치(SWa)의 오픈판정]을 행한다. 계속해서 시각 T103에 이그니션 스위치(SWi)에 대하여 온제어를 행함과 동시에, 이그니션 스위치(SWi)의 오픈판정을 행한다.
그리고 시각 T104에 액세서리 스위치(SWa)에 대한 오프제어를 실행하고, 액세서리 스위치(SWa)의 용착판정을 행한다. 또 시각 T105에 스타터 스위치(SWs)에 대한 온제어를 실행하고, 스타터 스위치(SWs)의 오픈판정을 행한다.
이 스타터 스위치(SWs)의 온제어에 의하여 시각 T106에 엔진이 시동되어 난기가 개시된다. 그래서 시각 T107에 스타터 스위치(SWs)를 오프제어하고, 스타터 스위치(SWs)의 용착판정을 행한다. 또 시각 T108에 액세서리 스위치(SWa)에 대한 온제어를 실행한다.
여기서, 스타터 스위치(SWs)는 용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액세서리 스위치(SWa), 이그니션 스위치(SWi), 스타터 스위치(SWs)는, 이후 통상의 제어를 행한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는 엔진의 난기종료(시각 T109)시에 이그니션 스위치(SWi)에 대하여 오프제어를 행하고 있다. 또 시각 T110에 액세서리 스위치(SWa)에 대하여 오프제어하고, 시각 T111에 있어서 서브 릴레이(RL1) 및 서브 릴레이(RL2)에 대하여 오프제어하고 있다.
다음에, 스타터 스위치(SWs)가 용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시각 T200∼208의 처리는 시각 T100∼108의 처리와 동일하고, 시각 T205에 스타터 스위치(SWs)를 온제어함으로써 출력 모니터부(16)가 취득한 스타터 스위치 모니터 단자의 전압은 시각 T205에 「로우」로부터 「하이」로 되어 있다.
스타터 스위치(SWs)가 용착하고 있지 않으면, 시각 T207에 스타터 스위치(SWs)를 오프제어한 시점에서 스타터 스위치 모니터 단자의 전압이「하이」부터「로우」로 바뀌는 것이다. 그러나 시각 T207 이후에도 스타터 스위치 모니터 단자의 전압이「하이」이기 때문에, 주제어부(11)는 시각 T208에「스타터 스위치(SWs)에 용착발생」이라고 판정하고, 시각 T209에 서브 릴레이(RL2)를 오프제어하고 있다.
이 서브 릴레이(RL2)의 오프제어에 의하여 시각 T209의 시점에서 스타터 스위치(SWs)에의 통전이 차단되어, 스타터 스위치 모니터 단자의 전압이「하이」로부터「로우」로 바뀐다.
이후, 액세서리 스위치(SWa), 이그니션 스위치(SWi)에 대해서는 통상의 제어를 행한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는, 엔진의 난기종료(시각 T210)시에 이그니션 스위치(SWi)에 대하여 오프제어를 행하고 있다. 또 시각 T211에 액세서리 스위치(SWa) 에 대하여 오프제어하고, 시각 T212에 있어서 서브 릴레이(RL1)에 대하여 오프제어하고 있다.
이와 같이 스타터 스위치(SWs)에 있어서 용착이 발생한 경우에, 신속하게 서 브 릴레이(RL2)를 오프제어함으로써, 액세서리 스위치(SWa)와 스타터 스위치(SWs)가 동시에 온상태가 되는 시간(시각 T208로부터 시각 T209까지)을 단축할 수 있다.
또, 액세서리 스위치(SWa)와 이그니션 스위치(SWi)에 대해서는 스타터 스위치(SWs)에 용착이 발생한 경우이더라도 통상의 제어를 계속할 수 있다. 또한 스타터 모터(32)의 과회전(엔진시동후에 스타터 모터의 회전이 계속하고 있는 상태)을 회피할 수 있다.
그런데,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처리동작에서는 스타터 스위치(SWs)의 오프제어후에 액세서리 스위치(SWa)의 온제어를 행하여, 스타터 스위치(SWs)가 용착하고 있는 경우에 서브 릴레이(RL2)를 차단하였으나, 스타터 스위치(SWs)의 오프제어후, 스타터 스위치(SWs)의 용착판정을 행한 후에 액세서리 스위치(SWa)의 온제어를 행하게 하면, 스타터 스위치(SWs)와 액세서리 스위치(SWa)가 동시에 온상태가 되는 것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이 스타터 스위치(SWs)의 용착판정후에 액세서리 스위치(SWa)의 온제어를 행하는 경우의 주제어부(11)의 처리동작을 도 4에 나타낸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처리 플로우에 있어서, 단계 S201∼207의 각 처리는, 도 2에 나타낸 단계 S101∼107의 처리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단계 S208 이후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스타터 스위치(SWs)를 오프로 한(단계 S207)후, 주제어부(11)는 스타터 스위치(SWs)의 용착판정을 행한다(단계 S208). 그 결과, 스타터 스위치(SWs)가 용착하고 있지 않은 경우(단계 S208, No), 주제어부(11)는 액세서리 스위치(SWa)를 온으 로 한다(단계 S209).
한편, 스타터 스위치(SWs)가 용착하고 있으면(단계 S208, Yes), 주제어부(11)는 서브 릴레이(RL2)를 오프로 하여 스타터 스위치(SWs)의 통전을 차단한(단계 S210)후, 액세서리 스위치(SWa)를 온으로 한다(단계 S209).
그리고 액세서리 스위치의 온제어(단계 S209)후, 주제어부(11)는 시동처리를 종료하고, 이후는 통상의 제어를 행한다.
다음에 도 4에 나타낸 처리에 의한 각 스위치에 대한 제어출력과 각 스위치의 상태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면에는 스타터 스위치(SWs)가 용착하고 있지 않은 경우와, 스타터 스위치(SWs)가 용착한 경우의 처리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먼저, 스타터 스위치(SWs)가 용착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시각 T 300∼307의 처리는, 도 3에 나타낸 시각 T100∼107의 처리와 동일하다. 그리고 시각 T307에 있어서 스타터 스위치(SWs)를 오프제어한 후, 스타터 스위치(SWs)의 용착판정의 결과를 기다려, 용착하고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하고 시각 T308에 액세서리 스위치(SWa)를 온제어한다.
이후의 제어는 통상의 제어이고, 상기 도면에 있어서는 엔진의 난기종료(시각 T309)시에 이그니션 스위치(SWi)에 대하여 오프제어를 행하고 있다. 또 시각 T310에 액세서리 스위치(SWa)에 대하여 오프제어하고, 시각 T311에 있어서 서브 릴레이(RL1)및 서브 릴레이(RL2)에 대하여 오프제어하고 있다.
다음에 스타터 스위치(SWs)가 용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시각 T400∼407의 처리는 시각 T300∼307의 처리와 동일하고, 시각 T405에 스타터 스위치(SWs)를 온제어함으로써, 출력 모니터부(16)가 취득한 스타터 스위치 모니터 단자의 전압은 시각 T405에「로우」로부터「하이」로 되어 있다.
스타터 스위치(SWs)가 용착하고 있지 않으면, 시각 T407에 스타터 스위치(SWs)를 오프제어한 시점에서 스타터 스위치 모니터 단자의 전압이「하이」로부터 「로우」에 바뀌는 것이다. 그러나 시각 T407 이후에도 스타터 스위치 모니터 단자의 전압이「하이」이기 때문에, 주제어부(11)는 시각 T408에「스타터 스위치(SWs)에 용착발생」이라고 판정하고, 시각 T409에 서브 릴레이(RL2)를 오프제어하고 있다.
이 서브 릴레이(RL2)의 오프제어에 의하여 시각 T409의 시점에서 스타터 스위치(SWs)에의 통전이 차단되고, 스타터 스위치 모니터 단자의 전압이「하이」로부터「로우」로 바뀐다.
그리고 이 시각 T409에 있어서 스타터 스위치(SWs)에의 통전이 차단된 단계에서 액세서리 스위치(SWa)에 대한 온제어를 실행한다.
이후, 액세서리 스위치(SWa), 이그니션 스위치(SWi)는 통상의 제어를 행한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는, 엔진의 난기종료(시각 T410)시에 이그니션 스위치(SWi)에 대하여 오프제어를 행하고 있다. 또 시각 T411에 액세서리 스위치(SWa)에 대하여 오프제어하고, 시각 T412에 있어서 서브 릴레이(RL1)에 대하여 오프제어하고 있다.
이와 같이 스타터 스위치(SWs)의 용착판정을 행한 후에 액세서리 스위치 (SWa)의 온제어를 행하도록 구성하면, 스타터 스위치(SWs)의 오프제어로부터 액세서리 스위치(SWa)의 온제어까지의 시간은 길어지나, 스타터 스위치(SWs)와 액세서리 스위치(SWa)가 동시에 온상태가 되는 것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다음에 액세서리 스위치(SWa)의 용착시의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타터 스위치(SWs)에 대하여 온제어를 실행하는 경우, 미리 액세서리 스위치(SWa)를 오프제어함으로써 스타터 스위치(SWs)와 액세서리 스위치(SWa)가 동시에 온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액세서리 스위치(SWa)에 용착이 발생하면 주제어부(11)가 액세서리 스위치(SWa)에 대하여 오프제어를 실행한 후에도 액세서리 스위치(SWa)의 온상태가 계속되게 되어, 스타터 스위치(SWs)와 액세서리 스위치(SWa)가 동시에 온상태가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주제어부(11)는 액세서리 스위치(SWa)의 용착을 검출한 경우에는, 스타터 스위치(SWs)를 바로 오프 제어한다. 이 처리동작을 도 6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처리 플로우에 있어서, 단계 S301∼305의 각 처리는, 도 2에 나타낸 단계 S101∼105의 처리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단계 S306 이후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스타터 스위치(SWs)를 온으로 한(단계 S305) 후, 주제어부(11)는 액세서리 스위치(SWa)의 용착판정을 행한다(단계 S306). 그 결과, 액세서리 스위치(SWa)가 용착하고 있으면(단계 S306, Yes), 주제어부(11)는 바로 스타터 스위치(SWs)를 오프로 한다(단계 S308).
한편, 액세서리 스위치(SWa)가 용착하고 있지 않은 경우(단계 S306, No), 주제어부(11)는 엔진시동까지 스타터 스위치(SWs)의 온상태를 계속하고(단계 S307), 엔진시동후에 스타터 스위치(SWs)를 오프로 한다(단계 S308).
그리고 스타터 스위치(SWs)의 오프제어(단계 S308) 후에 주제어부(11)는 액세서리 스위치(SWa)를 온으로 하여(단계 S309) 시동처리를 종료하고, 통상제어로 이행한다.
다음에 도 6에 나타낸 처리에 의한 각 스위치에 대한 제어출력과 각 스위치의 상태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면에는 액세서리 스위치(SWa)가 용착하고 있지 않은 경우와, 액세서리 스위치(SWa)가 용착한 경우의 처리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먼저, 액세서리 스위치(SWa)가 용착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시각 T500∼505의 처리는, 도 3에 나타낸 시각 T100∼105의 처리와 동일하다. 그리고 시각 T505에 있어서 스타터 스위치(SWs)를 온제어한 후, 액세서리 스위치(SWa)의 용착을 판정하나, 용착을 검출하지 않기 때문에 엔진시동(시각 T 506)까지 스타터 스위치(SWs)의 온상태를 계속한다.
그리고 시각 T507에 스타터 스위치(SWs)에 대하여 오프제어를 실행한 후, 시각 T508에 액세서리 스위치(SWa)를 온제어한다. 이후의 제어는 통상의 제어이고, 상기 도면에 있어서는 엔진의 난기종료(시각 T509)시에 이그니션 스위치(SWi)에 대하여오프제어를 행하고 있다. 또 시각 T510에 액세서리 스위치(SWa)에 대하여 오프제어하고, 시각 T511에 있어서 서브 릴레이(RL1) 및 서브 릴레이(RL2)에 대하여 오프제어하고 있다.
다음에 액세서리 스위치(SWa)가 용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시각 T600∼605의 처리는 시각 T500∼505의 처리와 동일하고, 시각 T 602에 액세서리 스위치(SWa)를 온제어함으로써 출력 모니터부(16)가 취득한 액세서리 스위치 모니터 단자의 전압은 시각 T602에 「로우」로부터「하이」로 되어 있다.
액세서리 스위치(SWa)가 용착하고 있지 않으면, 시각 T604에 액세서리 스위치(SWa)를 오프제어한 시점에서 액세서리 스위치 모니터 단자의 전압이「하이」로부터「로우」로 바뀌는 것이다. 그러나 시각 T604 이후에도 액세서리 스위치 모니터 단자의 전압이「하이」이기 때문에 주제어부(11)는 시각 T606에「액세서리 스위치(SWa)에 용착발생」이라고 판정하고, 시각 T607에 스타터 스위치(SWs)를 오프제어하고 있다. 이 때문에 엔진의 시동은 실행되지 않고, 엔진은 오프인 채이다.
이후, 액세서리 스위치(SWa), 이그니션 스위치(SWi)에 대해서는 통상의 제어를 행한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는 시각 T608에 액세서리 스위치(SWa)의 온제어, 시각 T609에 이그니션 스위치(SWi)의 오프제어를 행하고 있다. 또 시각 T610에 액세서리 스위치(SWa)에 대하여 오프제어하고, 시각 T611에 있어서 서브 릴레이(RL1) 및 서브 릴레이(RL2)의 오프제어를 행하고 있다.
이와 같이 액세서리 스위치(SWa)에 있어서 용착이 발생한 경우에, 신속하게 스타터 스위치(SWs)를 오프제어함으로써 액세서리 스위치(SWa)와 스타터 스위치(SWs)가 동시에 온상태가 되는 시간(시각 T605로부터 시각 T607까지)을 단축할 수 있다.
그런데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처리동작에서는 액세서리 스위치(SWa)의 오프제어후에 스타터 스위치(SWs)의 온제어를 행하고, 액세서리 스위치(SWa)가 용착하고 있는 경우에 스타터 스위치(SWs)를 차단하고 있었으나, 액세서리 스위치(SWa)의 오프제어후, 액세서리 스위치(SWa)의 용착판정을 행한 후에 스타터 스위치(SWs)의 온제어를 행하게 하면, 스타터 스위치(SWs)와 액세서리 스위치(SWa)가 동시에 온상태가 되는 것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이 액세서리 스위치(SWa)의 용착판정후에 스타터 스위치(SWs)의 온제어를 행하는 경우의 주제어부(11)의 처리동작을 도 8에 나타낸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처리 플로우에 있어서, 단계 S401∼404의 각 처리는, 도 6에 나타낸 단계 S301∼304의 처리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단계 S405 이후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액세서리 스위치(SWa)를 오프로 한(단계 S404) 후, 주제어부(11)는 액세서리 스위치(SWa)의 용착판정을 행한다(단계 S405). 그 결과, 액세서리 스위치(SWa)가 용착하고 있지 않은 경우(단계 S405, No), 주제어부(11)는 스타터 스위치(SWs)에 대하여 온제어를 행하고(단계 S406), 엔진을 시동한(단계 S407) 후, 스타터 스위치(SWs)를 오프로 한다(단계 S408).
그리고 스타터 스위치(SWs)의 오프제어(단계 S408)후, 또는 액세서리 스위치(SWa)가 용착하고 있는 경우(단계 S405, Yes), 주제어부(11)는 액세서리 스위치(SWa) 에 대한 온제어를 행하여(단계 S409) 시동처리를 종료하고, 이후는 통상의 제어를 행한다.
다음에 도 8에 나타낸 처리에 의한 각 스위치에 대한 제어출력과 각 스위치의 상태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면에는 액세서리 스위치(SWa)가 용착하고 있지 않은 경우와, 액세서리 스위치(SWa)가 용착한 경우의 처리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먼저, 액세서리 스위치(SWa)가 용착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시각 T700∼704의 처리는, 도 7에 나타낸 시각 T500∼504의 처리와 동일하다. 시각 T704에 있어서 액세서리 스위치(SWa)를 오프제어한 후, 주제어부(11)는 액세서리 스위치(SWa)의 용착을 판정하나, 용착을 검출하지 않기 때문에 시각 T705에 스타터 스위치(SWs)에 대한 온제어를 행한다.
이 제어에 의하여 엔진이 시각 T706에 시동하고, 주제어부(11)는 시각 T707에 스타터 스위치(SWs)에 대하여 오프제어를 실행한다. 그후 시각 T708에 액세서리 스위치(SWa)를 온제어한다. 이후의 제어는 통상의 제어이고, 상기 도면에 있어서는엔진의 난기종료(시각 T709)시에 이그니션 스위치(SWi)에 대하여 오프제어를 행하고 있다. 또 시각 T710에 액세서리 스위치(SWa)에 대하여 오프제어하고, 시각 T711에 있어서 서브 릴레이(RL1) 및 서브 릴레이(RL2)에 대하여 오프제어하고 있다.
다음에 액세서리 스위치(SWa)가 용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시각 T800∼804의 처리는 시각 T700∼704의 처리와 동일하고, 시각 T802에 액세서리 스위치(SWa)를 온제어함으로써 출력 모니터부(16)가 취득한 액세서리 스위치 모니터 단자의 전압은 시각 T802에「로우」로부터「하이」로 되어 있다.
액세서리 스위치(SWa)가 용착하고 있지 않으면, 시각 T804에 액세서리 스위치(SWa)를 오프제어한 시점에서 액세서리 스위치 모니터 단자의 전압이「하이」로부터「로우」로 바뀌는 것이다. 그러나 시각 T804 이후도 액세서리 스위치 모니터 단자의 전압이「하이」이기 때문에, 주제어부(11)는 시각 T805에「액세서리 스위치(SWa)에 용착발생」이라고 판정하고, 스타터 스위치(SWs)의 온제어를 행하지 않는다. 또한 액세서리 스위치(SWa)에 용착발생후, 용착이 해소되어 액세서리 스위치(SWa)가 오프상태가 된 경우에는, 스타터 스위치(SWs)의 온제어를 실행한다.
이후, 액세서리 스위치(SWa), 이그니션 스위치(SWi)에 대해서는 통상의 제어를 행한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는, 시각 T806에 액세서리 스위치(SWa)의 온제어, 시각 T807에 이그니션 스위치(SWi)의 오프제어를 행하고 있다. 또 시각 T808에 액세서리 스위치(SWa)에 대하여 오프제어하고, 시각 T809에 있어서 서브 릴레이(RL1) 및 서브 릴레이(RL2)의 오프제어를 행하고 있다.
이와 같이 액세서리 스위치(SWa)의 용착판정에 의거하여 스타터 스위치(SWs)의 온제어의 실행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하면 액세서리 스위치(SWa)의 오프제어로부터 스타터 스위치(SWs)의 온제어까지의 시간은 길어지나, 스타터 스위치(SWs)와 액세서리 스위치(SWa)가 동시에 온상태가 되는 것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여기서 액세서리 스위치(SWa)의 오프제어로부터 용착판정까지의 시간을 짧게하면, 액세서리 스위치(SWa)의 오프제어로부터 스타터 스위치(SWs)의 온제어까지의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액세서리 스위치(SWa)의 오프제어로부터 전압이 그라운드로 떨어지기 까지의 시간은, ACC 라인에 접속된 차량 탑재 전기기기의 콘덴서 용량에 의존한다. 그 때문에 용착판정까지의 대기시간을 과도하게 짧게 설정하면, ACC 라인의 전하 나머지를 「액세서리 스위치(SWa)의 용착이다」라고 잘못 검출할 가능성이 있다.
이 오검출의 구체예를 도 10에 나타낸다. 먼저 시각 T900∼904의 처리는 시각 T700∼704의 처리와 동일하고, 시각 T902에 액세서리 스위치(SWa)를 온제어함으로써 출력 모니터부(16)가 취득한 액세서리 스위치 모니터 단자의 전압은, 시각 T902에「로우」로부터 「하이」로 되어 있다.
그후 시각 T904에 액세서리 스위치(SWa)를 오프제어하나, ACC 라인의 전하 나머지의 영향으로 액세서리 스위치 모니터 단자의 전압이「하이」로부터「로우」로 바뀌는 것은 시각 T906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시각 T905에 액세서리 스위치(SWa)의 용착판정을 행하면 시각 T905에서부터 시각 T906의 사이 「액세서리 스위치(SWa)의 용착있음」이라고 판정된다.
이와 같은 오판정을 피하기 위하여 액세서리 스위치(SWa)의 용착판정까지의 대기시간은, ACC 라인에 대한 차량 탑재 전기기기의 접속상태에 대응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차량 탑재 전기기기는, 차량 판매후에도 추가나 삭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주제어부(11)는 액세서리 스위치(SWa)의 용착판정까지의 대기시간의 설정을 임의로 변경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액세서리 스위치(SWa)의 용착판정과 스타터 스위치(SWs)의 온제어와의 전후관계도 선택 가능하게 한다. 즉, 주제어부(11)는 액세서리 스위치(SWa)의 용착판정전에 스타터 스위치(SWs)의 온제어를 행하는(도 6 및 도 7에 나타내었다) 제 어와, 액세서리 스위치(SWa)의 용착판정후에 스타터 스위치(SWs)의 온제어를 행하는(도 8 및 도 9에 나타내었다) 제어를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어느 것의 제어를 선택할지는 용착판정과 온제어의 전후관계를 직접 설정하여도 좋고, 대기시간의 길이에 의거하여 자동적으로 선택하여도 좋다. 대기시간의 길이에 의거하여 자동적으로 선택하는 경우, 예를 들면, 대기시간과 소정의 문턱값을 비교하여 대기시간이 문턱값 이상이면 액세서리 스위치(SWa)의 용착판정전에 스타터 스위치(SWs)의 온제어를 실행하고, 대기시간이 문턱값 미만이면 액세서리 스위치(SWa)의 용착판정후에 스타터 스위치(SWs)의 온제어를 행하면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의 구성에서는 ACC(액세서리), IG(이그니션), ST(스타터)가 각 1계통이나, 차량의 구성에 따라서는 복수계통의 IG나 ST를 가지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ST가 복수계통 존재하는 경우, 스타터 릴레이(31)에 전원을 공급하여 실제로 엔진의 시동을 하는 계통과, 다른 장치의 제어용으로 사용하는 계통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도 1의 구성에서는 스타터 스위치(SWs)를 서브 릴레이(RL2)에 접속하여, ACC와 ST를 독립으로 페일 세이프하고 있으나, ACC에의 공급 전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스타터 릴레이(31)에의 전원공급이기 때문에, 복수계통의 ST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실제로 엔진의 시동을 행하는 계통만을 ACC에 대하여 독립시키면 좋다.
이 복수계통의 ST를 가지는 경우의 원격시동장치의 구성예를 도 11 및 도 12도에 나타낸다. 도 11에 나타낸 구성에서는 서브 릴레이(RL1)에 액세서리 스위치(SWa), 이그니션 스위치(SWi1), 스타터 스위치(SWs1)를 접속하고, 서브 릴레이 (RL2)에 이그니션 스위치(SWi2) 및 스타터 스위치(SWs2)를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이 구성에서는 실제로 엔진의 시동을 행하는 계통의 제어를 스타터 스위치(SWs2)제어용으로 사용하는 계통의 제어를 스타터 스위치(SWs1)에 의하여 행하고 있다.
또, 도 12에 나타낸 구성에서는 서브 릴레이(RL1)에 액세서리 스위치(SWa) 및 이그니션 스위치(SWi1)를 접속하고, 서브 릴레이(RL2)에 스타터 스위치(SWs1), 이그니션 스위치(SWi2) 및 스타터 스위치(SWS2)를 접속하고 있다.
이와 같이 스타터 릴레이(31)에 전원을 공급하여 실제로 엔진의 시동을 행하는 계통과 ACC를 독립시킴으로써 복수계통의 IG나 ST가 필요한 구성이어도 본 발명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 원격시동장치(10)의 처리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원격시동장치(10)가 송신기(28)로부터 원격시동 지시를 수신한 경우에 실행하는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고, 상기 도면에 나타낸 처리 플로우는, 원격시동장치(10)에 의한 시동제어중에 반복하여 실행된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격시동장치(10)는 원격시동 지시를 수신한 경우에, 먼저 서브 릴레이(RL1 및 RL2)를 온으로 한다(단계 S1001). 계속해서 ACC 라인[액세서리 스위치(SWa)]의 1회째의 온제어(단계 S1002), IG 라인[이그니션 스위치(SWi)]의 온제어(단계 S1003)를 행한다.
그리고 ACC 라인의 1회째의 오프제어(단계 S1004)를 행한 후, ST 라인[스타터 스위치(SWs)]의 온제어(단계 S1005)를 행한다. 또한 ST[스타터 스위치(SWs)]의 오프제어(단계 S1006)를 행한 후, ACC 라인의 2회째의 온제어(단계 S1007)를 행하 여 처리를 종료한다.
계속해서 도 13에 나타낸 각 처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각 처리의 상세는, 「ACC 온 다음에, ST 용착시에 서브 릴레이(RL2)오프(도 2, 도 3을 사용하여 설명한 처리)」, 「ST 용착시, 서브 릴레이(RL2) 오프후에 ACC 온(도 4, 도 5를 사용하여 설명한 처리)」, 「ACC 용착시에 ST 오프(도 6, 도 7을 사용하여 설명한 처리)」, 「ACC 용착시에는 ST 온을 억지(도 8, 도 9를 사용하여 설명한 처리)」의 어느 것을 채용하는지에 따라 다르다.
먼저, 「ACC 온 다음에, ST 용착시에 서브 릴레이(RL2) 오프」를 채용하는 경우의 각 처리의 상세에 대하여 도 14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처리 플로우에서는 원격시동장치(10)는, 먼저 시동제어가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101).
그 결과, 시동제어가 허가되어 있는 경우(단계 S1101, Yes), 서브 릴레이(RL1) 및 서브 릴레이(RL2)가 모두 온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102).
서브 릴레이(RL1, RL2)가 온상태가 아닌 경우(단계 S1102, No), 구동출력부(15)에 의하여 서브 릴레이(RL1)의 온제어(단계 S1103) 및 서브 릴레이(RL2)의 온제어(단계 S1104)를 실행한다.
그리고 ACC 온 1회째(도 13에 있어서의 단계 S1002)의 제어 타이밍을 세트함(단계 S1105)과 동시에, 서브 릴레이(RL1, RL2)의 용착판정을 금지(단계 S1106)한다.
또, ACC 라인[액세서리 스위치(SWa)]의 용착판정을 허가하고(단계 S1107), IG 라인[이그니션 스위치(SWi)]의 용착판정을 허가하고(단계 S1108), ST 라인[스타터 스위치(SWs)]의 용착판정을 허가한다(단계 S1109).
이 단계 S1109 종료후, 또는 시동제어가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1101, No), 또는 서브 릴레이(RL1, RL2)가 온상태인 경우(단계 S1102, Yes), 원격시동장치(10)는 서브 릴레이(RL) 온처리를 종료하고, 도 13에 단계 S1102로서 나타낸 ACC 온 1회째의 제어로 이행한다.
도 15는 도 13에 단계 S1002로서 나타낸 ACC 온 1회째의 제어에 있어서의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처리 플로우에서는 원격시동장치(10)는 먼저 ACC 온 1회째의 제어 타이밍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201).
그 결과, ACC 온 1회째의 제어 타이밍인 경우(단계 S1201, Yes), 원격시동장치(10)는 다음에 시동제어가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202).
그리고 시동제어가 허가되어 있는 경우(단계 S1202, Yes), 구동출력부(15)에 의하여 ACC 스위치(SWa)를 온하고, ACC의 온출력을 실행한다(단계 S1203).
다음에 IG 라인의 온제어(도 13에 있어서의 단계 S1003)의 제어 타이밍을 세트함(단계 S1204)과 동시에, ACC의 용착판정을 금지(단계 S1205)한다. 마찬가지로 IG 라인의 용착판정을 금지하고(단계 S1206), ST 라인의 용착판정을 금지한다(단계 S1207).
그 후 원격시동장치(10)는, ACC 오픈판정의 판정개시 타이밍을 세트한다(단계 S1208). 이 판정의 개시 타이밍은, 스위치변화에 의한 채터링을 고려하여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단계 S1203에 있어서의 ACC 온제어로부터 50 밀리초후∼100 밀 리초후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후, 판정개시 타이밍의 세트를 행하는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채터링을 고려하여 그 타이밍을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단계 S1208 종료후, 또는 ACC 온 1회째의 제어 타이밍이 아닌 경우(단계 S1201, No), 또는 시동제어가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1202, No), 원격시동장치(10)는 ACC 온 1회째의 제어를 종료하고, 도 13에 단계 S1003로서 나타낸 IG 라인의 온제어로 이행한다.
도 16은 도 13에 단계 S1003로서 나타낸 IG 라인의 온제어에 있어서의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처리 플로우에서는 원격시동장치(10)는 먼저 IG 온의 제어 타이밍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301).
그 결과, IG 온의 제어 타이밍인 경우(단계 S1301, Yes), 원격시동장치(10)는 다음에 시동제어가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302).
그리고 시동제어가 허가되어 있는 경우(단계 S1302, Yes), 구동출력부(15)에 의하여 이그니션 스위치(SWi)를 온하고, IG의 온출력을 실행한다(단계 S1303).
다음에 ACC 라인의 1회째의 오프제어(도 13에 있어서의 단계 S1004)의 제어 타이밍을 세트함(단계 S1304)과 동시에, IG 라인의 오픈판정의 판정개시 타이밍을 세트한다(단계 S1305).
단계 S1305 종료후, 또는 IG 온의 제어 타이밍이 아닌 경우(단계 S1301, No), 또는 시동제어가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1302, No), 원격시동장치(10)는 IG 온의 제어를 종료하고, 도 13에 단계 S1004로서 나타낸 ACC 오프 1회째의 제어로 이행한다.
도 17은 도 13에 단계 S1004에서 나타낸 ACC 오프 1회째의 제어에 있어서의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처리 플로우에서는 원격시동장치(10)는 먼저 ACC 오프 1회째의 제어 타이밍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401).
그 결과, ACC 오프 1회째의 제어 타이밍인 경우(단계 S1401, Yes), 구동출력부(15)에 의하여 ACC 스위치(SWa)를 오프하고, ACC의 오프출력을 실행한다(단계 S1402).
그리고 ST 라인의 온제어(도 13에 있어서의 단계 S1005)의 제어 타이밍을 세트(단계 S1403)하고, ACC 라인의 오픈판정을 금지한다(단계 S1404).
그후 원격시동장치(10)는, ACC 용착판정의 판정개시 타이밍을 세트한다(단계 S1405). 이 판정의 개시 타이밍은, 스위치 오프시의 잔류 전하의 영향을 고려하여 설정된다. 구체적인 길이는 콘덴서의 용량 등에 의존하나, 예를 들면 단계 S1402에 있어서의 ACC 오프제어로부터 1초후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후, 판정개시 타이밍의 세트를 행하는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잔류 전하를 고려하여 그 타이밍을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단계 S1405 종료후, 또는 ACC 오프 1회째의 제어 타이밍이 아닌 경우(단계 S1401, No), 원격시동장치(10)는, ACC 오프 1회째의 제어를 종료하고, 도 13에 단계 S1005로서 나타낸 ST 라인의 온제어로 이행한다.
도 18은 도 13에 단계 S1005로서 나타낸 ST 라인의 온제어에 있어서의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처리 플로우에서는 원격시동장치(10)는 먼저 ST 온의 제어 타이밍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501).
그 결과, ST 온의 제어 타이밍인 경우(단계 S1501, Yes), 원격시동장치(10)는 다음에 시동제어가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502).
그리고 시동제어가 허가되어 있는 경우(단계 S1502, Yes), 구동출력부(15)에 의하여 스타터 스위치(SWs)를 온하고, ST의 온출력을 실행한다(단계 S1503).
다음에 ST 라인의 오프제어(도 13에 있어서의 단계 S1006)의 제어 타이밍을 세트함(단계 S1504)과 동시에, ST 라인의 오픈판정의 판정개시 타이밍을 세트한다(단계 S1505).
단계 S1505 종료후, 또는 ST 온의 제어 타이밍이 아닌 경우(단계 S1501, No), 또는 시동제어가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1502, No), 원격시동장치(10)는 ST 온의 제어를 종료하고, 도 13에 단계 S1006로서 나타낸 ST 라인의 오프제어로 이행한다.
도 19는 도 13에 단계 S1006로서 나타낸 ST 라인의 오프제어에 있어서의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처리 플로우에서는 원격시동장치(10)는 먼저 ST 오프의 제어 타이밍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601).
그 결과, ST 오프의 제어 타이밍인 경우(단계 S1601, Yes), 구동출력부(15)에 의하여 스타터 스위치(SWs)를 오프하고, ST의 오프출력을 실행한다(단계 S1602).
다음에 ACC 온 2회째(도 13에 있어서의 단계 S1007)의 제어 타이밍을 세트(단계 S1603)함과 동시에 ST 라인의 용착판정의 판정개시 타이밍을 세트(단계 S1604)하여 ST 라인의 오픈판정을 금지한다(단계 S1605).
단계 S1605 종료후, 또는 ST 오프의 제어 타이밍이 아닌 경우(단계 S1601, No), 원격시동장치(10)는 ST 오프의 제어를 종료하고, 도 13에 단계 S1007로서 나타낸 ACC 온 2회째의 제어로 이행한다.
도 20은 도 13에 단계 S1007로서 나타낸 ACC 온 2회째의 제어에 있어서의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처리 플로우에서는 원격시동장치(10)는 먼저 ACC 온 2회째의 제어 타이밍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701).
그 결과, ACC 온 2회째의 제어 타이밍인 경우(단계 S1701, Yes), 원격시동장치(10)는 다음에 시동제어가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702).
그리고 시동제어가 허가되어 있는 경우(단계 S1702, Yes), 구동출력부(15)에 의하여 ACC 스위치(SWa)를 온하여 ACC의 온출력을 실행함(단계 S1703)과 동시에, ACC의 용착판정을 금지(단계 S1704)한다.
단계 S1704 종료후, 또는 ACC 온 2회째의 제어 타이밍이 아닌 경우(단계 S1701, No), 또는 시동제어가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1702, No), 원격시동장치(10)는 ACC 온 2회째의 제어를 종료한다.
계속해서 원격시동장치(10)에 의한 고장판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도 20을 사용하여 설명한 시동제어처리는, 송신기(28)로부터 원격시동 지시를 수신한 경우에 실행하는 처리이나, 서브 릴레이, ACC, IG, ST의 고장판정은 각각 메인 루틴내에서 정기적으로 실행한다.
도 21은 서브 릴레이(RL1, RL2)의 고장판정에 있어서의 원격시동장치(10)의 처리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브 릴레 이의 고장판정에 있어서는 먼저 서브 릴레이(RL1)의 출력 도입(단계 S1801) 및 서브 릴레이(RL2)의 출력 도입(단계 S1802)을 실행한다.
다음에 원격시동장치(10)는 서브 릴레이(RL1, RL2)의 용착판정이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803). 그 결과, 서브 릴레이(RL1, RL2)의 용착판정이 허가되어 있지 않으면(단계 S1803, No), 그대로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서브 릴레이(RL1, RL2)의 용착판정이 허가되어 있으면(단계 S1803, Yes), 원격시동장치(10)는 서브 릴레이(RL1)의 용착판정을 행한다(단계 S1804). 또한 서브 릴레이(RL1)가 용착하고 있지 않으면(단계 S1804, No), 다음에 서브 릴레이(RL2)의 용착판정을 행한다(단계 S1805).
그리고 서브 릴레이(RL2)가 용착하고 있지 않으면(단계 S1805, No), 그대로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서브 릴레이(RL1)가 용착하고 있는 경우(단계 S1804, Yes), 또는 서브 릴레이(RL2)가 용착하고 있는 경우(단계 S1805, Yes)에는 원격시동장치(10)는 시동제어를 금지하고(단계 S1806), 처리를 종료한다.
여기서 시동제어의 금지는, 소정의 플래그를 세움으로써 설정하고, 시동제어가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경우에는 이 플래그를 참조하면 좋다. 또 시동제어금지에 맞추어 서브 릴레이(RL1)를 오프로 하는 제어를 행하여도 좋다. 이후 시동제어의 금지를 행하는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소정의 플래그를 세우는 것으로 하고, 또 서브 릴레이(RL1)의 오프제어를 행하여도 좋은 것으로 한다.
계속해서 IG의 고장판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IG 라인의 고장판정에 있어서의 원격시동장치(10)의 처리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IG의 고장판정에 있어서는, 먼저 IG 라인의 출력도입(단계 S1901)을 실행한다.
다음에 원격시동장치(10)는 IG 용착판정이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902). 그리고 IG 용착판정이 허가되어 있으면(단계 S1902, Yes), IG 라인의 용착판정을 행한다(단계 S1903). 그 결과, IG 라인이 용착하고 있으면(단계 S1903, Yes), 시동제어를 금지한다(단계 S1904).
단계 S1904에 있어서의 시동제어금지후, 또는 IG 용착판정이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1902, No), 또는 IG 라인이 용착하고 있지 않은 경우(단계 S1903, No),다음에 원격시동장치(10)는, IG 오픈판정의 개시 타이밍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S1905).
그 결과, IG 오픈판정의 개시 타이밍이면(단계 S1905, Yes), 원격시동장치(10)는 IG의 오픈판정을 허가한다(단계 S 1906).
단계 S1906의 뒤 또는 IG 오픈판정의 개시 타이밍이 아닌 경우(단계 S1905, No), 원격시동장치(10)는 IG 오픈판정이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907).
그리고, IG 오픈판정 허가되어 있으면(단계 S1907, Yes), 원격시동장치(10)는 IG 라인의 오픈판정을 행한다(단계 S1908). 그 결과, IG 라인이 오픈 고장이면(단계 S1908, Yes), 시동제어를 금지하고(단계 S1909)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IG 오픈판정이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1907, No), 또 IG 라인 이 오픈 고장이 아닌 경우(단계 S1908, No), 원격시동장치(10)는 그대로 IG 고장판정을 종료한다.
계속해서 ACC의 고장판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3은 ACC 라인의 고장판정에 있어서의 원격시동장치(10)의 처리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CC의 고장판정에 있어서는 먼저 ACC 라인의 출력도입(단계 S2001)을 실행한다.
다음에 원격시동장치(10)는 ACC 용착판정의 개시 타이밍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S2002), 그 결과 ACC 용착판정의 개시 타이밍이면(단계 S2002, Yes), ACC의 용착판정을 허가한다(단계 S2003).
단계 S2003의 뒤, 또는 ACC 용착판정의 개시 타이밍이 아닌 경우(단계 S2002, No), 원격시동장치(10)는 ACC 용착판정이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004).
그리고, ACC 용착판정이 허가되고 있으면(단계 S2004, Yes), 원격시동장치(10)는 ACC 라인의 용착판정을 행한다(단계 S2005). 그 결과, ACC 라인이 용착하고 있으면(단계 S2005, Yes), 시동제어를 금지한다(단계 S2006).
단계 S2006에 있어서의 시동제어금지후, 또는 ACC 용착판정이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2004, No), 또는 ACC 라인이 용착하고 있지 않은 경우(단계 S2005, No),다음에 원격시동장치(10)는, ACC 오픈판정의 개시 타이밍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007).
그 결과, ACC 오픈판정의 개시 타이밍이면(단계 S2007, Yes), 원격시동장치 (10)는 ACC의 오픈판정을 허가한다(단계 S2008).
단계 S2008의 뒤, 또는 ACC 오픈 판정의 개시 타이밍이 아닌 경우(단계 S2007, No), 원격시동장치(10)는, ACC 오픈판정이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009).
그리고, ACC 오픈판정이 허가되어 있으면(단계 S2009, Yes), 원격시동장치(10)는 ACC 라인의 오픈판정을 행한다(단계 S2010). 그 결과, ACC 라인이 오픈고장이면(단계 S2010, Yes), 시동제어를 금지하고(단계 S2011)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ACC 오픈판정이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2009, No), 또는 ACC 라인이 오픈 고장이 아닌 경우(단계 S2010, No), 원격시동장치(10)는 그대로 ACC 고장판정을 종료한다.
계속해서 ST의 고장판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4는 ST 라인의 고장판정에 있어서의 원격시동장치(10)의 처리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ST의 고장판정에 있어서는, 먼저 ST 라인의 출력도입(단계 S2101)을 실행한다.
다음에 원격시동장치(10)는 ST 용착판정의 개시 타이밍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S2102), 그 결과 ST 용착판정의 개시 타이밍이면(단계 S2102, Yes), ST의 용착판정을 허가한다(단계 S2103).
단계 S2103의 뒤, 또는 ST 용착판정의 개시 타이밍이 아닌 경우(단계 S2102, No), 원격시동장치(10)는 ST 용착판정이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104).
그리고 ST 용착판정이 허가되어 있으면(단계 S2104, Yes), 원격시동장치(10)는 ST 라인의 용착판정을 행한다(단계 S2105). 그 결과, ST 라인이 용착하고 있으면(단계 S2105, Yes), 서브 릴레이(RL2)를 오프함과(단계 S2106) 동시에, 시동제어를 금지한다(단계 S2107).
단계 S2107에 있어서의 시동제어금지후, 또는 ST 용착판정이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2104, No), 또는 ST 라인이 용착하고 있지 않은 경우(단계 S2105, No), 다음에 원격시동장치(10)는 ST 오픈판정의 개시 타이밍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S2108), 그 결과 ST 오픈판정의 개시 타이밍이면(단계 S2108, Yes), ST의 오픈판정을 허가한다(단계 S2109).
단계 S2109의 뒤, 또는 ST 오픈판정의 개시 타이밍이 아닌 경우(단계 S2108, No), 원격시동장치(10)는, ST 오픈판정이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110).
그리고 ST 오픈판정이 허가되어 있으면(단계 S2110, Yes), 원격시동장치(10)는 ST 라인의 오픈판정을 행한다(단계 S2111). 그 결과, ST 라인이 오픈고장(단계 S2111, Yes)이면, 서브 릴레이(RL2)를 오프함(단계 S2112)과 동시에, 시동제어를 금지(단계 S2113)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ST 오픈판정이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2110, No), 또는 ST 라인이 오픈고장이 아닌 경우(단계 S2111, No), 원격시동장치(10)는 그대로 ST 고장판정을 종료한다.
이 ST 고장판정에 있어서, 도면 중에 있어서 음영을 주어 나타낸 바와 같이 ST에 용착이 발생하고 있는 (단계 S2105, Yes)경우에 서브 릴레이(RL2)를 오프로 함으로써(단계 S2106), 스타터 스위치(SWs)와 액세서리 스위치(SWa)가 동시에 온이 되는 상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계속해서 「ST 용착시, 서브 릴레이(RL2) 오프후에 ACC 온」을 채용하는 경우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도 14 ~ 도 24를 사용하여 설명한 「ACC 온 후, ST 용착시에 서브 릴레이(RL2) 오프」의 경우에 비하여, ST 오프처리와 ST 고장판정처리가 다르고, 다른 처리에 대해서는 동일하기 때문에, 이 2개의 처리에 대해서만 설명을 행한다.
도 25는「ST 용착시, 서브 릴레이(RL2) 오프후에 ACC 온」을 채용하는 경우의 ST 라인의 오프제어(도 13의 단계 S1006)의 상세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처리 플로우에서는 원격시동장치(10)는 먼저 ST 오프의 제어 타이밍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201).
그 결과 ST 오프의 제어 타이밍인 경우(단계 S2201, Yes), 구동출력부(15)에 의하여 스타터 스위치(SWs)를 오프하고, ST의 오프출력을 실행한다(단계 S2202).
다음에 ACC 온 2회째의 제어 타이밍을 세트하지 않고, ST 라인의 용착판정의 판정개시 타이밍의 세트(단계 S2203)를 실행하고, ST 라인의 오픈판정을 금지한다(단계 S2204). 또한 ST 오프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세트한다(단계 S2205).
그리고 단계 S2205 종료후, 또는 ST 오프의 제어 타이밍이 아닌 경우(단계 S2201, No)에 ST 오프의 제어를 종료하고, 도 13에 단계 S1007로서 나타낸 ACC 온 2회째의 제어로 이행한다.
다음에 「ST 용착시, 서브 릴레이(RL2) 오프후에 ACC 온」을 채용하는 경우의 ST 고장판정처리를 도 26의 플로우차트에 나타낸다. 상기 도면에 나타내는 처리에서는 먼저 ST 라인의 출력도입(단계 S2301)을 실행한다.
다음에 원격시동장치(10)는, ST 용착판정의 개시 타이밍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S2302), 그 결과, ST 용착판정의 개시 타이밍이면(단계 S2302, Yes), ST의 용착판정을 허가한다(단계 S2303).
단계 S2303의 뒤, 또는 ST 용착판정의 개시 타이밍이 아닌 경우(단계 S2302, No), 원격시동장치(10)는 ST 용착판정이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304).
그리고 ST 용착판정이 허가되어 있으면(단계 S2304, Yes), 원격시동장치(10)는 ST 라인의 용착판정을 행한다(단계 S2305). 그 결과, ST 라인이 용착하고 있으면(단계 S2305, Yes) 서브 릴레이(RL2)를 오프함(단계 S2306)과 동시에, 시동제어를 금지한다(단계 S2307).
단계 S2307에 있어서의 시동제어금지후, 또는 ST 라인이 용착하고 있지 않은 경우(단계 S2305, No), 다음에 시동제어장치(10)는 ST 오프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308).
그 결과, ST 오프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으면(단계 S2308, Yes), ACC 온 2회째의 제어 타이밍을 설정하고(단계 S2309), ST 오프 플래그를 리세트한다(단계 S2310).
단계 S2310의 종료후, 또는 ST 오프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2308, No), 또는 ST 용착판정이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2304, No), 원격시동장치(10)는 도 24에 나타낸 단계 S2108로 이행한다.
계속해서 「ACC 용착시에 ST 오프」를 채용하는 경우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도 14∼도 24를 사용하여 설명한 「ACC 온의 뒤, ST 용착시에 서브 릴레이(RL2) 오프」의 경우에 비하여 ST 온처리와 ACC 고장판정처리가 다르고, 다른 처리에 대해서는 동일하기 때문에, 이 두개의 처리에 대해서만 설명을 행한다.
도 27은 「ACC 용착시에 ST 오프」를 채용하는 경우의 ST 라인의 온제어(도 13의 단계 S1005)의 상세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처리 플로우에서는 원격시동장치(10)는 먼저 ST 온의 제어 타이밍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401).
그 결과, ST 온의 제어 타이밍인 경우(단계 S2401, Yes), 원격시동장치(10)는 다음에 시동제어가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402).
그리고 시동제어가 허가되어 있는 경우(단계 S2402, Yes), 구동출력부(15)에 의하여 스타터 스위치(SWs)를 온하고, ST의 온출력을 실행한다(단계 S2403).
다음에 ST 라인의 오프제어(도 13에 있어서의 단계 S1006)의 제어타이밍을 세트함과(단계 S2404) 동시에 ST 라인의 오픈판정의 판정개시 타이밍을 세트한다(단계 S2405). 그후 시동제어장치(10)는 ST 온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세트한다(단계 S2406).
단계 S2406 종료후, 또는 ST 온의 제어 타이밍이 아닌 경우(단계 S2401, No), 또는 시동제어가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2402, No), 원격시동장치 (10)는 ST 온의 제어를 종료한다.
다음에 「ACC 용착시에 ST 오프」를 채용하는 경우의 ACC 고장판정처리를 도 28의 플로우차트에 나타낸다. 상기 도면에 나타내는 처리에서는, 먼저 ACC 라인의 출력도입(단계 S2501)을 실행한다.
다음에 원격시동장치(10)는, ACC 용착판정의 개시 타이밍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S2502), 그 결과 ACC 용착판정의 개시 타이밍이면(단계 S2502, Yes), ACC의 용착판정을 허가한다(단계 S2503).
단계 S2503의 뒤, 또는 ACC 용착판정의 개시 타이밍이 아닌 경우(단계 S2502, No), 원격시동장치(10)는 ACC 용착판정이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504).
그리고 ACC 용착판정이 허가되어 있으면(단계 S2504, Yes), 원격시동장치(10)는 ACC 라인의 용착판정을 행한다(단계 S2505). 그 결과 ACC 라인이 용착하고 있으면(단계 S2505, Yes) 시동제어를 금지한다(단계 S2506).
단계 S2506에 있어서의 시동제어금지후, 시동제어장치(10)는, 상기 도면에 음영을 주어 나타내는 바와 같이 ST 온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507). 그 결과, ST 온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으면(단계 S2507, Yes), ST 오프제어의 타이밍을 재세트한 후(단계 S2508), ST 온플래그를 리세트한다(단계 S2509). 여기서, ST 오프제어의 타이밍은, 스타터 스위치(SWs)를 오프로 할 수 있는 가장 빠른 타이밍으로 세트한다.
단계 S2509에 있어서의 ST 온플래그의 리세트후, 또는 ST 온 플래그가 세트 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2507, No), ACC 용착판정이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2504, No), 또는 ACC 라인이 용착하고 있지 않은 경우(단계 S2505, No), 원격시동장치(10)는 도 23에 나타낸 단계 S2007로 이행한다.
계속해서 「ACC 용착시에는 ST 온을 억지」를 채용하는 경우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도 14∼도 24를 사용하여 설명한 「ACC 온 다음에, ST 용착시에 서브 릴레이(RL2) 오프」의 경우에 비하여, ACC 오프 1회째의 처리와 ACC 고장판정처리가 다르고, 다른 처리에 대해서는 동일하기 때문에, 이 2개의 처리에 대해서만 설명을 행한다.
도 29는 「ACC 용착시에는 ST 온을 억지」를 채용하는 경우의 ACC 오프 1회째의 제어(도 13의 단계 S1004)의 상세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처리 플로우에서는 원격시동장치(10)는 먼저 ACC 오프 1회째의 제어 타이밍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601).
그 결과, ACC 오프 1회째의 제어 타이밍인 경우(단계 S2601, Yes), 구동출력부(15)에 의하여 ACC 스위치(SWa)를 오프하고, ACC의 오프출력을 실행한다(단계 S2602).
그후 ST 라인의 온제어의 타이밍 세트가 아니라, ACC 라인의 오픈판정의 금지를 행한다(단계 S2603). 그리고 ACC 용착판정의 판정개시 타이밍을 세트(단계 S2604)하고, 또한 ACC 오프 1회째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세트한다(단계 S2605).
단계 S2605 종료후, 또는 ACC 오프 1회째의 제어 타이밍이 아닌 경우(단계 S2601, No), 원격시동장치(10)는 ACC 오프 1회째의 제어를 종료한다.
다음에 「ACC 용착시에는 ST 온을 억지」를 채용하는 경우의 ACC 고장판정처리를 도 30의 플로우차트에 나타낸다. 상기 도면에 나타내는 처리에서는 먼저, ACC 라인의 출력도입(단계 S2701)을 실행한다.
다음에 원격시동장치(10)는, ACC 용착판정의 개시 타이밍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S2702), 그 결과 ACC 용착판정의 개시 타이밍이면(단계 S2702, Yes), ACC의 용착판정을 허가한다(단계 S2703).
단계 S2703의 뒤, 또는 ACC 용착판정의 개시 타이밍이 아닌 경우(단계 S2702, No), 원격시동장치(10)는 ACC 용착판정이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704). ACC 용착판정이 허가되어 있으면(단계 S2704, Yes), 원격시동장치(10)는 ACC 라인의 용착판정을 행한다(단계 S2705).
그 결과, ACC 라인이 용착하고 있지 않으면(단계 S2705, No), 시동제어장치(10)는 ACC 오프 1회째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706). 그리고 ACC 오프 1회째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으면(단계 S2706, Yes), 시동제어장치(10)는 ST 온의 제어 타이밍을 세트하고(단계 S2707), ACC 오프 플래그를 리세트한다(단계 S2708).
한편, ACC 라인이 용착하고 있으면(단계 S2705, Yes), 시동제어를 금지한 후(단계 S2709), ACC 오프 1회째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710). 그리고 ACC 오프 1회째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으면(단계 S2710, Yes), 시동제어장치(10)는 ACC 온 2회째의 제어 타이밍을 세트하고(단계 S2711), ACC 오프 플래그를 리세트한다(단계 S2712).
ACC 오프 플래그의 리세트(단계 S2708, 또는 단계 S2712)후, 또는 ACC 용착판정이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2704, No), 또는 ACC 오프 1회째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2706, No, 또는 단계 S2710, No), 원격시동장치(10)는 도 23에 나타낸 단계 S2007로 이행한다.
계속해서 액세서리 스위치(SWa)의 용착판정까지의 대기시간(ACC 용착판정 딜레이시간)의 설정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1에 나타낸 플로우차트는 ACC 용착판정 딜레이시간의 설정처리의 일례이고, 시동제어장치(10)가 설정 변경 모드인 경우에 반복하여 실행된다.
먼저, 원격시동장치(10)는, 송신기(28)의 제 1 키가 조작되었는지의(오프로부터 온으로 변화되었다)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801). 그리고 제 1 키가 조작되어 있으면(단계 S2801, Yes), ACC 용착판정 딜레이시간(Ta)을 1초 증가하고(단계 S2802),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제 1 키가 조작되어 있지 않으면(단계 S2801, No), 원격시동장치(10)는 송신기(28)의 제 2 키가 조작되었는지의(오프로부터 온으로 변화되었다)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803). 그리고 제 2 키가 조작되어 있으면(단계 S2803, Yes), ACC 용착판정 딜레이시간(Ta)을 1초 감소하여(단계 S2804) 처리를 종료하고, 제 2 키가 조작되어 있지 않으면(단계 S2803, No) 그대로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소정의 조작[도 31의 처리 플로우에서는 송신기(28)의 제 1 키와 제 2 키의 조작]에 대응하여 ACC 용착판정 딜레이시간을 증감함으로써 사용자는 적절한 딜레이시간을 지정할 수 있다.
계속해서 ACC 용착판정과 ST 온제어의 전후관계의 전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2에 나타낸 플로우차트는, ACC 용착판정과 ST 온제어의 전후관계의 설정처리의 일례이고, 시동제어장치(10)가 설정 변경 모드인 경우에 반복하여 실행된다.
먼저, 원격시동장치(10)는 도어 개폐 스위치(23)의 출력에 의거하여 10초간의 도어의 개폐 횟수를 계수한다(단계 S2901). 그 결과, 도어의 개폐 횟수가 5회 이상 이면, ST 온제어 모드 플래그를 1로 세트한다(단계 S2902). 그리고 도어의 개폐 횟수가 4회 이하이면, ST 온제어 모드 플래그를 0으로 세트한다(단계 S2903).
또한 ST 온제어 모드 플래그는, 값이「1」인 경우에「ACC 용착판정 전에 ST 온제어를 실행하는」것을 나타내고, 값이「0」인 경우에「ACC 용착판정 후에 ST 온제어를 실행하는」것을 나타내는 플래그이고, 초기값은 「1」이다.
이와 같이 소정의 조작(도 32의 처리 플로우에서는 10초간의 도어 개폐 횟수)에 의하여 사용자는 ACC 용착판정과 ST 온제어의 전후관계를 임의로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ST 온제어 모드 플래그를 사용하는 경우의 제어선택에 대하여 도 33∼도 3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3은 ST 온제어 모드 플래그를 사용하는 경우의 ACC 오프 1회째의 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내는 처리에서는 원격시동장치(10)는 먼저 ST 온제어 모드 플래그를 참조한다(단계 S3001). 그리고 ST 온제어 모드 플래그가 「1」이면 단계 S1401의 처리로 이행하고, ST 온제어 모드 플래그가 「0」이면 단계 S2601의 처리로 이행한다.
마찬가지로 ST 온제어 모드 플래그를 사용하는 경우의 ST 온제어에서는 도 34의 플로우차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격시동장치(10)는 먼저 ST 온제어 모드 플래그를 참조한다(단계 S3002). 그리고 ST 온제어 모드 플래그가 「1」이면 단계 S2401의 처리로 이행하고, ST 온제어 모드 플래그가 「0」이면 단계 S1501의 처리로 이행한다.
또, ST 온제어 모드 플래그를 사용하는 경우의 ACC 고장판정에서는 도 35의 플로우차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격시동장치(10)는 먼저 ST 온제어 모드 플래그를 참조한다(단계 S3003). 그리고 ST 온제어 모드 플래그가 「1」이면 단계 S2501의 처리로 이행하고, ST 온제어 모드 플래그가 「0」이면 단계 S2701의 처리로 이행한다.
그런데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ACC 용착판정과 ST 온제어의 전후관계는, ACC 용착판정 딜레이시간에 의거하여 자동적으로 전환할 수도 있다. ACC 용착판정과 ST 온제어의 전후관계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경우의 처리예를 도 36∼도 38에 나타낸다.
도 36은 ACC 용착판정과 ST 온제어의 전후관계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경우의 ACC 오프 1회째의 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내는 처리에서는 원격시동장치(10)는 먼저 ACC 용착판정 딜레이시간(Ta)과 소정의 문턱값 (A)을 비교한다(단계 S3101). 그리고 「Ta > A」인 경우에는 단계 S1401의 처리로 이행하고, 「Ta ≤ A」이면 단계 S2601의 처리로 이행한다.
마찬가지로 ACC 용착판정과 ST 온제어의 전후관계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경우 의 ST 온제어에서는 도 37의 플로우차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격시동장치(10)는 먼저 ACC 용착판정 딜레이시간(Ta)과 소정의 문턱값(A)을 비교한다(단계 S3102). 그리고 「Ta > A」인 경우에는 단계 S2401의 처리로 이행하고, 「Ta ≤ A」이면 단계 S1501의 처리로 이행한다.
또, ACC 용착판정과 ST 온제어의 전후관계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경우의 ACC 고장판정에서는 도 38의 플로우차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격시동장치(10)는 먼저 ACC 용착판정 딜레이시간(Ta)와 소정의 문턱값(A)을 비교한다(단계 S3103). 그리고 「Ta > A」인 경우에는 단계 S2501의 처리로 이행하고, 「Ta ≤ A」이면 단계 S2701의 처리로 이행한다.
상기하여 온 바와 같이 본 실시예 1에 관한 원격시동장치에서는 액세서리 스위치(SWa) 및 이그니션 스위치(SWi)를 서브 릴레이(RL1)에 접속함과 동시에 스타터 스위치(SWs)를 서브 릴레이(RL2)에 접속하여 스타터 스위치(SWs)에 용착이 발생한 경우에 서브 릴레이(RL2)를 오프로 함으로써 액세서리 스위치(SWa)와 스타터 스위치(SWs)가 동시에 온상태가 되는 시간을 짧게, 또는 그 상태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액세서리 스위치(SWa)와 이그니션 스위치(SWi)에 대해서는 스타터 스위치(SWs)에 용착이 발생한 경우이더라도 통상의 제어를 계속할 수 있다. 또한 스타터 모터(32)의 과회전(엔진시동후에 스타터 모터의 회전이 계속하고 있는 상태)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액세서리 스위치(SWa)에 용착이 발생한 경우에는 스타터 스위치(SWs)를 오프 제어하는, 또는 스타터 스위치(SWs)의 온제어를 행하지 않음으로써 액세서리 스위치(SWa)와 스타터 스위치(SWs)가 동시에 온상태가 되는 시간을 짧게, 또는 그 상태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액세서리 스위치(SWa)의 용착판정까지의 시간을 설정 가능하게 함으로써 용착판정에 있어서의 오검출을 방지함과 동시에, 스타터 스위치(SWs)의 온제어(엔진의 시동)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액세서리 스위치(SWa)의 용착판정과 스타터 스위치(SWs)의 온제어와의 전후관계를 임의로, 또는 용착판정까지의 대기시간에 의거하여 자동적으로 변경 가능하게 함으로써 차량 탑재 전기기기의 접속상태에 대응한 시동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에서는 설명을 간결하고 분명하게 하기 위하여, 스타터 스위치 용착시의 처리와 액세서리 스위치 용착시의 처리를 각각 개별로 설명하였으나, 스타터 스위치 용착시의 처리와 액세서리 스위치 용착시의 처리는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은 물론이다.
또 본 실시예 1에서는 송신기(28)로부터의 원격시동 지시에 의거하여 시동제어를 행하는 원격시동장치를 예로 설명을 행하였으나, 본 발명의 이용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설정된 스케줄에 의거하는 자동시동이나, 이그니션 키를 사용하지 않는 차량의 시동 등, 릴레이 스위치를 사용한 차량의 시동제어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2)
먼저, 도 39a 및 도 39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의 범용성 향상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 원격제어장치는 차량(1)에 탑재되고, 액세서리(ACC) 라인, 이그니션(IG) 라인, 스타터 1(ST1) 라인 및 스타터 2(ST2) 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이그니션계 라인을 가진다.
액세서리 라인은 차량 탑재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경로이고, 액세서리 스위치(SWa)에 의하여 제어된다. 이그니션 라인은 점화제어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경로이고, 이그니션 스위치(SWi)에 의하여 제어된다.
스타터 2 라인은, 엔진의 시동장치(셀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경로이고, 스타터 스위치(SWs2)에 의하여 제어된다. 또한 스타터 1 라인은 엔진의 시동제어에 관한 정보를 다른장치의 제어용으로 공급하는 경로이고, 스타터 스위치(SWs1)에 의하여 제어된다.
또 서브 릴레이(RL1)는 액세서리 스위치(SWa), 이그니션 스위치(SWi)에의 통전을 차단하는 페일 세이프기구이고, 서브 릴레이(RL2)는 스타터 스위치(SWs1) 및 스타터 스위치(SWs2)에의 통전을 차단하는 페일 세이프기구이다.
그리고 구동출력부(15)는 배터리(22)의 전압을 사용하여 액세서리 스위치(SWa), 이그니션 스위치(SWi), 스타터 스위치(SWs1), 스타터 스위치(SWs2), 서브 릴레이(RL1), 서브 릴레이(RL2)의 온/오프제어를 실행하는 수단이다.
또한 각 스위치에 대하여 용착판정이나 오픈판정을 행하기 위하여 출력 모니터부(16)가 액세서리 스위치(SWa), 이그니션 스위치(SWi), 스타터 스위치(SWs1), 스타터 스위치(SWs2)로 이루어지는 이그니션계 스위치의 출력을 취득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출력 모니터부(16)는 액세서리 스위치(SWa)의 출력을 단자(16c)에서, 이그니션 스위치(SWi)의 출력을 단자(16d)에서, 스타터 스위치(SWs1)의 출력을 단자(16e)에서, 스타터 스위치(SWs2)의 출력을 단자(16g)에서 각각 취득한다.
스타터 1 라인과 스타터 2 라인의 양쪽을 사용하는 차량에 이 원격시동장치를 탑재하는 경우에는 스타터 스위치(SWs1)가 필요하고, 출력 모니터부(16)는 스타터 스위치(SWs1)의 출력을 단자(16e)에서 취득한다.
그러나 스타터 2 라인만을 사용하는(스타터 1 라인을 사용하지 않는다) 차량에 이 원격시동장치를 탑재하는 경우, 스타터 스위치(SWs1)는 불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스타터 스위치(SWs1)가 불필요할 때에는 스타터 스위치(SWs1)를 생략함으로써 비용의 절감을 실현한다.
또한 스타터 스위치(SWs1)를 생략하는 경우, 보조회로(18)를 거쳐 단자(16e)를 스타터 스위치(SWs2)에 접속한다. 그 때문에 단자(16e)로부터 스타터 스위치(SWs1)의 출력이 아니라 스타터 스위치(SWs2)의 출력, 즉 단자(16g)와 동일한 출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스타터 스위치(SWs1)를 삭제한 경우에는, 다른 스위치[여기서는 스타터 스위치(SWs2)]의 상태를 스타터 스위치(SWs1)의 상태로서 입력함으로써 스타터 스위치(SWs1)의 상태 판정을 가상적으로 실행 가능하게 하여, 에러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원격시동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예에 대 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0에 스타터 1 라인이 필요한 경우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상기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격시동장치(10)는 차량(1)에 탑재되고, 배터리(22), 도어 개폐 스위치(23), 도어록 스위치(24), 보닛 스위치(25), 안테나(29), 스타터 릴레이(31) 및 비상등(33)에 접속함과 동시에, 시프트 포지션(26) 및 엔진 회전수(27)의 데이터를 취득하고 있다.
또, 배터리(22)는 이그니션(IG) 키 스위치(21)에 다시 접속하고, 스타터 릴레이(31)는 스타터 모터(32)에 접속하고 있다.
IG 키 스위치(21)는, 운전자가 이그니션 키를 삽입하여 수동으로 조작함으로써 액세서리 라인, 이그니션 1 라인, 스타터 1 라인, 이그니션 2 라인, 스타터 2 라인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여기서는 스타터 라인에 더하여 이그니션 라인도 2계통 구비하는 경우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그니션 라인을 2계통 구비하고 있는 것은, 한쪽이 엔진제어에 관계하는 ECU에 신호를 입력시키기 위함이고, 다른쪽은 엔진제어 이외의 ECU(예를 들면 와이퍼나 도어 록을 제어하는 ECU)에 신호를 입력시키기 위함이다. 그것에 의하여 엔진제어 ECU 이외에 무엇인가의 트러블이 있어도 엔진제어 ECU에 문제가 없게 할 수 있다.
도어 개폐 스위치(23)는, 차량의 도어의 개폐상태에 대응하는 스위치이고, 도어록 스위치(24)는 차량의 도어의 잠금상태에 대응하는 스위치이다. 또 보닛 스위치(25)는 보닛의 개폐상태에 대응하는 스위치이다.
안테나(29)는 운전자가 소지하는 송신기(28)(예를 들면 리모트 키)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원격시동장치(10)에 출력한다. 또 스타터 릴레이(31)는, 스타터 2 라인에 접속되어, 엔진시동시에 스타터 모터(32)를 동작시키는 제어 스위치이다. 비상등(33)은 좌우의 방향지시등의 동시 점멸에 의하여 자차량의 거동에 관한 주변에의 경고를 행하는 것이나, 본 실시예 2에서는 원격시동의 제어결과에 대하여 운전자에게 통지하는 통지수단으로서 이용한다.
원격시동장치(10)는 주제어부(11), 수신처리부(12), 입력처리부(13), 전원공급부(14), 구동출력부(15), 출력 모니터부(16), 출력처리부(17), 서브 릴레이(RL1), 서브 릴레이(RL2), 이그니션계 스위치[액세서리(ACC) 스위치(SWa), 이그니션(IG) 스위치(SWi1, SWi2), 스타터(ST) 스위치(SWs2)] 및 외부 접속단자(19)를 가진다.
외부 접속단자(19)는 도 40에 있어서는 외부에 설치한 스타터 스위치(SWs1)에 접속하고 있다. 이와 같이 스타터 스위치(SWs1)를 외부에 설치하는 것은 스타터 스위치(SWs1)가 필요한 경우에만 설치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원격시동장치(10)는 액세서리 스위치(SWa), 이그니션 스위치(SWil, SWi2), 스타터 스위치(SWs1, SWs2)를 제어함으로서 IG 키 스위치(21)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수신처리부(12)는, 안테나(29)가 수신한 신호를 주제어부(11)에 출력한다. 또 입력처리부(13)는 도어 개폐 스위치(23), 도어록 스위치(24) 및 보닛 스위치(25)의 상태, 시프트 포지션(26) 및 엔진 회전수(27)를 주제어부(11)에 출력한다.
전원공급부(14)는 구동출력부(15)에 의한 액세서리 스위치(SWa), 이그니션 스위치(SWi1, SWi2), 스타터 스위치(SWs1, SWs2), 서브 릴레이(RL1), 서브 릴레이(RL2)의 온/오프제어에 필요한 전력을 배터리(22)로부터 취득하여 공급한다. 또 출력처리부(17)는 비상등(33)의 제어를 실행하는 수단이다.
출력 모니터부(16)는 서브 릴레이(RL1, RL2), 액세서리 스위치(SWa), 이그니션 스위치(SWi), 스타터 스위치(SWs)의 출력을 모니터하여 주제어부(11)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출력 모니터부(16)는 서브 릴레이(RL1)의 출력을 단자(16a)에서 서브 릴레이(RL2)의 출력을 단자(16b)에서 취득한다. 또 액세서리 스위치(SWa)의 출력을 단자(16c)에서, 이그니션 스위치(SWi1)의 출력을 단자(16d)에서, 스타터 스위치(SWs1)의 출력을 단자(16e)에서, 이그니션 스위치(SWi2)의 출력을 단자(16f)에서 스타터 스위치(SWs2)의 출력을 단자(16g)에서 각각 취득한다.
주제어부(11)는 원격시동장치(10)를 전체 제어하는 제어부이고, 수신처리부(12), 입력처리부(13), 출력 모니터(16)로부터의 신호입력에 의거하여 구동출력부(15) 및 출력처리부(17)에의 신호출력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주제어부(11)는 수신처리부(12)가 송신기(28)로부터 원격시동 지시를 수신한 경우에 액세서리 스위치(SWa), 이그니션 스위치(SWi1, SWi2), 스타터 스위치(SWs1, SWS2)를 제어하여 시동제어를 실행한다. 또한 입력처리부(13)로부터의 신호입력이 도어의 개방이나 록의 개방, 보닛의 개방 등을 나타내고 있을 때에는 시동제어를 행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시프트 포지션(26)이「주차」이외인 경우에도 시동제어는 행하지 않는다.
또, 엔진 회전수(27)는 스타터 스위치(SWs2)의 온제어후, 엔진이 시동하였는지의 여부의 판정에 사용한다. 또 「원격시동후, 난기종료시점에서 엔진을 끄는」제어를 행할 때에, 엔진의 난기가 종료하였는지의 여부의 판정에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에 스타터 1 라인이 불필요한 경우의 구성도를 도 41에 나타낸다. 도 40에 나타낸 구성에서는 외부단자(19)에 스타터 스위치(SWs1)를 접속하고 있었으나, 도 41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외부단자(19)를 보조회로(18)를 거쳐 스타터 2 라인에 접속하고 있다.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40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외부 접속단자(18)의 접속지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간이하게 구성의 전환이 가능하다. 또 스타터 1 라인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스타터 스위치(SWs1) 자체를 생략할 수 있어 비용의 절감을 행할 수 있다.
계속해서 각 스위치에 대한 제어출력과 각 스위치의 상태에 대하여 도 42 ∼도 4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스타터 스위치(SWs1)를 접속한 경우에 대하여, 도 4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도 42∼도 45에서는 IG1과 IG2의 신호가 동기하고 있지 않으나, 이것은 한쪽의 이그니션 라인으로 주변기기의 IG를 온 또는 오프시켜 동작시키고 나서, 다른쪽의 이그니션 라인으로 엔진계 ECU의 IG를 온 또는 오프시켜 확실하게 엔진계의 ECU와 주변기기를 협조 동작시키기 위함이다(주변 기기보다 확실하게 엔진계 ECU에 신호를 입력시키기 위해서).
시각 Tl100에 있어서 송신기(28)로부터 원격시동 지시(엔진 스타터 개시신호)를 수신하면, 주제어부(11)는 서브 릴레이(RL1)와 서브 릴레이(RL2)의 용착판정 을 실행하고, 용착하고 있지 않으면 서브 릴레이(RL1) 및 서브 릴레이(RL2)에 대하여 온제어를 행한다(시각 T1101).
다음에 액세서리 스위치(SWs), 이그니션 스위치(SWi1, SWi2), 스타터 스위치(SWs1, SWs2)의 용착판정을 실행하고, 시각 T1102에 액세서리 스위치(SWa)에 대한 온제어를 행한다. 또 액세서리 스위치(SWa)에 대한 온제어후, 소정시간 경과하고 나서 액세서리 스위치(SWa)가 온제어에 대응하여 정확하게 스위치가 온상태가 되었는지의 판정[액세서리 스위치(SWa)의 오픈판정]을 행한다. 이 소정시간은 액세서리 스위치(SWa)가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함에 따라 발생하는 채터링에 의한 오판정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마찬가지로 도 42에 있어서 각 제어출력이 오프로부터 온, 또는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한 후, 용착판정 또는 오픈판정이 개시되기까지의 딜레이시간은 이 스위치 변화에 의한 채터링을 고려한 것이다.
계속해서 시각 T1103에 이그니션 스위치(SWi1)에 대하여 온제어를 행함과 동시에 이그니션 스위치(SWi1)의 오픈판정을 행한다. 또한 시각 T1104에 이그니션 스위치(SWi2)에 대하여 온제어를 행함과 동시에, 이그니션 스위치(SWi2)의 오픈판정을 행한다.
그리고 시각 T1105에 액세서리 스위치(SWa)에 대한 오프제어를 실행하고, 소정시간후에 액세서리 스위치(SWa)의 용착판정을 행한다. 이때의 소정시간은 액세서리 스위치(SWa)가 오프가 된 후, 잔류 전하의 영향을 제거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간, 예를 들면 콘덴서의 방전에 요하는 시간을 고려한 것이다. 그후, 시각 T1106에 스타터 스위치(SWs2)에 대한 온제어를 실행하고, 스타터 스위치(SWs2)의 오픈판 정을 행한다. 또한 시각 Tll07에 스타터 스위치(SWs1)에 대한 온제어를 실행하고, 스타터 스위치(SWs1)의 오픈판정을 행한다.
그후 스타터 스위치(SWs2)의 온제어에 의햐여 엔진이 시동되기 때문에, 시각 T1108에 스타터 스위치(SWs1)를, 시각 T1109에 스타터 스위치(SWs2)를, 각각 오프제어하여, 각 스타터 스위치의 용착판정을 행한다. 또 시각 T1110에 액세서리 스위치(SWa)에 대한 온제어를 실행한다.
이후, 각 스위치에 대해서는 통상의 제어를 행한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는 송신기(28)로부터 원격시동 종료지시(엔진 스타터 종료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시각 T1111에 이그니션 스위치(SWi2)를, 시각 T1112에 이그니션 스위치(SWi1)를 각각 오프제어하고 있다. 또 시각 Tl113에 액세서리 스위치(SWa)에 대하여 오프제어하고, 시각 T1114에 있어서 서브 릴레이(RL1) 및 서브 릴레이(RL2)에 대하여 오프 제어하고 있다.
여기서 스타터 스위치(SWs2)에 대한 온제어(시각 Tl106)에 의하여 출력 모니터부(16)가 취득하는 스타터 스위치(SWs2)의 상태[단자(16g)에 입력되는 스위치의 상태]는「온상태」가 되고, 스타터 스위치(SWs2)에 대한 오프제어(시각 T1109)에 의하여 출력 모니터부(16)가 취득하는 스타터 스위치(SWs2)의 상태는「오프상태」가 된다. 즉, 스위치에 대한 제어상태와 스위치의 상태가 일치한다.
마찬가지로 스타터 스위치(SWs1)에 대한 온제어(시각 Tl107)에 의하여 출력 모니터부(16)가 취득하는 스타터 스위치(SWs1)의 상태[단자(16e)에 입력되는 스위치의 상태]는 「온상태」가 되고, 스타터 스위치(SWs1)에 대한 오프제어(시각 Tl108)에 의하여 출력 모니터부(16)가 취득하는 스타터 스위치(SWs2)의 상태는「오프상태」가 된다. 즉, 스위치에 대한 제어상태와 스위치의 상태가 일치한다.
여기서 스타터 스위치(SWs1)를 단순히 삭제한 경우, 각 스위치에 대한 제어출력과 각 스위치의 상태는 도 43과 같이 된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 각 스위치에 대한 제어는 도 42와 동일하다.
스타터 스위치(SWs1)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스타터 스위치(SWs1)에 대한 온제어(시각 T1107)를 행하였다 하여도 출력 모니터부(16)가 취득하는 스타터 스위치(SWs1)의 상태[단자(16e)에 입력되는 스위치의 상태]는「오프상태」 그대로이다. 그 때문에 주제어부(11)는 스타터 스위치(SWs1)에 오픈고장이 생겼다고 판정하게 된다.
그래서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접속단자(19)를 스타터 2 라인에 접속하면 각 스위치에 대한 제어출력과 각 스위치의 상태는 도 44와 같이 된다. 또한 상기 도면에 있어서도, 각 스위치에 대한 제어는 도 42와 동일하다.
외부 접속단자(19)를 스타터 2 라인에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스타터 스위치(SWs2)에 대한 온제어(시각 Tl106)에 의하여 출력 모니터부(16)가 취득하는 스타터 스위치(SWs2)의 상태[단자(16g)에 입력되는 스위치의 상태]에 더하여, 단자(16g)에 입력되는 스위치의 상태도「온상태」가 되고, 스타터 스위치(SWs2)에 대한 오프제어(시각 Tl109)에 의하여 [단자(16g)에 입력되는 스위치의 상태]에 더하여, 단자(16g)에 입력되는 스위치의 상태도 「오프상태」가 된다.
따라서 도 43과 같이 스타터 스위치(SWs1)에 오픈고장이 발생하였다라는 판 정이 행하여지는 일은 없다. 그런데 스타터 스위치(SWs1)를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한 후, 용착판정을 개시하기까지의 시간(시각 T1108으로부터 시각 T1109)과, 스타터 스위치(SWs2)를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한 후, 용착판정을 개시하기까지의 시간(시각 T 1109로부터 시각 Tl110)은, 모두 채터링을 방지할 목적을 위하여 동일한 길이로 설정된다. 그리고 스타터 스위치(SW1)의 오프제어가 스타터 스위치(SW2)의 오프제어에 비하여 빠르기 때문에, 스타터 스위치(SWs1)에 대한 용착판정의 타이밍이 스타터 스위치(SWs2)에 대한 용착판정의 타이밍에 비하여 빨라지고, 그 결과 스타터 스위치(SWs1)에 용착고장이 발생하였다라는 판정이 나간다.
그래서 원격시동장치(10)에서는 스타터 스위치(SWs1)의 판정 타이밍을 다른 이그니션계 스위치[구체적으로는 스타터 스위치(SWs1)의 모니터용 단자에 접속된 스위치]의 판정 타이밍에 맞추도록 미리 설정하고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타터 스위치(SWs2)를 단자(16e)에 접속하는 경우에는 주제어부(11)는 오픈판정이나 용착판정을 행하는 판정제어부(11)에 의하여 스타터 스위치(SWs1)에 대한 판정의 타이밍을 변경하여 스타터 스위치(SWs2)의 판정 타이밍에 맞춘다.
그 결과, 각 스위치에 대한 제어출력과 각 스위치의 상태는 도 45와 같이 된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도 각 스위치에 대한 제어는 도 42와 동일하나, 스타터 스위치(SWs1)에 대한 판정의 타이밍을 스타터 스위치(SWs2)의 판정 타이밍에 맞춤으로써 오픈고장의 판정도 용착고장의 판정도 회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판정의 타이밍을 변경함으로써, 제어출력이 동일하였다 하여도 차 량측의 구성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어, 간단하고 용이하게 범용성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판정 타이밍을 변경하는 경우, 접속지의 스위치[여기서는 스타터 스위치(SWs2)]에 자동적으로 맞추도록 하여도 좋고, 접속지의 스위치와 원래의 스위치[여기서는 스타터 스위치(SWs1)]중, 판정 타이밍이 느린 쪽에 맞추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에 원격시동장치(10)의 처리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6은 원격시동장치(10)가 송신기(28)로부터 원격시동 지시를 수신한 경우에 실행하는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고, 상기 도면에 나타낸 처리 플로우는, 원격시동장치(10)에 의한 시동제어 중에 반복하여 실행된다.
도 4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격시동장치(10)는 원격시동 지시를 수신한 경우에, 먼저 서브 릴레이(RL1 및 RL2)를 온으로 한다(단계 S4101). 계속해서 ACC 라인[액세서리 스위치(SWa)]의 1회째의 온제어(단계 S4102), IG1 라인[이그니션 스위치(SWi1)]의 온제어(단계 S4103), IG2 라인[이그니션 스위치(SWi2)]의 온제어(단계 S4104)를 행한다.
그리고 ACC 라인의 1회째의 오프제어(단계 S4105)를 행한 후, ST2 라인[스타터 스위치(SWs2)]의 온제어(단계 S4106) 및 ST1 라인[스타터 스위치(SWs1)]의 온처리(단계 S4107)를 행한다.
또한 ST1 라인[스타터 스위치(SWs1)]의 오프제어(단계 S4108) 및 ST2 라인[스타터 스위치(SWS2)]의 오프처리(단계 S4109)를 행한 후, ACC 라인의 2회째의 온 제어(단계 S4110)를 행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계속해서 도 46에 나타낸 각 처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7은 도 46에 단계 S4101에서 나타낸 서브 릴레이(RL) 온제어에 있어서의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처리 플로우에서는 원격시동장치(10)는 먼저 시동제어가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4201).
그 결과, 시동제어가 허가되어 있는 경우(단계 S4201, Yes), 서브 릴레이(RL1) 및 서브 릴레이(RL2)가 모두 온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4202).
서브 릴레이(RL1, RL2)가 온상태가 아닌 경우(단계 S4202, No), 구동출력부(15)에 의하여 서브 릴레이(RL1)의 온제어(단계 S4203) 및 서브 릴레이(RL2)의 온제어(단계 S4204)를 실행한다.
그리고 ACC 온 1회째(도 46에 있어서의 단계 S4102)의 제어 타이밍을 세트함과(단계 S4205) 동시에, 서브 릴레이(RL1, RL2)의 용착판정을 금지(단계 S4206)한다.
또, ACC 라인[액세서리 스위치(SWa)]의 용착판정을 허가하고(단계 S4207), IG1 라인[이그니션 스위치(SWi1)] 및 IG2 라인[이그니션 스위치(SWi2)]의 용착판정을 허가하고(단계 S4208), ST1 라인[스타터 스위치(SWs1)] 및 ST2 라인[스타터 스위치(SWs2)]의 용착판정을 허가한다(단계 S4209).
이 단계 S4209 종료후, 또는 시동제어가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4201, No), 또는 서브 릴레이(RL1, RL2)가 온상태인 경우(단계 S4202, Yes), 원격시동장치(10)는 서브 릴레이(RL) 온처리를 종료하고, 도 46에 단계 S4102에서 나타 낸 ACC 온 1회째의 제어로 이행한다.
도 48은 도 46에 단계 S4102에서 나타낸 ACC 온 1회째의 제어에 있어서의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처리 플로우에서는 원격시동장치(10)는 먼저 ACC 온 1회째의 제어 타이밍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4301).
그 결과, ACC 온 1회째의 제어 타이밍인 경우(단계 S4301, Yes), 원격시동장치(10)는 다음에 시동제어가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4302).
그리고 시동제어가 허가되어 있는 경우(단계 S4302, Yes), 구동출력부(15)에 의하여 ACC 스위치(SWa)를 온하고, ACC의 온출력을 실행한다(단계 S4303).
다음에 IG1 라인의 온제어(도 46에 있어서의 단계 S4103)의 제어 타이밍을 세트함(단계 S4304)과 동시에, ACC의 용착판정을 금지(단계 S4305)한다. 마찬가지로 IG1 라인 및 IG2 라인의 용착판정을 금지하고(단계 S4306), ST1 라인 및 ST2 라인의 용착판정을 금지한다(단계 S4307).
그후, 원격시동장치(10)는 ACC 오픈판정의 판정개시 타이밍을 세트한다(단계 S4308). 이 판정의 개시 타이밍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스위치변화에 의한 채터링을 고려하여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단계 S4303에 있어서의 ACC 온제어로부터 50밀리초 ∼ 100밀리초후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후, 판정개시 타이밍의 세트를 행하는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채터링을 고려하여 그 타이밍을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단계 S4308 종료후, 또는 ACC 온 1회째의 제어 타이밍이 아닌 경우(단계 S4301, No), 또는 시동제어가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4302, No), 원격시동 장치(10)는 ACC 온 1회째의 제어를 종료하고, 도 46에 단계 S4103로서 나타낸 IG1 라인의 온제어로 이행한다.
도 49는 도 46에 단계 S4103으로서 나타낸 IG1 라인의 온제어에 있어서의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처리 플로우에서는 원격시동장치(10)는 먼저 IG1 온의 제어 타이밍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4401).
그 결과, IG1 온의 제어 타이밍인 경우(단계 S4401, Yes), 원격시동장치(10)는 다음에 시동제어가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4402).
그리고 시동제어가 허가되어 있는 경우(단계 S4402, Yes), 구동출력부(15)에 의하여 이그니션 스위치(SWi1)를 온하고, IG1의 온출력을 실행한다(단계 S4403).
다음에 IG2 라인의 온제어(도 46에 있어서의 단계 S4104)의 제어 타이밍을 세트함(단계 S4404)과 동시에, IG1 라인의 오픈판정의 판정개시 타이밍을 세트한다(단계 S4405).
단계 S4405 종료후, 또는 IG1 온의 제어 타이밍이 아닌 경우(단계 S4401, No), 또는 시동제어가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4402, No), 원격시동장치(10)는 IG1 온의 제어를 종료하고, 도 46에 단계 S4104로서 나타낸 IG2 라인의 온제어로 이행한다.
도 50은 도 46에 단계 S4104로서 나타낸 IG2 라인의 온제어에 있어서의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처리 플로우에서는 원격시동장치(10)는 먼저 IG2 온의 제어 타이밍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4501).
그 결과, IG2 온의 제어 타이밍인 경우(단계 S4501, Yes), 원격시동장치(10) 는 다음에 시동제어가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4502).
그리고 시동제어가 허가되어 있는 경우(단계 S4502, Yes), 구동출력부(15)에 의하여 이그니션 스위치(SWi2)를 온하고, IG2의 온출력을 실행한다(단계 S4503).
다음에 ACC 라인의 1회째의 오프제어(도 46에 있어서의 단계 S4105)의 제어 타이밍을 세트함(단계 S4504)과 동시에, IG2 라인의 오픈판정의 판정개시 타이밍을 세트한다(단계 S4505).
단계 S4505 종료후, IG2 온의 제어 타이밍이 아닌 경우(단계 S4501, No), 또는 시동제어가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4502, No), 원격시동장치(10)는 IG2 온의 제어를 종료하고, 도 46에 단계 S4105에서 나타낸 ACC 오프 1회째의 제어로 이행한다.
도 51은 도 46에 단계 S4105로서 나타낸 ACC 오프 1회째의 제어에 있어서의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처리 플로우에서는 원격시동장치(10)는 먼저 ACC 오프 1회째의 제어 타이밍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4601).
그 결과, ACC 오프 1회째의 제어 타이밍인 경우(단계 S4601, Yes), 구동출력부(15)에 의하여 ACC 스위치(SWa)를 오프하고, ACC의 오프출력을 실행한다(단계 S4602).
그리고 ST2 라인의 온제어(도 46에 있어서의 단계 S4106)의 제어 타이밍을 세트(단계 S4603)하고, ACC 라인의 오픈판정을 금지한다(단계 S4604).
그후, 원격시동장치(10)는 ACC 용착판정의 판정개시 타이밍을 세트한다(단계 S4605). 이 판정의 개시 타이밍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잔류 전하의 영향을 고 려하여 설정된다. 구체적인 길이는 콘덴서의 용량 등에 의존하나, 예를 들면 단계 S4602에 있어서의 ACC 오프제어로부터 1초후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후, 판정개시 타이밍의 세트를 행하는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잔류 전하를 고려하여 그 타이밍을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단계 S4605 종료후, 또는 ACC 오프 1회째의 제어 타이밍이 아닌 경우(단계 S4601, No), 원격시동장치(10)는 ACC 오프 1회째의 제어를 종료하고, 도 46에 단계 S4106로서 나타낸 ST2 라인의 온제어로 이행한다.
도 52는 도 46에 단계 S4106로서 나타낸 ST2 라인의 온제어에 있어서의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처리 플로우에서는 원격시동장치(10)는 먼저 ST2 온의 제어 타이밍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4701).
그 결과, ST2 온의 제어 타이밍인 경우(단계 S4701, Yes), 원격시동장치(10)는 다음에 시동제어가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4702).
그리고 시동제어가 허가되어 있는 경우(단계 S4702, Yes), 구동출력부(15)에 의하여 스타터 스위치(SWs2)를 온하고, ST2의 온출력을 실행한다(단계 S4703).
다음에 ST1 라인의 온제어(도 46에 있어서의 단계 S4107)의 제어 타이밍을 세트함(단계 S4704)과 동시에, ST2 라인의 오픈판정의 판정개시 타이밍을 세트한다(단계 S4705).
단계 S4705 종료후, 또는 ST2 온의 제어 타이밍이 아닌 경우(단계 S4701, No), 또는 시동제어가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4702, No), 원격시동장치(10)는 ST2 온의 제어를 종료하고, 도 46에 단계 S4107로서 나타낸 ST1 라인의 온 제어로 이행한다.
도 53은 도 46에 단계 S4107로서 나타낸 ST1 라인의 온제어에 있어서의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처리 플로우에서는 원격시동장치(10)는 먼저 ST1 온의 제어 타이밍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4801).
그 결과, ST1 온의 제어 타이밍인 경우(단계 S4801, Yes), 원격시동장치(10)는 다음에 시동제어가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4802).
그리고 시동제어가 허가되어 있는 경우(단계 S4802, Yes), 구동출력부(15)에 의하여 스타터 스위치(SWs1)를 온하고, ST1의 온출력을 실행한다(단계 S4803).
다음에 ST1 라인의 오프제어(도 46에 있어서의 단계 S4108)의 제어 타이밍을 세트함(단계 S4804)과 동시에, ST1 라인의 오픈판정의 판정개시 타이밍을 세트한다(단계 S4805).
단계 S4805 종료후, 또는 ST1 온의 제어 타이밍이 아닌 경우(단계 S4801, No), 또는 시동제어가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4802, No), 원격시동장치(10)는 ST1 온의 제어를 종료하고, 도 46에 단계 S4108로서 나타낸 ST1 라인의 오프제어로 이행한다.
도 54는 도 46에 단계 S4108로서 나타낸 ST1 라인의 오프제어에 있어서의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처리 플로우에서는 원격시동장치(10)는 먼저 ST1오프의 제어 타이밍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4901).
그 결과, ST1오프의 제어 타이밍인 경우(단계 S4901, Yes), 구동출력부(15)에 의하여 스타터 스위치(SWs1)를 오프하고, ST1의 오프출력을 실행한다(단계 S4902).
다음에 ST2 라인의 오프제어(도 46에 있어서의 단계 S4109)의 제어 타이밍을 세트함(단계 S4903)과 동시에, ST1 라인의 용착판정의 판정개시 타이밍을 세트한다(단계 S4904). 여기서 ST1 용착판정의 개시 타이밍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ST1 오프제어로부터 소정시간후가 아니라, ST2 라인의 용착판정의 판정개시 타이밍과 같은 시각으로 설정한다. 또 단계 S4904의 종료후, 원격시동장치(10)는 ST1 라인의 오픈판정을 금지한다(단계 S4905).
단계 S4905 종료후, 또는 ST1오프의 제어 타이밍이 아닌 경우(단계 S4901, No), 원격시동장치(10)는 ST1 오프의 제어를 종료하고, 도 46에 단계 S4109로서 나타낸 ST2 라인의 오프제어로 이행한다.
도 55는 도 46에 단계 S4109로서 나타낸 ST2 라인의 오프제어에 있어서의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처리 플로우에서는 원격시동장치(10)는 먼저 ST2 오프의 제어 타이밍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5001).
그 결과, ST2 오프의 제어 타이밍인 경우(단계 S5001, Yes), 구동출력부(15)에 의하여 스타터 스위치(SWs2)를 오프하고, ST2의 오프출력을 실행한다(단계 S5002).
다음에 ACC 온 2회째(도 46에 있어서의 단계 S4110)의 제어 타이밍을 세트(단계 S5003)함과 동시에, ST2 라인의 용착판정의 판정개시 타이밍을 세트한다(단계 S5004). 여기서 ST2 용착판정의 개시 타이밍은, 단계 S5002의 ST2 오프제어에 의하여 발생하는 채터링이나 잔류 전하의 영향을 고려하여 설정한다. 또 단계 S5004 의 종료후, 원격시동장치(10)는 ST2 라인의 오픈판정을 금지한다(단계 S5005).
단계 S5005 종료후, 또는 ST2 오프의 제어 타이밍이 아닌 경우(단계 S5001, No), 원격시동장치(10)는 ST2 오프의 제어를 종료하고, 도 46에 단계 S4110로서 나타낸 ACC 온 2회째의 제어로 이행한다.
도 56은 도 46에 단계 S4110으로서 나타낸 ACC 온 2회째의 제어에 있어서의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처리 플로우에서는 원격시동장치(10)는 먼저 ACC 온 2회째의 제어 타이밍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5101).
그 결과, ACC 온 2회째의 제어 타이밍인 경우(단계 S5101, Yes), 원격시동장치(10)는 다음에 시동제어가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5102).
그리고 시동제어가 허가되어 있는 경우(단계 S5102, Yes), 구동출력부(15)에 의하여 ACC 스위치(SWa)를 온하고, ACC의 온출력을 실행함(단계 S5103)과 동시에, ACC의 용착판정을 금지(단계 S5104)한다.
단계 S5104 종료후, 또는 ACC 온 2회째의 제어 타이밍이 아닌 경우(단계 S5101, No), 또는 시동제어가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5102, No), 원격시동장치(10)는 ACC 온 2회째의 제어를 종료한다.
계속해서 원격시동장치(10)에 의한 고장판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6∼도 56을 사용하여 설명한 시동제어처리는, 송신기(28)로부터 원격시동 지시를 수신한 경우에 실행하는 처리이나, 서브 릴레이, ACC, IG, ST의 고장판정은 각각 메인루틴내에서 정기적으로 실행한다.
도 57은 서브 릴레이(RL1, RL2)의 고장판정에 있어서의 원격시동장치(10)의 처리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브 릴레이의 고장판정에 있어서는 먼저 서브 릴레이(RL1)의 출력도입(단계 S5201) 및 서브 릴레이(RL2)의 출력도입(단계 S5202)을 실행한다.
다음에 원격시동장치(10)는 서브 릴레이(RL1, RL2)의 용착판정이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5203). 그 결과, 서브 릴레이(RL1, RL2)의 용착판정이 허가되어 있지 않으면(단계 S5203, No), 그대로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서브 릴레이(RL1, RL2)의 용착판정이 허가되어 있으면(단계 S5203, Yes), 원격시동장치(10)는 서브 릴레이(RL1)의 용착판정을 행한다(단계 S5204). 또한 서브 릴레이(RL1)가 용착하고 있지 않으면(단계 S5204, No), 다음에 서브 릴레이(RL2)의 용착판정을 행한다(단계 S5205).
그리고 서브 릴레이(RL2)가 용착하고 있지 않으면(단계 S5205, No), 그대로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서브 릴레이(RL1)가 용착하고 있는 경우(단계 S5204, Yes), 또는 서브 릴레이(RL2)가 용착하고 있는 경우(단계 S5205, Yes)에는 원격시동장치(10)는 시동제어를 금지하고(단계 S5206), 처리를 종료한다.
여기서 시동제어의 금지는, 소정의 플래그를 세움으로써 설정하고, 시동제어가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경우에는 이 플래그를 참조하면 좋다. 또 시동제어금지에 맞추어 서브 릴레이(RL1)를 오프로 하는 제어를 행하여도 좋다. 이후 시동제어의 금지를 행하는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소정의 플래그를 세우는 것으로 하고, 또 서브 릴레이(RL1)의 오프제어를 행하여도 좋은 것으로 한다.
계속해서 ACC의 고장판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8은 ACC 라인의 고장판정에 있어서의 원격시동장치(10)의 처리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CC의 고장판정에 있어서는 먼저 ACC 라인의 출력도입(단계 S5301)을 실행한다.
다음에 원격시동장치(10)는, ACC 용착판정의 개시 타이밍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S5302), 그 결과, ACC 용착판정의 개시 타이밍이면(단계 S5302, Yes), ACC의 용착판정을 허가한다(단계 S5303).
단계 S5303의 뒤, 또는 ACC 용착판정의 개시 타이밍이 아닌 경우(단계 S5302, No), 원격시동장치(10)는 ACC 용착판정이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5304).
그리고 ACC 용착판정이 허가되어 있으면(단계 S5304, Yes), 원격시동장치(10)는 ACC 라인의 용착판정을 행한다(단계 S5305). 그 결과 ACC 라인이 용착하고 있으면(단계 S5305, Yes), 시동제어를 금지한다(단계 S5306).
단계 S5306에 있어서의 시동제어금지후, 또는 ACC 용착판정이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5304, No), 또는 ACC 라인이 용착하고 있지 않은 경우(단계 S5305, No),다음에 원격시동장치(10)는 ACC 오픈판정의 개시 타이밍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5307).
그 결과, ACC 오픈판정의 개시 타이밍이면(단계 S5307, Yes), 원격시동장치(10)는 ACC의 오픈판정을 허가한다(단계 S5308).
단계 S5308의 뒤, 또는 ACC 오픈판정의 개시 타이밍이 아닌 경우(단계 S5307, No), 원격시동장치(10)는 ACC 오픈판정이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5309).
그리고, ACC 오픈판정이 허가되어 있으면(단계 S5309, Yes), 원격시동장치(10)는 ACC 라인의 오픈판정을 행한다(단계 S5310). 그 결과, ACC 라인이 오픈고장이면(단계 S5310, Yes), 시동제어를 금지하고(단계 S5311),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ACC 오픈판정이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5309, No), 또는 ACC 라인이 오픈고장이 아닌 경우(단계 S5310, No), 원격시동장치(10)는 그대로 ACC 고장판정을 종료한다.
계속해서 IG의 고장판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9∼도 60은 IG 라인의 고장판정에 있어서의 원격시동장치(10)의 처리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IG의 고장판정에 있어서는 먼저 IG1 라인의 출력도입(단계 S5401) 및 IG2 라인의 출력도입(단계 S5402)을 실행한다.
다음에 원격시동장치(10)는 IG1 용착판정이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5403). 그리고 IG1 용착판정이 허가되어 있으면(단계 S5403, Yes), IG1 라인의 용착판정을 행한다(단계 S5404). 그 결과, IG1 라인이 용착하고 있으면(단계 S5404, Yes), 시동제어를 금지한다(단계 S5405).
단계 S5405에 있어서의 시동제어금지후, 또는 IG1 용착판정이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5403, No), 또는 IG1 라인이 용착하고 있지 않은 경우(단계 S5404, No),다음에 원격시동장치(10)는 IG2 용착판정이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5406).
그리고 IG2 용착판정이 허가되어 있으면(단계 S5406, Yes), IG2 라인의 용착판정을 행한다(단계 S5407). 그 결과, IG2 라인이 용착하고 있으면(단계 S5407, Yes), 시동제어를 금지한다(단계 S5408).
단계 S5408에 있어서의 시동제어금지후, 또는 IG2 용착판정이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5406, No), 또는 IG2 라인이 용착하고 있지 않은 경우(단계 S5407, No),다음에 원격시동장치(10)는 도 6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IG1 오픈판정의 개시 타이밍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5409).
그 결과, IG1 오픈판정의 개시 타이밍이면(단계 S5409, Yes), 원격시동장치(10)는 IG1의 오픈판정을 허가한다(단계 S5410).
단계 S5410의 뒤, 또는 IG1 오픈판정의 개시 타이밍이 아닌 경우(단계 S5409, No), 원격시동장치(10)는 IG1 오픈판정이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5411).
그리고 IG1 오픈판정 허가되어 있으면(단계 S5411, Yes), 원격시동장치(10)는 IG1 라인의 오픈판정을 행한다(단계 S5412). 그 결과, IG1 라인이 오픈고장이면(단계 S5412, Yes), 시동제어를 금지한다(단계 S5413).
단계 S5413에 있어서의 시동제어금지후, 또는 IG1 오픈판정이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5411, No), 또는 IG1 라인이 오픈고장이 아닌 경우(단계 S5412, No), 원격시동장치(10)는 IG2 오픈판정의 개시 타이밍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5414).
그 결과, IG2 오픈판정의 개시 타이밍이면(단계 S5414, Yes), 원격시동장치 (10)는 IG2의 오픈판정을 허가한다(단계 S5415).
단계 S5415의 뒤, 또는 IG2 오픈판정의 개시 타이밍이 아닌 경우(단계 S5414, No), 원격시동장치(10)는 IG2 오픈판정이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5416).
그리고 IG2 오픈판정이 허가되어 있으면(단계 S5416, Yes), 원격시동장치(10)는 IG2 라인의 오픈판정을 행한다(단계 S5417). 그 결과, IG1 라인이 오픈고장이면(단계 S5417, Yes), 원격시동장치(10)는 시동제어를 금지하고(단계 S5418),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IG2 오픈판정이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5416, No), 또는 IG2 라인이 오픈고장이 아닌 경우(단계 S5417, No), 원격시동장치(10)는 그대로 IG 고장판정을 종료한다.
계속해서 ST의 고장판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1∼도 62는 ST 라인의 고장판정에 있어서의 원격시동장치(10)의 처리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ST의 고장판정에 있어서는 먼저 ST1 라인의 출력도입(단계 S5501) 및 ST2 라인의 출력도입(단계 S5502)을 실행한다.
다음에 원격시동장치(10)는 ST1 용착판정의 개시 타이밍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S5503), 그 결과, ST1 용착판정의 개시 타이밍이면(단계 S5503, Yes), ST1의 용착판정을 허가한다(단계 S5504).
단계 S5504의 뒤, 또는 ST1 용착판정의 개시 타이밍이 아닌 경우(단계 S5503, No), 원격시동장치(10)는 ST1 용착판정이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 한다(단계 S5505).
그리고 ST1 용착판정이 허가되어 있으면(단계 S5505, Yes), 원격시동장치(10)는 ST1 라인의 용착판정을 행한다(단계 S5506). 그 결과, ST1 라인이 용착하고 있으면(단계 S5506, Yes), 서브 릴레이(RL2)를 오프함과(단계 S5507) 동시에, 시동제어를 금지한다(단계 S5508).
단계 S5508에 있어서의 시동제어금지후, 또는 ST1 용착판정이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5505, No), 또는 ST1 라인이 용착하고 있지 않은 경우(단계 S5506, No),다음에 원격시동장치(10)는 ST2 용착판정의 개시 타이밍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단계 S5509), 그 결과 ST2 용착판정의 개시 타이밍이면(단계 S5509, Yes), ST2의 용착판정을 허가한다(단계 S5510).
단계 S5510의 뒤, 또는 ST2 용착판정의 개시 타이밍이 아닌 경우(단계 S5509, No), 원격시동장치(10)는 ST2 용착판정이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5511).
그리고 ST2 용착판정이 허가되어 있으면(단계 S5511, Yes), 원격시동장치(10)는 ST2 라인의 용착판정을 행한다(단계 S5512). 그 결과 ST2 라인이 용착하고 있으면(단계 S5512, Yes), 서브 릴레이(RL2)를 오프함(단계 S5513)과 동시에, 시동제어를 금지한다(단계 S5514).
단계 S5514에 있어서의 시동제어금지후, 또는 ST2 용착판정이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5511, No), 또는 ST2 라인이 용착하고 있지 않은 경우(단계 S5512, No),다음에 원격시동장치(10)는 도 6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ST1 오픈판정 의 개시 타이밍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S5515), 그 결과 ST1 오픈판정의 개시 타이밍이면(단계 S5515, Yes), ST1의 오픈판정을 허가한다(단계 S5516).
단계 S5516의 뒤, 또는 ST1 오픈판정의 개시 타이밍이 아닌 경우(단계 S5515, No), 원격시동장치(10)는 ST1 오픈판정이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5517).
그리고 ST1 오픈판정이 허가되어 있으면(단계 S5517, Yes), 원격시동장치(10)는 ST1 라인의 오픈판정을 행한다(단계 S5518). 그 결과, ST1 라인이 오픈고장이면(단계 S5518, Yes), 서브 릴레이(RL2)를 오프함(단계 S5519)과 동시에, 시동제어를 금지한다(단계 S5520).
단계 S5520에 있어서의 시동제어금지후, 또는 ST1 오픈판정이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5517, No), 또는 ST1 라인이 오픈고장이 아닌 경우(단계 S5518, No), 다음에 원격시동장치(10)는 ST2 오픈판정의 개시 타이밍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단계 S5521), 그 결과, ST2 오픈판정의 개시 타이밍이면(단계 S5521, Yes), ST2의 오픈판정을 허가한다(단계 S5522).
단계 S5522의 뒤, 또는 ST2 오픈판정의 개시 타이밍이 아닌 경우(단계 S5521, No), 원격시동장치(10)는 ST2 오픈판정이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5523).
그리고 ST2 오픈판정이 허가되어 있으면(단계 S5523, Yes), 원격시동장치(10)는 ST2 라인의 오픈판정을 행한다(단계 S5524). 그 결과, ST2 라인이 오픈고장이면(단계 S5524, Yes), 서브 릴레이(RL2)를 오프함(단계 S5525)과 동시에, 시동 제어를 금지하고(단계 S5526),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ST2 오픈판정이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5523, No), 또는 ST2 라인이 오픈고장이 아닌 경우(단계 S5524, No), 원격시동장치(10)는 그대로 ST 고장판정을 종료한다.
이 ST 고장판정에 있어서, 도면에 있어서 음영으로 나타낸 ST1 용착판정개시 타이밍(단계 S5503)과 ST2 용착판정 타이밍(단계 S5509)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스타터 스위치(SWs1)가 접속되지 않은 경우를 상정하고, 스타터 스위치(SWs2)의 오프제어로부터 소정시간후(즉 동일한 타이밍)로 설정된다.
또한 스타터 스위치(SWs1)의 접속상태에 의거하여 ST1 용착판정개시 타이밍을 결정하여도 좋다. 이 경우, ST1 용착판정 개시 타이밍을 결정하는 처리인 ST1 오프제어는 도 63의 플로우차트에 나타낸 처리를 사용한다.
도 63에 나타낸 ST1 오프처리에 있어서, ST1 오프의 제어 타이밍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S5601), ST1 오프의 제어 타이밍인 경우(단계 S5601, Yes)에 ST1의오프출력을 실행하고(단계 S5602), ST2 오프제어의 타이밍을 세트하기(단계 S5603)까지는, 도 54에 나타낸 ST1 오프처리의 단계 S4901∼4903과 동일하다.
그리고 ST2 오프제어의 타이밍 세트(단계 S5603)후, ST1 라인이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단계 S5604), ST1 라인이 접속되어 있지 않으면(단계 S5604, No), ST1 용착판정 개시 타이밍을 ST2 용착판정 타이밍과 동일한 시각인 T2로 설정한다(단계 S5606).
그 한편, ST1 라인이 접속되어 있으면(단계 S5604, Yes), ST1 용착판정 개시 타이밍은, 단계 S5602의 ST2 오프제어에 의하여 발생하는 채터링이나 잔류 전하의 영향을 고려한 시각 Tl1로 설정한다(단계 S5605).
그리고 ST1 용착판정 개시 타이밍의 세트(단계 S5605 또는 단계 S5606)후, ST1 라인의 오픈판정을 금지한다(단계 S5607). 또한 단계 S5607 종료후, 또는 ST1 오프의 제어 타이밍이 아닌 경우(단계 S5601, No), 원격시동장치(10)는 ST1 오프의 제어를 종료하고, 도 46에 단계 S4109로서 나타낸 ST2 라인의 오프제어로 이행한다.
이와 같이 ST1의 접속상태에 의거하여 ST1 용착판정 타이밍을 변경함으로써 ST1을 접속한 경우에도 최적의 판정 타이밍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ST1의 접속상태는 사용자가 입력하여도 좋고, 원격시동장치(10)가 자동으로 판별하여도 좋다.
도 64에 ST1의 접속상태를 자동판별하는 ST 고장판정처리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상기 도면에 나타내는 ST의 고장판정에 있어서는 먼저 ST1 라인의 출력도입(단계 S5701) 및 ST2 라인의 출력도입(단계 S5702)을 실행한다.
그리고 ST1 오프로부터 ST1 온으로의 변화를 검지하였으면(단계 S5703, Ye s), 다시 ST2 오프로부터 ST2 온으로의 변화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5704).
그 결과, ST2 오프로부터 ST2 온으로의 변화가 있었던 경우, 즉 ST2의 변화에 따라 ST1이 변화된 경우에는, ST1 접속 플래그를 「0」,즉 ST1이 비접속상태라고 판정한다. 또한 이 ST1 접속 플래그는 초기값을 「1」, 즉 ST1 접속상태로 하여 둔다.
단계 S5705의 종료후, 또는 ST1 오프로부터 ST1 온으로의 변화가 없는 경우(단계 S5703, No), 또는 ST2 오프로부터 ST1 온으로의 변화가 없는 경우(단계 S5704),도 61에 나타낸 단계 S5503으로 이행한다.
이와 같이 ST1과 ST2의 출력을 비교함으로써, ST1의 접속상태를 자동으로 판별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2에 관한 원격시동장치에서는 외부 접속단자(18)의 접속지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고 용이하게 구성의 전환이 가능하다. 또 스타터 1 라인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스타터 스위치(SWs1) 자체를 생략할 수 있어, 비용 절감을 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의 상태판정의 타이밍을 변경함으로써, 구성의 변경에 상관없이 또 제어출력을 변경하지 않고 간이하고 또한 정확하게 판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2에서는 스타터 라인과 이그니션 라인이 2계통의 차량에 대응하는 원격시동장치를, 스타터 라인이 1계통의 차량에 탑재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을 행하였으나, 본 발명의 이용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원격시동장치의 제어 라인은 임의의 수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원격시동제어장치의 이그니션 라인이 차량측의 이그니션 라인수를 넘는 경우 등, 임의의 제어 라인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삭제하는 스위치를 대신하여 접속하는 라인은, 동일 계통(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타터 1 라인을 스타터 2 라인에 접속한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제어 라인에 접속하여도 되는 것이다.
또, 본 실시예 2에서는 송신기(28)로부터의 원격시동 지시에 의거하여 시동 제어를 행하는 원격시동장치를 예로 설명을 행하였으나, 본 발명의 이용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설정된 스케줄에 의거하는 자동시동이나, 이그니션 키를 사용하지 않는 차량의 시동 등, 릴레이 스위치를 사용한 차량의 시동제어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다른 효과나 변형예는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은 특정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첨부하는 클레임 및 그 균등물의 발명의 개념을 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동제어장치는, 스타터 스위치의 통전을 차단하는 릴레이와, 이그니션 스위치, 액세서리 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대한 통전을 릴레이에 대하여 독립으로 행하는 통전회로를 구비하고, 스타터 스위치의 용착을 검출한 경우에 릴레이를 차단하기 때문에, 스타터 스위치와 액세서리 스위치가 동시에 온이 되는 상태를 억제하고, 또 스타터 스위치와 액세서리 스위치가 동시에 온이 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의 스위치제어를 계속하여 스타터 스위치의 과회전을 방지하는 시동제어장치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시동제어장치는 엔진의 시동후에 있어서의 액세서리 스위치의 온제어를, 스타터 스위치 용착 검출수단에 의한 용착검출을 행한 후에 실행하기 때문에 스타터 스위치와 액세서리 스위치가 동시에 온이 되는 상태의 발생을 억지하고, 또한 스타터 스위치와 액세서리 스위치가 동시에 온이 되지 않는 범 위에서 통상의 스위치제어를 계속하는 시동제어장치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시동제어장치는 스타터 스위치의 온제어후에 액세서리 스위치 용착 검출수단에 의하여 액세서리 스위치의 용착이 검출된 경우에, 스타터 스위치를 오프 제어하기 때문에, 스타터 스위치와 액세서리 스위치가 동시에 온이 되는 상태를 억제하고, 또한 스타터 스위치와 액세서리 스위치가 동시에 온이 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의 스위치제어를 계속하는 시동제어장치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시동제어장치는 스타터 스위치의 온제어를 액세서리 스위치 용착 검출수단에 의한 용착검출을 행한 후에 실행하기 때문에, 스타터 스위치와 액세서리 스위치가 동시에 온이 되는 상태의 발생을 억지하고, 또한 스타터 스위치와 액세서리 스위치가 동시에 온이 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의 스위치제어를 계속하는 시동제어장치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시동제어장치는 스타터 스위치의 온제어와 액세서리 스위치의 용착검출과의 실행순서를 전환하기 때문에, 차량 탑재 전기기기의 접속상태에 적응한 제어순서를 선택 가능한 시동제어장치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시동제어장치는 스타터 스위치나 이그니션 스위치를 감시하는 감시수단에 대하여, 그 원래의 감시대상인 스위치의 상태인지, 다른 스위치의 상태인지의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입력하기 때문에, 차량측의 구성에 상관 없이 사용 가능한 범용성이 높은 시동제어장치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시동제어장치는 제 2 이그니션계 스위치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 제 2 감시수단이 제 1 이그니션계 스위치의 상태를 감시하기 때문에, 제 2 이그니션계 스위치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이더라도 사용 가능한 범용성이 높은 시동제어장치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시동제어장치는 제 1 판정수단에 의한 제 1 이그니션계 스위치의 상태 변화후의 이상판정 개시 타이밍과, 제 2 판정수단에 의한 제 2 이그니션계 스위치의 상태 변화후의 이상판정 개시 타이밍을 동일한 타이밍으로 설정하기 때문에, 제 2 이그니션 스위치가 없는 경우에도 정확하게 이상판정을 실행 가능한 시동제어장치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시동제어장치는 제 1 이그니션계 스위치의 이상판정을행하는 제 1 판정수단에 의한 판정개시 타이밍과, 제 1 이그니션계 스위치 또는 제 2 이그니션계 스위치의 이상판정을 행하는 제 2 판정수단에 의한 판정개시 타이밍을 일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제 2 이그니션 스위치가 없는 경우에도 정확하게 이상판정을 실행 가능한 시동제어장치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시동제어장치는 제 1 감시수단 및 제 2 감시수단에 의한 감시결과에 의거하여 제 2 감시수단에 입력되어 있는 이그니션계 스위치의 종류를 특정하고, 그 결과 제 2 감시수단에 입력되어 있는 이그니션계 스위치가 제 1 이그니션계 스위치인 경우, 제 2 판정수단에 의한 이상판정 개시 타이밍을 제 1 판정수단에 의한 이상판정 개시 타이밍으로 변경하기 때문에, 구성을 자동판별하여 정확하게 이상판정을 실행 가능한 시동제어장치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시동제어방법은 스타터 스위치의 용착이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스타터 스위치에의 통전을 차단하기 때문에, 스타터 스위치와 액세서리 스위치가 동시에 온이 되는 상태를 억제하고, 또한 스타터 스위치와 액세서리 스위치가 동시에 온이 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의 스위치제어를 계속하여, 스타터 스위치의 과회전을 방지하는 시동제어방법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시동제어장치 및 시동제어방법은, 차량의 시동제어에 유용하고, 특히 릴레이 스위치의 제어에 의한 시동제어에 적합하다.

Claims (22)

  1. 원격조작용 단말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의거하여, 또는 자율적으로 차량의 시동제어를 행하는 시동제어장치에 있어서,
    엔진의 시동을 제어하는 스타터 스위치와,
    상기 스타터 스위치의 통전을 차단하는 릴레이와,
    엔진의 점화를 제어하는 이그니션 스위치, 차량 탑재 전기기기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액세서리 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대한 통전을 상기 릴레이에 대하여 독립으로 행하는 통전회로와,
    상기 스타터 스위치의 용착을 검출하는 스타터 스위치 용착 검출수단과,
    상기 스타터 스위치 용착 검출수단에 의하여 상기 스타터 스위치의 용착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릴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스타터 스위치의 통전을 차단하는 스위치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제어장치.
  2. 원격조작용 단말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의거하여, 또는 자율적으로 차량의 시동제어를 행하는 시동제어장치에 있어서,
    엔진의 시동을 제어하는 스타터 스위치와,
    차량 탑재 전기기기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액세서리 스위치와,
    상기 스타터 스위치의 용착을 검출하는 스타터 스위치 용착 검출수단과,
    엔진의 시동후에 있어서의 상기 액세서리 스위치의 온제어를, 상기 스타터 스위치 용착 검출수단에 의한 용착검출을 행한 후에 실행하는 스위치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제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터 스위치의 통전을 차단하는 릴레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제어수단은, 상기 스타터 스위치 용착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스타터 스위치의 용착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릴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스타터 스위치의 통전을 차단한 후에 상기 액세서리 스위치의 온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시동제어장치.
  4. 원격조작용 단말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의거하여, 또는 자율적으로 차량의 시동제어를 행하는 시동제어장치에 있어서,
    엔진의 시동을 제어하는 스타터 스위치와,
    차량 탑재 전기기기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액세서리 스위치와,
    상기 액세서리 스위치의 용착을 검출하는 액세서리 스위치 용착 검출수단과,
    상기 스타터 스위치의 온 제어후에 상기 액세서리 스위치 용착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액세서리 스위치의 용착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스타터 스위치를 오프 제어하는 스위치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제어장치.
  5. 원격조작용 단말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의거하여, 또는 자율적으로 차량의 시동제어를 행하는 시동제어장치에 있어서,
    엔진의 시동을 제어하는 스타터 스위치와,
    차량 탑재 전기기기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액세서리 스위치와,
    상기 액세서리 스위치의 용착을 검출하는 액세서리 스위치 용착 검출수단과,
    상기 스타터 스위치의 온 제어를, 상기 액세서리 스위치 용착 검출수단에 의한 용착검출을 행한 후에 실행하는 스위치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제어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제어수단은, 상기 액세서리 용착 검출수단에 의해 용착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스타터 스위치의 온 제어를 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제어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제어수단은, 상기 용착의 검출후, 용착이 해소된 경우에 상기 스타터 스위치의 온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제어장치.
  8. 원격조작용 단말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의거하여, 또는 자율적으로 차량의 시동제어를 행하는 시동제어장치에 있어서,
    엔진의 시동을 제어하는 스타터 스위치와,
    차량 탑재 전기기기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액세서리 스위치와,
    상기 액세서리 스위치의 용착검출을 행하는 액세서리 스위치 용착 검출수단과, 상기 스타터 스위치의 온 제어와 상기 액세서리 스위치의 용착검출의 실행순서를 전환 가능한 스위치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제어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제어수단은, 상기 액세서리 스위치의 오프 제어로부터 상기 스위치의 용착검출까지의 대기시간을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제어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터 스위치의 온제어와 상기 액세서리 스위치의 용착검출의 실행순서를 상기 대기시간에 의거하여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제어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원격조작용 단말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의거하여, 또는 자율적으로 차량의 엔진을 시동시키는 시동제어방법에 있어서,
    스타터 스위치의 용착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스타터 스위치의 용착이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스타터 스위치에의 통전을 차단하는 단계와,
    상기 스타터 스위치에의 통전을 차단하는 단계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스타터 스위치와는 상이한 다른 스위치에의 통전 또는 통전의 차단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제어방법.
KR1020050113745A 2004-11-26 2005-11-25 차량의 시동제어장치 및 시동제어방법 KR1007191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42679 2004-11-26
JPJP-P-2004-00342679 2004-11-26
JPJP-P-2004-00348397 2004-12-01
JP2004348397 2004-12-01
JP2005276174A JP4566102B2 (ja) 2004-11-26 2005-09-22 始動制御装置
JPJP-P-2005-00276174 2005-09-22
JPJP-P-2005-00276175 2005-09-22
JP2005276175A JP4515366B2 (ja) 2004-12-01 2005-09-22 始動制御装置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8076A Division KR100753228B1 (ko) 2004-11-26 2007-03-22 시동제어장치 및 시동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9214A KR20060059214A (ko) 2006-06-01
KR100719140B1 true KR100719140B1 (ko) 2007-05-17

Family

ID=3677923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3745A KR100719140B1 (ko) 2004-11-26 2005-11-25 차량의 시동제어장치 및 시동제어방법
KR1020070028076A KR100753228B1 (ko) 2004-11-26 2007-03-22 시동제어장치 및 시동제어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8076A KR100753228B1 (ko) 2004-11-26 2007-03-22 시동제어장치 및 시동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069831B2 (ko)
KR (2) KR100719140B1 (ko)
CN (1) CN18006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140B1 (ko) 2004-11-26 2007-05-17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차량의 시동제어장치 및 시동제어방법
JP2007245999A (ja) * 2006-03-17 2007-09-27 Toyota Motor Corp 車両の制御装置および車両
JP4279854B2 (ja) * 2006-06-28 2009-06-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電源制御装置
WO2013073034A1 (ja) * 2011-11-17 2013-05-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および電力供給システム
JP5477409B2 (ja) * 2012-03-12 2014-04-23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源システム
JP6308486B2 (ja) 2012-09-13 2018-04-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リレー溶着検出装置
JP5472415B2 (ja) * 2012-09-21 2014-04-16 株式会社安川電機 電力変換装置
CN103161637A (zh) * 2013-02-01 2013-06-19 莫嘉林 电容供电启动系统
WO2016021126A1 (ja) * 2014-08-07 2016-02-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車載用電源装置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車両
US10369872B2 (en) * 2016-06-10 2019-08-06 Cnh Industrial America Llc Removable panel on an autonomous work vehicle
US10821829B2 (en) 2016-06-10 2020-11-03 Cnh Industrial America Llc Control interface on an autonomous work vehicle
JP6888383B2 (ja) * 2017-04-12 2021-06-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モート始動システム、センタサーバ、車両
US10436315B2 (en) * 2017-06-29 2019-10-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n engine and hazard lights based on start/stop switch actuatio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1119A (ja) * 1995-03-23 1996-10-08 Tokai Rika Co Ltd 車両用エンジンの始動装置
JPH09233399A (ja) * 1996-02-22 1997-09-05 Sharp Corp オンスクリーン表示装置および方法
JPH1172071A (ja) 1997-08-29 1999-03-16 Sawafuji Electric Co Ltd スタータ保護装置
KR200210037Y1 (ko) 1996-11-13 2001-02-01 정몽규 시동시 자동전원 제어장치
JP2003041999A (ja) 2001-07-27 2003-02-13 Denso Corp 内燃機関用制御装置
KR20040017109A (ko) * 2002-08-20 2004-02-2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와이어 온도를 이용한 차량의 시동회로 보호장치와 방법
US20060175902A1 (en) 2004-11-26 2006-08-10 Fujitsu Te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tart control of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2137A (en) * 1982-12-13 1983-10-25 Eaton Corporation Dual voltage engine starter management system
JP2573274Y2 (ja) 1992-10-09 1998-05-2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エンジンの始動装置
JP3130184B2 (ja) 1993-07-02 2001-01-31 津田駒工業株式会社 自動布巻交換装置
JP3815746B2 (ja) 1996-01-26 2006-08-30 株式会社アルファ 自動車用エンジン遠隔始動装置
JP3802946B2 (ja) 1996-02-26 2006-08-0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エンジン始動装置
JP2799853B2 (ja) 1996-06-11 1998-09-21 阪神エレクトリック株式会社 エンジン始動装置
JP2000104649A (ja) * 1998-09-29 2000-04-11 Hanshin Electric Co Ltd エンジン自動始動方法及び装置
JP2001073910A (ja) * 1999-08-31 2001-03-21 Chuo Spring Co Ltd エンジン遠隔始動システム
EP1214517A1 (en) * 1999-09-10 2002-06-19 Intra International AB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a cranking subsystem
US7342325B2 (en) * 2001-11-05 2008-03-11 Michael Rhodes Universal fleet electrical system
JP2002266733A (ja) * 2002-03-08 2002-09-18 Fujitsu Ten Ltd 内燃機関の遠隔始動装置
US7156063B2 (en) * 2002-03-21 2007-01-02 Robert Bosch Gmbh Starter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s well as a method for star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1119A (ja) * 1995-03-23 1996-10-08 Tokai Rika Co Ltd 車両用エンジンの始動装置
JPH09233399A (ja) * 1996-02-22 1997-09-05 Sharp Corp オンスクリーン表示装置および方法
KR200210037Y1 (ko) 1996-11-13 2001-02-01 정몽규 시동시 자동전원 제어장치
JPH1172071A (ja) 1997-08-29 1999-03-16 Sawafuji Electric Co Ltd スタータ保護装置
JP2003041999A (ja) 2001-07-27 2003-02-13 Denso Corp 内燃機関用制御装置
KR20040017109A (ko) * 2002-08-20 2004-02-2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와이어 온도를 이용한 차량의 시동회로 보호장치와 방법
US20060175902A1 (en) 2004-11-26 2006-08-10 Fujitsu Te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tart control of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3228B1 (ko) 2007-08-30
US20060175902A1 (en) 2006-08-10
KR20070038488A (ko) 2007-04-10
US8069831B2 (en) 2011-12-06
CN1800612A (zh) 2006-07-12
KR20060059214A (ko) 2006-06-01
CN1800612B (zh)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9140B1 (ko) 차량의 시동제어장치 및 시동제어방법
CN100517230C (zh) 对车辆闪速存储器进行远程重编程的方法
US9393920B2 (en) Telematics-based system for protecting against vehicle battery drain
US8583330B2 (en) Vehicle car wash mode
US20080148409A1 (en) Electronic module update detection
CN105818783A (zh) 对电子车载入侵做出响应
US201302939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outside rearview mirror of a vehicle from an unfolded position to a folded position
FR2872950A1 (fr) Procede et dispositif de gestion d'un vehicule automobile
DE102012222435B4 (de) Verfahren zum Übertragen und Authentifizieren von SMS-Nachrichten, die zwischen einem Fahrzeug und einer zentralen Einrichtung gesendet werden
EP0408436A1 (fr) Circuit de détection du signal phase alternateur polyphase de contrôle d'un régulateur de charge de batterie de véhicule automobile et son utilisation
JP4566102B2 (ja) 始動制御装置
EP0654604B1 (fr) Procédé et dispositif d'allumage à bobine avec des décharges additionnelles pour diagnostics
US5459380A (en) Moisture activated window closer
JP2002509827A (ja) バス線路を介してネット化された安全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の伝送方法
EP1196976B1 (de) Batteriesystem
US10843645B1 (en) Independent power control and output access for vehicle devices
US20040061597A1 (en) Vehicle security system with multi-vehicle compatible interface module for door locks and associated methods
US5529142A (en) Vehicle theft prevention device
US2023005319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inventory control
US5637927A (en) Device for switching control of vehicle accessories between vehicle control stations
EP0358544A2 (fr) Procédé d'enclenchement automatique d'une alarme, notamment pour un véhicule automobile, et système pour sa mise en oeuvre
EP0519805A1 (fr) Détection de la tension entre phases dans un régulateur d'alternateur
EP0191020A1 (de) Anzeigevorrichtung für daten und/oder parameterwerte in kraftfahrzeugen
BE345821A (ko)
FR2990311A1 (fr) Unite de commande electronique a terminaison de ligne configur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