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8934B1 - 압력저항 및 진동 개선 용 유동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압력저항 및 진동 개선 용 유동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8934B1
KR100718934B1 KR1020060083991A KR20060083991A KR100718934B1 KR 100718934 B1 KR100718934 B1 KR 100718934B1 KR 1020060083991 A KR1020060083991 A KR 1020060083991A KR 20060083991 A KR20060083991 A KR 20060083991A KR 100718934 B1 KR100718934 B1 KR 100718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pin
propeller
design draft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3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춘범
배준환
김기현
안성목
황보승면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3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89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8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8934B1/ko
Priority to PCT/KR2007/004227 priority patent/WO2008026903A1/en
Priority to US12/439,501 priority patent/US7857672B2/en
Priority to JP2009526545A priority patent/JP4977208B2/ja
Priority to PT2007004227A priority patent/PT2008026903W/pt
Priority to GB0903430.7A priority patent/GB2454426B/en
Priority to ES200950008A priority patent/ES2342916B2/es
Priority to CN2007800322484A priority patent/CN101511669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05Equipment to decrease ship's vibrations produced externally to the ship, e.g. wave-induced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4Bilge k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6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6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in recesses; with stationary water-guiding elements; Means to prevent fouling of the propeller, e.g. guards, cages or scree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 Control Of Turb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저항 및 진동 개선 용 유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박의 길이방향으로는 2스테이션 내지 4스테이션 사이에, 선박의 높이방향으로는 선저로부터 설계흘수의 10% 내지 2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설계흘수에 대해 20도 내지 40도 사이의 각도로 부착되는 하부핀; 및 선박의 길이방향으로는 2스테이션 내지 4스테이션 사이에, 선박의 높이방향으로는 선저로부터 설계흘수의 30% 내지 6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설계흘수에 대해 10도 내지 30도 사이의 각도로 부착되는 상부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저항 및 진동 개선 용 유동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핀의 부착만으로 선박 추진기에 의한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어 승선자들의 쾌적한 항해 환경이 조성되고, 선박의 추진 효율의 향상으로 인해 연료를 더욱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설계흘수, 압력저항, 추진기, 캐비테이션(cavitation)

Description

압력저항 및 진동 개선 용 유동제어장치{Flow control appendages for improvement of pressur resistance and hull vibra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의 핀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의 핀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유체의 흐름을 도시한 측면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핀 장치가 부착된 선박의 추진기로 유입되는 유체의 속도와 도 1의 핀 장치가 부착되지 않은 선박(bare hull)의 추진기로 유입되는 유체의 속도를 비교한 것이다.
도 4는 도 1의 핀 장치가 부착된 선박의 등압력선과 베어 헐(bare hull)의 등압력선을 비교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저항 및 진동 개선 용 유동제어장치의 일 실시예가 부착된 선박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가 부착된 선박의 부분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실시예가 부착된 선박의 추진기로 유입되는 유체의 속도와 도 5의 실시예가 부착되지 않은 선박(bare hull)의 추진기로 유입되는 유체의 속도를 비교한 것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유체의 속도에 의해 변화된 단위 부피에 포함된 캐비 티의 양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5의 실시예가 부착된 선박의 등압력선과 베어 헐(bare hull)의 등압력선을 비교한 것이다.
도 10은 도 5의 실시예가 부착된 선박의 유효마력과 베어 헐(bare hull)의 유효마력을 비교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2 : 상부핀 104 : 하부핀
106 : 추가핀 108 : 선저
110 : 설계흘수
본 발명은 압력저항 및 진동 개선 용 유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 추진기에 의한 진동을 감소시켜 승선자들의 쾌적한 항해 환경을 조성하고, 선박의 추진 효율을 향상시켜 연료를 더욱 절감할 수 있는 압력저항 및 진동 개선 용 유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는 항공기 등의 운송수단의 발달로 화물이 전 세계 곳곳으로 신속하게 운송되고 있다. 그러나 석유, 천연가스, 자동차, 컨테이너 등과 같이 화물의 부피가 매우 크고, 화물의 무게가 무거운 경우에는 항공기로 한 번에 많은 양을 운반할 수 없기 때문에, 선박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이 선박을 이용하여 화물을 운반하는 경우, 좀 더 많은 양의 화물을 동시에 그리고, 신속하게 운반하기 위해 선박의 대형화 및 고속화가 점차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선박의 대형화 및 고속화로 인한 엔진 마력의 증가로 인해 선박 추진기에 의한 진동이 증가하고, 연료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고마력 엔진을 이용하더라도, 선박 추진기에 의한 진동을 감소시키고, 고유가 시대에 연료를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부가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의 핀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의 핀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유체의 흐름을 도시한 측면 개략도이며, 도 3은 도 1의 핀 장치가 부착된 선박의 추진기로 유입되는 유체의 속도와 도 1의 핀 장치가 부착되지 않은 선박(bare hull)의 추진기로 유입되는 유체의 속도를 비교한 것이고, 도 4는 도 1의 핀 장치가 부착된 선박의 등압력선과 베어 헐(bare hull)의 등압력선을 비교한 것이다.
상기 선박의 핀 장치는 일본공개특허번호 제2002-362485호에 의해 공개된 것으로, 추진 효율의 향상과 선체 저항의 감소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선박의 핀 장치는 앞 부분 핀(5)과 뒤쪽 핀(6)을 포함하고 있는데, 상기 양 핀(5, 6)은 선체 외판에 거의 직각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장착되어 있고, 얇은 종이 형태를 하고 있다.
상기 앞 부분 핀(5)은 선미 수직선(8)으로부터 선수 쪽에 거리 S(Lbp의 15% 이내)의 위치에 그 설치 기점을 가지고, 프로펠러(4)의 중심선 높이 이하에 설치되 어, 선미쪽으로 갈수록 선저로부터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앞 부분 핀(5)의 길이(L1)는 프로펠러(4) 직경(D) 이하이고, 선체로부터의 돌출 폭은 프로펠러(4) 직경(D)의 10% 이하이다.
상기 뒤쪽 핀(6)은 선저와 평행하게 설치되고, 그 설치 높이가 프로펠러(4) 중심선으로부터 프로펠러 팁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프로펠러의 바로 앞쪽에 설치된다. 상기 뒤쪽 핀(6)의 길이(L2)는 상기 프로펠러(4)의 직경(D) 이하이고, 선체로부터의 돌출 폭은 프로펠러(4) 직경(D)의 20% 이하이다.
상기 앞 부분 핀(5)은 선저로부터 선측으로 돌아나오는 소용돌이(빌지 볼텍스(9))를 약하게 함과 동시에, 순차적으로 프로펠러의 앞쪽으로 유도한다. 상기 뒤쪽 핀(6)은 상기 앞 부분 핀(5)에 의해 프로펠러(4)의 앞쪽으로 유도되는 빌지 볼텍스(9)의 확산을 방지하고, 앞 부분 핀(5)과 뒤쪽 핀(6)과의 사이 틈으로 흐르는 유체의 흐름(10)은 빌지 볼텍스(9)의 확산 방지 작용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빌지 볼텍스(9)가 약화되는 경우, 프로펠러로 유입되는 유체가 더욱 균일해 지고, 빌지 볼텍스(9)의 확산이 방지되면, 빌지 볼텍스(9)에 의한 유도 저항이 줄어들기 때문에 선체 저항이 감소되어 선박의 추진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출원인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치해석을 시행하였고, 수치해석의 결과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 좌측의 그림이 도 1의 핀 장치가 부착되지 않은 선박(bare hull)의 추진기로 유입되는 유체의 속도를 나타낸 것이고, 우측의 그림이 도 1의 핀 장치가 부착된 선박의 추진기로 유입되는 유체의 속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에서 붉은색이 베어 헐(bare hull)의 등압력선을 나타낸 것이고, 검은색이 도 1의 핀 장치가 부착된 선박의 등압력선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에서 선미쪽으로 갈수록 크기가 큰 등압력선을 의미한다.
본 출원인은 상기 수치해석을 함에 있어서, 핀의 부착조건을 일본공개특허번호 제2002-362485호에 개시된 실시예의 범위 내에서 설정하였다.
상기 앞 부분 핀(5)을 선박의 길이방향으로는 선미수선(A.P.)으로부터 Lbp의 15%의 위치에, 선박의 높이방향으로는 선저로부터 추진기 직경의 30%의 위치에 장착하고, 상기 앞 부분 핀(5)의 길이를 추진기 직경과 동일하게, 폭을 추진기 직경의 7%로, 선저에 대한 각도를 10도로 설정였다. 또한, 상기 뒤쪽 핀(6)을 선박의 길이방향으로는 추진기 바로 직전에, 선박의 높이방향으로는 선저로부터 추진기 직경의 90%의 위치에 장착하고, 뒤쪽 핀(6)의 길이를 추진기 직경의 80%로, 폭을 추진기 직경의 10%로, 각도는 선저와 평행하게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조건에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을 때,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1의 핀 장치가 부착된 선박의 추진기로 유입되는 유체의 속도는 도 1의 핀 장치가 부착되지 않은 선박(bare hull)의 추진기로 유입되는 유체의 속도에 비해 추진기의 하부면에 있어서는 거의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고, 추진기의 상부면에 있어서는 오히려 감소되는 부분(옅은 하늘색에서 짙은 하늘색으로 변한 부분)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추진기에 의한 진동을 줄이는 효과가 나타나고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또한, 도 4를 살펴보면, 도 1의 핀 장치가 부착된 선박의 등압력선과 베어 헐(bare hull)의 등압력선이 거의 일치하여, 압력 저항이 거의 감소하지 않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이와 같이 압력 저항이 감소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선박의 추진 효율이 그다지 향상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빌지 볼텍스가 선박 추진기로 유입되지 않게 하여, 선박 추진기에 의한 진동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선체 저항을 감소시키고, 선박 추진기 상부 및 하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을 가속시킴으로써 선박 추진기에 의한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압력저항 및 진동 개선 용 유동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선박의 길이방향으로는 2스테이션 내지 4스테이션 사이에, 선박의 높이방향으로는 선저로부터 설계흘수의 10% 내지 2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설계흘수에 대해 20도 내지 40도 사이의 각도로 부착되는 하부핀; 및 선박의 길이방향으로는 2스테이션 내지 4스테이션 사이에, 선박의 높이방향으로는 선저로부터 설계흘수의 30% 내지 6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설계흘수에 대해 10도 내지 30도 사이의 각도로 부착되는 상부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저항 및 진동 개선 용 유동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선박의 길이방향으로는 1스테이션 내지 3스테이션 사이에, 선박의 높이방향으로는 선저로부터 설계흘수의 5% 내지 2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설계흘수에 대해 10도 내지 40도의 각도로 부착되는 추가핀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부핀은 새로운 볼텍스를 생성시키고, 새로운 볼텍스는 빌지 볼텍스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빌지 볼텍스(bilge vortex)의 경로를 변경시켜 빌지 볼텍스가 추진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추진기 상부의 유속을 느리게 하여 저항성능을 개선시킨다. 상기 상부핀과 추가핀은 추진기로 유입되는 유속을 가속시켜 추진기에 의한 진동을 감소시킨다. 특히, 상기 상부핀은 선체면에서의 유선을 더욱 직선화하여 저항 성능 개선에 도움을 준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핀, 하부핀, 추가핀은 직사각형, 사다리꼴 및 삼각형의 형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핀, 하부핀, 추가핀의 두께는 20mm 내지 100mm 사이이고, 폭은 상기 선박 길이의 0.1% 내지 0.5% 사이이고, 길이는 상기 선박의 0.3% 내지 3% 사이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저항 및 진동 개선 용 유동제어장치의 일 실시예가 부착된 선박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가 부착된 선박의 부분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핀(102)은 선박(100)의 길이방향(X축 방향)으로는 2스테이션 내지 4스테이션 사이에, 선박(100)의 높이방향(Z축 방향)으로는 선저(108)로부터 설계흘수(110)의 30% 내지 60% 사이의 높이(H1)에 위치하고, 상기 설계흘수(110)에 대해 10도 내지 30도 사이의 각도(D1)로 부착된다.
하부핀(104)은 선박(100)의 길이방향(X축 방향)으로는 2스테이션 내지 4스테이션 사이에, 선박(100)의 높이방향(Z축 방향)으로는 선저(108)로부터 설계흘수(110)의 10% 내지 20% 사이의 높이(H2) 위치하고, 상기 설계흘수(110)에 대해 20도 내지 40도 사이의 각도(D2)로 부착된다.
추가핀(106)은 선박(100)의 길이방향(X축 방향)으로는 1스테이션 내지 3스테이션 사이에, 선박(100)의 높이방향(Z축 방향)으로는 선저(108)로부터 설계흘수(110)의 5% 내지 20% 사이의 높이(H3)에 위치하고, 상기 설계흘수(110)에 대해 10도 내지 40도의 각도(D3)로 부착된다.
여기서, 스테이션이란 LBP를 20개의 동일 구간으로 분리한 후 각각의 구간간의 경계를 칭하는 말이다. 선미부에서부터 번호가 부여되고 첫번째 스테이션의 번호는 0번, 마지막 스테이션의 번호는 20번이다. 상기 LBP는 선수수선과 선미수선간의 거리를 의미한다. 설계수선과 선수재의 앞면과의 교점을 지나고 설계수선에 연직으로 그은 선을 선수수선(F.P)이라 하고, 선미수선(A.P)이란 명확한 타주(rudder post)를 가지는 선박에서는 타주의 뒷면과 설계수선과의 교점을 지나는 연직선이며, 그렇지 않은 선박에서는 타두재(rudder stock)의 중심선과 설계수선과의 교점을 지나는 연직선이다.
상기 상부핀(102), 하부핀(104), 추가핀(106)은 직사각형 형상, 사다리꼴 형상 및 삼각형의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동일한 형상 또는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선박의 양 측면에 대칭되게 부착된다.
상기 상부핀(102), 하부핀(104), 추가핀(106)의 두께(T1, T2, T3)는 20mm 내 지 100mm 사이의 값을 가지고, 폭(W)은 상기 선박(100) 길이의 0.1% 내지 0.5% 사이의 값을 가지며, 길이(L1, L2, L3)는 상기 선박(100)의 0.3% 내지 3% 사이의 값을 가진다. 여기서 폭은 상기 핀들(102, 104, 106)의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인 경우에는 길이가 더 긴 아랫변의 길이를, 삼각형 형상인 경우에는 밑변의 길이를 의미한다.
상기 상부핀(102)은 추진기의 윗쪽 날개로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을 가속시키고, 상기 추가핀(106)은 추진기의 아래쪽 날개로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을 가속시며, 특히, 선체면에서의 유선을 더욱 직선화하여, 저항 성능 개선에 도움을 준다. 추진기의 날개로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이 빨라지면 상기 추진기 날개에서 공동현상(캐비테이션(cavitation))이 덜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선체변동압력이 감소하여 선체의 진동이 감소된다. 공동현상이란 일정 온도에서 주위압력이 증기압 이하로 강하되어 액체의 상태에서 기체의 상태로 바뀌는 현상을 말한다.
상기 하부핀(104)은 선저(108)에 대한 유선의 흐름 각도보다 크게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볼텍스(vortex)가 발생시키고, 이 볼텍스는 선저로부터 선측으로 돌아오는 소용돌이 즉, 빌지 볼텍스(bilge vortex)와 상호작용하여, 상기 빌지 볼텍스가 추진기 상부로 흐르도록 상기 빌지 볼텍스를 유도한다. 따라서, 빌지 볼텍스는 추진기 면으로 유입되지 아니하고, 불안정한 소용돌이인 빌지 볼텍스가 추진기 날개로 유입되지 아니하면, 추진기 날개에서의 반류가 균일화되어 선체변동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선체의 진동이 감소한다.
또한, 상기 하부핀(104)에 의해 추진기 상부로 유도되는 빌지 볼텍스는 추진 기 상부의 유속을 느리게 하여 추진기 상부의 압력을 증가시킨다. 증가된 추진기 상부의 압력은 선체를 전방으로 추진시키는 힘으로 작용하므로 결국, 선체의 압력 저항이 감소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7은 도 5의 실시예가 부착된 선박의 추진기로 유입되는 유체의 속도와 도 5의 실시예가 부착되지 않은 선박(bare hull)의 추진기로 유입되는 유체의 속도를 비교한 것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유체의 속도에 의해 변화된 단위 부피에 포함된 캐비티의 양을 도시한 것이며, 도 9는 도 5의 실시예가 부착된 선박의 등압력선과 베어 헐(bare hull)의 등압력선을 비교한 것이고, 도 10은 도 5의 실시예가 부착된 선박의 유효마력과 베어 헐(bare hull)의 유효마력을 비교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본 실시예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수조에서 모형시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모형시험에서 선박의 방형계수는 0.81로 하였고, 상부핀(102)을 X축 방향으로는 3스테이션에, Z축 방향으로는 선저(108)로부터 설계흘수(110)의 40%의 높이에, 설계흘수(110)에 대한 각도는 18.5도로 부착시켰고, 하부핀(104)을 X축 방향으로는 3스테이션에, Z축 방향으로는 선저(108)로부터 설계흘수(110)의 15%의 높이에, 설계흘수(110)에 대한 각도는 32도로 부착시켰으며, 추가핀(106)을 X축 방향으로는 2스테이션에, Z축 방향으로는 선저(108)로부터 설계흘수(110)의 10%의 높이에, 설계흘수(110)에 대한 각도는 23도로 부착시켰다. 상기 핀들(102, 104, 106)의 형상은 모두 직사각형 형상으로 하였고, 그 길이(L1, L2, L3)는 모두 LBP의 1%로 하였으며, 폭(W)은 모두 LBP의 0.2%로 하였다.
이와 같은 조건 하에서 모형시험과 수치해석을 수행한 결과가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추진기로 유입되는 유체의 속도를 도시한 것인데, (a)는 본 실시예가 부착되지 않은 선박(bare hull)의 경우를, (b)는 본 실시예가 부착된 선박의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의 (a)와 (b)를 비교하여 보면, (a)에서는 추진기의 상부로 유입되는 유속이 파란색 및 하늘색으로 표시되어 있어, 0.4 내지 0.5의 속도로 유체가 추진기로 유입되나, (b)에서는 녹색 및 노란색으로 표시되어 있어, 0.65 내지 0.85의 속도로 유체가 추진기로 유입됨을 알 수 있다. 또한, (a)에서는 추진기의 하부로 유입되는 유속이 녹색으로 표시되었던 부분이 (b)에서는 오랜지색으로 표시되어 그 유속이 0.7에서 0.9로 빨라졌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추진기로 유입되는 유속이 빨라지면 추진기에 의한 진동이 감소하게 되는데, 이 결과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에서 가로축은 추진기를 선체 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12시 방향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의 회전각도(양의 값)와, 반시계방향의 회전각도(음의 값)를 표시한 것이고, 세로축은 단위부피에 포함된 캐비티(cavity)를 표시한 것이다.
도 8에서 붉은 색으로 표시한 선이 베어 헐(bare hull)에서의 값이고, 연두색으로 표시한 선이 본 실시예가 부착된 경우의 값이다. 두 값을 비교하여 보면, 본 실시예가 부착되지 않은 경우보다 본 실시예가 부착된 경우에, 단위부피에 포함된 캐비티의 양이 더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캐비티의 양이 감소하면 추진기에 의한 진동이 감소하므로 결국, 베어 헐의 경우보다 본 실시예가 부착된 경우에 추 진기에 의한 진동이 더 감소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9는 선체 표면의 등압력선을 도시한 것인데, 파란색이 본 실시예가 부착된 경우의 등압력선이고, 붉은색이 베어 헐의 경우 등압력선이며, 등압력선은 선미방향으로 갈수록 큰 값을 가진다.
도 9에서 임의의 한 점을 선택할 경우, 그 점에서의 압력은 본 실시예가 부착된 경우가 베어 헐의 경우보다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고, 그 차이가 특별하게 큰 부분은 원형의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선체 후방에서의 압력이 높아지면, 상기 압력이 선박을 선수방향으로 미는 힘으로 작용하므로, 결국, 압력 저항이 감소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압력 저항이 감소하면 선박의 추진 효율이 향상되는데, 이 결과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은 선박의 유효마력을 도시한 것인데, 가로축은 선박의 속도를 표시하고, 세로축은 선박의 유효마력을 표시하며, 실선은 본 실시예가 부착된 경우를, 점선은 베어 헐의 경우를 표시한다.
도 10을 참고하면, 약 15.5노트의 속도로 선박을 전진시키기 위해서 본 실시예가 부착된 경우에는 18000ps의 마력이 필요하지만, 베어 헐의 경우에는 19000ps의 마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5%의 유효마력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핀의 부착만으로 선박 추진기에 의한 진동을 감소 시킬 수 있어 승선자들의 쾌적한 항해 환경이 조성되고, 선박의 추진 효율의 향상으로 인해 연료를 더욱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선박의 길이방향으로는 2스테이션 내지 4스테이션 사이에, 선박의 높이방향으로는 선저로부터 설계흘수의 10% 내지 2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설계흘수에 대해 20도 내지 40도 사이의 각도로 부착되는 하부핀; 및
    선박의 길이방향으로는 2스테이션 내지 4스테이션 사이에, 선박의 높이방향으로는 선저로부터 설계흘수의 30% 내지 6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설계흘수에 대해 10도 내지 30도 사이의 각도로 부착되는 상부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저항 및 진동 개선 용 유동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선박의 길이방향으로는 1스테이션 내지 3스테이션 사이에, 선박의 높이방향으로는 선저로부터 설계흘수의 5% 내지 2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설계흘수에 대해 10도 내지 40도의 각도로 부착되는 추가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저항 및 진동 개선 용 유동제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핀, 하부핀, 추가핀은 직사각형, 사다리꼴 및 삼각형의 형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저항 및 진동 개선 용 유동제어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핀, 하부핀, 추가핀의 두께는 20mm 내지 100mm 사이이고, 폭은 상기 선박 길이의 0.1% 내지 0.5% 사이이고, 길이는 상기 선박 길이의 0.3% 내지 3%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저항 및 진동 개선 용 유동제어장치.
KR1020060083991A 2006-09-01 2006-09-01 압력저항 및 진동 개선 용 유동제어장치 KR100718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3991A KR100718934B1 (ko) 2006-09-01 2006-09-01 압력저항 및 진동 개선 용 유동제어장치
PCT/KR2007/004227 WO2008026903A1 (en) 2006-09-01 2007-09-03 Flow control mechanism for improving pressure resistance and hull vibration
US12/439,501 US7857672B2 (en) 2006-09-01 2007-09-03 Flow control device for improving pressure resistance and hull vibration
JP2009526545A JP4977208B2 (ja) 2006-09-01 2007-09-03 圧力抵抗及び船体振動を改善するための流れ制御装置
PT2007004227A PT2008026903W (pt) 2006-09-01 2007-09-03 Dispositivo de controlo de fluxo para melhorar a resistência a pressão e á vibração de casco
GB0903430.7A GB2454426B (en) 2006-09-01 2007-09-03 Flow control mechanism for improving pressure resistance and hull vibration
ES200950008A ES2342916B2 (es) 2006-09-01 2007-09-03 Dispositivo de control de flujo para mejorar la resistencia de presion y la vibracion de un casco.
CN2007800322484A CN101511669B (zh) 2006-09-01 2007-09-03 用于改进耐压性和船体摆动的流量控制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3991A KR100718934B1 (ko) 2006-09-01 2006-09-01 압력저항 및 진동 개선 용 유동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8934B1 true KR100718934B1 (ko) 2007-05-18

Family

ID=38277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3991A KR100718934B1 (ko) 2006-09-01 2006-09-01 압력저항 및 진동 개선 용 유동제어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857672B2 (ko)
JP (1) JP4977208B2 (ko)
KR (1) KR100718934B1 (ko)
CN (1) CN101511669B (ko)
ES (1) ES2342916B2 (ko)
GB (1) GB2454426B (ko)
PT (1) PT2008026903W (ko)
WO (1) WO200802690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12978A (zh) * 2008-06-25 2009-12-30 住友重机械海洋工程株式会社 船体结构
KR101104881B1 (ko) * 2009-08-11 2012-01-1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동저항저감형으로 형상설계된 선체를 가진 선박
KR101853747B1 (ko) * 2016-08-25 2018-05-03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선미유동 개선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01640B2 (ja) * 2010-01-13 2012-12-19 サノヤス造船株式会社 船舶フィン装置
JP5101680B2 (ja) * 2010-10-21 2012-12-19 株式会社新来島どっく 船尾フィン
JP5372977B2 (ja) * 2011-01-31 2013-12-18 株式会社新来島どっく 複合型フィン
JP5868805B2 (ja) * 2012-07-31 2016-02-24 住友重機械マリン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肥大船
KR101661584B1 (ko) * 2015-03-04 2016-10-1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추진기 소음 및 진동 저감을 위한 비대칭 반류 생성 와류 발생기
JP6351700B2 (ja) * 2016-12-27 2018-07-04 ジャパンマリンユナイテッド株式会社 フィン装置及び船舶
JP7049144B2 (ja) * 2018-03-15 2022-04-06 三菱造船株式会社 船尾フィン及び船舶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0889A (ja) 1982-09-17 1984-03-24 Sanoyasu:Kk 船尾渦を制御する船尾フイン
JPS6239394A (ja) 1985-08-16 1987-02-2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船尾流整流可動フイン装置
JPH08318896A (ja) * 1995-05-26 1996-12-03 Shinkurushima Dock:Kk 船舶の針路安定フィン
KR970010819B1 (ko) * 1992-12-04 1997-07-01 마사카즈 오오사와 고속동력보우트
JPH11255178A (ja) 1998-03-09 1999-09-2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船 舶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19329A (en) * 1938-09-20 1940-03-21 Joseph Hind Pesco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hips hulls
FR1067527A (fr) * 1952-12-09 1954-06-16 Chantier Et Ateliers De Saint Dispositif d'appendices profilés sur les navires pour ameliorer l'endurance et le fonctionnement des hélices
JPS5663593A (en) * 1979-10-29 1981-05-30 Mitsubishi Heavy Ind Ltd Nozzle propeller device
DE3324753A1 (de) * 1983-07-06 1985-01-17 Hermann Dr.-Ing. 1000 Berlin Grothues-Spork Anordnung zum beeinflussen der propelleranstroemung
JPS62292592A (ja) * 1986-06-13 1987-12-1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船尾流整流フイン装置
JP3808726B2 (ja) * 2001-06-05 2006-08-16 株式会社サノヤス・ヒシノ明昌 船舶フィン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0889A (ja) 1982-09-17 1984-03-24 Sanoyasu:Kk 船尾渦を制御する船尾フイン
JPS6239394A (ja) 1985-08-16 1987-02-2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船尾流整流可動フイン装置
KR970010819B1 (ko) * 1992-12-04 1997-07-01 마사카즈 오오사와 고속동력보우트
JPH08318896A (ja) * 1995-05-26 1996-12-03 Shinkurushima Dock:Kk 船舶の針路安定フィン
JPH11255178A (ja) 1998-03-09 1999-09-2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船 舶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12978A (zh) * 2008-06-25 2009-12-30 住友重机械海洋工程株式会社 船体结构
KR101104881B1 (ko) * 2009-08-11 2012-01-1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동저항저감형으로 형상설계된 선체를 가진 선박
KR101853747B1 (ko) * 2016-08-25 2018-05-03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선미유동 개선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11669B (zh) 2012-11-28
PT2008026903W (pt) 2009-10-15
GB2454426B (en) 2012-02-29
JP4977208B2 (ja) 2012-07-18
US7857672B2 (en) 2010-12-28
GB0903430D0 (en) 2009-04-08
GB2454426A (en) 2009-05-06
ES2342916B2 (es) 2011-11-15
ES2342916A1 (es) 2010-07-16
WO2008026903A1 (en) 2008-03-06
US20090266286A1 (en) 2009-10-29
CN101511669A (zh) 2009-08-19
JP2010502492A (ja) 2010-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8934B1 (ko) 압력저항 및 진동 개선 용 유동제어장치
KR20090072242A (ko) 추진기 유기 기진력 저감을 위한 선박의 다중 유동제어장치
PL204857B1 (pl) Kadłub statku wypornościowego
KR20090110779A (ko) 핀이 장착된 방향타
KR101049308B1 (ko) 가변핀을 구비하는 선박
KR200399867Y1 (ko) 선박 냉각수 배출수의 유동 제어 기구
TWI772675B (zh) 特別是用於貨櫃船、散裝貨船或油輪之船體
JP2007253697A (ja) 船舶
KR102376325B1 (ko) 선박
KR20180128804A (ko) 와류 생성핀을 포함하는 선박
KR20220142267A (ko) 선박용 추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US9238501B1 (en) Bilge keel with porous leading edge
KR20220051711A (ko) 유체 정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60063570A (ko) 선박용 추진장치
KR20160056470A (ko) 선박용 추진장치
CN110062734B (zh) 翅片装置及船舶
JPWO2008099672A1 (ja) 排水量型船舶の船尾形状
CA3225783A1 (en) Marine vessel flow modifying device
KR20190116797A (ko) 선박용 에너지 절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JP2023514098A (ja) 操向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船舶
bin Abdul Malek et al. Study on Resistance of Stepped Hull Fitted With Interceptor Plate
KR20110136946A (ko) 소용돌이 발생기가 부착된 선박
Papanikolaou et al. Ship’s Hull Form
KR20160063572A (ko) 선박용 추진장치
Nugroho et al. The hydrodynamic flow around the winged keel of Australia II yac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