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7616B1 - 공간부가 구비된 액자 - Google Patents

공간부가 구비된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7616B1
KR100717616B1 KR1020060044208A KR20060044208A KR100717616B1 KR 100717616 B1 KR100717616 B1 KR 100717616B1 KR 1020060044208 A KR1020060044208 A KR 1020060044208A KR 20060044208 A KR20060044208 A KR 20060044208A KR 100717616 B1 KR100717616 B1 KR 100717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rame
groove
plate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4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문상
Original Assignee
안문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문상 filed Critical 안문상
Priority to KR1020060044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76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7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7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5Interconnected frames; Frame assemblies; Frames for two or more pic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8Picture frames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47G1/142Supporting legs or fe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88Picture frames where the picture is inserted through a slit in one of the frame member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공간부가 구비된 액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전면부가 개방되며 내부 양측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이 형성된 본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며 전면에 사진이 거치되는 이동 부재; 상기 이동 부재의 후면에 배치되어 복수개의 사진이 수납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수납 부재; 및 상기 이동 부재 및 수납 부재를 상기 본체의 전면부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홈은 상단부가 하단부에 비하여 상기 본체의 전면부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이동 부재 및 수납 부재는 상시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여 액자의 내부 공간을 사진 수납 공간으로 적극 활용하며, 수시로 사진을 용이하게 교체함으로써 사용자의 지속적인 소장 욕구를 충족하고자 하는 공간부가 구비된 액자에 관한 것이다.
액자, 가이드 홈, 이동 부재, 거치 플레이트, 공간부, 수납 부재, 수납 플레이트, 탄성 부재

Description

공간부가 구비된 액자{Frame with storage space}
도 1은 본원 발명에 따른 공간부가 구비된 액자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원 발명에 따른 공간부가 구비된 액자의 체결구 구조 및 바닥 플레이트와 마감 바의 결합을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원 발명의 작동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 개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본체 16...가이드 홈
18...안치 홈 19...마감 플레이트
20...이동 부재 22...지지 바
24...거치 플레이트 26...돌기
30...수납 부재 32...수납 플레이트
34...바닥 플레이트 36...마감 바
38...마개 40...탄성 부재
50...체결구 S....공간부
본원 발명은 공간부가 구비된 액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액자에 구비된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부재 및 수납 부재와 상기 액자 내에 구비된 탄성 핀에 의하여 상기 이동 부재 및 수납 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액자의 내부 공간을 사진 수납 공간으로 적극 활용하며, 수시로 사진을 용이하게 교체함으로써 사용자의 지속적인 소장 욕구를 충족하고자 하는 공간부가 구비된 액자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액자는 틀 속에 사진 또는 그림을 끼워 넣고 벽에 걸거나 탁상 위에 거치해 두고, 전시하거나 감상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통상의 액자는 틀 속에 사진을 끼워 넣고 상기 틀 후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 복수개의 고정구에 의하여 마감판으로 마감하는 구성이거나, 아예 밀봉을 해버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액자의 경우는 많은 사진이나 그림을 수시로 바꿔 끼워 전시함으로써 분위기를 전환하고자 하는 다양한 수요자의 욕구에 대응하기에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음은 물론, 액자 내부 공간의 활용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과 아울러 사진의 교체 및 수납 자체가 어려운 점도 있었다.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액자 내부의 공간을 수납 공간으로 적극 활용함은 물론, 수시로 사진을 교체하여 전시함에 용이하고 효율적인 구성을 지닌 공간부가 구비된 액자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 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은, 전면부가 개방되며 내부 양측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이 형성된 본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며 전면에 사진이 거치되는 이동 부재; 상기 이동 부재의 후면에 배치되어 복수개의 사진이 수납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수납 부재; 및 상기 이동 부재 및 수납 부재를 상기 본체의 전면부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홈은 상단부가 하단부에 비하여 상기 본체의 전면부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이동 부재 및 수납 부재는 상시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개방된 전면부에 대하여 후면부가 마감 플레이트로 마감되며, 하부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이동 부재 및 수납 부재의 수납을 위하여 형성된 안치 홈이 더 구비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가이드 홈 상을 이동하는 돌기가 양단에 구비된 지지 바; 및 상기 지지 바 하부면의 전단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전면에 사진이 거치되는 사각 판재 형상의 거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납 부재는 상기 이동 부재의 상단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이동 부재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사각 판재 형상의 수납 플레이트; 하부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체결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수납 플레이트의 하단부가 연장하여 절곡 형성된 것으로 상기 이동 부재의 하단부와 결합되는 바닥 플레이트; 상기 안치 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작되며 상기 체결 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의 체결 홈이 형성되어 상기 바닥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마감 바; 및 상기 체결 홈의 입구를 마감하는 마개;로 이루어지되, 상기 체결 돌기는 마개로 마감된 상기 체결 홈 상에서 유격을 허용하며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마감 플레이트 하부의 양측에 각각 상하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돌출 형성된 고정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 돌기에 양단이 고정된 상태로 장착되어 자체 탄성을 구비하는 원호 형상의 탄성 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수납 부재는 상기 마감 바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탄성지지되며 전후방 이동하는 체결구에 의하여 상기 본체 양측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구는 상기 마감 바 양단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장공을 가로질러 장착된 힌지봉; 상기 힌지봉을 회전축으로 회동 결합되며 양단에 상호 반대 방향으로 직교 형성된 돌기가 구비된 체결편; 및 상기 체결편 양단의 돌기 반대측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편의 돌기가 본체 양측의 하단부에 형성된 홈에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도 1은 본원 발명에 따른 공간부가 구비된 액자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원 발명에 따른 공간부가 구비된 액자의 체결구 구조 및 바 닥 플레이트와 마감 바의 결합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은 크게, 본체(10), 이동 부재(20), 수납 부재30) 및 탄성 부재(4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전면부가 개방되고 후면부가 마감 플레이트(19)로 마감되며, 내부 양측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16)이 형성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상기 마감 플레이트(19)의 가장자리에 상부 틀체(12) 및 좌, 우 양측의 측방 틀체(14)로 외관을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로 11은 상기 상부 틀체(12) 및 측방 틀체(14)의 외관을 마감하며 유리 또는 합성 수지와 같은 투명 재질의 마감판(미도시)을 고정하는 장식용의 마감 틀체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홈(16)은 상기 측방 틀체(14)의 상하 방향을 따라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 것으로, 그 상단부가 하단부에 비하여 상기 본체(10)의 전면부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하부면, 즉 상기 마감 틀체(11)의 하부면 일측에는 후술할 이동 부재(20) 및 수납 부재(30)의 수납을 위하여 상기 마감 틀체(11) 하부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안치 홈(18, 도 3 참고)이 더 구비된다.
또한, 도 1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원 발명에 따른 액자의 본체(10)는 벽걸이용으로 상부면, 즉 상부 틀체(12)에 걸이구를 별도로 장착하여 걸어두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마감 플레이트(19) 상부측에 걸이홈을 형성하여 걸어두는 것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이동 부재(20)는 상기 가이드 홈(16)을 따라 이동하며 전면에 사진이 거치되는 것으로, 크게 지지 바(22) 및 거치 플레이트(2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지지 바(22)는 상기 가이드 홈(16) 상을 이동하는 돌기(26)가 양단에 돌출 형성된 바(bar) 형상의 것이며, 상기 지지 바(22)의 길이는 상기 측방 틀체(14) 상호간의 거리에 상당하는 정도로 제작되도록 한다.
상기 거치 플레이트(24)는 상기 지지 바(22) 하부면의 전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사각 판재 형상의 것으로, 상기 거치 플레이트(24)에 사진이 거치되게 되며 상기 거치 플레이트(24)의 크기는 상기 마감 틀체(11)로 마감된 부분을 제외한 상기 본체(10)의 개방된 전면부보다는 크게 제작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수납 부재(30)는 상기 이동 부재(20)의 후면에 배치되어 복수개의 사진이 수납되는 공간부(S)를 형성하는 것으로, 크게 수납 플레이트(32), 바닥 플레이트(34), 마감 바(36) 및 마개(38, 도 2 참고)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납 플레이트(32)는 상기 이동 부재(20)의 후면, 더욱 자세히는 상기 지지 바(22) 하부면의 후단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이동 부재(20)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사각 판재 형상으로 제작된 것이다.
상기 바닥 플레이트(34)는 상기 수납 플레이트(32)의 하단부가 연장하여 상기 본체(10) 전면부측으로 절곡 형성된 것으로, 하부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체결 돌기(35, 도 2 참고)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공간부(S)는 상기 수납 및 바닥 플레이트(32, 34)에 의하여 이동 부재(20)의 거치 플레이트(24)와 함께 측단면이 닫힌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공간부(S)에 복수개의 사진을 수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마감 바(36)는 상기 안치 홈(18, 도 3 참고)에 대응되는 바 형상의 것으로, 상기 체결 돌기(35)의 상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체결 홈(35', 도 2 참고)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체결 홈(35')은 상기 마감 바(36)의 후단면, 즉 상기 본체(10) 후면부측에서 시작되어 소정 길이 전방측으로 이어진 것이다.
여기서, 상기 마감 바(36) 상부면의 전방측 단부에는 상기 마감 바(36)의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턱(36')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사용자가 사진의 교체를 위하여 상기 본체(10) 하부측으로 수납 부재(30)를 하강시킨 상태에서, 상기 수납 부재(30) 전방의 거치 플레이트(24)에 임시로 거치한 사진이 상기 걸림턱(36')에 의하여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수단인 것이다.
상기 마개(38)는 상기와 같은 구성의 마감 바(36)에 상기 바닥 플레이트(34)의 체결 돌기(35)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 홈(35')의 입구를 마감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결합된 상기 체결 돌기(35)는 마개(38)로 마감된 상기 체결 홈(35') 상에서 유격을 허용하며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탄성 부재(40)는 상기 마감 플레이트(19)에 장착되어 수납 플레이트(32)의 후방면을 상기 본체(10)의 전면부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 부재(40)는 상기 마감 플레이트(19) 하부의 양측에 각각 상하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돌출 형성된 고정 돌기(19')에 양단이 고정된 상태로 장착된 원호 형상의 것으로 자체 탄성을 구비한 판 스프링과 같은 탄성 핀인 것이다.
이때, 상기 탄성 부재(40)가 장착된 위치에 코일 스프링과 같이 탄성 지지가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도 적용 가능하지만, 본원 발명에서 상기 탄성 부재(40)를 원호 형상의 탄성 핀으로 채택한 것은 상기 이동 부재(20) 및 수납 부재(30)를 보다 원활하게 탄성 지지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40)는 그 형상을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 형상으로 하되, 상기 마감 플레이트(19)의 상, 하부 돌기(19') 중 하부 돌기(19')를 상기 수납 플레이트(32) 후방의 하부측에 장착되도록 하고 탄성 부재(40)의 하단부를 자유단으로 하는 변형 또한 가능하다.
즉, 상기 탄성 부재(40)는 상, 하 양단 중 하단을 고정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이동 부재(20) 및 수납 부재(30)의 승강 동작 중 상승시 상기 수납 부재(30)에 구비되도록 한 돌기에 걸리도록 하고, 하강 시에는 자유단인 상기 탄성 부재(40)의 탄성 반발력으로 본체(10)로부터 상기 이동 및 수납 부재(20, 30)가 원활하게 분리되도록 하는 응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상술한 탄성 부재(40)의 작동 실시예에 관하여는 후술시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원 발명에 따른 공간부가 구비된 액자는 이동 부재(20) 및 수납 부재(30)가 본체(10) 내에 수납되어지되, 상기 본체(10)와 수납 부재(30) 상호 간은 상기 마감 바(36) 양단에 각각 장착되어 탄성 지지되는 체결 구(50)에 의하여 본체(10) 양측의 하단부, 즉 측방 틀체(14) 하단부에 형성된 홈(15)과 결합 고정되게 된다.
이하, 본원 발명에 따른 상기 체결구(50)의 구성 및 작동 메커니즘과 함께 상기 수납 부재(30)의 결합, 더욱 상세히는 바닥 플레이트(34)와 마감 바(36)의 결합을 도 2를 참고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체결구(50)는 크게, 힌지봉(52), 체결편(54) 및 스프링(5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힌지봉(52)은 마감 바(36)의 양단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장공(37)을 가로질러 장착된 것으로, 여기에 상기 체결편(54)이 상기 본체(10)의 전후방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편(54)은 상기 힌지봉(52)을 회전축으로 하며 양단에 상호 반대 방향으로 직교 형성된 돌기(55)가 구비된 것이며, 상기 체결편(54) 양단의 돌기(55) 반대측을 스프링(56)이 탄성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돌기(55) 중 상기 마감 바(36) 상부면에 돌출된 상부측의 돌기(55)는 상기 본체(10) 양측의 하단부에 형성된 홈(15)에 원활하게 걸리도록 전방측이 후방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동 부재(20)의 거치 플레이트(24) 후방에 배치되어 결합되는 수납 부재(30)의 수납 플레이트(32) 및 바닥 플레이트(34)에 의하여 공간부(S)가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닥 플레이트(34) 하부면에 돌출 형성된 돌기(35)는 상기 마 감 바(36)의 후면에서부터 전면측을 향해 형성된 체결 홈(35')과 결합되며, 상기 돌기(35)가 체결 홈(35')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 홈(35')의 입구를 마개(38)로 마감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바닥 플레이트(34)는 필요에 따라, 즉 상기 공간부(S)에 보다 많은 사진의 수납을 위하여 상기 바닥 플레이트(34)의 폭(d)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원 발명에 따른 공간부가 구비된 액자의 작동 실시예에 관하여 도 3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도면의 부호 중 P는 교체된 또는 교체하고자 하는 사진을, P'는 공간부(S)에 수납된 사진들을 각각 나타내며, 도 3(a)는 상기 사진(P)을 교체하기 전의 상태를, 도 3(b)는 상기 사진(P)의 교체가 완료된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우선, 사용자는 본체(10)로부터 이동 부재(20) 및 수납 부재(30)의 체결구(50, 도 2 참고)에 의한 결합을 해제하여 상기 본체(10) 하부측으로 내림으로써 도 3(a)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이동 부재(20)와 수납 부재(30)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부(S)에 수납된 복수개의 사진(P') 중 마음에 드는 것을 골라 상기 이동 부재(20)의 거치 플레이트(24)에 거치되어 있던 사진(P)과 교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 부재(20)의 돌기(26)는 상기 본체(10) 측면의 가이드 홈(16) 하단부에 위치한 상태이며, 상기 마감 바(36)의 걸림턱(36')에 의하여 상기 거치 플레이트(24)에 거치된 사진(P)은 상기 마감 바(36)에서 미끄러져 흘러내리지 않게 된다.
동시에, 상기 수납 부재(30) 하부면의 돌기(35)는 마개(38)로 입구가 마감된 체결 홈(35') 상에서 유격을 허용하면서 이동 가능한 상태임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걸림턱(36')은 체결 홈(35')에 근접한 위치까지 돌출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마감 바(36) 및 거치 플레이트(24)에 거치된 사진(P)의 보다 확실한 거치를 도모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사진(P)을 상기 거치 플레이트(24)에 임시로 거치해 둔 채, 상기 수납 부재(30)의 돌기(35)를 체결 홈(35') 전방측까지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체결 홈(35') 전방측까지 인접하게 형성된 걸림턱(36')과 상기 돌기(35) 상부측의 거치 플레이트(24) 사이에 상기 사진(P)의 하단부가 임시 고정될 수 있게 되므로 가능한 것이다.
계속하여, 사용자는 상기 수납 부재(30)의 마감 바(36) 하부면에서부터 상부측으로 힘(F)을 가하여 상기 이동 부재(20) 및 수납 부재(30)를 본체(10) 상부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 부재(20) 및 수납 부재(30)는 지지 바(22)의 양단에 구비된 돌기(26)가 상기 본체(10)의 가이드 홈(16)을 따라 도 3(b)와 같이 상기 가이드 홈(16)의 상단부까지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홈(16)이 상기 본체(10) 전면부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은 원호 형상인 탄성 부재(40)의 면을 따라 상기 지지 바(22)가 접촉하며 상승시, 상기 지지 바(22)를 포함한 이동 부재(20) 및 수납 부재(30)가 보다 작은 힘으로도 상기 탄성 부재(40)의 탄성 지지력, 즉 상기 본체(10) 전면부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이기고 원활하게 올라갈 수 있도록 한 기술적 수단인 것이다.
그리고, 도 3(b)에서 상기 체결 홈(35')의 길이(ℓ)는 상기 가이드 홈(16)의 하단부에 대하여 상기 본체(10)의 전면부측으로 경사진 상단부와 기준선과의 거리(ℓ')에 상당하는 정도로 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선은 상기 가이드 홈(16)의 하단부에서 지면과 수직하게 상하로 연장 형성한 가상의 선으로 정의하며, 상기 길이(ℓ)는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체결 홈(35')의 길이로 정의하고자 한다.
이때, 상기 길이(ℓ)가 너무 커지게 되면, 상기 수납 부재(30)의 돌기(35)가 체결 홈(35')에 걸린 채로 상기 마감 바(36)가 상기 안치 홈(18)에 결합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길이(ℓ)가 너무 작게 되면, 다음의 두 가지 경우에 의하여 상기 본체(10)와의 결합이 불가능하거나 힘들어지게 된다.
우선, 상기 가이드 홈(16)의 상단부가 상기 본체(10) 전면부측에 치우치게 위치할 경우는 상기 탄성 부재(40)에 의한 원활한 탄성 지지가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어 거치될 사진(P)이 상기 본체(10) 내부에서 겉돌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 홈(16)의 상단부가 상기 본체(10) 후면부측에 치우치게 위치할 경우는 사진(P)이 마감 틀체(11)에 접촉 고정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동 부재(20) 및 수납 부재(30)는 상기 이동 부재(20)의 돌기(26)에 의하여 본체(10) 상부측으로 상승할 때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가이드 홈(16)의 형상과 관계없이 상시 지면과 수직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납 부재(30)를 이루는 바닥 플레이트(34)의 폭(d, 도 2 참고)을 크게 하면 보다 많은 사진(P')을 수납하게 되며 자중도 늘어나게 되므로, 공간부(S)를 형성하는 상기 이동 및 수납 부재(20, 30)의 요동없는 안정적인 상승 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마감 바(36) 하부면에서 상부측으로 힘(F)을 가함으로써 상기 돌기(26)가 가이드 홈(16)의 상단부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걸림턱(36')을 포함한 마감 바(36)는 안치 홈(18)에 거치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마감 바(36)에 구비된 체결구(50, 도 1 및 도 2 참고)는 상기 본체(10) 양측 하단부의 홈(15, 도 1 참고)에 결합 고정됨으로써, 사진(P)의 교체 및 수납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원 발명은 수납 공간으로써 액자의 내부 공간을 적극 활용하며, 사진을 수시로 용이하게 교체함으로써 사용자의 지속적인 소장 욕구를 충족하고자 하는 공간부가 구비된 액자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원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벽에 걸어두는 벽걸이 타입의 액자 뿐 아니라, 액자 후면에 받침대 역할을 하는 다리를 별도로 더 장착하여 탁상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 으며, 이에 따라 상기 액자의 크기 또한 적절히 변경하여 벽걸이용 또는 탁상용에 대응되도록 하는 등의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원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액자의 외관을 이루는 본체 내부의 공간에 형성된 가이드 홈을 따라 승강하며 사진 또는 그림의 수납을 위한 공간부를 형성하는 이동 및 수납 부재가 구비된 구조를 채택하였으므로, 액자 내부의 공간을 적극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게 된다.
그리고, 사진 또는 그림의 교체가 복잡하고 번거롭거나 아예 불가능한 기존의 액자에 비하여 수납과 교체가 간편한 이동 및 수납 부재를 채택함으로써, 변화를 추구하고 다양한 기호를 지닌 소비자의 많은 욕구에 폭넓게 대응할 수 있는 특장점 또한 지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7)

  1. 전면부가 개방되며 내부 양측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이 형성된 본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며 전면에 사진이 거치되는 이동 부재;
    상기 이동 부재의 후면에 배치되어 복수개의 사진이 수납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수납 부재; 및
    상기 이동 부재 및 수납 부재를 상기 본체의 전면부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홈은 상단부가 하단부에 비하여 상기 본체의 전면부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이동 부재 및 수납 부재는 상시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부가 구비된 액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개방된 전면부에 대하여 후면부가 마감 플레이트로 마감되며, 하부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이동 부재 및 수납 부재의 수납을 위하여 형성된 안치 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부가 구비된 액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가이드 홈 상을 이동하는 돌기가 양단에 구비된 지지 바; 및
    상기 지지 바 하부면의 전단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전면에 사진이 거치되는 사각 판재 형상의 거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부가 구비된 액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부재는,
    상기 이동 부재의 상단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이동 부재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사각 판재 형상의 수납 플레이트;
    하부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체결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수납 플레이트의 하단부가 연장하여 절곡 형성된 것으로 상기 이동 부재의 하단부와 결합되는 바닥 플레이트;
    상기 안치 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작되며 상기 체결 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의 체결 홈이 형성되어 상기 바닥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마감 바; 및
    상기 체결 홈의 입구를 마감하는 마개;로 이루어지되,
    상기 체결 돌기는 마개로 마감된 상기 체결 홈 상에서 유격을 허용하며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부가 구비된 액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마감 플레이트 하부의 양측에 각각 상하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돌출 형성된 고정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 돌기에 양단이 고정된 상태로 장착되어 자체 탄성을 구비하는 원호 형상의 탄성 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부가 구비된 액자.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부재는,
    상기 마감 바 양단에 각각 장착되어 탄성지지되는 체결구에 의하여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부가 구비된 액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상기 마감 바 양단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장공을 가로질러 장착된 힌지봉;
    상기 힌지봉을 회전축으로 회동 결합되며 양단에 상호 반대 방향으로 직교 형성된 돌기가 구비된 체결편; 및
    상기 체결편 양단의 돌기 반대측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편의 돌기가 본체 양측의 하단부에 형성된 홈에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부가 구비된 액자.
KR1020060044208A 2006-05-17 2006-05-17 공간부가 구비된 액자 KR100717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4208A KR100717616B1 (ko) 2006-05-17 2006-05-17 공간부가 구비된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4208A KR100717616B1 (ko) 2006-05-17 2006-05-17 공간부가 구비된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7616B1 true KR100717616B1 (ko) 2007-05-16

Family

ID=38277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4208A KR100717616B1 (ko) 2006-05-17 2006-05-17 공간부가 구비된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761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4471A (ja) * 1988-07-12 1990-01-26 Aichi Emerson Electric Co Ltd 電動ブラインドの停止機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4471A (ja) * 1988-07-12 1990-01-26 Aichi Emerson Electric Co Ltd 電動ブラインドの停止機構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실용신안공보 0224471호(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2909A (en) Adjustable cup holder in the car
US6666425B1 (en) Vertically-adjustable picture hangar
WO2006019813A2 (en) Projection screen with means for selectively supporting or locking the screen
JP2011139017A (ja) スライド式電子装置
US7613485B2 (en) Sliding module and its axle structure
KR100717616B1 (ko) 공간부가 구비된 액자
JP3897294B2 (ja) 収納箱
JP4894029B2 (ja) 額縁フレーム
JP5606980B2 (ja) スクリーン装置
KR101131177B1 (ko) 서가용 선반의 지지구조
JP2005035163A (ja) 黒板装置
JP4553369B2 (ja) 開口の開閉装置
CN2831934Y (zh) 相框与脚座接合的相架
KR200438806Y1 (ko) 책장의 수납공간 조절이 가능한 시스템 책꽂이가 설치된독서실용 책상
JP4866185B2 (ja) 吊持構造
US5913620A (en) Device for hanging objects or pictures
JP4319446B2 (ja) 鏡の支持構造
KR200224471Y1 (ko) 사진을 교체 가능한 액자
CN218105469U (zh) 一种室内设计用装饰品悬挂装置
JP3439339B2 (ja) 前面開閉式の額縁
KR200225893Y1 (ko) 육면체 액자의 구조
JP4745787B2 (ja) 書見台
JP3087328U (ja) 可動部を有する壁掛けフック
KR200442703Y1 (ko) 액자
JP2948170B2 (ja) 収納部付き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