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7288B1 - 차량의 연료시스템용 압력조절기 - Google Patents

차량의 연료시스템용 압력조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7288B1
KR100717288B1 KR1020060003660A KR20060003660A KR100717288B1 KR 100717288 B1 KR100717288 B1 KR 100717288B1 KR 1020060003660 A KR1020060003660 A KR 1020060003660A KR 20060003660 A KR20060003660 A KR 20060003660A KR 100717288 B1 KR100717288 B1 KR 100717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plate
housing
opening
pressure reg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3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희
장석윤
김준우
김태형
Original Assignee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3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72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7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7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47Layout or arrangement of systems for feeding fuel
    • F02M37/0052Details on the fuel return circuit; Arrangement of pressure reg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 F02M37/0023Valves in the fuel supply and return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40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in the form of b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연료리턴관 및 연료탱크를 연결하고, 연료의 압력에 따라 작동하면서 연료시스템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연료리턴관 및 연료탱크에 제각각으로 연결되어 연료를 유입 및 유출시키는 연료유입부 및 연료유출부를 가지며, 이 연료유입부 및 연료유출부와 연통되어, 연료유입부에서 유입되는 연료를 밀폐된 상태로 저장하는 연료저장챔버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연료유입부에 안착되어 연료유입부의 유로를 차폐하고, 유입되는 연료의 압력에 의해 연료유입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 상기 개폐부재를 향해 경사형성되어 개폐부재를 탄력지지하는 경사아암이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 및 타측에 일단부 및 타단부가 제각기 고정 및 지지되면서 하우징에 내장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일단부 및 타단부를 상기 하우징의 일측 및 타측에 고정 및 지지시키는 고정수단 및 지지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발명은, 판스프링 역할을 하는 플레이트의 경사아암이 절곡된 상태로 하우징에 내장되고 플레이트의 일단부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므로, 조립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의 측벽을 절곡시켜서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차량, 연료, 압력, 탄성, 개폐

Description

차량의 연료시스템용 압력조절기 { PRESSURE REGULATOR FOR FUEL SYSTEM OF VEHICLES }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연료시스템용 압력조절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압력조절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압력조절기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압력조절기의 압력특성 그래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하우징의 변형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 하우징 50a : 바디
50b : 캡 52 : 연료유입부
54 : 연료유출부 58a : 돌기
58b : 끼움공 60 : 개폐부재
70 : 플레이트 70a : 일단부
70b : 타단부 72 : 경사아암
72a : 연결부 72b : 접촉부
74 : 관통공
본 발명은 차량의 연료시스템에 적용되는 압력조절기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연료리턴관 및 연료탱크에 연결되어 연료시스템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연료시스템용 압력조절기는 일측 및 타측이 연료공급기에서 역류하는 연료리턴관 및 연료탱크에 연결된다. 이러한, 압력조절기는 연료가 일정압력 이상일 경우에만 연료탱크로 연료를 귀환시킨다. 따라서, 연료시스템의 유압라인은 일정한 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압력조절기는 일반적으로 코일스프링 및 고무재 탄성박막이 내장된 다이아프레임식 밸브가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압력조절기는 코일스프링이 길이에 의해 좌굴될 뿐만 아니라, 유입되는 연료의 압력에 의해 코일스프링의 양단부 위치가 변형하면서 불안정하게 안착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압력조절기는 전술한 바와 같은 코일스프링의 문제로 인하여 설정된 압력을 정밀하게 제어하지 못하는 산포가 발생한다.
또한, 일반적인 압력조절기는 탄성박막이 상대적으로 큰 압력에 의해서만 작용하므로, 유로의 개폐작동이 둔화될 뿐만 아니라 탄성박막의 설정압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없는 문제도 있다.
아울러, 일반적인 압력조절기는 탄성박막이 고무재로 구성됨에 따라 열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미약하다는 문제도 있다.
한편, 도 1은 전술한 일반적인 압력조절기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대한민국특허청에 특허출원되어 2003년 10월 30일자로 공개된 공개 제2003-83463호의 압력조절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종래기술에 의한 압력조절기는 연료유입구(12)를 통해 연료가 유입되면, 유입된 연료가 연료저장부(16)를 통해 연료배출구(14)로 배출되도록, 강구(B)가 연료유입구(12)를 개방한다. 이때, 강구(B)는 관절축(20)에 의해 가압된 판스프링(2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연료유입구(12)를 개방한다. 그리고, 유입되는 연료의 압력이 하강하면, 강구(B)는 판스프링(20)의 탄성력에 의해 연료유입구(12)를 차폐한다. 따라서, 연료유입구(12)측의 미도시된 연료공급라인은 설정된 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압력조절기는 판스프링(20)의 양단이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하우징(1a, 1b)으로 구성된 하우징(1)의 일측 및 강구(B)상에 제각기 지지된다. 이때, 판스프링(20)의 일단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조절볼트(30)를 통해 하우징(1)의 일측에 지지된다. 그리고, 판스프링(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축(20)을 중심으로 절곡됨에 따라 절곡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의 압력조절기는 연료유입구(12)의 밸브시트상에 볼(b)을 안착시킨 후, 평평한 형태의 판스프링(20)을 강제로 절곡하여 하우징(1)에 내장시켜야 하므로, 조립작업이 쉽지 않다. 특히, 판스프링(20)을 절곡하여 관절축(20)에 위치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관절축(20)을 중심으로 절곡된 판스프링(20)의 일단부를 탄성조절볼트(30)에 지지시켜야 하므로, 조립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판스프링(20)의 절곡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도시된 바와 같은 관절축(20)을 반드시 구비하여야 한다.
게다가, 탄성조절볼트(30)가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을 관통하므로, 하우징(1) 내부의 연료저장부(16)에 저장되는 연료가 탄성조절볼트(30)의 체결부를 통해 누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절곡상태로 제조된 판스프링을 이용함에 따라 작업자가 강제로 판스프링을 절곡시킬 필요가 없으며, 판스프링의 일단부가 하우징에 고정되어 종래의 관절축이 생략되어도 판스프링이 일단부를 중심으로 하우징 내부에서 부상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우징에서 연료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판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는 차량의 연료시스템용 압력조절기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연료시스템용 압력조절기는, 차량의 연료리턴관 및 연료탱크를 연결하고, 연료의 압력에 따라 작동하면서 연료시스템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에 있어서, 상기 연료리턴관 및 연료탱크에 제각각으로 연결되어 연료를 유입 및 유출시키는 연료유입부 및 연료유출부를 가지며, 이 연료유입부 및 연료유출부와 연통되어, 연료유입부에서 유입되는 연료를 밀폐된 상태로 저장하는 연료저장챔버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연료유입부에 안착되어 연료유입부의 유로를 차폐하고, 상기 연료리턴관에서 연료유입부로 유입되는 연료의 압력에 의해 연료유입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 상기 개폐부재를 향해 경사형성되어 개폐부재를 탄력지지하는 경사아암이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 및 타측에 일단부 및 타단부가 제각기 고정 및 지지되면서 하우징에 내장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일단부 및 타단부를 상기 하우징의 일측 및 타측에 고정 및 지지시키는 고정수단 및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료시스템용 압력조절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압력조절기의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압력조절기의 압력특성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압력조절기는 판스프링(70)이 내장되도록 하우징(50)이 분할구성된다. 이러한 하우징(50)은 용기형태의 금속재 바디(50a) 및 캡(50b)으로 구성된다.
바디(50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저장챔버(56)가 내부에 형성되며, 외주면에 패킹(P)이 끼워진 관형태의 연료유입부(52)가 직결된다. 연료유입부(52)는 도시된 바와 달리 바디(50a)에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캡(50b)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와 관통되어 연료저장챔버(56)의 연료를 배출하는 연료유출부(54)를 갖는다. 이러한 연료유출부(5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캡(50b)의 측방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캡(50b) 및 바디(50a)는 일체로 결합된다. 이때, 전술한 연료유입부(52)는 미도시된 연료리턴관과 연통하고, 전술한 연료유출부(54)는 미도시된 연료탱크와 연통한다. 따라서, 연료리턴관의 연료는 바디(50a) 및 캡(50b)으로 구성된 하우징(50)을 통해 연료탱크로 공급된다.
하우징(50)의 바디(50a)에는 연료유입부(52)의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부재(60)가 내장된다. 이러한 개폐부재(60)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은 강구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미도시된 원뿔형 막대로 구성할 수도 있다. 만약, 개페부재(60)를 원뿔형 막대로 구성할 경우, 원뿔형 막대의 뾰족한 일단부는 연료유입부(52)의 유로에 삽입된다. 물론, 원뿔형 막대의 타단부는 원뿔형 막대가 연료유입부(52)상에 위치하도록 연료유입부(52)의 유로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한다.
하우징(50)의 바디(50a)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박판형 금속재 플레이트(70)가 내장된다. 이러한, 플레이트(70)는 두께 및 재질특성에 의해 스프링작용을 한다. 즉, 플레이트(70)는 금속재 판스프링이다. 플레이트(70)는 고정수단 및 지지수단에 의해 일단부 및 타단부가 바디(50a)의 일측 및 타측에 고정 및 지지된다.
여기서, 고정수단은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70)의 일단부(70a)에 관통공(74)을 형성하고, 이 관통공(74)에 삽입되는 절곡가능한 일직선의 돌기(58a)를 바디(50b)의 일측, 즉 하우징(50)의 일측에 동일체로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관통공(74) 및 돌기(58a)는 복수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70)의 일단부(70a) 양측에 하나씩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지수단은 예컨대, 플레이트(70)의 타단부(70b)가 끼워지는 끼움공 (58b)을 바디(50a)의 타측, 즉 하우징(50)의 타측에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70)의 타단부(70b)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을 절개하여 중앙부가 돌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플레이트(70)는 끼움공(58b)에 끼워지는 타단부(70b)의 중앙부에 의해 하우징(50)의 타측에 지지된다. 이러한, 고정수단 및 지지수단에 대한 좀더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계속해서, 플레이트(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형성된 경사아암(72)을 갖는다. 경사아암(72)은 플레이트(70)와 동일체를 이루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70)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형성할 수 있다. 경사아암(72)은 플레이트(70)의 강성저하가 방지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70)의 중앙부를 절개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아암(7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플레이트(70)에서 절곡된다. 이러한 경사아암(7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70)와 연결되는 연결부(72a) 및 이 연결부(72a)에 연장된 접촉부(72b)를 갖는다.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50)은 서로 결합된 바디(50a) 및 캡(50b)에 의해 내부가 밀폐된다. 따라서, 바디(50a) 내부의 연료저장챔버(56)는 외부와 격리된다.
개폐부재(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유입부(52)가 갖는 유로의 단부에 배치되어 연료유입부(52)를 차폐한다. 연료유입부(52)는 개폐부재(60)가 안정적으로 안착시키는 시트(52a)를 갖는다. 즉, 개폐부재(60)는 시트(52a)상에 안착된다.
플레이트(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74) 및 바디(50a)의 돌기(58a)에 의해 일단부(70a)가 고정된다. 즉, 플레이트(70)는 일단부(70a)가 하우징(50)의 일 측에 고정된다. 이때, 일직선의 돌기(58a)는 관통공(74)에 삽입된 후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되면서 압착되어 플레이트(70)의 일단부(70a)를 파지한다. 따라서, 플레이트(70)의 일단부(70a)는 고정단을 이룬다.
또한, 플레이트(70)는 타단부(70b)가 바디(50a)의 타측에 형성된 끼움공(58b)에 삽입되어 안착된다. 따라서, 플레이트(70)의 타단부(70b)는 끼움공(58b)이 제공하는 공간에서만 유동할 수 있는 자유단을 이룬다.
플레이트(70)에 일체로 마련된 경사아암(72)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절곡되어 경사를 가지면서 타측 일부분이 개폐부재(60)에 접촉됨에 따라 개폐부재(60)를 탄력지지한다. 이때, 개폐부재(60)와 접촉하는 경사아암(72)의 일부분은 도시된 바와 같은 경사아암(72)의 접촉부(72b)이다. 즉, 접촉부(72b)는 개폐부재(60)와 접촉한다.
경사아암(72)은 일단이 플레이트(70)에서 절곡됨에 따라 플레이트(70) 및 연결부(72a) 사이에 하향절곡각도(θ)를 갖는다. 이러한 하향절곡각도(θ)는, 경사아암(72)이 필요한 탄성력을 확보하면서 접촉부(72b)가 개폐부재(60)에 접촉하도록 둔각 이내의 각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되, 120° 내지 170°가 바람직하며, 160°로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경사아암(72)은 접촉부(72a)가 개폐부재(60)상에서 수평을 유지하도록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 사이가 적어도 한번 더 절곡된다. 이렇게, 경사아암(72)의 양단부 사이를 절곡할 경우,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72a) 및 접촉부(72a)의 경계부분을 절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연결부(72a) 및 접촉부(72a) 의 절곡각도(α)는 둔각 이내의 각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되, 120° 내지 170°가 바람직하며, 150°로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연결부(72a) 및 접촉부(72a)의 절곡각도(α)는 전술한 하향절곡각도(θ)와 동일한 값을 갖는 엇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경사아암(72)의 접촉부(72a)는 절곡각도(α)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볼형태의 개폐부재(60)에 가상으로 형성된 수직축선(Y)상의 단부에 실질적으로 수평상태를 이루면서 접촉한다. 따라서, 접촉부(72a)는 접촉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한편, 플레이트(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상 경사아암(72)을 향하는 볼록한 형태의 구배를 갖는다. 플레이트(70)는 구배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60)를 지지하는 경사아암(72)을 가압하여 경사아암(72)을 압축시킨다. 따라서, 경사아암(72)은 압축되면서 탄성력이 보강된다.
다른 한편, 도 2에 도시된 미설명 부호 59는 하우징(50)에 동일체로 돌출형성되어 미도시된 연료탱크에 마련된 연료펌프 등의 접지부(미도시)에 연결되는 접지단자이다. 이때, 접지단자(59)는 미도시된 전선에 의해 접지부에 연결된다. 이러한 접지단자(59)는, 하우징(50)에서 발생되는 정전기나 누전과 같은 이상 전류를 전술한 접지부를 통해 방전시킨다. 특히, 접지단자(59)는 연료펌프에서 발생되는 누전을 방전시킨다. 따라서, 하우징(50)을 포함하는 연료시스템은 이상 전류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압력조절기의 작동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설명에 있어서 개폐부재(60)는 볼형태로 형성된 것을 그 예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압력조절기는, 연료유입부(52)를 통해 미도시된 연료리턴관의 연료가 유입된다. 이때, 플레이트(70)의 경사아암(72)에 의해 탄력지지되는 볼형태의 개폐부재(60)는 유입되는 연료의 압력이 경사아암(72)의 탄성력 보다 높을 경우, 연료의 압력에 의해 도면상 상부로 부상하면서 연료유입부(52)의 유로를 개방한다. 따라서, 연료는 연료유입부(52)를 통해 연료저장챔버(56)에 충전된 후 연료유출부(54)를 통해 미도시된 연료탱크로 공급된다.
그리고, 볼형태의 개폐부재(60)는 유입되는 연료의 압력이 경사아암(72)의 탄성력 보다 낮을 경우, 경사아암(72)의 탄성력에 의해 하부의 시트(52a)에 안착되면서 연료유입부(52)의 유로를 폐쇄한다.
이때, 경사아암(72)은 전술한 하향절곡각도(θ)에 의해 발생되는 탄성력을 개폐부재(60)에 전달한다. 그리고, 경사아암(72)의 접촉부(72b)는 전술한 절곡각도(α)에 의해 개폐부재(6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개폐부재(60)를 가압한다. 또한, 경사아암(72)은 플레이트(70)에 구배가 형성된 경우, 구배에 의해 보강된 탄성력을 개폐부재(60)에 전달한다. 따라서, 접촉부(72b)는 보다 안정적으로 개폐부재(60)를 지지 및 가압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압력조절기는 유량에 대해 안정적인 특성을 갖는 압력을 연료시스템에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압력조절기는 압력특성이 유량에 대해 급작스럽게 변화하지 않고 완만하게 변화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에에 의한 압력조절기는 유량에 비례하는 안정적인 압력특성을 연료시스템에 제공한다.
다른 한편,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하우징의 변형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로서, 하우징(50)을 구성하는 바디(50a)의 타측, 즉 플레이트(70)의 타단부(70b)가 지지되는 하우징(50)의 타측을 변형시킨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플레이트(70)의 타단부(70b)가 지지되는 바디(50a)의 타측을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절곡할 경우, 플레이트(70)는 도면상 파선으로 도시된 상태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상태로 변형한다. 따라서, 플레이트(70)에 일체로 형성된 경사아암(70)은 플레이트(70)의 구배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탄성력이 강화된다. 즉, 경사아암(70)의 탄성력을 강화하려면, 하우징(50)의 타측을 절곡하여 플레이트(70)의 구배각도를 증가시키면 된다. 이렇게, 하우징(50)의 타측을 절곡함으로써 경사아암(70)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연료시스템용 압력조절기는, 코일스프링 및 고무재 박막을 이용하는 다이아프레임식의 일반적인 압력조절기와 달리, 코일스프링 및 고무재 박막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연료시스템의 압력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료시스템에 안정된 압력을 제공할 수 있며, 압력제어의 산포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고무재 박막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작동시 발생되는 피로에 대한 내구성 및 열충격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판스프링 역할을 하는 플레이트의 경사아암이 절곡된 상태로 하우징에 내장되고 플레이트의 일단부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므로, 종래의 관절축을 생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 보다 조립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플레이트에 일체로 마련된 경사아암의 탄성력을 하우징의 측벽을 절곡시켜서 조절하므로, 판스프링의 탄성력 조절을 위해 설치되는 종래의 탄성조절볼트를 생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우징에서 연료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밀성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7)

  1. 삭제
  2. 차량의 연료리턴관 및 연료탱크를 연결하고, 연료의 압력에 따라 작동하면서 연료시스템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에 있어서,
    상기 연료리턴관 및 연료탱크에 제각각으로 연결되어 연료를 유입 및 유출시키는 연료유입부(52) 및 연료유출부(54)를 가지며, 이 연료유입부(52) 및 연료유출부(54)와 연통되어, 연료유입부(52)에서 유입되는 연료를 밀폐된 상태로 저장하는 연료저장챔버(56)를 갖는 하우징(50);
    상기 하우징(50)의 연료유입부(52)에 안착되어 연료유입부(52)의 유로를 차폐하고, 상기 연료리턴관에서 연료유입부(52)로 유입되는 연료의 압력에 의해 연료유입부(52)를 개폐하는 개폐부재(60);
    상기 개폐부재(60)를 향해 경사형성되어 개폐부재(60)를 탄력지지하는 경사아암(72)이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50)의 일측 및 타측에 일단부(70a) 및 타단부(70b)가 제각기 고정 및 지지되면서 하우징(50)에 내장되는 플레이트(70); 및
    상기 플레이트(70)의 일단부(70a) 및 타단부(70b)를 상기 하우징(50)의 일측 및 타측에 고정 및 지지시키는 고정수단 및 지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아암(72)은,
    상기 플레이트(70)와 동일체를 이루도록, 상기 플레이트(70)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시스템용 압력조절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아암(72)의 양단부 사이를 적어도 한번 절곡하여, 상기 개폐부재(60)에 접촉되는 경사아암(72)의 일부분이 개폐부재(60)의 수직축선(Y)상 단부에서 실질적으로 수평상태를 이루면서 접촉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시스템용 압력조절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플레이트(70)의 일단부에 관통공(74)을 형성하고, 이 관통공(74)에 삽입되는 절곡가능한 돌기(58a)를 상기 하우징(50)의 일측에 형성하여, 플레이트(70)의 일단부 움직임을 구속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시스템용 압력조절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플레이트(70)의 타단부(70b)가 끼워지는 끼움공(58b)을 상기 하우징(50)의 타측에 형성하여, 플레이트(70)의 타단부(70b)를 안착상태로 지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시스템용 압력조절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50)은, 정전기나 누전과 같은 이상 전류를 방전시키는 방전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전부재는, 상기 하우징(50)에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연료탱크에 마련된 접지부에 접지되는 접지단자(5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시스템용 압력조절기.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70)에 마련된 경사아암(72)의 탄성력을 보강하는 탄성보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보강수단은, 상기 플레이트(70)에 상기 경사아암(72)을 향하는 구배를 형성하여, 상기 개폐부재(60)를 지지하는 경사아암(72)을 플레이트(70)가 가압하면서 압축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시스템용 압력조절기.
KR1020060003660A 2006-01-12 2006-01-12 차량의 연료시스템용 압력조절기 KR100717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660A KR100717288B1 (ko) 2006-01-12 2006-01-12 차량의 연료시스템용 압력조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660A KR100717288B1 (ko) 2006-01-12 2006-01-12 차량의 연료시스템용 압력조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7288B1 true KR100717288B1 (ko) 2007-05-15

Family

ID=38270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3660A KR100717288B1 (ko) 2006-01-12 2006-01-12 차량의 연료시스템용 압력조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72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5503A (en) * 1993-03-11 1997-08-12 Motorenfabrik Hatz Gmbh & Co., Kg.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fuel injection, particularly, a single-cylinder diesel engine
US6016831A (en) 1997-02-13 2000-01-25 Robert Bosch Gmbh Pressure regulator for a fuel system
WO2003067077A1 (de) * 2002-02-02 2003-08-14 Robert Bosch Gmbh Druckregler für eine kraftstoffversorgungsanlage einer brennkraftmaschine
KR100444807B1 (ko) 2000-03-24 2004-08-18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세이기 세이사꾸쇼 밸브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5503A (en) * 1993-03-11 1997-08-12 Motorenfabrik Hatz Gmbh & Co., Kg.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fuel injection, particularly, a single-cylinder diesel engine
US6016831A (en) 1997-02-13 2000-01-25 Robert Bosch Gmbh Pressure regulator for a fuel system
KR100444807B1 (ko) 2000-03-24 2004-08-18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세이기 세이사꾸쇼 밸브구동장치
WO2003067077A1 (de) * 2002-02-02 2003-08-14 Robert Bosch Gmbh Druckregler für eine kraftstoffversorgungsanlage einer brennkraftmas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6075B1 (ko) 밸브 장치
JP4730218B2 (ja) 燃料遮断弁
KR20060052254A (ko) 일방향 밸브 조립체와, 금속 및 플라스틱 연료 탱크 상의필러 튜브의 설치 방법
US20100108927A1 (en) Silent solenoid valve for fluid regulation system
US20190061517A1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fuel tank
MX2013010846A (es) Aparato con tapadera para uso con reguladores de fluido.
JP2002505401A (ja) 内燃機関の燃料供給系
EP0853014B1 (en) Gas pressure relief valve unit particularly for fuel vapours
KR100914620B1 (ko) 휴대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
KR100717288B1 (ko) 차량의 연료시스템용 압력조절기
JP6527770B2 (ja) ガス燃料供給用のレギュレータ
KR101246402B1 (ko) 역류방지밸브
WO2004070261A1 (en) Overpressure safety apparatus of aerosol container
CN115355118B (zh) 燃料供给装置
US6843232B2 (en) Positive stop diaphragm assembly for fuel pressure regulator
WO2007074950A1 (en) Pressure regulator for fuel system of vehicles
JP2012193778A (ja) 燃料電池用圧力開放弁及び燃料電池用燃料タンク
JP2020041643A (ja) リリーフ弁
JP6427071B2 (ja) 燃料供給装置
JP4115436B2 (ja) 電磁比例弁
JP6968275B2 (ja) 気体状の媒体を制御するための調量弁
KR200449630Y1 (ko) Lpg용기의 밸브어셈블리용 자동차단장치
JP3419194B2 (ja) 液体遮断弁
US20060137746A1 (en) Pressure regulation apparatus
KR100981086B1 (ko) 차량의 연료시스템용 압력조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