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7223B1 - 내선과 연동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호 과금 방법 - Google Patents

내선과 연동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호 과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7223B1
KR100717223B1 KR1020050065803A KR20050065803A KR100717223B1 KR 100717223 B1 KR100717223 B1 KR 100717223B1 KR 1020050065803 A KR1020050065803 A KR 1020050065803A KR 20050065803 A KR20050065803 A KR 20050065803A KR 100717223 B1 KR100717223 B1 KR 100717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all
extension
interwo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5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0848A (ko
Inventor
박영진
Original Assignee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노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5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7223B1/ko
Publication of KR20070010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0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7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7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42Notifying the called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10Metering calls from calling party, i.e. A-party charged for th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28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with meter at substation or with calculation of charges at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선과 연동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호 과금 방법에 관한 것으로, 추가 요금의 부담없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교환시스템 내부의 내선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내선과 연동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호 과금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그와 연동하는 사설교환시스템으로 호출하는 발호 단계와; 상기 사설교환시스템이 상기 발호를 분석하여 등록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와; 상기 발호를 해제하고 상기 사설교환시스템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발호하여 연결을 설정하는 연결설정 단계와; 상기 연결설정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는 상기 교환시스템 내부의 해당 내선에 대한 과금이 개시되는 과금개시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피호출자를 호출하여 통화하는 통화로 연결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 내부의 내선과 연동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호에 대하여 해당 내선에 과금하여 추가적인 요금의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내선, 발신호, 과금, 키폰, PBX

Description

내선과 연동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호 과금 방법{Method for charging for outgoing call of a mobile phone associated with an extens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는 교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선과 연동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호 과금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외부사용자 단말 200 : 이동통신 단말기
300 : 사설교환기(PBX) 400 : 내선
본 발명은 내선과 연동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호 과금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호에 대하여 그와 연동하는 해당 내선에 과금할 수 있는 내선과 연동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호 과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교환 시스템은 그 내부의 특정 내선과 연동하여 사용자의 다른 전화기, 예를 들면, 이동통신 단말기로 호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호 전환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를 교환 시스템의 해당 내선과 연동하도록 사전에 등록하고, 해당 내선의 사용자 부재시 해당 내선과 연동하도록 미리 지정된 이동통신 단말기로 호가 전환됨으로써, 해당 내선으로 착신된 호를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수신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교환 시스템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그와 연동하는 해당 내선을 사용하여 발호하는 기능이 제한되어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호 전환 기능은 해당 내선의 유동성을 확보하여 그 사용성을 확장하기 위한 것이나, 해당 내선의 사용성을 외부로 확장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보면,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는 해당 내선을 통한 발호 기능도 요구되고 있다.
더욱이, 교환 시스템의 내선과 연동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하는 모든 호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과금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원거리에서도 해당 내선과 동일한 CID로 내선 호 및 국선 호를 호출하고자 하는 경우 그 사용 요금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과금되므로 사용자에게 요금의 부담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교환시스템 내부의 내선으로 발호하거나 교환시스템을 통하여 국선으로 발호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는 교환시스템 내부의 해당 내선에 과금하여 추가 요금의 부담없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교환시스템 내부의 내선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내선과 연동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호 과금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그와 연동하는 사설교환시스템으로 호출하는 발호 단계와; 상기 사설교환시스템이 상기 발호를 분석하여 등록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와; 상기 발호를 해제하고 상기 사설교환시스템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발호하여 연결을 설정하는 연결설정 단계와; 상기 연결설정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는 상기 교환시스템 내부의 해당 내선에 대한 과금이 개시되는 과금개시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피호출자를 호출하여 통화하는 통화로 연결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CID를 분석하여 그와 연동하는 내선을 검색하는 검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설정 단계는 상기 발호에 대한 연결을 해제하는 연결해제 단계와; 상기 사설교환시스템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호출하는 호출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호출에 응답하는 응답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화로 연결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다이얼톤을 송출하는 다이얼톤 송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의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는 교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교환 시스템은 PSTN 통신망을 통하여 교환 시스템으로 접속되는 외부사용자 단말(100)과, 교환 시스템과 연동하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내부 교환 기능을 갖는 사설교환기(PBX)(300)와, PBX(300)에서 운영하는 내선에 해당하는 내선 단말(400, 500)로 구성된다.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해당 내선과 연동하기 위하여 사전에 그 번호가 PBX(300)에 등록된다.
PBX(30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연동하는 내선에 대하여 착신호가 수신되면 등록된 해당 목적지인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호를 전환하고,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200)에서 해당 내선을 이용하여 발호를 하고자 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다이얼톤을 송출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PBX(300)로부터 수신되는 다이얼톤을 이용해서 내선 또는 국선을 호출하여 상대방과 통화하며, PBX(30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의해 호출된 상대방측으로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연동하는 내선 번호를 CID(Caller ID)로 사용하여 전송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연동하는 PBX(300) 내부의 내선이 상대방측을 호출하는 것과 동일하게 동작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선과 연동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호 과금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선과 연동하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발신호 과금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단계 S201에서,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그와 연동하는 해당 내선을 이용하여 발호하기 위해 PBX(300)를 호출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발신호 과금 방법이 개시된다.
단계 S202에서, PBX(30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연동하는 내선이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CID를 분석한다.
단계 S203에서, 수신된 CID와 연동하는 내선이 등록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 PBX(300)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의 연결을 해제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해제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다.
단계 S204에서,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PBX(300)로부터 해제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여 그 연결을 해제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PBX(300)으로의 연결이 해제된다.
단계 S205에서,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사용에 대한 요금을 PBX(300) 내부의 해당 내선에 부과하기 위하여 PBX(300)가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호출한다.
단계 S206에서,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PBX(300)로부터의 연결을 설정하기 위하여 수신된 호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PBX(300)로 전송한다.
단계 S207에서, PBX(30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부터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연동하는 해당 내선에 대한 과금을 개시한다.
이때 개시된 과금은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해당 통화가 종료될까지 지속되는데, PBX(300)가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호출하여 연결된 시점부터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해당 통화를 종료할 때까지의 시간에 대하여 과금된다.
상술한 과금 방법에 의해 사용자가 사무실 내에서 내선 단말을 사용할 때와 마찬가지로 외부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사용할 때에도 추가 통화료의 부담 없이 PBX(300) 내부의 내선 또는 외부의 국선에 대한 호출이 가능하다.
단계 S208에서, PBX(30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발호를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다이얼톤을 전송하고,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의 다이얼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DTMF(Dual Tone Multi-Frequency) 수신기를 할당한다.
단계 S209에서,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PBX(300)로부터 송출되는 다이얼톤을 수신하여 통화하고자 하는 내선 또는 국선에 해당하는 목적지의 번호를 다이얼 한다.
단계 S210에서, PBX(30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DTMF를 수신하여 해당 목적지를 호출한다. 해당 목적지의 호출은 PBX(300) 내부의 내선 단말(400,500)로의 내선 호뿐만 아니라 외부사용자 단말(100)로의 국선 호를 포함한다.
이때, PBX(30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연동하는 해당 내선 번호를 그 CID로 사용하여 전송하므로 해당 목적지는 해당 내선으로부터 호출이 되었다고 판단한다.
단계 S211에서, 해당 목적지, 즉, 내선 호인 경우에는 내선 단말(400,500), 국선 호인 경우에는 외부사용자 단말(100)이 통화로를 설정하기 위한 응답 메시지 를 PBX(300)로 전송한다.
단계 S212에서, PBX(30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해당 목적지와의 통화를 개시할 수 있도록 해당 연결이 설정되었음을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통지한다.
단계 S213에서,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내선 호인 경우 내선 단말(400,500)과 통화로가 연결되고, 국선 호인 경우 외부사용자 단말(100)과 통화로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통화로가 연결되어 해당 통화가 종료될 때까지 해당 내선에 대한 과금이 지속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발신호 과금이 종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선과 연동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호 과금 방법은 교환 시스템과 연동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교환시스템으로 발호하면, 해당 연결을 해제하고 교환시스템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재호출하고 다이얼톤을 송출하여 통화로를 연결함으로써, 교환시스템 내부의 내선과 연동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호에 대하여 해당 내선에 과금하여 추가적인 요금의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이동통신 단말기가 그와 연동하는 사설교환시스템으로 호출하는 발호 단계와;
    상기 사설교환시스템이 상기 발호를 분석하여 등록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와;
    상기 발호를 해제하고 상기 사설교환시스템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발호하여 연결을 설정하는 연결설정 단계와;
    상기 연결설정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는 상기 교환시스템 내부의 해당 내선에 대한 과금이 개시되는 과금개시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피호출자를 호출하여 통화하는 통화로 연결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선과 연동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호 과금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CID(caller ID)를 분석하여 그와 연동하는 내선을 검색하는 검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선과 연동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호 과금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설정 단계는,
    상기 발호에 대한 연결을 해제하는 연결해제 단계와;
    상기 사설교환시스템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호출하는 호출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호출에 응답하는 응답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화로 연결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다이얼톤을 송출하는 다이얼톤 송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선과 연동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호 과금 방법.
KR1020050065803A 2005-07-20 2005-07-20 내선과 연동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호 과금 방법 KR100717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803A KR100717223B1 (ko) 2005-07-20 2005-07-20 내선과 연동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호 과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803A KR100717223B1 (ko) 2005-07-20 2005-07-20 내선과 연동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호 과금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0848A KR20070010848A (ko) 2007-01-24
KR100717223B1 true KR100717223B1 (ko) 2007-05-11

Family

ID=38011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5803A KR100717223B1 (ko) 2005-07-20 2005-07-20 내선과 연동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호 과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722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9932A (ko) * 1999-07-14 2001-02-05 서평원 이동통신망과 사설교환망간의 내선 단말기 착신호 처리 방법
KR20010107026A (ko) * 2000-05-24 2001-12-07 윤종용 공중 및 사설 공용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발 호서비스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20010106974A (ko) * 2000-05-24 2001-12-07 윤종용 사설 이동통신 서비스 시스템의 내선통화 방법
KR20040073391A (ko) * 2003-02-12 2004-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무선 전화 연동 서비스 시스템 및 그 호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9932A (ko) * 1999-07-14 2001-02-05 서평원 이동통신망과 사설교환망간의 내선 단말기 착신호 처리 방법
KR20010107026A (ko) * 2000-05-24 2001-12-07 윤종용 공중 및 사설 공용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발 호서비스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20010106974A (ko) * 2000-05-24 2001-12-07 윤종용 사설 이동통신 서비스 시스템의 내선통화 방법
KR20040073391A (ko) * 2003-02-12 2004-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무선 전화 연동 서비스 시스템 및 그 호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0848A (ko) 200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485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rogress call forwarding
JP2865051B2 (ja) 課金システム
KR100391171B1 (ko) 이동통신망과 사설무선망간의 이동 단말기 착신호 처리 방법
KR100717223B1 (ko) 내선과 연동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호 과금 방법
KR100293992B1 (ko) 사설교환시스템에서통화요금전환방법
KR20030056994A (ko) 사설교환기에서 pri를 이용한 중계선 콜백 기능을 위한방법 및 장치
JP2006303972A (ja) 課金システム
JPH08275238A (ja) 公専接続方式
KR20060061803A (ko) 게이트웨이 장치, 내선전화 교환 시스템 및 내선전화 교환방법
KR100285716B1 (ko) 교환기에서아날로그가입자를위한발신번전송방법
KR100238543B1 (ko) 이동무선결합기를 이용한 국설가입자 호출 방법
KR100242699B1 (ko) 사설 교환기의 진보된 리셋 호 서비스 방법
JP3654163B2 (ja) 発側転送方式および発側転送方法
KR100594141B1 (ko) 사설교환기의 전용선 착신호 처리방법
JP2773376B2 (ja) 構内交換機
KR100469743B1 (ko) 사설교환기에서 디사를 통한 단축다이얼링 방법
JP2002101437A (ja) 固定網接続内線通話システム
KR101045865B1 (ko) 가입자 선로 중계용 네트워크 교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제공방법
KR20090072699A (ko) 이동통신 단말의 이동통신 서비스 요금을 감소시키기 위한교환시스템 및 그 방법
JP4127263B2 (ja) VoIP電話交換システムおよびその課金制御方法
KR19980065575A (ko) 교환기의 과금 방법
JPH06164768A (ja) 着信課金方法
JPH0918907A (ja) 呼接続システムおよび呼接続方法
KR20000004113A (ko) 전전자 교환기의 과금 정보 자동 통보 방법
KR20050001980A (ko) 통신시스템에서의 통화중 호 전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