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7129B1 - 가야금 교습용 악보 - Google Patents

가야금 교습용 악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7129B1
KR100717129B1 KR1020060050615A KR20060050615A KR100717129B1 KR 100717129 B1 KR100717129 B1 KR 100717129B1 KR 1020060050615 A KR1020060050615 A KR 1020060050615A KR 20060050615 A KR20060050615 A KR 20060050615A KR 100717129 B1 KR100717129 B1 KR 100717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yageum
sheet music
string
music
tea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0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3908A (ko
Inventor
김정현
Original Assignee
김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현 filed Critical 김정현
Priority to KR1020060050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7129B1/ko
Publication of KR20060073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3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7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7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2Boards or like means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not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1/00Means for the representation of music
    • G10G1/02Chord or note indicators, fixed or adjustable, for keyboard of finger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야금 교습용 악보에 관한 것으로, 가야금줄의 배치순서에 따른 번호가 오선악보의 음표 머리에 기입되거나 정간보의 정간에 가야금의 율명 대신 가야금줄의 번호를 기입하여 나타낸 악보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가야금 교습용 악보를 사용함으로써, 가야금줄의 순서 파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가야금줄의 번호가 기입된 악보를 보고 연주를 함으로써 악보의 파악이 용이하게 되어, 가야금의 연주를 빠르고 간편하게 익힐 수가 있고, 상기 악보를 가야금줄의 배치순서에 따른 번호가 기입된 가야금줄 식별판과 함께 사용함으로써, 가야금 교습효과를 더욱 효과를 높일 수가 있는 것이다.
가야금 교습용 악보, 번호 오선악보, 번호 정간악보

Description

가야금 교습용 악보{A sheet music for training the gayagum using a numbering plate for distinguishing strings of gayagum}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야금 교습용 악보를 사용하기 위한 가야금줄 식별판이 장착된 가야금의 전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야금 교습용 악보를 사용하기 위한 가야금줄 식별판의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라 가야금줄의 배치순서에 따른 번호를 기입한 오선악보의 일예
도 4 는 본 발명에 따라 가야금줄 번호를 기입한 정간악보의 일예,
도 5 는 종래의 일반적인 방법으로 음을 한자로 표기한 율명을 기입하여 나타낸 정간보의 악보에 대한 일례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본체 3 - 가야금줄
5 - 울림통 7 - 울림공
9 - 양이두 11 - 현침
13 - 안족 15 - 식별판
17 - 음표 머리
본 발명은 가야금의 교습을 도우는 가야금 보조교습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야금줄의 배치 순서와 일치하는 번호가 새겨져 가야금의 악보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하고 가야금의 연주를 빠르고 간편하게 익힐 수가 있게 한 가야금 교습용 악보에 관한 것이다.
우리의 전통 악기 중의 하나인 가야금은 12줄을 구비하고서, 이 줄을 음계에 맞추어 뜯거나 퉁겨서 소리를 내게 되어 있다.
통상, 가야금 본체의 너비가 대략 30cm 내외로 되어 있으므로 계산상으로는 줄 하나의 간격이 약 2.5cm를 유지하게 되어 있기는 하지만, 실제 줄의 배치에서는 양쪽 가장자리가 약간 넓게 되어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면 2.5cm의 폭을 유지하게 못하게 되므로, 비교적 좁은 공간에 많은 개수의 줄이 촘촘하게 배치되어 있어서, 특히 어린 초보자가 가야금을 처음 배울 때 악보에 맞추어 해당 음을 내는 줄을 구분하여 연주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어린아이들이 가야금을 쉽게 익힐 수 있게 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과 수단이 개발되어 왔었는바, 그 중에서 실제 학습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으로는 특허 공개 2003-39440호의 "어린이 교습용 가야금 및 이를 이용한 가야금 교습방법"과 같은 특허가 있는바, 상기 특허는 가야금의 12줄을 서로 다른 색깔로 표시하여 색상으로 음계를 구분하여 나타내도록 하였다.
그런데, 상기 특허는 소정의 몇 가지 색깔을 반복 사용하여 12개의 줄을 구분하면서 음계를 나타내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색상줄이 매어진 유아용 가야금을 별도로 구입하여 사용하여야만 한다.
또한, 이러한 유아용 가야금은 대개 8~9세가 되면 신체적으로 더 이상 사용할 필요가 없고 일반적인 가야금을 사용하게 되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색상줄이 장착된 가야금을 별도 구입하여 사용하는 것은 경제적인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색상 줄을 사용하는 것은 순번에 따른 줄의 구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인 바, 대개 약 1년 이하의 시간만 배우면 줄의 구분에 있어서는 전혀 문제가 없어지게 되기 때문에 색상줄이 장착된 가야금을 계속하여 사용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우리나라 전통음악에 사용되는 음의 이름을 '율명' 이라 하고, 12개의 음을 '12율'이라 한다. 12율명은 황종(黃鐘), 대려(大呂), 태주(太檗), 협종(夾鐘), 고선(姑洗), 중려(仲呂), 유빈(萊賓), 임종(林鐘), 이칙(夷則), 남려(南呂), 무역(無射), 응종(應鐘)으로 각각 2개의 글자로 이루어져 있으나, 전통적으로 우물 정(井)자 모양의 네모칸 안에 율명(律名)을 적어 넣어 음의 고저와 박자를 표시하는 정간보라는 기보에 표기할 때에는 머리 글자만 떼어서 한글자만 표기한다.
그리고, 가야금에 사용하는 악보에는, 도면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12개 의 율명중 황(黃), 태(太), 중(仲), 임(林), 남(南)의 다섯 글자를 기본 5음계로 하여 음의 고저에 따라 상기 기본 5음계를 변형시켜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도면 5는 우리 나라 동요인 "학교종"이라는 노래를 가야금으로 연주하기 위해 정간보에 표기하여 나타낸 악보로서, 각각의 음이 상기한 바와 같은 한자로 표기되는 율명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와 같이 우리 전통음악의 악보인 정간보에는 음의 표기가 한자로 나타내어져 있기 때문에, 어린이에게 가야금을 교습시키기 위해서는 정간표에 표기되어 음을 나타내는 한자로 이루어진 율명을 먼저 이해시켜야 하므로 가야금의 교습에 어려움이 가중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특허에서는 도면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정간보에서 네모칸으로 이루어진 정간(井間) 안에 율명 대신에 색깔별로 표현된 가야금의 줄 색깔에 맞추어 색깔을 표기한 색상 정간보를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바, 이러한 색상 정간보는 종래의 한자음이 적힌 정통 정간보에 비하여 판독이 쉽고, 정간보의 정간에 표시된 색상과 가야금의 줄 색깔을 맞추어 연주를 하면 되기 때문에 쉽게 익힐 수가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색상 정간보를 사용하여 가야금을 익히게 되면, 나중에 시간이 가야금에 익숙하여져도 정상적인 정간보를 판독할 수가 없게 되기 때문에, 정간보를 익히기 위해서는 별도의 학습을 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어 효과적일 수만은 없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한자 율명을 사용하는 정간보는 한자를 익혀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를 간편화하여 일반 서양음악의 악보와 같이 오선악보에 표시한 오선보를 사용하는데, 가야금의 음역은 변화가 크기 때문에 이러한 음을 오선악보에 표기하여 나타낸 오선보를 보고 어린이들이 연주하기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음을 이해시키는 데에도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가야금 교습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야금줄의 배치 순서와 일치하는 번호가 새겨져 가야금의 악보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하고 가야금의 연주를 빠르고 간편하게 익힐 수가 있게 한 가야금 교습용 악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야금 교습용 악보는 가야금줄의 배치순서에 따른 줄 번호에 맞추어 오선악보의 음표 머리에 번호가 기입된 악보 또는 정간보의 정간에 가야금의 율명 대신 가야금줄의 배치순서에 따른 번호를 기입하여 나타낸 악보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가야금 교습용 악보는 가야금 줄의 배치순서에 따른 줄 번호에 따라 연주하거나 상기 줄 번호가 가야금 본체에 폭 방향으로 밀착지지 되어지게 이루어진 가야금줄 식별판을 이용하여 연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야금 교습용 악보를 사용하여 교습함으로써, 가야금의 연주를 빠르고 간편하게 익힐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가야금줄 배치순서와 일치하는 번호가 새겨진 악보를 사용함으로써, 가야금용 정간보와 오선보도 정확하게 익힐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면 1은 일반적인 가야금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면 2는 도면 1의 단면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야금은 일반적으로 좁고 기다란 나무로 이루어진 본체(1)와 상기 본체(1)에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매어진 12개의 가야금줄(3)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1)에는 상부에 울림통(5)이 구비되고 하부에 울림공(7)이 갖추어져 있다.
통상, 상기 본체(1)는 통오동나무의 속을 파서 울림통(5)을 만들면서 앞면은 볼록하게 배가 나오게 하고, 뒷면은 편평하게 만들어 하나 이상의 울림공(7)을 형성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야금줄(3)은 본체(1)의 아래쪽에 구비된 양이두(9)와 본체(1)의 상단에 구비된 현침(11)에 의해 양쪽에서 묶여진 형태로 지지되어 있고, 가야금줄(3)의 중간부분은 상기 가야금 본체(1)의 윗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안착된 안족(13)의 의해 가야금줄(3)의 중간 부분이 받쳐져 있다.
한편, 도면 3은 본 발명에 따라 가야금줄의 배치순서에 맞추어 번호를 기입한 오선악보의 일례로서, 일반적인 오선악보의 음표 머리(17)에 해당 음표의 음에 맞추어 연주하여야 할 가야금줄(3)의 순번에 따른 번호를 기입해 둔 것이다.
상기 오선악보에 표기한 번호의 순번은 가야금의 연주의 편의를 위해 통상 바깥쪽에서부터 1번으로 하여 안쪽으로 들어오면서 번호가 높아져 제일 안쪽의 번호를 12번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가야금용 오선악보를 사용하여 연주를 하면 악보에 표기된 음을 내기 위해서는 가야금의 몇 번 줄을 퉁기거나 뜯어야 하는지 혼동하지 않고 음표 머릿(17)속에 적힌 번호와 일치하는 가야금줄(3)을 정확하게 연주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음표 머리(17)에 가야금줄(3)의 번호가 새겨진 도면 3의 오선악보를 사용하면, 오선악보에 나타내어진 음과 가야금줄(3)을 자연스럽게 매치시켜 연주할 수가 있으므로, 오선악보를 가야금 줄의 배치순서에 맞추어 자연적으로 익힐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면 3에 나타낸 오선악보는 우리 나라 동요인 "학교종"이라는 노래의 악보 일 부인 바, 이 노래를 악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기하여 두면 가야금의 초보자라 하여도 줄 번호에 맞추어 연주를 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도면 4는 본 발명에 따라 정통 악보인 정간보에 한자명으로 나타내어진 율명을 빼고, 그 대신 가야금줄(3)의 번호를 기입하여 나타내면서 음의 박자는 정간보의 정간(19)을 그대로 이용하게 한 정간보(이하에서는 '번호 정간보'라 한다)로서, 이와 같이 가야금줄의 번호를 사용하여 나타낸 본 발명의 번호 정간보는 정간(19)에 적힌 번호에 맞추어 해당 가야금줄(3)을 연주하면 어렵지 않고 간단하게 연주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번호 정간보에 한자 율명과 계이름을 병기하여 한자율명과 해당 음 및 계이름을 동시에 익힐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한자 율명으로 나타내어진 정간보에 가야금에 정한 줄 번호를 나타내어 표기하면 보기가 어렵게 느껴지던 정간보로 쉽게 해득하여 부담을 느끼지 않고 연주를 할 수가 있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가야금 줄의 배치순서에 따른 번호가 기재된 악보(오선악보, 정간악보)를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가야금에 가야금줄 번호 식별판(15)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가 있는데, 이러한 가야금줄 식별판(15)은 도면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야금줄(3)의 간격에 맞추어 1번부터 12번까지 순번대로 번호가 적혀져 있으면서, 가야금의 본체(1)에 채워 일시적으로 고정시켜 사용할 수가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식별판(15)은 도면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야금 본체(1)의 상단인 현침(11) 부분에서 소정의 거리를 둔 지점에 설치하면 되는데, 그 설치거리는 가야금 연주자의 체격에 따라 손으로 가야금줄(3)을 뜯거나 퉁기는데 불편함이 없으면서 가장 잘 바라보일 수 있는 곳에 설치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식별판(15)에 새겨진 숫자를 통하여 해당 숫자 위에 위치하는 가야금줄(3)을 악보에 맞추어 뜯거나 퉁기면서 연주를 하면 많은 개수의 가야금줄(3)을 혼동하지 않게 쉽게 구분하면서 연주를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가야금줄의 배치 순서에 따른 번호를 오선악보의 음표 머리에 기입한 번호 오선악보를 사용함으로써, 가야금을 처음 배우는 어린아이가 음역의 변화가 큰 오선악보를 보고 가야금을 쉽게 연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야금줄 번호가 적힌 오선악보를 보고 가야금 연습을 함으로써 자연적으로 오선악보의 기본을 익힐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가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따라 정간악보의 정간에 가야금줄의 배치순서에 따른 번호를 기입한 번호 정간보를 사용함으로써, 가야금을 처음 배우는 어린아이가 정간악보에서 사용하는 한자 율명을 익히지 않고서도 쉽게 정간악보를 보고 가야금을 연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간악보에 한자 율명과 가야금줄의 번호를 병기하여 넣음으로써, 정간악보의 보는 방법을 별도로 익히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정간악보를 판독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가야금줄의 배치순서에 따른 번호가 악보에 표기되어 이루어지면서, 상기 악보가 오선악보로 이루어지고, 상기 오선악보에 그려진 음표의 음표 머리(17)에 가야금줄(3)의 배치 순서에 따른 번호가 순번에 맞추어 표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야금 교습용 악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악보가 한자율명이 표시된 정간악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정간악보의 네모칸으로 이루어진 정간(19)속에 가야금줄(3)의 배치순서에 따른 번호가 순번에 맞추어 표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야금 교습용 악보
KR1020060050615A 2006-06-05 2006-06-05 가야금 교습용 악보 KR100717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0615A KR100717129B1 (ko) 2006-06-05 2006-06-05 가야금 교습용 악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0615A KR100717129B1 (ko) 2006-06-05 2006-06-05 가야금 교습용 악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6695A Division KR100761104B1 (ko) 2004-09-23 2004-09-23 가야금줄 식별용 숫자가 새겨진 식별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3908A KR20060073908A (ko) 2006-06-29
KR100717129B1 true KR100717129B1 (ko) 2007-05-10

Family

ID=37166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0615A KR100717129B1 (ko) 2006-06-05 2006-06-05 가야금 교습용 악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712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5167A (ja) * 1996-05-17 1997-11-28 Fumihide Matsuda 三味線用の楽譜
US20020050206A1 (en) 2000-08-03 2002-05-02 Maccutcheon Jane S. Music teaching system and method
JP2002366138A (ja) 2001-06-08 2002-12-20 Hirotsugu Nakao 弦楽器の指板用音名表示シール
KR200339283Y1 (ko) 2003-10-24 2004-01-28 강신우 현악기의 램프 시스템
KR20040076695A (ko) * 2003-02-26 2004-09-03 조정숙 우유두부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5167A (ja) * 1996-05-17 1997-11-28 Fumihide Matsuda 三味線用の楽譜
US20020050206A1 (en) 2000-08-03 2002-05-02 Maccutcheon Jane S. Music teaching system and method
JP2002366138A (ja) 2001-06-08 2002-12-20 Hirotsugu Nakao 弦楽器の指板用音名表示シール
KR20040076695A (ko) * 2003-02-26 2004-09-03 조정숙 우유두부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339283Y1 (ko) 2003-10-24 2004-01-28 강신우 현악기의 램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3908A (ko) 200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50206A1 (en) Music teaching system and method
US3218904A (en) Guitar training device
US6124540A (en) Musical notation system
Herfurth et al. A tune a day for flute
US7306226B2 (en) Musical game
US2016021770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osing piano pieces and teaching piano music notation and teaching piano playing
US9881514B2 (en) Display device for practice of keyboard instrument diagrammed with black keys as markers
US11302212B1 (en) Device for teaching music performance through tactile pitch association and methods of use
KR100717129B1 (ko) 가야금 교습용 악보
KR100761104B1 (ko) 가야금줄 식별용 숫자가 새겨진 식별판
KR101573063B1 (ko) 교육용 현악기 및 이를 이용한 작곡방법
US2028809A (en) Piano keyboard chart
Thompson John Thompson's Easiest Piano Course-Part 1-Book Only: Part 1-Book only
US6936759B2 (en) Teaching method and template to make a guide to teach piano
JP3244919U (ja) カリンバ演奏用補助具
US2984143A (en) Musical chord chart
KR102468278B1 (ko) 반음 및 온음을 시각화하여 연주할 수 있는 현악기 교구
JP3229152U (ja) カリンバ演奏用補助具
JPS62192781A (ja) 文字表示/触知式音楽用キ−ボ−ドおよび記譜システム
JP6670491B1 (ja) 超絶音感及び絶対音感の教材並びにこれを用いた指導方法
CN201527781U (zh) 五线式琴键
Bay Guitar primer
US532964A (en) Roberta ii
JPH0342452Y2 (ko)
JP3179557U (ja) 音符トラ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