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8278B1 - 반음 및 온음을 시각화하여 연주할 수 있는 현악기 교구 - Google Patents

반음 및 온음을 시각화하여 연주할 수 있는 현악기 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8278B1
KR102468278B1 KR1020200188014A KR20200188014A KR102468278B1 KR 102468278 B1 KR102468278 B1 KR 102468278B1 KR 1020200188014 A KR1020200188014 A KR 1020200188014A KR 20200188014 A KR20200188014 A KR 20200188014A KR 102468278 B1 KR102468278 B1 KR 102468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ing
button
whole
semitones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8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5962A (ko
Inventor
한송이
Original Assignee
한송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송이 filed Critical 한송이
Priority to KR1020200188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8278B1/ko
Publication of KR20220095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5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8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8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2Bowed or rubbed string instruments, e.g. violins or hurdy-gurdi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온음과 온음 사이에는 온음간격을 표시하는 점프수단이 형성되어 학습자가 온음과 반음을 시각적으로 쉽게 익힐 수 있는 현악기 교구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반음 및 온음을 시각화하여 연주할 수 있는 현악기 교구{TEACHING AID FOR STRING INSTRUMENT}
본 발명은 반음 및 온음을 시각화하여 연주할 수 있는 현악기 교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음과 온음 사이에는 온음간격을 표시하는 점프수단이 형성되어 학습자가 온음과 반음을 시각적으로 쉽게 익힐 수 있는 현악기 교구에 관한 것이다.
악기는 먼저 악보를 읽는 방법을 익히는 것으로 시작하는데, 각각의 악기가 지닌 특이성과 음악적 관계성을 숙달하기 위하여 주로 암기와 되풀이 연습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현악기는 지정된 건반이 있는 피아노와 달리 줄만 달려 있어서 어린 아동의 초급자가 혼자 음계의 위치를 찾아서 학습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현악기의 특징으로 인해 운지 위치, 운지 번호, 반음(미파, 시도), 온음(도레, 레미, 파솔, 솔라, 라시)의 운지 간격등 초급자 혼자 학습하기는 매우 어려운 악기이다.
그나마 고비용의 사교육이 가능한 아동들은 교육이 가능하지만 형편이 여의치 않은 아동들에게는 배움의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는다. 또한 고비용의 생소한 현악기를 선뜻 구입하기도 쉽지 않으며, 고비용의 레슨비도 큰 걸림돌이다.
일반적으로 4살 부터 시작되는 바이올린의 교육의 시기를 고려하였을때 어린 아동 누구나에게 골든 타임의 교육기회라도 놓치지 않도록 쉽게 배울 수 있는 교육방법 및 안전한 교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자에 의해 등록된 국내특허 제10-2094225호에서는 현악기의 기초인 운지법에 대한 레슨의 비용과 소요시간을 줄일 수 있고, 아무 때나 운지 연습이 가능한 현악기 운지 키트를 소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국내특허 제10-2094225호에 개시되지 않았던 반음 및 온음을 시각화하여 연주할 수 있는 현악기 교구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특히, 온음과 온음 사이에는 온음간격을 표시하는 점프수단이 형성되어 학습자가 온음과 반음을 시각적으로 쉽게 익힐 수 있는 현악기 교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각각의 운지버튼을 운지했을 때 그 운지버튼에 관한 설명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여 운지연습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현악기 교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 상측에 결합되며 현을 표현하는 다수의 돌선이 돌출된 지판과, 상기 지판의 단부에서 연장되는 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지판의 돌선에는 운지음에 해당되는 운지버튼이 각각 형성되며, 운지버튼의 표면에는 상기 버튼음에 해당되는 음과 관련된 이미지가 운지손가락의 숫자만큼 표시되며, 상기 돌선에서 연장되는 헤드에는 상기 돌선의 개방음 이니셜을 의미하는 캐릭터가 표현되며, 상기 헤드와 온음버튼 사이 및 온음버튼과 온음버튼 사이에는 온음을 인식할 수 있는 점프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음 및 온음을 시각화하여 연주할 수 있는 현악기 교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 교구는 고비용의 현악기 구입과 레슨비를 줄이고 혼자서도 스스로 반음, 온음의 위치를 직접 느끼며 연습할 수 있는 교구로서, 온음과 온음 사이에는 온음간격을 표시하는 점프수단이 형성되어 학습자가 온음과 반음을 시각적으로 쉽게 익힐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각의 운지버튼을 연주했을 때 그 운지버튼에 관한 설명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여 운지연습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 교구의 일례인 바이올린 교구의 평면도이며,
도2는 도1의 평면도의 이해를 돕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3은 도1의 측단면도이며,
도4 및 도5는 도1의 디스플레이에서 표현되는 이미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음 및 온음을 시각화하여 연주할 수 있는 현악기 교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 교구의 일례인 바이올린 교구의 평면도이며, 도2는 도1의 평면도의 이해를 돕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3은 도1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현악기 교구로서, 바이올린, 기타, 첼로 등 다양한 현악기 교구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바이올린 교구에 한정하여 서술한다.
본 발명은 바디부(110)와, 상기 바디부(110) 상측에 결합되며 현을 표현하는 다수의 돌선(121)이 돌출된 지판(120)과, 상기 지판(120)의 단부에서 연장되는 헤드(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연습 교구로서 돌선(121)이 현을 대신하며, 상기 돌선(121)에는 운지음에 해당되는 운지버튼(122)이 각각 형성된다.
이 때, 운지버튼을 운지하지 않고 돌선(121)를 켰을 경우에는 개방음이 미도시된 음향수단을 통해 송출되며, 운지버튼(122)을 운지하면서 돌선(121)을 켰을 경우 운지버튼에 해당되는 음이 송출되어 학습자가 송출음을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바이올린의 경우 4개의 현으로 구성되며, 4번줄 개방음이 솔, 3번줄 개방음이 레, 2번줄 개방음이 라, 1번줄 개방음이 미이며, 4번줄에서 1번줄로 갈수록 현의 굵기가 얇아진다. 또한, 일반적인 현악기와 마찬가지로 도레, 레미, 파솔, 솔라, 라시와 같은 온음은 온음간격으로 운지하며, 미파, 시도와 같은 반음은 반음간격으로 운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2에서 표현되는 바와 같이, 상기 돌선(121)에는 운지음에 해당되는 운지버튼(122)이 각각 형성된다. 즉, 4번 돌기에는 (라)(시)(도) 운지버튼이 형성되고, 3번줄에는 (미)(파)(솔) 운지버튼이 형성되고, 2번줄에는 (시)(도)(레) 운지버튼이 형성되고, 1번줄에는 (파)(솔)(라) 운지버튼이 형성된다.
이 때, 본 발명은 학습자 특히 어린아이들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도록 운지버튼(122)의 표면에는 상기 버튼음에 해당되는 음과 관련된 이미지가 운지손가락의 숫자만큼 표시된다.
즉, 4번줄 (라)운지버튼은 라면 1개의 이미지가 표현되는 데, 이는 라면의 "라"가 운지음이라는 뜻이고, 1개의 의미는 검지손가락으로 운지하라는 뜻이다. 이와 같이 4번줄 (시)운지버튼은 시리얼 2개(중지손가락 사용)의 이미지가 표현되고, 4번줄 (도)운지버튼은 도너츠 3개(약지 손가락 사용)의 이미지가 표현된다.
마찬가지로, 3번줄, 2번줄, 1번줄도 4번줄도 마찬가지로 운지버튼의 표면에는 상기 버튼음에 해당되는 음과 관련된 이미지가 운지손가락의 숫자만큼 표시되는 데 이러한 이미지 부분은 본 발명자에 의해 공개된 국내특허 제10-2094225호를 참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선(121)에서 연장되는 헤드(130)부분에는 상기 돌선의 개방음 이니셜을 의미하는 캐릭터(123)가 표현된다. 즉, 4번 돌선헤드 부분에는 돌선의 개방음인 (솔)을 의미하는 솔솔대왕 캐릭터가 표현되고, 3번 돌선헤드 부분에는 돌선의 개방음인 (레)을 의미하는 레레여왕 캐릭터가 표현되고, 2번 돌선헤드 부분에는 돌선의 개방음인 (라)을 의미하는 라라공주 캐릭터가 표현되고, 1번 돌선헤드 부분에는 돌선의 개방음인 (미)을 의미하는 미미왕자의 캐릭터가 표현될 수 있다. 아울러, 캐릭터 대신에 한글(솔, 레, 라, 미) 또는 영문(G, D, A, C)이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캐릭터, 한글과 영문 중 둘 이상이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캐릭터 이미지를 활용하여 주 이용자인 어린아이의 흥미를 유발시켜 학습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으며, 위에서 활용된 이미지 이외에 다양한 이미지를 활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교구는 헤드(130)와 온음버튼 사이 및 온음버튼과 온음버튼 사이에는 온음을 인식할 수 있는 점프수단이 형성하여, 온음과 반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숙달할 수 있도록 온음사이와 반음사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때, 상기 점프수단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핑을 시각화할 수 있도록 양단이 지판(120)에 고정되며 중앙에 라운드지게 돌출되는 호형 판스프링(140)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4번 돌선에서 헤드와 라 사이, 라와 시 사이 는 온음으로 솔솔대왕이 점핑하는 그림이 표현되어 있는 데, 본 발명에서는 도3에서와 같이 호형 판스프링(140)이 그 부분에 고정되어 점핑을 시각적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제안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3번 돌선에서 헤드와 미 사이, 파와 솔 사이, 2번 돌선에서 헤드와 시 사이, 도와 레 사이, 1번 돌선에서 파와 솔 사이, 솔과 라 사이에 호형 판스프링(140)이 설치되어 온음을 점핑하도록 표현한다.
이와 같은 시각적으로 표현되는 점핑수단을 통해 학습자는 온음과 반음을 명확하게 이해하여 운지할 수 있게 되는 잇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점프수단을 양단이 지판에 고정되며 중앙에 라운드지게 돌출되는 호형 판스프링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호형 판스프링을 운지했을 때 인접하는 운지버튼으로 슬립되어 정확한 운지위치로 교정해 주도록 함으로써 운지간격을 촉각적으로도 연습할 수 있게 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헤드에는 운지버튼을 운지했을 때 상기 운지버튼에 해당하는 돌선의 음표와 운지버튼의 음을 설명하는 이미지가 화면으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150)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4번 돌선의 운지버튼을 운지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150)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번 돌선의 악보와 그에 따른 4번 돌선의 운지버튼의 (라)(시)(도)음이 운지손가락과 함께 디스플레이 되도록 함으로써, 운지연습을 학습자가 시각 및 청각으로 확인하면서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5에서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악보와 운지버튼을 직접 연결하여 이를 설명하는 내용이 디스프레이될 수도 있다.
바디부: 110 120: 지판
121: 돌선 122: 운지버튼
130: 헤드 140: 판스피링
150: 디스플레이

Claims (4)

  1.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 상측에 결합되며 현을 표현하는 다수의 돌선이 돌출된 지판과, 상기 지판의 단부에서 연장되는 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지판의 돌선에는 운지음에 해당되는 운지버튼이 각각 형성되며, 운지버튼의 표면에는 버튼음에 해당되는 음과 관련된 이미지가 운지손가락의 숫자만큼 표시되며,
    상기 헤드와 온음버튼 사이 및 온음버튼과 온음버튼 사이에는 온음을 인식할 수 있는 점프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점프수단은 점핑을 시각화할 수 있도록 양단이 지판에 고정되며, 상기
    점프수단을 운지했을 때 인접하는 운지버튼으로 슬립되어 정확한 운지위치로 교정해주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음 및 온음을 시각화하여 연주할 수 있는 현악기 교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프수단은 중앙에 라운드지게 돌출되는 호형 판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음 및 온음을 시각화하여 연주할 수 있는 현악기 교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에는 운지버튼을 운지했을 때 상기 운지버튼에 해당하는 돌선의 악보와 운지버튼의 음을 설명하는 이미지가 화면으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음 및 온음을 시각화하여 연주할 수 있는 현악기 교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선에서 연장되는 헤드에는 상기 돌선의 개방음 이니셜을 의미하는 캐릭터가 표현되며,
    상기 운지버튼을 운지하지 않고 돌선을 켰을 경우에는 개방음이 출력되고,
    상기 운지버튼을 운지하면서 돌선을 켰을 경우 운지버튼에 해당되는 음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음 및 온음을 시각화하여 연주할 수 있는 현악기 교구.
KR1020200188014A 2020-12-30 2020-12-30 반음 및 온음을 시각화하여 연주할 수 있는 현악기 교구 KR102468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014A KR102468278B1 (ko) 2020-12-30 2020-12-30 반음 및 온음을 시각화하여 연주할 수 있는 현악기 교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014A KR102468278B1 (ko) 2020-12-30 2020-12-30 반음 및 온음을 시각화하여 연주할 수 있는 현악기 교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5962A KR20220095962A (ko) 2022-07-07
KR102468278B1 true KR102468278B1 (ko) 2022-11-17

Family

ID=82398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8014A KR102468278B1 (ko) 2020-12-30 2020-12-30 반음 및 온음을 시각화하여 연주할 수 있는 현악기 교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827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225B1 (ko) 2017-11-02 2020-03-27 한송이 현악기 운지 키트 및 이를 사용하여 만든 현악기 운지 교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1812A (ko) * 2010-03-10 2011-09-16 현구 강 전자 바이올린 연습기
KR20130029162A (ko) * 2011-09-14 2013-03-22 이상진 현악기용 연주보조장치
KR20160109819A (ko) * 2015-03-13 2016-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현악기 연주 인식 방법 및 전자 장치의 현악기 연주 피드백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225B1 (ko) 2017-11-02 2020-03-27 한송이 현악기 운지 키트 및 이를 사용하여 만든 현악기 운지 교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5962A (ko)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9527B2 (en) Machine and method for teaching music and piano
US638818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aching music
JP2008524647A (ja) モルフェウス記譜システム
US3827330A (en) Music teaching device
Ester et al. Takadimi: A rhythm system for all ages
Priest Putting listening first: a case of priorities
KR20190112931A (ko) 악보 표시 방법 및 그에 따른 연주악보교재
US646450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aching music theory
KR102468278B1 (ko) 반음 및 온음을 시각화하여 연주할 수 있는 현악기 교구
US656917A (en) Finger-guide for musical instruments.
Behrend The Suzuki Approach
US20050014110A1 (en) Choral keyboarding non-note reading methodology
KR101002643B1 (ko) 오선지가 표시된 전자 악기
Grande A comparison of the" rote-to-note" approach and the traditional music reading approach in teaching beginning instrumental music
Kuo Strategies and methods for improving sight-reading
Ditchfield Dyslexia and music
Zerull Just Imagine… Improving the Band Experience: Looking for the key to a better-sounding band? David S. Zerull offers ways to use students' imaginations to develop their musicianship
US20170025034A1 (en) Magic Music Method
JPH0342452Y2 (ko)
Zaworski If 6 Was 1: Pedagogical Approaches to Teaching Single-String Guitar Playing
Shehan The oral transmission of an aural art
VanderLugt Approaching Fifth to Sixth Grade Flute Pedagogy Considering VARK Learning Styles Model
Priest 8 Putting listening first
Bero Development of an instrumental method book for Bb clarinet using aspects of the Kodaly method
Philipak Recorder kar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