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4225B1 - 현악기 운지 키트 및 이를 사용하여 만든 현악기 운지 교구 - Google Patents

현악기 운지 키트 및 이를 사용하여 만든 현악기 운지 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4225B1
KR102094225B1 KR1020170145586A KR20170145586A KR102094225B1 KR 102094225 B1 KR102094225 B1 KR 102094225B1 KR 1020170145586 A KR1020170145586 A KR 1020170145586A KR 20170145586 A KR20170145586 A KR 20170145586A KR 102094225 B1 KR102094225 B1 KR 102094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ing
line
string
attached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5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0246A (ko
Inventor
한송이
Original Assignee
한송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송이 filed Critical 한송이
Priority to KR1020170145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225B1/ko
Publication of KR20190050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0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악기 운지 키트 및 이를 사용하여 만든 현악기 운지 교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 운지 키트는, 바디부, 복수의 라인부, 및 복수의 운지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라인부는 바디부의 적어도 일부 표면에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운지부는 각각의 라인부 상에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현악기 운지 키트 및 이를 사용하여 만든 현악기 운지 교구 {KIT FOR FINGERING OF STRING INSTRUMENTS AND TEACHING AID FOR FINGERING OF STRING INSTRUMENT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현악기 운지 키트 및 이를 사용하여 만든 현악기 운지 교구에 관한 것이다.
현재 고등학교 이하의 교육 과정에서는 리코더, 단소, 북, 탬버린, 멜로디언 정도의 악기만을 다루고 있다. 이런 악기들은 그 단순함 때문에 어른이 되어서도 즐기거나, 대중 앞에서 연주하는 것은 드문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어른이 되어도 활용되는 피아노, 첼로, 바이올린, 기타 등의 악기는 사교육에 의존하여 배울 수밖에 없으며, 악기의 구입비용과 레슨에 대한 부담이 크기 때문에, 취약계층 아동은 이러한 악기들을 배울 기회가 전무한 것이 사실이다.
특히, 이 중에서도 바이올린, 첼로 같은 현악기는 기타처럼 지판에 선이 그어져 있는 것도 아니며, 줄만 덩그러니 달려 있기 때문에 운지 자리를 익히는 것은 더욱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경제적 부담없이 다양한 현악기에 적용 가능한 현악기 운지 키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현악기의 기초인 운지법에 대한 레슨의 비용과 소요시간을 줄일 수 있고, 아무 때나 운지법 연습이 가능한 현악기 운지 키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어린 아이들이 자신의 손에 맞는 간격의 사이즈의 지판을 구성함에 따라, 어린 아이들의 신체 발달에 따른 악기 사이즈의 잦은 교환 및 운지로 인한 고통을 감소시키고, 연습에 대한 부담 줄일 수 있는 현악기 운지 키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은, 바디부; 복수의 라인부; 및 복수의 운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라인부는 상기 바디부의 적어도 일부 표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운지부는 각각의 상기 라인부 상에 부착될 수 있는, 현악기 운지 키트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바디부는 병, 통, 토시, 옷, 시계, 찰흙, 평판, 앞치마, 장판, 벽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라인부 및 운지부는 자석, 벨크로 테이프, 찰흙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은,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적어도 일부 표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라인부; 및 각각의 상기 라인부 상에 부착되는 복수의 운지부를 포함하는, 현악기 운지 교구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바디부에의 적어도 일부 표면에는 4개의 상기 라인부가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라인부의 최상단에는 개방현의 음에 대응하는 운지부가 부착되고, 상기 라인부의 나머지 부분에 3개의 운지부가 소정 간격을 가지고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운지부에는 음의 계명 또는 음의 계명에 대응하는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현악기 운지 교구가 첼로 또는 비올라의 운지 교구인 경우, 각각의 상기 라인부의 최상단에는 개방현의 "도", "솔", "레", "라"에 대응하는 운지부가 부착되고, 첫번째 라인부에는 상기 "도" 운지부 아래에 "레", "미", "파"에 대응하는 운지부; 두번째 라인부에는 상기 "솔" 운지부 아래에 "라", "시", "도"에 대응하는 운지부; 세번째 라인부에는 상기 "레" 운지부 아래에 "미", "파", "솔"에 대응하는 운지부; 네번째 라인부에는 상기 "라" 운지부 아래에 "시", "도", "레"에 대응하는 운지부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현악기 운지 교구가 바이올린 또는 더블 베이스 운지 교구인 경우, 각각의 상기 라인부의 최상단에는 개방현의 "솔", "레", "라", "미"에 대응하는 운지부가 부착되고, 첫번째 라인부에는 상기 "솔" 운지부 아래에 "라", "시", "도"에 대응하는 운지부; 두번째 라인부에는 상기 "레" 운지부 아래에 "미", "파", "솔"에 대응하는 운지부; 세번째 라인부에는 상기 "라" 운지부 아래에 "시", "도", "레"에 대응하는 운지부; 네번째 라인부에는 상기 "미" 운지부 아래에 "파", "솔", "라"에 대응하는 운지부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경제적 부담없이 다양한 현악기에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어린 아이들이 자신의 손에 맞는 간격의 사이즈의 지판과 운지 자리를 구성함에 따라, 어린 아이들의 신체 발달에 따른 악기 사이즈의 잦은 교환 부담과 처음부터 쇠줄을 눌러야 하는 운지 고통이 없으며, 악기 파손 및 위험성이 없어 안전하며, 운지법 암기가 아닌 각 줄마다의 동화를 통한 놀이로 연습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현악기의 기초인 운지법에 대한 레슨의 비용과 소요시간을 줄일 수 있고, 아무 때나 운지법 연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 운지 키트의 구성품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 운지 교구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 운지 교구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 운지 교구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 운지 교구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 운지 교구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 운지 교구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 운지 교구를 나타낸다.
도 9 내지 도 11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 운지 교구의 라인부, 운지부의 구성 형태를 나타낸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 운지 키트(10)의 구성품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 운지 키트(10)는 바디부(110, 210, 310, 410, 510, 610, 710), 복수의 라인부(120, 220, 320, 420, 520, 620, 720), 복수의 운지부(130, 230, 330, 430, 530, 630, 730)(140, 240, 340, 440, 540, 640, 7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실시예의 현악기 운지 교구(100)[도 2에 도시]를 제조하기 위한 현악기 운지 키트(10)를 상정하여 설명하나, 현악기 운지 키트(10)의 구성품은 도 2의 현악기 운지 교구(100)뿐 아니라,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되는 현악기 운지 교구(200~700)를 제조하기 위한 구성품을 포함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바디부(110)는 현악기 운지 교구(100)의 본체(body)가 될 수 있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로서, 바디부(110)는 병, 통, 토시, 옷, 시계, 찰흙, 평판, 앞치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어린 아이들이 휴대하기 쉽고 가벼우며, 운지법을 학습하기 위해 손으로 쥘 수 있는 정도의 크기라면 바디부(110)로서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이를테면, 병은 유리병, 생수병, 페트병 등, 통은 플라스틱통, 철통 등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고 휴대하기 쉬운 것이라면 적절히 채용가능하다. 또한, 토시는 팔, 다리, 허리 등에 두를 수 있는 것, 신축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적절히 채용가능하다. 또한, 옷의 일부분에 부착가능하고, 옷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 재질을 가지는 것이라면 적절히 채용가능하다. 또한, 손목시계, 손목 밴드 등과 같이 손목에 두를 수 있는 것이라면 적절히 채용가능하다. 또한, 찰흙과 같이 학습자가 원하는 모양으로 성형 가능하고, 단단하게 굳힐 수 있는 재질이라면 적절히 채용가능하다. 또한, 평판과 같이 학습자가 항시 휴대하고 다니는 스마트폰, 수첩, 책 등에 부착 가능한 형상이라면 적절히 채용가능하다. 또한, 앞치마와 같이 학습자가 실체의 일부분에 걸어서 착용하고 앞치마, 의류 등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 재질을 가지는 것이라면 적절히 채용가능하다.
복수의 라인부(120)는 바디부(110)의 적어도 일부 표면에 부착하여 배치될 수 있는 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 라인(lin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각 라인은 폭이 상이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각각의 라인부(120)는 현악기의 현에 대응하도록 4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4개의 라인부(120)는 점점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라인부(120)는 종이, 천 등의 재질로써 풀, 테이프과 같은 접착수단을 통하여 바디부(110)에 부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라인부(120) 그 자체로 점착성을 가져 바디부(110)에 부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라인부(120)가 스티커, 찰흙 등의 재질로서 바디부(110)에 부착 가능하고, 라인부(120)와 운지부(130, 140)가 서로 부착될 수 있도록 자석, 벨크로 테이프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라인부(120)의 줄의 굵기는 각각 상이할 수 있다. 줄의 굵기를 상이하게 구성하여 고음과 저음의 차이를 식별할 수 있다.
운지부(130, 140)는 각각의 라인부(12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운지부(130, 140)는 원형, 다각형 등의 형상을 가지고 라인부(12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운지부(130)에는 특정 음의 계명이 표시될 수 있다. 즉, 운지부(130)는 "도", "레", "미", "파", "솔", "라", "시" 등의 계명이 글자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운지부(140)에는 특정 음의 계명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이 이미지는 특정 음을 연상시키는 이미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운지부(140)에는, "도" 계명 대신 "(도)둑 아저씨", "(도)넛", "(도)자기", "Donuts" "레" 계명 대신 "(레)고 왕자", "(레)이스 드레스", "Red Cabbage Sandwich"
"미" 계명 대신 "(미)역", "(미)끄럼틀", "(미)니 어린이", " (미)미 어린이", "Milk Bottles", "Mint", "Mint Chocolate", "Minipig", "파" 계명 대신 야채 "(파)", "(파)리", "(파)인애플", "(파)도 타기", "Farmer's Bread", "Falcons", "솔" 계명 대신 "(솔)로 아가씨", "(솔)방울 던지기", "Soldier Ants", "라" 계명 대신 "(라)라 공주", "(라)면"," Latte", "시" 계명 대신 "(시)리얼", "(시)계", "Sicilian Pizzas" 등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이렇게 계명을 연상시키는 이미지가 표시되어, 글자를 잘 모르는 어린 아이들도 이미지를 통해 계명을 쉽게 연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현악기의 줄의 굵기는 모두 다르다. 굵은 줄은 먹는 것과 관련된 이미지로만 구성되는 '먹는 줄'로, 얇은 줄은 노는 것과 관련된 이미지로만 구성되는 '노는 줄'로 나눌 수 있다. 대부분의 현악기는 운지 위치가 기타처럼 금이 없어, 도, 레, 미, 파, 솔, 라, 시, 도가 저음의 음계인지 고음의 음계인지 헷갈리기 때문에, 연상되는 아무 이미지나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굵은 줄은 먹는 음식 이미지로만, 노는 줄은 노는 이미지로만 구성을 하고, 먹는 줄과 노는 줄로 나누어 줄의 굵기를 설명을 통해 줄의 처음 시작점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만들 수 있다. 또한, 손가락 번호를 아이콘 개수만큼 붙혀서 이에 더하여 손가락 번호와 아이콘 개수를 같게 하여 직관적으로 번호를 익힐 수 있도록 있는 자신만의 운지 버튼의 교구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운지부(130, 140)는 학습자가 손가락을 대는 부분이기 때문에 각 손가락의 간격보다 동일하거나 작은 간격을 따라서 라인부(120) 상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지부(130, 140)도 라인부(120)와 마찬가지로, 종이, 천 등의 재질로써 풀, 테이프와 같은 접착수단을 통하여 라인부(120)에 부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운지부(130, 140) 그 자체로 점착성을 가져 라인부(120)에 부착될 수도 있다[예를 들어, 운지부(130, 140)가 스티커, 찰흙 등의 재질로서 라인부(120)에 부착 가능].
운지부(130, 140)에서 라인부(120)의 최상단에는 개방현의 음에 대응하는 운지부(131)가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첼로 악기 연주를 위해, 라인부(120)의 최상단에는 줄에 전혀 손을 대지 않고, 연주를 할 때 나오는 음인(개방현), "도", "솔", "레", "라"의 계명이 표시된 운지부(131)가 부착될 수 있다. 또는, "도", "솔", "레", "라"의 계명에 대응하는 이미지면서, 동화 속 인물 주인공인, "(도)둑 아저씨", "(도)르가", "(도)마", "(솔)로 아가씨", "(솔)로몬", "(레)고 왕자", "(레)베카", "(레)아, "(라)라 공주", "(라)자로스","(라)합"의 이미지가 표시된 운지부(141)가 부착될 수 있다. 첼로와 비올라는 운지 자리가 동일하고, 바이올린의 경우는 "(도)둑 아저씨"가 삭제되고, 고음에 "(미)니 어린이", "(미)미 어린이", " (미)리암"이 추가 될 수 있다. 한편, 후술할 동화스토리에서, 동화의 주인공 인물의 이름과 이미지는 개방현으로 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첫번째 라인부(120)에는 "도" 운지부(131) 아래에 "레", "미", "파"에 대응하는 운지부(135), 두번째 라인부(120)에는 "솔" 운지부(131) 아래에 "라", "시", "도"에 대응하는 운지부(135), 세번째 라인부(120)에는 "레" 운지부 아래에 "미", "파", "솔"에 대응하는 운지부(135), 네번째 라인부(120)에는 "라" 운지부(131) 아래에 "시", "도", "레"에 대응하는 운지부(135)가 부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바이올린 악기 연주를 위해, 라인부(120)의 최상단에는 줄에 전혀 손을 대지 않고, 연주를 할 때 나오는 음인, "솔", "레", "라", "미"의 계명이 표시된 운지부(131)가 부착될 수 있다. 또는, "솔", "레", "라", "미"의 계명에 대응하는 이미지인, "(솔)로 아가씨", "(레)고 왕자", "(라)라 공주", "(미)니 어린이"의 이미지가 표시된 운지부(141)가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첫번째 라인부(120)에는 "솔" 운지부(131) 아래에 "라", "시", "도"에 대응하는 운지부(135), 두번째 라인부(120)에는 "레" 운지부(131) 아래에 "미", "파", "솔"에 대응하는 운지부(135), 세번째 라인부(120)에는 "라" 운지부 아래에 "시", "도", "레"에 대응하는 운지부(135), 네번째 라인부(120)에는 "미" 운지부(131) 아래에 "파", "솔", "라"에 대응하는 운지부(135)가 하이 포지션까지 이런 방식으로 계속 부착될 수 있다.
또는, 이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표시된 운지부(145)가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이미지 중에서 사물과 생물의 이미지 갯수는 운지 위치와 손가락 번호를 나타낼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현악기 운지 키트는, 간단한 구성품을 포함하고,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들로 구성되므로, 경제적 부담없이 다양한 현악기에 적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 운지 교구(100)를 나타낸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 운지 교구(100)는 생수병의 바디부(110), 색지 재질의 라인부(120) 및 색지 재질의 운지부(130, 140)를 포함할 수 있다. 학습자는 라인부(120) 및 운지부(130, 140)를 가위 등으로 오려, 바디부(110)에 풀을 통해 접착시킴으로써 쉽게 현악기 운지 교구(100)를 구현할 수 있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현악기 운지 교구(100)를 손(H)으로 파지하고 손가락을 각각의 운지부(130, 140)에 짚어 봄으로써 운지법을 학습할 수 있다. 생수병 크기와 무게를 가진 현악기 운지 교구(100)는 휴대가 간편하고, 책가방 등에 넣고 다니면서 언제 어디서든지 현악기 운지법 학습에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운지부(130, 140)에 계명이 나타나 있기 때문에, 학습자는 음에 해당하는 소리를 내면서 동시에 운지법을 익히기 용이하고, 자신의 손 사이즈에 맞는 현악기 운지 교구(100)를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 운지 교구(200)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 운지 교구(200)는 토시의 바디부(210), 색지 재질의 라인부(220) 및 색지 재질의 운지부(230, 240)를 포함할 수 있다. 학습자는 라인부(220) 및 운지부(230, 240)를 가위 등으로 오려, 바디부(210)에 풀을 통해 접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바디부(210)가 종이 재질이면 원통형으로 말아서 풀로 접착한 후 팔에 끼울 수 있고, 바디부(210)가 밴드 재질이면 곧바로 신축성을 이용하여 팔에 끼움에 따라서 쉽게 현악기 운지 교구(200)를 구현할 수 있다.
토시 형태의 현악기 운지 교구(200)는 항상 팔에 끼워서 다닐 수 있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든지 현악기 운지법 학습에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운지부(230, 240)에 계명이 나타나 있기 때문에, 학습자는 음에 해당하는 소리를 내면서 동시에 운지법을 익히기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한쪽 팔에 끼워지기 때문에 나머지 팔로 운지를 하면서, 현악기 운지 교구(200)가 끼워진 팔의 손에 연필, 활 등을 파지하여 실제로 연주하는 느낌을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거나 말아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책가방 등에 넣어서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 운지 교구(300)를 나타낸다.
제3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 운지 교구(300)는 손목시계, 손목밴드 형태의 바디부(310), 라인부(320) 및 색지, 스티커 재질의 운지부(330, 34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310) 중 손목부(311)는 양측을 접착시켜서 손목에 끼울 수 있게 만들 수 있고, 손부(315)의 손가락 모양 4개가 라인부(320)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학습자는 운지부(330, 340)를 가위 등으로 오려, 바디부(310)에 풀을 통해 접착시킴으로써 쉽게 현악기 운지 교구(300)를 구현할 수 있다.
손목시계 형태의 현악기 운지 교구(300)는 항상 손목에 차고 다닐 수 있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든지 현악기 운지법 학습에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손등에 붙어있는 운지 시계첼로는 지판(Fingerboard)을 눈 앞에 바로 가져다 놓을 수 있어 직접 바로 보면서 운지 익히기가 쉬운 장점이 있다. 운지부(330, 340)에 계명이 나타나 있기 때문에, 학습자는 음에 해당하는 소리를 내면서 동시에 운지법을 익히기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 운지 교구(400)를 나타낸다.
제4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 운지 교구(400)는 찰흙 재질의 바디부(410), 찰흙 재질의 라인부(420) 및 운지부(430, 440)를 포함할 수 있다. 학습자는 원하는 형태로 바디부(410)를 구성하고 단단하게 굳힐 수 있다. 그리고, 라인부(420)와 운지부(430)를 동일한 색상의 찰흙으로 구성하고 단단하게 굳혀서 현악기 운지 교구(400)를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운지부(430)에 찰흙을 두께감 있게 붙이면 운지 자리 느낌을 더 잘 익힐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는, 라인부(420)를 찰흙으로 구성하고, 그 위에 종이 재질의 운지부(430, 440)를 가위 등으로 오려 테이프 등을 통해 접착시킴으로써 쉽게 현악기 운지 교구(400)를 구현할 수 있다.
찰흙 현악기 운지 교구(400)는 칼라 찰흙을 사용하여 디자인을 원하는대로 꾸밀 수 있고, 학습자가 원하는 크기와 형태로 바디부(410)를 성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찰흙 형태의 바디부(410) 외에 플라스틱, 종이 등의 형태를 가진 조각을 조립함에 따라 현악기의 모양을 구성하도록 키트(10)가 제공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 운지 교구(500)를 나타낸다.
제5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 운지 교구(500)는 평판 형태의 바디부(510), 색지 재질의 라인부(520) 및 색지 재질의 운지부(530, 54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510)는 스마트폰 등의 대상물의 크기, 형태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디부(510) 조임부(511)는 양측을 접착시키거나, 밴드 재질을 사용하여 스마트폰 등의 대상물에 끼워질 수 있도록 만들 수 있다. 학습자는 라인부(520) 및 운지부(530, 540)를 가위 등으로 오려, 바디부(510)에 풀을 통해 접착시키고, 이를 스마트폰 등의 대상물에 끼움으로써 쉽게 현악기 운지 교구(500)를 구현할 수 있다.
평판 형태의 현악기 운지 교구(500)는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스마트폰 등에 끼워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든지 현악기 운지법 학습에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운지부(530, 540)에 계명이 나타나 있기 때문에, 학습자는 음에 해당하는 소리를 내면서 동시에 운지법을 익히기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거나 말아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책가방 등에 넣어서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 운지 교구(600)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제6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 운지 교구(600)는 티셔츠, 남방 등의 옷 바디부(610), 색지, 천, 벨크로 테이프 등의 재질의 라인부(620) 및 운지부(630, 640)를 포함할 수 있다. 학습자는 라인부(620) 및 운지부(630, 640)를 가위 등으로 오려, 바디부(610)에 바느질, 접착제, 벨크로 테이프 등을 통해 부착시킬 수 있다.
옷 형태의 현악기 운지 교구(600)의 바디부(610) 상에는 라인부(620) 및 운지부(630, 640)가 여러군데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각각의 라인부(620) 및 운지부(630, 640)는 첼로, 비올라, 바이올린 등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하여, 옷 형태의 현악기 운지 교구(600)를 가지고 다양한 현악기들의 운지법을 모두 익힐 수 있는, 이른 바, '운지 티셔츠'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옷 형태의 현악기 운지 교구(600)는 항상 신체에 착용한 상태로 다닐 수 있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든지 현악기 운지법 학습에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운지부(630, 640)에 계명이 나타나 있기 때문에, 학습자는 음에 해당하는 소리를 내면서 동시에 운지법을 익히기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신체에 착용되기 때문에 두 손이 자유롭고 한 손으로 운지를 하면서, 나머지 손에 현, 연필, 활 등을 파지하여 실제로 연주하는 느낌을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하지 않을 때는 다른 옷으로 갈아입은 후, 현악기 운지 교구(600)를 접거나 말아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책가방 등에 넣어서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여러 가지 현악기에 대한 운지법들을 다양하게 익힐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 운지 교구(700)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제7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 운지 교구(700)는 앞치마 형태의 바디부(710), 색지, 천, 벨크로 테이프 등의 재질의 라인부(720) 및 운지부(730, 740)를 포함할 수 있다. 학습자는 라인부(720) 및 운지부(730, 740)를 가위 등으로 오려, 바디부(610)에 바느질, 접착제, 벨크로 테이프 등을 통해 부착시킬 수 있다.
옷 형태의 현악기 운지 교구(700)는 필요할 때마다 목에 걸어 착용할 수 있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든지 현악기 운지법 학습에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운지부(730, 740)에 계명이 나타나 있기 때문에, 학습자는 음에 해당하는 소리를 내면서 동시에 운지법을 익히기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신체에 착용되기 때문에 두 손이 자유롭고 한 손으로 운지를 하면서, 나머지 손에 연필, 활 등을 파지하여 실제로 연주하는 느낌을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하지 않을 때는 앞치마 바디부(710)를 탈의한 후 접거나 말아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책가방 등에 넣어서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 운지 교구의 라인부, 운지부의 구성 형태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자석 재질의 라인부(120)에 자석 재질의 운지부(130, 140)가 부착된 실시예가 도시된다. 그리고 도 10을 참조하면, 벨크로 테이프(찍찍이) 재질의 라인부(120)에 벨크로 테이프 재질의 운지부(130, 140)가 부착된 실시예가 도시된다.
자석, 벨크로 테이프 재질 등으로 구성된 라인부(120) 및 운지부(130, 140)는 반복적으로 서로 떼고 붙이는 것이 가능하며, 라인부(120) 상에서 운지부(130, 140)의 간격을 학습자가 임의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학습자의 신체 사이즈, 손가락 사이즈 등에 맞추어 운지부(130, 140)의 간격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다양한 크기의 바디부(110)를 가지는 현악기 운지 교구가 도시된다. 예를 들어, 현악기 운지 키트(10) 내에서 바디부(110)를 구성하기 위해서 접기 도안이 제공될 수 있다. 도안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바디부(110)를 구성할 수 있다. 첼로 운지 키트의 경우에는 큰 현악기인 첼로를 구현할 정도의 접기 도안이 제공되어 첼로에 대응하는 바디부(110)를 구성할 수 있다[도 11의 왼쪽 참고]. 또한, 첼로 운지 키트 중에서 연령대에 맞추어 비교적 작은 크기로 첼로를 구현할 수 있도록 접기 도안이 제공되어 첼로에 대응하는 바디부(110)를 구성할 수 있다[도 11의 가운데 참고]. 그리고 바이올린 운지 키트의 경우에는 작은 현악기인 바이올린을 구현할 정도의 접기 도안이 제공되어 바이올린에 대응하는 바디부(110)를 구성할 수 있다[도 11의 오른쪽 참고].
한편 본 발명은 동화스토리를 반영하여 운지를 익히는데 용이한 이점이 있다.
1. 모든 줄에 형용사를 사용하여 줄의 굵기를 설명
뚱뚱한, 통통한, 날씬한, 빼빼한, 홀쭉한 등의 형용사를 사용하여 줄의 굵기를 같이 직관적으로 인지하게 하였다.
(예시: "뚱뚱한" 도둑 아저씨, "통통한" 솔로 아가씨, "날씬한" 레고 왕자, "빼빼한" 라라 공주, "홀쭉한" 미니 어린이)
2. 모든 줄에 반복적으로 " 아무 것도 한다"는 동화 이야기는 아무 것도 누르지 않는 각 줄의 개방현(전혀 줄에 손을 대지 않는) 쉽게 설명
(예시: 도둑 아저씨는 아무 일도 안하고, 솔로 아가씨는 아무 운동도 안하고, 레고 왕자는 공부는 안하고, 라라 공주는 친구들 선물은 아무것도 안 사고,
Dorcas 할머니는 음식을 나눠 줄 때는 아무것도 아끼지 않아! Solomon 할아버지는 지혜가 많아 아무것도 걱정 안 해!, Rebekah 언니는 친절해서 동물을 돕지 않으면 아무것도 못해! lazarus 아저씨는 동물을 돕다가 쓰러져서 아무것도 못해!)
3. 모든 줄마다 해당 장소를 설정하여 그 장소에 있는 물건이나 동물 등으로 운지를 연결함으로 기억하게 쉽게 설명
(예시: 시장 가게(레몬, 미역,파), 집(라면,시리얼,도너츠), 놀이터(미끄럼틀, 파리잡기 놀이, 솔방울 던지기 놀이), 쇼핑센터(시계, 도자기, 레이스 드레스), 빵집(샌드위치,우유,빵), 카페(라떼,피자,도너츠), 실내 놀이터(미니돼지,매, 병정개미), 실외 놀이터(고릴라, 도도새, 사슴) 등)
일반동화와 적용된 동화 사례를 들면 다음과 같다.
[비교예 - 일반 동화]
[표 1]
Figure 112017109062954-pat00001
[본 발명의 적용예 - 놀이 동화]
[표 2]
Figure 112017109062954-pat00002
[본 발명의 적용예 - 성경 영어동화]
[표 3]
Figure 112017109062954-pat00003
Figure 112017109062954-pat00004
비교예와 본 발명의 적용예의 차이점을 보면, 본 발명은 (1) 각 줄의 굵기가 표현된 동화이고, (2) 동화 주인공과 연결된 손가락 번호와 아이콘 갯수가 적용된 동화이며, (3) 각 줄마다 주인공이 있고, 개방현 습득이 탁월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현악기 운지 키트, 및 현악기 운지 키트로 구현한 운지 교구는, 현악기의 어려움을 혼자서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각 줄마다 동화가 제시되며, 주인공들은 개방현(운지를 누르지 않음) 줄의 음을 대표한다. 반면에 운지를 누르는 음계를 상징하는 이미지들은 해당되는 줄의 동화에 출연하여, 소속 줄에서의 운지 위치 및 번호를 쉽게 기억하도록 할 수 있다. 헷갈리지 않도록 각 줄의 주인공 동화를 만들어 그 동화에 맞추어 이미지를 붙일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운지법 학습에 필요한 간단한 구성품을 포함하고,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들로 운지 교구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 부담없이 다양한 현악기에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크고 무거운 현악기를 들고 다닐 필요 없이, 작고 가벼우며 팔, 손목, 스마트폰 등에 간단히 끼워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현악기의 기초인 운지법에 대한 레슨의 비용과 소요시간을 줄일 수 있고, 아무때나 운지법 연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어린 아이들이 자신의 손에 맞는 간격의 사이즈의 지판을 구성함에 따라, 어린 아이들의 신체 발달에 따른 악기 사이즈의 잦은 교환 및 쇠줄을 바로 눌러야 하는 운지로 인한 고통을 감소시키고, 연습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한 변형예 및 변경예는 본 발명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참고자료]
1) 현직교사 사례: 경기도교육청 연수 후 교사 의견 (2017.4.12-2017.5.17)
3시간씩 5주 수업 후 모든 교사 작은 별 연주함
Figure 112017109062954-pat00005
2) 대학생 사례: 2017년 1학기 대학교 교양수업 (단체로 10분씩만 설명 후 테스트)
TEST 결과
Figure 112017109062954-pat00006
<참조> 1일차: 5월 10일, 2일차: 5월 31일, 3일차: 6월 7일
10: 현악기 운지 키트
100, 200, 300, 400, 500, 600, 700: 현악기 운지 교구
110, 210, 310, 410, 510, 610, 710: 바디부
120, 220, 320, 420, 520, 620, 720: 라인부
130, 140, 230, 240, 330, 340, 430, 440, 530, 540, 630, 640, 730, 740: 운지부

Claims (8)

  1. 바디부;
    복수의 라인부; 및
    음의 계명 또는 음의 계명에 대응하는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는 복수의 운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라인부는 상기 바디부의 적어도 일부 표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운지부는 각각의 상기 라인부 상에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바디부는
    손으로 쥘 수 있는 크기이고 원통 형상을 가진 병, 통,
    팔에 끼울 수 있는 토시
    중 어느 하나이며,
    각각의 상기 라인부의 줄의 굵기는 상이하며,
    각각의 상기 라인부의 최상단에는 줄에 손을 대지 않는 개방현의 음에 대응하는 운지부가 나머지 3개의 운지부와 다른 형상을 가지며 부착될 수 있고, 상기 라인부의 나머지 부분에 3개의 운지부가 소정 간격을 가지고 부착될 수 있는, 현악기 운지 키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부 및 운지부는 자석, 벨크로 테이프, 찰흙 중 어느 하나인, 현악기 운지 키트.
  4.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적어도 일부 표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라인부; 및
    각각의 상기 라인부 상에 부착되고, 음의 계명 또는 음의 계명에 대응하는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는 복수의 운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손으로 쥘 수 있는 크기이고 원통 형상을 가진 병, 통,
    팔에 끼울 수 있는 토시
    중 어느 하나이며,
    각각의 상기 라인부의 줄의 굵기는 상이하며,
    각각의 상기 라인부의 최상단에는 줄에 손을 대지 않는 개방현의 음에 대응하는 운지부가 나머지 3개의 운지부와 다른 형상을 가지며 부착되고, 상기 라인부의 나머지 부분에 3개의 운지부가 소정 간격을 가지고 부착되는, 현악기 운지 교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의 적어도 일부 표면에는 4개의 상기 라인부가 배치되는, 현악기 운지 교구.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현악기 운지 교구가 첼로 또는 비올라의 운지 교구인 경우, 각각의 상기 라인부의 최상단에는 개방현의 "도", "솔", "레", "라"에 대응하는 운지부가 부착되고,
    첫번째 라인부에는 상기 "도" 운지부 아래에 "레", "미", "파"에 대응하는 운지부; 두번째 라인부에는 상기 "솔" 운지부 아래에 "라", "시", "도"에 대응하는 운지부; 세번째 라인부에는 상기 "레" 운지부 아래에 "미", "파", "솔"에 대응하는 운지부; 네번째 라인부에는 상기 "라" 운지부 아래에 "시", "도", "레"에 대응하는 운지부가 부착되는, 현악기 운지 교구.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현악기 운지 교구가 바이올린 또는 더블 베이스 운지 교구인 경우, 각각의 상기 라인부의 최상단에는 개방현의 "솔", "레", "라", "미"에 대응하는 운지부가 부착되고,
    첫번째 라인부에는 상기 "솔" 운지부 아래에 "라", "시", "도"에 대응하는 운지부; 두번째 라인부에는 상기 "레" 운지부 아래에 "미", "파", "솔"에 대응하는 운지부; 세번째 라인부에는 상기 "라" 운지부 아래에 "시", "도", "레"에 대응하는 운지부; 네번째 라인부에는 상기 "미" 운지부 아래에 "파", "솔", "라"에 대응하는 운지부가 부착되는, 현악기 운지 교구.
KR1020170145586A 2017-11-02 2017-11-02 현악기 운지 키트 및 이를 사용하여 만든 현악기 운지 교구 KR102094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586A KR102094225B1 (ko) 2017-11-02 2017-11-02 현악기 운지 키트 및 이를 사용하여 만든 현악기 운지 교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586A KR102094225B1 (ko) 2017-11-02 2017-11-02 현악기 운지 키트 및 이를 사용하여 만든 현악기 운지 교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246A KR20190050246A (ko) 2019-05-10
KR102094225B1 true KR102094225B1 (ko) 2020-03-27

Family

ID=66580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5586A KR102094225B1 (ko) 2017-11-02 2017-11-02 현악기 운지 키트 및 이를 사용하여 만든 현악기 운지 교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2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5962A (ko) * 2020-12-30 2022-07-07 한송이 반음 및 온음을 시각화하여 연주할 수 있는 현악기 교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026B1 (ko) * 2019-11-26 2021-11-09 주식회사 프리미어에듀케이션 아이콘이 표시된 음악 학습 교구 및 이를 이용한 음악 학습 방법
KR102249097B1 (ko) * 2019-12-16 2021-05-07 한송이 현악기 운지 학습용 교재 및 이를 이용한 학습방법과 학습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15288A (ja) * 2009-12-21 2013-05-02 ミソ・メディア,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教育用弦楽器タッチスクリーンシミュレーション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170145586_0001*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5962A (ko) * 2020-12-30 2022-07-07 한송이 반음 및 온음을 시각화하여 연주할 수 있는 현악기 교구
KR102468278B1 (ko) 2020-12-30 2022-11-17 한송이 반음 및 온음을 시각화하여 연주할 수 있는 현악기 교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246A (ko) 2019-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hillips Drama with children
US554013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aching musical notation to young children
KR102094225B1 (ko) 현악기 운지 키트 및 이를 사용하여 만든 현악기 운지 교구
US11482129B2 (en) System and method for teaching piano and note reading
Pittman et al. Dance a while: A handbook for folk, square, contra, and social dance
Culatta et al. Phonological awareness instruction in early childhood settings
JP2014150955A (ja) 音楽知育玩具
Williams Early Visual Skills
KR102249097B1 (ko) 현악기 운지 학습용 교재 및 이를 이용한 학습방법과 학습장치
Games Musical Instruments
Woodard et al. Make-believe Play and Story-based Drama in Early Childhood: Let's Pretend!
Wolkowski Saxophone Technique
Kataoka My thoughts on piano technique
Coleman Creative Music in the Home: Music Stories, how to Make Instruments, how to Play Them and Many Tunes to Play
Martínez Study on Ensemble Performance Practices of Marimba de Chonta Music from the South Pacific of Colombia
Hunsaker The Art of Trumpet Teaching: The Legacy of Keith Johnson
Shepheard Memories of Dr Shinichi Suzuki: Son of His Environment
Brewer et al. 101 Inclusive and SEN Science and Computing Lessons: Fun Activities and Lesson Plans for Children Aged 3–11
Lee Methods and techniques of teaching first semester cello performance majors: Four approaches by four master teachers (Ross Harbaugh, Phyllis Young, Irene Sharp, Tanya Carey)
Jaiswal Take a Flight: A Handbook For Legible Handwriting
Reynolds The String Teacher's Toolbox: An Investigation of the Use of Teaching Aids to Develop Left and Right Hand Set-Up in Beginning String Students
Chung A music program for grade one based on the new music curriculum standards (1993) in Taiwan
Wheelock Learning Activities and Resource Units: Primary K-3.[Arizona] Migrant Child Institute.
Kimberly Paquette Pathways to peace: Lessons to inspire peace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Nitz “Student, know thyself” through values clarif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