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2931A - 악보 표시 방법 및 그에 따른 연주악보교재 - Google Patents

악보 표시 방법 및 그에 따른 연주악보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2931A
KR20190112931A KR1020180034909A KR20180034909A KR20190112931A KR 20190112931 A KR20190112931 A KR 20190112931A KR 1020180034909 A KR1020180034909 A KR 1020180034909A KR 20180034909 A KR20180034909 A KR 20180034909A KR 20190112931 A KR20190112931 A KR 20190112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e
notes
musical
length
repres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4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열
Original Assignee
이승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열 filed Critical 이승열
Priority to KR1020180034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2931A/ko
Publication of KR20190112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29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01Boards or like means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chords
    • G09B15/002Electrically operated systems
    • G09B15/003Electrically operated systems with indication of the keys or strings to be played on instru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숫자를 기반으로 한 악보 표시 방법과 그에 따른 연주악보교재에 관련되며, 실시예로 으뜸음부터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온음계의 각 음에, 1 부터 시작하는 양의 정수를 매칭하고, 으뜸음보다 한 음 낮은 음부터는 -1 부터 시작하는 음의 정수를 순차적으로 매칭하여, 연주할 음의 순서대로 상기 양의 정수 또는 상기 음의 정수를 나열하는 악보 표시 방법을 제시한다.

Description

악보 표시 방법 및 그에 따른 연주악보교재{Method of displaying musical notation and musical score book thereof}
본 발명은 숫자를 기반으로 한 악보 표시 방법과 그에 따른 연주악보교재에 관련된다.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악보는 오선지(보표)에 음표를 나열하고, 그에 박자, 쉼표 등 추가 기호를 표기한 것이다. 이러한 악보는 대부분의 음악 정보를 담을 수 있고, 보편화되어 있는 장점이 있지만, 악보를 읽는 훈련이 충분히 되어 있지 않다면 담긴 정보를 빠르게 이해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특히 오선지에 서로 다른 높이로 배열되는 음표는 음 높이 정보와 음 길이 정보를 한꺼번에 표시하는데, 악기를 처음 다루는 초심자의 입장에서는 악보의 계이름 해석, 음의 길이 해석, 악기의 어느 부분을 누를지에 대한 판단, 실제 연주로 이어지는 여러 사고의 단계를 거쳐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악보에 익숙해지지 않은 초심자나 난독증이 있는 사람에게는 복잡한 오선지 악보를 제대로 읽기가 어려워 악기 배우기를 포기하는 사례가 많다.
이러함 문제점일 인지하고 이를 해결하고자 하였던 종래의 기술에서는 악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사각 도형을 이용하여, 음 높이는 사각 도형의 세로 길이의 장단으로, 음 길이는 가로 길이의 장단으로 표시하고, 시간의 순서에 따라 사각 도형을 나열함으로써 악보를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음악 전체의 흐름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지만, 사각 도형과 악기와의 연계가 부족하여 해당 악보를 보고 악기를 연주하기는 더욱 어려운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00270호 (2018.01.02)
본 발명은 기존 오선지 악보보다 직관성을 높여 누구나 쉽게 악보를 보고 연주할 수 있도록 한 악보 표시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작된 연주악보교재와 관련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으뜸음부터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온음계의 각 음에, 1 부터 시작하는 양의 정수를 매칭하고, 으뜸음보다 한 음 낮은 음부터는 -1 부터 시작하는 음의 정수를 순차적으로 매칭하여, 연주할 음의 순서대로 상기 양의 정수 또는 상기 음의 정수를 나열하는 악보 표시 방법을 제시한다.
나아가 상기 반음계의 음은 이웃한 온음계의 음에서 0.5 씩 더한 숫자로 표시할 수 있다.
도한 상기 온음계의 음과 상기 반음계의 음은, 악기의 운지 포인트와 매칭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악기는 건반 악기이고, 상기 운지 포인트는 건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숫자가 들어가는 도형을 기재하고, 상기 도형을 이루는 선의 수로 해당 음의 길이를 나타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숫자가 들어가는 도형의 분할하고, 분할된 공간들 중 일부를 색칠함으로써 해당 음의 길이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쉼표는 X 로 표시하고, 쉼의 길이는 상기 X 를 감싸는 도형의 선의 수로 나타낼 수 있다.
한편 하나의 가로줄 상에 순차적으로 연주할 음을, 전술한 악보 표시 방법에 의해 나열한 연주악보교재를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음 높이를 숫자로, 음 길이를 도형으로 나타냄에 따라 기존의 오선지 악보를 대체하여 누구나 손쉽게 악보를 읽고 이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악기의 운지 포인트에 대응하도록 악보를 제작함으로써 악기를 연주하기 위한 악보로 활용도가 매우 우수하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악기와 음 높이 표시용 숫자와의 대응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 길이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 길이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기존 악보로 표시된 악곡과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한 악보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여러 특수 기호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악보 표시 방법 및 그에 따른 연주악보교재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도면들과 실시예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악기는 손가락으로 누름에 따라 연주음의 높낮이가 결정되는 다양한 악기에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피아노와 같은 건반 악기는 건반을 누름에 따라 음 높이가 달라지는 것으로, 각 건반마다 음 높이가 결정되어 있다. 또한 기타와 같은 현악기도 줄을 누르는 위치별로 음 높이가 결정되어 있어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하다. 또한 리코더와 같이 구멍을 막이 높낮이가 서로 다른 연주음을 내는 일부 관악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서 연주음의 높이를 달리하도록 손가락으로 누르는 악기의 특정 위치를 "운지 포인트"라 하고 한다. 피아노의 경우, 각 건반이 운지 포인트가 되며, 기타라면 넥(neck)의 지판(finger board)의 각 포지션 마크(position mark)가 운지 포인트가 된다.
이하에서는 피아노를 중점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악기와 음 높이를 숫자로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악보 표시 방법은 연주할 음의 높이를 표시함에 있어서, 숫자를 사용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숫자는 양의 정수 또는 음의 정수이며, 숫자가 클수록 높은 음을 나타낸다.
양의 정수와 음의 정수를 구분하는 방법으로, 으뜸음(도)을 1로 매칭하고, 레, 미, 파, 솔..로 점차 음 높이가 올라갈수록 2, 3, 4, 5..로 하나씩 숫자 크기를 증대시킨다.
이와 같이 1부터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숫자는, 피아노 건반의 으뜸음부터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온음계의 각 음과 매칭된다.
음의 정수는 으뜸음보다 낮은 음들과 매칭되는 것으로, 으뜸음보다 한 음 낮은 음(낮은 레 음)을 -1로 표시하고, 해당 음보다 한 음씩 낮아질 때마다 1씩 줄어드는 숫자로 표시한다.
그에 따라 으뜸음을 기준으로 높은 음들은 양의 정수와 매칭되고, 낮은 음은 음의 정수로 매칭된다.
도 4를 참고하면, 악보 표시에 있어서 연주할 음의 순서대로 음 높이를 양의 정수 또는 음의 정수로 기재하여 수평적으로 나열하게 된다. 도 4의 (a)의 오선지 악보는 학교종의 악보이고, 도 4의 (b)는 이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표시한 악보이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피아노(10)의 검은 건반(11)은 반음계의 음을 연주하기 위한 것들인데, 이에 대응하여 이웃한 온음계의 음에서 0.5씩 더한 숫자로 해당 음을 표시한다. 으뜸음 이상의 검은 검반들은 각기 도#, 레#, 파#, 솔#, 라# 등을 나타내는 것이고, 도, 레, 파, 솔, 라는 1, 2, 4, 5, 6으로 매칭되므로, 이들에 0.5씩 더한 숫자로 해당 음을 나타낼 수 있다(1.5, 2.5, 4.5, 5.5, 6.5).
이러한 숫자를 이용한 음 높이 표시 방식은 장조, 단조 등 복잡한 음악 이론의 개입을 배제하고, 악보와 악기의 운지 포인트를 매칭시킴으로써 누구나 손쉽게 악보를 독해하고, 연주를 시작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숫자로 음의 높낮이를 바로 직감할 수 있으므로, 악보를 연주함에 있어서 연주자가 악곡의 흐름을 직감할 수 있게 한다.
복잡한 기존의 오선지 방식과 음표는, 어느 부분에 음표가 걸려 있는지를 따져봐야 정확한 계이름을 알 수 있고, 이를 악기의 운지 포인트에 반영하여야 한 음이 연주되는 방식이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숫자 방식은 악기의 운지 포인트와 악보의 숫자가 일치함으로써 직관적인 연주가 가능하다.
또한 복잡한 오선지 악보를 보기 어려운 난독증 환자나 시력이 좋지 아니한 고령층 연습자라도 손쉽게 악보를 보고 읽을 수 있어, 이들에 대한 재활 교육에 악기 연주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피아노와 마찬가지로 운지하는 방식에 의해 음 높이가 결정되는 다양한 악기에서, 음 높이가 순차적으로 변경되는 이웃한 운지 포인트들에 연속된 숫자를 매기고, 이를 악보에 반영함으로써 해당 악기에 적합한 악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은 음의 길이를 표시하는 방법과 관련된다.
음의 길이는 음 높이를 나타내는 숫자가 가운데 들어가는 도형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4분음표 이상의 음 길이를 나타내는 방법과 관련되며, 가장 널리 사용되는 4분음표의 길이에 해당하는 도형으로 원을 제시한다. 사용례에서 숫자 1은 으뜸음인 '도'를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2분음표의 경우, 2중으로 겹친 원의 도형을 사용하고, 점 3분음표, 온음표는 각기 3중, 4중으로 겹친 원을 사용한다. 원 안의 숫자로 음 높이를 인식하고, 도형의 겹친 횟수를 통해 얼마나 길게 음을 연주할지를 알 수 있다.
한편 도 3은 4분음표 미만의 짧은 음 길이를 나타내는 방법과 관련된다.
도형 안에 숫자를 기재하여 음 높이를 표시하는 방식은 동일하다. 다만 도형의 내부를 분할하고, 분할된 공간의 일부에 색을 입힘으로써 해당 음의 길이를 나타낼 수 있다.
8분음표의 경우에 반(1/2) 박자에 해당하여, 4분 음표의 길이의 반에 해당하는데, 이는 반원이 칠해진 원 도형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16분음표의 경우, 반의 반(1/4) 박자에 해당하여, 4분 음표를 나타내는 원 도형의 1/4 부분만 칠해지는 것으로 나타낼 수 있다.
비슷하게 점 8분음표의 경우, 원 도형의 3/4 부분이 칠하는 것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검게 칠해지는 부분의 면적 비율은, 1 박자에 해당하는 온전한 흰 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줄어든 음 길이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해당 도형을 읽는 연습자가 음의 길이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즉 온전한 하나의 흰 원 도형이 1박자이고, 반만 흰 원 도형은 반(1/2) 박자에 해당하며, 1.4만 칠해진 경우라면 반의 반(1/4) 박자만큼만 짧게 연주하면 되는 것이다.
예외적으로 점 4분음표의 경우에는 반원을 빗금처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와 달리 도형은 사각형, 오각형 등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분할하여 칠해지는 부분도 오른쪽이 먼저 채워지거나, 상하로 분할한 후 상, 하 어느 한 쪽 부분이 칠해질 수 있다.
도 4의 (b)에는 숫자와 원 도형을 이용하여, 음 높이와 음 길이를 나타낸 악보가 도시되어 있다.
가로선(20)은 오선지 악보에 대응하고, 마디(30)의 표시는 가로선(20)을 분할하도록 표시되어 있다.
가로선(20)의 좌측에는 4/4 박자임을 표시하고, 각 마디(30) 안에는 연주할 음이 순차적으로 도형과 함께 숫자로 표시되어 있다.
각 가로선의 끝에서 쉼표(40)를 표시하였는데, 쉼표는 X 로 표시하고, 쉼의 길이는 기호 X 를 감싸는 도형의 선의 수로 나타내고 있다. 연주를 쉬는 길이를 나타내는 방법은 도 2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도 5는 도형과 숫자에 더하여 다양한 연주 방식을 지시하나는 특수 기호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a)는 스타카토(staccato), (b)는 테누토(tenuto), (c)는 붙임줄, (d)는 이음줄, (e)는 크레센도(crescendo), (f)는 디크레센도(decrescendo)를 나타낸다. 이들 특수 기호는 도형의 위에 표시함으로써, 연주자가 각 기호를 쉽게 인지할 수 있게 한다.
하나의 가로줄 상에 순차적으로 연주할 음을 숫자와 도형을 조합하여 음 높이와 음 길이를 나타냄으로써, 악기를 처음 연주하는 초심자가 어디를 눌러 소리를 내어야 할지를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간단한 악곡을 더욱 쉽게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주악보교재는 악기 초심자에게 더욱 적합하다. 본 연주악보교재로 충분히 연습하여 운지가 자연스러워지면 복잡한 악곡도 손쉽게 익힐 수 있다.
특히 인지력이 낮은 아동, 장애우, 고령자 또는 악보를 읽지 못하는 성인 초심자에게 초기 음악 교재로써 매우 적합하다. 이미 익숙한 숫자를 이용함으로써 빠른 학습 효과가 있고, 악기에 대한 흥미를 잃어버리지 않게 한다.
10 : 피아노 11 : 검은 건반
20 : 가로선 30 : 마디 40 : 쉼표

Claims (8)

  1. 으뜸음부터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온음계의 각 음에, 1 부터 시작하는 양의 정수를 매칭하고,
    으뜸음보다 한 음 낮은 음부터는 -1 부터 시작하는 음의 정수를 순차적으로 매칭하여,
    연주할 음의 순서대로 상기 양의 정수 또는 상기 음의 정수를 나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보 표시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반음계의 음은 이웃한 온음계의 음에서 0.5 씩 더한 숫자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보 표시 방법.
  3. 제2항에서,
    상기 온음계의 음과 상기 반음계의 음은, 악기의 운지 포인트와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보 표시 방법.
  4. 제3항에서,
    상기 악기는 건반 악기이고, 상기 운지 포인트는 건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보 표시 방법.
  5. 제1항에서,
    상기 숫자가 들어가는 도형을 기재하고,
    상기 도형을 이루는 선의 수로 해당 음의 길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보 표시 방법.
  6. 제1항에서,
    상기 숫자가 들어가는 도형의 분할하고, 분할된 공간들 중 일부를 색칠함으로써 해당 음의 길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보 표시 방법.
  7. 제1항에서,
    쉼표는 X 로 표시하고, 쉼의 길이는 상기 X 를 감싸는 도형의 선의 수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보 표시 방법.
  8. 하나의 가로줄 상에 순차적으로 연주할 음을,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악보 표시 방법에 의해 나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악보교재.

KR1020180034909A 2018-03-27 2018-03-27 악보 표시 방법 및 그에 따른 연주악보교재 KR201901129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909A KR20190112931A (ko) 2018-03-27 2018-03-27 악보 표시 방법 및 그에 따른 연주악보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909A KR20190112931A (ko) 2018-03-27 2018-03-27 악보 표시 방법 및 그에 따른 연주악보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931A true KR20190112931A (ko) 2019-10-08

Family

ID=68208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4909A KR20190112931A (ko) 2018-03-27 2018-03-27 악보 표시 방법 및 그에 따른 연주악보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293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53457A (zh) * 2019-10-31 2020-02-28 中国科学院自动化研究所南京人工智能芯片创新研究院 可互动的音乐教学指导方法
KR20210064600A (ko) * 2019-11-26 2021-06-03 주식회사 프리미어에듀케이션 아이콘이 표시된 음악 학습 교구 및 이를 이용한 음악 학습 방법
KR20220019465A (ko) 2020-08-10 2022-02-17 김경선 칼림바 연주 악보 및 이의 자동 생성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270A (ko) 2016-06-22 2018-01-02 권오인 악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270A (ko) 2016-06-22 2018-01-02 권오인 악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53457A (zh) * 2019-10-31 2020-02-28 中国科学院自动化研究所南京人工智能芯片创新研究院 可互动的音乐教学指导方法
KR20210064600A (ko) * 2019-11-26 2021-06-03 주식회사 프리미어에듀케이션 아이콘이 표시된 음악 학습 교구 및 이를 이용한 음악 학습 방법
KR20220019465A (ko) 2020-08-10 2022-02-17 김경선 칼림바 연주 악보 및 이의 자동 생성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72738A1 (en) Isomorphic Solfa Music Notation and Keyboard
US8039721B2 (en) Kit and method for learning to play an instrument
US8455747B2 (en) Musical learning aid
US5962800A (en) Scale-based music notation system
CA2035000C (en) Chord progression finder
Miller The complete idiot's guide to music theory
KR20190112931A (ko) 악보 표시 방법 및 그에 따른 연주악보교재
US6124540A (en) Musical notation system
US8431807B1 (en) Magic key of learning
US20230089269A1 (en) Performance Improvement with the DAMONN Music Notation System
US11127383B1 (en) Musical notation system
US11302212B1 (en) Device for teaching music performance through tactile pitch association and methods of use
Vai Vaideology: Basic Music Theory for Guitar Players
US10304426B2 (en) Instrument and related notation and methods
KR101002643B1 (ko) 오선지가 표시된 전자 악기
Coppenbarger Music theory secrets: 94 Strategies for the starting musician
Marx General Musical Instruction
Cooper The basic guide to how to read music
US7554025B2 (en) Visual chord keyboard instructional method
RU2406162C1 (ru) Учебная гитара для вокалистов-любителей
Schonbrun The Everything Music Theory Book with CD: Take Your Understanding of Music to the Next Level
JP2666025B2 (ja) 楽器の鍵盤配列
JP6155458B1 (ja) ビートチャート数字譜
Miller Music Theory
Schonbrun The Everything Essential Music Theory Book: A Guide to the Fundamentals of Reading, Writing, and Understanding Mus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