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270A - 악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악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270A
KR20180000270A KR1020160097207A KR20160097207A KR20180000270A KR 20180000270 A KR20180000270 A KR 20180000270A KR 1020160097207 A KR1020160097207 A KR 1020160097207A KR 20160097207 A KR20160097207 A KR 20160097207A KR 20180000270 A KR20180000270 A KR 20180000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e
notes
height
figures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7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인
황인수
Original Assignee
권오인
황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인, 황인수 filed Critical 권오인
Priority to PCT/KR2017/00214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222145A1/ko
Publication of KR20180000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2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1/00Means for the representation of music
    • G10G1/02Chord or note indicators, fixed or adjustable, for keyboard of finger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음표로 이루어진 복수의 마디를 포함하는 악보를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표 각각을 도형으로 표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음표를 도형으로 표현하는 단계는, 상기 음표 각각의 음의 길이 및 음의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도형의 형상을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악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VISUALIZING METHOD FOR MUSIC SCORE}
본 발명은 악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악보 표기법은 음악을 쓰는 사람과 읽는 사람 간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약속으로서 오늘날 다양한 악보 표기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오선보는 가장 보편적인 악보 표기법 중 하나로서 국제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오선보는 음의 높낮이를 오선 위에 시각적인 형태로 표기하여 직관적으로 쉽고 정확하게 읽을 수 있도록 한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그러나, 이러한 오선보에 의해 표현된 악보는 악기의 연주 등을 통해 청각적 표현으로만 일반 대중들에게 전달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본 발명은 청각적 표현을 기록한 악보를 시각적 표현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음표로 이루어진 복수의 마디를 포함하는 악보를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표 각각을 도형으로 표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음표를 도형으로 표현하는 단계는, 상기 음표 각각의 음의 길이 및 음의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도형의 형상을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표 각각에 대응되는 도형은,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형은 사각 기둥일 수 있다.
상기 사각 기둥의 높이는 상기 음표 각각의 음의 높이에 비례할 수 있다.
상기 사각 기둥의 수평 단면을 이루는 한 변의 길이는, 상기 음표 각각의 음의 길이에 비례할 수 있다.
상기 도형은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사각형을 이루는 네 변 중 하나의 변은, 상기 음표 각각의 음의 높이에 비례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변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상기 사각형을 이루는 네 변 중 다른 하나의 변은, 상기 음표 각각의 음의 길이에 비례할 수 있다.
상기 다른 하나의 변은, 상기 제1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상기 사각형을 이루는 네 변 중 다른 하나의 변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도형은 원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도형은 원기둥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악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에 의하면, 청각적 표현을 담은 악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적용하려는 악보의 일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각 음표를 도형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악보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의해 도형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악보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의해 다른 도형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의해 하나의 악보를 나타낸 도형이 휴대용 단말기에 그려진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도 1의 악보의 일부를 다양한 도형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의해 하나의 악보를 도형으로 표현한 조각이 공원에 설치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적용하려는 악보의 일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각 음표를 도형으로 표현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1의 악보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의해 도형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악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은, 복수의 마디로 구성된 악보를 도형으로 표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방법에 따르면, 악보를 구성하는 복수의 음표를 각각 도형으로 표현하여, 하나의 악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하나의 악보를 사람이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각적인 도형들로 나타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악보는 동요 산토끼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악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에 의해, 도 1의 악보에 표시된 복수의 음표들 각각을 도형들로 표현하기로 한다.
도 1의 악보의 첫 번째 마디(I)는 '솔(A) 미(B) 미(C)'로 이루어지고, 두 번째 마디(II)는 '솔(D) 미(E) 도(F)'로 이루어진다. 이때, 첫 번째 마디(I)의 '솔(A)'은 4분 음표를 갖고, '미(B, C)'는 8분 음표를 가질 수 있다. 두 번째 마디(II)의 '솔(D)'은 8분 음표를 갖고, '미(E)'는 8분 음표를 갖고, '도(F)'는 4분 음표를 가질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각 음표에 대응되는 각 도형들은, 각 음표의 음의 길이 및 음의 높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서는, 각 음표에 대응되는 도형을 사각형 형상으로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각 음표에 대응되는 도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다양한 다각형 형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 음표에 대응되는 각 도형의 높이는, 각 음표의 음의 높이에 비례할 수 있다. 악보를 구성하는 음표들은, C(도), C#, D(레), D#, E(미), F(파), F#, G(솔), G#, A(라), A#, B(시)의 순서로 음의 높이를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각 음의 높이는, 고유의 진동수(Hz)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C(도), C#, D(레), D#, E(미), F(파), F#, G(솔), G#, A(라), A#, B(시) 각각은, 261, 277, 293, 311, 329, 349, 369, 391, 415, 440, 466, 493Hz를 가질 수 있다. 각 음표가 갖는 각 음의 높이(진동수)는 사람의 귀로 인식할 수 있는 청각적인 요소에 해당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음의 높이를 도형의 높이로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61Hz를 갖는 C(도)는 사각형의 높이에 해당되는 한 변의 길이를 261 mm로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277Hz를 갖는 C#은 사각형의 높이에 해당되는 한 변의 길이를 277 mm로, 293Hz를 갖는 D(레)는 사각형의 높이에 해당되는 한 변의 길이를 293 mm로, 311Hz를 갖는 D#은 사각형의 높이에 해당되는 한 변의 길이를 311 mm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329Hz를 갖는 E(미)는 사각형의 높이에 해당되는 한 변의 길이를 329 mm로, 349Hz를 갖는 F(파)는 사각형의 높이에 해당되는 한 변의 길이를 349 mm로, 369Hz를 갖는 F#는 사각형의 높이에 해당되는 한 변의 길이를 369 mm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391Hz를 갖는 G(솔)은 사각형의 높이에 해당되는 한 변의 길이를 391 mm로, 415Hz를 갖는 G#은 사각형의 높이에 해당되는 한 변의 길이를 415 mm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440Hz를 갖는 A(라)는 사각형의 높이에 해당되는 한 변의 길이를 440 mm로, 466Hz를 갖는 A#는 사각형의 높이에 해당되는 한 변의 길이를 466 mm로, 493Hz를 갖는 B(시)는 사각형의 높이에 해당되는 한 변의 길이를 493 mm로 표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음표가 갖는 각 음의 높이를 mm로 단위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 음의 높이는 cm, m, inch 등으로 나타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음의 길이를 도형의 폭으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형의 '폭'은 사각형의 세로 변의 길이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악보에서 4 분의 2 박자의 한 마디, 즉 첫 번째 마디(I) 및 두 번째 마디(II) 각각은 400 mm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각 마디(I, II)를 구성하는 각 음표는, 음의 길이에 비례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각 마디(I, II)의 4분 음표는 200 mm의 폭을 갖고, 8분 음표는 100 mm의 폭을 가질 수 있다. 4분의 2 박자로 이루어진 악보의 경우에, 각 마디는 4 분 음표로 2 등분될 수 있다. 따라서, 각 마디(I, II)가 400 mm의 폭을 갖는 경우, 4 분 음표는 200 mm를 갖게 된다.
그러나, 각 마디(I, II)의 4분 음표 및 8분 음표의 폭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각 폭에 일정한 상수를 곱한 값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마디(I, II)의 4분 음표는 200 mm * 3인 600 mm일 수 있고, 8분 음표는 100 mm * 3인 300 mm의 폭을 가질 수도 있다. 또는, 추가적으로 각 마디(I, II)의 4분 음표 및 8분 음표 각각에 일정한 길이를 더하거나 뺄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의 도형(110)은 도 1의 첫 번째 마디(I)의 '솔(A)'을 도형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때, 도형(110)의 높이(H1)는 391 mm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형(110)의 높이(H1)는 '솔(A)'의 진동수인 391Hz에 비례하여 표현한 것이다.
한편, 도형(110)은 4 분 음표에 해당되는 폭(W1)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형(110)의 폭(W1)은 200 mm 일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각 음표의 폭이 음의 길이에 비례하는 것으로 설명되나, 각 음표의 폭의 길이는 모두 동일하게 표현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의 도형(120)은 도 1의 첫 번째 마디(I)의 '미(B, C)' 및 두 번째 마디(II)의 '미(E)'를 도형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때, 도형(120)의 높이(H2)는 329 mm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형(120)의 높이(H2)는 '미(B, C, E)'의 진동수인 329Hz에 비례하여 표현한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도형(110)은 8 분 음표에 해당되는 폭(W2)을 가질 수 있다. 도형(120)의 폭(W2)은 100 mm 일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각 음표의 폭이 음의 길이에 비례하는 것으로 설명되나, 각 음표의 폭의 길이는 모두 동일하게 표현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의 도형(130)은 도 1의 두 번째 마디(II)의 '솔(D)'을 도형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때, 도형(130)의 높이(H3)는 391 mm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형(130)의 높이(H3)는 '솔(D)'의 진동수인 391Hz에 비례하여 표현한 것이다. 도 4의 도형(130)의 높이(H3)는 도 2의 도형(110)의 높이(H1)와 동일할 수 있다. 도형(110) 및 도형(130)은 모두 '솔'에 대응되는 음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도형(130)은 8 분 음표에 해당되는 폭(W3)을 가질 수 있다. 도형(130)의 폭(W3)은 100 mm 일 수 있다. 도형(130)과 도형(110)은 모두 '솔'에 대응되는 음의 높이를 가지나, 도형(130)과 도형(110)의 음의 길이는 서로 다르다. 따라서, 도형(130)의 폭(W3)은 도형(110)의 폭(W1)의 절반에 해당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의 도형(140)은 도 1의 두 번째 마디(II)의 '도(F)'을 도형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때, 도형(140)의 높이(H4)는 261 mm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형(140)의 높이(H4)는 '도(F)'의 진동수인 261Hz에 비례하여 표현한 것이다.
한편, 도형(140)은 4 분 음표에 해당되는 폭(W4)을 가질 수 있다. 도형(140)의 폭(W4)은 200 mm 일 수 있다. 도형(110)과 도형(140)은 모두 4 분 음표에 해당되는 폭을 갖기 때문에, 도형(110)의 폭(W1)과 도형(140)의 폭(W4)은 모두 동일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1의 첫 번째 마디(I)의 '솔(A) 미(B) 미(C)'와 두 번째 마디(II)의 '솔(D) 미(E) 도(F)'는, 각각 대응되는 도형으로 표현되어 제1 방향을 따라 나열될 수 있다.
도 6의 도형(110)은 전술한 도 2의 도형(110)과 동일할 수 있고, 도 6의 복수의 도형(120) 각각은 도 3의 도형(120)과 동일할 수 있다. 다만, 도 6의 복수의 도형(120) 각각은, 각각 도 1의 악보의 가사인 '토', '끼', '끼'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도 6의 도형(130)은 도 4의 도형(130)과 동일할 수 있고, 도 6의 도형(140)은 도 5의 도형(140)과 동일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서는, 각 음표에 대응되는 각 도형(110, 120, 130, 140)은 동일한 간격(G1, G2, G3, G4, G5)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형(110)과 도형(120) 사이의 간격(G1), 도형(120) 사이의 간격(G2), 도형(120)과 도형(130) 사이의 간격(G3), 도형(130)과 도형(120) 사이의 간격(G4) 및 도형(120)과 도형(140) 사이의 간격(G5)는 서로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음표에 대응되는 각 도형(111, 121, 131, 141)을 서로 다른 간격(G1, G2, G3, G4, G5)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7에서는 각 도형(111, 121, 131, 141)의 폭을 서로 동일하게 배치할 수도 있다.
이때, 도형(111)과 도형(121) 사이의 간격(G1), 도형(121) 사이의 간격(G2), 도형(121)과 도형(131) 사이의 간격(G3), 도형(131)과 도형(121) 사이의 간격(G4) 및 도형(121)과 도형(141) 사이의 간격(G5)은, 각 도형(111, 121, 131, 141)에 대응되는 음표의 음의 길이에 비례할 수 있다. 이때, 각 도형(111, 121, 131, 141)은 전술한 도 6의 각 도형(110, 120, 130, 140)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형(111)과 도형(121) 사이의 간격(G1)은 전술한 도형(110)에 대응되는 음표의 음의 길이에 비례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간격(G1)은 도형(110)에 대응되는 음표인 4 분 음표에 대응될 수 있다. 도형(121) 사이의 간격(G2)은 좌측에 배치된 도형(121)의 음표의 음의 길이인 8분 음표에 대응될 수 있다. 도형(121)과 도형(131) 사이의 간격(G3)은, 도형(120)에 대응되는 음표인 8 분 음표에 대응될 수 있다. 도형(131)과 도형(121) 사이의 간격(G4)은, 도형(131)에 대응되는 음표인 8분 음표에 대응될 수 있다. 도형(121)과 도형(141) 사이의 간격(G5)은 도형(121)의 음표인 8분 음표에 대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도 1의 복수의 음표로 이루어진 악보를,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고유의 도형들로 표현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악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에 따르면, 특정한 악보를 다양한 물체 위에 도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한 악보의 음표들을 휴대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CP)에 특정한 도형들의 집합(X1)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CP)에 특정한 악보의 음표들을 도형으로 표시하면, 휴대용 단말기(CP)의 심미적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하기에서는,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각 음표를 사각형 형상으로 표현하는 것 이외에, 다양한 도형으로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 내지 도 12는 도 1의 악보의 일부를 다양한 도형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9에 도시된 도형(A), 도형(B) 및 도형(C)은 각각 도 1의 첫 번째 마디(I)의 '솔(A) 미(B) 미(C)'를 각각 표현한 도형이다. 도 9에서는, 도 2 내지 도 5와 달리, 각 도형들이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9의 각 도형(A, B, C)은 각 변은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9의 도형(A)은 도 2의 도형(110)에 대응될 수 있다. 즉, 도 9의 도형(A)는 도 1의 첫 번째 마디(I)의 '솔(A)'을 표현한 도형일 수 있다. 따라서, 도형(A)의 높이(Y1)는 391 mm를 가질 수 있다.
도 9의 도형(B, C)은 도 3의 도형(120)에 대응될 수 있다. 즉, 도 9의 도형(B, C)는 도 1의 첫 번째 마디(I)의 '미(B, C)'을 표현한 도형일 수 있다. 따라서, 도형(B, C)의 높이(Y2, Y3)는 329 mm를 가질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에 도시된 도형(A), 도형(B) 및 도형(C)은 각각 도 1의 첫 번째 마디(I)의 '솔(A) 미(B) 미(C)'를 각각 표현한 도형이다. 도 10에서는, 각 도형들이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의 도형(A, B, C)는 도 1의 첫 번째 마디(I)의 '솔(A) 미(B) 미(C)'의 음의 높이에 대응되는 부피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의 도형(A, B, C)의 부피는 음의 높이에 따라 비례할 수 있다.
도 10의 도형(A)은 도 2의 도형(110)에 대응될 수 있다. 즉, 도 10의 도형(A)는 도 1의 첫 번째 마디(I)의 '솔(A)'을 표현한 도형일 수 있다. 도형(A)의 높이(Y4)는 4 cm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도형(A)의 단면적(S1)은 97.75 ㎠일 수 있다. 따라서, 도형(A)의 부피는 391 ㎤일 수 있다.
도 10의 도형(B, C)은 도 3의 도형(120)에 대응될 수 있다. 즉, 도 10의 도형(B, C)는 도 1의 첫 번째 마디(I)의 '미(B, C)'을 표현한 도형일 수 있다. 도형(B, C)의 높이(Y5, Y6)는 3.5 cm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도형(B, C)의 단면적(S2, S3)은 94 ㎠일 수 있다. 따라서, 도형(B, C)의 부피는 329 ㎤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0의 도형(A, B, C)은 각 음표의 음의 높이에 비례하는 부피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음표의 음의 높이를 사각 기둥 형상으로 표현하여, 공원과 같은 장소에 특정한 악보를 조각물로 표현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에 도시된 도형(A), 도형(B) 및 도형(C)은 각각 도 1의 첫 번째 마디(I)의 '솔(A) 미(B) 미(C)'를 각각 표현한 도형이다. 도 11에서는, 도 2 내지 도 5와 달리, 각 도형들이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에서는, 도형(A, B, C)의 직경(D1, D2, D3)이 각 음표의 음의 높이에 따라 비례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12에 도시된 도형(A), 도형(B) 및 도형(C)은 각각 도 1의 첫 번째 마디(I)의 '솔(A) 미(B) 미(C)'를 각각 표현한 도형이다. 도 12에서는, 각 도형들이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에서와 마찬가지로, 도 12의 도형(A, B, C)은 각 음표의 음의 높이에 비례하는 부피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악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악보를 구성하는 각 음표들을 각 음표의 음의 길이 및 음의 높이에 대응되는 도형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10, 120, 130, 140 도형
H1, H2, H3, H4 높이
W1, W2, W3, W4 폭
G1, G2, G3, G4 간격

Claims (13)

  1. 적어도 하나의 음표로 이루어진 복수의 마디를 포함하는 악보를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표 각각을 도형으로 표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음표를 도형으로 표현하는 단계는,
    상기 음표 각각의 음의 길이 및 음의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도형의 형상을 서로 다르게 형성하는, 악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표 각각에 대응되는 도형은,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악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형은 사각 기둥인, 악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 기둥의 높이는 상기 음표 각각의 음의 높이에 비례하는, 악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 기둥의 수평 단면을 이루는 한 변의 길이는, 상기 음표 각각의 음의 길이에 비례하는, 악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형은 사각형 형상인, 악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형을 이루는 네 변 중 하나의 변은, 상기 음표 각각의 음의 높이에 비례하는, 악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변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과 나란한, 악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형을 이루는 네 변 중 다른 하나의 변은, 상기 음표 각각의 음의 길이에 비례하는, 악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하나의 변은, 상기 제1 방향과 나란한, 악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형을 이루는 네 변 중 다른 하나의 변은 서로 동일한, 악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형은 원형 형상인, 악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형은 원기둥인, 악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
KR1020160097207A 2016-06-22 2016-07-29 악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 KR201800002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2146 WO2017222145A1 (ko) 2016-06-22 2017-02-27 악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180 2016-06-22
KR20160078180 2016-06-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270A true KR20180000270A (ko) 2018-01-02

Family

ID=61004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207A KR20180000270A (ko) 2016-06-22 2016-07-29 악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02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2931A (ko) 2018-03-27 2019-10-08 이승열 악보 표시 방법 및 그에 따른 연주악보교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2931A (ko) 2018-03-27 2019-10-08 이승열 악보 표시 방법 및 그에 따른 연주악보교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usineau et al. The basis of musical consonance as revealed by congenital amusia
DE102008028328B4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rzeugen eines Notensignals auf eine manuelle Eingabe hin
CR7983A (es) Panel acustico que comprende una matriz entrelazada de yeso fraguado y metodo de fabricacion del mismo
KR20180000270A (ko) 악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
Suárez et al. The sound of the cathedral-mosque of Córdoba
Cambouropoulos et al. Auditory streams in Ligeti’s Continuum: A theoretical and perceptual approach
US9026237B2 (en) Generating audio impressions of data
McGookin et al. Space, the Final Frontearcon: The Identification of Concurrently Presented Earcons in a Synthetic Spatialised Auditory Environment.
Martens et al. Musical structure: Time and rhythm
JP3172988U (ja) リズム学習用教材
Boren et al. Spatial organization in musical form
WO2014126361A1 (ko) 6선보를 위한 피아노 건반
Stansbie Beyond the Fixity Fallacy: Rethinking the Work Concept In the Age of Electronic Music
Jordan Uncovering ancient practices through acoustics
Blakeslee A disease that allowed torrents of creativity
Rasulzade et al. Mathematics‎,‎ Music and Architecture
WO2017222145A1 (ko) 악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
Alvim Music Through Architecture: Contributions to an Expanded Practice in Composition
DeLio The Marvelous Illusion: Morton Feldman's The Viola in My Life (1)
Scherzinger Line, Rhythm, and a Motivic Detail in Mozart's Piano Sonata in F Major (K. 280), Adagio
JP2019020582A5 (ko)
Marisi 2. Debussy’s as Cultural Mediators Between East and West
Mayr Sketches for a low-frequency solfege
RU2144703C1 (ru) Звучащий элемент ударного музыкального инструмента
Mara Harmony, the union of music and a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